120년전 대한제국 서울 1900년 전후의 모습ㅣSeoul 120 years ago in photos

  Рет қаралды 1,391,395

대한여지도 Korean Geographic

대한여지도 Korean Geographic

3 жыл бұрын

옛날사진으로 보는 120년 전 서울의 모습입니다.
주로 1900년에서 1904년 사이 사진인데, 대한제국 시기이기도 하네요.
#120년전 #서울 #역사사진
우리나라는 (특히 서울은!) 워낙 급속도로 발전했기 때문에 수십 년 전 모습도 찾아보기 힘들 때가 많습니다.
그러니 120년 전 사진을 보며 현재 모습과 비교해 보는 것이 꽤 어렵습니다.
사진 속 그 장소가 지금은 어떻게 되었는지, 영상 속 사진들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가능한 자세히 찾아보았습니다.
사진 출처
- 국립민속박물관(www.nfm.go.kr)
숭례문 1900년대초
- 문화재청(www.heritage.go.kr)
구 미국공사관(서울시 유형문화재 123호)
- 체코 국립박물관(www.nm.cz)
돈의문(서대문) 1901년
- 스코틀랜드 국립도서관(www.nls.uk)
러시아공사관 1894-97년
- 기타 구글링....

Пікірлер: 464
@koreangeographic3860
@koreangeographic3860 2 жыл бұрын
05:12 '촉나라 장수 관우'인데 발음이 명확치 않았는지 청나라 장수로 들린다는 분이 많네요. 혼선을 드려 죄송합니다. 앞으로는 더 신경쓰도록 하겠습니다.
@kyongparis5447
@kyongparis5447 Ай бұрын
The Korean Empire (king Gojong) opened Asia’s first Tram in 1899. Japan invaded the Korean Empire and stole technology.(1910).
@kyongparis5447
@kyongparis5447 Ай бұрын
1899년에부터 1990년부터 자동차도 달리고 있었읍니다.
@user-im6wm2fm1k
@user-im6wm2fm1k 2 жыл бұрын
역사적 자료들을 볼 때 늘 느끼는 것 중 하나가.. 어느 시대에 태어 났느냐에 따라 시대적으로.. 같은 곳 같은 장소이지만.. 다른 건물 다른 배경들이 존재 한다는게 어쩜 당연하면서도 참 신기하기도 하네요~
@love-co7oc
@love-co7oc 3 жыл бұрын
귀중한 자료들이네요. 이 사진들을 확대 보완하여 지금의 현재의 위치에 시민들이 잘 볼 수 있도록 영구 게시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fcseoulgo1242
@fcseoulgo1242 3 жыл бұрын
훌륭합니다 소중한 자료가 있다는 것에 감사함을 느낍니다... 1910년대라 아 너무 감사합니다
@user-ln7xs4ck7n
@user-ln7xs4ck7n 2 жыл бұрын
100년이지나 현재 2021년 지금까지도 이렇게나 변하고 발전했는데 앞으로 100년후 서울은 어떤모습일까 상상이 안가네요. 선조님들의 피나는 노고에 감사할뿐입니다. 그런의미로 이영상은 귀중한 자료이네요.
@kyongparis5447
@kyongparis5447 Ай бұрын
찬란한 조선왕조 500年❤대한제국❤️
@kyongparis5447
@kyongparis5447 Ай бұрын
1899년에 대한제국은 아시아 최초로 노면電車(서울전차) 를 개통한 나라입니다❤️ 아시아에서 최고❤
@user-ku2so5hw2z
@user-ku2so5hw2z 2 жыл бұрын
나이가 많아지니 옛것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네요 특히 역사적인 것들에 대한 모든것이 진귀하게 생각되어 더욱 알고싶어지고 도심을 다니면서도 면밀히 보게 되고요
@peacekim777
@peacekim777 2 жыл бұрын
100년전의 우리나라를 보니 너무달라 격세지감을 느끼며 오늘 근대의 대한민국이 정말 자랑스럽습니다. 미국에서 살면서 가까이서 지켜 보는 삼성폰과 TV, 현대,기아차가 거리를 누비는게 늘 자랑스럽습니다. 귀한 역사적 자료를 공유해 주셔서 너무 고맙습니다.
@user--142
@user--142 3 жыл бұрын
소중한 자료 감사합니다.
@pohangkim2462
@pohangkim2462 3 жыл бұрын
좋은 자료가 많네요. 공유해주셔서 고맙습니다.
@koreangeographic3860
@koreangeographic3860 3 жыл бұрын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열심히 자료 찾고 작업중이니 자주 들러주세요^^
@sukiesimpson4125
@sukiesimpson4125 3 ай бұрын
정말 감사합니다~~~ 어디서 이렇게 오래된 살아있는 영상들을 찿으셔서 올리셨는지요. 고맙습니다. ^^ 지금은 옛~ 추억으로만 남아있지요 어린나이에 언니와오빠를 따라 다니던 기억들이 새삼 떠오르네요… 지금은 제가 다니던 초등학교 ( 삼청국민학교)도 사라지고 많은곳들이 흔적도 없지만요 다시 볼수있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wndrma12
@wndrma12 2 жыл бұрын
정말 귀한자료 감사합니다 구독합니다
@user-fi8eg6zh2u
@user-fi8eg6zh2u 3 жыл бұрын
최고의 자료 잘보고 갑니다~
@chunhuikim3193
@chunhuikim3193 2 жыл бұрын
정말 ~귀하고 중요한~자료 올려 ~주셔서 잘~보았습니다 👍😂😂😂👏🏻
@user-zz6tm9at4b
@user-zz6tm9at4b 2 жыл бұрын
와.. 정말 신기해요. 매일 지나다니는 광화문과 종로일대.. 태어날때부터 지금까지 서울 도심에서 사는 저로선 비교가 되면서 너무 신비롭네요
@user-tf5dw3oj9b
@user-tf5dw3oj9b 2 жыл бұрын
소중한 자료 많이 보고 몰랐던 과거사 배워갑니다 ~감사합니다 ^^*
@kidultvideo1504
@kidultvideo1504 3 жыл бұрын
못보던 사진도 꽤 있네요 감사합니다.
@Gilja8538
@Gilja8538 3 жыл бұрын
우리 선조님들 고생하셨습니다
@ak5lf5ns
@ak5lf5ns 2 жыл бұрын
상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잘 봤습니다^^
@kyongparis5447
@kyongparis5447 Ай бұрын
귀중한 자료 감사합니다🙏
@asok2siam911
@asok2siam911 2 жыл бұрын
이 채널이 동급최강. 내용이 알차고 부연 설명이 훌륭함.
@parkstourgolf
@parkstourgolf 2 жыл бұрын
항상 감사드립니다.
@seunghwajung8031
@seunghwajung8031 3 жыл бұрын
넘~, 감사합니다
@user-hv5hr1of9h
@user-hv5hr1of9h 2 жыл бұрын
와 놀라운 자료입니다.고맙습니다.
@user-oz1ol2nd2k
@user-oz1ol2nd2k 2 жыл бұрын
덕분에 희귀한 자료 잘보고 있습니다.
@Mantis.shrimp_noogie
@Mantis.shrimp_noogie 2 жыл бұрын
귀한 영상 감사 합니다.
@Kevin-br6wd
@Kevin-br6wd 3 жыл бұрын
대단한 자료네요
@zzilerssa
@zzilerssa 3 жыл бұрын
자료 너무 좋네요 감사합니다 타임머신이 있다면 타고 갔다오고싶네요ㅎㅎ
@user-ts8do4ks7b
@user-ts8do4ks7b 3 жыл бұрын
보기어려운 자료 ,감사합니다.
@user-vb4tl8vk8c
@user-vb4tl8vk8c Жыл бұрын
동영상 감사합니다 ^^
@yrp8123
@yrp8123 3 жыл бұрын
참 많은 것을 느끼게 하네요. 성벽과 성문은 너무나 아깝네요...
@user-bb7eo3sd9o
@user-bb7eo3sd9o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uj9rh4gw9c
@user-uj9rh4gw9c 3 жыл бұрын
좋은 자료를 보니 좋다
@nangman1195
@nangman1195 2 жыл бұрын
대한여지도님! 120년얘기를 듣게해줘서 고마워요 그때는 강으로 배를건너 물건이들어오곤했네요 옛날 종로모습 보신각주변 남대문시장 파고다공원 상점 도성주변이네요 어떻게 이런 자료를준비해주셨는지 영상 잘보고갑니다 좋아요 종닦아놓고갑니다
@user-kn4ii6cq3x
@user-kn4ii6cq3x 2 жыл бұрын
진짜 새롭네요 신기하기도 하고
@docteursade2
@docteursade2 2 жыл бұрын
단정하고 깔끔한 해설,,,,, 무조건 "좋아요" 와 "구독" 을 남깁니다.
@user-wn6ye4qr7o
@user-wn6ye4qr7o 2 жыл бұрын
캬하~ 그때 그시절의 진귀한 영상 흥미롭게 자알 보고 좋아요 꾸욱 눌렀습메다-핫핫핫〰️➰➿
@user-vq7tz5jp1c
@user-vq7tz5jp1c 3 жыл бұрын
귀한 자료네요
@TV-bulgguljoa
@TV-bulgguljoa 2 жыл бұрын
귀한 사진이네요.
@user-bb8uw5fm7l
@user-bb8uw5fm7l 2 жыл бұрын
한번 가보고싶네요 그립기도합니다
@user-yx6ly4nx1m
@user-yx6ly4nx1m 2 жыл бұрын
불과 120여년전 지금 생각해보면 상상을 초월한 일들이 펼쳐집니다. 다음 미래는 어떠할런지? 어떻게 보면 옛날이 행복했는지도 모릅니다. 너무나 순수 그자체 였으니까요~
@ssw61461
@ssw61461 Жыл бұрын
유럽처럼 저시대건축물들이 많이남아있었다면 지금은또 어떤모습의 서울이였을지..궁굼해지네요
@younggun454
@younggun454 3 жыл бұрын
5:10 관우의 촉나라 장수가... 청나라 장수로 들려서 깜짝 놀랬네요, ㅎ
@koreangeographic3860
@koreangeographic3860 3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다시 들어보니 청나라로 들리는 것 같아서 저도 놀랐네요. 앞으론 더 신경써야겠습니다^^
@tv-iz6jb
@tv-iz6jb 3 ай бұрын
실록에 세조1년 10월 20일자에 원본에 興仁之門이 나옵니다 늘~~ 감사히 보고 있습니다 자료 발굴이 대단하십니다
@dosiss2875
@dosiss2875 3 жыл бұрын
난 《미스터 션샤인》이 자꾸 생각나!
@limjaeho36
@limjaeho36 3 жыл бұрын
저도 그 생각했습니다. 역사적 사실과는 별개로 당시 건물이나 도로 모습들은 꽤나 고증이 잘된 드라마였다고 생각됩니다.
@rawnessskateboardtv
@rawnessskateboardtv 2 жыл бұрын
유진 초이~!
@user-us1rr4yr4u
@user-us1rr4yr4u 2 жыл бұрын
저도 그생각했어요..유진초이가 튀어나올거같은느낌....
@ohhoho5876
@ohhoho5876 2 жыл бұрын
특히 종각과 그 옆를 지나가는 전차.
@youtoo4699
@youtoo4699 2 жыл бұрын
그게 머에요?
@Grace-hv9cl
@Grace-hv9cl 2 жыл бұрын
100년후 사람들이 지금 우리모습을 보면, 어떻게 저렇게 살았지? 할텐데. 지금 내가 이영상을 보면서 그러는거처럼
@nexus7shin883
@nexus7shin883 2 жыл бұрын
최초의 경인선 철도~한강대교는 일본의 기술과 자본으로 건설된 초기의 중요한 교통기관이다...
@user-qd1wi4gq2w
@user-qd1wi4gq2w 3 жыл бұрын
소중하고 귀한 자료 잘 보고 갑니다. 최대한 출처를 밝히시고 고증을 하려는 노력에 박수를 보냅니다. 영상 중 5분 12초 현재의 동묘 사진(동관묘)을 소개하면서 장수를 청나라 장수로 소개하고 있네요. 임진왜란 당시 명나라 장수가 관우의 은덕으로 살아남은 것을 기념하기 위해 명나라 황제가 직접 현판을 보냈고 선조의 명령으로 건립한 사당이죠. 청나라는 명나라 이후 건립되었으니 원고작성에 실수가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정확한 출처를 밝히시는 분의 영상이기에 내용을 참조할 학생, 일반인들에데 혹시라도 로 잘못 전달될 것 같아 부족한 지식이지만 몇자 남깁니다. 다시한번 좋은 자료 감사드립니다.
@koreangeographic3860
@koreangeographic3860 3 жыл бұрын
아, 다시 들어보니 청나라로 들릴 수도 있겠군요. 촉나라와 청나라가 비슷하게 들릴 수도 있네요^^ 다음부터는 이런 부분 있으면 발음에 신경써야겠습니다. 관심 가지고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qd1wi4gq2w
@user-qd1wi4gq2w 3 жыл бұрын
@@koreangeographic3860 저도 촉나라로 하신것 같은데 청나라로 들려 실례를 무릅쓰고 한글자 남겼습니다. 다시한번 고증된 귀한 자료를 제공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koreangeographic3860
@koreangeographic3860 3 жыл бұрын
@@user-qd1wi4gq2w 이런 관심과 지적은 제게 큰 힘이 됩니다. 계속 관심 가져주시고 혹시라도 오류다 싶은 곳이 보이면 알려주세요. 감사합니다!!
@ky4286
@ky4286 2 жыл бұрын
옛날서울 너무 예쁘다
@user-jp5lm5ur4z
@user-jp5lm5ur4z 2 жыл бұрын
고작 120년전인데....신기하네요
@Manly_Tactical
@Manly_Tactical 2 жыл бұрын
아주 오랜만에 경성땅을 보니 감회가 새롭습니다. 나으리
@phymadori545
@phymadori545 3 жыл бұрын
Thanks for the historic and well organized photos, rarely seen before. According to the narration, the "Seoul Station" is being quoted as "Kyung Sung Station" even before the annexation of Korea into Japan in 1910. Seoul, then called as Han Sung, was also called as Kyung Sung, even before the Japanese rule?
@cyberacers
@cyberacers 3 жыл бұрын
KyoungSung 경성 means capital city in Korea. Before Seoul station built by 🇯🇵 , seodaemoon station was kyoung sung station. As far as I know
@phymadori545
@phymadori545 3 жыл бұрын
As far as I know, the name " Kyung Sung", which could be translated as the "Capital Castle", is the Japanese concoction, I mean Japanese (not the Korean) renamed "Han Sung" to "Kyung Sung". That's how I have heard from at school and media. According to the narration, it is suggested, "Kyung Sung" is Korean made, and if this be true, we should not have any repulsive feeling toward the name, "Kyung Sung". I hope someone clarifies this.
@cyberacers
@cyberacers 3 жыл бұрын
@@phymadori545 you know more than me -!
@BymesYS
@BymesYS 3 жыл бұрын
@@phymadori545 '서울(seoul)' and '경성(京城, kyungsung)' both are originally common nouns that mean capital city. Diffrence of them is seoul is pure korean word and kyoungsung is sino-korean word. Word 京城 was widly used East Asian cultural sphere, or sinosphere. You can find other historic record that describe their capital as 京城 not only in Korean Peninsula, but also other cities of mainrand china or Japan. So, using the word Kyoungsung befroe 1910 was not odd thing. I hope this explanation can help you understand.
@phymadori545
@phymadori545 3 жыл бұрын
@@BymesYS Thank you for the kind explanation. Kyung Sung is just another name to describe a capital city, which was used before the Japanese rule, thus, we must not have odd or repulsive emotion toward the name.
@nuclearayromic6928
@nuclearayromic6928 2 жыл бұрын
120년전 저때 태어나신분중에 지금도 생존해계시는분은 안계시겠죠? 인간의삶이 100년도못된다는사실에 자못서글퍼지네요.
@user-kp5fv3uv3e
@user-kp5fv3uv3e 2 жыл бұрын
용산 왔다갔다 많이하는데, 용산 나루터를 보니 참 신기하네요
@user-mo7mr4yh3v
@user-mo7mr4yh3v 2 жыл бұрын
발전사에 밀어붙여을 하지 못하는건들 보존에 가치라 생각합니다
@user-fh7ux6fq3h
@user-fh7ux6fq3h Жыл бұрын
옛날 사진들 보면 난 참 행운아라는 생각ㅇㄱ 든다... 이 시대에 태어나서
@chrismossy9774
@chrismossy9774 3 жыл бұрын
It looks romantic! Interesting !역사 좋아해요
@John-hu3xm
@John-hu3xm 2 жыл бұрын
ㅋ 감탄사가 나오는 자료네요
@user-mo9xt6hq8q
@user-mo9xt6hq8q 9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120년전 서울이 이런 모습앳으면 1000년전이면 어땟을까요? 상상이 잘 안갑니다.
@sulee1519
@sulee1519 2 жыл бұрын
120년동안 이렇게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는게 놀랍고 뭔가 무섭네요..
@user-hr6vq3hp3z
@user-hr6vq3hp3z 2 жыл бұрын
잘볼게요
@hrstory
@hrstory 3 жыл бұрын
1900년만해도 서울이 초가집 기와집 수준이었는데 제가 어떻게 고작 74년만에 지하철이 생길 수 있었던거죠? 50년에 전쟁까지 있었는데.. 엄청난 발전이 있었네요
@asdfghj814
@asdfghj814 3 жыл бұрын
일제가 식민지배하면서 인프라 다깔아놓고 625 끝나고 미국이 냉전 접경지역, 서독,이란,대만,한국등에 대량원조 투입함.. 60,70년대 대미수출 시작으로 경제 급성장
@user-pn5wt6bs6w
@user-pn5wt6bs6w 3 жыл бұрын
미국80 일본 15 한국 5 힘으로 지금ㅇ이까지왔지
@user-ny8gy1dw6v
@user-ny8gy1dw6v 3 жыл бұрын
@@asdfghj814 미국의 원조덕분에 경제 성장 한 것도 맞지만, 일제의 식민지배때 인프라가 다 깔렸다는 얘기는 들어본 적도 없을 뿐더러, 한국전쟁으로 인해 그나마 깔아놓은 일제의 모든 인프라가 전부 파괴되었기에 인프라가 일본덕에 깔렸다는 얘기는 신빙성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Yamaneko_KR
@Yamaneko_KR 3 жыл бұрын
@@user-pn5wt6bs6w 한국 20 미국 80이겠지
@user-yi6hm8re5d
@user-yi6hm8re5d 2 жыл бұрын
일본이 기본적은 기술력으로 교육, 수명, 교통, 의료시스템까지 많은부분이 좋아졌음 그리고 전쟁 끝나고 미국, 유럽 선진국들의 지원도 되게 많았고 니개한나라에서 이렇게 된거임
@moveb2714
@moveb2714 2 жыл бұрын
근데 왜이렇게 슬프죠?
@emperor0420
@emperor0420 3 жыл бұрын
와우 이런 귀한 자료가 ㄷ ㄷ
@user-ks4su2xz3o
@user-ks4su2xz3o 3 жыл бұрын
120년 후 서울은 엄청 변했군요
@user-on8iu9yi8n
@user-on8iu9yi8n 2 жыл бұрын
네가 이말하려햇는대 100년동안 엄청발전햇다구
@user-ir8rb6fx8c
@user-ir8rb6fx8c 2 жыл бұрын
120년 사진 잘봤습니다 제가 생각하긴 그 더전인 조선시대때 모습도 저때랑 비슷할꺼같네요
@eonia5128
@eonia5128 Жыл бұрын
근데 사극에 나오는 갓은 창이 넓던데 막상 사진을 보니 창이 작네요 사극의 나오는 갓은 살짝 과장된 건가요?? 중학생이라 잘 모르는데 알려주실 분..
@koreangeographic3860
@koreangeographic3860 Жыл бұрын
갓의 총모자와 양태(챙)는 시대에 따라 조금씩 달라집니다. 조선 초기만 해도 총모자 위쪽이 둥글었지요. 우리가 익숙한 모습은 원통형(?)인데 말이지요. 육룡이 나르샤 같은 사극 보시면 갓 위쪽이 둥급니다. 양태 역시 시대 따라 다른데, 중기 이후에는 양태가(챙이) 무척 넓었다고 합니다. 신윤복 풍속화 보시면 쉽게 이해되실 텐데, 이때는 갓이 꽤 화려해 보입니다. 고종대에는 총모자 높이도 낮아지고 양태도 좁아지는데, 의복이 간소화된 영향이라고 하네요. 물론 고종대에도 넓은 갓을 쓴 사람은 있었겠죠.
@alexeikang4028
@alexeikang4028 2 жыл бұрын
컬러였으면 꽤 아늑해 보였겠네요
@MIGHTYMIN
@MIGHTYMIN 2 жыл бұрын
2:26 지금으로 따졌으면 롯데 월드 타워 정도 했을듯 지금은 워낙 높은 빌딩이 많아서ㅋㅋㅋㅋㅋㅋㅋ
@sungpark5685
@sungpark5685 2 жыл бұрын
중앙청 건물은 언제 세워졌는지 ?
@MooMoo-hh6fz
@MooMoo-hh6fz 3 жыл бұрын
기와집이 참 좋아요~
@does778899
@does778899 3 жыл бұрын
아담한게 참 좋네
@user-uu3je6tm8d
@user-uu3je6tm8d 2 жыл бұрын
왜 난 이자료들을 보면서 산맥들이 나오는 사진들이 지금의 서울 산맥과 너무 다른지가 궁금하다 아무리 산을 깎고 공사를 한다고하여도 산맥자체가 크기가 다른데
@seraps3991
@seraps3991 3 жыл бұрын
InsaAllah kore dilini öğreneceğim
@user-sz1px2dx7n
@user-sz1px2dx7n 4 ай бұрын
집이 엄청 다닥다닥 붙었네 옆집에 소리 다 들렸겠다 서대문 자리 바로옆에 독립문 세워서 복원 안 한 거 아닌가요 어릴적에 독립문 앞으로 자주 다녔는데 그렇게 들은 거 같은데
@MIGHTYMIN
@MIGHTYMIN 2 жыл бұрын
3:49 보이는 그대로 그냥 초가집이 주된 집이였던 시절...
@ktx3534
@ktx3534 2 жыл бұрын
저게 신석기시절이아니고 무려 19세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Flyingpotatos
@Flyingpotatos Жыл бұрын
일본의 도시는 거의 모두 기와 지붕이었습니다. 기와 지붕은 화재를 막기 위해 일본 전체에 퍼졌습니다.
@user-gc2wi4xq7c
@user-gc2wi4xq7c 3 жыл бұрын
기와집도 많고 이쁘네요ㆍ나중에 청일전쟁ㆍ2차대전ㆍ6.25루 다 부숴진거지만요ㆍ저때만해두 좋은데요ㅗ
@koreangeographic3860
@koreangeographic3860 3 жыл бұрын
아무래도 서울중심가니까 형편이 나았을 듯합니다^.^ 6.25때 거의 석기시대로 돌아갔다 했을 정도로 파괴됐지만 그걸 또 일으켜세웠으니, 참 대단한 것 같아요^^
@user-kn7ll9yc3h
@user-kn7ll9yc3h 3 жыл бұрын
앞으로 120년후 서울의모습은 과연 어떻캐 변해 있을까
@TrainOfuture
@TrainOfuture 3 жыл бұрын
sf
@user-kl7zf5rz4o
@user-kl7zf5rz4o 2 жыл бұрын
못 보고 간다는 것이 참 아쉬워요
@JudoMuayThai
@JudoMuayThai 2 жыл бұрын
똑같이 마스크쓰고 4단계 거리두기 하고 있겠쥬~~
@user-nf4ej8ng2j
@user-nf4ej8ng2j 2 жыл бұрын
성외곽에 민가들이 붙어있어 공간이 협소하여 왜적이나 오랑캐들이 성을 공략하기가 까다로웠겠죠? 일반 사극은 고증이 아쉽긴하지만 재미를 위해서는 고증을 포기하는거겠죠?
@user-kj1ch4br8t
@user-kj1ch4br8t 3 жыл бұрын
아주 소중한 자료들입니다. 보는 시각에 따라서 어느 누구는 수많은 초가집으로 인해 초라하게 보일 수도 있으나 초가집부분을 제외하면 너무도 아름답습니다. 일제와 한국전쟁으로 인한 파괴가 너무도 애석할 따름입니다. 궁궐, 성곽을 포함하여 주요 건물이 잘 보존되어서 문화재가 되고 도로를 잘 정비한 후에 초가집이 있던 곳에는 숲과 현대식 건물이 들어셨다면 서울은 지금보다 몇배 더 세계에서 최대의 역사문화도시이자. 무척이나 아름다운 명품도시가 되었을 것입니다. 지금부터라도 극한이기주의로 개발에만 몰두할 것이 아니라 사대문안에 속하는 서울성곽과 궁궐만이라도 최대한 복원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이미 많은 소중한 자료들이 존재함으로 원형에 가깝게 복원하는데 어려움이 없을 것 같으나 관건은 비용, 교통, 반대의견, 상존하는 또 다른 건물이 문제일 것 같네요.
@koreangeographic3860
@koreangeographic3860 3 жыл бұрын
저도 답사를 다니다보면 안타까운 생각 많이 하게 됩니다. 궁궐처럼 왕조와 관련된 건 일제가 허물고, 그 와중에 보존된 것들은 전쟁때 부서지고, 또 남은 건 경제개발과 근대화가 한창이던 때 촌스럽다고 허물고, 그러다 살만해지니까 그런 것들이 소중했구나 하면서 다시 복원하고 있죠. 그렇다고 옛것을 무조건 복원할 필요는 없긴 한데, 기준점을 잘 잡고, 기왕 복원을 한다면 제대로 잘 했으면 좋겠습니다.
@ego6929
@ego6929 3 жыл бұрын
저는 초가집도 아름답다고 생각됩니다. 매우 저렴하게 지을수 있고 시원하고 따뜻한 집이었으며 서민,빈민등이 큰 돈을 들이지 않고도 지을수 있던 집의 형태입니다. 초가집에도 조상의 지혜가 담겨있습니다.
@ego6929
@ego6929 2 жыл бұрын
@@user-qv5ll7ex2r 가장 병신같은 대답. 좋으면 니가하라는 수준의 답은 음식점의 음식이 맛없다하니 니가 해봐라라는 저능아같은 답일뿐ㅉㅉ
@ego6929
@ego6929 2 жыл бұрын
@@user-qv5ll7ex2r 뭔 경우가 달라 병신아 ㅋㅋㅋ 사회생활에서도 그러냐? 누가 어디 괜찮다 그러면 그럼 니가 사라 니가가라 하와이 이지랄할거 같다 ㅋㅋㅋ 아주 역사를 유튜브랑 블로그로 배운 티가 팍팍 난다 어줍잖아서 답해주기도 귀찮다 그걸 지식이라고 알고 있냐 쪽팔리지도 않나보다
@ego6929
@ego6929 2 жыл бұрын
@@user-qv5ll7ex2r 아..그리고 도망가지 말고 계속 댓글 달아다오. 난 육개월이라도 답글 달아준다 예전에 어떤놈은 딱 보름간 나랑 댓글 주고 받더니 어느날 댓글 싹다 지우고 도망가더라 너는 안그럴거지? 또 댓글 달아봐
@sunday3866
@sunday3866 3 жыл бұрын
와 한세기만에 이렇게 나라가 바꼈네 ㅋ
@alexeikang4028
@alexeikang4028 2 жыл бұрын
한국같은 나라가 흔치 않더군요
@LP_Nard
@LP_Nard 2 жыл бұрын
해방이후 공산주의에 반대하여 자유민주주의 체제 국가를 건국하고 한미상호방위 조약을 체결한 런승만. 5천년 가난의 역사를 청산하고 경제 발전과 조국 근대화의 기틀을 마련한 원조 갓카 다까끼 마사오 다까끼 마사오의 급격한 중화학 발전의 후폭풍으로 다가온 경제불황과 오일쇼크를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경제발전에 발전될 만한 모든 것들을 족쳐버리고 인권도 족쳐버리고 민주주의도 족쳐버린 전땅크 이 나라에서 범죄자들을 소탕한 전땅크 따까리 노태우 잘나가던 대한민국을 IMF로 말아먹어버린 땡삼이 일본과의 불행한 역사를 넘어 일본과의 관계 개선과 IT산업의 육성. 여가부라는 개핵똥폐기물급 부처를 만들고 쌀로 북핵을 연성해낸 노벨 화학상 수상자 연금술사 핵대중 힘쌔고 아주 빠르게, 성능좋은 사스방역 대처로 국가를 지켜내고 대한민국 군대 지금까지 뭐했노 이기야! 라는 역대급 프리스타일 랩을 민주평화통일행사에서 선보인 MC무현 미국발 전세계 금융위기 사태때 국가를 안정적으로 관리하여 당시 유일한 플러스 성장을 기록하고 2000년대 들어 유일한 8퍼센트 성장과 부동산 값 -0.8 퍼센트 -갓카 갓띵박 능력은 쥐뿔도 없는데 애비 후광빨로 당선되서 국가내란음모 계획한 통진당 해산시키고 최순실 국정농단 게이트로 보수 우파 궤멸시킴 -닭근혜 박정희 처럼 독재는 하고 싶은데 능력은 박정희의 발가락 떼 만도 못하고 멍청하기로는 전두환 처럼 멍청한데 전두환 처럼 전문가 말은 안듣고 좆문가 말만 듣고, 지 친구 노무현 처럼 질병 대처도 못하고, 고집은 박근혜 처럼 뒤지게 쎄고 성별갈등 세대갈등 오질라게 조장하고, 대선여론조작으로 당선되서 나라 씹창냄- 문재앙
@user-mz4py1uu8f
@user-mz4py1uu8f 2 жыл бұрын
@@LP_Nard ㄹㅇ문재앙정권족쳐야함. 나라망하는 지름길임
@Luxembourg926
@Luxembourg926 2 жыл бұрын
@@user-mz4py1uu8f 아직 대깨문 엄청 많더라 큰일났음
@jt9804
@jt9804 2 жыл бұрын
@@LP_Nard 빨갱이 한 분 난입.
@FreeMan.Korea.
@FreeMan.Korea. 2 жыл бұрын
삼가 선인들의 노고에 감사 하는 마음 임니다 편히 쉬소서 -
@jskim5365
@jskim5365 8 ай бұрын
5:34 광화문 월대 복원했네요 2023년 10월 현재
@hyunseungyoon3568
@hyunseungyoon3568 Жыл бұрын
우리 엄마의 고모부 , 팔당 배알미 뒤의 검단산에서 땔감해서 뗏목타고 뚝섬와서 뗄감 팔었다는 이야기 들었는데, 뗏목에서 밥도 해먹고, 현재 그 후손들 배알미 감골집
@tjdghks626
@tjdghks626 2 жыл бұрын
한옥이 의왜로 벽돌건물이 엄청\ 많네요 ㄷㄷ;;
@user-vn8sl2bn1b
@user-vn8sl2bn1b Жыл бұрын
우리 할머님은 1907년 대한제국? 시대에 태어 나셧는데오니
@user-mo7mr4yh3v
@user-mo7mr4yh3v 2 жыл бұрын
사대문 안에 보존 지금 세상에서 상상할수도 없음이죠 왜 없애면 그만!
@user-nn4dp7de8b
@user-nn4dp7de8b 2 жыл бұрын
아~~ 이때도 산은 민둥산이네요. 수천년동안 나무를 베어 땔감을 해왔으니 ... 우리나라가 푸른 산을 가지고 시작한것은 1990년 이후입니다. 1960년대부터 열심히 나무를 심어 그나무들이 여기저기서 무럭무럭 자라서 1990년대부터는 울창한 숲을 만들어 냈읍니다.. 가난한 나라살림에도 요목조목 정치,경제,군사,교육,사회,문화,의료,보건,스포츠 모든면에서 재건과 부흥을 일으킨 1960년대 1970년대 가 있었기에 88올림픽도 개최할수 있었고 2002년 월드컵도 개최할수 있었어요. ...우리 조부모세대와 부모님세대와 박정희대통령께 감사드립니다 우리는 이 역사를 잊으면 후레자식입니다. 감사할것은 감사하고 인정할것은 인정해야 합니다. 역사를 똑바로 알아야 합니다. 역사를 무시하면 러시아,중공,일본,북한공산당에 의해서 구한말의 고통을 다시 맛 볼수 있어요 우리 증조부모님세대를 엿볼수 있는 영상에 감사드립니다.
@kyongparis5447
@kyongparis5447 Ай бұрын
대한제국에 전차도 많이 있었고 자동차도 있었다 합니다
@jeonseok4884
@jeonseok4884 Жыл бұрын
사진에 자막을 너무 크게 넣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user-ou5kx9wf9w
@user-ou5kx9wf9w 2 жыл бұрын
그래도 근대화하려고 나름 노력했었네요 당시 다른나라에 비해 인프라가 부족한게 있지만
@user-vb7ft7pz4w
@user-vb7ft7pz4w 3 жыл бұрын
1592년 임진왜란때도 저런 복장과 집에서 살았을거 아니야 400년동안 발전도 없고 대단.. 지금의 대한민국이 믿기지않네요
@001suisen4
@001suisen4 2 жыл бұрын
すべては日本の援助のおかげです。 日本が援助しなければ、韓国はアフリカのジンバブエと同じです。
@seraps3991
@seraps3991 3 жыл бұрын
Ahh birde turkce altyazılı olsaydı
@user-jv3id6jn3o
@user-jv3id6jn3o 2 жыл бұрын
한양에 거리는 초가지붕에 곧쓰러져갈 움막집 흙집에 배수처리도안되어 거리는 온통 꾸불하고 똥과오줌오물덩어리였다지요
@bluerain2094
@bluerain2094 2 жыл бұрын
가난하지만 비루하지않았던 조상님들 이후로 많은 고생을 했겠지요 이 건물들도 전쟁으로 다 폐허가 되었지요
@ultimate1004
@ultimate1004 3 жыл бұрын
아무리 생각해도 4~5세기 삼국시대부터 천년의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수많은 사람들이 살았다고 한다면 집이라든지 건물, 도로 등 20세기초 지금 사진의 서울 사진엔 초가집과 몇몇의 기와집 밖엔 없다는게 정말 이상하네요. 신축 건물 공사하는 곳은 엄청 많은듯 보이고 꼭 난민들이 모여 있는 곳을 찍을 사진 같아보이는게...
@asdfghj814
@asdfghj814 3 жыл бұрын
ㅅㅂ 그냥 삿갓쓴 아프리카 부시맨들임
@davidjacobs8558
@davidjacobs8558 3 жыл бұрын
해방때 인구가 3천만명 이라고 하는데, 그 많은 사람들이 죄다 어디서 살았던건지. 뭘해먹고 살았던거지.
@jt9804
@jt9804 2 жыл бұрын
병자호란이 후의 조선은 사실상 나라의 기능이 다 망가진, 그저 1퍼센트 양반들을 위한 나라였을 뿐이었기 때문입니다.
@Wandrative
@Wandrative 2 жыл бұрын
강북서울은 조선뿐. 송파구 백제 석촌 피라미드 단지가 아니잖슴
@Seul_Gooner
@Seul_Gooner 2 жыл бұрын
지금 대한민국 땅에 남아있는 건축물 대부분이 조선 때 만들어진 건데, 조선은 유교를 숭상하던 국가라 유교의 기본 덕양 중 하나가 화려함을 지양하는 것인데다 조선 중기를 넘어가면서 거목이 고갈되기 시작하며 건물들의 미관이 떨어지게 된 것일 뿐 삼국-고려시대까지는 복층 건물이 매우 많았다고 전해지고 기와집 외관도 훨씬 더 화려했었다고 합니다. 또한 조선에서도 화려하게 짓지 않았다(후기에는 못했다) 뿐이지 건축 기술 자체는 동시대 다른 동아시아 국가들과 비교해도 전혀 꿇리지 않을 정도로 좋은 기술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user-zo9yi8db8g
@user-zo9yi8db8g 3 жыл бұрын
항상 고맙고 감사합니다 ~🎉🤗. 눌 "귀한영상" THANK YOU 😅. "뜨거운여름🔥" 절대로 더위 드시지 마시고 건강 "꼭옥" 챙기세요 ~~~~~~~~💥💦😎. #구독 #알람설정 #탱큐
@kyongparis5447
@kyongparis5447 Ай бұрын
1899년에 대한제국은 아시아 최초 노면電車(서울전차)를 개통한 나라였읍니다❤존경합니다❤
@syk2955
@syk2955 2 жыл бұрын
영상은없음?
@chanlee6602
@chanlee6602 2 жыл бұрын
그때도 상당히 발전해 있었네요
@apollopro671
@apollopro671 2 жыл бұрын
뭔 개소린지
@gwedo
@gwedo Жыл бұрын
​@@apollopro671적어도 아시아에서는 상당히 발전되어 있었던 게 맞음. 물론 (중일 제외)한국 외 다른 아시아 국가들이 대부분 식민지였던 것도 있지만..
@gwedo
@gwedo Жыл бұрын
​@@apollopro671+또 근대부터 1960년대까지는 아시아나 아프리카나 경제 수준은 별 차이 없었음.
@pchone3011
@pchone3011 Жыл бұрын
1900년에 동대문에 화력발전소를 지었다라..흠..
@D-Look
@D-Look 2 жыл бұрын
120년 전 왜관 해주세요!
孩子多的烦恼?#火影忍者 #家庭 #佐助
00:31
火影忍者一家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
МАМА И STANDOFF 2 😳 !FAKE GUN! #shorts
00:34
INNA SERG
Рет қаралды 3,4 МЛН
We Got Expelled From Scholl After This...
00:10
Jojo Sim
Рет қаралды 65 МЛН
60년대 장날 풍경 / 티셔츠와 삿갓이 같이 팔리던 시절
9:08
1968년 서울 다양한 풍경들ㅣSeoul in 1968
9:44
대한여지도 Korean Geographic
Рет қаралды 710 М.
한양도성 한 바퀴ㅣ140년전 사진부터 시작해 1900년 전후 모습을 중심으로
15:23
(4K) Life in Seoul in 1982 Rare picture sent to the past
12:18
복원왕 Restoration King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1929년 혹은 1930년대 서울 영상 자세히 보기ㅣFootage of Seoul in 1929 or 1930s
12:43
대한여지도 Korean Geographic
Рет қаралды 600 М.
Life in Seoul Korea 1953 Rare picture sent to the past
5:47
복원왕 Restoration King
Рет қаралды 763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