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 만에 판별한다…'연봉 2억' IT 개발자 누구인가/한국경제TV뉴스

  Рет қаралды 405,181

Korea Business News

Korea Business News

2 жыл бұрын

특별기획 '인재전쟁, 국가가 나서라', 그 첫번째 순서로 억대 연봉의 개발자들이 모여 있는 한국의 실리콘밸리 '판교'의 상황을 짚어봤습니다. 정호진, 임동진 기자가 차례로 전해드립니다.
#개발자 #IT개발자 #IT개발자연봉
[기사원문보기]
www.wowtv.co.kr/NewsCenter/Ne...
△대한민국의 경제를 보세요!
△구독좋아요 그리고 알람설정하세요!
-#한국경제TV뉴스 #뉴스플러스 #경제 #투자 #한경
△'한국경제TV 뉴스' 유튜브 구독
bit.ly/3nlLPEu

Пікірлер: 948
@user-zf1jg6tb4q
@user-zf1jg6tb4q Жыл бұрын
연봉 높을 수록 압박감이 장난 아님... 체력과 멘탈 그리고 전투력이 뛰어나야 억대 까지 갈 수 있음... 그냥 앉아 있는 다고 주는 돈 아닙니다.... 개발에서 발생하는 모든 문제에 대한 해법과 나가야 할 방향, 개발의 효율성, 생산성 향상을 위한 노력 최신 기술에 대한 트렌드 까지 탑급으로 가야 받을 수 있어요... 막말로 혼자 수백명 먹여 살립니다.. 우리끼리 슈퍼스타라고 하죠..
@You_Know_Who_I-am
@You_Know_Who_I-am Жыл бұрын
연봉일억이상인데 일머리없고 눈치도없고 꼰대마인드 가진 대표도 많은듯..
@Joel-ux6bn
@Joel-ux6bn Жыл бұрын
일인당 3-4인분 해야 일억임 ㅋ
@gu_won_ja
@gu_won_ja Жыл бұрын
한국이 심하네요.. 고작 2억으로 인재를 찾으려니 안찾아지죠. 북미에선 저렇게 잘하지 않는 개발자도 1~2억은 쉽게 받습니다. 진짜 유능한 개발자는 5억이상은 받고있구요.
@Channeluniverse1
@Channeluniverse1 Жыл бұрын
@@You_Know_Who_I-am 대표가 개 조스로 보이나…
@user-oi6zb5yw3b
@user-oi6zb5yw3b Жыл бұрын
그런사람들 보고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려면 페미니스트정도의 정신병을 지니면 되나요??
@mac_rules
@mac_rules Жыл бұрын
실력은 코드잘짜는 것도 맞으나 컴공의 깊은 지식도 필요하고, 패턴분석, 알고리즘, 데이터분석, 설계 여러가지 지식이 얽혀야 깊은 지식이라고 할수있다 생각이 드네요.
@user-qo1wm6cb1p
@user-qo1wm6cb1p Жыл бұрын
@현주 님 여자 아니세요?
@bansin175
@bansin175 Жыл бұрын
@@ilililillililii5283 과학이구먼
@danydavid8761
@danydavid8761 Жыл бұрын
알고리즘이랑 운영체제 너무 어려워요 ㅠ
@caocao69
@caocao69 Жыл бұрын
@현주 있긴한뎅....
@lIlIlIlI-fq4xk
@lIlIlIlI-fq4xk Жыл бұрын
코드를 잘 짠다는게, 애초에 해당 언어의 구조나 호환 운영체제별 특성, 다루는 데이터, 다른 함수들의 간단한 주석만으로 객체지향을 간결하게 추가한다는 점에서 C급과 S급 개발자의 차이가 납니다. 인터뷰에서 말한 것이 쉽게 말하지만 오랜 경험과 꾸준한 공부, 최신 라이브러리사용 등을 깨우쳤는지를 다 본다는 뜻입니다. 수 많은 개발자 전공책, 해외의 유명한 프로그래밍 언어 제작자의 저서 등 좋은 책은 많지만, 특히 최신 라이브러리 응용 영역은 그 어떤 책에도 다뤄지지 않습니다. 스스로 지금껏 쌓아온 수많은 경험을 토대로 계속 접목해보며 효용성을 극대화해야만 하는 외길의 영역인거죠.
@uuusi-7349-gk
@uuusi-7349-gk Жыл бұрын
인생을 살면서.. 공부는 끝이 없다고하는데요 IT는 징해버릴정도로 공부할게 많습니다.. 괜히 고액의 연봉이 아니며.. 결국 스트레스도 어마어마하다는것.. 체질에 맞는 분도 있겠지만... 그렇지 않는 분들도 많습니다 개발자 우대한답시고 그 외 파트를 찬밥신세 되는것도 느끼고있는데 ㅎㅎ 상대적 박탈감도 꽤나 있는 편이네요 '나도 개발자 될걸' 이라는 후회도 들고.. 한편으론 내가 감당할수있는 직군일까? 라는 질문도 내 자신에게 해보게 되네요... 대한민국 IT하시는분들 힘 내시길!
@jykw1717
@jykw1717 Жыл бұрын
연봉 높으면 높을수록 요구사항 많고, 디테일하게 모든 부분 다 관리하고 코딩만하는게 아니라 이것저것 책임감도 엄청 많아짐. 또 개인시간에 공부도 해야하고 특히 이쪽분야는 진짜 느끼는게 타고나야함. 아무리 노력해도 진짜 타고나서 똑똑한사람들 못따라감. IT회사에서 파격적인 복지, 연봉 다 줘도 파격 복지에 눈도 안감 솔직히 일시작하고 나면. 무조건 살아남아야겠다, 무조건 impact가 있어야한다 이런 생각밖에 안들어서 솔직히 연봉높고, 파격복지, 재택근무 등 머리속에 "아 대박 이거 다 즐겨야겠다" 이런 생각 절대 안듬. 무조건 실력없고 임팩트 없으면 짤린다. 이 생각밖에 안들어서 스트레스도 장난아님...ㅠㅠ
@sowhat8126
@sowhat8126 Жыл бұрын
결국 파격복지는 인재 끌어들이기용인가요 ㅎㅎ
@Ruliling
@Ruliling Жыл бұрын
어느분야나 그렇지만 개발쪽도 타고난 사람 이기기 힘들죠.
@gal_9233
@gal_9233 Жыл бұрын
복지 많아도 그거 다 즐기면 도태될거같은 느낌이 있죠 …. 깊이 공감합니다
@user1329ab
@user1329ab Жыл бұрын
타고난 재능이 없어서 포기하고 쉬운 길로 가는 것도 본인 선택이겠지만 재능이 없다는 이유로 정해진 루트이자 운명에 굴복하는 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어느 분야든 재능 없는 사람도 될 때까지 계속하면 평타 이상은 할 수 있고요. 굳이 어느 분야든 탑에는 못 들어도 자기가 못하는 걸 잘하게 될 때까지 파고드는 게 진정한 보람이자 성실함의 정의가 아닐까 싶네요.
@user-hq6ek9yi9n
@user-hq6ek9yi9n Жыл бұрын
어딜가든 다그렇지
@narzenstudio5975
@narzenstudio5975 Жыл бұрын
좋은 인재는 10년전 20년전에도 찾기 힘들었음. 그때와 좀 틀린것은 지금은 인재를 육성하지 않는다는 거... 걍, 바로 투입가능한 인력만 선호함.
@user-yb6nk6qr8m
@user-yb6nk6qr8m Жыл бұрын
개발자가 평균적으로 연봉이 좀 높은 건 맞는데 그만큼 업무 강도 심함.. 전에 다니던 회사는 다른팀은 다 칼퇴인데 개발팀만 밤새고 주말출근도 했음. 어느 직종이던 상위권 실력이면 억대 연봉 받을듯
@welkrjwerwelrjr4116
@welkrjwerwelrjr4116 Жыл бұрын
라고 합리화시키면 연봉 적은 님마음이 조금이라도 합리회되겟죠 ㅋㅋ
@kori83
@kori83 Жыл бұрын
현실은 상위 1% 인력은 자율출퇴근, 공유오피스, 재택 원격근무
@user-um3nl8lp3t
@user-um3nl8lp3t Жыл бұрын
이게 맞음... s급 실력이면 중국집에서 수타 또는 조리사도 월급 600씩 받음 연봉 1억임.. 보너스 포함하면 더 넘고 내가 아는 분 손으로 수타면 뽑는데 한번에 20그릇씩 일정하게 뽑음.. 월급 750만원임... 여기 음식점도 매출 월 1억이고 어느 업종이던 s급은 1억 다 넘음.. 택배도 s급은 월급 800이상 가지고 간다.
@user-ts5nw8ks5o
@user-ts5nw8ks5o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 느낀건 정치질 잘하는 인간이 그만큼 연봉도 높게 받더라. 나도 유지보수 하면서 주 5일 재택하면서 일해봤는데 유지보수 하면 결국엔 실력은 0에 수렴함.. 몸이 편하면 그만큼 실력도 떨어지고.
@user-qr2xt2wk6x
@user-qr2xt2wk6x Жыл бұрын
@@welkrjwerwelrjr4116 니 국평오 맞춤법부터 합리화좀해라
@chojobstv
@chojobstv Жыл бұрын
프리경력 포함 23년차 입니다 단가 많이 올랐더군요 꼭 업무가 S급만 필요한건 아닙니다 급에 따라 페이등급도 다릅니다 전체적으로 페이가 많이 올랐어요
@vermouthsinged9792
@vermouthsinged9792 Жыл бұрын
진짜 망한 사람은 비개발자가 초봉 6천만 보고 부트캠프 공부하는 경우..영상에도 시원하게 잘 말해주네요ㅎㅎ
@G47_Code
@G47_Code Жыл бұрын
S급 개발자가 되어도 SS 그리고 SSS, 그리고 SSS+ 개발자 등 세상엔 정말 많은 천재가 있습니다. 실력과 인맥, 커뮤니케이션 스킬 그리고 본인의 연봉 협상 실력에 따라서 5000이 1억이 되고 2억이 되고 5억이 될수 있습니다. 하루도 쉬지않고 공부해야만 내 가치를 지킬수 있습니다.
@BosleyHong
@BosleyHong Жыл бұрын
잡스
@user-bn8it1vt3y
@user-bn8it1vt3y Жыл бұрын
짐은 유일하노라
@user-uz5mn2hs8t
@user-uz5mn2hs8t Жыл бұрын
UR급 개발자도 있나요?
@user-qj5tl5ys1i
@user-qj5tl5ys1i Жыл бұрын
@@user-uz5mn2hs8t ur급들은 고인되신지들오래
@koreanmessiLeeseungwoo
@koreanmessiLeeseungwoo Жыл бұрын
@@BosleyHong 스티브 워즈니악
@tkew3831
@tkew3831 Жыл бұрын
저희 남편은 통신쪽인데 희소성이 크고 워낙 공부를 많이 해야 하는 직업이라 사람 뽑는 일이 쉽지 않다네요. 면접 들어 오는 사람도 실력이 너무 부족해서 처음부터 다시 가르쳐야 하는 상황이래요.
@sh-gp7kj
@sh-gp7kj Жыл бұрын
비전공자도 공부하면 될까요.. 1금융권 재직중인 문과졸업생 입니다만 이직하고 싶네요
@user_kiwi
@user_kiwi Жыл бұрын
모든직종이 신입은 실력이없습니다. 인문계 대학교에서는 학문 지식을가르치지 일에필요한 지식을 전문적으로 가르쳐주지않음
@PH-st3qf
@PH-st3qf Жыл бұрын
@@sh-gp7kj 통신쪽은 비추입니다. 코딩 쪽으로 추천드립니다.
@PH-st3qf
@PH-st3qf Жыл бұрын
@@user-ou9ed4jd5d 네 맞습니다. 제 요점은 비전공자에게 통신보다 코딩이 투자대비 효율이 낫다는 뜻입니다. 아웃풋은 코딩쪽이 비슷하거나 나은데 통신은 기본 선수과목 자체가 많아서 비전공자로서는 부담이 됩니다. 통신 쪽 인력이 평균은 더 높을 수 있습니다만 대다수의 통신 인력들은 학벌이 있는 편이고 대기업에 몰려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하고요. 비전공자분들에게 통신은 추천드리기 어렵습니다.
@caocao69
@caocao69 Жыл бұрын
그런상황속에서는 사수의 교육능력 또한 중요합니다
@imays76
@imays76 Жыл бұрын
이성은 많죠. 잘생기고 예쁜 이성이 없어서 그렇죠. 개발자도 마찬가지입니다.
@songryu512
@songryu51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아이고 이런데서 배현직 대표님 댓글을 다 보게 되네요. 맞습니다. 개발자는 많죠. 내공 있고 잘하는 개발자 찾기가 어렵죠.
@user-ur2gl5qk1q
@user-ur2gl5qk1q Жыл бұрын
저 돈 받는다는건 저 금액대의 여러사람분보다 더 이득을 낼수있으니깐 기업이 주는겁니다 본인이 수십명이상 대체할수있다고 자신한다면 어디에서든지 그만큼은 받을수있겠죠
@anyoungki
@anyoungki Жыл бұрын
돈 받는 만큼 일해야함. 회사는 바보가 아님 그리고 그위치,연봉을 유지하기 위해 꾸준히 스터디 해야함.
@whomilv
@whomilv Жыл бұрын
외국과 달리, 또 다른 문제는 한국회사의 인사과의 권한이 너무 강해서, 해당부서에 원하지 않는 인재를 보낸다는 거죠. 가끔 거기서 종종 낙하산도 투입하고.
@caocao69
@caocao69 Жыл бұрын
외국과 같은거같은뎅....
@user-ht7xp4mz3i
@user-ht7xp4mz3i Жыл бұрын
인사가 얼마나 중요한데
@go_muhyun
@go_muhyun Жыл бұрын
한국회사의 인사권한이 강한편이라고요?ㅋㅋㅋㅋㅋㅋㅋㅋ 님 미국회사에서 사람 어떻게 짜르는지 본적 없죠?ㅋㅋㅋㅋㅋㅋ
@jeongwoohyun9606
@jeongwoohyun9606 Жыл бұрын
대기업 다녀본사람들은 공감할거다. 돈은 그저 순간의 쾌락이며 호흡기다. 결국은 본인이 좋아해야 한다는 것을
@user-nj1to6vq2j
@user-nj1to6vq2j Жыл бұрын
그럼 중소기업가요,
@doublejs9174
@doublejs9174 Жыл бұрын
인생에 답은 없죠... 참 어려움
@jwkim1339
@jwkim1339 Жыл бұрын
순간의 쾌락 매달 꽂아주고 한번씩 크게 쾌락을 주면 그 잠깐 좋아하는 마음도 생기긴 합니다
@user-by3zm2jq3d
@user-by3zm2jq3d Жыл бұрын
경력직 신입같은 말도 안되는 인재를 뽑으려 하니까 인재가 없지. 인재를 키울 생각은 하지 않고 좋은 인재 어디 없나 유목하는거랑 다를게 없음. 투자 없이 실전 투입 가능한 인재가 얼마나 된다고 거기에 목매는건지..
@leeck_anderson9492
@leeck_anderson9492 7 ай бұрын
진짜 잘하는 분들은 한곳에 목메지 않음. 여기저기서 데려갈려고 혈안이 되어있어서 잠깐도 모시기 힘듬. 그런분이 두세달 있다가면 프로젝트에 묵힌 문제가 싹 풀리고 진도가 팍팍 나감 ㅎㅎ
@ehguuddl
@ehguuddl Жыл бұрын
회사 : 요즘 (회사가 원하는 머리좋고 요구사항말하면 빠르게 만들어 줄 수 있는 숙련된, 학원출신이라도 관련학과 졸업생보다는 잘하고 머리좋은) 개발자가 없어요 ㅠㅠㅠ
@wow_h9
@wow_h9 Жыл бұрын
바로 억대 연봉이 되는 건 꿈 같은 얘기고 결국 이직을 하면서 연봉을 늘려나가야 합니다. 본인의 노력도 매우 중요하지만 반복적인 업무가 아닌 개발자 커리어를 성장시킬 수 있는 회사, 프로젝트를 만나는 것도 중요합니다.
@user-rq5wh8jd4y
@user-rq5wh8jd4y Жыл бұрын
이제 컴공과 1학년이긴 한데 이런 뉴스보면 더 열심히 해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용
@k.1289
@k.1289 Жыл бұрын
개발자임. 연봉 높은거 별로 안 부러움. 그만큼 분명히 몸이며 정신이며 갈아넣게 되어 있으니까. 적당히 받는 재택 가능한 일이 제일 좋음.
@gal_9233
@gal_9233 Жыл бұрын
여기 다들 개발자가 코딩만 다 하면 되는건줄 아는거같은데요 개발은 레고블럭 쌓는겁니다. 레고블럭으로 실제 사람이 걸어다닐 수 있는 다리를 만든다고 치면, 이걸 구현할수 있는 기반지식과 함께 이걸 주변인에게 설득력있게 전파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스킬이 필수적이에요. 근데 이걸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없기때문에 기업 입장에서는 매몰 비용이 많이 듭니다
@neocoin
@neocoin Жыл бұрын
말도 안되는 뉴스네. 아마 인터뷰어는 정상적으로 답변했을꺼 같은데, 나머지는 기자 상상인거 같네요.
@3am778
@3am778 Жыл бұрын
10년 전만 해도 3D업종 취급받았는데.... 정말 강산이 변하는구나.
@user-cx6qt2to2x
@user-cx6qt2to2x Жыл бұрын
30대 후반 it세대들은 소위 2000년 초반 it버블시대에 넘처나는 it인력에 월 80씩 받고 일하던 고인물임 그때부터 it에서 살아남았다는건 정말 올인한것임 이런 인력은 이제 다시 나오기 힘듬
@-_-._.o_o-_-._.o_o-_-._.o0o
@-_-._.o_o-_-._.o_o-_-._.o0o Жыл бұрын
대단한 분들이죠 지금에서야 코딩 날로 막해대는데 예전에는 메모리 다 신경써가면서 개발하던 시절이니..
@mranderson_2961
@mranderson_2961 Жыл бұрын
숫자 계산 간단히 해보면 20년전에 10대 후반들이 버블 이끌었단 소리?ㅉㅉ
@user-cx6qt2to2x
@user-cx6qt2to2x Жыл бұрын
@@mranderson_2961 10대후반 20대초반 대학생들이 80만원 받고 일하면서 지금까지 버텨서 컷다는 말이죠.. 저도 98학번 초기it세대입니다. 지금 선후배들이 전부 난다긴다는 회사들어가 있죠 저보다 앞선 10년 선배들은 대부분 대기업 임원 이나 ceo들이고 지금현역 개발자들은 그뒤 10년이죠
@greengreen9927
@greengreen9927 Жыл бұрын
글쎄요 요즘 20대 애들 보면 어마어마하던데...
@user-ow3eq6gv9u
@user-ow3eq6gv9u Жыл бұрын
2000년대 초반 개발자들은 40대 중후반인데? 뭐 전문대나 고졸은 더 어릴 수도 있지만... 내가 20년차 개발자로 2003년 졸업하고 개발 시작한 케이스인데 그때 월 80은 오버고 연봉 1800수준이었지 뭐 여러가지 상황 겪고 고인물이 된사람도 있지만 여전히 그나이 먹도록 한심한 실력을 가진 사람도 많음 연봉 2억은 안되고 뭐 1억은 기본적으로 넘고 소규모 조직에서 대빵하고 있는데 개발이 코딩만 잘한다고 되는게 아님 개발을 잘한다는건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분석능력과 그 분석을 구체화 할수 있는 설계능력 그리고 그 설계를 실현할 수 있는 코딩실력 다 있어야 개발을 잘하는거 위로 갈수록 이게 규모가 커지고 복잡해 지는데 어느정도까지 감당이 가능하냐가 그사람 몸값이고 위치임
@light-light
@light-light Жыл бұрын
잘하는 개발자는 다 자기사업하거나 지분갖고 스타트업 가는데 당연히 못뽑지.
@gu_won_ja
@gu_won_ja Жыл бұрын
혹은 해외로 나오지요ㅎㅎ
@gixx-2189
@gixx-2189 Жыл бұрын
0:40 무슨 노트북 인가요?
@choco_ddang
@choco_ddang Жыл бұрын
코딩만 잘해선 안되겠죠.. 늘 새로운것을 받아들이고 공부해야 살아남을수 있습니다.
@young128
@young128 Жыл бұрын
수요많고 돈많이 준다고 해서 쉽게 생각하고 뛰어들질 말길.. 잘하고 싶어도 잘하기가 매우 어려운 직종.. 진입 장벽은 낮지만 대부분 2년 안에 자신의 길이 맞는지 판가름 난다고 봅니다.
@ddefaulvicent359
@ddefaulvicent359 Жыл бұрын
개발자는 줄 잘서면 개편한데
@Mir2SKY2
@Mir2SKY2 5 ай бұрын
@@ddefaulvicent359 그렇게 정치질하면 실력있는 개발자들은 다 도망간다. 회사말아먹는 주범들임.
@user-tt1pv9sj4h
@user-tt1pv9sj4h Жыл бұрын
아니 10명이 분석할만한 표본이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기사한번 쓰기 쉽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10명 분석해놓고 80%, 70% 이 야랄 떠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ottogibob
@ottogibob Жыл бұрын
AI 할 때 데이터 셋이랍시고 저런거 가져오면 바로 드롭킥 날리고 싶을 듯 ㅋㅋㅋㅋ
@cpp4452
@cpp4452 Жыл бұрын
지나가는 20대 10명 붙잡고 성별 분석해서 남자8명이면 전체 20대들중 남자는 80%???!
@user-ur6yr5or5e
@user-ur6yr5or5e Жыл бұрын
박사졸에 sw직군 10년이상 경력자 연봉 2억 이상받고 최근에 이직한 사람 모수 자체가 없는거다.
@oh.worry.
@oh.worry. Жыл бұрын
@@user-ur6yr5or5e +1 거기에 조건을 밝힐 사람을 또 찾아야 하니 모수도 적고 정보를 구하기도 쉽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됨여
@thegreenapartment4750
@thegreenapartment4750 Жыл бұрын
일반적인 개발자의 일이라고 알려진 개발 뿐만 아니라 알고리즘과 데이터구조에 대한 지식을 베이스로 효율성, 즉 빅 오 노테이션 이라고 알려진 시간 및 공간 복잡도를 계산할 줄 알아야 합니다. 이런 능력을 가진 사람과 없는 사람의 차이는 큽니다. 데이터라는 것은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커져가기 때문에 "효율성" 이라는 것은 즉 서비스를 쾌적하게 제공할 수 있냐 없냐가 갈려지기 때문이죠.
@user-sd2bk4rt9p
@user-sd2bk4rt9p Жыл бұрын
너무 멋있어요…
@MrMichaelKwon
@MrMichaelKwon Жыл бұрын
개발자들은 자존심이 강한사람들이 대부분입니다. 단지 돈만 던져 주면서 사람구하려고 하는거 정말 저도 그런회사 다니고 싶지 않네요. 개발자들과 함께만들어가고자 하는 사람들이라면 개발자와 대화를 해보시기 바랍니다. 꿈이 같고 이루고자 하는것이 같다면 S급 개발자들도 함께하려고 할겁니다. 개발의 결과만을 바라고 사람을 구하는모습 정말 개발자들이 보기엔 껍데기만 찾아다니는 사람들 같아보입니다.
@user-xt7br2xp4w
@user-xt7br2xp4w Жыл бұрын
s급위엔 ss급이있고 그위엔sss급이있지
@MrMichaelKwon
@MrMichaelKwon Жыл бұрын
@@user-xt7br2xp4w 급수를 말하는게 아닙니다. 잘하고 못하고는 한끗차이 입니다. 개발은 학교에서치던 중간기말고사 같은게 아니고 오픈테스트에 그 시간은 반년 일년 길게는 삼년정도 그 이상 까지 주어지죠. 외워서 개발하는게 아니라 다보고 하는 개발입니다. 암기하기 싫은 사람들은 개발직군에 있어도 됩니다. 헌데 개발자들을 구인하는 회사에선 그런 마인드가 없습니다. 그냥 오더 내리면 아웃풋 만들어 내기를 바라는 사람을 찾죠. 그냥 구인하지말고 직접 만드시면 됩니다.
@user-bn8it1vt3y
@user-bn8it1vt3y Жыл бұрын
@@MrMichaelKwon 급수이전에 짐은 유일하노라
@user-wc6pj6vf7n
@user-wc6pj6vf7n Жыл бұрын
자존심 강한 사람이라는말 진짜 딱 맞는말이다
@AionX-zi9wo
@AionX-zi9wo Жыл бұрын
이 말이 정답이네요
@smh.7644
@smh.7644 Жыл бұрын
IT 직군 개발자라고 하긴 그렇고 유지보수 5년차 인데 연봉 세전 4천만원도 안됩니다 . 이게 보통이고 더 낮을수도 있는게 현실 보여지는 부분만 보고 국비나 부트캠프 해서 연봉 5~6천 짜리 신입되야지 하는분들 꼭 있을거 같음 .. 만약 실력이 진짜 타고나서 입사해도 회사에 쉬는날 없이 일해야할거 같네요 .
@kmc720
@kmc720 Жыл бұрын
닷컴버블 + 베이비붐 세대 이때 나온 개발자풀 만큼 계속 확보하는것? 쉽지않은데. 막말로 정말 머리가 좋으면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의료계, 법조계도 갈수도 있는것이고.
@user-if4do1qr7d
@user-if4do1qr7d Жыл бұрын
국가와 기업들이 대학에 더 투자를 많이해야겠네 졸업자중에도 쓸만한인재가 20퍼센트 밖에안되는건 심하다
@user-vn1tp7ll4p
@user-vn1tp7ll4p Жыл бұрын
간결한 코드보다는 다른 사람도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코딩하는게 중요할것 같은데...
@pliou124
@pliou124 Жыл бұрын
그게 그뜻임
@xvafgz7358
@xvafgz7358 Жыл бұрын
@@pliou124 ㅋㅋㅋㅋㅋ 그니까여 ㅋㅋㅋㅋ
@general3934
@general3934 Жыл бұрын
유레카!
@user-vv4tl9xd1f
@user-vv4tl9xd1f Жыл бұрын
코딩 할때마다 항상느끼는건데 수학자는 천재가맞다... 나와 다른종족같은느낌
@ccacao5904
@ccacao5904 Жыл бұрын
정점에 있는 사람한테도 고작 2억밖에 안 주는건 별로 안 급한거 아닌가?
@paikkh
@paikkh Жыл бұрын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을 알아야 코딩 잘하나요
@airjang466
@airjang466 Жыл бұрын
간결한 코딩은 남들이 짠 코드를 잘 활용하는거?
@noshimouyki8270
@noshimouyki8270 Жыл бұрын
인건비 늘어서 적자라는건 그동안 진짜 놀고 먹었다는거 월급루팡 그많큼 많다는거지 다 알거 아닌감 능력있는사람이 많이 받는건 당연한거고 그래야 회사가 잘굴러간다 그게 비정상이라는 한국이 비정상임 미친 사내정치질좀 그만하고 제대로좀 해라 이러다 다 망한다 국가가 지원하는것도 한계가있지 회사도 스스로 뭔가는 좀 해야되지 않겠노
@soojin5657
@soojin5657 Жыл бұрын
게임업계가 워낙 박봉이라서 업계 평균으로 올리는 과정 중에 저런 부작용이 발생한 겁니다.
@12BrokenToy
@12BrokenToy Жыл бұрын
상위 15개 대학 컴공 졸업자중 20% 만 따지면, sky 빼고는 다 버리란 말임?
@Ruliling
@Ruliling Жыл бұрын
무슨 프로젝트든 소수의 사람들이 뼈대를 짜고 무슨 기술을 적용해야 하는지 결정하고 가이드 라인을 줌. 이런 사람들 몸값이 비싸고, 그밖의 개발자들은 그들이 정해준 테두리 안애서 살을 붙임. 그렇기에 실력 뿐만 아니라 리더쉽과 협업능력 등등도 매우 중요함. 그런데 현실은 이 모든걸 두루 갖춘 사람이 극소수라 한두가지 결여된 사람도 아쉬우니 뽑는데, 이로 인해 마찰이 발생하고 결국은 절이 싫어서 중이 떠나는 부작용이 비일비재해짐
@kamajaki
@kamajaki Жыл бұрын
간결 좋지.. 근데 개발자는 저 간결보단 오류 수정 능력, 업무 파악 능력이 더 중요한데..
@giseokkim4051
@giseokkim4051 Жыл бұрын
그걸 잘 하려면 우선 간결하게 짜야 됩니다.
@qbang0212
@qbang0212 Жыл бұрын
개발자 3년차에 내려두고 다른 일 해볼려고 직종 바꿨습니다 진짜 찐너드 아니고서야 잘하면서 다니긴 힘든게 개발쪽이에요 깨지고 부서지는 개발자들이 수두룩한게 현실임
@user-hw1jv6uv3p
@user-hw1jv6uv3p Жыл бұрын
공부하는만큼 돈을 받는게 세상 이치인듯. 의사들이 많이 버는 직종이지만 대학때 보면 그 어떤 전공보다 공부도 많이 함. 변호사도 동일. 그치만 의사라고 다 돈 잘 버는 것도 아닌 것처럼 개발에서도 개발 트렌드를 따라가는 것과 본인의 개발 실력이 중요함. 계속해서 나오는 새로운 기술도 공부해야하고.
@Borazon
@Borazon Жыл бұрын
연구원 박사들이나 교수들은 돈 많이 받으려고 연구하는게 아니니깐 그 말씀이 세상 이치는 아니네요. 공부하는만큼 가치를 많이 창출한다라면 몰라도. 돈은 좀,.
@null_double_pointer
@null_double_pointer Жыл бұрын
@@Borazon 돈 잘버는데..
@Borazon
@Borazon Жыл бұрын
@@null_double_pointer 공부하는 만큼은 못받지요.
@user-xr7zx8gx2b
@user-xr7zx8gx2b Жыл бұрын
공부하는만큼?... bj들 야하게 놀면 억 그냥 찍음...
@user-xr7zx8gx2b
@user-xr7zx8gx2b Жыл бұрын
성형외과의사들이나 돈 많이받지 편하게 놀면서 돈많이 버는건 bj랑 유투버랑 땅부자 ( 금수저)
@cathylee1533
@cathylee1533 Жыл бұрын
뭐든 좋아서 해야합니다.
@user-ur4qb9nn4u
@user-ur4qb9nn4u Жыл бұрын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차이가 너무 커서 실력있는 개발자로 성장 하다가 그냥 포기하는 사람이 너무 많은거 같음
@juhanlee3220
@juhanlee3220 Жыл бұрын
잘 하시는 개발자 = 해당 기업의 도메인 + 기업이 원하는 코딩 분야 + S급 코딩실력 = 이런 개발자가 어디에 있다고 생각하나?
@TureTaegee
@TureTaegee Жыл бұрын
있음. 근데 국비교육 학원출신은 불가능한 영역이라고봄
@TureTaegee
@TureTaegee Жыл бұрын
@@arisa3364 모든전공자가 모든것을 해결하는 뛰어난 S급이라고 말하지않았습니다. 다만 CS를 얼마나 깊이있게 이해하냐 안하냐의 차이가 제 주변을 봤을땐 크게 역량차이를 만들더군요. 말씀해주신 문제해결능력은 당연히 갖춰야할 개발자의 기본역량이라 별도로 논할필요도 없구요. 국비교육에선 취업에 필요한 피상적 기술만 배우지 전공을 깊이있게 안다룬다는점을 요약해서 한말입니다. 학원, 대학 둘 다 쓰레기라고 생각할수있겠지만 이건 학습자의 자세 차이라고 봅니다. 어딜가든 별도로 자기가 노력해야하는 부분이있고, 어떤 기관이나 단체가 한 사람을 완전히 체인지하는건 불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저같은 경우는 대학에서 쓰레기같은 시간을 보내진 않았습니다.
@user-xt7br2xp4w
@user-xt7br2xp4w Жыл бұрын
@@TureTaegee 그냥 c언어 프린트 에프만할줄알면 개발자라는사람 널렷음
@user-us6vp3yh3c
@user-us6vp3yh3c Жыл бұрын
@@user-xt7br2xp4w 그건 나도하겠다
@jakewon284
@jakewon284 Жыл бұрын
SW 인재는 적성이 타고나야 한다 운동선수처럼 누구나 배운다고 코딩을 할수 있는게 아니다. 그래서 실제 관련 학과 졸업하더라도 쓸만한 인재는 10프로정도 밖에 안된다. 특히나 암기 위주의 공부를 해욌던 친구들은 적성 안맞음 이해력 떨어지고. 그만큼 타고난 재능과 더불어 노력한 소수들을 모시는거기 때문에 연봉으 높은겁니다.
@M4D4F4K4.
@M4D4F4K4. Жыл бұрын
정확
@jjua1122
@jjua1122 Жыл бұрын
1분이 아니고 1초면 구분할수 있죠 주석이나 코드 스크롤량만 봐도.. 뭐
@MyGomdi
@MyGomdi Жыл бұрын
높은 연봉에는 그에 준하는 책임감이 따른다. 사실 그정도의 능력이면 회사를 차리는게 맞다고 봄
@user-qx5vg6vi5x
@user-qx5vg6vi5x Жыл бұрын
짧은 코드 개념은 짧은 변수명이 아닌 같은 결과를 20즐의 과정을 굴릴껄 5줄로 같은 결과가 나와야 되고 부하를 덜 줄 수 있어야 짧은코드죠 그게 능력이고
@postgres2981
@postgres2981 Жыл бұрын
그게 가능하려면 결국 컴퓨터에 대해 심도있는 이해가 있어야되죠
@hojunlim2816
@hojunlim2816 Жыл бұрын
정작 하드웨어와 밀접한 언메니지드 언어쓰는 임베디드쪽은 it쪽에서도 박봉에 속하죠.
@user-pr3qj9hh9y
@user-pr3qj9hh9y Жыл бұрын
줄 수랑 부하랑은 상관없습니다
@user-hw2fe5mz2y
@user-hw2fe5mz2y Жыл бұрын
대체적으로 속도는 줄 수를 늘려서 전부 사람이 수동으로 지정해주는게 오히려 프로세스가 할 일은 줄어듭니다
@seren8258
@seren8258 Жыл бұрын
소위 bleeding edge라 불리는 극한의 속도를 위해서는 생각보다 풀어써줘야만 하는 코드들이 많던데요ㅎㅎ 컴파일러가 만능은 아니라서..
@dbswl5
@dbswl5 Жыл бұрын
공부는 끝이없고 경험도 끝없이 축적해야됨. 새로운 기술이나 업데이트 대부분은 경험상의 문제를 쉽게 풀어주는 것이기 때문에 그 경험이 없으면 왜 만들어진지 모름. 교육기관에서 배운 기술 속에 비즈니스 로직이 섞이기 시작하면 바로 효율과 아키텍처 설계의 고민에 빠짐. 그때부턴 무엇보다 경험이 리스크를 최소화해줌. 이 모든걸 지속적으로 가져갈 수 있어야 좋은 기업, 높은 연봉 상승을 기대할 수 있는 개발자가 된다고 봅니다.
@dake0811
@dake0811 Жыл бұрын
뭐든 함부로 뛰어들면 적성에 안맞아서 시간 버리기 일수인데... 유독 it업계쪽으로는 사람들이 만만하게 보는게 아이러니함
@lovelove_love
@lovelove_love Жыл бұрын
반도체 그렇다쳐도 보이스피싱 스팸
@user-nn3po4gt4c
@user-nn3po4gt4c Жыл бұрын
개발자로서 고액연봉 이란? 대단한 자기개발의 노력가(코딩공부가 쉬는거고 노는겁니다 하는분) 그리고 일의 중압감과 일과 사는 사람
@jameslee2456
@jameslee2456 Жыл бұрын
뉴스에 나오는 내용은 상위 몇프로 개발자나 기업들에 한정된 이야기니.. 부디 이 영상 하나보고 잘못된 판단하지 말기를 백종원 보고 나 요리할래! 이런 느낌..
@Patient_zero001
@Patient_zero001 Жыл бұрын
그냥 천재형 인재를 찾는겁니다...
@user-sn1jf7nj8x
@user-sn1jf7nj8x Жыл бұрын
석박에 개발까지 잘하면 진짜 인재인듯
@user-sv9ji5pp3p
@user-sv9ji5pp3p Жыл бұрын
진짜 개발자에게 요구되는 역량 그 눈에 보이지 않는 역량을 알아보는 사람은 단 한명도 하긴 과거나 지금이나 매한가지
@pff4079
@pff4079 Жыл бұрын
ㅇㅇ일단 넌 아님 ㅋㅋ
@user-sv9ji5pp3p
@user-sv9ji5pp3p Жыл бұрын
@@pff4079 이미 진거 알지? ㅋ 추천수 봐 ㅋ
@user-sv9ji5pp3p
@user-sv9ji5pp3p Жыл бұрын
@@pff4079 어느 집단에서나 너같이 아무 근거없이 까기부터 시전하는 부류가 있지. 그리고 하수는 절대 고수를 못 알아봐. 고수 눈에만 고수가 보이는거란다. 이제 누나 나간다.
@pff4079
@pff4079 Жыл бұрын
@@user-sv9ji5pp3p ㅋㅋㅋㅋㅋㅋㅋ 일단 추천수 운운하는 것 부터가 유전자 부터 하등한 널리고 널린 평범한 착각중인 놈이네
@pff4079
@pff4079 Жыл бұрын
@@user-sv9ji5pp3p 역량 누가 안 중요하데? ㅋㅋ 역량운운하면서 이룬거 ㅈ도없는 너는 그냥 ㄸ치는 중인 천민일 뿐..
@rqg3721
@rqg3721 Жыл бұрын
이런저런 분야 파다가결국 개인적으로 결론이 난건, 현금창출능력이 있는 개발자가 최고라고 생각되었고, 그래서 부수입 개발로 월급보다 많이 버니까 그제서야 방향을 찾은것 같음
@user-xq7tm8dd5t
@user-xq7tm8dd5t Жыл бұрын
직장인 개발자는 별로임? 프리뛰면서 부업이 낫죠?
@rqg3721
@rqg3721 Жыл бұрын
Fang같은 좋은 직장에 부업 개발자가 최고라고 생각합니다
@sorieil
@sorieil Жыл бұрын
대학교에서 교육한다고 되는게 아님 ㅋㅋㅋ 그냥 사회구조 자체가 뭔가 쉽게 돈벌수 있는 문화 떄문이고, 특히 정치인들이 돈 쉽게 버는 문화 때문에, 젊은 친구들이 고생하는거 싫어함. ㅋㅋㅋ 개발자는 평생공부라서, 10년 넘는거 쉽지 않지 ㅋㅋ
@vhain6512
@vhain6512 Жыл бұрын
댓글들에서 잘 설명해주고 계시네요. 연봉이 높다고 다가 아닙니다. 그마만큼 시장에 의해 책정된 연봉인 것. 올라갈 것은 올라가고 도태될 것은 도태되기 마련인 것을, 상대적 박탈감 운운하는 것은 이해가 쉽지는 않네요. 연봉 1~2억이 과한 것 마냥 생각하는 경우도 많은 것 같은데, 미국은 넷플릭스를 필두로 평균 개발자 연봉이 7~8억은 족히 넘습니다.
@gu_won_ja
@gu_won_ja Жыл бұрын
동의합니다. 2억이 지금 많이준다고 생각하는 국내기업사장님들의 마인드부터 고쳐야한다고봅니다.
@danieloh4511
@danieloh4511 Жыл бұрын
7-8억? ㅋㅋㅋㅋㅋ
@gu_won_ja
@gu_won_ja Жыл бұрын
@@MrSon410 ㅎㅎㅎㅎ 다른곳에서 보니 더 반갑네요ㅋㅋㅋ 다음 컨텐츠는 캐나다/한국의 휴가에 관해 올리겠습니다 :)
@kjp851
@kjp851 Жыл бұрын
뭔소리세요 평균이 7 8억이라구요? 1~3 억이 개발자 평균인데.
@iliiillllililililiili1454
@iliiillllililililiili1454 Жыл бұрын
@@MrSon410 유명 IT 신입들이 TC로 15만불 이상 시작인데,,,
@DavidLee-db3ki
@DavidLee-db3ki Жыл бұрын
잉… 여긴 개발자 억대연봉이 워낙 흔해서… 고녕고냥한 스타트업만 들어가도 억대는 기본이고, 그렇다고 코딩을 마니 하는것도 아니라서. 막상 레가시가면 기존에 빌딩된거 위주로 가는 부서도 많아서 연봉인플레가 심하긴 하죠. 외국에서 개발자 연봉이 시작이 억대인지가 좀 됐어요. 우리나라에서야 도구취급하지 이제 모건 같은 금융회사도 백엔드 디렉터를 개발자를 뽑아서 경영훈련시킵니다.😢
@user-ni8yo6nb1j
@user-ni8yo6nb1j Жыл бұрын
범인은 생각할 수 없는 천재들의 영역. 범인은 그냥 평범하게 살란다. 좋은 제품 많이 만들어라.
@welkrjwerwelrjr4116
@welkrjwerwelrjr4116 Жыл бұрын
ㅋㅋ 이게정답인데 좋아요가 없내
@99weed
@99weed Жыл бұрын
미래를 예상하고 미리 배운 분들은 신났고 앞으로 사람 더 적어지면 외국에서 취업하겠네...
@kookitube6563
@kookitube6563 Жыл бұрын
대기업들은 해외에서 인력 수입 안됨?
@user-jo6of7rh5b
@user-jo6of7rh5b Жыл бұрын
근데 유독 '개발자'에만 저렇게 많은 관심이 쏠리는 이유가 뭔가요? 어차피 대기업들이 모셔올려고 하는 개발자는 상위 1%에 속하는 능력자들이고 그런 능력자들은 굳이 개발자 뿐만 아니라 작가, 웹툰작가, 기획자, PD, 경제학자, 교수, 변호사, 의사, 회계사, 인터넷 강사, 산업기사, 심지어 노가다 작업반장까지 어디서나 부족한 사람인데? 변호사들중에 상위 1%에 속하는 능력자들은 1년에 40억 이상씩 벌어가던데 그렇다고 우리가 "무려 연봉이 40억...?! 의뢰인들이 변호사 구하는데 어려움을 겪고있다...!" 이런 소리 안 하잖아요? 어느 집단이나 상위 1%는 잘 먹고 잘 살고 좋은 대우 받는데 유독 '개발자' 라는 직업은 마치 10년대 공무원만큼의 거품이 엄청 낀 직업같네요
@yjkang11
@yjkang11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eyesb824
@eyesb824 Жыл бұрын
가성비가 먹어주기 때문에 그런거 아닐까요? 상위 1%들은 대부분 몇억대 연봉인데 개발자는 같은 가격에 부려먹을수록 가치창출이 크니까 그렇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오히려 뉴스에 나온다는건 후려치고 부려먹기 좋다는 얘기라 생각됩니다. 외국에서도 전혀 이런얘기 없는데 한국에서만 저런거 보니 ㅋㅋㅋ
@user-ht7xp4mz3i
@user-ht7xp4mz3i Жыл бұрын
이거 진짜 격공 ㅋㅋ 가수도 개나소나 작곡은 하지 아무나 비틀즈 같은 가수 되나
@Asq757
@Asq757 Жыл бұрын
산업기반이 완전히 바뀌어 가기 때문이죠 데이터가 현재는 과거의 전기가 처음 인프라로 보급되었을때와 마찬가지로 새로운 인프라이자 자원이 되어가고 있어요
@user-jo6of7rh5b
@user-jo6of7rh5b Жыл бұрын
@@Asq757 처음보는 사람한테 함부로 한계 운운하는걸 보니 당신 수준과 한계는 잘 알겠군요 ㅎㅎ
@user-sq1hs3io1d
@user-sq1hs3io1d Жыл бұрын
이나라는 버스기사가 300받는다 하면 거품무는 곳이라 누가 억대받는다하니 온갖 이상한 소리가 튀어나오네
@sangsangnori
@sangsangnori Жыл бұрын
연봉많지만 계속 공부해야하고, 보통 그래서 수명 짧아요. 오덕 기질 없으면 돈몰린다고 막 찔러볼 업계는 아님
@user-nu5sn2db2c
@user-nu5sn2db2c Жыл бұрын
개발자는 정말... 능력자는 차원이 달라요 평범한 사람은 정답을 줘도 못삼키는 사람 태반.. 답이 앞에 써있어도 그래서 뭐 어쩌라고 소리가 나오는 일...
@rev0cdevs38
@rev0cdevs38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다들 이상한 헛소리하시는데 잘하는 프로그래머는 남들이 사용할 수 있는 코드를 만드는게 아니라 남들이 못 하는 일을 할 수 있는 사람들입니다 ㅋㅋ. 가독성같은거는 그냥 부수적인 일들이고요.. 몸값에서 제일 중요한건 내가 남들이 할수 없는 걸 할 수 있냐 없냐의 차이입니다..
@juniormoo
@juniormoo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연구원으로 일하면서 많이 공감됩니다.
@user-qy3vt8lv8n
@user-qy3vt8lv8n Жыл бұрын
그렇죠 가독성보다 중요한건 많습니다
@oh.worry.
@oh.worry. Жыл бұрын
모든 말을 허튼 소리로 취급할 수 없음. 애초에 프로그래밍이라는 행위는 코드만으로 이뤄지지 않기 때문에 가독성이 일부의 가치를 지닐 수 있다는 점에서 공감함, 그러나 이를 쉽게 이분화 할 수는 없음. 개발자가 생산하는 가치를 코드로만 치환 했을 때, 코드 자체만 보면 가독성은 매우 중요한 요소인 건 맞음. 코테나 코드리뷰를 하는 이유는, 일정량의 라인 내에 코드를 통해 만든 가치의 밀도를 상호적으로 동일하게 이해하는지, 유지보수가 용이한지를 알아내고 기대 수준을 맞춰가는 과정임. 이 과정을 거치는데 안읽히면? 자신의 의견을 설득하는데 실패할 확률이 높음. 그래서 가독성은 기본이라고 생각하는 편임. 물론 이는 회사의 상황이나 해결하려는 문제, 동료들과의 커먼센스 일치 여부에 따라 다른 가치를 지닐 수 있음.ㅇㅇ
@user-lo2jd1km1s
@user-lo2jd1km1s Жыл бұрын
여러분들이 기술 지식이 있다면 기업에 들어가는 것 보다 자신의 인생개발을 위해 사용 하시길 바랍니다. 기업에 입사 들어가는 즉시 여러분들의 지식은 회사에 퍼주는 겁니다.
@1004aa
@1004aa Жыл бұрын
쉽지않지요 그런기술은 중소기업이 아무리 기술이 있따 한들 대기업의 그늘에 막혀 자리잡기도 쉽지않구요
@user-lo2jd1km1s
@user-lo2jd1km1s Жыл бұрын
@@arisa3364 님이 알고 있는 오픈소스는 이미 상업용으로 다 뽑아 먹고 뿌려 지는게 오픈 소스고요. 이 영상에서는 개발자 사람을 지명하고 있습니다. 저는 사람의 지능과 재능의 가치를 기업에 주기전에 다시 생각해 보도록 댓글 작성 했습니다. 사람은 항상 새로운것을 창작해 내기 때문에 월급 보다 가치가 우월하다 는 것을 모두가 알아야 합니다.
@DELee-qo6kv
@DELee-qo6kv Жыл бұрын
간결한 코드는 셋째고 첫째는 문제해결 둘째는 버그 안내는거지
@angeldoIl
@angeldoIl Жыл бұрын
힘내라힘!
@musaevamr.5961
@musaevamr.5961 Жыл бұрын
공무원 시험이 대세가 된 사회에 이런 인재가 나온다는게 신기하긴 하지만 근본 문제는 어설프게 딸라갈려는 교육 개혁임. 한국 인재는 솔직히 예전 주입식 교육 받은 세대중에 나온게 대부분이다.
@user-vj7tb1bj5o
@user-vj7tb1bj5o Жыл бұрын
공무원시험 인기없어요 이제는 IT시대죠 개발자
@musaevamr.5961
@musaevamr.5961 Жыл бұрын
@@user-vj7tb1bj5o it는 개뿔 한국은 빠른 it소비국일진 몰라도 it개발하곤 이미 멀어진 후진국임.
@user-nj1to6vq2j
@user-nj1to6vq2j Жыл бұрын
요즘 대학가면 공뭔 그딴거 왜하냐는 분위기인데 대세 아님 ㅋㅋㅋㅋㅋ 졸업하고 취업 못하는 지잡대나 대세지
@user-nm1xg4xu4c
@user-nm1xg4xu4c Жыл бұрын
공무원도 몇년전에 붐이였는데.. 역시 돈을 많이 받으려면 그만큼 공부를 해야하는 듯~
@ego6929
@ego6929 Жыл бұрын
공무원시험과 관련없이 우리나라에 저런 인재는 꽤 많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주입식교육받는 세대에서 나오는게 아니고 교육개혁세대에서 훨씬 많이 배출되고 있습니다.뭔가 잘못이해를 하신듯. 예전 586세대에서 저런 인재는 아주 극소수이고 아래로 내려갈수록 점점 많아져서 수능세대로 들어서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났습니다. 인재도 많지만 우리나라는 워낙 이분야에서 세계적인 규모라 항상 인재가 모자랍니다.그래서 일본과 서구권국가에서 많이 수입합니다. 제 가족이 일본인과 결혼했는데 급 분도 삼성에서 스카웃해서 한국에 왔다가 제 가족과 알게되서 결혼한 케이스인데 연봉이 어마어마합니다. 그리고 또다른 제 가족도 님이 말한 어설프게 따라갈려는 그 교육개혁의 혜택을 받은 사람이지만 국제적인 논문을 다수발표해서 인정을 받고 수억대 연봉협상을 끝내고 올해 첫출근을 했습니다. 제 동생도 위 영상에 나온 회사에 다니는데 역시 주입식교육세대가 아니며 넥슨에 다니는 대부분은 교육개혁이후에 배출된 인재들입니다. 삼성과 LG, SK에서도 일반직외에 첫연봉부터 억대로 주는 연구직들 상당수가 교육개혁세대입니다. 이 세대는 우리나라내에서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알아줄만큼 경쟁력이 막강합니다. 주입식교육세대는 해외경쟁력이 너무 없죠.
@koreav863
@koreav863 Жыл бұрын
인터뷰보니 잘하는 사람도 순식간에 쓰레기통 가겠다는 느낌이 매우강하게 든다..
@AlpinePP
@AlpinePP Жыл бұрын
저 뉴스에 나오는 이미지 인식, AI 기술 등등에 능통한 수준의 인재면 해외 기술연구소에서나 진행할 법한 프로젝트 겪고 온 경력있는 인재를 원하는 거 같은데 그런 사람들이 돈 2억받자고 한국에 올리가...
@user-hi1jd3dm4o
@user-hi1jd3dm4o Жыл бұрын
개발 10년차인데 요새 공부안한지 오래됨. 그래도 못데려가서 난리임. 그만큼 회사들 인력난이 심각한데 평타만 쳐도 먹고 산다.
@yuna6479
@yuna6479 Жыл бұрын
14년차 개발자의 코드를 리뷰 해주는데... 게으른 코드 + 의존성 침투 + 중복 소스 ㅠㅠ 슬픈현실... 다음 PR에 수정 할게요 정작 다음 PR에는 깜깜 무소식...
@mokomoji
@mokomoji Жыл бұрын
월급 루팡?
@etacarinaeandnebula5701
@etacarinaeandnebula5701 Жыл бұрын
버려야될 표본
@Russianblue__
@Russianblue__ Жыл бұрын
저기서 말하는 개발자는 희소성이 굉장히 높은 개발자를 말하는건데 수학자에 가깝다
@user-km6cl8zd4k
@user-km6cl8zd4k Жыл бұрын
직업훈련원에서 6개월 교육받으면 연봉 2억 가능한가요?
@Onthestr1ng
@Onthestr1ng Жыл бұрын
그러면 다 직업훈련원 가지 않았을까요?
@gbcszcfdcvc001
@gbcszcfdcvc001 6 ай бұрын
첨단분야로 갈 수록 소수의 핵심인재와 기타 인력으로 양극화가 심해 집니다. * 첨단산업으로 고용을 늘린다는 것은 모순임. - AI, 우주, 항공 ???
@seongraekim4697
@seongraekim4697 Жыл бұрын
레거시 시스템 유지보수 : C/C++ in Linux 웹-백엔드 (주력 업무) : Spring + JAVA , Kotlin (배워야하는데 하기싫음.. ) 작업 (마이그레이션 툴 등등) : python 화면쪽 : VueJS 등등... 기타 맨날하는 소스리뷰 PR회의 등등 공부안하면 도태되는 직업인거같음 ㅇㅇ
@user-cp3kh6ze7c
@user-cp3kh6ze7c Жыл бұрын
메타콩즈? NFT잖아. 저런 사기꾼들이 큰 돈 벌어가는게 슬프다. 사람들 삶을 안전하고 윤택하게 하는 산업기술자들은 푼 돈 받고 코인이니 NFT니 이런 사람은 거액의 돈 받는 세상이 틀려먹었다고 봄.
@jaeryungyeom7688
@jaeryungyeom7688 Жыл бұрын
IT직군에 종사하고 있지만, 참 IT직군 사람들은 타인한테 관대하지가 않아요.. 개발 에 한해서만 그걸 보여줘야 하는데 다들 신입인 적 있고 , 몰라서 구글 검색하고 그러지 않나요..? 개발자의 프라이드라고 하기엔 댓글들아 너무 역하네요. 저기서 말하는 S급에는 기획과 설계 여러 분야의 전문가와 협업해서 결과를 만드는 커뮤니케이션 능력도 포함 일 겁니다.
@charb1bis443
@charb1bis443 Жыл бұрын
ㅜㅜ 옆에 사는데 건강은 다 내려놓아야 함...
@ililllliiil
@ililllliiil Жыл бұрын
ㅋㅋㅋ 7년자 개발자인데요 연봉은 높지만 제 삶이 없어요 공부할거 왜케 많죠? 3주마다 기술 업데이트되서 한국어로 번역되면 늦음 다행인건 난 이게 재밋음ㅋㅋㅋ
@mokomoji
@mokomoji Жыл бұрын
체질이네..ㅇㅇ''
@user-pz1ee1yj4q
@user-pz1ee1yj4q Жыл бұрын
본인 삶이 없다면서요?? 연봉 얼마받어요??
@dannyk6809
@dannyk6809 Жыл бұрын
3주마다 기술 업데이트 되는 분야가 있나?
@user-mc8gg8jg7k
@user-mc8gg8jg7k 8 ай бұрын
솔직히 최상위 개발자는 의사보다 더 줘야함
@카이트
@카이트 Жыл бұрын
뭔가 최근 한국을 보면 개발자를 겁나 띄워주긴 하는데 그거에 맞는 환경은 잘 안 만들거나 그냥 개발자를 물로 보는 경향이 참 강한거 같네요? 기분탓이려나
@user-qt1ut1ij1l
@user-qt1ut1ij1l Жыл бұрын
진짜 s급 개발자는 판교가 아니라 진짜 실리콘밸리감
@samcoding1574
@samcoding1574 Жыл бұрын
C급 개발자 들이느니, 요즘 동남아나 인도 IT 에 외주 주는 사례도 많습니다.
@simeon9700
@simeon9700 Жыл бұрын
인도사람들 ㅈㄴ 쌉고수인데ㅋㅋ
@simeon9700
@simeon9700 Жыл бұрын
삼성도 인도에 연구소 두고 개발 협업하는데ㅋㅋ 니가본게 다가 아님 니가 영어를 ㅈㄴ 못하니까 말귀가 안통하겠지qudtlsㅋㅋ
@user-nn6br1bc2t
@user-nn6br1bc2t Жыл бұрын
@@simeon9700 인정 인도애들 진짜 뛰어난 애들 많음....
@Republicofkorea331
@Republicofkorea331 Жыл бұрын
@@simeon9700 ㄹㅇ 코딩 배울때 인도 유튜버 ㅈㄴ 잘 가르침
@PP-fh2mk
@PP-fh2mk Жыл бұрын
인도에 뛰어난사람은 많은데 삼성급이니까 신뢰도있는 회사랑 일하지 어중간한 중소 중견이 인도랑 컨택하면 지구 끝까지 파일안줌
@sion_food
@sion_food 2 жыл бұрын
ㅋㅋ 1년 3300명이라길래뭔소린가했네 상위 15대학만 따지면 모든 직군이 다 사람이 없을듯? 개발자는 고졸이어도 실력있으면 가는데 이런 뉴스들 보면 모르는사람들은 진짜 사람이 없어서 그러는줄 알겠네요
@12BrokenToy
@12BrokenToy Жыл бұрын
이거 ㄹㅇ ㅋㅋㅋ
@simeon9700
@simeon9700 Жыл бұрын
문과 특임 문과는 전공지식보다는 학교 간판만 쓰여서ㅋㅋ
@owleyez
@owleyez Жыл бұрын
실력있는 개발자는 소수죠.
@GoBoSeong
@GoBoSeong Жыл бұрын
1000명이 해야할 일을 혼자 처리할수 있는 인재를 찾는겁니다. 어중이 떠중이 개발자 몇백명 있어봐야 일 제대로하는 한명을 못따라가는 분야라 인재찾기가 더 빡세죠
@light-light
@light-light Жыл бұрын
프로그래밍이 끊임없이 공부해야 되고 한마디로 시간도 없고 삶도 없는데 당연히 돈을 미친듯이 줘야 할 수 있지. 연봉 5억 밑으로는 개발자 하지마라 솔직히 인간이 할 짓 아니다. 연애도 못하고 다른거 아무것도 못하게 되니까. 개발하다보면 인생 자체가 그냥 날라간다.
@welkrjwerwelrjr4116
@welkrjwerwelrjr4116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 이게 포장안한 리얼 찐이내
@welkrjwerwelrjr4116
@welkrjwerwelrjr4116 Жыл бұрын
@@postgres2981 전혀 아니라고 정확한거 좋아하시는분이 프로그래머는 3d 직종이라는 보편적인 인식이잇는데 그걸 흑백논리로 부정해버리는 모순을 저지르시네요 ㅋ 경계성지능 머시기에 좋은 예 잘봣습니다 ㅋ 지능보니 오류 잡는데 오래걸리실거같은데 수고하세여 ㅋㅋ
@user-bp7jx8we7f
@user-bp7jx8we7f Жыл бұрын
진짜.. 개발자들은 은퇴까지 공부하는걸 베이스로 깔고가야하는 직업임.
@user-ui7pc3kz4b
@user-ui7pc3kz4b Жыл бұрын
그렇지않은 업종이 있나요?
@sphinx6282
@sphinx6282 Жыл бұрын
@@user-bc9xt3pb6j ㄴㄴ 3년마다 부서이동해서 매번마다 일 새로 배워야함
@user-rv6jz6cp4z
@user-rv6jz6cp4z Жыл бұрын
개발자가 좀더 그런게 심한듯 해요
@user-df5sj4eb8b
@user-df5sj4eb8b Жыл бұрын
@@wooojinmath 억대 연봉소리 나온지 몇년 안됐어요.... 그전엔 갈려 들어간 선배님들이 엄~~~청 많았습니다. 3D 직종 이라는 오명아래 엄청나게 힘든 시절을 보낸게 20년 이상 입니다
@user-up6qi7zd8o
@user-up6qi7zd8o Жыл бұрын
@@user-df5sj4eb8b 근데 왜 그렇게 힘든 시절을 견디며 개발자를 한 건가요 ?? 재미가 있어서 계속해온걸까요..
@stockuncle
@stockuncle 5 ай бұрын
그냥 비자 풀어주시면 될듯.. 회사가 보증하는데 비자를 안내주니..
@user-if8kq1ri2e
@user-if8kq1ri2e Жыл бұрын
윈도우 프로그램 설치하면 2억준다는건가
ТАМАЕВ vs ВЕНГАЛБИ. Самая Быстрая BMW M5 vs CLS 63
1:15:39
Асхаб Тамаев
Рет қаралды 4,8 МЛН
Василиса наняла личного массажиста 😂 #shorts
00:22
Денис Кукояка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
UFC Vegas 93 : Алмабаев VS Джонсон
02:01
Setanta Sports UFC
Рет қаралды 221 М.
That's an amazing idea! Please resubmit | IT | Planner | Legend | Workman 2
13:59
청년들은 왜 쉬는가
31:55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2 МЛН
사업, 이거 모르면 100% 후회합니다
23:45
북토크
Рет қаралды 65 М.
모르면 평생 후회하는 비트코인 쌩기초 개념 총정리 (홍진경,짱쉬움)
18: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