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동 입니다 지금까지 나만큼 잘난사람없어란 냉동좀 한다는 분들보면서 늘 근자감에 실망하곤 햇는데 ... 쉽고명확한 설명과 자료에 눈물이 펑펑...
@미소냉동4 жыл бұрын
부족한게 많은데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ㅠㅠ
@뉴고등어4 жыл бұрын
팽창벨브 전 과냉도 5도씨를 주어야 배관의 마찰저항에 의한 프레온가스(불응축가스로 인한 열손실)를 막을 수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방법으로는 온도가 낮은 압축기 흡입측 배관과, 높도가 다소 높은 팽창벨브 전단 배관을 서로 열교환시켜 팽창벨브 전단에는 과냉도를, 압축기 흡입측에는 액압축을 방지하는 과열도를 주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1:22초에 과냉을 말씀해주셨는데요, 응측기으로도 영상에서 말씀처럼 과냉도를 줄 수 있나요? 위 영상의 내용은 과냉도 5도를 더 주기 위해 응측기 사이즈를 그만큼 더 키워준 것으로 보이는데 제 이해가 맞을까요? (4:53 초의 과열도 위와 같이 이해하였습니다.) 영상 감사합니다!
@미소냉동4 жыл бұрын
네 맞습니다:)
@작은준영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미소님 영상 자주보는 냉동기어린이입니다! 궁금한점이 있는데요~ 1. 압축기가 두세트라 배관이 두개인데 배관두개의 증발기 출구 온도가 각각 다릅니다. -4'C와 +4'C인데요 어느 온도가 적정온도인가요?? 제생각은 -4'C가 적정 인 것 같습니다. 1-1. 팽창밸브가 막혔다 라고 한다면 밸브 좌우의 온도만 재면 쉽게 눈으로 판단가능한가요? 2. 압축기 한 세트가 누유가 되고 있습니다. 근데 겉으로는 안보여서 아마 압축기 하단이라고 추측하고 있는데 하단일 가능성이 있을까요? 2-1.혹시 이 누유가 증발기 출구 온도와 관계가 있을 까요? 이해하기 쉽게 찍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작은준영 Жыл бұрын
압축기는 DANFOSS 스크롤 압축기입니다 파란색
@미소냉동 Жыл бұрын
사용온도, 팽창밸브 크기, 부하등에 따라 증발기 온도는 달라지니 뭐가 맞다 알려드리긴 어렵네요. 팽창창밸브가 막히면 콤프 기동시 저압이 떨어지죠. 필터와 전자밸브 점검후 이상 없을시 팽창밸브를 의심 합니다. 감온통을 손으로 쥐면 냉매가 많이 지나가야하는데 반응 없으면 불량일수 있어요. 누유가 압축기 하단일수도 있죠.
@미소냉동 Жыл бұрын
누유와 증발기 온도랑은 관계 없어요.
@hvac59093 ай бұрын
미소 선생님.. 압축기 후단에서 응축기를 거치는 과정에서 온도가 80도에서 50도로 내려가는데..몰리에르선도에서 동일한 압력이던데..온도 80도와 50도가 같은 압력인게 이해가 안가서요..상 변화와 연관이 있는건지..설명좀 부탁드립니다.. 초보라 이상한 질문 올려서 죄송합니다ㅠ
@미소냉동3 ай бұрын
이상한 질문 아닙니다ㅎㅎ 이건 냉매선도를 보면 이해가 더 잘가요. 댓글로 설명드리긴 어려울 수 있는데요. 압축기에서 응축기로 들어가기전, 응축후 과냉도에 의한 온도강하가 있습니다^^ 냉매선도에서 온도선을 따라가보면 어디서 변하는지 보입니다!
@HS-ft2jr2 жыл бұрын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철댕이-g6h Жыл бұрын
영상 잘봤습니다 목소리 좋은 미소님!! 궁금한 점이 있어서..계속 영상을 찾아보고 있는데 앞선 질문은 제가 이해를 잘 못해서 관련 영상을 보았어요.. 그래도 증발기에 관한 궁금증이 해결이 안되네요. 1) 팽창 후 액냉매의 온도는 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나요? 압축기, 응축기의 마력수와 팽창변 크기, 냉매 등 어떤것에 따라 달라지나요..? 2) 만약 창고를 -20도로 사용해야 한다면 팽창 후 액냉매의 온도가 -20도보다 낮아야만 창고를 -20도로 만들 수 있는 것 아닌가요? 아니면 팽창 후 액냉매의 온도가 -5도든 -10도든 상관없이 계속 돌아가기만 하면 열만 빼앗아 창고 내 온도를 -20도까지 만들 수 있는건가요..? 3) 팽창 후 액냉매의 온도가 -10도 인 경우를 가정했을 때 특정시점 -15도인 창고에서 -20도까지 맞추기 위해 계속 쿨러를 돌리면 쿨러 배관 내 액냉매가 잘 증발하나요? 제가 생각할 때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로 불어줘야 증발이 가능할 것 같은데 -15도의 바람을 불어서 -10도를 증발시킨다는 것이.. 물이 아닌 냉매라서 가능한건가요? 제가 너무 집요하게 파고드는 건 아닌지…건방지게 번호 매겨서 질문드렸다면 죄송합니다. 한번만 살려주십시요. 오늘도 화이팅입니다!!
@미소냉동 Жыл бұрын
댓으로 달기엔 글이 길어질것 같아요... 팽창후 냉매 온도는 압력에 의해 달라져요.
@휘센01874 жыл бұрын
소중한내용 잘보고갑니다
@김보성-h9c3 жыл бұрын
저 혹시 송풍기에 대해 질문을 드리고 싶은데, 송풍기의 바람 방향이 응축기내에서 실외인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송풍량을 늘리면, 전열성능이 증가한다고 하는데, 응축기 내에 더 많은 뜨거운 열기를 밖으로 배출 할 수 있기 때문인지 궁금합니다
@미소냉동3 жыл бұрын
1번째는 송풍기 방향이 반대여도 사용은 가능해요. 그런데 효율이 좀 떨어져요. 2번째는 말씀하신대로입니다.
@5106ush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3:56 처럼 냉매분배가 제대로 안되었을때는 어떻게 해야 분배가 잘 될까요? 분배관을 다시 설치해야 되나용? 냉매관 안 쪽도 세척이 가능한가요?
@미소냉동4 жыл бұрын
1 분배기 길이가 동등해야하고 2 증발기 코일 패스길이가 너무 길어도 안됩니다. 3증발기 용량에 맞게 분배기 배관 사이즈를 설계해야합니다 요인은 여러가지가 있네요 냉매가 부족해도 그렇구요^^;
@미소냉동4 жыл бұрын
아 냉매관은 세척하지 않아도 괜찮아요.
@5106ush4 жыл бұрын
@@미소냉동 감사합니다
@kimkun2119 Жыл бұрын
휴.. 어렵당 ㅜㅜ 감사합니다 ~~
@이성현-q9f3 жыл бұрын
드레인히터와 ohtc 설명좀 부탁드려요!
@정재훈-m9q2 жыл бұрын
에어컨, 제빙기, 냉장고, 냉동고 등 다 같은 원리인가요?!
@미소냉동2 жыл бұрын
네 맞습니다
@uhshin28204 жыл бұрын
궁금한게 증발기 outline 온도가 8-14도 정도 되는데 이건 코일이 재상과정을 못해서 냉매가 증발이 안일어난경우인가요?? 다른 압축기는 현재 증발기 outline 온도가 30도까지 올라가는데... 정말 궁금합니다.
@미소냉동4 жыл бұрын
실내부하에 따라 달라요. 증발기 출구가 30도까지 올라가질 못할텐데 뭔가 잘못 보신거 아닌가요?
@uhshin28204 жыл бұрын
미소냉동 인버터 방식으로 제어 하는데 검출단 온도보니깐 30도로 찍혀있더라구요 이온도는 냉매온도인지 잘모르겟네요.
@uhshin28204 жыл бұрын
미소냉동 공장에서 사용 중인데 설정온도 20도로 설정중이며 공냉식입니다.
@미소냉동4 жыл бұрын
저압이 몇인가요? 냉매종류는요?
@uhshin28204 жыл бұрын
미소냉동 아웃라인 온도가 낮은곳은 2.0~2.6bar까지 이고 높은곳은 3.6bar 유지중입니다!!! 냉매 종류는 r-22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