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재밌습니다 ㅎㅎ 변인을 아니까 이해가 더 잘 되고 명쾌해졌어요! 좋은 강의해주셔서 항상 감사합니다😁
@리헵번4 ай бұрын
와~ 넘 잼나게 들었습니당~❤
@yul021884 ай бұрын
우와..너무재밌고,,, 유익해❤❤
@husky59864 ай бұрын
인류사 20분 요약은 못참지ㄷㄷㄷ
@smilesik4 ай бұрын
쉽고 정확히 이해하기 쉽게 해주셔서 옛 기억이 상기되는 것 같습니다^^늘 감사해요🎉🎉🎉
@samuelchoi53644 ай бұрын
너무너무 재밌습니다 👍👍👍
@오합지졸동로마군대4 ай бұрын
근현대 사학자 관점으로 바라보는 역사도 흥미롭네요.
@박성혜-q6p3 ай бұрын
핵심. 요약. 이런거 조아여~
@영-x2e3 ай бұрын
초5 아이 보여줘야겠어요.^^ 큰 흐름 안에서 역사를 공부했으면 하는데 아직은 다 조각조각 알고 있어서 금방 잊어 버리네요. 요런 컨텐츠 많이 만들어 주세요^^
@신지영-c3u4 ай бұрын
이슬람에 대해서도 궁금해요!
@동의보감구수략4 ай бұрын
잘 보고 갑니다.
@신지영-c3u4 ай бұрын
크으 먼저 봤어용 히히히
@Ksb_ez06054 ай бұрын
와씨~~~대박 👏👏👏👏👏👏👏👏👏👏👏👏 초딩딸에게 공유!
@seunghwanhong60614 ай бұрын
언제나 들어도 들어도 알차네요
@sangmee-i1s4 ай бұрын
0:18 데헤헷 이거 딱 제 반응이라서 따라 웃다가, 변인 새겨보며 잘 듣겠습니다.
@Goryeo_Emperor4 ай бұрын
유목민족들 끼리의 전쟁이 궁금해요
@신혜영-y5j4 ай бұрын
이집트 고고학 전문가인 곽민수 소장님 초대해 주세요 ❤
@소호금천신라4 ай бұрын
환단고기 시리즈의 시작인가요. 감사합니다 선생님
@정수준-s2s4 ай бұрын
고대 이집트 역사 전문가로 알려진 곽민수 교수에 의하면 세계 4대문명은 중국의 근대 사상가인 양계초가 처음 만들었고 이 개념을 정설로 수용한 곳은 우리나라하고 일본밖에 없다고 하던데 어떻게 보십니까?
@kaiserthum4 ай бұрын
~대 어쩌고는 대부분 일본발 개념이고, 이는 학술용어가 아니라 마케팅 용어에요. 학술적 용어인 '정설'에 포함되는 개념에 "~대 무엇" 이런건 없습니다. 대표적으로 '7대 불가사의' 이런게 있죠. 불가사의는 일본어로 신비, 신기 이런 뜻인데, 한자그대로 읽어서 불가사의로 오역되었죠. 다른거로 뭐 3대 진미 이런거
@쿨돌4 ай бұрын
맞아요. 양계초가 동아시아 역사학을 만들었고 한국과 일본이 그걸 받아들였죠
@지환송-h9f4 ай бұрын
정설로 수용했다기 보다는 동아시아도 고대문명이 있다 라는 측면에서 4대문명을 수용한거죠 서양 표현의 문명의 요람 역시 배우는겁니다 다만 오늘날 보니 한국(동북아 유목민)은 황화와 관련이 없고 황화 자체가 그냥 문명의 기준인 청동기와 문자를 가졌을뿐 초라하다는거죠 서양의 고대문명은 문명의 요람과 함께 문화를 문명 보다 못하다 이런 개념이 아닌 도시문명 VS 유목문화 이런 대립으로 봅니다 백인 = 유목 동아시아도 같아서 동북아 유목 VS 중국중원 문명 하지만 우리 역사가나 고고학자는 문명 타령을 하는 분들이 너무 많죠
@TV-xy8qh4 ай бұрын
4대문명에 홍산문명도 들어가니? 썩어빠진 강단사학
@지환송-h9f4 ай бұрын
홍산은 문명이 아닌 문화 라고 합니다 4대문명 아니고 문명의 요람이라고 하고요 시기 보다는 주변의 영향을 보는겁니다 4대 문명은 아니지만 그리스문명과 잉카는 문명의 요람이라고 보지만 황하는 크기도 작고 실제 주변지역 영향력이 작아서 요람이라 부르기 힘든 경우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