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 이제야 이 영상을 보게 된 한 학생입니다,, 국어3정도 나오고 이감은 잘나오면 1, 평균 2정도 나와요ㅜㅜ 혹시 수업을 듣거나 독해법을 배우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하나요??ㅜㅜ
@yt7fhchyej6ehh3 жыл бұрын
진짜 중요한거고 이걸 알아야 1등급 만점에 갈 수 있는데 애들은 대충 훑어보고 시시하다 생각하고 안 봄 그래서 조회수가 낮은경우가 허다한듯
@h1ghflier2 жыл бұрын
썸네일을 3등급 탈출이라고 적으셔서 그런거 아닐까요...... 3등급도 안되는 사람이 네명중 세명일테니 자신은 해당사항이 아니라고 생각하는ㅋㅋㅋㅋㅋ
@모어-m1k4 жыл бұрын
ㄹㅇ 이채널 다른 공부법 채널처럼 뜬구름 잡는 추상적인 소리 안하고 실전적이여서 좋음. 강사님이 공부 연구를 많이 하신게 느껴짐.
@leecoach_soongong4 жыл бұрын
칭찬 감사합니다♡♡
@잼벅잼벅2 жыл бұрын
진짜 인정
@my7sm5324 жыл бұрын
3등급 탈출은 무슨 제발 3등급이라도 되면 좋겠다
@jennyparky4 жыл бұрын
5>3 올렸는데 만년 3등급이었어요.. 선생님 영상 보고 더더 노력해볼게요! 2022수능까지 꿀강의 많이많이 올려주세요!!:)
@지현-x8y3 жыл бұрын
수능 98일 남았는데 이제서라도 이 영상봐서 너무 다행이라 생각해요 꼭 수능 때 1~2등급 받고 감사인사하러올께요!!
@qwerty130003 жыл бұрын
국어 노베이스 비문학 제시문 1회 정독->돌아가지 않고 문제 풂->틀림->집중력 높여야 겠다는 자각 =>독해력, 이해력 기름 (단, a나 ㄱ같은 핵심어는 돌아가 보고 와서 푼다)
@나비보벳따우-f3m4 жыл бұрын
저 만년 3등급이었는데 이번 수능에서 3등급 탈출 성공했어요!!ㅎㅎ 5등급받았거든요..
@taehwankang39853 жыл бұрын
국어 실력의 본질은 독해력을 기르는 것이라고 했지만 다들 제시하는 방법이 모호해서 많이 방황했는데, 이 영상을 통해 제대로 된 방법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시작 3모에서 56점이였는데, 어느새 6모 84점까지 올랐네요. 올려주신 방법들로 수능까지 계속 달려 가겠습니다.
@이혜원-e8l3 жыл бұрын
수고하셨습니다
@냥펀치냥-m2h3 жыл бұрын
1. 제대로 정독하기 2. 돌아가기 금지! 기억으로 풀어 보기 집중력 키우기
@3061박초은4 жыл бұрын
ㅠㅠㅠ 코치님 진짜 정신이 번쩍드네요,,, 아는 선생님께 추천받아 왔어요 충격적이고 너무너무 유익한 영상.. 국어는 이렇게 하는 거구나 하고 느꼈어요 예비 고3입니다 2학년 모고 단 한번도 빠짐없이 4받아왔어요,, 열심히 공부해서 이번 겨울마치면 국어 2뜨는게 목표입니다..! 정말 열심히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ㅠㅠㅠ
@leecoach_soongong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저도 힘이나네요 화이팅♡♡
@Xiah2473 жыл бұрын
1:49 시간 재고 하면 정독 하지 않고 야매로 문제를 풀 생각을 하게 됨 완전히 지문을 이해를 하면 문제가 쉽게 풀림 정독이 되서 이해 한것 / 이해 안된것 ex)비만인 사람... 배가 고프지 않은데도 배가 고프다는 착각... // 날씬한 사람 (음식을 탐하는 사람) => 진짜 배가 고플때만 먹음(확실히 고픔) 문제가 이해가 되는 느낌을 확실히 알고 그것을 계속 추구하게 됨 3:25 한번 제대로 정독을 하고 문제를 풀다가 다시 한번 지문으로 돌아가고 싶을때 지문으로 돌아가지 않고 왠지 답일거 같은거 찍음 ( ㄱ,ㄴ / 핵심어 제외) -> 일부러 문제를 틀려줘서 자극을 받고 두번째 지문세트부터 미친듯이 정독하게됨 항상 감사합니다!!!!
예비 고3인데 한번도 5등급을 벗어난 적이 없네요... 정신 차려서 이제부터라도 열심히 공부 하려고 마음 먹었습니다. 영상과 같은 방식으로 꼭 노력해서 다시 오겠습니다 영상 너무 유익합니다 ㅎㅎ
@홍선미-h7j Жыл бұрын
내가 궁금했던 게 여기 있었네요~ㅎㅎㅎ
@user-uc8yg3dm3o Жыл бұрын
드디어 1떴어요 감사합니다..
@hel1o4434 жыл бұрын
중간분량이나 작은분량의 제시문들은 정독으로 어느정도 뚫어나갈수 있는데 한페이지정도되는 긴 제시문들은 정독으로 뚫는게 너무 어렵더라구요 중간에 읽다가 머리에 아무것도 없는걸 인지하고 멘탈 흔들리다가 다 틀려버리더라구요 길고 정말 복잡한 제시문들도 정독으로 뚫는게 가능한가요 ㅜㅜ
@성이름-d7e2e4 жыл бұрын
지문 읽고 문제 풀 때 다시 확인하러 지문으로 돌아가려 할 때 돌아가지 말고 그 감으로 잔상으로 마저 풀어라
@leecoach_soongong4 жыл бұрын
굿
@주암쥐4 жыл бұрын
맞추는 것이 오히려 독이 될 수 있구나
@너굴민4 жыл бұрын
샘 이번에 국어 4가 나와서 재수하려하는데 이런 영상 너무 좋아요,,,,,, 앞으로도 부탁드립니다
@leecoach_soongong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아기사자-d9c3 жыл бұрын
진짜 야매로 문제 맞힌다는 거에소ㅓ 너무 뼈맞는 느낌..........정신이 띵해지네요
@ykj88454 жыл бұрын
제가 딱 첫번째 방법으로 요번 수능 3등급 맞았네요 ㅋㅋㅋㅠㅠ 좋은 공부법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소리-q9d2 жыл бұрын
영상에 나온 방법을 활용해보겠습니다. 시간 내에 풀어야 한다는 강박때문에 지문을 제대로 문제를 읽지 못 한게 제가 3등급인 이유인 거 같네여.. 감사합니다.
@춘식이-j8n Жыл бұрын
리트준비하려는 학생인데 이거 정말 도움 많이 되네요 제가 엣날 수능세대라서 리트나 이런거에 너무 취약한데 너무 감사합니다
@ygjun48723 жыл бұрын
참 간단하면서 지혜로운 방법입니다 감사합니다 ~~
@ysm964 жыл бұрын
국어 걱정이 많았는데 영상보며 많은 도움받았습니다. 감사합니다!
@ysm964 жыл бұрын
혹시 지문 읽을때 내용들을 머릿속에 상상하며 푸는 방법도 효과적인가요? 과학지문 같은거요
@h1ghflier2 жыл бұрын
2:20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 선생님은 비유가 매번 찰떡같아서 넘 재밋음ㅋㅋㅋㅋ
@울먹이는새내기3 жыл бұрын
헉 수험생들을 상대로 실험(?) 을 하다니 ㅜㅜ
@qwerty130003 жыл бұрын
야매로 푸는 방법을 익히는 것과 완벽히 이해가 된 상태에서 문제를 푸는 것은 하늘과 땅 차이이다 스킬은 나중 문제, 지금은 글을 '읽는것'에 초점을 맞춰라 자연히 힘줘야하는 부분과 가볍게 읽어도 되는 부분을 구별하는 능력이 길러지게 될것이다
@원-g5b3 жыл бұрын
제가 딱 1번 유형이어서 소름 돋았습니다.. 3등급 탈출에 머리를 쥐어뜯고 있었는데ㅠㅠㅠ 수능이 한달로 남지 않았으나 열심히 해보겠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bingdbling22254 жыл бұрын
오 대박........ 이거보니까 잘 할 수 있을 것 같은 늒김... 감사합니다... 2등급 맞아서 돌아올게요....
@_Abelard3 жыл бұрын
제가 원래 제대로 지문 내용하고 문제푸는 성격이었는데요 저는 지문 정독하는 시간이 오래걸려서 풀 때마다 지문 읽고 문제까지 풀면 시간이 좀 걸리더라고요.. (지문 읽는데에 시간이 좀 걸려서요) 그럼 어떻게 해야하나요?? 그냥 영치기로 지문 읽는 시간을 줄여나가야할까요??
@leecoach_soongong3 жыл бұрын
양치기도 좋은 방법인데, 생각보다 포인트 깨닫는 게 어렵습니다.정독을 하는 느낌이 어떤 건지 탐구하시면 되겠습니다.
@mankiw95644 жыл бұрын
와 나 재수할 때 국어 3 백분위 80 수학 1 99 영어 2 사탐 1 98 1 97 나와서 국어땜에 개 망했는데 이거 미리 알았더라면 좋았을텐데,,, 물론 문법에서 4개틀려서 3이긴 했지만
@박슬투4 жыл бұрын
오늘 강의도 좋아요 꾹~~
@leecoach_soongong4 жыл бұрын
항상 감사합니다
@마리-l5y2 жыл бұрын
코치님 이번에 국어 3등급이 떴는데 인강을 불안해서 듣는데 그냥 해설서를 보면서 훈련을 하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인강을 타는게 좋을까요 ㅠㅠ
@chan658602 жыл бұрын
문학에서 운문같은 경우에도 적용되나요...? 시 문제를 풀때는 다시 훑어보지 않으면 도저히 못풀겠더라구요
@gggwak4 жыл бұрын
진짜 뜬구름 잡는다기 보다는 정말 실질적인 공부 방법 인 것 같아서 감사합니다 ㅠㅜ 혹시 그렇게 문제를 쫙 푼 후에 다시 지문에서 문장마다 이어 붙이면서 분석하는 것도 큰 도움이 되려나요?
@moongtange28944 жыл бұрын
그럼 시간문제는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요.. 문학에서 완전히 줄이고 비문학에 시간을 생각보다 많이 투자해야되나요? 보통 비문학 한 지문 푸는데 10분 정도 잡고 풉니다
@leecoach_soongong4 жыл бұрын
그건 영상을 따로 올려 보겠습니다
@수빈-i3y3 жыл бұрын
지문 이해는 다 갔는데 기억을다 못해서 문제풀때 일대일대응처럼 하나씩 선지파악하는ㄷ 어떡하죠 ㅠ
@연양갱스터3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정말 감사해요!
@왈튭2 жыл бұрын
부끄럽지만 n수생인데 매번 4,5뜨는 학생입니다 물론 제 첫번째 문제는 문학 시간을 못줄인 거지만 독서만 말하자면 과하게 정독해서 시간이 모자라요 지문읽는데만 10분이상 걸리고 왠만하면 문제는 다 맞추는데 지문읽는 시간을 줄인다고 다른 1,2등급 애들처럼 맥락만 확인하면 놓치는게 너무 많아요 문단마다 맥락 관련된 내용만 기억하고 나머지는 싹 까먹는 느낌 그래서 문제 풀다가 지문으로 바로 돌아가기가 쉽지가 않고 말하다보니 걍 한심하네요ㅠ 지금까지 글 자체를 덜 읽어서 그렇겠죠?좋은 영상 늘 감사하고 공부나 하러 가겠습니다..
@retry47544 жыл бұрын
선생님 훈련은 이렇게만 하다가 69수능때는 가끔씩 확인하면서 풀어도 되죠? 항상 최고의 강의 감사합니다.
@박지현-u9p6g4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제가 들은 인강 선생님은 한문단을 읽고 해당 문제를 찾아가서 풀고 또 그 다음 문단을 읽고 이런식으로 비문학독해법을 알려주셨고 저 역시 그렇게 1년동안 공부를 했습니다 이런 방식은 잘못된건가요..??
@leecoach_soongong4 жыл бұрын
잘못된 방법은 아니에요. 사람마다 다르거든요. 다만 독해 능력 향상을 위한 방법이 아니라 문제 풀이 자체에 초점을 둔 방식이라는 점에 주의해야겠어요
@judojudo100503 жыл бұрын
와 ㄹㅇ 맞는 말밖에 없다
@짱이-z6e3 жыл бұрын
선생님께서 알려주신 방법으로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 아직 어렵네요 ㅠㅠ 근데 오답은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leecoach_soongong3 жыл бұрын
오답은 즉각 해설지를 확인합니다. 오답보다 중요한 게 제시문 분석입니다. 제시문을 아주 자세하게 연습장에 도식화하면서 공부해 보세요.
@어라나자태니지빚3 жыл бұрын
한국인이 좋아하는 속도
@hxzzyq3 жыл бұрын
어떤 분은 그 긴 지문 내용을 어떻게 기억을 하냐 문단마다 읽고 풀 수 있는 문제는 바로 풀어라 라고 하시고 또 어떤분은 한 번 읽을 때 잘 읽어라 라고 하시니 어떤걸 선택해야 할지 모르겠어요ㅠㅠ
@GG-td8wr3 жыл бұрын
ㅇㅈㅇㅈ근데 기출문제를 보면 지문 찾아가서 바로 풀 수 있는 문제도 있지만 지문에서 설명하는 내용을 이해하고 응용해서 푸는 문제도 있기때문에 전 한 번 제대로 읽고 푸는 방식이 더 나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요
@이유경-g2t3 жыл бұрын
지문을 완벽하게 이해하고 그걸 바탕으로 문제를 푸는데 한 지문에 해당하는 문제를 다 풀고 바로 해설지 보면서 왜 틀렸는지 알아내라고 하신게 맞나요? 제대로 이해한건지 궁금해서요ㅜ
@leecoach_soongong3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최준혁-s4q4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영상 잘보고있습니다 국어는 항상 시간이 너무 문제인데 저런식으로 훈련해서 독해력을 갈고닦은후 정확도를 높이고 반복훈련을 하다보면 시간은 저절로 줄여지는것인가요
@leecoach_soongong4 жыл бұрын
시간은 1. 선지에서의 망설임 2. 읽은 지문을 불필요하게 다시 읽음 여기에서 문제가 발생해요 그런데도 만약 정독 1번이 시간을 너무 잡아먹으면 좀더 쉬운지운부터 시작해 나가는 것도 방법이 되겠습니다.
@최준혁-s4q4 жыл бұрын
@@leecoach_soongong 감사합니다 앞으로 좋은영상 많이부탁드립니다!
@bancedutube4004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저는 모고 4등급이고 수능 국어 노베이스 예비 고3은 1년 국어 계획을 어떻게 짜면 좋을까요? 또 기출 문제집은 적게 사고 여러번 푸는게 좋을까요?
@leecoach_soongong4 жыл бұрын
기출은 적은 양을 여러번 하시고 1월에 기출을 공부하고 2월에 어느 정도 적응력을 키워서 3월에 일정 점수 나오도록 계획을 짜셔야 한다고 봐요. 그 뒤에 다시 계획을 짭니다.
@리경-s1o3 жыл бұрын
지문을 다 읽고 문제 풀어야 되나여? 이번 고3 3모에서 국어 85점 나왔는데 저는 무조건 문제에 끼워맞춰서 지문 읽거든요ㅠㅠㅠ 학원에서 그렇게 배우기도 했구요ㅜ 어떻게 하는게 맞을까요
@박수현-x3f3 жыл бұрын
고2입니다. 비문학에서 한문단씩읽고 그에 관련된 문제를 푸는 습관도 버려야할까요? 무조건 한번읽기시작하면 문제에 눈길을 주지말아야하나요?
@user-xu5ri7uq4d2 жыл бұрын
완전히 독해가 되기까지 2~3번 읽어야 하나요)
@한국사람-d1w3 жыл бұрын
한문단 읽고 문제푸는 방법이랑 정독하고 문제푸는 법이랑 양립이 안되지 않나요 ㅠㅠ?
@Bzbzmoo2 жыл бұрын
고1도 포함되는 말씀이신가요??
@하아앗-u5q2 жыл бұрын
선생님 감사합니다. 정독하는 게 잘못 된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정독 공부법 유지하겠습니다
@hoddukk4 жыл бұрын
혹시 전체 글을 한 번 정독하고 모든 문제를 푸는 건가요? 아님 한 문단씩 정독하고 해당하는 문제를 푸는 건가요??
@leecoach_soongong4 жыл бұрын
전체 글을 정독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김시온-c4l4 жыл бұрын
응용문제뿐만 아니라 일치문제도 정독을 한 후 푸는게 좋을까요?
@leecoach_soongong4 жыл бұрын
예 정독이 좋겠습니다
@sarahj25023 жыл бұрын
바로 적용 ㄱㄱ
@2seohye4 жыл бұрын
정독할 때 시간은 안재고 일단 정독하고 이해하는 훈련을 한다음에 시간재고 연습해나가면 되는건가요?
@나나나나-t1k2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이 방법을 지금부터 해봐도 늦지 않을까요? 제가 지금 3등급이 계속 나와서요ㅜ
@내발가락먹어4 жыл бұрын
결국 정독하는 연습을 꾸준히 해야한다는거네요???
@run_minseo3 жыл бұрын
지문이해는 되는데 세부내용 까먹으면 분석하는게 맞나요?
@leecoach_soongong3 жыл бұрын
분석해도 괜찮아요. 보통 세부내용에서 시작해서 큰 이해가 나오는 건데 빠진 부분이 있을 수 있어요. 큰줄기보다 디테일이 핵심인 경우도 많습니다♡
@주민수-p1f4 жыл бұрын
방금 이 방법으로 한 지문 해보고 나서 지렸습니다. 감사합니다 ㅜㅜ 혹시 문학도 이런 방법이 똑같이 적용되는지 궁금합니다 ㅎㅎ
@leecoach_soongong4 жыл бұрын
예 문학도 마찬가지입니다♡♡
@melody_324 жыл бұрын
이번 수능땐 국어 1받겠습니다...ㅠ
@leecoach_soongong4 жыл бұрын
화이팅!
@짱이-z6e3 жыл бұрын
그럼 시간이 오래걸리더라도 지문을 꼼꼼히 읽는게 중요한건가요??
@leecoach_soongong3 жыл бұрын
일단은 정독이 중요하고 그 시간을 줄여가는 게 좋겠습니다
@동휘-t9j3 жыл бұрын
코치님 정독을 할때 이해 안된다고 다시 읽는 것 없이 집중해서 단 한번 지문을 정독해야하죠?
@leecoach_soongong3 жыл бұрын
다시 읽어도 괜찮습니다. 자유로운 느낌으로 해야지 경직되면 안 좋아요.
@김민지-w1o7q3 жыл бұрын
이런 독해력 연습할때 수특으로 해도되나요?
@user-wm2wm7sc5r4 жыл бұрын
3:17
@unavis-fr1tg3 жыл бұрын
비문학에만 해당되는 내용인가요??
@반박시님말다맞음2 жыл бұрын
그럼 정독에 있어서 문제풀이 시간은 신경쓰지 않는건가요?
@박은현-b8x3 жыл бұрын
오답분석할때 기출분석하듯이 꼼꼼하게 해야되나요??
@단아한당신3 жыл бұрын
선생님..추천하신 두번째 방법으로 공부하고싶은데 교재는 직접 만드신거죠?시중엔..못본 교재같아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