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정부지 치솟는 미국 임금, 아직 갈 길 먼 한국 임금 [김원장의 삼촌경제학_EP.1] f. 이프로

  Рет қаралды 41,501

삼프로TV 3PROTV

삼프로TV 3PROTV

11 күн бұрын

📢 삼프로 앱에서 영상과 오디오를 한 번에!
- 삼프로 앱이 "확" 달라졌어요! 영상을 시청하다가 자유롭게 오디오로 들을 수 있어요.
- 삼프로TV, 언더스탠딩, 지구본 연구소, 위즈덤 칼리지(구.일프로TV), 압권 등 모든 3PRO 유니버스의 방송을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어요.
- 지금 바로 3PRO 앱 또는 웹을 만나보세요!
👉🏻 3protv.page.link/S7cX
💎 각 분야 최고의 투자 마스터들과 함께 하는 '삼프로 멤버십'
- 오직 멤버십 회원들만을 위한 비밀 콘텐츠
- 품격있는 투자 소통이 이뤄지는 전용 커뮤니티 공간
- 투자에 진심인 분들과 함께 건강한 투자 습관을 만들어 보세요!
👉🏻 10일간 무료 체험하기 : bit.ly/3QmOuP7
👉🏻 10일 무료 체험도 고민된다면? 실제 사용 후기 보기! : bit.ly/3pro_membership
❤️ 당부 말씀
- 삼프로TV는 시청자의 다양한 해석과 의견을 존중합니다. 또한, 콘텐츠에 대한 비판과 평가도 언제나 환영합니다.
- 하지만, 출연자에 대한 근거없는 비난, 욕설, 인신공격, 비하성 표현이 담긴 댓글은 안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삼프로TV가 건강한 소통의 장이 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늘 감사합니다^^
📢 아래 프로그램은 3/4(월) 부터 [삼프로 머니]에 업로드 되고 있습니다.
👉삼프로 머니 바로가기 : / @3promoney
- 월스트리트 모닝브리핑 中 월가 뉴스레터
- 오프닝벨 라이브
- 클로징벨 라이브
- 박근형의 데일리 힌트
- 뉴스룸
📺 평일 라이브 프로그램 안내
[06:00-07:15] 월스트리트 모닝브리핑 (월가 뉴스레터, 글로벌 인터뷰)
[07:15-09:00] 오늘아침 라이브 (뉴스3, 마켓 인사이드, 인뎁스60)
[09:00-10:00] 오프닝벨 라이브
[10:00-11:00] 맞동산 (부동산)
[15:20-16:30] 클로징벨 라이브
[16:30-17:10] 뉴스룸
[17:10-18:00] 박근형의 데일리 힌트
[18:00-19:00] 퇴근길 라이브
[19:00-21:00] 언더스탠딩
🗂️ 영상에서 언급된 자료를 찾으시나요?
웹사이트 : apps.3protv.com/original/pds
모바일 앱 : 플레이스토어/앱스토어에서 "삼프로"를 검색하세요.
앱을 다운로드 받으셔서 [오리지널] - [신의자료] 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 3PRO 고객센터
- (전화) 02-2118-0707, 010-3898-2324
- (메일) edu.help@3protv.com
- (1:1 문의 게시판) apps.3protv.com/myqna/write
- 평일 09:00-18:00 운영됩니다.
- 주말에는 메일 혹은 3PRO 앱/웹에서 1:1 문의를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비즈니스 문의 채널 안내
- 광고/협업/유튜브 제작대행 문의 : (메일) ad@3protv.com, (전화) 010-2090-6748, (설문지 제출) url.kr/yi4rpg
- 전문가(연사) 섭외 및 기업교육 문의 : (메일) edu@3protv.com, (전화) 02-2118-0704~0705 (웹사이트) zrr.kr/lRQq
- 언더스탠딩 문의 : (메일) to.understanding.official@gmail.com
- 삼프로TV IR 문의 : ir@3protv.com
📢 사칭 주의
- 삼프로TV의 구성원과 삼프로TV 출연자는 문자메시지/카카오톡/전화/텔레그램 등을 통해 절대 개인적인 투자권유 및 리딩방, SNS 가입을 권유하지 않습니다.
- 만일 이러한 연락을 받으셨다면 모두 사기이므로, 링크를 클릭하지 마시고 피해가 없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Пікірлер: 138
@3protv
@3protv 9 күн бұрын
📢 삼프로 앱에서 영상과 오디오를 한 번에! - 삼프로 앱이 "확" 달라졌어요! 영상을 시청하다가 자유롭게 오디오로 들을 수 있어요. - 삼프로TV, 언더스탠딩, 지구본 연구소, 위즈덤 칼리지(구.일프로TV), 압권 등 모든 3PRO 유니버스의 방송을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어요. - 지금 바로 3PRO 앱 또는 웹을 만나보세요! 👉🏻 3protv.page.link/S7cX 💎 각 분야 최고의 투자 마스터들과 함께 하는 '삼프로 멤버십' - 오직 멤버십 회원들만을 위한 비밀 콘텐츠 - 품격있는 투자 소통이 이뤄지는 전용 커뮤니티 공간 - 투자에 진심인 분들과 함께 건강한 투자 습관을 만들어 보세요! 👉🏻 10일간 무료 체험하기 : bit.ly/3QmOuP7 👉🏻 10일 무료 체험도 고민된다면? 실제 사용 후기 보기! : bit.ly/3pro_membership ❤ 당부 말씀 - 삼프로TV는 시청자의 다양한 해석과 의견을 존중합니다. 또한, 콘텐츠에 대한 비판과 평가도 언제나 환영합니다. - 하지만, 출연자에 대한 근거없는 비난, 욕설, 인신공격, 비하성 표현이 담긴 댓글은 안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삼프로TV가 건강한 소통의 장이 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늘 감사합니다^^ 📢 아래 프로그램은 3/4(월) 부터 [삼프로 머니]에 업로드 되고 있습니다. 👉삼프로 머니 바로가기 : / @3promoney - 월스트리트 모닝브리핑 中 월가 뉴스레터 - 오프닝벨 라이브 - 클로징벨 라이브 - 박근형의 데일리 힌트 - 뉴스룸 📺 평일 라이브 프로그램 안내 [06:00-07:15] 월스트리트 모닝브리핑 (월가 뉴스레터, 글로벌 인터뷰) [07:15-09:00] 오늘아침 라이브 (뉴스3, 마켓 인사이드, 인뎁스60) [09:00-10:00] 오프닝벨 라이브 [10:00-11:00] 맞동산 (부동산) [15:20-16:30] 클로징벨 라이브 [16:30-17:10] 뉴스룸 [17:10-18:00] 박근형의 데일리 힌트 [18:00-19:00] 퇴근길 라이브 [19:00-21:00] 언더스탠딩 🗂 영상에서 언급된 자료를 찾으시나요? 웹사이트 : apps.3protv.com/original/pds 모바일 앱 : 플레이스토어/앱스토어에서 "삼프로"를 검색하세요. 앱을 다운로드 받으셔서 [오리지널] - [신의자료] 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 3PRO 고객센터 - (전화) 02-2118-0707, 010-3898-2324 - (메일) edu.help@3protv.com - (1:1 문의 게시판) apps.3protv.com/myqna/write - 평일 09:00-18:00 운영됩니다. - 주말에는 메일 혹은 3PRO 앱/웹에서 1:1 문의를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비즈니스 문의 채널 안내 - 광고/협업/유튜브 제작대행 문의 : (메일) ad@3protv.com, (전화) 010-2090-6748, (설문지 제출) url.kr/yi4rpg - 전문가(연사) 섭외 및 기업교육 문의 : (메일) edu@3protv.com, (전화) 02-2118-0704~0705 (웹사이트) zrr.kr/lRQq - 언더스탠딩 문의 : (메일) to.understanding.official@gmail.com - 삼프로TV IR 문의 : ir@3protv.com 📢 사칭 주의 - 삼프로TV의 구성원과 삼프로TV 출연자는 문자메시지/카카오톡/전화/텔레그램 등을 통해 절대 개인적인 투자권유 및 리딩방, SNS 가입을 권유하지 않습니다. - 만일 이러한 연락을 받으셨다면 모두 사기이므로, 링크를 클릭하지 마시고 피해가 없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joonshanghai8777
@joonshanghai8777 9 күн бұрын
십몇년전인것 같네요 사회에 들어온지 얼마 안되었을때 출근길 김원장기자님 아침 라디오 하실때부터 팬입니다 . 그때 기억으론 김방희 소장님에서 하시다가 진행자가 바뀌고 걱정하며 듣다가 오히려 더 좋았던 기억입니다. 벌써 시간이 이렇게 되었네요. 삼프로에서 또 멋진모습 기대하겠습니다~ 심각한표정보다 매력적인 미소 많이 보여주세요~ 김원장님 말씀 들을 수 있는 프로그램 생겨서 좋네요 ~ 항상 응원합니다🎉
@hskim3309
@hskim3309 9 күн бұрын
환영❤ 입니다. KBS 에 계셨을 때 쓰셨던 칼럼도 꼭 구독했었는데 ….아쉬운 마음 삼프로에서 채울 수 있겠네요 감사합니다 . 유익한 정보 잘 챙겨 보겠습니다. 김원장님응원😊해요
@SHKim-uv4wo
@SHKim-uv4wo 4 күн бұрын
빅 듀오군요. 와우 대단한 콤비입니다. 늘 응원합니다.
@user-ny9fx7vo5d
@user-ny9fx7vo5d 9 күн бұрын
이프로는 저렇게 경쟁헤야 경제가 성장한다고 하는데 정작 대기업이 물적분할 아이디어뺏기 편법상속 등등 다양한것을 은근히 응호함
@Tsk-ge1kb
@Tsk-ge1kb 9 күн бұрын
우리같은 스몰오픈이코노미에서는 집적해야되니까 미안하지만 너같은 쩌리까지 신경 못 써줘
@park77722
@park77722 8 күн бұрын
정치할듯
@user-ui9jd6mt6t
@user-ui9jd6mt6t 3 күн бұрын
헤야 ᆢ해야 ᆢ 초등 1글 공부 방해요 애들에 글이 ᆢ
@KritikaZero
@KritikaZero 9 күн бұрын
주말에도 유익한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잘 보겠습니다. 😊
@mustgoon1980
@mustgoon1980 9 күн бұрын
김원장 기자님 팬입니다.^^
@user-rq2vj1on4l
@user-rq2vj1on4l 9 күн бұрын
두분 백돌 흑돌 같으세요.😁 김기자님 점점 삼프로에 스며드시는 것 같아 보기 좋네요 ❤
@olivebae1623
@olivebae1623 9 күн бұрын
백돌흑돌 ㅋㅋㅋㅋㅋㅋㅋ
@user-eq7vz7fc1t
@user-eq7vz7fc1t 3 күн бұрын
김원장! 보란듯이 잘되길 바람!
@User09Youtube
@User09Youtube 9 күн бұрын
마침내 만나신 두분. 새로운 프로그램 응원합니다.💕
@RMSPROP
@RMSPROP 9 күн бұрын
물가를 낮추거나 임금을 올리거나 둘중 하나는 해야하는데, 정부는 지역 농업 챙긴다고 낮출 생각도 안하고 임금도 올릴 생각도 안하니 2중으로 타격입는거임. 심지어 부자감세 정책 피면 서민에게 더 걷어야한다는 건데 3중임.
@user-yi9mm6so4u
@user-yi9mm6so4u 9 күн бұрын
전세계에서 최고로 잘사는 아일랜드 처럼 부자감세로 국내와 국외자본이 들어와 투자가 늘어나 일자리도 늘어나고 기업수도 증가해 임금도 오르고 결국 세금 수입도 더 늘어나는 건 모르니 ????
@jisungpark8952
@jisungpark8952 9 күн бұрын
@@user-yi9mm6so4u 바보? 외계인?
@user-sh3gw1no8v
@user-sh3gw1no8v 9 күн бұрын
아일랜드는 페이퍼 컴퍼니 유치 아닌가
@user-bv1ot8ep3g
@user-bv1ot8ep3g 9 күн бұрын
​@@user-yi9mm6so4u 소득세를 줄여야 구성원들이 부가 가치를 높입니다. 소득세를 줄이고 재산세를 올려야 하죠. 그리고 금융시장의 제도를 바꿔야만 해외 투자자들이 투자할 수 있습니다. 한국의 금융시장은 중국과 비슷할 정도로 저급한 국가입니다.
@user-yi9mm6so4u
@user-yi9mm6so4u 9 күн бұрын
@@user-bv1ot8ep3g 재산세를 올리면 결국 월세가 더 높아줘 구성원들의 부가가치는 낮아줘 소득을 감소시키잖아... 그리고 재산세를 올리면 부동산투자가 안일어나 공급 절벽이와 부동산 값이 대폭등 하잖아...
@jecopak9188
@jecopak9188 22 сағат бұрын
이진우 + 김원장 너무 좋아~~~~~~~~~~~~~~~~~~~~~~~~~~~~~~~~~~~~~~~~~~~~~~~~~~
@less8245
@less8245 9 күн бұрын
전문적이고 심도있는 내용 좋아요❤
@user-nw3kb4ds4k
@user-nw3kb4ds4k 9 күн бұрын
경쟁력 있는 산업, 대기업들은 임금 상승을 감당할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산업 및 중소기업, 자영업자는 과연 감당할수 있는가 결국 격차만 더 벌어질뿐
@Kettlers
@Kettlers 7 күн бұрын
생각해 볼 만한 좋은 내용 잘 봤습니다.
@user-zw5en9zt6m
@user-zw5en9zt6m 9 күн бұрын
천정부지 치솟는 미국 임금 하이킥이면, 미연준은 기준금리 인상이네요. 기군금리 인하는 완전 립서비스이고. 하긴 대선으로 그리고 정부 정책 등으로 계속 돈을 풀고 있는데 기준금리를 올리면 올리겠지 내릴 수는 없겠지요.
@scahn4244
@scahn4244 9 күн бұрын
상품가격은 시장에서 결정되고,그 결정에 따라 임금이 결정됩니다. 이건 시장경제 대 전젭니다. 역으로 시장가격을 우리가 결정할수 있으면 임금도 우리가 결정할수 있겠죠. 그게 가능하다면 ~~
@user-ho4te3ur2g
@user-ho4te3ur2g 9 күн бұрын
두 분 경쟁적으로 개그력을 뽐내시니 웃겨서 주제를 까먹어 버렸네요😅
@user-sh7kt4eb5o
@user-sh7kt4eb5o 9 күн бұрын
김원장님 조곤조곤 말씀하시는 거 귀엽네요 두 분 조합도 좋고,내용도 알찹니다
@kkomjang8215
@kkomjang8215 9 күн бұрын
두 분 조합 기대됩니다^^
@kkomkkomssong
@kkomkkomssong 7 күн бұрын
와 너무 환상적인 조합입니다! 앞으로 기대하옵니다!
@tubeyou1490
@tubeyou1490 9 күн бұрын
최저임금 인상폭의 하한을 국가 GDP 성장률에 고정시켜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게 상식적이지 않겠어요? 그래야 감당 안되는 자영업자는 망해서 살아남은 자들이 규모의 경제를 만들거나 공급이 적어져서 고임금화되겠죠. 그러면 하청업체를 대기업이 쥐어짜는것도 저절로 일정부분 해소될거고. 근본적으로는 일반인들이 자본주의적으로 돈을 벌 수 있는 방식이 부동산밖에 없는게 문제입니다. 자본시장의 메인인 주식을 건들 수 있어야 하는데, 대주주들이 상법 휘둘러서 다 뜯어가버리는데 국장으로는 돈을 못버는 구조잖아요. 그걸 해결해놓고 국민들을 국장에 참여시켜야 부의 분배가 자본주의적으로 일어납니다.
@singbetterchoi
@singbetterchoi 17 сағат бұрын
공감해요
@user-vz7iv4gj5s
@user-vz7iv4gj5s 8 күн бұрын
임금과 물가. 김원장 기자님 미소가 귀여우시네요. 두 분 왠지 희한하게 어울려요~^^
@wolfk3893
@wolfk3893 9 күн бұрын
뒤처진 내수업종의 임금 =>올리면 물가상승=> 수출업종의 노동자에게도 똑같이 적용(?) / 혹은 그만큼 이윤감소or수출경쟁력의 약화 결국 비효율적인 내수자영업이나, 농업 등 무역장벽 보호대상인 경쟁력없는 산업 등에 노동이 과잉배분되어 있기 때문에 임금이 못 오른다 => 당사자들의 선호, 노동강도차이, 사회경제문화적 압력상황, 재교육 재취업기회 등등 복합적인 요소가 들어간 선택의 결과 =>임금만 올리자면 의미없고, 그럼에도 내수 과잉경쟁업종으로 계속 몰리는 원인을 파악하고, 그 부분에 대한 노동의 효율적 배치를 지원할 대책을 세워야.
@yeongjinsim9185
@yeongjinsim9185 9 күн бұрын
재밌네요❤
@user-hh9pj4hk8p
@user-hh9pj4hk8p 2 күн бұрын
역시 김원장기자님^^
@user-uk6kb4qf1h
@user-uk6kb4qf1h 9 күн бұрын
두 기자님의 케미가 아주 좋네요.
@mk-pu7em
@mk-pu7em 9 күн бұрын
친절하고 겸손하시기 까지.....😊 정보와 즐거움도 주셔서 감사합니다.~^^
@naturalhouse8232
@naturalhouse8232 8 күн бұрын
22년전 아침출근길에듣던 영어하던 프로있었는데.. 기억이 잉글리시 모닝 뭔가.. 너무 재밌게 들었습니다
@youhanrocksu
@youhanrocksu 9 күн бұрын
김원장님 덕분에 시간가는줄 몰랐습니다. 감사합니다.
@kwang-hokim3647
@kwang-hokim3647 9 күн бұрын
제가 가장 좋아하는 경재부 출신 기자님들 너무 좋아여. 덕분에 제 경제 지식이 많이 올라가고 제 재산도 많이 증가 했어요. 항상 감사합니다.❤
@user-cu5bz5jg6m
@user-cu5bz5jg6m 9 күн бұрын
김원장기자 보러 들어왔어요
@user-nl8tm3pi8u
@user-nl8tm3pi8u 9 күн бұрын
제조 및 유통, 그리고 서비스분야의 노동집약 특성에 따라.. 대부분은 순수익률은 낮기에 업체에 임금인상을 강제하게되면.. 그것은 소비자의 물가에 직접으로 유통단계별로 전가되어 인플레이션을 가중시킵니다. 이런 소비자물가의 전가되는것을 방지하기위해선 국가가 주요 항목에 대해 국유로 직접 운영하는 정책을 써야하고 공급물가 소비물가.. 그리고 고용임금을 관리해야하며.. 국가가 직접관리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는 업체에 무작정 임금인상을 강요하는게 아닌.. 경제순환을 위해선 국가가 자원분배와 함께 근로자에게 생계를 위한 각종보조책이 필요한거죠. 미국이 임금을 올려서 할수있는 정책을 쓰는건.. 대부분의 주요산업이 민영화되어있고.. 국가가 가지는 주요 토지 자원과 내수시장이 크고.. 거기에 군사력을통한 전세계를 경제식민지로둔 기축통화와 페트로 달러의 권력을 가지고있기에 그나마 가능한것들입니다. 하지만 부패한 정치관료들과 경제가 굴러가는 기초 원리를 이해하지 않고 암기만해서 배운이들이 국가의 시스템을 망가뜨려 생긴 부작용들은 계속 누적되어 현사태를 만들어놓은거죠. 국내는 국가가운영하는 연금지급시기를 미루지않고 당초 약속한대로 지급했다면 공백기의 노인빈곤사태를 만들어놓지 않았을거고 그 자본이 소비 경제순환에 기여했을거고 거기에 생계걱정 덜하시는 연령대분들이 이웃들을 위해.. 소일거리로 크게 이문을 안남기고 밥집을 운영하시는경우가 종종있었기에.. 최소한 밥값걱정은 크게 안했을것.. 기득권의 부동산 토건세력을 위해 만들어놓은 프로파간다의 1인가구 핵가족생태와 복지지원 여건때문에 망가진것들이 크죠.
@user-dq6do3ri4o
@user-dq6do3ri4o 9 күн бұрын
오늘 진짜 어려운 논쟁이네요..
@user-iu5uz9tq4d
@user-iu5uz9tq4d 9 күн бұрын
재미있을것 같어요...
@younglee9411
@younglee9411 3 күн бұрын
미국임금올라도 미국물가가 더 올라서 단순비교는 의미가 없습니다. 로스엔젤레스(LA)가 서울보다 대략 봉급이 두 배 정도 많지만 물가도 두 배 입니다.
@macaus4935
@macaus4935 9 күн бұрын
이미 원장인데 선생까지 붙일 필요 있나여ㅎㅎㅎ
@user-uy4lw7ju7v
@user-uy4lw7ju7v 9 күн бұрын
좋은기획이다 재믺세봤어요
@hyobungs3812
@hyobungs3812 9 күн бұрын
김원장님께서 말하고 싶은건 소득주도성장이네요. 그거 되는 나라가 몇나라 있나요? 다 하고 싶죠. 나라에서 강제로 소득올려서 좋은 결과를 얻은나라가 미국말고 어디있죠?
@user-vx5cz8rg5z
@user-vx5cz8rg5z 9 күн бұрын
한국에서 오르지 않는건 월급뿐~~🤣
@user-qi8nt7xs5c
@user-qi8nt7xs5c 8 күн бұрын
소주성 내수경제로 전환해서 점프하나요?
@user-zx8uo4ro2e
@user-zx8uo4ro2e 8 күн бұрын
흡사 월스트리트 저널을 보는 듯한 고품질 컨텐츠
@soohyunkim1580
@soohyunkim1580 9 күн бұрын
이보세요... 미국과 한국은 근본적으로 다릅니다. 미국이 긴축통화국이라는 것을 제외하고라도... 미국은 자원이 풍부하고 나라가 크고 물동량이 전세계와 맞먹을 정도라서 내수시장이 매우 큽니다. 한국의 내수시장은 부동산이 거의 전부이지만 미국의 내수시장은 끊임없는 소비입니다(경제체제 자체가 그래요). 하지만 한국은 대기업과 전문가층의 중상위층 지갑만 바라보는 것이 한국내수시장 현실입니다. 일본도 환경이 비슷하여 월급을 무작정 못 올린 것입니다. 중국은 내수시장도 꽤 크고 제2위 경제대국인데도 모든 성의 월급을 마구 올리지 못합니다. 모두 같은 이유에서죠. 미국처럼 내수시장의 규모가 경단위에 근접하지 않고서는 불가능합니다(또는 산유국이나 다이아몬드 시장 장악 같은 특별한 경우). 경제상태도 생각하지 않고 무조건 국내임금을 올리면 무슨 문제가 생기는지 아나요? 퇴직과 동시에 비싼 물가로 다들 한강에 가야할지도 모릅니다. 아직 한국은 부유하게 된지 얼마 안되어서 복지제도자금이 충분하지 않기에, 퇴직과 동시에 손가락 빨아야 합니다. 그나마 있는 복지자금도 이런 저런 포퓰리즘으로 모두 써서 동나거나 동나기 일보 직전입니다. 우리나라는 대다수의 노년층이 극한 빈곤 상태인데, 버스요금 3천원, 김밥 한줄 1만원하면 어찌 될까요? 고용상태, 경제 상태를 보고 월급을 올려야 하는 것이지. 임금을 올려서 경제사정이 좋아지는 것이 아닙니다. 문재인 시절 경제규모에 맞지 않게 일본의 최저임금과 대등하게 되면서, 한국은 이미 경제사정이 나빠질 수 밖에 없습니다. 한국이 일본보다 수출경쟁력 있는 분야가 반이라도 되나요? 핵심은 그것입니다. 아프리가 어느나라 지폐는 수조원이 종이 한장입니다. 그것이 가치가 있나요? 1달러가 800원대인 시절이 있었는데 지금 1350원대입니다. 한국의 임금은 이미 그 만큼 거품이 낀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더 임금은 인상하자니? 아예 1시간당 100만원씩 주지요. 한국화폐 화장실 휴지로 쓰게요.
@soohyunkim1580
@soohyunkim1580 9 күн бұрын
한국 출산율 올리고 다시 예전처럼 경제력 높이는 방법은 하나 뿐이 없습니다. 타국보다 더 일하고 타국보다 더 경쟁하는 수 밖에 없습니다. 1. 대입 수시제도 폐지하고 모두 시험을 통해서만 대학 입학을 해야 합니다. 암기만하고 창의력이 없어진다는 우려와 사교육시장이 커진다는 것은 모두 틀리지 않았습니까? 사교육시장은 스펙시장으로 휠씬 금액이 커지고 교육수준도 더 떨어졌습니다. 공정하게 점수만으로 경쟁하게 하는 것이 가진자와 못 가진자가 서로 경쟁할 수 있는 출발점입니다. 로스쿨 같이 입학으로 자격증을 주는 제도도 없애야 하고 다시 시험제도로 모든 것을 바꾸어야 합니다. 그 분야가 너무 왜곡된다면 자격증제도가 아닌 학과처럼 만들어서 배출인력 수를 조절하면 됩니다. 물론 그 학과 입학도 시험으로 하면 됩니다. 2. 임대주택은 영원히 임대주택으로만 유지해야지 판매해서는 안 됩니다. 판매하는 순간부터 그 임대주택은 오르게 되어 있습니다. 아파트던 빌라든 임대주택을 무조건 임대로 유지해야 합니다. 공급량이 주는 것 걱정할 필요 없습니다. 임대주택의 월세가 주위 사시장의 월세르를 끌어내릴테니깐요. 3. 기업에게 공급하는 사업단지의 토지는 무조건 임대로만 빌려주어야 합니다. 헐값에 팔면 기업은 배당금 덜 주고 그 돈으로 토지 사놓는 땅장사밖에 안합니다. 사업단지의 토지는 임대만으로 공급하면 이런 부동산의 상승도 막을 수 있고 초기 진입금액을 낮추어 중소기업의 단지에 입주할 문턱도 낮출 수 있습니다. 4. 극단적이긴 하지만 일부규모 이하의 중소기업의 임금은 국가가 세금형식으로 걷어서 종업원에게 넣어주는 형식이 되어야 합니다. 그렇게 되면 중소기업 노동자는 일종의 공무원처럼 안정적인 수입을 갖을 수 있으며 여러 복지제도도 탄생시킬 수 있습니다. 사업자 측에서도 부가세 내듯이 수입의 일정 퍼센트만 내도록 법제화 된다면 저항도 많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오히려 노사갈등에서 편해질 수 있죠. 100%가 힘들다면 임금의 50%만 그리 하도록 해도 됩니다. 5. 상속세와 증여세를 폐지수준까지 낮추어야 합니다. 상속세를 내지 않으려고 일감 몰아주기, 해외 자본 반출, 주식시장 왜곡등의 폐해가 지금까지 상속세로 걷은 세금보다 더 피해가 큽니다. 어짜피 부모가 가지고 있던 돈이 자식에게 간다고 그 돈이 어디 가는 것이 아닙니다. 6. 외국으로의 국부유출을 막는 제도를 보강해야 합니다. 외국자본으로 부동산을 사서 시세차익을 얻고 떠나간다면 한국은 거품 낀 부동산만 남게 됩니다. 동남아국처럼 부동산의 49%까지만 취득하게 하는 것도 한 방법이고, 외국인이 취득한 부동산은 허가제로 바꾸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7. 지방자치를 줄이거나 권역을 크게 묶어야 합니다. 예산낭비를 줄일 수 있을 뿐더러 사업을 하는데도 능률화가 높아집니다. 8. 금에는 세금을 부과해서는 안됩니다. 긴축통화가 아닌 한국의 화폐나 한국 경제가 세계적으로 경쟁력이 있으려면 금에는 거래세나 보유세를 부과하면 안됩니다. 몰래 가져나가는 것은 철저하게 막으면 됩니다. 9. 경제 관련 법과 조직을 강화하고 키워야 합니다. 소액주주의 권익을 국가가 보호해주지 않으면 안됩니다. 상속세와 보유세를 폐지수준까지 낮추는 대신 기업의 투명성은 선진국 기준처럼 강력해야 합니다. 시장의 건정성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조치입니다. 10. 문어발식 기업확장을 막아야 합니다. 자기자본으로 또는 은행자본을 빌려서 모든 내수분야를 장악하는 것은 막아야 합니다. 국제경쟁력이요? 외국에선 어떤 분야로 확장하든 그건 그들 마음대로 하라고 하면 됩니다. 물론 그때 자금충당은 외국에서만 조달하도록 해야 합니다. 외국에서 다른 사업분야로 확장하여 그것이 다시 국내로 들어올 수 있는 경쟁력이면 전세계에도 팔릴테니...
@soohyunkim1580
@soohyunkim1580 9 күн бұрын
답글이 길었습니다만... 요약하자면 한국이 경쟁력을 다시 찾고 인구증가률도 회복하려면, 의,식,주가 안정되게 해야 합니다. 위에 말한 10개의 조건은 이것을 이루기 위한 초석입니다. 경쟁이 심해서 아이를 안 낳거나 편법을 쓰는 것이 아닙니다. 공정하지 않아서 안 낳거나 편법을 쓰는 것이지요... 여기서 공정은 업는 자만을 대상하는 것이 아니라 없는 자와 있는 자 사이에서도 공정해야 하는 것입니다. 상속세와 증여세의 축소가 가진 자를 위한 것인가요? 오히려 가진 자만 내던 불공정 아니 었던가요? 공정한 사회에서는 누구나 부자가 될 가능성을 보고 경쟁하는 것이고 부자가 되어서는 그 사회에서 존속하기 위해서 또 노력하는 것이 나라를 위해서 이익입니다. 이미 해외 경쟁력 있는 기업은 외국 상장을 통해서 합법적으로 외국으로 모든 재산을 유출시킬 수 있습니다. 국부유출을 막아야 합니다. 대신 자본으로 상대를 누르는 문어발식 기업 확장을 막아야 하며, 상법도 선진국 수준으로 강화해야 합니다. 금 거래세 폐지도 꼭 필요합니다. 금이 한국에 많아야 합니다.
@user-mv8ph3xs8v
@user-mv8ph3xs8v 9 күн бұрын
와.... 생각하시는 바와 방향성은 알겠으나 말씀하시는 정책은 큰 정부를 지향하는것 아닌가요?? 자율경쟁보다 더 강한 규제(임대주택 매매 금지, 기업에서 세금을 걷어 급여지급 등)가 정말로 해결책이 될거라 생각하시나요?
@soohyunkim1580
@soohyunkim1580 9 күн бұрын
우선 임대주택 매매금지는 확대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지금 주택보급수만 늘리려고 그린벨트, 군사지역 풀고 일반 기업처럼 아파트 지어서 공급하는 것이 국가가 아파트 장사하는 쓸데 없는 짓이라고 생각합니다. 국가는 공공 세금이나 국가권력으로 토지수용하여 건설하는 만큼 그 부동산은 국가가 끝까지 보존하며 임대만 해야 한다고 봅니다. 오히려 국가와 사기업의 영역을 확실히 나누는 것이며, 구입자금이 없는 월세살이를 위한 복지정책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중소기업에서 임금을 걷어 나누어 주는 것은 중소기업을 꺼리는 노동자에게 안정적인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고 사업자는 인력난 없이 노사갈등 없이 사업할 기회를 열어주는 것 아닐까요? 이미 있는 중소기업에 그러자는 것이 아니라 국가사업단지 조성할때 혜택으로 들어오는 기업중에 중소기업만 조금 더 혜택주고 그러자는 것입니다. 그리하면 토지공사는 크기가 줄어들 것이며 세금 및 급여부분은 인력에 조금 늘긴 하겠지만... 큰 정부를 지향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사회복지안정장치가 거의 없는 한국으로써는 한번쯤 시도해볼만한 것 어닐까요?
@user-tm5rk9og6i
@user-tm5rk9og6i 8 күн бұрын
@@soohyunkim1580 와우 대단합니다. 공감되는 부분이 아주 많습니다.
@martinjin2398
@martinjin2398 9 күн бұрын
그래서 젊은 부부들이 애를 안낳는거죠? 사람이 너무 많아서 임금을 안올려 주는 것을 뼈저리게 느꼈거든요
@olivebae1623
@olivebae1623 9 күн бұрын
두 분 나란히 딱 붙어 앉아있으시네요 다정해 보여요 ㅋㅋ ❤
@user-zw2lb7dy3w
@user-zw2lb7dy3w 9 күн бұрын
좋은 컨셉같습니다~!!
@user-yw7iz9fl2j
@user-yw7iz9fl2j 9 күн бұрын
쵝오쵝오~~~^^😊😊😊
@user-oy5eb9oy2d
@user-oy5eb9oy2d 7 күн бұрын
미국 임금이 오르면 인플레와 금리인하는 그렇다치고 장기적으로 인재들이 다 미국을 가겠네.
@neutral1664
@neutral1664 9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 사람들은 남의 월급 올라가는 뭐 저렇게 많이 받아 하면서 자기 월급은 맨날 적게 받는다고 불평
@user-ww8wv8kx6x
@user-ww8wv8kx6x 9 күн бұрын
이미 기업에서 줄이고있기때문에 고용지표가 너무 안좋음..
@user-tv5wj5wn5w
@user-tv5wj5wn5w 3 күн бұрын
이렇게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들이 뭐라도 아는 듯 잘난척하는게 문제임. 자율에 맡겨야 합리적인 임금이 됨
@dexter8820
@dexter8820 8 күн бұрын
서울 시급이 1만원 대구 시급이 5천원이라고 가정해 봅시다. 대구 젊은이가 1만원 시급을 더 받기 위해서 서울로 이사를 가면 서울에서 원룸을 구해야 하는데 서울 원룸 가격이 130만원이라고 가정하면 대구 젊은이가 편의점에서 일해서 원룸 주고 나면 100만원 남을텐데 대구에서 일했으면 80만원을 받아도 대구에서 일할 사람도 있을겁니다.
@jindo-arirang
@jindo-arirang 15 сағат бұрын
네.. 마지막 알바생 지역별 관련 김원장 기자의 논리에는 공감이 안가네요.
@orkaye7751
@orkaye7751 8 күн бұрын
마지막에 지역별 최저임금 차등하면 서울이 1만원이고 평택이 5천원이면 저절로 시장의 원리에 의해서 맞춰진다고 하는데 이미 많은 지역에서 최저임금만큼 지불하지 않고 있습니다. 심지어 이거는 고용노동부도 인지하고 있지만 지역특성을 감안해서 신고하지 않으면 따로 단속조차 하지 않고 있습니다. 저절로 맞춰지는건 없어요. 지역별 차등을 하게 되면 더더욱 수도권 집중화만 일어나고 지역은 소멸하다 못해 사막화가 될겁니다. 이미 최저임금 못맞춰주는 지역은 저임금 노동시장이 붕괴 되고 있죠.
@yongberg8
@yongberg8 9 күн бұрын
미국은 그만큼 생활비가 비쌉니다… 특히 차보험료와 재산새가 한국의 열배라고 들었는데 정확히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차두대 도요타 코롤라/ Rav4 인데 일년에 $8,000 내네요… 시애틀 기준 방두개 화장실두개 아파트 $3,000 / 데이케어 유치원 $3,000 인데 3-4인가족 숨만쉬어도 나가는 비용이 한달에 만불입니다…
@overseasdesk
@overseasdesk 9 күн бұрын
일본이 임금이 적은것은 하도급 업체 노동자 때문입니다.. 일본은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일때 평생 노동임금의 차이가 크게 벌어집니다
@user-ui9jd6mt6t
@user-ui9jd6mt6t 2 күн бұрын
시급25다 이리 아닐 환16시 32칀 이래부름 이긴 기냥 우리돈 싸ᆢ그곳기냥20불 2만급 ㅎ밥1끼 선ᆢㅇ우리돈 곱14 오류
@Mewkwon
@Mewkwon 9 күн бұрын
두분 캐미가 좋네요 ㅎㅎㅎ 꾸준히 했으면 좋겠어요!! 김경일교수님 프로그램도 다시해주세요
@user-vh1ev8bh2z
@user-vh1ev8bh2z 3 күн бұрын
크크크 난 이진우가 참 좋다
@user-ln7uk8km5z
@user-ln7uk8km5z 9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 급여는 안 올라서 주변에 보면 투잡 쓰리잡 하는분 진짜 많이 생겼습니다 근데 생활이 나아지지 않아요 미래가 내 처지가 불안 합니다
@user-ui9jd6mt6t
@user-ui9jd6mt6t 3 күн бұрын
그냥최저2십불을 2십불 ㅎ우리환14 굳이 더한ᆢ미돈 2천이면4만 이건 의미없을ᆢ수치ㅋ그들20불 기냥국밥하나각
@user-jo7bp5xb2e
@user-jo7bp5xb2e 8 күн бұрын
미국 일본은 지역별로 최저임금이 다 달라 집값 물값이 지역에 따라 다 다르죠 ㅋㅋ그래서 먹고 살기 힘들면 지방으로 가는 사람들도 있고, 도시로 올라오는 사람들도 있죠 ㅋㅋ
@star10131ify
@star10131ify 3 күн бұрын
B는 묵음이 셍각나네요😂
@user-nk9jc3xe9p
@user-nk9jc3xe9p 9 күн бұрын
미국은 팁문화가 지ㄹ 맞아~ 그냥 무조건 줘야하니...어처구니
@user-xs7xk4qq1l
@user-xs7xk4qq1l 9 күн бұрын
김원장과 이프로 케미가 맞으려나?
@user-dq6do3ri4o
@user-dq6do3ri4o 9 күн бұрын
ㅋㅋㅋ저도 이 생각 했어요
@user-ui9jd6mt6t
@user-ui9jd6mt6t 3 күн бұрын
애기동대250 동네할망들 식당 열시간3백만 ᆢ 예전 할매보다 순경두배이상 ㅎ나라가 어찌어디로가누 순경9급 겨우 최졔임금 설겆이보다 낮은ᆢ희망0 집도0 아그야 우린 너 56세 엄마85세 갈때 내집들고 가렴 ! 집이 물을 건너다
@user-yo6pn8mg8d
@user-yo6pn8mg8d 8 күн бұрын
단순히 임금만의 문제일까요? 미국에서는 해고가 쉬운 점을 생각해보십시요. 상황에 다른 내용을 고려해야 합니다.
@vnfma7
@vnfma7 9 күн бұрын
만약 최저임금 지역별 차등적용하면 한국에겐 안그래도 재앙인데 고속도로 내리막타는 방법일것
@bklee4431
@bklee4431 9 күн бұрын
미국과 한국을 비교하다니
@chsjung
@chsjung 9 күн бұрын
실질임금리 계속 내려가면 최저임금을 건드려야 합니다…
@user-ui9jd6mt6t
@user-ui9jd6mt6t 3 күн бұрын
샴펜 터뜨린 미리ㆍ그들 30년간 누리구누림 저소득저물가 뭐 나름 우리보다 낫어보임 반드시 ㅎ ᆢㅋ아기도 우리이상 낳아 해피쥬
@Tsk-ge1kb
@Tsk-ge1kb 9 күн бұрын
그렇게는 못하겠어서 KBS에서 내보내신거 아닐까요? 내수는 콩알만 한데 그마저도 줄고 수출을 못 하면 당장 기름 살 돈도 안 나는 나라의 경제구조에 대한 기본 인식도 없으니
@notek9425
@notek9425 9 күн бұрын
미국 빈곤층이 18%라고 하던데 왜 ? 최저임금은 오르고 ,일자리는 남아도는데 빈곤층은 18% ??
@heidilam1978
@heidilam1978 9 күн бұрын
미국은 일자리와 기회는 널려있는건 맞는거 같구요 살아보니까. 근데 그렇게 기회와 일자리가 널려있는데 마약중독이나 다른 나쁜길로 빠져서 빈곤층이 되는 사람도 은근 많습니다. 이게 역설적이게 나라가 잘살고 기회가 많아질수록 더 쉽게 마약이나 나쁜길로 빠지는 사람도 많아집니다. 인도, 중국같이 가난한 나라들은 마약하는 경우 굉장히 드물구요 한국도 예전 가난했던 시절보다 지금 잘사는 지금시절에 청소년 마약 문제가 더 심각합니다 옛날보다.
@shinhwijae5630
@shinhwijae5630 9 күн бұрын
국민수준이 동남아 같은 수준으로 살길 바라는 애들이 임금 인상 반대함
@uwin-rj4rj
@uwin-rj4rj 9 күн бұрын
신재생에너지가 많아서임
@dks-pi4ku
@dks-pi4ku 9 күн бұрын
임금 반으로 깍아야죠.깍는다고 물가는 내려가지않지만. 왜? 깍은만큼 누군가 그걸로 자산이 증가. 자산증가는 물가상승요인. 빈부격차는 더심해지지 임금오르면 나라망하고 기업떠난다고하면서 내소득.자산이 늘지않는것 못참는 변덕. 집값올라서 출산률감소한다고 개난리치지만 집값.부동산 떨어진다고 아우성중.
@Kettlers
@Kettlers 7 күн бұрын
한국어에서는 '깍다'가 아니라 '깎다'입니다.
@minseokkim8114
@minseokkim8114 9 күн бұрын
아부지 퇴직하고 아들이 취직한다는 말씀이 실제로 성립하는지 의문입니다. 실제 고용 관련 데이터를 함께 참고하면서 이야기해야지, 당연히 그럴 것이라고 전제하는 건 섣부른 판단이 아닐까요~
@user-dq6do3ri4o
@user-dq6do3ri4o 9 күн бұрын
ㅎㅎㅎ지금우리나라에 베이비부머 60년대생의 퇴직이 몰려온다가 큰 이슈인 거 모르시는 군요...
@minseokkim8114
@minseokkim8114 9 күн бұрын
@@user-dq6do3ri4o 아, 제 이야기의 초점은 아들의 취직에 있었습니다 ㅎㅎ
@99999aa
@99999aa 8 күн бұрын
ㅎㅎ 아들의 취직 ,,그렇지요
@user-dq6do3ri4o
@user-dq6do3ri4o 8 күн бұрын
@@minseokkim8114 ㅎㅎ네~! 하지만 아들이 취직을 하지못해도 여기서 중요한 것은 후발주자인 우리 아이들이 부모세대보다 더 부자가 될 가능성이 낮다는 얘기인 것 같습니다
@user-sc3dg4fg5k
@user-sc3dg4fg5k 9 күн бұрын
우리는 기저효과 ㅋㅋㅋ
@mk-zb8cg
@mk-zb8cg 9 күн бұрын
기업하기 힘든 나란데 무슨 임금을 올려주냐
@user-by4hq5nb2w
@user-by4hq5nb2w 9 күн бұрын
내가 비정규직이 되다보니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jacobechoi1260
@jacobechoi1260 8 күн бұрын
여기 댓글 다는 사람들은 기술력 있는 대기업 직원들은 급여 삭감하고 쉽게 해고하게 하자, 기술력 없는 중소기업 직원들은 급여 삭감하자고 하는데 이거 그냥 백수들이 취업 근로자들 저주하는거 같은데?
@user-xj2rp9hu5u
@user-xj2rp9hu5u 3 күн бұрын
ㅋㅋ 이프로는 왜 서울 부동산이 다른 지역보다 높은지도도 모르는 상식을 갖고 있네요 서울 편의점 매출과 평택 매출이 같냐? 같아질수 있겠냐?
@user-qi8nt7xs5c
@user-qi8nt7xs5c 8 күн бұрын
제조업에서 생산비에서 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주미 10%가 안됩니다
@user-eh9mu2hh4n
@user-eh9mu2hh4n 7 күн бұрын
아오 저 이프로 악독한것 레볼루숑 마렵네
@go_blueocean
@go_blueocean 9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도 세금으로 현금 직접 꽂아주는거 보다는 기업이 이윤을 직원과 나누게 만드는게 더 나은 방법 아닐까요?
@user-mv8ph3xs8v
@user-mv8ph3xs8v 9 күн бұрын
그건 최저임금과 관계없음. 상장된 기업이어야 지분을 주지 개인 자영업자가 지분이 어딧음. 그리고 지분 준다고 열심히 일 안함.
@outyou4517
@outyou4517 9 күн бұрын
그냥 듣기론 소득주도성장 하자는 이야기 같은대 과거를 보고 배움을 얻어야 될거 같습니다 전에 임금은 역대로 올랐지만 그것때문에 경제가좋아진건 모르겠습니다
@user-yi9mm6so4u
@user-yi9mm6so4u 9 күн бұрын
소득주도성장(최저임금상승)으로 사회주의(세금에 의지하는 빈민화) 혁명에 성공한 베네수엘라
@user-qk8dh9vb1x
@user-qk8dh9vb1x 9 күн бұрын
무턱대고 임금을 올리라니 어이가 없네 별 철학도 없어보이는구만
@datazerobio7260
@datazerobio7260 9 күн бұрын
미국최저임금올라가는거보니 기업들 다 죽으라고하는구나
@run-away.
@run-away. 7 күн бұрын
빅테크 2억 3억 임금 얘기는 모르쇠. 패스트푸드 20달러 얘기만 하면서 저소득자 임금 때문에 물가 오른다고?
@extrahuman9826
@extrahuman9826 9 күн бұрын
소득주도 성장을 얘기 하는 사람 불러놓고 소득주도 말이 되냐라고 얘기하면 대체 왜 부른거임?? 서로 싸우기만 하고 듣질 않는데.. 그럴거면 본인 정치성향에 맞는 사람 부르던지
@ALETHES
@ALETHES 9 күн бұрын
그냥 최저임금 10만원 하자. 100만원은 어때.
@user-yi9mm6so4u
@user-yi9mm6so4u 9 күн бұрын
김밥한 줄 10만원시대 오는가여 ????
@shoyamada-sd9ij
@shoyamada-sd9ij 2 күн бұрын
김원장.. 이 사람 답이 없는 사람이군.. 마냥 여기저기서관심끌기 위한것들만 털어대는 사람이군.. 다른 영상에서도 척만 하는 쓸데없는 말을 해서 짜증이 나던데... 최소한 여기저기 뒤져서라도 엇비슷한 제안거리라도 찾아 와야 하는데... 관심사만 주어가지고 와서 털기만 하는군... 가끔 척하면서 본인 생각을 말을해도 뒷받침 되는 논리가 없으니 바로 등돌리고 도망가버리네...ㅋㅋ
@feeltheriding380
@feeltheriding380 9 күн бұрын
효율이 오르지 않는 임금인상은 인플레이션을 유발해서 임금이 오르나 마나가 되는 거 아닌가요? 미국인들이 일을 할때의 자세를 좀 배워야 한다고 생각해요. 한국 임금이 갈길이 멀다고 생각하는 건 아니죠? 무조건 많이 받아야 한다는 논리는 영 맞지 않다고 생각해요.
@user-fb3zv9be7x
@user-fb3zv9be7x 9 күн бұрын
한국은 항상 일정부분의 최고 와 비교 임금은 미국 복지는 스웨덴 소고기 가격은 아르헨티나 무상교육은 독일 언론의 자유는 프랑스.... 이러니 헬 코리아 되는거지. 시민 단체만 신나고
small vs big hoop #tiktok
00:12
Анастасия Тарасова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Жайдарман | Туған күн 2024 | Алматы
2:22:55
Jaidarman OFFICIAL / JCI
Рет қаралды 647 М.
Sprinting with More and More Money
00:29
MrBeast
Рет қаралды 190 МЛН
삼성전자 위기론의 실체 f. KBS 서영민 기자 [심층인터뷰]
1:03:08
중국 은행들이 필사적으로 숨기는 이것 (KB증권 박수현 팀장)
1:04:04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186 М.
small vs big hoop #tiktok
00:12
Анастасия Тарасова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