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 6일 만에 결정된 미 지상군 한국 파병, 그 신속한 결정의 비밀은?

  Рет қаралды 18,285

Everything Box TV, [God of War

Everything Box TV, [God of War

Күн бұрын

1950년 6월 25일, 6.25 전쟁 발발.
단 3일만에 서울을 함락하는 북한군.
그러나 모두의 예상을 깨고 미국은 단 6일만에 미 지상군 파병을 결정합니다.
해, 공군 지원이 아니라 지상군 파병은
이제부터는 한국의 싸움이 아니라 미국의 싸움이 된다는 의미.
1950년 1월 12일, 애치슨 선언을 통해 대만과 한국을
극동 방어선에서 제외할 정도로 한국을 중시하지 않았던 미국.
그런 미국은 왜 6일 만에 지상군 파병을 결정하게 되었을까?
1950년 6월 25일부터 미 지상군 파병 결정이 내려진 1950년 7월 1일까지
우리가 몰랐던 감동적이고 흥미로운 역사의 현장으로 여러분을 안내합니다.
✅ 구독하기
👉 / @war-history
✅ 6.25 전쟁 컨텐츠 재생목록: • 6.25전쟁 (한국전쟁)
✅ [자발적 시청료계좌]: 국민은행 442802-01-064997 (예금주 : 이X민)
✅ 광고 및 비즈니스 문의: lwc76@naver.com
💛회원가입을 통한 혜택과 커피한잔 후원💛
👉 / @war-history
00:00~00:25: 하일라이트
00:26~04:14 : 극동방어선에서 제외된 한국, 그런데 왜 미군은 그렇게 일찍 개입했을까?
04:15~05:03 : 이승만 대통령의 노력
05:04~06:05 : 트루먼의 움직임
06:06~06:51 : UN의 움직임
06:52~08:53 : 가장 적극적으로 움직인 맥아더
08:54~11:21 : 한국을 방문한 맥아더, 그리고 국군병사와의 감동적인 약속
11:22~12:09 : 우물쭈물 하지 마라!
12:10~12:57 : 미군을 보고 우리는 충격을 받았다 (북한군 대좌의 증언)
#이승만#애치슨라인#맥아더

Пікірлер: 203
@war-history
@war-history 3 ай бұрын
김일성: 미군은 절대 빠르게 개입하지 못할 것이다. 본 컨텐츠는 100% 정확한 기록에 기반하였습니다. 6월 25일 전쟁 발발 그리고 6일 후인 7월 1일 미 지상군 파병 결정. 끝까지 이 컨텐츠를 보신다면 이 사실 자체가 엄청난 기적이었음을 깨닫게 되실 것입니다.
@user-xb3rb2xu1v
@user-xb3rb2xu1v 2 ай бұрын
님컨텐츠에이승만은천재구국민만생각하구외교는킹왕짱인듯근데펙트는국군통수권자가자국에군사력도모르고전쟁발발후국무위원개팽개치구경호원두면만대리고대구까지빤스런대전으로컨백라디오로북진중이라구개라싸울준비개소린
@jinkyuhong4507
@jinkyuhong4507 2 ай бұрын
​@@user-xb3rb2xu1v뛰어쓰기 바람.
@xu2usu2ue77
@xu2usu2ue77 Ай бұрын
읽기가 어렵네요.
@17park19
@17park19 3 ай бұрын
맥아더는 대한민국을 구원한 미국의 명장이며 영웅이다.
@user-nz5dj3zb5m
@user-nz5dj3zb5m 3 ай бұрын
1909년에 이승만이 소령 맥아더를 첨 만났을때 언젠가 이 군인의 도움을 받는날이 올 것 같다 라는 생각이 들었다고합니다
@I_Hate_HandIe
@I_Hate_HandIe 2 ай бұрын
​@@user-nz5dj3zb5m우 상 숭 배
@REDSTAR-009
@REDSTAR-009 2 ай бұрын
맥아더 장군이 대한민국의 은인은 맞지만... 1차 대전 끝나고 생존한 참전군인들 연금 좀 달라고 시위 했다가 공산주의자로 찍어놓고 무력진압 지휘 및 지시하고 진압금지라는 대통령 말 생까기까지 하신 분이라..
@user-mz3ho4cm8v
@user-mz3ho4cm8v 2 ай бұрын
​@@REDSTAR-009그건 아메리카의 사정일뿐이자나요.미국 국내 사정도 꽤 복잡하죠
@blossomcinema772
@blossomcinema772 3 ай бұрын
맥아더 장군님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user-nz5dj3zb5m
@user-nz5dj3zb5m 3 ай бұрын
1909년에 이승만이 소령 맥아더를 첨 만났을때 언젠가 이 군인의 도움을 받는날이 올 것 같다 라는 생각이 들었다고합니다
@user-lg1fq8xe7x
@user-lg1fq8xe7x 2 ай бұрын
나라를 지키려는 그런 의지가 있는 국민에게는 하늘도 돕는다
@user-sy1jw1hc9n
@user-sy1jw1hc9n 3 ай бұрын
저 맥아더와 한국군 병사와의 대화는 실화다. 조금 윤색을 하기는 했지만. 오래전 공영방송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던 KBS가 청주에 살고 있는 저 병사를 만나서 인터뷰를 했다. 맥아더가 참 기특하게 생각했을 것이다.
@leo-cu3hg
@leo-cu3hg 3 ай бұрын
프로파간다 구라라 본다
@user-sy1jw1hc9n
@user-sy1jw1hc9n 2 ай бұрын
@@leo-cu3hg kbs에서 인터뷰 취재를 해서 방영했다니까? 내가 이를 기억하는 이유는 그 이전에 이 일화를 듣고 나도 님처럼 프로파간다라고 생각했기 때문. 근데 우연히 시청한 프로그램에서 저 병사가 나오니 신기해서 기억함. 이름은 모르겠고 당시 청주에 사는 분이었음.
@user-ce5sz1pr8y
@user-ce5sz1pr8y 2 ай бұрын
니가 하는 말이 왜 북한 인민냄새가 나냐?
@user-pj1iv7hp9y
@user-pj1iv7hp9y 2 ай бұрын
고 신동수 하사의 실제 이야기 입니다
@user-mz3ho4cm8v
@user-mz3ho4cm8v 2 ай бұрын
이런 용어를 쓴다는 자체가 조선족 아니면 스파이들이라는 증거!
@tassader3317
@tassader3317 3 ай бұрын
이래서 지상군 이 투입 해야하는구나 공군,해군 지원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보니
@qwerty85620
@qwerty85620 3 ай бұрын
아무리 봐도 앞으로도 한국같이 미국의 성공한 나라 키우기는 더 이상 없을듯
@user-ix8dp9xs9i
@user-ix8dp9xs9i 3 ай бұрын
과거의 대한민국이 그랬고 지금의 우크라이나가 그렇듯 싸울 의지만 있다면야 돕겠다! 하는 것이 미국의 방침인 것 같아요
@user-sy1jw1hc9n
@user-sy1jw1hc9n 3 ай бұрын
그렇지요. 베트남과 아프간은 vice versa의 게이스.
@NewingCore
@NewingCore 3 ай бұрын
대단한 애국자 ,... 세계 통일의 주역...
@J-unique68
@J-unique68 3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war-history
@war-history 3 ай бұрын
03:10 꼭 9년전, 일요일 아침에 똑같은 전화를 받았다라는 것은 1941년 12월 7일 (일) 진주만 공격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joda1223
@joda1223 3 ай бұрын
맥아더의 결정이 대단히 큰 영향인듯 함 맥아더는 너무 짬밥이 높아서 대통령도 함부로 못 대하는 인물이라....
@user-sanaekochiya
@user-sanaekochiya 2 ай бұрын
이력도 이력이지만 맥아더 빼곤 아시아통이 없음
@user-sy9kf9kc7l
@user-sy9kf9kc7l 3 ай бұрын
오늘 잘봤습니다!
@user-ci8ns6tf3q
@user-ci8ns6tf3q 3 ай бұрын
현재 극동 아시아 안보가 유럽보다 더욱 절실하게 필요할때 입니다.!!🙏🙆‍♂️🙋‍♂️💕💕😊
@KK-wr4xu
@KK-wr4xu 2 ай бұрын
충성! 고귀하신 우리 호국 영령님들께 항상 감사하고 있습니다. 거룩한 우리 대한민국 국군 선배님들 좋은 곳에서 영면하시길 바랍니다.
@user-ol1up8zn4d
@user-ol1up8zn4d 2 ай бұрын
김일성하고 당시 소련이 미국을 너무 쉽게 본것 같습니다. 미군정하고 독립지원해준 국가를 말이죠. 냉전구도에서 그렇게 쉽게 포기할리가 없다고 봐요 지금 정으니도 정신 똑바로 안차리면 우리도 엄청나게 피해보겠지만 김씨 족속 씨가 마를 거임.
@war-history
@war-history 2 ай бұрын
1950년 당시 미국이 오매불망 중요하게 여겼던 지역은 유럽이었습니다. 아시아에서는 맥아더가 군정 통치를 하고 있는 일본을 빼고는 다른 국가는 잘 알지도 못했고 관심조차 없었습니다. 아마도 김일성은 이 모든 것을 계산에 넣었던 것이겠지만 이 컨텐츠에 나온대로 대한민국은 운이 너무나 좋았습니다.
@kiteblack4360
@kiteblack4360 3 ай бұрын
트루먼은 미군의 참전은 경찰활동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이유는 전쟁참전은 의회결정사항이라 의결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부결될수도 있어 , 행정부결정으로 처분이 가능한 경찰활동이라고 규정해 버린 것입니다
@msbae-bf6sz
@msbae-bf6sz 2 ай бұрын
"이런 군인"이 없던 남베트남은 패망했구요~!
@user-zr2zn9vh5z
@user-zr2zn9vh5z 3 ай бұрын
미군의 전력 특히 공군은 6.25가 발발하자 마자 38선 이북의 공장지대 그리고 철도에 폭격을 합니다. 이때 정확한 폭격으로 북한군의 활동이 제한되고 1사단 작전지역에 오폭을 하여 연대장이 부상을 입고 우리군도 피해를 보며 작전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탄약수송 열차를 평택에서 폭격 105mm 포병탄이 폭발 불이 나고 훗날 구형 105mm M3은 대구 전투 부터 전량교체 됩니다. 해공군에게 태평양은 자신의 작전지역이었고 이 지역에서 밀리면 미 본토를 지켜나가는 데 큰 부담이 있기에 절대 내주지 않을 것이며 일본이나 오키나와는 해 공군 기지로 예나 지금이나 중요하고 일본 도쿄 근교의 요코다 기지가 우리나라의 오산기지의 역할을 합니다. 당시 미지상군은 현역이 많지 않았기에 예비역을 소집하고 각종 군사학교의 교관과 조교들도 태평양을 건너고 새로운 교리를 이용한 작전을 펼칩니다. 오산의 죽미령 전투는 단순한 미 지상군이 아니고 유엔군의 이름으로 가장 처음 싸운 전투이고 침략자인 북한군을 막기 위한 큰 의미의 전투였고 여기서 패배한 미군은 대규모 지상군을 보내고 미국의 우방국이나 이들의 도움이 필요할 수 있는 국가 또한 지상군이나 지원부대를 파견합니다.
@user-rt1xt6qm8u
@user-rt1xt6qm8u 3 ай бұрын
만물상자님 극동방위선 한국 🇰🇷 빠진게 미국 🇺🇸 빨리 개입했을까요😮🤔😨?!
@user-ug2eh3nr3e
@user-ug2eh3nr3e 3 ай бұрын
사람들이 오해하는데 극동 방위선은 1950년에 만들어진 개념이 아닙니다. 애치슨 국무장관이 말해서 애치슨라인이라고 말하지만 이 극동방위 라인은 1946년에 처음 만들어진 겁니다.
@user-je7sw3uu9x
@user-je7sw3uu9x 3 ай бұрын
애치슨 라인은 그냥 소련과 중국을 자극하지 않을 정도의 미국 립서비스 아니었나 싶습니다. 미국입장에서 라인을 굳이 중국과 대만사이와 한반도 38선으로 굳이 그을것 까지는 아니었을거라 생각됩니다. 1950년때는 이미 미국도 소련의 핵개발이 어느정도 성과가 진행되고 있었다고 파악하던 상황이고 2차대전이 끝난지 얼마안되서 일거라 생각됩니다. 그걸 북한과 소련이 애치슨 라인을 오판한거라 생각듭니다.
@user-lu8no2le4z
@user-lu8no2le4z 3 ай бұрын
한반도가 세게의 중심은 아닙니다. 대만도 제외되어 있었습니다. 미국이 강한 해군으로 최소한의 자원 투입으로 최대의 국익을 챙길수 있는게 에치슨라인입니다. 지금 생각해도 틀린 말은 아닙니다.
@user-xb3rb2xu1v
@user-xb3rb2xu1v 2 ай бұрын
아니요미국은한국은아에안중에없었습니다무슨미국은천사처럼생각하는지가스라테프트조약이나도교전범제판을보면그냥지들이익있음개판치는쌩양아치일뿐이구신탁통치도미국이주장한거잔아
@user-mz3ho4cm8v
@user-mz3ho4cm8v 2 ай бұрын
​@@user-lu8no2le4z한반도는 세계의 중심이었고 중심이며 중심이 될겁니다!약 40여년후 고토 수복전쟁의 수뇌부가 될것입니다!
@user-mz3ho4cm8v
@user-mz3ho4cm8v 2 ай бұрын
한반도의 호랑이는 이미 뛰어서 달릴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user-fo5eb5bj9l
@user-fo5eb5bj9l 3 ай бұрын
잘보겠습니다
@myoo7093
@myoo7093 3 ай бұрын
만물상자님 성우출신이신가 ㄷㄷㄷ 들으면 익숙한 목소리네요. 김기현 성우님 같기도 하고...목소리하나는 끝장이시네요, .ㅎ 언제나 재밌게 보고있습니다. 올해10만 가즈아아~!!!
@war-history
@war-history 3 ай бұрын
응원의 말씀 감사드립니다.
@user-mz3ho4cm8v
@user-mz3ho4cm8v 2 ай бұрын
역시 이분도 그렇게 생각하셨네...쥔장 목소리가 꼭 성우같으시다니까요.
@sjyoon0603
@sjyoon0603 3 ай бұрын
감동 만땅! 전쟁의 신님! 구독자 많이 늘었네여. 축하드려요! 앞으로도 좋은 영상들 부탁드립니다!
@war-history
@war-history 3 ай бұрын
응원의 말씀, 감사드립니다.
@minkyukim6941
@minkyukim6941 3 ай бұрын
우리 양산 달님께서 아주 아쉬워하셨던 사건이지요......
@user-ss432
@user-ss432 3 ай бұрын
그래서 문재앙 이죠
@user-mz3ho4cm8v
@user-mz3ho4cm8v 2 ай бұрын
가야의 후예들 자체가 다 문제!
@user-eu9hl2xu4r
@user-eu9hl2xu4r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대한민국 의 자유와 민주주의 를 위해 희생하신 모든 참전용사분들께 감사드립니다
@user-vf7en3nd8c
@user-vf7en3nd8c 3 ай бұрын
지금은 한국전쟁을 연재하고 있는데 끝나면 아마도 월남전을 연재하실듯 하네요.
@we8974
@we8974 3 ай бұрын
모 강사는 미군이 일으켰다고 애들을 꼬시고 있징ㅛ.
@RMZEU
@RMZEU 3 ай бұрын
황현필이라고 왜 말을 못해요 ㅋㅋㅋㅋ 런현필 그놈 으이그 ㅋ
@user-mz3ho4cm8v
@user-mz3ho4cm8v 2 ай бұрын
​@@RMZEU고소당할수 있거든요.그러니
@user-mz3ho4cm8v
@user-mz3ho4cm8v 2 ай бұрын
방송이란게 뒷배경과 지원없인 못하는거니까
@RMZEU
@RMZEU 2 ай бұрын
@@user-mz3ho4cm8v / 고소 안 당해요 ㅋㅋㅋㅋㅋㅋㅋㅋ 황현필 구라쟁이 뻥강사라고 대놓고 저격하는 유투버들이 얼마나 많은데 ㅎ 고소하려면 걔들을 고소하지 뭔 일개 댓글러를 고소해요
@user-zl5gq4sh7u
@user-zl5gq4sh7u 2 ай бұрын
예나 지금이나 한국이든 미국이든 우물 쭈물하고 답답한 일처리 진짜 많았고 ㅜ 누구 하나가 총대 매고 큰 소리쳐야지 큰 일을 이룰수 있다는걸 이번 영상을 보고 통감하며 ㅜㅜ 맥아더 장군님 개인의 신념 덕분에 한민족 절반이라도 김일성의 노예 신세를 면했네요 ㅠㅠ 맥 장군님 감사합니다 😢 ㅠㅠㅠㅠ 😭
@war-history
@war-history 2 ай бұрын
1950년 6월 29일 밤, 한국에 대한 정찰을 마치고 돌아간 맥아더. 그런데 10:55 에 날아온 전문이 흥미롭습니다. 공군으로 북한군을 공격해도 좋다! 그런데 이미 맥아더는 어제부터 공군에 공격명령을 내린 상태. 그러자 맥아더는 새벽 3시에 우물쭈물 대지말고 확실히 하라고 화를 냈고 그때서야 미 합참은 대통령을 허락을 받게 됩니다. 정확히 1시간 57분 후에 지상군 투입을 허락합니다.
@user-zl5gq4sh7u
@user-zl5gq4sh7u 2 ай бұрын
@@war-history 어휴 ㅠㅠ 진심 맥아더 장군이 아시아 방면을 맡으면서 지역 현실에 대해서 너무나도 잘 알고 반공 정신 투철한 덕분에 지금 이정도라도 버티고 있지 맥 장군님 아니였으면 대만,한국 진작에 적화 되고 일본 열도도 절반정도 적화 되던지 ㅜ 일본도 무사하지 못했을거임. 아시아 공산화 막은 공로자이자 영웅.
@war-history
@war-history 2 ай бұрын
@@user-zl5gq4sh7u 많은 분들이 이것을 모르고 있습니다. 1950년 6월 25일 이전 맥아더는 한반도에 그 어떤 권한도 의무도 책임도 없었습니다. 맥아더는 이승만의 초청으로 대한민국 건국 기념식에 참석했는데 그것은 이승만의 초청일 뿐이었습니다. 아마 미국의 유명 인사 중에선 거의 유일하게 참석한 사람일 것입니다. 맥아더 장군은 일본 헌법을 만들고 일본을 다스리는 군정 책임자였습니다. 그런데 6.25전쟁이 터지자 그때부터 초대 UN군 사령관이 됨으로써 한국에 대한 권한이 처음 생겼던 것입니다. 아니 엄밀히 말하면 정식으로 UN군 사령관이 되기 전에 이미 독단으로 움직였던 인물이었습니다. 대통령 허락 없이 자기 휘하의 공군을 투입시켰거든요.
@user-mir9711-no.1
@user-mir9711-no.1 2 ай бұрын
너는 무슨일 생기면 총대메고 앞장서는거지????
@hyungjinsung
@hyungjinsung 2 ай бұрын
그 병사는 어른이 아닌 소년병 같은 어린 나이대의 병사였고 한강 방어선에서 후퇴 하지 않고 있던 병사였습니다.
@war-history
@war-history 2 ай бұрын
1950년에 6월 29일에 소년병은 없었습니다. 정규 국군병사 신동수입니다. 당시 21세입니다. 아주 어린 나이는 아닙니다. 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1175226 이미 전사 기록에 다 나와 있습니다.
@dsfetds9911
@dsfetds9911 2 ай бұрын
@@war-history2017년에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에서 신동수 일병은 맥아더 장군을 만났던 병사가 아니라고 공식적으로 발표했었습니다. [바로잡습니다] 본지 2006년 6월 24일자 A9면 '6·25 직후 맥아더를 감동시킨 일등병 찾았다' 외 이 문구로 검색해 보면 조선일보 정정기사가 나옵니다. 조선일보 정정기사에 신동수 일병 소속이 8연대로 오타가 있는데 수도경비사령부 예하 제18연대로 이 부대의 한강 방어선 배치 시점이 맥아더 장군의 한강 방어서 시찰 시점과 맞지 않아서 원천적으로 조우할 수가 없었습니다. 조금만 검색하면 신동수 일병이 맥아더 장군 만난 병사가 아니라는 정정보도 등 쉽게 찾을 수 있었는데 앞으로 팩트 체크 좀 더 철저히 해 주시기 바랍니다.
@user-gr5zd6ky6k
@user-gr5zd6ky6k 2 ай бұрын
백선엽장군을 나까무라로 모는이유는 대한민국을 지켜서 그런말을 합니다 도마토들이
@user-mz3ho4cm8v
@user-mz3ho4cm8v 2 ай бұрын
백제와 가야의 후예들이 원흉이죠.
@user-og4ny2is4o
@user-og4ny2is4o 3 ай бұрын
우리는 UN을 주도한 미국과 맥아더 장군에 감사해야 ,, 그이전에 이승만 대통령의 빛나는 업적을 인정해야할것--1953년 7월 27일 휴전협정아후 1953년 10월에 체결돤 한미상호방위조약은 현재까지 한국의 안보를 지탱해오고 있다
@user-ir6ws6pb2u
@user-ir6ws6pb2u 3 ай бұрын
이승만대통령의 외교력이 없없다면 대한민국은 100%공산화가 되었을 나라엿지요 자랑스런 건국대통령
@user-kt5ew6js9v
@user-kt5ew6js9v 2 ай бұрын
이것은 우리가 원치 않는 휴전협정을 언제라도 무효로 만들 수 있다는 이승만의 강력한 의지의 표현이었다. 반공포로의 일방적 석방에 세계는 깜짝 놀랐다. 아이젠하워 美 대통령은 즉각 비난성명을 발표했고, 면도를 하고 있던 처칠 영국 총리는 이 소식을 듣는 순간 면도기를 손에서 떨어뜨렸다고 한다. 휴전을 간절히 바라고 있는 미국으로서는 이런 조건들을 수락하지 않을 수 없었다. 휴전협정 조인 후 UN군사령관 클라크는 이 과정을 이렇게 표현했다. "적군 보다 이승만 대통령이 더 힘들었다." 1953년 7월 27일, 3년 넘게 진행됐던 전쟁이 끝나고 휴전이 이루어졌다. "이로써 이승만은 북진통일의 꿈을 포기하는 대가로 한반도에서 전쟁이 재발하면 미국의 자동개입을 보장받고, 70만 대군을 보유하는 아시아의 군사강국으로 부상하는 기반을 마련하는 데 성공했다." 1953년 10월 1일 워싱턴에서 한미상호방위조약은 공식 조인되었으며, 1954년 1월 15일 한국 국회가, 1월 26일 미국 상원이 비준함으로써 정식으로 발효되었다. 이승만 한미(韓美)상호방위조약… "누대(累代)에 걸쳐 혜택 볼 것" www.mediapen.com/news/view/144033 kzbin.info/www/bejne/b5inhaaGjKhqgLs
@ThePreAction
@ThePreAction 3 ай бұрын
맥아더 장군이 얼마나 은인인지 그리고 맥아더를 잘알고 계셨던 이승만 대통령님께 감사드립니다.
@user-zs7eb5uc9r
@user-zs7eb5uc9r 3 ай бұрын
수도를 버리고 국민에게 거짓말한 승마니를 뭐 어째? 어이구야 ....
@RMZEU
@RMZEU 3 ай бұрын
​@@user-zs7eb5uc9r/ 국민에게 거짓말한 적 없다 날조, 왜곡, 은폐, 모함하지 마라
@RMZEU
@RMZEU 3 ай бұрын
​@@user-zs7eb5uc9r/ 이승만은 3일이나 버티다가 인민군이 서울 언저리까지 내려왔을 때 피신했다 ㅡ..ㅡ 김일성은 평양 함락 일주일 전에 이미 평양 버리고 튀었고 아예 국경을 넘어 길림성 통화라는 곳까지 Run했지 ㅋ
@user-kt5ew6js9v
@user-kt5ew6js9v 2 ай бұрын
@@user-zs7eb5uc9r 김일성이 소련제 고급승용차 볼가를 타고 평양을 떠난 것은 국군이 평양에 입성하기 1주일 전인 10월12일이었다. 이승만 대통령은 서울이 함락되기 하루 전인 6월27일 새벽 3시경 특별열차를 타고 서울을 떠났다. ‘특별열차’라니 대단해 보이지만, 좌석의 스프링이 튀어나와 있을 정도로 낡은 객차들을 급히 편성한 것이었다. 김일성은 청천강변에 이르러 자동차를 버리고 도망했는데, 이 차는 나중에 국군에게 노획되었다. 김일성은 자신이 평양을 떠나기 이미 열흘 전에 아들 김정일과 딸 김경희를 만주 장춘(長春)으로 피난을 보냈다. 김정일은 만주 길림학원에 입학, 1952년 말까지 2년 동안 초등학교 과정을 중국에서 공부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히틀러의 침략을 받은 네덜란드와 노르웨이는 왕실과 정부를 영국 런던으로 탈출시켰다. 이들은 런던에서 독일 침략자들에 대한 항전을 지휘했다. 왕실과 전쟁 전 민의에 의해 수립된 합법정부가 영국에 있는 한, 나치가 수립한 정권은 불법적인 괴뢰정권이 될 수밖에 없었다. 폴란드 역시 정부 및 군부의 요인들이 영국에 망명정권을 수립해 대독(對獨)항전을 이끌었다. 프랑스의 경우는 일개 임시 육군 준장으로 국방차관이었던 샤를 드골이 영국에 망명정권을 수립했다. 이들 망명정권은 대독항전의 구심점이요, 국가정통성의 상징이었다. www.newdaily.co.kr/site/data/html/2015/06/28/2015062800033.html
@kdwni03
@kdwni03 3 ай бұрын
싸울의지가 강했내요 근데 탄약이 열흘안에 떨어진다니......😢😢😢 한미상호방위조약 주한미군 없는대신 공격용무기좀주지....😢😢😢
@user-xb3rb2xu1v
@user-xb3rb2xu1v 2 ай бұрын
군국통수권자란작자가계속되는국지전이있었는데도기본적인탄약도비축도안했다는게개쓰레기지
@kdwni03
@kdwni03 2 ай бұрын
@@user-xb3rb2xu1v 😢😢😢
@kdwni03
@kdwni03 2 ай бұрын
@@user-xb3rb2xu1v 대비도 안하고
@kdwni03
@kdwni03 2 ай бұрын
@@user-xb3rb2xu1v 38선 근처에 지뢰.대전차지뢰를 깔았어야했음
@user-mz3ho4cm8v
@user-mz3ho4cm8v 2 ай бұрын
세계대전이 끝난지 얼마 안되서 또 전쟁을 벌이긴 싫었던거죠.그건 쏘비에트도 마찬가지!다만 한족넘들은 자기네 골칫거리들을 처리할 곳이 필요했던거고...내전 직후라 반대파와 우민들이 많이 남아있어서 어떻게든 없애야 했으니까.!마오가 대인배라지만 하나의 xx일뿐이고.욕심이 어마어마 했거든요.
@user-jv7ge8mk8v
@user-jv7ge8mk8v 2 ай бұрын
美國이 대단하다. 남의 나라평화를 위해 많은 美 군인이 남의 나라에서 전사. 감사합니다.
@user-kr8fd7yu7p
@user-kr8fd7yu7p 2 ай бұрын
예전에 나래이션으로 자주 활동하던 분 맞지요? 드라마에도 몇번 뵈었던것 같아요. 얼마전에 정철영어라고 댓글달았었습니다만.. 한샘국어와 착각했었어요. 지금 ebs 다큐프라임에 나오는 나래이션 분인것 같기도 합니다!
@DreamOn_TV
@DreamOn_TV 2 ай бұрын
미국없이도 중국+북한 도는 러시아+북한과 최소 1년은 싸울 수 있는 자주국방력을 키워야 합니다
@user-mz3ho4cm8v
@user-mz3ho4cm8v 2 ай бұрын
그건 불가능 입니다.차라리 중국 주변 우리 민족의 국가들과 연맹을 맺은뒤 일을 진행시키는게 좋을겁니다.도이치제국을 본받는게 옳겠죠
@user-kt5ew6js9v
@user-kt5ew6js9v 2 ай бұрын
박정희 대통령 말씀이, 피를 덜 흘리는 해공군은 동맹국이 도와주겠지만, 피를 많이 흘리는 지상군은 아닐 것이니 우리가 자주국방을 해야 한다 라고 말씀하셨소이다. 가만히 앉아있으면 육군으로 입대하게 되는 건 다 이유가 있습디다.
@user-ci8ns6tf3q
@user-ci8ns6tf3q 3 ай бұрын
이승만 정부는 역사적으로 재평가를 받아야 한다.!!🙏🙆‍♂️🙋‍♂️💕💕
@user-ci8ns6tf3q
@user-ci8ns6tf3q 3 ай бұрын
이 대통령의 하야를 촉발했던 3.15부정선거가 있기는 하였지만 공과사는 역사의 판단에 맡겨두고 이 대통령을 부정적으로 왜곡하고 폄하 해서는 안되겠다.!!​@@penguien
@jhya1208
@jhya1208 3 ай бұрын
@@penguien 대한민국의 건립, 농지개혁, 50년이후 대한민국발전의 초석이었던 한미상호보조약을 맺은 능력과 의지, 의무교육실시, 실험용 원자로를 도입 등 대한민국의 토대를 쌓은 공은 위대한 것이죠. 집권 후기 부통령선거에 대한 부정선거로 인해 하야 한 것은 오점이지만, 장면정권의 무능을 보면 이승만 대통령이 정권을 놓을 수 없다는 생각이 맞았다고 봅니다. 이후 박정희 대통령이 집권하여 대한민국이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한 것이죠.
@RMZEU
@RMZEU 3 ай бұрын
​@@penguien/ 뭘 어떻게 평가함? ㅡ..ㅡ 대한민국 건국대통령! 말그대로 國父 어르신이지 ㅎ ㅡ..ㅡ (1)해방직후 국민의 70프로가 공산주의에 막연히 호감을 품고있던 상황에서 공산게릴라들이 총들고 폭주하고 전국에서 파업 때리는 그 개판 소용돌이에서 이승만 혼자 공산주의 나쁜 거라고 그 길로 가면 모두가 노예의 삶을 살아야 된다고 혼자 목터지게 외치며 멱살 잡고 하드캐리해서 반도의 남쪽 절반에서나마 태극기 꽂고 대한민국 건국했고, (2)농지개혁을 해서 지주자본이 산업자본으로 바뀌는 초석을 놨고, (2)해방직후 문맹률이 80프로가 넘는 상황이었는데 초등교육을 의무교육으로 해서 단기간에 문맹률 떨어뜨렸고, (3)휴전협정 후 아이젠하워 대통령한테 온갖 꼬장 다 부린 결과 한미상호방위조약이라는 말도 안되는 조약을 따냈고 ㅋ ㅡ..ㅡ 한미상호방위조약 없었으면 한강의 기적? 어림도 없었음 ㅡ..ㅡ 태평양전쟁 끝나고 중국대륙 상황과 한반도 상황이 비슷했음 ㅡ..ㅡ 대륙에선 장개석과 모택동이 내전을 벌였고 반도의 남쪽에선 이승만과 박헌영이 내전을 벌였음 ㅡ..ㅡ 장개석은 패해서 대만섬으로 밀려났지만 이승만은 승리해서 대한민국을 건국했지
@RMZEU
@RMZEU 2 ай бұрын
@@penguien / 그거면 됨 ㅋ 까놓고 말해서 한미상호방위조약 따낸 것 그거 하나만으로도 나머지 모든 과(過)? 다 덮고도 남음 ㅋ ㅡ.,ㅡ
@RMZEU
@RMZEU 2 ай бұрын
@@penguien / 일단 밥술이나 뜨고 나서 그 이후에나 민주주의인 거임 ㅋ 못사는 나라 저개발국들 중에 민주주의 제대로 작동하는 나라 있기는 해요?
@user-jc3zi9ul2r
@user-jc3zi9ul2r 3 ай бұрын
트루먼의 초스피드 참전 개입은 처음에는 사소한 결정으로 보였으나 이는 미국의 미래를 결정지었다!
@javaxerjack
@javaxerjack 3 ай бұрын
지금 생각해 보면 가장 최악의 시나리오는 작은 2차 세계 대전이 터지는 상황인데, 결국 터지긴 했죠. 그리고 더 최악은 결국 전범 좋은 일만 해줬다는거
@user-hy4wv1zz9z
@user-hy4wv1zz9z 3 ай бұрын
전쟁을 예상하고 있었지
@sangchoonan6010
@sangchoonan6010 2 ай бұрын
영어로 미국에 전화를해서 미국을주문한거여 누가? 리승만 박사께서 누구한테 매카서장군한테
@user-ss432
@user-ss432 3 ай бұрын
미국의 빌리그래함 목사가 미국 대통령에게 남한에 기독교인들이 많다면서 강력히 촉구해서 빨리 개입하게 된 것입니다. 이 부분 따로 편집해서 영상에 올려주세요.
@user-nz5dj3zb5m
@user-nz5dj3zb5m 3 ай бұрын
이승만의 친구 해리스목사가 절친 트루먼에게 전화해서 한국을지켜야한다고 닥달
@user-rk4uw9se3g
@user-rk4uw9se3g 18 күн бұрын
09:40. 명장면
@war-history
@war-history 18 күн бұрын
사실 이 때 북한군 쪽에서 포탄이 날아왔는데 맥아더만 피하지 않고 가만히 서서 망원경으로 쳐다보고 있었다고 합니다.
@user-qf3wz7vh7p
@user-qf3wz7vh7p 3 ай бұрын
미국은 대한민국 건국이 아니라 정부수립에 기여한 것이에요. 맥아더장군 덕분에 오늘날 우리가 있습니다.
@jhya1208
@jhya1208 3 ай бұрын
국민이 없고 국토가 없던 임시정부가 국가가 아니죠.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정부도 아니고요. 그래서 김구가 한국에 들어올 때 임시정부 주석으로 들어온 것이 아니라 일반 국민으로 들어온 것이죠. 그러므로 1948년에 대한민국이 수립된 것이죠. 다만 한민족의 독립된 국가를 가지겠다는 임시정부의 정신을 이었을 뿐이죠.
@user-xc7xy6to7r
@user-xc7xy6to7r 3 ай бұрын
대한민국 건국일은 1948년 8월 15일이 맞습니다 . 당시 상해임정은 전 세계 어느 국가도 대한민국 정부로 인정 안했고 지금까지도 인정한 국가는 단 한곳도 없어요 . 오로지 좌익 세력만의 뇌피셜로만 대한민국 정부일뿐 ..
@user-xc7xy6to7r
@user-xc7xy6to7r 3 ай бұрын
1919년 상해임정의 실체는 ? 처음 조직될때는 비록 수십명이 모여서 3권분립을 내세운 정부조직의 모습이었지만 몇년도 못가 완전히 공중분해 되었고 결국은 김구 유일체제의 독립투쟁 조직으로 목숨을 이어갑니다 . 왜 공중분해 되었을까요 .. 아주 간단해요 .. 겨우 몇십명이 모여서 국가조직 비슷한 형식을 만들었으니 이걸 보고 우리는 모래성 또는 사상누각이라 하지요 .
@user-xc7xy6to7r
@user-xc7xy6to7r 3 ай бұрын
참고로 왜 상해임정이 망명정부로 전혀 인정을 못받았을까요 .. 한반도 내의 저항조직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 2차대전때 임시정부로 인정받은 프랑스나 폴란드 등은 망명정부들이 자국내 저항조직을 통솔했기 때문이에요 .. 연합국이 한반도 사람들을 철저하게 일본인 취급한게 바로 이런 이유때문입니다 .. 한반도 내에서 일본과 치열하게 싸운 저항조직이 없다는 이유 ..
@RMZEU
@RMZEU 3 ай бұрын
48년 광복절은 단순히 정부수립일이 아닙니다 건국일이 맞습니다 ㅎ 1998년에 방영된 최수종이 주연한 드라마 이 건국 50주년 기념 드라마였어요 역산해보세요 .. . 건국연도가 몇 년인지 ㅋ ㅡ.,ㅡ 그리고 1998년에 대통령이 누구였는지도 확인해 보시구요
@suwhalcha5034
@suwhalcha5034 2 ай бұрын
스미스 특임대
@war-history
@war-history 2 ай бұрын
영상 맨 마지막에 스미스 특임대의 오산 죽미령 전투가 추천영상으로 등록되어 있습니다.
@user-tg2tn3ww3i
@user-tg2tn3ww3i 2 ай бұрын
사실...미국분들 행동이...이해가 안가는 면이 있긴 합니다. 걸음마단계에 있는 신생국군에 무기 좀 넘겨주고 철수...에치선 라인에서 전격 제외... 전쟁나니까 부리나케 참전 등...그 속을 누가 알겠냐마는...^^
@war-history
@war-history 2 ай бұрын
이 컨텐츠가 그 의문에 대한 답이 될 것입니다. 인류의 역사는 우연과 우연의 연속이다. 2차대전의 트라우마 때문에 한국의 사태를 미리 막아야 한다고 생각했던 트루먼, 마침 출범한지 5년 밖에 안되어 나름 역할을 하고자 했던 UN, 그리고 맥아더가 우연히 만난 국군병사의 대화 등등.
@user-mz3ho4cm8v
@user-mz3ho4cm8v 2 ай бұрын
정치.외교적인 이유입니다...
@user-mz3ho4cm8v
@user-mz3ho4cm8v 2 ай бұрын
​@@war-history한국동란시 아메리카의 정권이 민주당이었나요?
@user-kt5ew6js9v
@user-kt5ew6js9v 2 ай бұрын
@@user-mz3ho4cm8v 6.25 동란시 트루먼 대통령이었으며 민주당이외다. 루스벨트 대통령이 급사하는 바람에 부통령에서 대통령이 되었다오. 대학중퇴의 성깔진 시골농부 출신. 남침 뒤에 스탈린이 있다는 것을 간파하고 보고 받은 즉시 미군 파병을 결정하였다오. 한 마디로 대한민국을 구한 인물. 일본에 원폭 두 방 떨군 것도 이 양반.
@youngwoolim6033
@youngwoolim6033 14 күн бұрын
625영웅 김홍일 장군얘기가 왜 없죠? 초기 채병덕휘하의 현지사수 명령땜에 무질서로 패주하던 1사단 등 모아서 성공적 한강방어전을 이뤘는데... 그양반덕에 5일인가룰 번게 초반 결정적인 분기점
@war-history
@war-history 14 күн бұрын
맥아더 장군이 6월 29일 전황을 살피러 왔을 때 "남한에는 인구가 많습니다." 2백만을 징집하여 북한군을 막아내겠습니다! 라고 큰 소리쳤던 채병덕 총참모장. 그러나 맥아더 장군의 건의로 그는 해임당합니다. 다른 컨텐츠에서 이 때 100점 답안은 한강방어선을 치고 미군 지원을 기다리겠습니다! 이었을 거라는 언급을 했었습니다. 바로 그렇게 한 사람이 말씀하신 김홍일 장군이었습니다. 하지만 이 컨텐츠는 제목 그대로 미국이 빨리 지상군을 파병한 직접적 이유가 주제기 때문에 김홍일 장군 이야기는 다른 컨텐츠에서 다루도록 할 것입니다.
@mjkim9193
@mjkim9193 3 ай бұрын
딴거 없음. 리승만이가 외국인 부인 잘 얻어서 참전시킨거임. 리승민 부인이 친필로 유럽에 호소했음...리승만이보단 리승만 부인이 큰 역활을 했음. 인조도 선조도 자국민을 폭파시켜 죽이진않았으니까. 대국민사과라도 했어야 하지만 대국민살해를 인정 자백하는꼴이니 하지 않았던거지.
@velociraptor7871
@velociraptor7871 2 ай бұрын
이런 영상을 황현필이가 봐야 하는데.
@singingpony0517
@singingpony0517 2 ай бұрын
미국이 방어선을 발표한다면, 미군이 주둔하는 영토에 한정할수밖에 없다. 이미 독립하고 미군이 철수한 한국과 대만을 포함시킨다면 그자체가 해당국의 주권을 부정하고 제국주의 당시의 보호국이라고 비난 당할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러니 이러한 방위선을 굳이 발표한것이 잘못이다. 굳이 발표하여 공산국들이 오판을 하게 만든것 자체가 큰 잘못 이었다.
@user-su4gd7hu3k
@user-su4gd7hu3k 3 ай бұрын
이승만대통령님의 외교력이죠 즉각도움요청하고 미국과 인연도있었고 미국은 즉각적으로 군대를 보내준거죠
@sangyeolkim2725
@sangyeolkim2725 2 ай бұрын
맥아더장군의 강력한요청대로 중공에 핵폭탄을 던졌음 아니면 10월1일 국군과 미군이 같이 북한으로 진격하거나 청천강에서 원산라인을 유지 했거나 했음 북한에 수많은 미군 국군 유엔군 전사자가 없었을텐데요 6사단 청성부대 사령부 직속부대 사병으로 97년에 전역한 제가 봤을때 아쉬움만 남네요^^
@user-rg6ns4wb2w
@user-rg6ns4wb2w 2 ай бұрын
리지워이 워커 하지 밴플리트 이외 모든 미군과 유엔군 장병들께 감사드립니다 그러나 경적필패의 아이콘이자 경계실패의 대명사인 맥장군님 만큼은 뭐라 드릴말씀이 없네요 인천상륙작전도 켈로부대등 수많은 한국인 첩보부대들의 초인적인활약이 없었다면 과연 성공했을까요?
@user-kt5ew6js9v
@user-kt5ew6js9v 2 ай бұрын
켈로부대 등 수 많은 한국인 첩보부대들의 초인적인 활약이 있었던들 맥 장군이 없었다면 인천상륙작전이 과연 성공했을까? 성공은 커녕 기획도 못 해봤을 거외다.
@ulrichkesler1220
@ulrichkesler1220 3 ай бұрын
미제국 육군원수인 매카더 원수 각하께서 나오시는데 미제국 해병대 찬가가 나오니 재밌네요 ㅋㅋ
@user-gj8ln7un4t
@user-gj8ln7un4t 2 ай бұрын
미국 대통령 장군들의 이름을 붙여서 군함 전차 이름을 짓는데 맥아더는 왜 없는지 궁금하네요? 밉상으로 찍혔나요? 찍혔으면 왜 찍혔는지 궁금하네요?
@war-history
@war-history 2 ай бұрын
채널에서 여러번 다뤘지만 맥아더 장군은 중국과 전면전을 해서라도 한반도를 통일하는 것이 미국에 이익일 것으로 봤습니다. 그러나 트루먼은 극동의 한반도가 그 정도로 중요한 곳이라고 생각하질 않았습니다. 이 점을 확실히 알아야 당시 상황이 이해가 될 것입니다. 그런데 아이러니한 것은 해임당한 후 맥아더 장군은 인기가 치솟았으나 트루먼은 아예 대통령 출마도 포기할 정도로 인기가 바닥을 쳤다는 점. 당시에도 미국 그리고 필리핀, 일본 국민들 사이에서는 최고로 인기였지만 정작 미국 국내 정치인들에겐 그만한 인기를 못 누렸다는 것이 맞습니다.
@user-cv1qo9ls1f
@user-cv1qo9ls1f 2 ай бұрын
미헤군 군함에 장군, 그것도 육군장성의 이름을 붙이려면 뭔가 미해군의 인정을 받을 정도로 미해군에게 도움이 되던가 해야죠. 맥아더는 2차대전때 딱히 미해군과 화기애애할 뭐가 없습니다. 오히려 감정이 상하면 상했지... 전차도 주로 기병이나 기갑에서 두각을 보인 장성들 이름이 붙었는데 맥아더는 딱히 기병, 기갑 전술과 연관이 없습니다. 1차대전때의 전쟁영웅이지만 2차대전때는 원수로서 총지휘를 했지 야전에 나설 일이 없었죠.
@user-rg6ns4wb2w
@user-rg6ns4wb2w 2 ай бұрын
9:10 이대통령께서는 대전에서 서울사수 가라방송후 부산까지 한걸음에 달리셨습니다 즉, 6월 29일에 수원에 계셨을 가능성은 없습니다 자료화면에도 이대통령은 찾지 못하겠습니다 쫄보 양반이 맥아더 만나러 수원까지 오셨을것 같지는 않은데요.....?
@war-history
@war-history 2 ай бұрын
본 채널은 있는 그대로만 다룹니다. 이제는 좀 믿고 이런 댓글은 달지 않기를 바랍니다. 맥아더 장군이 왔는데 이승만이 안왔겠습니까? 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4478307 채널의 컨텐츠가 얼마나 정확한지 알 수 있는 KBS특종기사입니다.
@user-rg6ns4wb2w
@user-rg6ns4wb2w 2 ай бұрын
만물상자님 항상 좋은 컨텐츠 감사히 보고 있습니다 제가 몰라서 여쭤본것인데 제 말투가 거칠었나 봅니다 회담위해서 오셨었나 봐요? 만물상자님 말씀 믿겠습니다 죄송합니다 제가 몰라서 그랬습니다
@user-mz3ho4cm8v
@user-mz3ho4cm8v 2 ай бұрын
쫄보든 뭐든 이승만씨의 상징성은 상당한것입니다.무엇보다 대한 제국 황실의 계승자라는게 그것이죠!근데 이승만씨는 미국물이 들어서 황실에 대한 계승의지가 없었고 이북도 김일성씨는 그 사실을 알릴 마음도 인정할 생각도 없었던거죠.대체적으로 정치적 이유란겁니다.
@dsfetds9911
@dsfetds9911 2 ай бұрын
만물상자님 말씀을 믿고 이런 개념이 아니라 6월 29일 수원비행장에서 맥아더 장군 만나는 이승만 대통령 영상이 남아 있습니다.
@user-rg6ns4wb2w
@user-rg6ns4wb2w 2 ай бұрын
@@dsfetds9911 말씀 감사합니다
@kingjungsu
@kingjungsu 2 ай бұрын
내 소원은 후진국 북한의 땅크를 깨부수는 무기가 아니라 세계최강인 미국 땅크를 깨부수는 무기입니다.
@user-xb3rb2xu1v
@user-xb3rb2xu1v 2 ай бұрын
정말이승만에대한구라욱~~
@user-su7vi3dw7x
@user-su7vi3dw7x 2 ай бұрын
이승만이가 수원서 만났다구요? 다시 알아보십시요ㅜㅜ
@seung5520
@seung5520 2 ай бұрын
검색좀 해보고 댓글을 달아야죠 29일 수원비행장 영상도 남아있구만..
@joe-qw5rv
@joe-qw5rv 2 ай бұрын
좌선생은 본인들 믿고 싶은 것들만 믿고 싶겠지
@salut3719
@salut3719 2 ай бұрын
빨갱이 새끼야 뭐든 이승만 까고 싶겠지.
Backstage 🤫 tutorial #elsarca #tiktok
00:13
Elsa Arca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He tried to save his parking spot, instant karma
00:28
Zach King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
Thầy Như Ngộ và Thầy Dược Minh ngủ trưa dưới gốc cây
0:27
ỐNG KÍNH MIỀN TÂY
Рет қаралды 28 М.
러시아가 30년 동안 고전한 의문의 전쟁!
9:18
함께하는 세계사
Рет қаралды 204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