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년 만에 대한민국에 있는 모든 학교가 바뀌는 이유 (feat. 2022 신상 교육 과정) / 스브스뉴스

  Рет қаралды 144,814

스브스뉴스 SUBUSUNEWS

스브스뉴스 SUBUSUNEWS

Жыл бұрын

종이로 된 교과서가 당연했던 세상에서 태블릿 PC가 교과서인 세상으로, 학교를 둘러싼 모든 환경이 달라지고 있습니다.
급격히 바뀌는 교육 환경의 속도에 맞춰 대한민국 학교에 큰 변화가 있을 예정입니다. 7년 만에 개정되는 교육과정, 어떤 내용이 달라졌는지 스브스뉴스 영상에서 확인하세요.
✔ 뉴스에는 위아래가 없다, 스브스뉴스
- 스브스뉴스 링크 -
Facebook : / subusunews
Instagram : / subusunews
홈페이지 : news.sbs.co.kr/news/subusuNew...

Пікірлер: 373
@user-vl7sw2nw1w
@user-vl7sw2nw1w Жыл бұрын
교육과정만 바꾸지 말고 제발 수능부터 좀 바꿨으면 좋겠음. 수능이 안바뀌면 교육과정 바꿔봐야 뭐가 달라질까 싶음. 결국 대학 갈려면 수능 쳐야하는 학생이 많은데 우리나라는 대학 가는걸 필수로 생각하고 그럼 교육과정을 아무리 바꿔봐야 결국 수능을 위한 교육으로 되돌아오게 되어있다고 생각함. 수능은 절대 안건들면서 교육과정 바꾸고 교육혁명 일으킨다? 진짜 말도 안됨 장난하나 진짜
@user-lm4fq3wi7g
@user-lm4fq3wi7g Жыл бұрын
수능을 없애고 뭘 해봐야 좋은 대학과 소득 높은 직업은 정해져있고 경쟁은 달라지지 않음. 대학이라는 개념 그니까 연세대 고려대 이런 이름이랑 전형을 다 통일해서 그냥 대학 전체를 하나의 명칭을 가진 교육기관으로 일원화해야됨. 소득도 월 500만원 상한선 두면 좋겠음
@user-vl7sw2nw1w
@user-vl7sw2nw1w Жыл бұрын
@@user-lm4fq3wi7g 아이고... 저는 수능을 >없애는< 것이 아니라 수능을 >바꿔야남들보다< 잘해야 할 필요가 사라지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경쟁도 해소할 수 있다고 봅니다. 그리고... 민주/자본주의 사회에서 월급 상한은 조금... 맞지 않다고 봅니다. 오히려 세금을 올리고 저소득층 지원을 확대, 이를 통한 기회의 확대가 오히려 맞지 않을까 싶어요. 월급 상한을 정하는 것은 많이 버는 사람에게 실이 될 뿐 저소득층에게 직접적인 도움은 없을 것 같아 보이거든요. 물론 장기적으로 본다면 도움이 될지도 모르겠지만, 현재 제가 보기에는 그렇게 보이네요ㅎㅎ
@user-td8sc1gk9g
@user-td8sc1gk9g Жыл бұрын
@@user-vl7sw2nw1w 이번 22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28학년도 수능부터는 수능 시스템이 크게 변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dmsqlths16
@dmsqlths16 Жыл бұрын
​@@user-td8sc1gk9g28학년도 수능보는 09들...
@user-tj7vk2yf7g
@user-tj7vk2yf7g Жыл бұрын
@@user-lm4fq3wi7g 대학교를 대폭 감소시켜서 진짜 학문에 뜻이 있는 사람들만 가게 해야함. 취업간판 대학이 아닌, 연구기관으로써의 대학
@user-sn4sg4ni5j
@user-sn4sg4ni5j Жыл бұрын
입시와 공교육 사이의 괴리를 줄이지않은 이상 무슨 짓을해도 학교는 변하지않는다
@melon1453
@melon1453 Жыл бұрын
입시가 그대론데 교육과정 바꿔봤자 의미가 없는
@rickgrimes4087
@rickgrimes4087 Жыл бұрын
대학교 졸업을 어렵게 만들면 될듯 기존 수능은 시간내에 절대 못푸는 유전문제 같은건 빼고, 1년에 2번, but 대학 졸업을 어렵게
@wender_maker
@wender_maker Жыл бұрын
사교육과 공교육은 대립관계가 아니라 공교육의 질에 따른 수요의 반비례 관계 아닌가요? 공교육의 질과 정책이 좋아지면 자연스럽게 사교육이 필요 없어지겠죠
@user-ui8bc8bi8h
@user-ui8bc8bi8h Жыл бұрын
기본적으로 공교육 질이 너무 안 좋음 학바학이지만 대치동에도 자격미달인 선생도 꽤 있고 사교육이 있을수밖에 없는게 선생들을 정예멤버?로 꾸리자니 아무도 지원 안 해서 페이등 대우를 높이는수밖에 없는데 돈이 너무들고 사걱세말 듣자면 ㄹㅇ 나라 20년컷임 그사이 모호한 결국 경계점사이에 사교육이 어케되든 올수밖에 없음
@user-fk5kr9gx6q
@user-fk5kr9gx6q Жыл бұрын
괴리를 줄이려고 수시를 만들었는데 이건 또 불공정하다고 폐지하려고 함.. 난리법석
@user-vp6hl9yk3m
@user-vp6hl9yk3m Жыл бұрын
생각하는 인간을 만드는 교육을 하면 됩니다. 그동안 인간을 부품으로 만들던 교육은 싸그리 집어 치우고, 지금같은 21세기에 필요한 것은 부속품 인간이 아닌, 창조할 수 있는 인간이 필요한 시대이니까. 그리고 사실 지금도 많이 늦었죠.
@ily6485
@ily6485 Жыл бұрын
그니까 그걸 어떻게 할건지가 문재죠 그런 뜬구름잡는 듣기 좋은 말은 초등학생도..
@wender_maker
@wender_maker Жыл бұрын
많이많이 늦었죠
@user-vp6hl9yk3m
@user-vp6hl9yk3m Жыл бұрын
@@ily6485 못하면 계속 그대로 가는 거구요. 인적자원밖에 없는 이 나라에서는 아마 이 길 밖에는 방법이 없을 겁니다. 이보다 더 좋은 방법이 있다면 또 모르겠지만
@wender_maker
@wender_maker Жыл бұрын
영상속에서 맞는 말을 하고는 있지만 솔직히... 현실을 직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느낌이 드는건 사실이네요. 현재 교육은 옛날이랑 다른 것 없는 수준이고 조금씩의 정책만 바뀌고 있고 방향은 그대로 인것 같아요. 고교학점제를 도입하면서 자신의 진로와 맞는 과목을 선택할수 있다고 하는거 부터가 참.... ㅎㅎ 참 그렇죠 뭐 좋은 방향으로 나아갈려고 하는 것 같기는 한데 세계 변화에 따른 적응이 아닌 혁명이 일어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user-vp6hl9yk3m
@user-vp6hl9yk3m Жыл бұрын
@@wender_maker 실례로 빌게이츠가 컴퓨터 황제소리들을때는 빌게이츠처럼 되야 한다고 난리쳤고, 스티븐 잡스가 아이폰 애플히트치니까 잡스처럼 되야한다고 난리쳤고, 이상호가 알파고 제꼈을때는 이상호처럼 되야한다고 난리쳤던 나라입니다. 꼭 누구처럼 되고싶다는 것만 있었고, 남들처럼 따라하는 것만 있었죠. 이런 환경에서 창조적, 자주적인 사고방식을 가진 인재가 나온다? 아마 백만년(?)이 지나도 어림도 없을듯 합니다.
@navvvi1543
@navvvi1543 Жыл бұрын
자취방,전.월세집구하는법,주택청약,주식,적금 등 이전교육과정에서 가르쳐주지는 않았지만 혹은 미흡하거나 다소 부족했지만 사회생활하면서 실생활에서 꼭 필요한 것들도 반영되면 좋겠습니다.
@EoungsiotEoung
@EoungsiotEoung Жыл бұрын
통장 관리나 생성같은 것도…
@user-sv7xz6jk6k
@user-sv7xz6jk6k Жыл бұрын
이런걸 실과나 기술가정 수업에서 도와줄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Glaysia
@Glaysia Жыл бұрын
기술가정에서 이런거 잘 가르침
@EoungsiotEoung
@EoungsiotEoung Жыл бұрын
@@Glaysia 안알려줌
@siboyul
@siboyul Жыл бұрын
고2때 정치와 법 교과서에 좀 있던거로 기억. 임대차계약 어쩌고로 실용적인거 가르쳐달라는 사람들이 많은데 의외로 요즘 교과서엔 그런 내용이 찾아보면 있습니다.
@user-cn5ux9tl2l
@user-cn5ux9tl2l Жыл бұрын
일단 '교육의 궁극적 목표는 대학'이라는 통념이 먼저 무너져야 할 것 같습니다. 영상에 소개된 2022 개정교육과정의 추상적 지향점은 저도 긍정적으로 생각하지만, 이상적으로 실현될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결국은 사회가 바뀌고, 대학이 바뀌고, 그 다음에 교육이 바뀌어야 비로소 우리가 원하는 교육이 실현될 것 같습니다.
@user-cl7jr1zf6b
@user-cl7jr1zf6b Жыл бұрын
정말 동감하는 부분입니다..
@user-qi1md4qx8j
@user-qi1md4qx8j Жыл бұрын
사회가 바뀌고 대학이 바뀌고 교육이 바뀌어야된다는 말에 동감합니다.
@Yorphderck
@Yorphderck Жыл бұрын
추가로 초등학교 교과서에 윤석열 정부의 무능도 적어줬으면 ㅎ.. ㅋㅋㅎ.. 인권감수성을 갖춰야 할 대한민국 국. 민이 노동조합을 탄압하는 윤석열을 보고있으니 막막합니다. 교과서에서 보수는 경계해야할 대상으로 적어둬야 합니다
@hungryboy995
@hungryboy995 Жыл бұрын
@@Yorphderck 정치병 걸린 놈이 어디서 정치적으로 편중된 사상을 어린이들한테 주입하려고
@nyange2123
@nyange2123 Жыл бұрын
@@Yorphderck 그거 병이에요
@user-fg7uc5sg1i
@user-fg7uc5sg1i Жыл бұрын
제발 이과 수/과학 양 줄이지 마세요... 입시랑 교육과정이 따로 놀게 하지 마시구요ㅠㅠㅠ
@protect_pangil
@protect_pangil Жыл бұрын
@성이름 수2도 선택과목 됐고 전국민이 배우는건 이제 수1까지임 ㅋㅋ 걍 나라 망했다 생각하면 된다
@user-gv9vi9xi6m
@user-gv9vi9xi6m Жыл бұрын
엥? 원래 전통적으로 국민기본공통과정은 고1까지였어요 그래서 검정고시도 고1 수학까지만 나오는데
@guik2021
@guik2021 Жыл бұрын
@@protect_pangil개정 교육과정에 수2는 없고 공통수학2도 전국민이 배우는 과정인뎁쇼
@user-om8cz3bc2d
@user-om8cz3bc2d Жыл бұрын
@@protect_pangil 아닙니다. 현재 고1이여서 아는데 수1은 문이과 성적 같이 내고 수2는 따로 냅니다. 문과 학생들은 2학년 1학기에 수1, 확통을 배우고 2학기에 수2를 배웁니다. 이과 학생들은 1학기에 수1, 수2를 배우고 2학기에 미적분을 배웁니다. 수2가 선택과목은 맞지만 결국에는 전교생들이 다 배우도록 되어있습니다. 나라 망했다는 생각은 하지마세요
@user-yz4tm5vb7p
@user-yz4tm5vb7p Жыл бұрын
@@protect_pangil 수2가 선택...?
@user-ub7po6mo3b
@user-ub7po6mo3b Жыл бұрын
사회를 살아가면서 꼭 필요한 지식들에 대해 교육이 강화되면 좋겠다는 의견이 많네요. 경제 (부동산, 세금, 주식, 보험 등) 법률 (임대차법, 근로기준법, 민법기초 등) 안전 (재해예방, 재난훈련, 응급처치 등) 정치 (정치과정, 사회제도, 국제관계 등)
@volle_sonne
@volle_sonne Жыл бұрын
독일식 도제교육을 하기에는 한국에서 수능이라는 제도의 힘이 너무 큽니다. 결국 어떤 교육이든 수능의 힘이 지금과 같다면 학교에서 제대로 다뤄주지 않는 수능공부를 위해 사교육이 더 커질 수 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도제교육도 중요하지만 그보다는 일반 상식 혹은 주식, 금융, 부동산, 주택청약, 엑셀 등 당연히 알아야하지만 모르는 것들이 너무 많습니다. 선진 제도에 대한 무조건적인 벤치마킹보다는 대한민국 시민으로 살아가면서 필요한 지식들이 더 우선이라고 생각합니다. 21세기 창조의 시대에 디지털화된 인간도 중요하지만 디지털화된 컨텐츠를 생산하려면 영상을 만드는 방법보다 컨텐츠를 생산할 수 있는 인문학적 창의력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dr_1990
@dr_1990 Жыл бұрын
ㄹㅇ 학교교육은 실용성 제로임ㅋㅋㅋ
@user-bj8ew4zc7z
@user-bj8ew4zc7z Жыл бұрын
그냥 그저 줄세기우기 위한 교육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님
@user-hx9xg2bd3z
@user-hx9xg2bd3z Жыл бұрын
02년생으로써 바뀌는 교육과정들을 직격타를 맞았는데 어차피 최종목표는 대학 입시여서 과목이 아무리 다양해져도 어차피 그 대학에 갈려면 기본으로 이수해야하는 과목들이 있어서 예전이랑 다를게 없던데요 전 이과인데 말로만 통합이였지 이과과목은 다 듣고 사회과목도 1~2개는 필수로 들어야해서 사회수업때는 다른 공부하는시간으로 대신했죠 음.... 입시가 변하지 않는데 학교에서 아무리 바꿔봤자 학생들은 생각할게 더 많아져서 힘들었어요 과목들이 일정학생이 안모여서 내신산출이 어렵고 1등급이 1명 2등급은 2명 이런식으로 경쟁은 더 치열해지고 가끔은 1~2등급 다 사라지고 3등급부터 시작할때도 있어요 취지는 좋은데 너무 이상적인 교육론아닌가 싶네요
@gugugu1240
@gugugu1240 Жыл бұрын
역량중심 교육과정... 말은 좋죠...
@InOS-ex6hb
@InOS-ex6hb Жыл бұрын
다음 교육과정에는 사회초년생도 개편에 참가시켰으면 좋겠다. 필요한게 무엇인지 제일 잘 아는 세대
@deullee1168
@deullee1168 Жыл бұрын
정치 역사와 참여 실습 하는 과목과 재난 상황 등 위기대처를 위한 안전교육 실습 등도 가르쳐주었으면 좋겠어요. 심폐소생술, 소화기 사용법, 엘리베이터 정지 시 대처방법, 기본 수영 등. 더이상 아이들이 허무하게 죽는 일 없고, 또 그 아이들이 커서 다음 아이들을 살릴 수 있는 사람이 될 수 있게 기초교육으로 들어갔으면 좋겠네요.
@user-dp9nu4qo5n
@user-dp9nu4qo5n Жыл бұрын
보건.
@user-gv3oq8gy3k
@user-gv3oq8gy3k Жыл бұрын
저 교대생인데여 지금도 하고있어요
@user-zt2so6gk8y
@user-zt2so6gk8y Жыл бұрын
다 함 제대로 안들어서 그렇지..
@dayspring3536
@dayspring3536 Жыл бұрын
가정, 사회, 과학, 체육, 기술 등의 과목에 내용이 다 들어있어요. 문제는 입시에만 매몰되어 있거나 중요한 과목 아니라고 안듣죠;;;
@Seoyun-by9hb
@Seoyun-by9hb Жыл бұрын
심폐소생술 수행평가 보긴봅니다... 소화기 사용법 이런 것도요... 근데요 논술로 봤어요 책을 달달 외워서 서술형으로 글지어서 내요..
@user-xz3qy5br5o
@user-xz3qy5br5o Жыл бұрын
지금 이론교과는 잘 운영하고있으니까 예체능을 좀 제대로 교육하길.. 예체능 쪽이 너무 부실함… 학교를 통해 전국민이 생활스포츠를 즐기게 개혁해야함 손흥민 같은 선수가 많으려면 엘리트 체육이 아니라 전국민으로 대상을 확대해야함.. 그래야 니들이 말하는 k pop도 퍼질 수 있음 한류는 어짜피 결국 식고 우리나라는 인지도 바닥칠거임.. 스포츠를 통한 돈 벌이 뿐만아니라 대외적 대내적으로 큰 이득을 얻길
@sunset__02
@sunset__02 Жыл бұрын
대학까지 다니면서 느낀 거지만.. 세금, 보험, 주식 등 진짜 실생활에 필요한 것을 좀 더 가르치게 하는게 좋을 듯...
@protect_pangil
@protect_pangil Жыл бұрын
국뽕 파시즘 주입하는 한국사 집어치우고 그자리에 경제를 필수과목으로 넣으면 된다
@lIlIlIlIlIlIlIlIlIlIlIlIlIllII
@lIlIlIlIlIlIlIlIlIlIlIlIlIllII Жыл бұрын
@@protect_pangil 한국사 은근 재밌는데
@user-no9ui2mv1h
@user-no9ui2mv1h Жыл бұрын
주식이 무슨 실생활에 필요한거야? ㅋㅋㅋㅋㅋㅋㅋㅋ 니가 물려있으니까 필요하다고 뒤늦게 느낀거지
@chodol
@chodol Жыл бұрын
전문대나 직업전문학교를 가셈
@user-wk6uo1ct9e
@user-wk6uo1ct9e Жыл бұрын
@@protect_pangil반은 맞음ㅇㅇ 국뽕팔이를 존나하긴 함
@user-go4qo4kd3k
@user-go4qo4kd3k Жыл бұрын
학교에서 주요과목 말고도 사회에 나가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자취방을 어떻게 구하고, 주식등) 가르쳐줬으면 좋겠음 솔직히(지극히 내 생각임) 국영수 국어 는 쓰는거 말하는거(맞춤법 잘지키기), 수학은 돈계산,확률 같은거 구하는거 하고 영어는 말하기랑 쓰는거랑 기초 문법만 해도 된다고 생각함 외국인이랑 대화할때 학교에서 배운 문법써서 말하면 오히려 못알아 들을 때가 더 많음
@user-be8eu8to4z
@user-be8eu8to4z Жыл бұрын
애매하게 가면 더 안 좋아질거 같은데 저렇게 해서 제대로 하려면 수능도 폐지하고 등급제도 폐지하고 다른걸로 가야됨 애초에 수능하고 수시로 대학가려고 고등학교 다니는건데 이게 안 바뀌면 무슨소용임? 그리고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수업이 되게 하려면 아이들이 이것이 내 인생에 도움이 되는가를 알아야 되는데 수능이 더 중요한데 이거를 굳이 열심히 하려고 하지는 않을듯. 정책은 한 방향으로 가야지 여러갈래로 가면 답이 너~~~~~무 없음
@user-md5ii1gk6r
@user-md5ii1gk6r Жыл бұрын
그렇지만 우리나라 교육의 문제점은 교육과정이 자주 바뀐다는 것입니다.
@온공
@온공 Жыл бұрын
큰 틀만 본다면 09개정 15개정 22개정 으로 6-7년 마다 바뀌는데 적용시기가 한 번에 안 바뀌어서 그렇게 느낄 수 있죠
@user-vi5lz6et7u
@user-vi5lz6et7u Жыл бұрын
이건 진짜 ㅋㅋㅋ 무슨 정권만 바뀌면 뜯어 고쳐서 ㅋㅋㅋㅋ 하도 바뀌어서 99년생은 역사가 교육과정에서 사라져서 따로 보충수업으로 배우고, 수학도 교육과정 몇개가 아랫학년으로 내려가서(백분율, 할푼리 등) 배울 수 없어서 또 따로 배움 ㅋㅋㅋㅋ
@jewooksong2802
@jewooksong2802 Жыл бұрын
다른 과목은 모르겠는데 과학만은 7년 주기도 너무 길다는 느낌이
@user-vp6hl9yk3m
@user-vp6hl9yk3m Жыл бұрын
심지어 IMF 터진 원인이 국민들의 과소비때문이라고 애들 교과서에 버젓이 실어놓고 가르치던 교육이니 뭐..
@user-md5ii1gk6r
@user-md5ii1gk6r Жыл бұрын
@@user-vp6hl9yk3m 저는 그 사건하면, 비정규직의 등장, 안정적 일자리 선호(이공계열 수재들의 의대 선호 현상, 공시 열풍),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 격차 심화, 우리 작물 종자가 해외로 넘어간 것을 떠올립니다.
@dr_1990
@dr_1990 Жыл бұрын
일단 이미 교육 다 받은 우리들이 상대적으로 멍청이가 되더라도 지금 교육 받는 아이들 나중에 교육 받을 아이들에겐 우리같은 교육을 하지 않도록, 실용적인 부분들을 더하여 적극적으로 개혁했으면 하는 바람이 있음
@raining_blue
@raining_blue Жыл бұрын
대학을 다른 나라 처럼 입학을 쉽게 졸업을 어렵게 하면 좋겠습니다. 입학은 상대적으로 쉬워 학생들이 원하는 진로에 따라 교육받지만 졸업은 어렵게 하여 제대로 교육이되고 특히 자신의 분야에 진정한 뜻이 있는 사람들을 분별해낼 수 있는 방향성으로 흘러간다면, 수능 위주로 흘러가는 교육 보다는 자신이 스스로 원하는 방향성을 탐구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교육과정이 어떤 식으로 바뀌든 이미 정형화된 입시에서 추구하는 방향이 달라지지 않는다면 변화는 없을 것 입니다 현재 융합인재 창의 인재를 추구한다고 하지만 교육과정 및 평가 방법만이 단순히 바뀐다고 해서 그런 인재가 나올 수 있을까요? 어떤식으로 배우냐 보다는 왜 배우냐가 더 중요하지 않을까요?
@parkcharis8270
@parkcharis8270 Жыл бұрын
이번만큼은 공무원들이 대충하지말고 각계각층의 다양한 사람들의 목소리와 현장의 실제 목소로를 귀담았으면합니다. 그리고 내신 시험의 퀄리티좀 높여야합니다. 이를위해 내신시험도 검증시스템을 도입해야 합니다. 출제오류와 낮은 시험문제로 공부의 질이 떨어집니다
@user-es3jw5lr1r
@user-es3jw5lr1r Жыл бұрын
요즘 범죄나 갑질 또는 사내 괴롭힘 때문에 정신적 스트레스를 안고 사는 사람들이 대부분인데 이런 일이 좀 줄어들게끔 인성 교육을 필수 교육 과정에 넣었으면 좋겠어요. 인성이 쓰레기라서 사람들한테 피해 보고 다니는데 학력이 높기만 하면 무슨 소용일까요.. 그러니 자라나는 아이들에게 공부만 해봤자 성격이 안 좋으면 나가리다 라는 교육을 시키게 인성 점수를 학생기록부에 작성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user-go6vc1ln9s
@user-go6vc1ln9s Жыл бұрын
수능도 바뀌면 좋겠네요. 애초에 우리 모교 3~7명인데 학생 중심 1:1될 수 밖에... (방금 방송에서 "교육교부금?"제도 개편하고 우리 물품 구매시 세금도 줄여들고 해야...)
@byeongjey
@byeongjey Жыл бұрын
금전적인 부분에대한 교육강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함 세금, 예금,적금, 청약,등 이런부분이 졸업 후 가장 처음으로 다가오는 관문인데 이걸 갈쳐주는데가 아무데도 없음 솔직 돈 관련된건 수학때 원리합계하면서 가장 많이 배운듯 ㄹㅇㅋㅋㅋ
@hjdAG
@hjdAG Жыл бұрын
저렇게 해봤자...ㅎ 듣기좋은소리일뿐? 학원에선 똑같이 애들 가둬놓고 주입식. 그리고 그게 시험 점수 내기에 효과도 좋음. 경험중심?학생중심? 학력 격차만 더 가저올듯. 글고 현장 교사한테 너무 많은 짐을 지우시네.
@bbogjigg1034
@bbogjigg1034 Жыл бұрын
책도 내년부터는 다 개정되는거겠죠? 다른과목들은 그렇게 변화가 크지않아서 2015년 개정 계속 써도 괜찮은데 고1 통합사회는 진짜 가관이에요. 7년쯤 되면 업데이트 할만도 한데 교과서에서 그나마 "최신","현재" 라고 하는게 2016년 2월 뉴스자료입니다ㅋㅋ 한 예시를 들면 저출산 문제 아직도 교과서는 합계 출산율 1.25라고 표기합니다. 자산관리 파트도 시대에 한참 떨어지고.. 말씀대로 세상은 빠르게 변하니까 내년 교재가 어떻게 업뎃 될지 기대되네요
@user-ui8bc8bi8h
@user-ui8bc8bi8h Жыл бұрын
현역이 쓰자면 수능-애들가르긴 대학에서 본고사로 가르더라도 무조건 있어야함 (난이도는 과목마다 지금하고 비교하면 조금씩 다르게) 교과과정-엄청 늘려야함(자기가 전공하는거에 맞춘다해도) 뭐 님들말대로 세부특기살리는건 좋은데 그것도 기본기가 있을때나 쓸수있는거임 예를들어 야구로치면 시속 155로 던질수있어도 제구가 안 되면 쓸모가 있음? 감아차기가 엄청 좋다해봐야 볼터치가 약하고 체력이 10분도 제대로 못뛰면 아무것도아님 수능이 지금하고 달라도 있어야하는이유는 대학에서 가르키는거 알아들을수준이상은 되어야하기때문임 (타임어택 심한거 특히 생명은 많이 바뀌긴해야함) 토론을 늘려야한다 하는데 지금 스팀에서 토론있을때 애들 뭐하는지앎? 10분 꺼무위키찾아보고 의견제시하고 왔던내용 계속 돌아가서 물어뜯기임 에들머릿속에 제대로 토론할 능력이있어야 빛을보이지 든것도 없는데 무작정시키면 안됨
@user-ui8bc8bi8h
@user-ui8bc8bi8h Жыл бұрын
만약 사교육비 감소가 목적이면 정시를 대폭확대해야하고 ㅇㅇ 본인은 근데 이걸 다 떠나서 대학이 서성한,입지가 큰 지거국정도로 줄어들어야한다 생각함 대학은 정말 전문성있는 학문을 가르치거나 엘리트교육기관 정도로 높아져야한다 생각함 뭐 지금도 어느정도는 그러지만 대학이 다가아니라 기업입사할때 강력한 스펙정도로만 쓰이면 좋겠고 국가나 공인기관밑에서 실제 업무와 관련성이 높은걸 가르키는곳이 많아졌으면
@user-bj8ew4zc7z
@user-bj8ew4zc7z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지금 대학은 취업을위한것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지 난 공부할때마다 특정한 학문에 뜻이 있는것도 아닌데 왜 대학에 가기위해서 ㅈ빠지게 공부해야하는지 이해가안됨 어차피 존나게많은 과에 가봤자 대다수는 그냥 회사에 취업할텐데 ㅋㅋ 이나라는 대학이라는 것부터 바꿔놔야함
@user-xo5wl2ry6x
@user-xo5wl2ry6x Жыл бұрын
​@@user-bj8ew4zc7z 취업을 위해 대학가면 안 됨? 왜? 그럼 삼성전자는 반도체 설계 인력을 어디서 구하며, 현대차에서 자동차만들고싶은 사람은 기계공학을 어디서 배움?
@user-tz4ot4zu6x
@user-tz4ot4zu6x Жыл бұрын
경제와 정치와법을 선택과목이 아니라 초등학생때부터 필수과목으로 넣어야 한다고 본다
@user-st7rs9qr9l
@user-st7rs9qr9l Жыл бұрын
고교학점제가 잘되면 좋을텐데 걱정되네요... 현재 문이과 통합이라 하지만 여전히 학교에서는 이과와 문과반을 암묵적으로 가르고 배우는 과목도 다릅니다. 수능도 사실상 이과 문과 치는 과목이 다르죠. 학생들이 원하는 과목을 골라듣는 고교학점제.. 취지는 좋지만 과목 골라듣기보다는 고교학점제라는 타이틀만 추가된 똑같은 수업이 될것 같네요... 결국 수능을 쳐야하니까요.
@kyulee1008
@kyulee1008 Жыл бұрын
저 교육과정 총론의 방향은 맞는거같습니다. 다만 현재의 평과방식으로는 받은 교육과 평가할 내용 간의 괴리가 생겨, 참여형 수업을 받았지만 정작 시험은 지금처럼 선택형으로 보게 될까 두렵습니다.
@Panda-qu2jb
@Panda-qu2jb Жыл бұрын
제가 특성화고교 졸업생인데 학교에서 배우는 일반교과에서 배우는 범위는 자격증이나 9급공무원 응시할때 필요한 내용을 공부하기에 턱없이 부족합니다. 수학도 미적분을 제대로 배우지않고 물리도 조금만 배워서 부족합니다. 특성화고교라해서 조금만 배워도되겠지라고 잘못생각한 고정관념이 오히려 잘못된 교육을 하고 있습니다. 특성화고교가 오히려 더 많이 배워야합니다.
@blranki4031
@blranki4031 13 күн бұрын
특성화고를 무시하는 것은 아니지만 특성화고의 목적 자체가 학문을 배우는게 아닌 실무를 배워 고등학교 졸업하자마자 취업하는게 목적이므로 정말 더 심화적인 공부를 위해서라면 일반고나 특목고를 지원하는게 맞지 않을까요?
@angotaeddi
@angotaeddi Жыл бұрын
그래도 교육계의 방향을 담당하는 분들이 저리 말해주니까 다행이다
@user-hl9xx8ql4r
@user-hl9xx8ql4r Жыл бұрын
대학 와서 느껴보니 마냥 교육과정에서 양을 덜어낸다고 해서 좋은 게 아니더라구요 대학 교육에서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것을 덜어내되 학문적인 것 외에도 사회생활을 하는데에 꼭 필요한 것들을 추가했으면 좋겠어요
@user-xz3qy5br5o
@user-xz3qy5br5o Жыл бұрын
학교 교육또한 사회복지의 일환임..학교교육울 통한 복지가 사회 전반의 복지를 항상시킬 수 있을 것임.. 좀 노력하길..
@붉은여우
@붉은여우 Жыл бұрын
90년대 학생분들 무섭다.. 너무 매운데..
@syt0930
@syt0930 Жыл бұрын
최근에 문이과통합한답시고 수학 선택과목 만들어놨던데 진짜 문이과통합을 이루려면 선택과목같은거 다없애고 국영수사과 전부 다쳐야한다고봄. 또한 사탐은 내가 이공계열이라 잘 모르겠는데 과탐의경우 서울대갈사람 아니면 2과목을 거의안치고 심지어는 아예 2과목을 손도 안대는경우도 많음. 자꾸 과목수를 줄이고 이거없애고 저거없애고 하니까 타임어택 시험이 되고 시험문제 난이도가 끝도없이 올라가는거임. 최근 과탐 문제를 봤는데 과학에 대해물어본다기보다 퍼즐풀어내기시험이 된것같음. 차라리 예전처럼 많이배우고 지금처럼 괴랄한 문제 안냈으면 좋겠음.
@moonstar0601
@moonstar0601 Жыл бұрын
백날 천날 교육과정 바꾸면 뭐하냐. 입시가 몇십년째 그대론데. 인문계는 대부분이 대학 진학이 목표인 상황에서 교육과정 이렇게 고쳐봐야 교사나 학생이나 고통만 가중된다.
@social6332
@social6332 Жыл бұрын
예전에는 이해는 거의 없고 암기만 했었는데 지금은 이해도 한다고 하지만 지금도 기본적으로 암기는 무조건 해야함. 왜냐하면 이해를 하기위해 암기를 해야하기 때문임.
@user-ed8xo7sj4t
@user-ed8xo7sj4t Жыл бұрын
시간이 지나 학생들의 교육방식에 변화를 주려는 노력이 이루어져 좋고 학생들이 대학을 가기위한 지식 뿐만 아니라 다른 실생활에 필요한 지식도 가르치는 방향으로 변화를 주면 좋겠다.또한 수능만이 아닌 대학을 가는 다른 방법을 만들고 그것이 빨리 사회에 맞게 변형해 도입시켜 좋은 결과가 있기를 바란다.
@nxeun.z
@nxeun.z Жыл бұрын
이러면서 바꾼게 자유학년제 폐지입니까? 최대한 교육감 투표권은 학생한테 줘야하는거 아닙니까? 교육감 이라는 한 사람때문에 초등학생부터 시험을 보게 생겼고 중1부터 시험을 치게 됐습니다 이게 뭡니까? 벌써부터 이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노빠꾸댓글러
@노빠꾸댓글러 Жыл бұрын
ㅅㅂㅋㅋㅋㅋ ㄹㅇ?
@user-by6xz8eg3u
@user-by6xz8eg3u Жыл бұрын
지필고사는 초등학생도 해왔습니다. 중학교 입학을 위한 시험이라면 의무교육 하나만으로 방어가 가능한 사안이고요. 평가 방법이 상대가 아니라 절대인지, 절대라면 어떤 채점 기준을 가지고 있는지가 중요하지요. 또 교양의 이해와 숙달을 기조로 할 건지, 기존과 같이 개념의 빠른 소비를 통해 진도부터 들고 뺄 건지도 정해야 하고요. 자유학년제는, 동아리 활동의 장려와 특강 및 지역 사회와의 연계를 통해 학생의 학습권과 선택권을 보장하고 준전문가 및 전문가를 통한 체계적인 진로 교육을 행하는 데 초점을 둔 아일랜드 공화국 발 전환학년제의 열화판인 자유학기제의 DLC입니다. 양적 확대일 뿐, 질적인 보장은 어디에도 없습니다. 재능 기부의 기준을 조금이나마 상향했다 손 치더라도 제대로 된 지역사회와의 연계 없이는 효과가 없어요. 시험을 안 치는 게 중요한 게 아니라, 무엇을 어떻게 배우고 익히며 이를 어느 기준에 입각해 평가할 건지에 대한 시스템을 잘 갖췄는지 살피는 게 더 급합니다. 어차피 진로를 정하게 되면 그 뒤로는 쭉 그 분야를 중점적으로 하게 될 텐데, 이에 대한 교육기관 혹은 교육시설이 잘 준비되어 있는지도 문제고요. 우리네 시스템에선 꾸준히 하는 것이 중요한데, 1년만 전력 투구한다고 진로 지도에 적합한 상태가 된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무너뜨리고 주마다 하루 4시간은 무조건 동아리든 특강이든 다양한 선택지를 두어 성적에 관계 없이 관심사에 따라 배우고 익힐 수 있도록 해야죠. 차라리 있는 것을 활용해서 구축해 나가는 게 훨씬 안정적이고 효율적일 겁니다.
@zhzhzhk
@zhzhzhk Жыл бұрын
자유학년제 폐지는 진작 되었어야하는 현행 아주 엉망진창 착상정책임이 드러나서 다시 부활하는 게 맞죠! 애들과 선생님 모두 자유학기제라고 시험없어서 다 놀아버리는데 차라리 시험을 보게해서 공부를 하게 하는 것이 낫다는 게 오히려 자유학기제를 거쳤던 애들에게 듣던 이야기였습니다.
@user-od4pw3et7t
@user-od4pw3et7t Жыл бұрын
성교육도…제발… 문해력 높이는 수업도….🥲
@user-nr7lz9wk4m
@user-nr7lz9wk4m Жыл бұрын
대학교 소프트웨어 필교로 파이썬 배우는데 한번 말해도 못 알아듣던데
@user-ul4oi7xi7i
@user-ul4oi7xi7i Жыл бұрын
수학에서 금리 구하기이런거 말고 용돈을 쪼개서 잘 쓰는 법 통장 쪼개기 계약서 작성하기 실제 삶에 필요한 걸 주로 알려주세요 어릴 때 배운 바느질 여태 안까먹고 쓰는 것처럼요
@hyun7717
@hyun7717 Жыл бұрын
금리 구하기 같은 기본 수학적인 것도 중요해요 😅 수학을 배우는 이유가 단지 미적분을 하기 위해서가 아닙니다. 문제해결력을 기르고, 사고력도 길러요. 실생활 연계 수업도 기초능력이 바탕이 될 때 생기는 것입니다. 선생님께서 이런 생각을 하실 수 있는 것도 학교에서 배운 그 기초능력을 바탕으로 비판적 사고력과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하셨기 때문이 아닐까요?
@13._.18
@13._.18 Жыл бұрын
헐대박
@풍골
@풍골 Жыл бұрын
이번 개정 교육과정이 더 좋고 재밌게 바뀌었으면 합니다
@acnh_jelly
@acnh_jelly Жыл бұрын
임고생 화이팅..
@Newrepeat
@Newrepeat Жыл бұрын
눈 건강 위해서 실외활동도 늘리면 좋겠네요
@wender_maker
@wender_maker Жыл бұрын
좀 관련 없긴 한데 학교공간 관련해서 유현준 교수님 유튜브에 영상 있는데 유용합니다.
@banana_999
@banana_999 Жыл бұрын
다른건 모르겠고, 도덕교육, 정상적인 성교육(페미관련, 정자난자 만나는 이딴거 말고 좀 제대로 가르쳤으면 좋겠음), 경제관념까지 가르쳤으면 좋겠다. 솔직히 대학 입학후 1년지나니 중고등학생때 배운게 무용지물은 아니나, 살아가는데 크게 쓸모있다는 생각이 안듦. 그리고 좀 부모교육좀 넣어라. 결혼하고 아이를 임신중이다보니 진짜 우리나라 성교육부터 가정교육, 삶에 진짜 필요한 교육은 하나도없이 쓸데없는것만 가르치고있다는 느낌이 확 듦. 영어도 회화식으로 바뀌었으면 좋겠다.
@user-iq1no9sr2u
@user-iq1no9sr2u Жыл бұрын
ㄹㅇ... 아니 잘못된 방법으로 고ㅓㄴ계를 하는것보단 학교에서 알려줘야할텐데...
@user-sv7xz6jk6k
@user-sv7xz6jk6k Жыл бұрын
이런걸 기술가정에서 잘 가르쳐줘야한다고 생각합니다~!
@kck404
@kck404 Жыл бұрын
유교 국가여서 섹스라는 단어 자체를 말하는것도 부끄러워 합니다.
@user-pn4yf3qz5v
@user-pn4yf3qz5v Жыл бұрын
부모교육 고등학교 가정시간에 배우지안ㄹ음?? 나만배웠나
@kck404
@kck404 Жыл бұрын
@@symmey +극자본주의 시대에 커뮤니티 플랫폼 유튜브
@first_think
@first_think Жыл бұрын
솔직히 교육을 받는 입장은 학생인데 학생이 교육과정에 대한 의견 반영이 적은 건 말이 안된다고 생각함
@nosolbbb
@nosolbbb Жыл бұрын
그니까 왜 지금이냐고 (지나가던07)
@user-nw9dh2wh3x
@user-nw9dh2wh3x Жыл бұрын
09년생부터 적용이라 걱정 안해도 돼요
@wender_maker
@wender_maker Жыл бұрын
@성이름 정말 수박 겉핥기식의 표본
@노빠꾸댓글러
@노빠꾸댓글러 Жыл бұрын
@@user-fr7bn6yl7l엥 09부터 아니었냐
@noah88family
@noah88family Жыл бұрын
구글 찾으면 다 나오는 단순 이론 말고 생각할수있는 힘을 키우는 교육이 꼭 도입되면 좋겠습니다
@멋져너는
@멋져너는 Жыл бұрын
교육과정이 바뀌는게 뭔가 신기하네요.
@Fchekkk
@Fchekkk Жыл бұрын
진짜로 저때 게임캐릭은 개간지인데 엄마가 구식이라 메이플 할려는데 컴터 안바꿔준다고 징징대긴했음.. 그게 2003년에 윈도우98에 초등영어에 지토가 등장하는 CD-ROM으로 공부할때였나 ㅋㅋ
@absolutelynotdefeat
@absolutelynotdefeat Жыл бұрын
세상은 만만치 않다 라는 것 이런거 가르쳐도 아이들은 받아 들이기 힘드려나 직접 사회에 나와서 부딪치면서 배우기전에 미리 대비 할수 있게
@hongju122
@hongju122 Жыл бұрын
돈 버는 법하고 사랑하는 방법을 가르켜야죠. 인간이 살아가는데 이 두개보다 중요한게 있을까요?
@lou9226
@lou9226 Жыл бұрын
그래도 뭐가 바뀌니까 좋네
@user-gu7kn3np4y
@user-gu7kn3np4y Жыл бұрын
얘들아, 아빠랑 엄마가 어렸을 때는 책들만이 교과서였단다.
@easysilver1009
@easysilver1009 Жыл бұрын
댓글에서 하는 얘기가 다 비슷하네.. 교육의 종착점이 대학이라고 생각하게 만드는 사회 통념..부터 바꿔야 할듯. 근데 이걸 바꾸기위해선 대학이 스펙이 되는 사회가 없어져야 하고.. 그러려면 제도적 개선이 있어야 한다고 봄.. 입시체제의 변화는 좀 많이 필요하고.. 공교육에서 해주는 것이 의미가 없으니 사교육이 계속해서 증가할 수 밖에 없고, 사교육의 증가는 결국 빈부격차의 시작이 되고.. 교육과정을 새롭게 개정했으면, 가장 중요한건 수능 문제의 변화다. 교육과정을 더 쉽고 간단하고 학생들의 실생활에 맞게 바꾸고 교과서 내용도 매우 쉬워졌으면서, 수능 문제는 지금처럼 어려워서 풀지 못할 정도의 난이도/의미없는 말장난/일부러 꼬아내는 것들이 가득한 문제로 낼 거라먼 교육과정 개편은 의미가없다. 그저 허울좋은 소리일뿐. 사회가 변화할때 순간적으로 균형을 잃는 순간이 당연하게 찾아옴. "갑자기 수능이 쉬워지면 등급을 못나누잖아?" 라는 생각으로 지금 이 상태의 입시체제를 이어갈거라면 걍 차라리 2000년대, 아니 1990년대로 퇴보하는 게 더 나을 수도 있다고 본다. 1)수능문제 난이도를 교과서수준으로. 그렇지않을거라면 차라리 교과서수준을 높혀라. 2)사교육을 철저히 줄여라. 사교육을 줄이려면 공교육의 질을 높이는 방법밖에 없다. 쓸데없는 교육과정 개정보단 입시체제 개편이 가장 빠른 방법이다. 3)입시체제를 개편해라. 수시는 각 고교의 교육수준 차이를 줄일 방안을 마련하고 출제수준마저도 비슷하게 만들어야 공평하다. 학교내 진로활동 등의 활동도 거의 모든 고교가 비슷하도록 지원해줘야한다.
@user-gn9qd2wh3g
@user-gn9qd2wh3g Жыл бұрын
한국교육은 대학입시와 땔 수 없는 관계입니다. 교육을 여러 갈래로 나눈다고한들 결국 입시라는 목적지에서 만나게 되는데요. 이것부터 좀 바뀌었스면 좋겠어요.
@dmgmaxify
@dmgmaxify Жыл бұрын
0:04 ‘경쾌한 전자 음악’ 자막 보고 빵터짐 ㅋㅋ
@dhlsdjoeddfd
@dhlsdjoeddfd Жыл бұрын
정치관련 교육도 더 활성화 했으면 좋겠다… 이전에는 뉴스 봐도 재미 하나도 없고 정치는 당장 나랑 상관 없는 일인줄 알고 있었는데 정치와 법 선택과목 듣고나서 형법 민법 등등 배우다 보니까 뉴스 내용이 좀 더 들리기 시작하고 우리 나라 상황이 어떤지 뭐가 문젠지 알게돼서 뭔가 더 삶에 유익한 느낌
@user-so1vq1cq2t
@user-so1vq1cq2t Жыл бұрын
그냥 독일 교육의 반만 따라가면 안돼?... 우리나라 학교는 배우는 곳 뿐이 아니라 배운 것을 가지고 경쟁을 하는 구조라서 싫음 그 경쟁을 초등학생 때부터 하는 것도 문제고 고3 그 한번의 수능으로 인생 자체가 달라지는 것도 싫고 수능을 못 없애는 이유가 현재 정해져 있는 대학 서열이 가장 큰 이유 같은데 그냥 솔직히 대학 나와서 일반 회사원 할거면 왜 가는데 등록금 아깝게 그럴 바엔 차라리 대학을 연구기관으로써의 대학으로 썼으면 좋겠음
@munyumin
@munyumin Жыл бұрын
지금 교육과정 갈아엎고 다시 해야할판에 차근차근 추가하면 어케...
@user-xm1kv7uo1m
@user-xm1kv7uo1m Жыл бұрын
나쁘진 않지만 어딘가 좀 서먹하다... 그래도 옛날의 정이 있었는데, 칠판당번이 지우게 빨고 휴대폰은 제출하고... 이제 200X생들의 추억이 되버렸네... 요즘을 월요일 국기맹세랑 교장님 훈화 말씀이랑 1교시 전 독서활동 그리고 운동회까지 안하려나...
@boissik6532
@boissik6532 Жыл бұрын
구분구적법을 배우지 않고 적분을 배우게 하는 교과과정은 수정이 안되는감...
@user-pi5kp3ik5h
@user-pi5kp3ik5h Жыл бұрын
교과서는 꼭 종이로 만들었르면 하는데...
@user-dz9uo8zs4x
@user-dz9uo8zs4x Жыл бұрын
책 좀 제발 디지털로 바꿔줬으면 그리고 중학교 1-2학기 국어과목 중에 인터넷 사용? 그것 좀 없어 졌으면…………….
@Reitogyo
@Reitogyo Жыл бұрын
예산,거북목,안구건조증,손목 디스크 생각해보면 안 해줄 확률이 높음 그리고 이미 디지털 교과서라고 컴퓨터나 휴대폰으로 볼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 있음..
@EIEII123
@EIEII123 Жыл бұрын
난 책이 좋은디..
@kimjybaby
@kimjybaby Жыл бұрын
와 썸네일에 있는 과학책 내가 쓰던거...🫢 오랜만에 봐서 소름돋는다
@saqe2411
@saqe2411 Жыл бұрын
말만 그러지 말고 제발 그렇게좀 되라 현실은 책상에 앉아서 열정도 없는 주입식 수업듣는게 다였던 학창시절은 최악이었음 수업시간은 고등학생때 너무 아까웠다 그 시간에 인강들었으면 훨씬 나았겠지 뭘 위한 공부인지도 모르겠고
@m855gt2
@m855gt2 Жыл бұрын
전국초중고학교에서 기본에티켓과 한국전통예절을 필수로 학습시켜야함 요즘 한국인중에 식사할때 쩝쩝 후루룩큰소리내고 입안에음식물있을때 입벌리면서애기하고 길거리에 딤배꽁초와 각종 쓰레기를 함부러버리는등 기본매너도모르는인간들이 너무많음 스마트폰영향 때문인지 시민의식이 가면갈수록후퇴하는듯
@user-jj7sw2ns1x
@user-jj7sw2ns1x Жыл бұрын
학생들의 의견을 듣는데 특성화고 학생들의 의견을 귀담아 들은것같네요
@user-ih8zo4fm6p
@user-ih8zo4fm6p Жыл бұрын
0:10 전 고2인데 컴퓨터 보다 엄마가 더 좋아요 응애
@elon1796
@elon1796 Жыл бұрын
그래봤자 걍 한국 학교가 한국 학교겠지
@지지지지
@지지지지 Жыл бұрын
이제 수학에서 달력 안찢나요..?
@luckytiger6503
@luckytiger6503 Жыл бұрын
90년대 초등학생 말빨 보소
@user-jp5xz8bg1d
@user-jp5xz8bg1d Жыл бұрын
동양 뿐문아니라 세계를 크게본기준:한국,중국,일본,몽골,인도,아시아,호주,남아메리카,중야메리카,미국,캐나다,알래스카,러시아,아프리카,영국,독일,이탈리아,프랑스,중동,라틴 등 주입식 교육제+성적제+대학원+고등교육+츠등교육+중등교윱+유아교육을 하나요?
@lykke110
@lykke110 Жыл бұрын
인구수가 줄어드니 점점 폐교만 늘어나네요 교육과정만 바꿀게 아니라 이런 폐교를 장애인학교로 대체해주면 좋겠어요 장애인학교 지어달라고 울면서 무릎꿇으셨던 학부모님들 모습에 마음이 너무 아팠습니다
@user-tl1xy2hb1t
@user-tl1xy2hb1t Жыл бұрын
수능영어가 논문용이라 하는데 솔직히 다 번역기 돌리지 누가 일일히 해석 하고 있음 요즘 같은 시대에,, 수학이 중요하지만 수학과 나오면 수학 강사 밖에 먹고 살께 없는 교육.
@rustamantonov1527
@rustamantonov1527 Жыл бұрын
그래도 영어 논문을 읽을때 필요한 독해력을 보는데에는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만, 듣기 정도는 좀 어렵게 해야하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herrypotter04
@herrypotter04 Жыл бұрын
(지극히 제 개인적인 소견입니다. 악플달지 말아주세요ㅎㅎ) 웃긴건ㅋㅋㅋ 수능(대학수학능력시험)이라는 거 자체가 대학교 수준의 학습을 얼마나 수행할 수 있느냐 라는 계기로 만든 것인데요, 특히 수능영어에서 크게 보면 듣기, 실용문, 제목추론, 문법, 문맥상 어울리는 단어, 빈칸, 순서 정도로 나뉩니다. 여기서 문법은 이공계열 또는 영어계열이 아닌 과에서는 필요없고 빈칸, 순서는 무슨 IQ검사도 아니고 이게 왜 필요한지 모르겠습니다. 정말 이해가 안되요ㅠ 아니, 어짜피 일상생활에서 한국에서 영어 쓸일도 많이 없고 설령 논문을 보던, 대학교재를 보던 해석만 되면 문제없잖아요.. 이렇게 보면 현재 수능, 교육과정은 진짜 모순 덩어리 입니다. 입시도 문제고요. 올해 수능쳐서 아직 대학교 교육과정이 어떻게 돌아가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이런 능력이 정말 대학 공부할 때 도움이 되는진 모르겠습니다. 수능 공부할 때도 계속 이 생각만 했구요.
@da2nty
@da2nty Жыл бұрын
근데 진짜 수학과 졸업하면 학원학교 교사 말고 뭐함..?
@herrypotter04
@herrypotter04 Жыл бұрын
@@da2nty 뭐... 공부 더 해서 교수 될 수도 있고...ㅎ 대부분 학원교사가 되긴 하던데요ㅎ 아주 드물게 그쪽 과에 맞는 곳에 취업하는 분들도 계시고... 케바케인거 같아요.
@da2nty
@da2nty Жыл бұрын
@@herrypotter04 오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lamitenel
@lamitenel Жыл бұрын
하 십알 09 존나 서럽다 우리 졸업하고 학교 물품 싹다 바뀌고.. 수능도 새로 개선된 교육 방식에 따라 보는게 아닌 구식으로 보는거....
@user-km3xm2em6o
@user-km3xm2em6o Жыл бұрын
08도 울어요
@user-gz9jn6pc5b
@user-gz9jn6pc5b Жыл бұрын
저희 학교는 중1 교실만 바뀌었더라구요..ㅎㅎ 미래교실인가 뭐시긴가 해가지구... 교실안에 노트북도 여러대 있고 심지어 칠판이 터치 스크린ㅋㅋ 곧 졸업하는 주도 웁니다ㅜ
@user-bj8ew4zc7z
@user-bj8ew4zc7z Жыл бұрын
그나이에 뭐가 서렵냐 중1따리면 그냥 좀 놀아라 수능걱정하지말고 놀아도 수학은 공부해야된다 가장 중요한건 진도가 중요한게 아니라 얼마나 꼼꼼히보는지가 중요하다 어차피 너 현역되면 다 까먹을거 하나라도 기억하고있는게 났잖아
@KN-vo9ub
@KN-vo9ub Жыл бұрын
와 썸네일 내가 쓰던 교과서ㅋㅋㅋㅋㅋㅋ
@user-go4qo4kd3k
@user-go4qo4kd3k Жыл бұрын
고교학점제 같은거 바꿔도 어짜피 거기서거기임 이름만 바뀌지 실제로 거의 똑같음
@zxcasdqwerty
@zxcasdqwerty Жыл бұрын
저때 초딩들이 지금 30 40대인가
@Draoden
@Draoden Жыл бұрын
중학교랑 고등학교부터 대학교처럼 선택과목해야됨
@user-st6xy2fc1x
@user-st6xy2fc1x 20 күн бұрын
교육과정에 밀양아리랑 사려져야됨
@seowon9739
@seowon9739 Жыл бұрын
그냥 아무것도 하지마
@intp._.x
@intp._.x Жыл бұрын
여기 댓글 좀 보고 바꿔라
@user-wx2hm4zu4v
@user-wx2hm4zu4v Жыл бұрын
내 엄마 구식 엌ㅋㅋㅋㅋ
@user-ry6lg3zt1k
@user-ry6lg3zt1k Жыл бұрын
디지털 소양. 안 배우면 롤갤 꼬라지 난다. 그리고 문해력 강화 대책도 필요하고.
@kizer8691
@kizer8691 Жыл бұрын
어찌 보면 저희 학생들은 구세대의 황혼이라고 할수 있겠네요
@yjh6715
@yjh6715 Жыл бұрын
교육의 본질은 배우고 싶은 것을 배우는데 있다고 생각하는데, 현실은 진로라는 광대한 범위를 몇 글자 이내로 정해서 연관지으라고 함... 평생을 살아도 꿈은 게속 생기고 바뀌는데 17부터 진로를 정하라는게, 대학을 잘 가기 위해서 그러는거겠지만 대학이 온 미래인 것처럼 말하고, 내 모든 행동이 그 미래에 직결돼있다는 부담감에 강박을 느끼게 만듬. 그런 교육에서 창의적 인재가 나오기는 드물지 않을까요...? K-고딩으로써 우리나라 교육 진짜 마구마구 비판하고 싶다^-^ 배우는건 우린데 왜 자꾸? 우리가 배우는 교육이 후대에는 정말 배우고 싶어서, 배움이 즐겁고 배우길 원하는 시대가 오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user-mn6rv6yy7i
@user-mn6rv6yy7i Жыл бұрын
진짜 너무 공감...
@user-bh3yc7je2q
@user-bh3yc7je2q Жыл бұрын
4분부터. .
@user-qi4wo4ji4y
@user-qi4wo4ji4y Жыл бұрын
어차피 애들 수업 안들어..ㅎㅎ
@wender_maker
@wender_maker Жыл бұрын
들을 가치가 있는, 열정을 만들어 줄 교육이 필요한 것 아닐까요
@tori4747
@tori4747 Жыл бұрын
@@wender_maker 그래도 당장의 시험에 도움안된다고 학원숙제하는게 현실
@wender_maker
@wender_maker Жыл бұрын
@@tori4747 그러니 현실을 변화시켜야죠
@user-ty9in8fp8v
@user-ty9in8fp8v Жыл бұрын
교과서 바뀌어도 상관없음 어머님들에 마음은 이미 대치동 학원임
@user-fz3vk2yx8d
@user-fz3vk2yx8d Жыл бұрын
통일교육도 이제 그만하면 안되냐?
@user-rp3kh5ix4z
@user-rp3kh5ix4z 7 ай бұрын
입시제도가 바뀌어야 합니다..
@user-tm9bj7th2v
@user-tm9bj7th2v Жыл бұрын
수학보다 사회경제를 필수로 넣어야함.
@LEE-jo4ix
@LEE-jo4ix Жыл бұрын
ㅋㅋㅋ 그 교육과정에 교사는 없는게 함정 ㅋ 조력자 역할을 하라고? 전문가라면서 교육 현장에 대해서는 1도 모르고 책, 글자만 익힌 ㅈ문가잖아 니네? 교실이 개판 된지가 언젠데 어휴 ㅉㅉ 생활지도법 명문화하고 교권 회복할거 아니면 다른 나라처럼 수업에 방해되는 애들은 교실에서 아웃시킬 수 있도록 해라.
@FunnyMarbleRaceMaker
@FunnyMarbleRaceMaker Жыл бұрын
울 학교는 거의 한반에 29~30명인데... 평균 23???
@user-wb4mz7pp9t4
@user-wb4mz7pp9t4 Жыл бұрын
우리 학교는 34명임 수도권이라 그런듯
@FunnyMarbleRaceMaker
@FunnyMarbleRaceMaker Жыл бұрын
@@user-wb4mz7pp9t4 우리 학교는 경상남도임 ;;
@raining_blue
@raining_blue Жыл бұрын
저희는 신도시 기준 23명 같은 학년 수는 120 언저리라 내신 피 말리는 중
@antkong
@antkong Жыл бұрын
더 중요한건 공교육의 질 아닌가.. 교육의 크기만 키우면 뭐해? 똑바로 가르치는 선생이 일부일 뿐인데 교육과정이 아니라 교육 자체를 아예 뒤엎고 갈아엎어도 시원찮을 판인데
@llaaa107
@llaaa107 Жыл бұрын
ㅇㅈ 날먹하는 쌤들 개많음
@user-ic2eo4yz3x
@user-ic2eo4yz3x Жыл бұрын
독일교육의 반이라도 따라가자...제발
@wender_maker
@wender_maker Жыл бұрын
독일, 핀란드, 프랑스
@rustamantonov1527
@rustamantonov1527 Жыл бұрын
핀란드랑 일본이랑 똑같이 창의성 위주 교육 정책 했다가, 핀란드는 성공하고 일본은 망함, 이건 대한민국말고도 동아시아 전반에 있는 경쟁심이 문제인듯
@rustamantonov1527
@rustamantonov1527 Жыл бұрын
그냥 이건 우리 스스로 대학이 취업을 위해서 가는 곳이 아닌 정말 공부를 하고 싶고 학문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 가야하는 곳으로 국민들이 인식도 바뀌어야 가능한것이라고 생각합니다
@wender_maker
@wender_maker Жыл бұрын
@@rustamantonov1527 일본은 따라했고 핀란드는 주도했죠
@rustamantonov1527
@rustamantonov1527 Жыл бұрын
@@wender_maker 따라한다고 실패한거라고 하기에는 동아시아 전반에 있는 경쟁의식이 가장 큰 원인이라고 생각합니다
@user-kc7gq2zh7b
@user-kc7gq2zh7b 6 ай бұрын
그러니 아이들 안낳죠. 교육부중심으로만 차별하는 교육이 망치고 있어 문제입니다. 교육이란 가정교육도 있고 쏟아진 교육잜로 독학할 수도 있는데 교육과정? 갈수록 자녀를 낳지 않을것 같네요. 뭐든지 임터넷으로만 하라고 하고 물려받은 재산에 재산세는 높고, 집값은 하늘부지고, 교육비는 높고.... 없는자들? 무시받은지 오랜인 나라! 망할징조입니다. 전 전문학사자격만 갖추었지만 ..... 나침반이 뭔지를 모르겠습니다.
100❤️
00:19
MY💝No War🤝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
보도블록 모양에 대해 생각해본 적.. 없나요? / 스브스뉴스
8:21
스브스뉴스 SUBUSUNEWS
Рет қаралды 2,4 МЛН
22학번이랑 '반말 모드'하는 50대 교수의 정체 / 스브스뉴스
6:50
스브스뉴스 SUBUSUNEWS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
어차피 감독은 홍명보? 축협에 단체로 화난 한국인 / 스브스뉴스
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