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요소수 대란에 성지순례 왔습니다 100년만에 신기술이 한국에서 나오다니 정말 자랑스럽습니다
@신-w2p Жыл бұрын
이 기술을 이용한 암모니아 생산 공장이 국내에 완성되었으면 좋겠네요. 암모니아는 향후 수소경제에서도 중요하고 비료등 화학에서도 중요한데
@털털-r8m Жыл бұрын
암모니아 옛60년대 제빙공장들이 냉매로 많이 쓰던건데 1m정도의 연결호스를 물속에다 담궈서 하수구로 버리다 잘못누출되면 근방일대가 아주 냄새땜에 곤욕을 치뤘던 기억이 나네요 당시 제빙공장 아이스케키 공장등 많이쓰던 냉매제였는데 파이프에 바늘끝만한 구멍만 생겨도 그냄새때매 숨도못쉴 만큼 독했는데 그게 수소를 만든다니 격세지감 이네요
@openai993 жыл бұрын
와.. 대단하십니다.
@유형곤-m5g3 жыл бұрын
엄청난 애국자 !!!!!!! 와 .... 멋집니다 진짜로...
@laphroaig_appendix3 жыл бұрын
요즘 유니스트 진짜 공격적으로 연구하는것 같네요. 이런 연구실은 정부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JacobJeonforevery3 жыл бұрын
암모니아와 이산화탄소로 요소수 만들수 있다고 하네요. 좋은 정보입니다
@bsy69763 жыл бұрын
애국자가 따로 없습니다..연구에 참여한 모든 분이 애국자라고 생각합니다.
@진진에어3 жыл бұрын
맞긴한데 정부에서 지원을 잘안해쥼 여성부폐지하고 과학쪽에 예산 더 줘야 우리나라가 더 발전함
@user-qj8hd3tf7r3 жыл бұрын
@@진진에어 개소리좀하지마라..
@txt.17232 жыл бұрын
@@user-qj8hd3tf7r 기초과학은 딸리긴 하지
@푸른시절3 жыл бұрын
수득율 ~ 300% 상승 설비 최소화 정말 멋진 기술개발입니다 ^^
@la-imfpv1713 жыл бұрын
방송이라 그런지 단점은 쏙 빼놓고 짧게 나오는 군요. 글로된 기사 찾아 보면 원료 투입에 대한 수율은 좋으나, 에너지 효율이 기존 방법보다 떨어져서 아직 산업에는 적용 할 수 없는 실험실 기술인 것 같습니다. 새로운 촉매기술을 개발 해야 한다는데, 하버-보슈법도 촉매를 계속 개선하면서 지금까지 온 거라서 이게 쉽게 될 수 있는 일일지...
@l재현-z2c3 жыл бұрын
지금 저 신기술이 주목 받는 이유가 화석연료에 의지 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입니다. 기존 하버 보슈법은 화석연료를 사용해 암모니아 1kg당 3.45kg co2가 배출됩니다. 연간 생산되는 암모니아의 양이 1.8억톤이니 대충 6.2억톤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됩니다.
@l재현-z2c3 жыл бұрын
이는 전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360억톤이니 약 2%을 차지 합니다. 신 기술을 쓰면 전기를 이용하기때문에 친환경 발전 방법을 적용해 온실가스의 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l재현-z2c3 жыл бұрын
지금 상황은 10년전 전기차에 대해서 우리가 바라보던 시선과 다르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그때도 우리는 전기쓰면 화력 발전소에서 만든 전기 아니냐는 말이 많았지만 세계적으로 보았을 때 이제는 틀린 말이었습니다. 삼성이나 LS 같은 기업들이 빠르게 저 기술을 선점해서 발전해 나갔으면 좋겠습니다. 잘 된다면 co2배출량 3위인 암모니아 공정에 혁명을 불러일으킬 겁니다.
@la-imfpv1713 жыл бұрын
@@l재현-z2c 정보 전달을 정확히 하라는 것이지 기술 개발을 포기 하라는게 아닙니다. 그리고 원료는 하버보쉬법고 동일한 수소와 질소 가스를 넣어야 해서 원료에 있어서는 어느게 더 낫다고 할 수 없어요. 단지 수율이 좋다는건 공정에서 이산화탄소가 덜 나와서 좀 더 친환경 적이라고 볼 수 있는데 에너지 효율이 더 떨어진다고 하면 결론적으로 전기를 더 먹는 거라고 봐야 합니다. 전기는 그냥 나오나요? 결국 현재로는 화석 연료를 더 많이 쓰는 방법 이라는 거죠. 더 발전하기를 바라는 마음은 저도 같아요. 그런데 왜곡된 보도로 너무 판타지만 심어 주지 말라는 거죠.
@태양의밭관리자사딸라2 жыл бұрын
@@la-imfpv171 전기 사용을 친환경으로 하거나 첨두부하만 피해서 가동한다면 저 공정 때문에 굳이 화석연료를 더 쓰지 않아도 됩니다.
@박기현-d9o3 жыл бұрын
이 기술 활용해서 요소수 만들 수 있으면 좋을텐데
@alphago4102 жыл бұрын
수소는 액화비용이 생산비의 2배이상 들어가죠. 국내 운송 차량용 연료를 모두 수소르 할때 그 액화비용은 한전이 국내에 공급하는 전체의 전력의 절반이 소요됨...
@kimse78583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생산한 암모니아의 효율이 어떻게 되는건가요? 상용화 가능할 정도의 효율성인건지 궁금하네요 화석 연료와 비교해서 설명 해주셨으면 좋았을텐데요
@thekite3h Жыл бұрын
재생 에너지 체인이 심각한 문제가 있는게 잉여 에너지의 수소 전환을 누가 할 것이냐의 문제입니다. 대부분의 재생 에너지는 원전이나 화력 발전소 같이 중앙 집중식이 아닌 소규모 생산 거점이 사방에 흩어져 있는 상황입니다. 뭐 당연한 거죠. 태양광 패널이 사방에 흩어져 있고 풍력 바람개비도 사방에 흩어져 있으니까요. 그렇다면 잉여 에너지 라고 판단되는 시점은? 당연히 생산거점 별로 잉여 에너지의 판단 기준이 다릅니다. 그러니 당연히 잉여 에너지의 수소 전환도 생산지에서 이루어져야 하는데 수소 라는 것을 액화 시키는데 고압이 필요하기 때문에 중앙 집중 구조가 될 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잉여 에너지를 이용한 암모니아 생산 장비는 대규모가 아니라 오히려 소규모로 만들어져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기존의 암모니아 생산 설비를 태양광 패널 집광지 마다 설치해서 그것도 상시 가동하는 것도 아니고 잉여 전력이 있을때만 가동해서는 배보다 배꼽이 더 크게 되죠. 그래서 작게 만들 수 있는게 장점이 되는 겁니다. 하지만 안 그래도 빚지고 태양광 패널 설치한 농민들에게 저걸 상업화한 암모니아 생산기 마저 설치하라고 하면 감당할 수 없는 건 마찬가지죠. 상업화 후 정부 지원등을 해서 생산거점 별로 작게 하나씩 설치해야 문제가 해결됩니다.
@hrsqtjbzeidvnk3 жыл бұрын
훌륭합니다!
@박승태-c5e3 жыл бұрын
보슈가 상용화장비를 만들기위해서 엄청난 노력을했죠.
@떡밥킹8 ай бұрын
암모니아를 만들려면 질소와 수소, 그리고 에너지가 필요하고, 암모니아를 연료전지에 사용기 위해서는 에너지를 사용해 다시 질소와 수소로 분리 시켜야 합니다. 각각의 변환 과정에는 500도 이상의 열 에너지와 촉매가 필요하기 때문에 암모니아 제조 과정에서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면 진정한 의미에서 친환경 에너지는 아닐 수 있습니다. 다만 재생에너지를 이용해 암모니아를 합성한다면, 이렇게 만들어진 암모니아를 다시 수소로 개질하기 위한 에너지는 개질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소를 일부 연소에 재활용하여 얻어질 수 있으므로 친환경 에너지라고 볼수 있을것 같기도 합니다.
@kmemory36375 ай бұрын
오~ 특이한 방식이네요 기존방식은 고온 고압에서 대기의 질소와 순수 수소를 결합해 금속 촉매를 사용해 암모니아를 생산하는 방식인데, 쇠구슬을 쓰는것은 금속 촉매때문인것 같고 질소와 수소를 넣어주신다고 했으니 어느정도 기체로 인한 압력이 생기겠네요 근데 쇠구술로 발생한 열 45°C로 질소 결합을 깨려면 좀 낮은 온도 같은데, 질소와 수소를 사용해 기존 방식보다 더 고압을 형성해줘야 할것 같은데, 맞나요? 어째든 따로 열을 가하는것은 아닌것 같아 생산비용도 어느정도 감소할것 같네요
@남상윤-p1o3 жыл бұрын
대단합니다. 애국자입니다
@johnjal25256 ай бұрын
대단 대단 대단
@soul54903 жыл бұрын
이건 노벨상 받아야 합니다
@yicijo20003 жыл бұрын
검증도 안됐거늘 개소리 ㄴㄴ
@sh-ester3 жыл бұрын
👏👏👏👏👍
@formyfaterland3 жыл бұрын
오. 수소연료전지 때문에 옮기는데 암모니아로 하는게 어떤가 히던데 암모니아 생산 효율을 올리면 굉장히 쓸모있겠다.
이거 참 한심한 뉴스네요.. 한국은 현재 암모니아 대량 수입국입니다. 왜냐 암모니아의 핵심원료인 수소를 값싸게 만들수 없기 때문.. 수소와 질소를 합성시키는 것은 그다지 어려운 기술도 아니고 암모니아 제조원가에 합성부분은 극히 미미한 부분이에요. 암모니아는 전세계적으로 년간 1억5천만톤이 생산되는데, 한국에는 공장이 없어 매년 150만톤을 비싸게 수입함.. 문제는 수소입니다..수소.. 한국은 대량의 수소 수입국이에요.. 왜냐 수소는 95%이상 화석연료로 제조하기 때문이죠...천연가스, 석탄, 석유가 수소 원료. 수소는 국내에서 년간 200만톤 제조되고, 전 세계적으로는 년간 9,000만톤 정도.. 석탄, 천연가스가 수소 주 원료임..핵융합발전 상용화 만큼 어려운게 수소제조가격 낮추는 것..수소의 생산 비용을 대폭 낮추는 기술을 개발한다면 그 사람은 전세계 최고 부자가 됩니다..
@jht6679 Жыл бұрын
신재생에너지로 수소를 생산? 강릉 수소탱크 폭발사고 기억나시나요? 그게 신재생에너지로 수전해 해서 수소를 생산 시험하다가 터진 대형사고에요.. 수소 제조, 산소분리, 압축, 저장 이게 만만한 문제가 아니죠..
@jht6679 Жыл бұрын
더구나 뉴스에 나온 공정은 순수 질소가 필요한데 이건 공기중에서 산소를 제거하고 질소만 뽑아내야 합니다.. 이게 또한 에너지가 많이 들죠.. 실험실에서 소량의 암모니아를 만드는것과 경쟁력있는 가격의 암모니아를 만드는 것은 전혀 별개의 문제...
@darkstar12-j6g2 жыл бұрын
이거 산업화 어떻게 되고 있는지 궁금하네요. 후속 보도 해주세요 🙏
@hippo2713 жыл бұрын
대량생산 가능한가?
@of_thermodynamicsthe_secon20393 жыл бұрын
대량생산은 또 다른문제
@수경김-g7n3 жыл бұрын
대량 생산에 도움되는 블로그나 사이트 양상 있을까요?
@출장가는철공소3 жыл бұрын
오 질소 수소도 불리하면 대박
@레몬청-x9k Жыл бұрын
이거 화학하악에서 본거다 ball milling
@블루스카이-m7i3 жыл бұрын
이런 거 나왔으면 요소수 대란 오기전에 빨리 상용회하면 될 거 아냐? 지금이라도 빨리 상용화 해서 전량 다 국내 생산으로 만들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