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영상은 17분! 아주 귀하군요. 단순히 목적어는 타동사 뒤, 전치사 뒤라고 겉모습만 알고 있었는데 영상을 보고 나니 깊이를 알게 되어 속이 뻥 뚫리는 기분입니다. 역시 생각문법입니다.
@thinkinggrammar2 жыл бұрын
네, 감사합니다. 다음 영상까지 보시면, 영어 목적어가 아주 명확해질 것입니다.
@숑님2 жыл бұрын
이번 영상도 정말 어마어마한 깨우침. 그런가 보다 했던 모든 것이 다 논리적인 이유가 있었다는. 암기로부터의 자유. 선생님께서 주신 가장 큰 선물입니다~ 감사합니다!!
@thinkinggrammar2 жыл бұрын
이유를 알아야 하는 이유가, 이유가 영어적 사고방식이기 때문입니다. 다음 영상, 기대해 주시고요. 고맙습니다.
@sanghoahn5064Ай бұрын
매번 문법의 본질을 배워봅니다🎉
@thinkinggrammarАй бұрын
생각은 또 다른 생각을 낳습니다. 본질을 통해 자꾸 자꾸 생각해 보시길 바랍니다. 혹여나 어려운 점이 있으시면 댓글 달아 주시고요. 추운 날씨, 감기 조심하시고요. 즐거운 하루 되세요~^^
@데이빛-y8r Жыл бұрын
우와 정말 강의 내내 감탄했어요
@thinkinggrammar Жыл бұрын
생각문법을 알아봐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참에 첫 영상부터 정주행을 해보셨으면 합니다.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댓글 달아 주시고요. 즐거운 하루 되세요~^^
@우포-s6i3 ай бұрын
시작하다가 새롭게 into 햇네요. 감사합니다. 영어는 감각의 영역이라는 말씀에 딱 맞는 문장이네요
@thinkinggrammar3 ай бұрын
"문법은 인식의 문제! 영어는 감각의 문제!" - 다음 영상도 기대해 주시고요. 즐거운 하루 되세요~^^
@won1476 Жыл бұрын
영어공부 제대로, 새로 시작하는 기분입니다! 감사합니다
@thinkinggrammar Жыл бұрын
네, 감사합니다. 새롭게, 첫 영상부터 정주행을 해보셨으면 합니다.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댓글 달아 주시고요. 오늘도 즐겁게 보내세요~^^
@won1476 Жыл бұрын
@@thinkinggrammar 네 처음부터 정주행 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공교육 영어문법 정말 이렇게 바꿀 필요 있네요 다시 한 번 감사합니다!
@윤한아-m4c9 ай бұрын
귀한영상 정주행하며 두번세번 반복해서 보는중입니다. 아이들에게 매일 문법을 가르치며 답답하고 안타까우면서도 해소되지 않았던 맘이 선생님 강의로 다소 치유되는 느낌입니다. 정진하여 저도이렇게 학생들을 생각문법으로 가르치도록 준비를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덧붙여 질문여쭙니다. enter 를 좀 더 공부하다가 의문점이 생겨서요. 네이버 영영사전에 따르면 enter 타동사 [VN] (활동·상황 등을[에]) 시작하다[접어들다/진입하다] to enter a relationship/conflict/war 이렇게 예문이 제시되어있습니다 강의중 설명해주신 enter into business 와 연결해서 생각해보면 relationship 은 물리적인 공간이 아니라 추상적인 관계의 개념이니 영상의 예문처럼 enter into relationship 이 더 낫지않나싶고. 같은 이유로 conflict와 war도 그러한데요. 혹은..위의 예문에서 into의 유무에 따라 뉘앙스의 차이가 있다고 봐야할지요 덧붙여. 영어는 언어라서 수학처럼 정량화될수는 물론 없겠지만 동사와 목적어의 긴밀함의 정도.즉 , 타동성의 정도(transitivity level)은 어떤 기준으로 판단해야하는지도 궁금합니다. ^^
@thinkinggrammar9 ай бұрын
좋은 질문하셨습니다. 영상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못했는데요. 동사마다 일일이 익혀하는 문제라서, 동사와 목적어의 관계를 이해하기가 참 어렵습니다. 특히, 기본동사가 그렇습니다. * enter the room[building/school/army/my heart] etc. 위와 같이 기본적으로, "공간으로 인식되는 어디를 물리적으로 들어가다"라는 뜻이 있습니다. * to enter a relationship[conflict/war/business] 또한, 위와 같이 "어떤 상황[활동]에 들어가다"라는 뜻이 있습니다. 다만, 이때는 단순히 "무엇을 시작하다"입니다. * enter a new business 위와 같이 써도 잘못된 표현은 아닙니다. 할 수 있는 말입니다. 다만, 새로운 사업이니까, "새로운 사업에 발을 들여놓다, 착수하다, 돌입하다, 참여하다" 이런 느낌으로 into를 씁니다. into에는 "변화"의 의미가 있습니다. enter into는 상황을 바꾸려고 적극적으로 참여하거나 개입하는 느낌을 줍니다. 특히, 합의/협정, 논의/협상, 계약/거래 등을 말할 때 주로 쓰입니다. * enter into an agreement/contract (with somebody) * enter into discussions/negotiations (with somebody) 감사합니다.
@윤한아-m4c9 ай бұрын
@@thinkinggrammar 답이 하나뿐인 수학이 아니다보니 정황상 판단이 필요한 경우도 있는듯 합니다 문법은 인문학이 바탕이 되어야한다는 선생님 말씀에 깊이 공감하고 저역시 그렇게 수업을 해왔는데 공교육현장에서 내신시험 영어문제가 여전히 과거의 오류를 답습하고 있으니 현실적으로 부딪히는 부분이 많아서 늘 고민이예요ㅜㅜ 계속 고민하고 제대로 가르치기위해 노력하는 맘을 다시 다잡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선생님
@thinkinggrammar9 ай бұрын
@@윤한아-m4c 저도 옛날에 학원에서 중고등학생들을 가르쳤던 적이 있습니다. 놀라운 일은 그 녀석들이 이제는 결혼도 하고 아이도 낳고, 그 중에 몇몇은 아직도 스승의 날에는 연락하고, 때로는 찾아오기도 합니다. 진정한 교육은 가르침을 받는 학생들로 하여금 거듭나게 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아이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스스로 깨칠 수 있도록 끝없이 설명해 주어야겠지요. 그러다 보면 눈을 뜨고 자발적으로 공부하게 됩니다. 신바람 나게 말이죠. 당장은 몰라도, 아이들이 좀 크면, 그때 그 선생님이 정말로 제대로 가르쳐 주셨구나 합니다. 가르치는 사람으로서, 이보다 더 보람이 있는 일이 또 있을까요. 현실적인 문제가 무엇인지 잘 알고 있습니다. 그래도 힘내시길 바랍니다. 보상으로 반드시 돌아오니까요. 감사합니다.
@김정균-f5l Жыл бұрын
존경합니다
@thinkinggrammar Жыл бұрын
응원의 말씀 감사합니다. 원하시는 만족스러운 결과가 나오길 바랍니다. 즐거운 하루 되시고요.^^
@kpritndtye11 ай бұрын
선생님 영상 잘 보았습니다 궁금한게 있는데요, 전치사의 목적어 혹은 전명구를 형용사 혹은 부사로 기능하는 것으로 봐야하는 경우의 차이점을 아직 잘 모르겠습니다 I worked with the woman이라는 문장에서 with the woman라는 전명구가 “그 여성과”로 해석되어 부사 기능을 하는 것처럼 해석이 되는데요, 책에는 the woman이 전치사 with의 목적어라고 하네요.. I have stayed in the hotel. 이라는 문장에서도 in the hotel이 부사역할을 하는것으로 생각이 드는데요, the hotel이 전치사 in의 목적어라고 합니다 아니면 work with과 stay in을 구동사로서 타동사로 봐도될까요? 해석으로 풀리지 않을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하는건가요?
@thinkinggrammar11 ай бұрын
우선, 목적어는 주어의 대상이 되는 말입니다. 해석했을 때, '를/을'이 붙건 안 붙건, 국어니까, 이건 신경쓰지 마시고요. 주어의 대상이 되는 말이 영어는 타동사 뒤, 전치사 뒤에 옵니다. 전치사 뒤에 있는 주어의 대상이 되는 말을 전치사의 목적어라고 합니다. 단지, 전치사의 뒤에 있어서 그렇게 부르는 것이고요. 음 ... 해석에 너무 신경 쓰시는 것 같네요. * in the hotel - 전치사구? 형용사구? 부사구? 전치사구: 전치사구라는 말은 형태가 그렇다는 것입니다. 즉 전치사로 시작해서 전치사구입니다. 형용사구/부사구: in the hotel은 형태로 보면 전치사구인데, 이것이 문장 안으로 들어가면 형용사나 부사의 역할을 합니다. 요컨대, 역할로 보면 형용사구/부사구라는 말입니다. 명사 뒤에서 명사를 설명하면 형용사구! 동사 뒤에서 동사를 설명하면 부사구! 감사합니다.
@조민호-x7j2 жыл бұрын
전치사와 함께하는 궁금증을 다음 영상에서 더 풀어 보겠습니다. 영상 감사합니다.
@thinkinggrammar2 жыл бұрын
네, 감사합니다. 다음 영상도 기대해 주시고요. 즐거운 하루 되세요~^^
@kpritndtye11 ай бұрын
선생님 하나 더 추가적으로 질문하고싶은데요 we met on the day 라는 문장에서 on the day 라는 전치사구가 부사역할을 하는 것인데 그러면 전치사구 on the day에서 the day를 목적어로 볼 수 있나요? I got the gold medal in the Olympics라는 문장에서는 the gold medal이 목적어인데요, 그러면 the Olympics는 목적어는 아닌데요.. 그러면 윗문장의 on the day와 in the Olympics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thinkinggrammar11 ай бұрын
전치사 뒤에 있다고 무조건 주어의 목적어, 또는 문장의 목적어는 아니고요. * we met on the day. 위 예문은 "We met (them) on the day."처럼, 목적어가 생략된 문장입니다. on the day는 명사가 전치사와 함께 쓰여 부사의 역할을 하는 부사구입니다. ============ * I am afraed of tigers. 이때의 tigers는 주어의 상대적인 말, 목적어입니다. 이때의 목적어를 전치사의 목적어라고 합니다. 질문하신 내용은 "직접목적어"와 관련된 내용인데요. 문장편, 문장의 유형에서 자세히 또 다루겠습니다. 감사합니다.
@chichimomo Жыл бұрын
생각 문법이 아니라 진짜 문법으로 이름이 바뀌어야 겠어요. 전공책에서도 나와있죠 "predicate and direct object have strong bond" 서술어와 직접 목적어는 strong bond를 가진다... 이게 모든 걸 의미하는 거였네요 그러니 전치사도 필요치 않는 거였군요
흥미롭네요. 선생님 감사합니다. 책III권 370p. He looked at me. 의 구동사 전치사와는 조금 다른것 같은데, 설명 좀 부탁드립니다.
@thinkinggrammar2 жыл бұрын
이번 영상에서는 목적어에 대해 알기 위해 목적어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 드렸고요. 전치사를 동사의 관점에서 보면, 동사의 의미를 확장하거나 강조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것이 구동사인데요. 구동사는 다음 영상에서 언급합니다. 고맙습니다.
@unooh382 жыл бұрын
아... 목적어의 관계가 아닌 동사의 관계 그 긴밀도 였군요. 그동안 잘못 알았던 것을 깨닭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thinkinggrammar2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되셨다니 저로서도 매우 기쁩니다. 다음 영상도 기대해 주시고요.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jck2570 Жыл бұрын
한번 보면 멈출수가 없네요~
@thinkinggrammar Жыл бұрын
네, 감사합니다. 다음 영상도 기대해 주시고요. 즐거운 하루 되세요~^^
@닐레스코 Жыл бұрын
본동사와 목적어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이해가 너무 잘 됐습니다. 근데 전치사의 부사적 용법이나 형용사적 용법으로 이어지는 명사들도 같은 목적어로 봐야하나요? ex)he entered into the business in the era of turbulence 여기서 나머지 부사적 또는 형용사적 용법의 전명구들은 같은 전치사의 목적어라고 하기에는 성질이 많이 다른것 같아서요..
@thinkinggrammar Жыл бұрын
이 질문은 문법학자도 대답하기 힘든 질문입니다. 목적어 규정을 적용하기 힘든 부분이 있거든요. 확실히 주어의 대상이 되는 말이면 목적어로 보시고요. 나머지는 동사를 설명하는 부사구나, 명사를 설명하는 형용사구로 보시면 됩니다. 고맙습니다.
@닐레스코 Жыл бұрын
@@thinkinggrammar 아.. 명확하게 말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모든 전치사 뒤의 명사를 억지로 목적어라고 해석할 필요가 없군요. 저는 이부분이 하도 어렵다보니 전치사의 목적어란 말에 혹시라도 전치사를 더 잘 이해할수 있는 비밀이 있나.. 싶었어요. 명확하게 해주신것만해도 너무 감사하네요
@Uyrnaes420210 ай бұрын
전치사 뒤에 나오는 모든 명사는 전치사의 목적어가 맞습니다. 이것은 의미가 아니라 형식을 말하는 것입니다. 의미적으로 말할 때는 주어나 동사의 대상이 되는 것이 목적어입니다. 이것은 전치사가 있고 없고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말씀하신 부사구에서 목적어는 형식상으로는 전치사의 목적어이나 문장 내의 목적어는 아닙니다.
@Uyrnaes420210 ай бұрын
He entered into the business에서 business는 형식상으로는 주어 혹은 동사의 목적어가 아니고 전치사의 목적어입니다. 하지만 의미상으로는 주어 혹은 동사의 목적어입니다.
@storyhow211 Жыл бұрын
내용이 너무 좋아 복습중입니다. 그래서 He lives his dream이었군요. live가 1형식 동사처럼 보여도 3형식으로도 쓰는 이유가.. wow!
@thinkinggrammar Жыл бұрын
네, 감사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annyeonghaseyo-annyeonghaeyo11 ай бұрын
동사와 목적어 사이에 끼어드는 말이 없다? 그것은 동사와 목적어는 긴밀한 사이이다! 다른 댓글들 중 아주 마음에 드는 것이 있어 베껴 적기: Predicate and direct object have strong bond.
@thinkinggrammar11 ай бұрын
동사와 목적어 사이, 항상 그곳을 뚫어지게 보시길 바랍니다. 그곳이 영어는 가장 어렵습니다. 머지 않아, 그곳이 잘 보이기 시작하고, 감각이 생길 것입니다. 즐거운 하루 되시고요. 감사합니다.
@susuya-t7g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안녕하세요 오늘도 혼자 고민하다가 해결하지 못한 궁금증을 여쭤보려고 합니다. 항상 양질의 컨텐츠에 깊히 감사드립니다. His performance was given with such brilliance of execution as to utterly defeat the young professor. 이 문장에서 저의 의문점은 위 문 장에서 as가 전치사로 쓰인것 같은데, 한국어로 직역하니까 너무 어색합니다. '그의 무대는 아주 탁월한 솜씨로 제공되었다 그 어린 교수를 완전히 이김으로써' 라고 되는데... 방법이 무엇이 있을까요? 아니면 제가 이해를 잘 못하고 있는것인지 궁금합니다.
@thinkinggrammar Жыл бұрын
문장이 좀 이상하네요. 문법적으로 따져 보겠습니다. 이김으로써? 이건 '수단'입니다. by죠. as는 자격, '로서'입니다. [“as to do”로 보면] * His performance was given with such brilliance of execution as to utterly defeat the young professor. - 이때의 as는 문맥상, 자격을 말하는 ‘로서’의 전치사 as는 아닙니다. - utterly는 부사고, defeat는 동사고, 그러면 as는 전치사가 될 수 없죠. - “to (utterly) defeat”를 부정사로 보면, 전치사는 부정사 앞에 못 쓰죠. (부정사 사이에 이렇게 부사를 쓸 수 있나 모르겠습니다. 처음 보네요.) - 문맥상, 접속사구로 쓰인 “so as to do (= in order to do)”가 아닌가 싶습니다. [“as to something”으로 보면] - “관하여, 관련해”라는 뜻입니다. 이때의 as는 접속사고, to는 전치사입니다. (because of와 같은 구조) - 그럼 명사구가 와야 하는데요. “as to the defeat of the young professor” 이렇게 써야 합니다. 이번 질문은 저도 어렵네요. 고맙습니다.
@susuya-t7g Жыл бұрын
@@thinkinggrammar 저거 앞 뒤 문장을 제가 잘라서 그런걸까요? But when it again became the stranger's turn to play, his performance was given with such brilliance of execution as to utterly defeat the young professor, who disappeared and was seen no more that evening. 이게 원래 문단입니다 ...
@thinkinggrammar Жыл бұрын
@@susuya-t7g 그래도 마찬가지네요. 문법적인 지식 내에서는 as to를 모르겠네요. 어디에 걸리는 말도 아니고 ... so as to가 아닐까 ... ㅠㅠ
@susuya-t7g Жыл бұрын
@@thinkinggrammar 네 ㅜㅜ 답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yrnaes420210 ай бұрын
as to에서 as는 부사로 to는 to부정사의 to로 보면 해석이 자연스러워집니다. 용법은 to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이 되겠네요. 해석 ; 젊은 교수를 완전히 물리칠 정도만큼의 연주 솜씨
@드리마 Жыл бұрын
I believe you는 나와 너는 긴밀한 관계일때 사용, I believe in you는 나와 너는 느슨한 관계일때 사용. 근데 이게 무슨 말인지 모르겠어요..ㅠ I believe God 긴밀한관계 ? I believe in God 느슨한관계?
@thinkinggrammar Жыл бұрын
좋은 질문하셨습니다. 영상에서 말씀 드렸듯이, 동사의 일차적 의미에 목적어가 딱 떨어지면, 잘 어울리면 긴밀한 관계, 그렇지 않으면 느슨한 관계로 이해하시고요. * I believe you. - 나는 너를 (약속을 지킬 것이라고) 믿는다. 자연스러운 말이고요. * I believe in you. - 이때의 in은 "영역의 in"인데요. "너라는 세계, 너라는 존재" 이 정도로 의역됩니다. 이 말은 "우리 아들 잘 할 수 있지? 나는 너를 믿는다." 할 때의 믿는다입니다. 또는, "이 음식은 건강에 좋다고 믿는다." 할 때의 믿는다입니다. * I believe in God. - 우리가 보통, 신을 믿는다는 말은 신의 존재를 믿는다는 말이죠. in을 써야 하고요. * I believe God. - 인간이 감히, 신을 믿고 말고 것이 있을까 싶습니다. 다만, 종교인이면, "신이 나의 소원을 들어줄 것이라고 믿어." 이런 의미로 쓸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드리마 Жыл бұрын
@@thinkinggrammar 답변 감사합니다. I believe you.는 약속을 잘 안지키는 친구에게 이번에는 믿어볼게 할때 쓸수 있는말(believe가 어떤것을 사실로, 진실로 받아들인다는 뜻이이므로 단어의 뜻과 잘 어울리니 가깝고 긴밀한 관계), I believe in you.는 너의 선함, 능력, 가치, 도덕성 등 너에 대한 일체를 신뢰한다는 뜻이므로 거리감이 있는 의미에서 in을 넣을 수 밖에 없군요. 따라서, I believe God.라고 하면 신성모독적인 말이 될것 같고, I believe in God.라고 표현 할 수 밖에 없겠네요. 생각영어 만나서 영어에 대한 이해의 깊이가 깊어 짐을 느낍니다. 구독 좋아요 + 열독하고 있습니다.
@thinkinggrammar Жыл бұрын
이해를 아주 정확히 하셨습니다. 최고! 고맙습니다.
@HaHaHa-s8u-t6n Жыл бұрын
그럼 climb up Mr.Everest 에서 up도 느슨함으로 봐야 하나요?
@thinkinggrammar Жыл бұрын
이때의 up은 써도 되고, 안 써도 됩니다. 차이점을 한 번 고민해 보시겠어요. 감사합니다.
@HaHaHa-s8u-t6n Жыл бұрын
@@thinkinggrammar 답변 감사드립니다. 동사뒤에 전치사 혹은 부사가 너무 많이나옵니다 they learn about sacrifice, cooperation, time management, leadership, and teamwork. 이 문장에서 about 을 써도 되고 안써도 되나요? 책을 다 구매했는데 동영상 강의가 임팩트 있어서좋습니다
@thinkinggrammar Жыл бұрын
@@HaHaHa-s8u-t6n 책을 구입해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 드립니다. 이때는 about를 써야 합니다. 그 자체를 배우는 것이 아니라, 관해서 배우는 것이니까요. 전치사 문제는 동사문법이 끝나자마자, 구동사에서 매듭 짓겠습니다. 감사합니다.
@schema7132 Жыл бұрын
한가지 덧붙이자면 타동사 +부사, 자동사 +전치사 형태의 이어동사를 무작정 외지 말고, 물론 외울수도 없지만 동사 뒤의 전치사, 전치사 같은 부사의 기능은 “방향과 결과“를 만든다의 의미만 상상한다면 복잡하고 아리송한 이어동상 ㅣ 구분은 매우 쉽습니다.
@thinkinggrammar Жыл бұрын
말씀 감사합니다. 다음 영상도 기대해 주시고요. 즐거운 하루 되세요~^^
@닐레스코 Жыл бұрын
쉽다는말 함부로좀 하지 마세요 겨우 한마디밖에 못하면서 도대체 뭐가 쉽다는건지 모르겠네 님처럼 영어공부 쉽다고 하는 사람이 여러사람 망칩니다
@나-i8b6 ай бұрын
그럼 한 문장에 주+동+전치사+전치사의 목적어가 쓰였을 때 이 문장 전체에서의 목적어는 전치사의목적어 자체가 되는 거고, 동사+전치사 자체가 동사가 되는 건가요?
@thinkinggrammar6 ай бұрын
* I gave up smoking. 말씀하신 내용은 구동사를 말합니다. 위 문장의 경우, gave up은 구동사인데요. 하나의 타동사구로 봅니다. 감사합니다.
@희구김-o3s9 ай бұрын
목적어는 주어의 대상이 되는말이라고 말씀해 주셨는데 대상이 대는 말의 의미가 이해 가질 않아서요? 주어의 행동/상태의 대상이라고 이해 하면 되는지요?
@thinkinggrammar9 ай бұрын
목적어 - 주어의 상대적인 말로서 주어의 대상이 되는 말 - 주어의 ‘동작·행동[행위]·작용’에 영향을 받는 말 * I love you. I는 사랑하는 주체인 주어입니다. you는 사랑을 받는 객체, 즉 주어의 영향을 받는 대상입니다. 이 대상이 목적어입니다. 감사합니다.
@supero8059 ай бұрын
여러분. 이 영상의핵심은 긴밀함에 따른 전치사의 유무인것같습니다. 8품사에 속할정도로 (단어의 갈래앞에 위치한다)라는 뜻의 전치사는 한국인으로써 난해한 영역이죠. (스스로 자) 인 자동사의 쓰임을 쫌만 개인공부하고 영상보시면 더욱 영상 이해에 도움될거같아요
@thinkinggrammar8 ай бұрын
네, 감사합니다. (자동사 설명은 문장의 유형에서 따로 다룹니다.) 다음 영상도 기대해 주시고요. 즐거운 하루 되세요~^^
@유시목-t2o Жыл бұрын
말투가 😅😅😅
@thinkinggrammar Жыл бұрын
추운 날씨, 감기 조심하시고요. 즐거운 하루 되세요~^^
@KIMSEUNGWOO_087 ай бұрын
그러면 전치사의 목적어 문장은 몇형식 문장인가요?
@thinkinggrammar7 ай бұрын
몇 형식 문장인 것 같으세요? 본인의 생각을 먼저 말씀해 주시겠어요.
@31nsNa89JFf5 ай бұрын
@@thinkinggrammar잘 모르시니까 질문드리지 않았을까요.?
@thinkinggrammar5 ай бұрын
@@31nsNa89JFf 이 문제는 제 대답이 중요하지 않고, 질문자의 생각이 중요합니다. 그래서 그렇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