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메다 은하까지 2년 6개월만에 가는 방법 (feat. 특수상대성이론)

  Рет қаралды 160,398

뜨억맨의 지식탐구소

뜨억맨의 지식탐구소

Ай бұрын

알고보면 상대성이론은 상대적이지 않습니다. 절대성이론이라고 하는 것이 오히려 아인슈타인의 생각과 가깝다고 할 수 있는데 물리법칙이 모든 관성계와 모든 관찰자에게 동일해야 한다는 절대성을 가정으로 구축된 이론이 바로 상대성이론이기 때문이죠.
즉 절대적 공간도 절대적 시간도 없지만 보편적 원리만큼은 어디에서나 누구에게나 절대적으로 적용된다는 것인데 우리가 우주만물의 모든 것에 나름의 절대성을 부여할 수 있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이 우주에 진리라는 것이 정말로 존재할런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적어도 진리라 칭하는 것에는 누구에게나 진리여야 합니다.
혼란스럽게 격변하는 세상, 매일이 버거운 일상에서
변하는 것이 진리이자 너무나 당연한 것이라 말해주는
상대성이론이 있다는 건
여러 의미로 위안을 받을 수 있는 다행스러운 일인 것이죠.
그렇더라도 저는
광속에 근접한 우주선에 타고 싶지는 않네요.😂

Пікірлер: 398
@user-nq5qt9ub2i
@user-nq5qt9ub2i 28 күн бұрын
너무나도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재미 뿐만 아니라 생각할 거리를 주는 영상이었어요.
@user-fx7jm6fb1g
@user-fx7jm6fb1g 26 күн бұрын
이런 구구구구구구구만 기억에 남아버렸다 ㅋㅋㅋ 이번에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lo6gb4fh7p
@user-lo6gb4fh7p 28 күн бұрын
반가움을 넘어 고맙습니다. 뜨억맨님을 좋아하고 존경합니다. 더 건강하세요.
@ddukman
@ddukman 27 күн бұрын
기대에 부응할 수 있게 늘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감사드리며 늘 건강하세요!
@GH__6399
@GH__6399 28 күн бұрын
영상미 진짜 독보적이네..
@andromeda250
@andromeda250 28 күн бұрын
항상 고맙습니다 ❤❤❤
@shsim-cb7pv
@shsim-cb7pv 28 күн бұрын
스토리텔링 미쳤다.. 이렇게 고급스러운 영상을 보여주셔서 늘 감사해요. 퀄리티 진짜 최고예요
@user-ev4kn4gr2w
@user-ev4kn4gr2w 28 күн бұрын
이분 영상 귀에 쏙쏙 들어오고 잼있어..
@jkshin6237
@jkshin6237 26 күн бұрын
놀라운 영상입니다. 수고하셨습니다.
@rnbk8510
@rnbk8510 28 күн бұрын
선추천 후 감상 ^^ 늘 영상 감사하게 잘 보고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기진므흣자료-p3w
@기진므흣자료-p3w Күн бұрын
↿😭
@hotspers7655
@hotspers7655 25 күн бұрын
내용이 너무 고급적이다
@longstone6382
@longstone6382 28 күн бұрын
살아계셨군요 다행입니다
@user-hk8lf2zf8i
@user-hk8lf2zf8i 27 күн бұрын
길이수축에서 움직이는 물체가 짧아진다했는데 설명에는 우주선밖이 짧아지는 것으로 설명했고 근데 또 움직이는 우주선은 또 짧아지게 그렸네요. 아니면 속도는 상대성이라 외부와 움직이는 물체 서로간에는 짧게 보이기 때문에 그런건가요?
@user-pw2gd5rq7g
@user-pw2gd5rq7g 24 күн бұрын
우주 관련 영상은 항상 경이로움이 주된 감정이었는데, 뜨억님의 영상은 경이로움은 물론 심금을 울리는 주옥같은 멘트가 있네요. 아끼고 싶은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ddukman
@ddukman 24 күн бұрын
좋게 봐주시니 영광입니다! 들러주셔서 감사해요😊
@kylee0712
@kylee0712 27 күн бұрын
새로운 관점으로 우주를 보게 해주는 영상이네요.. 와
@user-qn6je9dd5k
@user-qn6je9dd5k 28 күн бұрын
최애의 우주 유튜버
@user-js6je3dxw2q
@user-js6je3dxw2q 28 күн бұрын
호시노 뜨억
@jjjjhhhhh431
@jjjjhhhhh431 28 күн бұрын
ㄹㅇ뜨억맨미만잡
@user-bv2mb7vf6u
@user-bv2mb7vf6u 28 күн бұрын
잘봤습니다 너무 감사합니다~
@dimdim1739
@dimdim1739 27 күн бұрын
마지막 철학적인 내용이 좋아보이네요 ㅎ
@swedenIaundry
@swedenIaundry 18 күн бұрын
뜨억맨님에 우주이야기는 경이롭네요.. 마지막에 안드로메다 여행을 떠나기전 영원히 안녕이라고 해야한다는것에 충격받았어요.. 아무리 기술이 발전 한다고해도 그렇게 밖에 인사를 못하겠네요....
@Earth_rings21
@Earth_rings21 28 күн бұрын
13분이 1분처럼 느껴지는 마법같은 영상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ꇴ
@vincentr6567
@vincentr6567 28 күн бұрын
영상이였습니다x 영상이었습니다o 뭘 수정한 거임?
@Earth_rings21
@Earth_rings21 28 күн бұрын
​@@vincentr6567ㄱㅅ
@ddukman
@ddukman 27 күн бұрын
들러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wz7fv5gy8h
@user-wz7fv5gy8h 27 күн бұрын
전 무조건 여행감
@user-vw6sf8ih4l
@user-vw6sf8ih4l 8 күн бұрын
대각견성 대명을이룬 우주를 완전히 관통하여 통찰한 불성 석가세존의 우주혜안 .♡ 제행무상 제법무아. 좋은말씀잘듣고갑니다. 성불하세요::👼🏻☕️🙏🏾
@user-pp6ze2fj5n
@user-pp6ze2fj5n 25 күн бұрын
그냥봐도 재밌고 잘때 틀어놓아도 좋고..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해요. 너무 기다렸습니다!!
@ddukman
@ddukman 25 күн бұрын
매번 너무 늦어져 죄송하고 감사합니다🥲
@user-tk7qu2bu3t
@user-tk7qu2bu3t 5 күн бұрын
먼저 좋은 영상 너무 감동적입니다.
@Sumsyeosum
@Sumsyeosum 24 күн бұрын
영상 감사합니다
@user-ki5sr1ib1s
@user-ki5sr1ib1s 25 күн бұрын
뜨억맨 영상 너무 좋아요 !
@ddukman
@ddukman 25 күн бұрын
매번 만들면서 노잼일까봐 걱정이 많은데 ㅎㅎ 좋게 봐주시는 분들이 계셔서 감사합니다😅
@yong-hyeokchoi1098
@yong-hyeokchoi1098 19 күн бұрын
시공간을 왜곡되어 만들어진 단 몇 분 아니 몇 초만에 어느 곳이든 도착할 수 있게 해주는 시공의 터널(텔레포트의 일종)이라는 것이 있다고 가정하고 이를 이용해 안드로메다 은하를 갔다가 오면 특수상대성이론의 예외가 될 수 있을까요? 상상해 보며 재미있는 영상 감사합니다. 혹 실례가 되지 않는다면 이 영상에 사용된 bgm의 제목들을 알 수 있을까요?
@user-gn2br4rv4d
@user-gn2br4rv4d 4 күн бұрын
멋진 작품입니다!!!
@user-cy8pu9tf5u
@user-cy8pu9tf5u 28 күн бұрын
항상 고품질 영상 감사합니다
@user-wy2qx5bc9g
@user-wy2qx5bc9g 22 күн бұрын
퀄리티 지렸다
@voololl
@voololl 28 күн бұрын
언제 영상 올라 오려나 했는데..드뎌 영상 보면서 무섶단생각이. 왜 나는지..
@user-ud7fq2qi9e
@user-ud7fq2qi9e 21 күн бұрын
좋은 영상입니다. 어릴적부터 상상하던 것이네요. 안드로메다로 갔다올 수 있다면, 수백만년이 지나 이 지구에 알던 부모 형제 친구 또는 나를 기억하는 모든 사람들이 사라지겠지만 개인적으로 떠날 결심을 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앞으로 나이가 들 수록 더 떠나는것에 걸림이 없을 것 같습니다. 모든것을 잃어도 될 만큼 너무 큰 경험이기 때문에 그리고 언젠가는 내 곁의 모든 사람들과도 이별하는 순간이 오기 때문에 저는 슬픔을 안고라도 떠날 수 있을 거 같습니다. 과학 이론 하나가 이렇게 큰 감정의 동요와 철학적 사고 까지 하게 해 준다는게 정말 아름답네요. ㅎㅎ
@dobidong221
@dobidong221 25 күн бұрын
지구 귀환을 위해 감속에 또 어마어마한 에너지가 필요할텐데, 그 과정에서 빛의 속도 보다 느려지므로 사실상 시간이 훨씬 더 걸리긴 하겠군요
@pko7777
@pko7777 27 күн бұрын
대단히 감사합니다^^
@dkalxkqnf
@dkalxkqnf 28 күн бұрын
불교를 완벽하게 이해하시다니 대단하십니다 그리고 빛의 입장에서 보면 시공간이 존재하지 않는군요
@rainmune
@rainmune 28 күн бұрын
😮
@dongjaelee4190
@dongjaelee4190 28 күн бұрын
불교는 종교라기 보단 철학에 가깝죠
@Plan_Delta
@Plan_Delta 28 күн бұрын
과학을 종교로 보는 사람들만보면 지능이 낮다고밖에...
@ddukman
@ddukman 27 күн бұрын
불교를 잘 모르고 신자도 아니지만 개인적으로 연기법과 같은 핵심 교리는 우주를 심오한 방식으로 해석하고 철학할 수 있는 위대한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ImSin_MyeongLi
@ImSin_MyeongLi 27 күн бұрын
​​​@@Plan_Delta ... 학사는 자신이 안다고 생각하고 석사는 아는게 없다고 생각하고 박사는 조금 안다고 생각하고 교수는 생각 나는 것만 가르친다는 말이 있죠. 자만이십니다. 제 철학인데요. 세상 모든 사람은 나보다 똑똑하다고 생각하고 타인에게 의지하는 삶이 살기 편하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기대에 못 미치고 실망하거나 배신 당할수 있죠. 하지만 그건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들이 나쁜거지 내가 잘못한건 아니니까요
@mikang1234
@mikang1234 18 күн бұрын
나레이션이 정말 좋네요.
@likesea8991
@likesea8991 27 күн бұрын
공간을 압축하는게 쉽나요?훨씬 더많은 에너지가 들어갈것 같은데. 만약 여행선이 많으면 공간은 떡이되는가?
@oopoppl4204
@oopoppl4204 28 күн бұрын
형 왜 이제야 왔어 ㅠ 형 목소리가 제일 잠이 잘온다구
@user-js6je3dxw2q
@user-js6je3dxw2q 16 күн бұрын
최고의 우주 유튜버
@TheCar1129
@TheCar1129 27 күн бұрын
그렇다면 공간 도약(워프나) 차원을 접어서 우주를 이동한다면(광속을 넘어선 방법으로) 시간의 흐름속도에 대한 모순은 없을수도 있겠다는 말인가요?
@kmjbd9
@kmjbd9 26 күн бұрын
그럴거같아요 실제로 왕복500만년을 다녀온것과 250만년거리를 접어서 다녀온것과는 시간이 다르니깐요
@user-wj3jv8rd5i
@user-wj3jv8rd5i 28 күн бұрын
최고다 정말
@hanjames519
@hanjames519 20 күн бұрын
선생님, 광속으로 여행을 하고 오면 지구에서는 여행자의 시간보다 지구에서의 시간이 엄청 빠르게 흐른다고 하는데 그렇다면 만약 지구에서 센타우리에 빛이나 전파를 쏘아서 센타우리에 있는(가정) 거울에 반사되어서 돌아오는 빛은 왕복 8년만에 돌아오는것이 아니고 몇백만년 후에 돌아오나요?
@MR-PARK337
@MR-PARK337 13 күн бұрын
그냥 8년이죠. 센타우리는 4광년이기에 왕복 8년입니다. 빛은 상대속도 이기때문에. 멈춰 있는 사람의 시각에선 초속30만키로 이지만. 광속에 근접해 있는 사람의 시각에선 거의 무한대의 속도입니다.. 우주의 끝에서 끝까지 광속에서의 관점은 초속 30만 킬로가 아니라 무한대입니다. 광속에 도달하는 순간 광속의 속도로 움직이는 시각에서는 시간이 흐르지 않아요. 그럼 어떻게 될까요. 우주선은 무한한 공간으로 점프하는데 그 점프라는 거리가 무한이에요. 그래서 광속은 이론상으로 불가능한것이죠. 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 이렇게라도 광속에 근접하기만 할뿐 이 뒤에 따라붙는 9라는 숫자도 무한으로 늘어납니다 절대속도에 도달할수는 없어요. 편하게 생각해서. 99.9 다음은 100프로가 아니라는것이죠. 9라는 숫자가 백만번이 가도 그 다음 속도는 백일만번째 9가 찍힐뿐입니다. 그래서 광속에 달하는 에너지도 무한대 인것이지요. 무한대란 도달하지 못하는 가역대를 무한대라 하며. 그렇기에 빛은 실상은 속도가 없는거나 마찬가지 입니다. 단지 인간의 시각적인 관점에서 시속 30만 킬로가 된것 뿐이지요. 우주의 중심은 나.. 입니다. 내가 없는 우주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마찬가지로 빛의속도의 중심은 빛 그자체 입니다. 빛의 관점에서 속도를 보아야 개념이 잡힙니다. 빛의 관점에서의 속도는 무한대 라는것..
@666.Deicide
@666.Deicide 19 күн бұрын
이거 아예 모르거나 설명해줘도 이해못하는 분들이 많은데 이 영상 보여주면 좋겠네요 감사합니다~
@user-zp4gf8dd4j
@user-zp4gf8dd4j 28 күн бұрын
기회가 주어진다면 무조건 갑니다. 인간의 호기심을 이길 수 있는것은 아무것도 없습니다. 죽음조차도요...
@user-zh9tm5vx4w
@user-zh9tm5vx4w 28 күн бұрын
나의 개념은 이미 안드로메다에 있습니다.
@tv-qi8bq
@tv-qi8bq 28 күн бұрын
웃긴데 왜 대댓이 없노
@dkkim4372
@dkkim4372 28 күн бұрын
🤣🤣
@user-wb3se8sq8q
@user-wb3se8sq8q 26 күн бұрын
살만한 곳입니까..??
@hotspers7655
@hotspers7655 25 күн бұрын
축하합니다
@lavieenrose1804
@lavieenrose1804 24 күн бұрын
여러분이 보내주신 개념 덕분에 저희 안드로메다가 이렇게 번창할 수 있었습니다. 지구인 여러분께 감사드리며 앞으로도 꾸준한 개념 전송 부탁드립니다.
@user-nc5lh2dq8q
@user-nc5lh2dq8q 26 күн бұрын
광속에 가까운 속도로 이동하다 작은 돌 크기의 물체와 충돌해도 우주선은 괜찮나요?
@user-hd9mx1uc4i
@user-hd9mx1uc4i 19 күн бұрын
그러면 광속을 기준으로 100%에 도달하면 정지, 100%를 오버하면 시간역행인가요? 진공공간에서만 저 속도에 도달할 가능성이나마 있고, 어쨌든 사람이 탄 배가 우주에 있고, 원하는 속도값과 기간을 설정하면 돌아왔을때 미래로는 갈 수 있는거고, 만약 100% 이상 속도에서 시간 역행이 되면 과거로도 가는건가요? 궁금 ㅋㅋ
@EmptyAccountName
@EmptyAccountName 17 күн бұрын
영상 초반에 설명되었다시피, 질량이 있는 물질을 광속 으로 가속하는데 드는 에너지는 무한 이상, 즉 광속에 도달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xxx6289
@xxx6289 7 күн бұрын
수학적인 결론만 따지자면, 광속을 넘으면 시간 역행이 되는 결론이 나옵니다. 대신 질량은 허수 질량이 되어야 합니다. 이는 오직 수학적인 방식으로만 얻어진 결론이고 물리적으로는 허수 질량이 불가능하므로 시간 역행 또한 불가능합니다.
@dhsaryunny
@dhsaryunny 28 күн бұрын
안드로메다까지 순식간에 가는 법을 아는 방법은? 뜨억맨의 영상을 13분 동안 정주행하면 됩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ddukman
@ddukman 27 күн бұрын
들러주셔서 감사합니다😊
@snyeon1889
@snyeon1889 28 күн бұрын
제행무상 영원한 것은 없다. 우주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생멸을 반복.. 감사합니다.
@user-sh4ee5hp8h
@user-sh4ee5hp8h 23 күн бұрын
영상 내용 어디서 얻으시나요? 내용의 퀄리티가 우주 유튜버중 원탑입니다
@user-mh7ni4ej5f
@user-mh7ni4ej5f 15 сағат бұрын
이거 저처럼 다들 이해하고 보시는거죠? ㅎㅎ 우주아저씨에 이어 수면용으로 딱이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everkorean
@everkorean Күн бұрын
재밌네요~ 만약 지구와 우주선에 각자의 시간대로 서로를 볼 수 있는 cctv가 있다면, 우주선에서 지구영상은 빨리감기로 보일 것이고, 지구에서 우주선 영상은 슬로우모션으로 보이겠네요~ (상호간 영상전송이 바로된다는 전제로)
@user-tn7bi5so7q
@user-tn7bi5so7q 28 күн бұрын
오호 꿀잠잘수있겠다
@YDSnim
@YDSnim 28 күн бұрын
오랜만
@cowblue584
@cowblue584 15 күн бұрын
궁금한게 지구하고 다른행성에서.지구는 빛의속도를 능가하는 우주선 행성에서는 빛을 동시에 쏘면 지구 행성 거리300만km 그럼 우주선에서는 행성을 빛을 5초뒤에 볼수있고 지구에서는 10초뒤에 해성의빛과 우주선을 동시에 확인할수있는거?
@MR-PARK337
@MR-PARK337 13 күн бұрын
가령이라는 질문은 통하지가 않습니다. 빛의 입장에서 속도는 무한대입니다. 우리가 보는 초속30만 킬로가 아니에요. 광속의 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 이렇게라도 광속에 근접하기만 할뿐 이 뒤에 따라붙는 9라는 숫자도 무한으로 늘어납니다 절대속도에 도달할수는 없어요. 편하게 생각해서. 99.9 다음은 100프로가 아니라는것이죠. 9라는 숫자가 백만번이 가도 그 다음 속도는 백일만번째 9가 찍힐뿐입니다. 그래서 광속에 달하는 에너지도 무한대 인것이지요. 무한대란 도달하지 못하는 가역대를 무한대라 하며. 그렇기에 빛은 실상은 속도가 없는거나 마찬가지 입니다. 단지 인간의 시각적인 관점에서 시속 30만 킬로가 된것 뿐이지요. 우주의 중심은 나.. 입니다. 내가 없는 우주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마찬가지로 빛의속도의 중심은 빛 그자체 입니다. 빛의 관점에서 속도를 보아야 개념이 잡힙니다. 빛의 관점에서의 속도는 무한대 라는것..
@aengee21
@aengee21 25 күн бұрын
내 눈으로 직접 다른 행성을 볼 수 있는 기회가 생긴다면 모든 것을 포기하더라도 갈 것 같아요
@nojamman6654
@nojamman6654 28 күн бұрын
선추천 후감상 그리고 수면용 재생목록 추가 부탁
@dohyunkim2399
@dohyunkim2399 8 күн бұрын
인터스텔라 생각났어요 감사합니다 😂
@bangdoll4500
@bangdoll4500 22 күн бұрын
이론상으로는 질량체는 광속의 90%까지 가능하죠. (이 이상은 질량체의 질량이 사실상 무한대가 되기 때문에 불가능. 예 : 블랙홀의 자전속도는 최대 광속의 90%) 근데, 어떻게 가속할건데?
@jujak0616
@jujak0616 Күн бұрын
8:08 하지만 우리 인류는 아무리 빛의 속도의 근접해서 날아간다고 해도 국부 은하군 밖으로는 벗어 날수가 없습니다.
@TAeJUnJANg
@TAeJUnJANg 9 күн бұрын
넘모 잼있다
@kjane4204
@kjane4204 23 күн бұрын
👏👏👏👏👏
@kygofan1016
@kygofan1016 26 күн бұрын
안드로메다행 티켓 구매하려했는데 이 영상보고 취소했네요^^ 꿀팁공유 감사합니다
@ddukman
@ddukman 26 күн бұрын
저도 환불받았습니다🥳
@johnsjin
@johnsjin 19 күн бұрын
갈 수 있을 용기가 날지는 모르겠지만 가고 싶은 호기심은 동하네요. 어렸을때 놀던 동네가 상전벽해만 되어도 쓸쓸해지고 힘들어지는게 인지상정인데, 지구가 통채로 변하고 생물종까지 변했다면 정말 가긴 해도 오는건 더 어려운 문제 아닐까요? 새로운 삶의 터를 개척하면 그곳으로 간 지구인이 지난한 시간을 진화하고 난 뒤에는 다른 인류? 또는 새로운 종이 되어버릴 지도요. 생각할수록 무섭네요.
@user-oh6cc4mn4
@user-oh6cc4mn4 28 күн бұрын
광속으로 날아간다 치자~ 멈출때는? 광속의 속도에서 멈출때는 어떻게 멈춰?! 광속이 컨트롤이 될까?
@qwer-ob1qf
@qwer-ob1qf 28 күн бұрын
브렘보 브레이끼 쓰면 되죠
@user-nh7co7my4f
@user-nh7co7my4f 28 күн бұрын
광속으로 앞으로 갈때만큼의 추진력을 전방으로 쏘면 멈추게됩니다 단 조건이 있는게 인간의 몸이 버틸만큼 천천히 출발하고 천천히 멈춰야겠죠 그래서 지구에서 느끼는 중력만큼 1G로 계속 꾸준히 가속하고 목표속도에 도달하고 또다시 꾸준히 1G로 감속하고 도착해야합니다 칼세이건이 말하길 1G로 꾸준히 가속한다면 빛의속도에 근접한다면 1년정도 걸린다고합니다 그상태로 여행을 하고 다시 거의 도착할때즈음 -1G로 감속하는데만 1년이 걸리게됩니다 그래서 우리몸이 우주여행을하기위해 천천히 가속 감속을 한다면 반드시 2년정도는 필요하다는 계산이 나오네요
@user-ye9lk2oz5f
@user-ye9lk2oz5f 28 күн бұрын
​@@qwer-ob1qf 불앰보 ㅋㅋ
@user-mw3kl1vy2c
@user-mw3kl1vy2c 28 күн бұрын
그냥 킬링타임으로 가정하는 걸 씹진지빨면서 이지랄하는애들이 있음
@user-gn2eh3eq7f
@user-gn2eh3eq7f 28 күн бұрын
@@user-nh7co7my4f 광속의 10%로 가속하는데에도 엄청난 장비와 에너지가 필요한데 세울 때도 마찬가지잖아요. 인간의 몸이 버티는 것만 중요한 게 아니라 그런 장비와 에너지를 얻을 방법이 없으니 불가능하겠죠? 우주선에 달고 가야 하나요 아니면 도착지에서 해주나요..
@gomdorij3213
@gomdorij3213 26 күн бұрын
고맙습니다^^* 나 혼자 먼 미래에 지구로 돌아온다...... 그러면 안 갈 듯^^;;
@user-pn5uq8px6o
@user-pn5uq8px6o 27 күн бұрын
상대성이론에 다르면 속도가 증가하면 질량도 증가한다.. 빚의 속도라면 질량은 무한대..속도는 상대적이라 내가 빚의 속도면 정지되있는 물체도 내관점에선 빚의 속도가 되는거죠..그러면 조그마한 돌맹이라도 부딪치게되면 그냥 끝이라고 봐야죠
@jsbaek2260
@jsbaek2260 27 күн бұрын
ktx 타도 너무 빨라서 한번씩 무섭던데 ㅋㅋㅋ 이렇게 영상만으로도 충분히 만족합니다 ㅋㅋㅋ
@user-zn8sm3sq4x
@user-zn8sm3sq4x 27 күн бұрын
정말 뜨억이네~~
@sskk7986
@sskk7986 5 сағат бұрын
이틀전에 본 오빌시즌3 에서 괴거로 가게된 대원을 찾으러 갔다 시간여행기 고장으로 양자코어 안전장치 해제? 로 400광년 떨어진 어는곳으로 광속의 99.99999로 왕복비행하면 다시 400년 뒤의 현재로 가던데 아인슈타인의 이론을 말하며 나오는 내용이던데 이 영상을 보니 잘 이해가 되네요!
@lazy_ram
@lazy_ram 27 күн бұрын
나중에 우주로 여행간다면 주변사람들에게 작별인사를 하고.. 먼 후손에게 인사할 준비를 해야할듯.. 귀환하면 박물관행이될수도..
@dhsaryunny
@dhsaryunny 28 күн бұрын
광속에 가까워질 수록 질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건 우주선 입장에서 문제 없을까요? 이것도 아주 중요한 요소일 것 같습니다. 😅😅😅
@user-gb5sq4uw2d
@user-gb5sq4uw2d 28 күн бұрын
우주 가속팽창도 언젠가는 광속보다 빠르게 이동할텐데 그럼 행성이나 항성 은하가 파괴되나요? 공간 활용이 관건일것 같음
@user-hs3gq7vi7c
@user-hs3gq7vi7c 28 күн бұрын
상대론적 질량 증가는 밖에서 보는 사람의 질량이고..우주선 입장의 질랼은 정지질량 이므로 …변화가 없습니다.
@dhsaryunny
@dhsaryunny 28 күн бұрын
@@user-hs3gq7vi7c 감사합니다.
@user-ji7qy2vc8x
@user-ji7qy2vc8x 16 күн бұрын
그렇군요. 우주는 정말 아직도 인류에게는 미지의 세계이네요. 카르다쇼프 척도에 대한 영상을 본 적 있는데, 아직 제1문명 수준도 안되는 인류에게는 아직 갈 길이 먼 것 같습니다. 그러나, 언젠가는 태양의 에너지를 모두 이용하고, 우리 은하의 에너지 전부를 이용하고, 또 우리 은하단의 에너지를 모두 이용할 수 있는 시대가 올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 일을 이루는 주체가 인류일지 AI일지는 알 수 없지만, 인류의 지적 호기심은 결국 해 낼 것 같습니다.
@Welfare0307
@Welfare0307 22 күн бұрын
저는 외계인은 못 봤지만 UFO를 친구들과 약 5분동안 봤던 사람입니다 1994년도쯤 하늘 저 높은 곳에서 삼각대열로 굉장히 밝은 빛이 폭발하듯 번지다가 한곳으로 빛이 모이더니 갑자기 빛이 사라졌습니다. 다음날 뉴스에서 전국적으로 ufo 제보가 있었다는 소식을 접했지만 크게 신경 쓰지는 않았습니다. 그런데 지금 생각해보면 참 신기한게 인류의 시간으로 우주 관점을 보고 있는듯 합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하루살이곤충은 몇일 살까요? 그들이 지나가는 시간은 24시간 일까요? 아니 그 곤충의 60년이 우리 인류의 24시간 흐름이라면요 그래서 지금 영상은 인류가 5년 흐를때 다른 외계행성에서 오는 ufo는 고작 1초 2초라고 생각합니다 그들은 이미 수만년전에 지구 왕복 했었고 시간의 원리도 잘 알겁니다 그런데 그런 외계인이 하나가 아니라 수만종의 외계인이라면 지구에 왔다갔다하는 탐색만 하고 가는데 실제로 접촉할려니 또 몇만년 지나야 되고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시점에서 보는 외계인들은 지들 몇년뒤에 다시 왔지만 지구의 시간은 몇만년 지나서 서로 소통도 안되고 즉 몇만년전에 왔던 외계인들 집에 잠시 갔다오니 예전에 있었던 애들 다 사라지고 지금 발전 된 애들 소통하고 집에 갔다 온다고 하니 7024년에 인류 만나서 또 소통 안되고 무한 반복일듯 합니다 결론적으로 인류의 시간으로 계산 해 봤자 소용없고 우주인 중에 어느 한 종족이 시간 개념을 통일 시켜야 우주의 흐름을 알수 있을듯 합니다
@user-tm1ph3vq7k
@user-tm1ph3vq7k 14 күн бұрын
정말 아쉽습니다 이번 한번뿐인 생에 만물에 대해 알수있는것들이 얼마나 될까요 뜨억님도 이렇게 영상만드시면 공부하면서도 삶에대해 허무함을 느끼시지않으신가요? 너무 아쉽고 미약한 인류입니다
@1BVR7
@1BVR7 28 күн бұрын
빛이 있기에 우주가 존재하며 우리도 존재한다
@whateveryouwant6974
@whateveryouwant6974 28 күн бұрын
뜨억교주시여... 일단 광속의 근접한 속도로 가속할 에너지가 없다는게 흑흑 ㅠㅠ
@gattosazio5778
@gattosazio5778 28 күн бұрын
영상을 보고 든생각인데... 지구는 사실 아주 오랜 옛날 빛의 속도에 가까운 우주선을 타고온 우주인이 생물을 퍼뜨린게 아닐까? 이런식으로 생물이 살수 있는 행성으로 가서 그별을 씨를 뿌리는 거지. 이렇게 빛의 속도에 가까운 우주선을 타고 여행을 하게 되면 돌아갈 고향별도 없어질테니까.. 최대한 많은 별을 생물이 살고 문명이 발달된 별들로 만들어서 우주여행을 하다가 나중에 다시 갈수 있게? ㅎㅎ 그냥 공상 한번 해봤습니다.
@OK-kv9bd
@OK-kv9bd 18 күн бұрын
👍🏻👍🏻
@hanbaekkang3999
@hanbaekkang3999 18 күн бұрын
저도 외우고 있네요 ㅎㅎ
@nutralizer01
@nutralizer01 28 күн бұрын
90년대 중후반때 상대성과 특수상대성 이론을 설명하면서 우주선이 빛의 속도에 근접하면서 가속하는 단계들 성명하는걸 Newton 잡지에서 읽은게 기억나는데, 아주 쉽게 설명이 되었네요. 근데 빛의 속도로 가속할때 우주선 안의 시간은 평소 느끼는대로 흐른다면 진공상태 우주에서는 가속을 굳이 천천히 할 필요는 없지 않은지 궁금하네요. 우주선 밖에서 보는 광속에 가까운 우주선은 납작하게 짜뿌되어 보이겠지만요 ㅎ 50년 후면 정말 이미 달이나 화성에 이미 테라포밍하여 이주해서 살고있는 사람들이 있을 수 있는데, 500년, 5,000년, 50,000년, 500,000년, 5,000,000년은 상상 이상입니다, 최초 인류조상 살았던 시절에서 지금까지 걸린 시간이 경과된다는 건데.
@user-vj1mq7in4c
@user-vj1mq7in4c 22 күн бұрын
어렵네요 모든것 다 깨우치지 못하고 가야만 하는게 좀 억울하네요----
@user-og4it4yb7l
@user-og4it4yb7l 28 күн бұрын
우주선 입장에서 보면 지구가 빛의속도로 멀어질텐데 그럼 지구 시간이 느리게 가는것 처럼 보여야되서 서로 쌤쌤 아닌가?
@rush_dark1788
@rush_dark1788 28 күн бұрын
광속에 가깝게 가다가 우주선이 작은 먼지에 부딪치면 우주선은 멀쩡할지요?
@user-xb1xb2if5j
@user-xb1xb2if5j 28 күн бұрын
우어어~ 일한다!!
@ddukman
@ddukman 27 күн бұрын
응원 감사합니다 ㅠㅠ 매번 늦어서 죄송합니다 더 뛰어보겠습니다!🏃‍♂️💦
@user-hs3gq7vi7c
@user-hs3gq7vi7c 28 күн бұрын
평소에도 자주 정신 찾으러 안드로메다를 갔다 옵니다…가지 마세요 별거 없슴다.
@chohc
@chohc 13 күн бұрын
빛의 입장에선 모든 우주가 점이라는게 맞나보네요 ㅎ
@user-jr8hu7dg9o
@user-jr8hu7dg9o 3 күн бұрын
실제로 우주보고 싶기도 해서 저번달에 빔?같은걸로 방 안을 비췄거든요? 실제 우주 온거같기도하고 엄청 신기하네요 ㅎㅎ 특히 저보다 5살 딸 아이가 너무나도 좋아하는데 그 모습 보니까 더 좋더라고요 ㅎㅎ 우주 유니빔이 가장 저렴해서 가성비 괜찮아요.
@user-lt7tx4hk5h
@user-lt7tx4hk5h 28 күн бұрын
근데 그 속도로 빠르면 다가오는 물체와의 충돌은 어찌 피할까요? 현무미사일도 속도때문에 수십미터 땅속을 뚫는다는데? 또 어딘가 있을 블랙홀에 홀인원될수도 ㅋㅋㅋ
@user-lb9gw5kn9d
@user-lb9gw5kn9d 12 күн бұрын
스타트렉의 워프10, 광속의 1,000배라도 우리 은하계 가장자리에서 지구까지 복귀하는데 65년 걸림. . .
@ququdas
@ququdas 28 күн бұрын
이래서 시간 지연때문에 외계 여행은 무조건 양자얽힘을 어떻게든 이용해야만 해요 그래야 250만광년 떨어진 안드로메다 장모님댁에 다녀와도 주변 지인들이 그대로죠
@KimeoJun_ppkka_leejinho
@KimeoJun_ppkka_leejinho 18 күн бұрын
저런 이론을 생각해낸 아인슈타인이 대단하다..
@LeeLee-vo6ny
@LeeLee-vo6ny 28 күн бұрын
안드로메다가 아무리 궁금해도 지금 이순간 소중한 사람과의 시간이 더 중요하기에 안갈 것 같네요
@user-vd5zz3nk3v
@user-vd5zz3nk3v 28 күн бұрын
우주선이 광속의 99,99999999999999 안드로메다 은하로 이동한다면 2,5년 걸린다고 한다면 반대로 빛은 왜 250만년 걸리나요? 알려주세요
@deuxchevauxs6390
@deuxchevauxs6390 28 күн бұрын
우주선 속 시간이 느려져서 2.5년이고 길이도 수축해서 가까워지지만 밖에서는 250광년 이고 250만년이 걸린다고 하네요.
@user-hj7pt5zr7g
@user-hj7pt5zr7g 28 күн бұрын
광속의 99.99999999999%로 이동한 우주선과 빛. 이 두가지를 지구에서 동시에 출발시키면, 지구인이 봤을 때 둘의 속도는 거의 똑같고 둘다 250만년걸립니다. 다만 우주선에 탄 사람의 시간은 느리게 가기 때문에 그 사람들에게는 2.5년이 걸리게 되는 것이구요. 한편 지구인이 이 둘을 바라보면 속도가 거의 똑같지만 우주선에 탄 사람은 자신들과 동시에 출발한 빛이 빛의 속도만큼훨씬 앞질러가도록 보입니다. 그렇다면 그 빛은 빛의속도에 가깝게 움직이는 우주선보다 빛의속도만큼 더 빠르니 속도가 빛의속도*2가 되냐? 그건 또 아닙니다. 빛은 어디서 누가 어떤 상태로 관측하든 똑같이 빛의 속도로 움직입니다.
@magic_guitar
@magic_guitar 28 күн бұрын
우린 빛을 관전자 입장으로 볼수밖에없으니 250만광년 걸리는게 맞죠. 우리가 빛자체가 될수없으니까요
@user-vd5zz3nk3v
@user-vd5zz3nk3v 26 күн бұрын
@@user-hj7pt5zr7g 아하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user-kt6vp3bk8q
@user-kt6vp3bk8q 28 күн бұрын
안드로메다 갔다 왔더니 지구인들이 나를 외계인이라고 하더라~
@mymy-vf4ef
@mymy-vf4ef 28 күн бұрын
안드로메다로 가는 여행은 너무도 슬픈 여행이네요
@KimChoJJa
@KimChoJJa 19 күн бұрын
군번 학번 을 기억하는게 더 놀랍네요 총번도 기억에 들어가야죠 ㅎ
@user-tk7qu2bu3t
@user-tk7qu2bu3t 5 күн бұрын
수 십년간 고민해봤는데 우주선이나 어떤 물체든지 가속의 극한에 가까워 지면 어떤 현상이 생길가 하는 것 이였습니다.
@KOVA_SIGONG
@KOVA_SIGONG 27 күн бұрын
질량을 가지고 있으면서 빛의속도보다 뛰어넘는게 가능한 시기가 올까. 그래야만 인류가 살수 있을텐뎅
@Enter.jinyoung
@Enter.jinyoung 22 күн бұрын
절대 시간은 변화지 않는다.
@user-ge4ow9ow6c
@user-ge4ow9ow6c 23 күн бұрын
그렇게 도착하면 멈추는건 어떻게 멈춰..?
@user-rm6vq8jm7x
@user-rm6vq8jm7x 27 күн бұрын
우주선 안의 사람이 1G로 느끼도록 하려면 광속이 가까워질수록 가속도를 줄여야 되지 않을까요? 우주선 안의 사람은 시간지연의 효과로 시간이 2배지연되면 가속도를 4배로 느낄겁니다.
Final muy inesperado 🥹
00:48
Juan De Dios Pantoja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Climbing to 18M Subscribers 🎉
00:32
Matt Larose
Рет қаралды 33 МЛН
경이로움의 건설: 후버 댐의 비밀이 밝혀지다
17:28
Lesics 한국어
Рет қаралды 358 М.
광속의 신비 - 광속은 왜 불변일까?
20:00
DMT PARK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Wait for the last one! 👀
0:28
Josh Horton
Рет қаралды 48 МЛН
Студия төрінде жобамыздың жемістері!
1:17:44
QosLike / ҚосЛайк / Косылайық
Рет қаралды 233 М.
Студия төрінде жобамыздың жемістері!
1:17:44
QosLike / ҚосЛайк / Косылайық
Рет қаралды 233 М.
Cute ❤️🍭🤣💕
0:10
Koray Zeynep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