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은 끈으로 이루어졌을까? | 물리학자들이 찾는 단 하나의 이론 | M이론 | 아인슈타인 | 초끈이론

  Рет қаралды 424,009

EBS Collection - Nature

EBS Collection - Nature

2 ай бұрын

현대물리학의 첨단에 서있는 초끈이론, M이론을 다루고, 나아가 평행우주 등 우주의 구조를 밝힌다.
물리학자들은 공통된 꿈을 갖고 있다.
서로 달라 보이는 현상들이 본질적으로 같음을 증명하는 것. 단 하나의 궁극의 이론을 찾는 것이다.
뉴턴은 사과가 떨어지는 것과 달이 지구를 도는 이유가 하나임을 찾아냈다.
맥스웰은 전자기 현상과 빛이 본질적으로 같음을 밝혀냈다. 아인슈타인은 시간과 공간을 합쳤다.
우리가 경험하는 이 세상은 하나의 이론으로 설명이 가능해졌다. 순조로워 보이던 물리학의 꿈은 양자역학의 등장과 함께 길을 잃게 된다.
큰 세계를 움직이는 법칙과 작은 세계를 움직이는 법칙은 좀처럼 합쳐지지 않았다.
두 이론을 합치기 위해 등장한 것은 ‘끈이론’이었다. 만물의 최소 단위는 입자가 아니라 작고 진동하는 끈이라는 것. 정말 세상 모든 것은 끈으로 이뤄졌을까? 끈은 실제로 존재할까? 끈이론은 물리학자들의 꿈을 이룰 수 있을까?
물리학의 지상과제인 단 하나의 이론을 찾아가는 과정을 따라가 보고, 물리학의 현주소와 남은 과제들을 점검한다.
#아인슈타인 #뉴턴 #양자역학 #만유인력 #상대성이론 #맥스웰 #끈이론
▶️ 프로그램 : 빛의 물리학 6부 - 빛과 끈
▶️ 방송일자 : 2013.10.02

Пікірлер: 400
@user-fh5cz5hv5p
@user-fh5cz5hv5p Ай бұрын
3번째봤는데 3번 모두 3분이내에 잠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EBS
@Ina_7
@Ina_7 Ай бұрын
333 ㄷㄷ
@user-rw6lv7pc9p
@user-rw6lv7pc9p Ай бұрын
333이론 ㄷㄷ
@user-gz3bd1bk3u
@user-gz3bd1bk3u Ай бұрын
zzzzzzz
@igniz2002
@igniz2002 Ай бұрын
잠이 많으시군요, ㅋㅋ 백설공주 같으니라구~
@GYrunner
@GYrunner Ай бұрын
저도 지금 잠들기위해서 보고있어요
@polarislee7030
@polarislee7030 2 ай бұрын
만물에 대한 열쇠가 될 수도 있는 놀라운 끈이론, 10년도 더 전에 EBS 다큐 시리즈에서 봤는데, 이제는 IPTV 등에서도 이 좋은 다큐가 없어져 무척 아쉬웠습니다. EBS 다큐를 묶어서 유튜브에 올려놓으니 좋네요. 전국민의 필수교양!
@eunlee7848
@eunlee7848 Ай бұрын
😊
@user-sw5cp5hm2p
@user-sw5cp5hm2p Ай бұрын
이 교수님이 EBS에서 강연하신 빛의물리학 시리즈 보세요! 진짜 최곱니다 ! 고전역학부터 상대성이론, 양자역학까지 모두 아우르는 고품격 강연이에요!
@happyhan608
@happyhan608 Ай бұрын
감사요. ❤
@user-dm6hu3cy1q
@user-dm6hu3cy1q Ай бұрын
잘볼게요❤
@user-sf1xv9ph5i
@user-sf1xv9ph5i Күн бұрын
알려주셔 감사합니다!
@user-wp1wy7sn5i
@user-wp1wy7sn5i Ай бұрын
2013년 방송이니까... 초끈이론은 10년전애 봤던 방송이네요. 재방좋아요.
@willend454
@willend454 Ай бұрын
이런 좋은 영상을 2024년에야 보다니 ㅎㅎ
@melotoha
@melotoha 15 күн бұрын
너무 흥미롭고 재밌어요!! 감사합니다💕
@user-px5ic7oe4p
@user-px5ic7oe4p Ай бұрын
직장인입니다. 어제 이거 보면서 잠들어서 개운하게 일어났습니다
@user-vn8yh5yi3w
@user-vn8yh5yi3w Ай бұрын
유익합니다~ 이런 영상이 많았으면 좋겠어요^ ^
@ghijkabcdef6887
@ghijkabcdef6887 16 күн бұрын
초끈이론 흥미롭네....
@bandalgamyeon
@bandalgamyeon Ай бұрын
이번 주 나의 숙면을 부탁해❤
@rose2040i
@rose2040i Ай бұрын
완벽하게 이해했습니다………….
@RohanJu
@RohanJu Ай бұрын
그나마 이해하기 쉬운 영상입니다
@zdcell
@zdcell Ай бұрын
다들 끈끈하군요
@mngddoo
@mngddoo Ай бұрын
월요일에서 왔습니다. 여러분 다ㅈ댔습니다
@user-om2iw1du2c
@user-om2iw1du2c Ай бұрын
진짜 ㅈ돼버렸습니다. 알람 시간까지 4시30분 남았습니다 😢😢😢
@a_sharp-pointed_pangpang
@a_sharp-pointed_pangpang Ай бұрын
저는 1시간 9분 남았대요😂😂😂
@user-hr3qr2ou3o
@user-hr3qr2ou3o Ай бұрын
​@@a_sharp-pointed_pangpang 팡팡아 더자라😊😊
@ARRRI2013
@ARRRI2013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
@user-po1qg5lf2e
@user-po1qg5lf2e Ай бұрын
이미 수십년전에 ㅈ 됐음
@mosshut2
@mosshut2 Ай бұрын
우주 공간의 기반은 끈과 같은 인력으로 연결된 행렬체(matrix)이고, 이 인력의 끈이 진동하여 파동성이 나타나고, 그 파장과 진동수 간의 공명과 공조로 다양한 입자성을 가지는 미립자를 만들고, 이 입자들이 어울려 원자를, 다시 분자를, 다시 분자집합체인 물질들을 이룬다. 그래서 이 인력 행렬체로부터 물질(matter)까지 총 11차원을 가진다.
@dudas9633
@dudas9633 13 күн бұрын
입자를 만들고 세상을 구현하는 끈이지만 그 속에 끈을 만드는 또다른 입자 발견. 이러면 끝도 없겠네요.
@user-wu9xn8mr4f
@user-wu9xn8mr4f Ай бұрын
"뭉우리돌의 들녘" 꼭 사서 보겠습니다. 뭉클했습니다.
@MrOhjongho
@MrOhjongho Ай бұрын
너무재밌다 이게 교육이지
@user-de5tk9bw8q
@user-de5tk9bw8q 10 күн бұрын
끈끈합니다👍
@sungkilcho7210
@sungkilcho7210 Ай бұрын
백날 공부하고 책읽고 영상을 봐도 그냥 그런것 같다. 우리가 우주를 조금이라도 이해하려면 백년 이상을 지나야 할것 같다!
@astonia0703
@astonia0703 Ай бұрын
같은 공간에 존재하지만 서로를 보고 느낄수 없는 그런 것보다 더 고 차원인 세상.. 이 모든건.. 하나???
@user-vw4xs2xp9v
@user-vw4xs2xp9v 30 минут бұрын
착각 ㅋㅋㅋㅋㅋㅋㅋㅋ
@user-ui3ze4tn7i
@user-ui3ze4tn7i 10 күн бұрын
자기직전에 봤는데 2시반이 됐네요 5시에 일어나야하는데ㅜㅜ
@user-yn4rq4pu5b
@user-yn4rq4pu5b Ай бұрын
넘 잼있다
@baaraam1048
@baaraam1048 Ай бұрын
재미있는 것은 물질을 구성하는 방법 중에서 끈이 가장 효율적임. 그리고 끈은 입자와 파동 모두에 깊게 관련이 있어서 가능성이 매우 높죠.
@user-ie3ph2qn7r
@user-ie3ph2qn7r Ай бұрын
효율적이다기 보단 그랬으면 참 이쁘겠다 수준임
@TTOTTA_V
@TTOTTA_V Ай бұрын
@@user-ie3ph2qn7r 물리하는 학생의 입장으로서 효율적인게 예뻐보여요 같은 말이 아닐까 싶네요
@user-ie3ph2qn7r
@user-ie3ph2qn7r Ай бұрын
@@TTOTTA_V 영상에도 나오지만 왜 끈이여야 하는지 설명못하는게 끈이론입니다. 가장 근본이 되는 무언가가 끈이아니라 점이여도 구여도 튜브여도 도너츠여도 귀여운꼬마꿀벌이라고 해도 끈이론의 이론을 거이 그대로 쓸수 있습니다 합리성을 토대로 이론을 쌓아가는게 아니라 이론을 하나 정하고 합리적이여야 할 이유를 쌓아가는 방식은 현대물리학스럽진 않죠ㅎㅎ
@user-ql7hx9jj1n
@user-ql7hx9jj1n Ай бұрын
⁠​⁠@@user-ie3ph2qn7r 그럼 귀여운 꼬마꿀벌론으로 바꿨으면 좋겠다 어차피 입증 못하는 데 앙증맞고 귀여운 거 보면 기분이라도 좋아질 듯
@user-wv3kx8vv1y
@user-wv3kx8vv1y Ай бұрын
​@@user-ql7hx9jj1n 너도 귀여워
@minskwak6310
@minskwak6310 18 күн бұрын
매일밤 10~15분만 보다가 잠들어 버리게 만드는 영상😂
@bsmoon3070
@bsmoon3070 Ай бұрын
역시 ebs 교양의 수듄이 높네유 너무 높아서 대부분 이해는 못했지만 흥미롭게 봤습니다 ㅋㅋ
@blueplum11
@blueplum11 Ай бұрын
11년전 방송 ㅎㅎ
@user-gp7ll7lq7s
@user-gp7ll7lq7s Ай бұрын
만물의기본이되는 초끈...초끈의 운동상황에따라 각기다른 입자로 생겨난다.. 만물의근원은 마음..마음먹기에따라 세상모든것이 생겨난다... 또한 제행무상...이세상 모든 상황이 영원한것은 없다.. 석가모니가 불교를 통하여 주장한 마음은....과학에서는 초끈이라고 말하고있습니다..
@user-ev5tn4cu5g
@user-ev5tn4cu5g 24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불면증이 없어졌어요
@ksgams
@ksgams Ай бұрын
과로사님의 설명... 흥미롭군요
@user-lm4wq5bj7s
@user-lm4wq5bj7s 12 күн бұрын
초끈이론은 결국 우리가 입자라고 표현하는 것 뿐이지, 모든 것은 운동에너지인 파동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인가요? 아님 최소 발현체인 끈 형태의 입자가 있다는 것인가요?
@user-ji1ve6lh5o
@user-ji1ve6lh5o Ай бұрын
브라이언그린의 우주의구조 책 읽어보세요 재밌습니다
@coco-in9qu
@coco-in9qu Ай бұрын
어렸을적 할머니한테 들었던 양자 얘기가 이것이었군요 😂
@viduka1976
@viduka1976 Күн бұрын
저는 이 초끈도..처음에 우리가 빛이 선이라 생각했던것 처럼..초끈도..아주작은 입자들의 연결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user-mb6cy2qx7y
@user-mb6cy2qx7y Ай бұрын
질량 때문에 공간이 휘어지는 것과 서로 잡아당기는 힘이 생기는 게 어떤 연관이 있는 건가요? 단순히 공간이 휘어져서 끌어당긴다고 하는 건, 마치 물체는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거다라고 말하는 것과 다를 바가 없어 보입니다. 친절히 설명해 주실 분 계신가요?
@pisin221
@pisin221 Ай бұрын
같은 말 맞아요. 쉽게 예를 들어볼게요. 아주 커다란 트램폴린 위에 100키로인 공, 10키로인 공이 있다고 가정해보자구요. 두개의 공이 멀리 떨어져 있으면 제자리에 있겠지만 조금만 가까워져도 가벼운 공이 무거운 공 쪽으로 굴러갈거예요. 만약 100키로 공 위에 개미 한마리가 붙어 있었는데 10키로인 공이 굴러온 위치가 개미 머리 위쪽이라면 개미입장에서는 어떻게 보일까요? 10키로인 공이 자신이 붙어있던 공(땅)으로 떨어진다고 생각하겠죠.
@user-bp5kn9cn4i
@user-bp5kn9cn4i Ай бұрын
실체를 모르니 모든걸 포함하는 끈이론 다차원을 끌어다 쓰는 것임. 존재하는 실체는 뭬비우스 띄와 같음.내 세포 속에 내가 존재함. 가장 작은 것은 존재할 수 없게 되어 있음. 근원을 찾아내는 과정은 불가능할 수 있지만 천문학적 공간에서는 광속은 일정하지 않다는 것과 빛은 점성을 갖는다는 걸 알아야함. 지금 이론단계에서 관측으로는 우주를 알 수 없음.
@user-ux8uk9eq1d
@user-ux8uk9eq1d 2 ай бұрын
10:55 백만의 제곱 초면 빅뱅 이후 1조 second가 지난 시점까지 거슬러 올라갔다는 건가요 아니면 빅뱅 이후 1조분의 1초까지 거슬러 올라갔다는 걸까요? 1 millionth of a millionth of a second 라고 하는 거 같긴 한데
@user-dg9ie1rj4y
@user-dg9ie1rj4y Ай бұрын
후자라고 생각합니다
@user-ql7hx9jj1n
@user-ql7hx9jj1n Ай бұрын
후자요!
@user-qq6mn4fz8k
@user-qq6mn4fz8k Ай бұрын
전자면 그냥 몇 년이라고 하지 초로 말하진 않았을 것 같아요😅
@IapetosGungnir
@IapetosGungnir 29 күн бұрын
우주가 애초에 작은 점에서 시작 되었다고 했는데.. 그럼 그 점을 제외한 공간이 있었을까? 만약에 점을 제외한 공간이 있었다면 그 공간도 우주일까? 아니면 또 다른 무언가인가?
@hoylekim
@hoylekim Ай бұрын
신묘한 알고리즘이 삼체의 늪에서 나를 여기까지 이끌었네요... 으으으 11차원이라니...
@joyjason-cg5rp
@joyjason-cg5rp Ай бұрын
난 우주가 끝나가는것보다는 이번 주말이 끝나가는것에 더 안타깝다. 더 쉬고 싶다.
@jangpeter8626
@jangpeter8626 Ай бұрын
이거 엄청 예전에 봤던건데.. 재업인가요?
@bebuilt1518
@bebuilt1518 Ай бұрын
ㅠㅜ 10년전 다큐네요. 5부작.. 당시 엄청 열심히 봤었는데
@user-ul7zd8tv2u
@user-ul7zd8tv2u Ай бұрын
무한대 라는 의미로 우주는 우리에게 최대한 인간이 알수있는 범위를 쉽게 표현 해 주고 있지요 우주의 근본은 우리 수학으로 푸는게 의미 없다는걸 우주의 무한대 분의 1도 못풀지요 초끈이건 초파리건 그건 우리수힉의 한계를 보면서 우리수학 우리차윈이 그렇게 보일뿐이지요 시간과공간도 그저 우리 차윈만 그렇게 보일 뿐이지요 무한대분의 1의 현상인 우리차윈 말이예요
@younghunkim7774
@younghunkim7774 Ай бұрын
이거 굉장히 오래된 영상인데.. 지금 현재도 끈이론이 물리학에서 다루어 지고 있나요? 이 영상에 나왔을때부터 이미 끈이론을 비판하는 많은 학자들이 있었고, 아무런 증거도 없는 수학적으로 깔끔하다는게 무슨과학이냐고 엉청나게 비판했던거 같은데.. 혹시 끈 이론은 지금 어떠한 상황인지 아시는 분 있나요??
@joeaverage8329
@joeaverage8329 Ай бұрын
지금도 여전히 연구합니다. 여전히 비판적인 시선도 많지만 연구는 꽤 활발한 것 같습니다.
@user-zz3vn1ck5r
@user-zz3vn1ck5r Ай бұрын
에너지에서 물질로 바뀌는 중간단계가 끈인가?
@user-zz5zn7cm1g
@user-zz5zn7cm1g Ай бұрын
알고 싶다면 차원을 올리세요~
@kmdr37
@kmdr37 Ай бұрын
예전에 빛의 물리학 정말 재밌게 봤죠 명작 다큐~
@ddangbochae4738
@ddangbochae4738 Ай бұрын
지금은 M이론이 어느정도 발전했는지 궁금해지네요
@user-ve1db9vh9n
@user-ve1db9vh9n Ай бұрын
세상이 끈으로 이루어졌다니... 뭔가 단순하지도 우아하지 않아. 그냥 그럴 것 같지 않은 느낌.
@costarica6379
@costarica6379 Ай бұрын
이제는 끈이론에 대한 환상에서 깨어나야 할 듯. 한동안 물리학계에선 끈이론을 연구하지 않으면 연구비 받기가 아주 어려운 시절이 있었음.
@user-kf8yd9lh2l
@user-kf8yd9lh2l Ай бұрын
그연구비 나도 받아봤으면
@kithkin6616
@kithkin6616 Ай бұрын
(미시세계에서) 위아래좌우개념이없고 시간개념도 모호합니다 >>> 이게 정확히 무슨 뜻인가요?
@hyungjinpark30
@hyungjinpark30 9 күн бұрын
켜놓고 25분쯤 자다가 새벽에 일어나서...다시 잘려고 처음부터 봅니다...이거 끈이 만든 효과 좋은 수면제인가요?
@stickyricecake8967
@stickyricecake8967 Ай бұрын
그냥 존재 자체가 다 파동아니냐?? 따지고보면 그냥 목소리나 그냥 자연 소리같은 게 물질로 표현된 것이 아닐까.....왜냐면 성경에 보면 태초에 스스로 존재하는 된 신이 목소리로 다 뭘 만들거든....뭐가 있으라 하면 있게된거지.....그러니까 우린 가장 안쪽으로 들어가면 그냥 소리인거야....파동이라고 봐도 될테고... 우리가 다 파동이라고 하고 시작해야 더 빠를 듯...이게 꽤나 설득력 있는게 우린 신을 찬양하기 위해 만들었다고 하거든 노래하라 이거지 인생으로...즉 소리 파동이란거임.... 아마도 나중에 나오겠지만 무기 중에서도 제일 강력한게 음파 파동으로 쐭~ 지나가는 것이 될 것으로 보인다....종말에 입의 검이란게 파동으로 한방에 쫙 조지는 그런거 아니겠냐...
@user-zw9fn2kp5f
@user-zw9fn2kp5f Ай бұрын
문득 평면(2차원) 우주공간에 3차원입체(지구,인간,중력있는 모든물질) 가 있고 1차원 빛... 원자는 3차원, 전자는 1차원
@user-zt2mg9ej1s
@user-zt2mg9ej1s 29 күн бұрын
EBS 짱짱
@okpush
@okpush Ай бұрын
세상은 입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시간의 흐름이 있어서 플랭크 단위 내에서 관찰되는 입자가 끈으로 관찰되니 끈이론인 것이죠. ^^ 끈의 파동 위치가 각각 다른 이유는 입자의 모양이 달라서 그런 것이고요. 끈이론의 위기를 벗어나려면 11차원 브레인이 신과 인간 차원의 위상 경계라 보고, 신의 위상 차원 하나가 더 있으면 어떨까도 생각해 봅니다. 그 미지의 차원에서는 열린 끈도 닫힌 끈과 같아져 궁극적 초끈에 다가갈 단서를 제공할지도 모르죠. 위상 수학의 지속적 발전을 기대해 봅니다.
@user-kf8yd9lh2l
@user-kf8yd9lh2l Ай бұрын
관찰되다니요??
@HIRIT08
@HIRIT08 Ай бұрын
이거 진짜 명작
@Nemo0709
@Nemo0709 Ай бұрын
Who makes the string?
@user-zz3vn1ck5r
@user-zz3vn1ck5r Ай бұрын
E=MC에 제곱: 왼쪽은 에너지 오른쪽은 물질(질량) 엄청난 에너지가 모여야 질량이 되고, 조그만 질량이 엄청난 에너지를 만들어 냄.... 질량이 어떤 조건이 되면 에너지가 되고, 에너지의 바다에서 어떤 조건이 되면 물질이 되는,,,, 과정을 모른다.
@made3rdaccount
@made3rdaccount Ай бұрын
이 방송은 오늘 몇차원에서 방송된건가요
@stir02
@stir02 Ай бұрын
울끈불끈에서 왔습니다. 운동하세요.
@user-uh6by5gs1f
@user-uh6by5gs1f Ай бұрын
휴지끈에서 왔습니다. 저는 지금 현자타임중입니다.
@Billion._.Master
@Billion._.Master 2 ай бұрын
허 2013년도 방송이라.. 정말 돌아가고싶다..
@user-ns9hp3pu4c
@user-ns9hp3pu4c Ай бұрын
비트코인 사야지
@sjn7694
@sjn7694 Ай бұрын
누군 로또 산다는데 로또번호 외운사람 거의 못봄. 코인이 진리임.
@user-vb6rz6lz9t
@user-vb6rz6lz9t Ай бұрын
지드래곤 삐딱하게 ㄹㅈㄷ였는데
@user-wc1wb6pc6p
@user-wc1wb6pc6p Ай бұрын
문과 어리둥절. 삼체 읽다가 이 영상 보고 있는데 강력? 중력? 전기력? 롸? 이러고 있음.
@user-si6lx6od3r
@user-si6lx6od3r Ай бұрын
끈이론이란게 떨림이 물질의 형태를 결정한다는건데 모든 원자가 정지하는건 초전도체고
@hjk5165
@hjk5165 Ай бұрын
끈났나요? 저는 전혀 모르겠는데 신나하시는 븐들을 보니 신기하네요. 그럼 앤트맨으로 나머지 공부하러 가볾게요
@user-np8wy2ze3o
@user-np8wy2ze3o Ай бұрын
저도 당췌 뭔 소린지 ㅋ
@user-uq8zu4iu8v
@user-uq8zu4iu8v Ай бұрын
2:30 고딩 때부터 궁금하던 건데 우주는 위아래가 없다고 배웠는데 중력이 공간을 왜곡시킨다는게 저 그림처럼 표현이 된다면 위아래가 있어서 아래로 중력이 있다는 소리 아닌가? 그 왜곡을 삼차원으로 표현을 못하니까 설명 할 때만 저러는 건가?
@meguru420
@meguru420 Ай бұрын
은하가 접시모양이라면 우주도 위아래가 존재할수밖에 없다고 개인적으로 추정합니다
@sinsiyun-1
@sinsiyun-1 Ай бұрын
저도 굉장히 궁금해 했던 건데 생각해 보면 그냥 개념을 단순화 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중력 자체가 한 방향으로 작용하는게 아니라 모든 방향에서 작용하니까 일종의 구라고 생각하면 편할 것 같아요.
@user-vf7xk9vl7g
@user-vf7xk9vl7g Ай бұрын
전자기력 약력 강력 중력 모두 하나의 힘 에너지인데 어떻게 그것만으로 처음에서 시작하려고 계산해야 하나 의문...음 호킨의 복사에너지를 생각하면 아무리 생각해도 지금 존재하는 지금의 우주는 지구가 생명이 살기에 최적화된 물리법칙이 있는 존재로 만들어지기 위해 완벽하게 계산된 정확한 법칙에 의해서 처음부터 만들어졌다고 밖에 생각할 수가 없는것 같음 우주가 우연의 확률에 의해서 모든게 그 확률적 존재가 불능함 그럼 반대로 어짜피 확실한건 지금이라는 이 우주와 지구 시간과 공간의 중력 약력 강력 전자기력이 모두 존재하는 지금이 아닐까. 혹시 이 특이점을 기준으로한다면 지금이라는 존재하는 특이점이 이동한다는 예상이 나오는데 그럼 처음과 마지막의 모든 시간은 정지되어있는 시점이 된다는것까지 생각해 보았음 그럼 절대적 0점을 지금으로 할 수 있다고 생각됨 근데 끈 이론은 이 0점이 없음 운동 에너지 방식의 파장을 설명할 수는 있고 우주의 지금의 지구와 우주의 에너지 복사를 설명할 수는 있겠지만 빅뱅우주로 부터 지금의 존재 를 설명하기엔 모호하다고 이야기 할 수 있는것 같음
@ormeormeable
@ormeormeable Ай бұрын
수면보조제로는 EBS가 젤 잘 만드는 듯. 부작용도 없고
@bright_energy
@bright_energy 19 күн бұрын
이세상. 저세상 이우주의 모든 물질은 나로부터 생각이라는 끈에 연결되어 있다
@PresentTrue852
@PresentTrue852 Ай бұрын
이 다큐는 방영한 지...조금 됐죠. 다시 주목받는 듯합니다. 언제봐도 신비로운 세계... 동영상에 나오는, 외국 교수들은 우주이론과 이론물리학과 관련된, 동영상의 단골손님들임...얼굴과 모발에서 나이들어 가시는 것이 느껴짐니다. 이런 분야에 관심을 갖는다는 것은 존귀함과 인간존중, 세상존중으로 이어짐니다. 육도윤회의 인간도의 단계입니다. (축생도, 아귀도 등등이 아니라...) 🙏 원형모습을 한, 닫힌 끈은 우리의 4차원 시공간에서 다른 차원으로 이동할 수 있다는 겁니다. 닫힌 끈이 중력자라는 입자생성과 중력을 좌우하는 에너지구조라고 생각되죠. 빅뱅 당시, 생성된 4개의 힘(강력약력전자기력중력)들 중에, 중력이 가장 약해보이는 이유는, 닫힌 끈은 우리의 4차원 시공간에 양끝이 묶여있지 않아서, 자유로웠고 그래서 그 일부가 다른차원으로 이동했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열린끈은 끈의 양끝이 우리의 4차원 시공간에 붙어있는 형태라서 자유롭지 못합니다. 묶여있는 것이죠.) 이것은 다른 차원의 존재를 예측하고 검증하려는 토대가 되었고, (강입자 충돌기 실험 중에는 그런 중력자의 궤적 흔적을 찾는, 실험프로젝트가 있습니다.) 이론적으로 우리의 4차원 또한 1차원 2차원 3차원 4차원 5차원 6차원~ 11차원의 일부라는 것입니다. 우리는 4차원에 존재하는 존재들 임. 우리가 1차원의 선을 보듯이...다른 고차원에서 나를 본다고 생각하면...참 오묘해짐니다. (그렇게 생각하는 다른 물리학자의 말을 들은 영향도 있겠지만) 제 생각에는 차원들은 싸이즈와 거리의 차이라고 생각합니다...무량대수만큼의 거리와 크기의 차이라고 생각합니다. 자동차를 일렬로 나란히 세워놨다면...우리가 보기엔 그것은 현재 내앞에서 3차원으로 존재하는 4차원의 실물이지만...아주아주 멀리서 본다면...일차원의 선일 겁니다. 스크린으로 영화를 보는 나는 현재시간과 3차원이 합해진, 4차원의 존재이지만, 스크린을 통해서 보여지는, 영화는 나에겐 평면 2차원 세계입니다. (스크린 안에서는 영화배우와 자동차는 3차원이겠죠)...기하학의 프렉탈 구조같다고나 할까요. 그러한 각 차원이 거리 싸이즈 차이에 의해, 취해지는 구조이겠지만, 추가적으로 각각 어떤 특성이나 기믹이 가미되기도 할 겁니다. ( 2차원 평면들이 그냥 평면으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평면들을 조합해서 새로운 3차원의 입체를 만드는....그런 연결조합시키는 힘에너지, 창의력, 창조의 힘, 기믹 또는 인간의 생각?!....)
@user-vq5xd5bh4v
@user-vq5xd5bh4v Ай бұрын
매우 매혹적인 아이디어입니다 ㅎ
@darkred4975
@darkred4975 Ай бұрын
켜놓고 잡니다 잘자요~
@crusherarchive
@crusherarchive Ай бұрын
일어나 월요일이야😊
@user-vw4xs2xp9v
@user-vw4xs2xp9v Ай бұрын
✨️잘자요
@nowwe77
@nowwe77 Ай бұрын
0:35달이 도는게 아니고 지구도 도는게 아니고 떨어지는 거면 어디로 떨어지냐는 거네요. 사람의 몸체는 그대로 있는데 심장의 박동으로 생명의 피가 도는 것처럼 물질의 집합체인 천체를 어떠한 기운으로 공중에 매달아 놓은 기운을 중력이라 할 수 있겠군요. 물질이란 본래 없었던건데 빅뱅으로 생긴 거라서 온 우주의 공간이 (바다처럼) 흐르고 있고 천체의 일정한 자전과 공전은 해류와 같은 걸까요?
@user-vb5xf4nz8h
@user-vb5xf4nz8h Ай бұрын
초기의 양자역학의 주장이 점차 설득력을 가져갔듯이... 초끈이론 M이론도 설득력을 얻고 현실속에서 실험으로 입증 될 날이 올지는 두고 볼 일이다. 하지만, 오늘 들어봐도 역시... 초끈설이나 M설 모두 공상소설 같다는 느낌은 변함없다.
@user-cd4tl4zj1x
@user-cd4tl4zj1x Ай бұрын
초기의 양자역학의 주장이 점차 설득력을 가져간다? 모호한 표현인데... 코펜하겐 해석 역시 절대는 아님. 극초기 드브로이의 양자역학 해석은 파일럿파 이론이라는 것임. 나는 차라리 그게 더 나아 보이는데... 초끈이론은 공상 소설 같은게 아니라 그냥 헛소리 임.
@Jery_333
@Jery_333 Ай бұрын
마스터키 ㅋㅋㅋ 에헤이 다 설명된다니까~!
@user-md9yb3gc4d
@user-md9yb3gc4d 7 күн бұрын
물질자체만이 에너지가 있다고 생각하면 잘못이다 물질과 시간이 양립할때 에너지가잘생한다
@sjy20126
@sjy20126 2 ай бұрын
초끈에서 왔습니다 미래이론은 존재합니다
@user-vw4xs2xp9v
@user-vw4xs2xp9v Ай бұрын
아아 ~~~~
@NfK
@NfK Ай бұрын
이론은 당연히 존재하죠
@user-dv1jk9sc1t
@user-dv1jk9sc1t 3 күн бұрын
초끈이론과 사다리게임이 만난다면 한번더 진일보할것같습니다
@user-qb5rf8sl4j
@user-qb5rf8sl4j Ай бұрын
11차원에서 봤을때 끈처럼 보인다는거겠죠?
@pseudo_klavier
@pseudo_klavier Ай бұрын
일반인들은 통일장이론 초끈이론같은 것들을 물리학자들이 주로 하는 일이라고 주로 떠올리는데 실제로는 우리 주변의 물질의 구조와 성질을 연구하는 응집물질물리학을 제일 많이 연구합니다. 실제로 응용 연구를 포함하면 물리학계의 절반 가까이가 응집물질을 연구합니다. 미국 물리학회의 1/3 가까이가 응집물질물리 분과이며 특히 국내에선 특히 응용 영역(반도체물리 등)까지 포함하면 40% 가까이 됩니다. 이제 물리학 다큐를 방송할거면 응집물질 관련 다큐를 많이 방영했으면 좋겠네요.
@alyeonhan
@alyeonhan 2 ай бұрын
불끈불끈 이론이 더 완벽합니다
@leesaint
@leesaint Ай бұрын
무라무라 ㄷㄷ
@harryy5353
@harryy5353 Ай бұрын
블랙홀의 중력이 무한대라면 우주에 있다는 크고작은 블랙홀의 구분은 무엇으로 하나?
@user-hn4pu9my6i
@user-hn4pu9my6i Ай бұрын
근데 이영상 디테일이 아인슈타인 뒤에있는부인 역할배우 진짜부인 밀레바 닮았음 ㅎ
@nowwe77
@nowwe77 Ай бұрын
초끈보다 M이론이 더 맞아보여요. 근데 3차원인 공간은 절대로 시간을 벗어날 수가 없는데 시간을 더한게 4차원이라 하는시군요.... 태몽이나 로또처럼 미래를 미리 아는 세계가 4차원인거 같은데 거기는 3차원의 물질공간은 아니지요. 3차원의 공간은 우주의 물질들의 놓여있는 곳이고 물질들의 공간의 위치변화가 시간 아닐까요? 중력파는 아무것도 없는 허무에서 물질과 동시에 발생한 것이라면, 중력은 물질이 놓여있기 위해 허무를 벌리고 있는 힘같은 건 아닐까요? 그래서 우주는 파괴와 재생이 이루어질 수 밖에 없겠죠. 우주가 존재하는 한 합이 맞아야 하니까요. 그러면 23:05말씀처럼 비물질적인 차원과 존재도 있는 거죠. 무한한 우주에 지구에만 연대(시간)를 따라 생명체가 태어나고 죽을 수 밖에 없지만 이 무한한 우주를 누리는 영원한 생명의 비물질적인 존재가 무수히 존재할 수 있는 겁니다. 우리의 사고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존재들, 예를 들어 선과 악을 아는 존재들로 시간을 관통해 나라나 민족 등의 형태이지만 이념이나 사상 등 비물질적인 형체로써 인류를 다스려 온 것이겠죠. 그리고 차원의 단계가 10차원 28차원...이라기보다 물질이 놓여있는 우주라는 공간도 무한함으로 이러한 차원의 차원의 차원의....가 아닌 어느 차원에서의 구획들이겠지요. 이상 제 생각입니다^^;;
@saxersixtynine_8808
@saxersixtynine_8808 Ай бұрын
3차원 공간에 1차원 시간을 더하면 시공간이라고 합니다
@nowwe77
@nowwe77 Ай бұрын
@@saxersixtynine_8808 일반적으로 그렇게 정의하지만 우리의 3차원의 공간은 이미 작정된 시간의 축에서 벗어나지 못하니까요. 시간은 흐름이라기보다 지구와 해와 달의 자전과 공전으로 되돌이킬 수 없는 공간의 변화된 위치겠죠. 시공간을 뛰어넘을 수 있어야 또 다른 차원 아닐까 해서요^^
@Think082
@Think082 Ай бұрын
그럼이제 0차원은 점이아니라 끈인가요?
@azzinny
@azzinny Ай бұрын
11:24 "입자가속기는 터널을 따라 거대한 원을 그리며 움직입니다." 틀린 문장입니다. 교육방송에서 만든 프로그램에서 왜 이런 잘못된 문장이 나오는 지 근본적인 검토가 필요합니다.
@HJ-xt3cm
@HJ-xt3cm Ай бұрын
11년 전 영상인데도 끈이론계의 대가들이 이미 노학자가 되어있었네. 새로운 이론이 제기될때마다 살펴보니 결국 그것은 끈이론의 일면이었다는 위튼 교수의 말은 들어본 적 없어서 인상적입니다
@viduka1976
@viduka1976 Күн бұрын
색즉시공 공즉시색이 생각나요.
@Kfasting
@Kfasting Ай бұрын
도와줘요 박문호
@jsy5187
@jsy5187 27 күн бұрын
끈..... 사실은 우리가 생각하는 끈처럼 생긴건 아닐거다. 그렇게 되면 그 끈도 체적이 생기고 공간을 차지하고... 그럼 다시 그것을 들여다 봐야만 할것이고... 결국 다시 시작해야만 할거다. 강하게 진동하면서 무엇인가를 이룬다. 그냥 줄은 소리나 모양을 만들지 못하지만 진동하는 식으로 움직임을 가지면 형태를 가지고 유지하며 고유한 성질을 가지게 된다. 그럼 그게 그렇게 만드는 것이 정말 끈일까?! 작은 틈은 아닐까? 우리의 세상을 구성하는 공간을 표현하는 막을 뒤덮고 있는 것들은 아닐까..... 세포막이라는 것을 보면 그냥 얇고 종이 같다고들 여길거다. 하지만 사실은 매우 복잡한 층으로 구성되어있다. 그것을 밖에서 내려다보면 뭔가 그속과 안으로 끊임없이 이동하고 복잡한 동작들이 이뤄진다. 그 형태가 끊처럼 얇은 것과 둥글둥글한거.. 그리고 막에 매달려 있는 것... 등과 같다. 어디서 많이 본 형태가 아닌가?! 뭐라한들 어떠리... 어짜피 1천년이 진보해도 이문제의 답을 구하지 못할텐데.... 누군가가 했던것 처럼.... 절묘한 방식으로 이를 증명하였으나 여백이 좁아 적지 못했다.... 고 말하고 싶다. 어서 빨리 이문제가 풀리라고.....
@HuJinSan
@HuJinSan Ай бұрын
근데 양자역학이 미시세계, 상대성이론이 우리 눈이 보이는 거시세계에서 적용되는 거라면, 그 두 개가 동시에 적용되려면 거시와 미시의 딱 중간 지점을 찾아봐야하는 건가?
@handleimoya
@handleimoya Ай бұрын
10년전 영상 ㄷ ㄷ
@josephkeimheim6167
@josephkeimheim6167 Ай бұрын
24:43 전세계를 상대로 갑자기 들어오네
@skyyy1004
@skyyy1004 Ай бұрын
우주자체가 시스템으로 모두이루어진듯
@athanasius0000
@athanasius0000 Ай бұрын
지금은 우주의 시작이 아닌 인류의 종막을 알고 대비 해야한다.
@user-vg7jc7hy6z
@user-vg7jc7hy6z Ай бұрын
우주가 두개는 있다는것이죠 우주선타고 끝까지 가보세요
@user-ye1ms6rn4r
@user-ye1ms6rn4r Ай бұрын
물리학은 본질적으로, 실험을통한 검증이 필요한건데.... 상대성이론도 그렇고 양자역학의 수많은 이론들도 그렇고.. 근데 저건 증거를 어디서 어떻게 찾아내죠? 이제서야 중력파를 발견할 정도의 기술력인데 10^-33 짜리 끈의 존재라...
@user-vn7xc8zq1u
@user-vn7xc8zq1u Ай бұрын
4가지 힘과 업력이 있다 이중에서 업력이 가장중요하다. 이 업력이 우주를 만드는 힘이디
@blueplum11
@blueplum11 Ай бұрын
삼체와 오펜하이머
@theknifemartialarts.9053
@theknifemartialarts.9053 26 күн бұрын
끈 이론의 결론은 진동하는 파동이다
@junseok4989
@junseok4989 Ай бұрын
1:11 m에 위첨자로 1, 2 적어놓은 거 조금 긁히네요
🌊Насколько Глубокий Океан ? #shorts
00:42
⬅️🤔➡️
00:31
Celine Dept
Рет қаралды 37 МЛН
Универ. 10 лет спустя - ВСЕ СЕРИИ ПОДРЯД
9:04:59
Комедии 2023
Рет қаралды 2 МЛН
뉴턴 vs 라이프니치의 미적분 이야기 | 문명과 수학
20:25
EBS 컬렉션 -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
물리학에서 가장 이해하기 어려운 개념
25:51
Veritasium 한국어 - 베리타시움
Рет қаралды 401 М.
🔥Идеальный чехол для iPhone! 📱 #apple #iphone
0:36
Не шарю!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miniphone
0:16
Miniphone
Рет қаралды 3,2 МЛН
Купил этот ваш VR.
37:21
Ремонтяш
Рет қаралды 263 М.
Девушка и AirPods Max 😳
0:59
ОТЛИЧНИКИ
Рет қаралды 18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