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에 길이 남을 명작 더블 드래곤이 오락실에서 자취를 감출 수 밖에 없었던 바로 그 원흉! 더블 드래곤3에 대해 알아봅시다.
Пікірлер: 263
@박세원-w7u Жыл бұрын
패미콤판 배경음 진짜좋았어요!!
@맑고순수한아이3 жыл бұрын
정말 홍금보 생각나는 게임이네요 ㅋㅋㅋ
@arcadekido3 жыл бұрын
아무래도 뚱뚱하고 무술하는 캐릭터는 딱 홍금보네요.
@있을때하자-i9m2 ай бұрын
얼마전에 더블드래곤 영화가 있고 오락실에서 하던 대전격투 더블드래곤이 이 게임으로 만든걸 알게됐습니다 3는 엉망이였군요 정말 좋아하던 게임이였는데
@냥펀맨2 жыл бұрын
차분하고 잔잔한 목소리로 쓴소리 욕 비판 시원하게 말하는게 재밌어요
@Ruriichi20003 жыл бұрын
왕서방은 체형적으로 홍금보가 아닐까 싶네요
@이지구-e6i3 жыл бұрын
잘 보았습니다 재미있었습니다
@arcadekido3 жыл бұрын
잘봐주셔서 고맙습니다!
@cjo68632 жыл бұрын
현질구조를 넣다니 다른 의미로 앞서간것 같네요.
@wa-emusic41983 жыл бұрын
와 근데 듣다보니 진짜 빡치는 게임이네....ㅋ 애들 코묻은 돈을 저렇게 악랄하게 뜯어갈 생각을...딱 보니 어차피 제대로 만들 생각은 없고 네임벨류는 건재하니 이름값으로 돈 최소한으로 들여서 대충 만들고 그 안에 요상한 현질 시스템 만들어서 어차피 금방 손님 끊길거 객단가 왕창 올리고 문닫자는 속셈이 너무 뻔히 보이는.....양심없는 놈들....진짜 지금 시대였으면 저짓하다간 회사 문닫아야 됬을건데...
@arcadekido3 жыл бұрын
오락실에겐 새로운 수익모델을 제시하면서 기판 많이 팔면 제작사도 이득이니까요. 그냥 길바닥에 떨어진 아이템도 동전넣고 사야하고 웃기는 요소가 많았습니다.
@스카이림-v2i3 жыл бұрын
이정도 욕은 좋습니다 이번 영상도 잘보고 갑니다~~
@1zero8803 Жыл бұрын
다만 패미컴판 더블 드래곤3는 노컨티뉴인지라 AVGN에서도 억울하게 까였다죠.
@arcadekido Жыл бұрын
컨티뉴가 없었나요? 오래되서 기억이 가물가물했습니다.
@1zero8803 Жыл бұрын
@@arcadekido 네. 거기다가 추가 목숨이있는것도 아닌 아케이드 버전처럼 체력만 있으며 또한 엑스트라 역시 2인플레이 B버전을 이용한 버그 및 비기로 얻을수있는 지미를 제외하고는 나머지는 2,3 스테이지 클리어 후에 얻을수있는 친 세이메이와 야규 란조 얘 둘이 끝이기에 난이도 역시 어렵다고 하더라고요. 그나저나 패미컴판 아니... NES판 더블 드래곤 3는 오프닝에 비미와 지미(BIMMY & JIMMY)로 오타를 낸것은 아직도 잊을수 없네요.
@JMGameLab3 жыл бұрын
현질해야하는 게임인지 이제알았네요 ㅋㅋ
@arcadekido3 жыл бұрын
현질 안해도 게임 진행이야 지장없습니다만, 원래 있던 기술을 빼서 돈 받고 팔고, 기본으로 제공되는 무기같은것도 전부 동전 넣어야 얻을 수 있으니...
@김찬희-c3b3 жыл бұрын
저는 미국에서 구매하는 캐릭터가 돌프 룬드그렌을 따서 만든건줄 알았어요.
@arcadekido3 жыл бұрын
그러고보니 돌프 룬드그렌도 많이 비슷하네요.
@Dr프로메슘2 жыл бұрын
중국에서 구매가능한 넘 우리동내에선 홍금보 라고 불렀음 뚱뚱한 이미지에 무술 잘하는건 저당시 홍금보가 유명했으니 아쩌면 홍금보가 모델일지도 그리고 더블드래곤3의 악랄한거 한가지 빠트리신거 같은데 원코인이 거의 불가능한 수준임 난이도나 밸런스 문제가 아니고 시간이 부족함... 라보상대할때 조금만 삐끗해도 타임오버로 죽음.... 진짜 빌어먹을 게임임
@gukjiryu89013 жыл бұрын
이거 한번 클리어하고 바로 접었던 그 게임
@arcadekido3 жыл бұрын
호기심에 한 번 할 순있어도 꾸준히 하긴 힘든 졸작이었지요
@MaartsFeather Жыл бұрын
더블3 최고 수작 아닌가?
@skyrogue42903 жыл бұрын
avgn같이 욕설 걸쭉하게 하는 영상도 재밌게 봅니다만, 이미 아케이드키드님의 정체성은 순한 맛인거 같네요. 목소리도 순한 맛, 내용도 순한 맛. 양날의 검입니다. 누군가는 순한 맛을 좋아하고, 다른 누군가는 매운 맛을 좋아합니다. 모두를 만족시키실 수는 없어요. 당연히 아케이드키드님이 원하시는 대로 하는게 최우선입니다. 하지만 영상에서처럼 의견을 물어보신다면 저는 그냥 지금의 정체성을 유지하시는 게 나아보입니다. avgn 한번 보시면 아시겠지만 아예 아케이드키드님과 컨셉이 다릅니다. 아케이드키드님의 나긋한 목소리로는 매운 맛을 원하는 사람도 만족시키지 못할 우려가 있어요. 순한 맛으로 구독하고 계신 분들께 거부감을 일으킬 수 있는 리스크도 생각하셔야 합니다.
@arcadekido3 жыл бұрын
네. 이번 영상이 욕을 좀 한 영상입니다. 그전에는 욕 전혀 안했다가요. 다행히 이 영상에 들어간 욕 정도는 거부감 든다는 분이 안계셔서 다행이네요. 저도 욕 이정도로 밖에 할줄 모르는 사람이에요 ㅎㅎ
@freedom_democracy_fighter2 жыл бұрын
오히려 컴뱃 라이즈가 더 더블 드래곤3 같았음
@블랙보영이3 жыл бұрын
패미콤판3는 할만하죠 ㅋㅋ 로보캅도 1편은 잼나게 했음 그러나 진정한 초명작은 패미콤판 더블 드래곤2입니다
@arcadekido3 жыл бұрын
맞아요. 더블 드래곤2는 진짜 명작, 걸작입니다. 음악도 어찌나 좋은지
@김지민-b6p5y3 жыл бұрын
여태껏 여기본 리뷰중 가장 폭발한듯하네요
@arcadekido3 жыл бұрын
이거 만든 시키들 작태를 보니 화가 절로 나더라고요.
@Shawnshon3 жыл бұрын
평소 구경만 하는 입장이지만 욕설에 대해서. 어디까지나 만드는 분의 자유이긴 하지만 AVGN이 히트한 이후로 리뷰에 무조건 소리지르고 화내면 되는줄만 아는 게임 스트리머들이 많아 그런종류는 무조건 보지 않는 주의 입니다. 다만 정신수련 하느라 유튜브 하는것도 아니니 욕설이 자연스럽게 나오거나 하는 경우에는 사전/사후에 양해를 구하면 좋을듯 하네요. 컨셉으로 하실 필요는 없는듯 합니다.
@arcadekido3 жыл бұрын
저는 컨셉으로라도 그렇게 할 성격이 못되더라고요. 그냥 이번 영상처럼 자연스럽게 나쁜놈 수준이 욕설이 제 영상 욕설의 최대치입니다.
@Ruriichi20003 жыл бұрын
줏어들은 아야기로는 미국 오락실중 일부는 입장할때 돈을 메달로 바꾸고 갬은 메달로 하고 나갈때 메달을 환불도 가져갈수도 없는 구조라 막판에 메달을 마구 쏟아부어 하는 겜이라는게 용서가 되었다는 이야기를 들은적 있네요
@arcadekido3 жыл бұрын
미국판만 그런 방식을 사용하고, 다른 수출지역인 유럽이나 아시아판은 따로 두었어야했는데 우리나라에도 북미판 그대로 들어온 게 문제였죠.
@kg50773 жыл бұрын
국딩때 동네 동생이랑 버스여행을 한적이 있는데 어딘지 모를 곳에 무작정 내려서 오락실에 들어갔는데 동전을 넣은것이 저 더블드래곤3였음. 더럽게 재미없고 어려워서 10분도 못버티고 꺼버림.
@오정석3 жыл бұрын
오락실에서 다들 호기심에 플레이 해보다가 에??? 응???? 뭐야 이거... 야 너 캐릭터 바뀌었는데?? 야 내가 돈 넣어둔거 어디갔어?? 뭐야 이거 너 쌍절곤 있는데??? 혼돈의 카오스 그 자체였던 게임;;
@arcadekido3 жыл бұрын
ㅋㅋ 맞아요 그랬었죠
@짬타이거-v8f2 жыл бұрын
저 당시 파이널파이터 등 워낙 명작게임이 많아서 저따위 후소게임은 할 가치도 못느껴 시작도 안했습니다
@gagading92823 жыл бұрын
왕서방은 홍금보 아닐까요
@arcadekido3 жыл бұрын
체형을 보면 진짜 홍금보 같긴 해요.
@꿀벌사랑-l6p3 жыл бұрын
그 악랄함에다가 말이죠. 아주 지저분한 게임오류가 있었습니다. 7:50부터 등장하는 나무골렘은 등장 스테이지 자체가 그래픽이 깨져서 표시가 안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그냥 전체가 뿌옇게 변한 화면에서 기괴하고 음침한 음악이 흐르는데(아주 조그만 창 형태로 얼핏 뭔가가 보이기도 했던것같은?) 내 캐릭터는 퍽퍽! 두드려맞는 소리와 함께 얼마 안가서 끄으윽~ 하는 숨넘어가는 소리만 들려오더라구요. 오락실 주인아저씨를 불러서 보여드렸더니 이거 왜 이러지? 하면서 돈을 돌려줬는데 달랑 100원만 돌려주시더라구요. 거기까지 가느라 쓴 돈이 1000원이 넘는데. 심지어 파워업에 스킬에 미국 중국 일본 캐릭터가 뒤를 받치고 있었는데. 어린 마음에 그땐 오락실 아저씨를 원망했지만 실제로 욕 먹어야하는건 게임은 개떡같이 만들어놓고 돈만 밝힌 제작사였네요.
@arcadekido3 жыл бұрын
그런 버그 걸렸는데 이미 현질한 비용은 못받고 게임 시작할 때 비용만 환불받으셔서 너무 속상하셨겠습니다. 졸작들이 QC도 개판이라 버그도 많죠.
@꿀벌사랑-l6p3 жыл бұрын
@@arcadekido 흑. ㅠ 억울했죠. 나중에 이 게임이 에뮬로 나온거 보고 무한 코인으로 원없이 한을 풀었던 추억도 있습니다. ^-----------^ㅋ
@ea-pr4yp3 жыл бұрын
결론은.. 본인이 패미콤팩을 잘못 선택한 것에 대한 분풀이 영상이 아니였나 싶네요 ㅎㅎ 왕서방은 그 시대라하면 당연히 홍금보가 아닐까요? 어쩄거나 외모비하는 하지 않는게 하는 것보다 낫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재밌는 게임이 아니라 별로인 게임을 소개하는 것도 참신하고 재밌네요. 더블드래곤3 패미콤판 보니까 해보고 싶네요 음악 그래픽 정겨워서..
@arcadekido3 жыл бұрын
ㅎㅎ 부정도 긍정도 하지 않겠습니다.
@ea-pr4yp3 жыл бұрын
@@arcadekido ㅎㅎㅎ
@anilevol3 жыл бұрын
그래도 오락실에서 현질은 좋은 시도였다고 봄. 시대를 앞서간 발상
@jeyukpark99013 жыл бұрын
갠적으론 하청 받은 애들이 잘못은 아니라 보는 돈 주니 만들어야 하고 재정적으로 풍족하게 지원 해줬으면 잘 만들었을테니까요 뭐랄까 포켓몬 리메이크 느낌이랑.비슷한거 같은 리메이크라는데 어..... 음 느낌이 나는데 이것도 솔직히 하청 준 애들한테 제작비+제작기간 넉넉히 줬으면 그랬을리가 없다 봅니다 아니면 써틴 리메이크 같이 그냥 형편없던게 맞는건가
@arcadekido3 жыл бұрын
사실 저 시절 일본 하청 시스템을 보면, 당연히 소스를 줘야하는데 회사 보안이랍시고 전혀 소스도 안줘서 전작과 완전 다른 후속작이 나온 사례도 있고, 하청에 재하청을 줘서 퀄이 망한 사례도 있습니다. 감독을 제대로 못한 원청의 잘못도 있고, 하청은 행위자로써 그 책임이 있죠. 저도 하청 자주주는 업종인데, 일이라는 게 돈 받고 맡으면 행위자로써의 책임과 잘잘못도 크거든요.
@박인후-h6r3 жыл бұрын
갠적으로 저 최종보스 이집트 여왕은 클레오파트라가 아닌 하트셉수트일 가능성도 있어보이더라고요.
@arcadekido3 жыл бұрын
최종보스 이름을 클레오파트라라고 아예 공식적으로 명시되어 있어요.
@designq40583 жыл бұрын
마이크를 좋은 걸 쓰셨나? 아니면 발성이 좋아지셨나? 기분 탓인지 몰라도 더빙 사운드가 예전보다 더 깔끔해진거 같아요 ㅎㅎ
@arcadekido3 жыл бұрын
전에는 스마트폰에 손에 들고 녹음앱으로 녹음하다가 마이크 3만원짜리 샀는데, 그게 또 지지난달인가? 킹오파 영상 만들 때 그 마이크 고장나서 10만원짜리 마이크 산걸로 녹음 중입니다. 장비가 좀 좋아져서 더빙 사운드를 더 깔끔하게 느끼신 것 같아요.
@-typer56683 жыл бұрын
지금에와서야 이렇게 조목조목 깔만한 얘기들이 되지만 .. 지극히 개인적인 시각에서 그당시 중딩때 오락실에서 저걸보고 플레이한 입장에선 딴엔 ... 오? 신선한데? 절벽에서 나오는 이소룡은 왜이리 키가크고 오싹하지 ㄷㄷ 전편들처럼 여자없이 무슨 모험극같이 펼쳐지는건 지금식으로 말하면 전편들에서 여자구하고 무참히 살해당하고 복수하고 .. 그담에 현타가온나머지 여자가다뭐냐 모험격투나 하자~!! 이런식으로 받아들여서 자연스럽게 느껴진게 아닌가 싶습니다 ㅎㅎ 단 그때느낌으로도 전편보다 못하게 움직임이 띡띡 끊어지는건 대단히 의아하더란... 키드님의 영상의 정보땜에 허접하청때문이란걸 이제서야 부랄을탁 ~ ;;;
@arcadekido3 жыл бұрын
암만 하청을 줬다지만 기존 세계관이랑 매치도 안되고 게임을 엉망으로 만들었는데, 검수 제대로 안한 테크노스 저팬의 잘못도 크죠ㅠ
@-typer56683 жыл бұрын
@@arcadekidoㅋㅋㅋ 지금에서야 따져본다면 백번맞는 말씀이지만 그당시 동심소년의 소박한 마인드의 무한긍정?단순함? 때문인지 그런걸 그렇게 따지기도 알수도없는 시대라서 그냥 즐기는데 열중했었나봅니다 .. 하지만 그와중에 전작에비에 많이 허접하단 생각은 영떨칠순 없었지만 -_-a
@차이락3 жыл бұрын
역시 아케형은 배운 사람👍
@arcadekido3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사실 가방끈은 짧아요ㅠ
@mandog4153 жыл бұрын
키드님이 말을 참 부드럽고 고운 말씨를 쓰는 분인데 초반부터 과격하고 공격적이란 것에서부터 분노를 느낄 수 있었습니다. 패미콤판은 아케이드판보다 훨씬 뛰어나지만, 초반 시작때 [비미와 지미]라는 희대의 오타가 유명하죠.
@arcadekido3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ㅎㅎ 북미판에 비미와 지미란 오타가 있죠. 그 흑역사를 개그로 승화시켜서 더블 드래곤 네온에서는 비미와 재미라는 적이 등장해요.
@gotskykapitan4593 жыл бұрын
떠블드레곤이 뭡니까 그시대 감성으로 쌍용이지
@arcadekido3 жыл бұрын
크.. 맞습니다. 더블 드래곤1편 한자로 쌍절용이라 씌였는데, 가운데 절자는 다들 못읽어서 쌍용이라 부르는 게 룰이었죠.
@raven_deadwire3 жыл бұрын
그간의 영상은 AVGN의 반전 버전인 느낌이었는데 이번 건 AVGN의 순한맛 버전 같군요ㅋㅋ
@JAPARI_02 жыл бұрын
근데이게 본전은 못뽑아도 중간은 간다는게 슬픈현실 ㅋㅋㅋㅋ
@SHUN_HAYAO3 жыл бұрын
제가 어릴적에 패미컴판 더블드래곤3 엄청 재밌게했었는데 .. 완전 딴판이네요;;
@라이프레트로3 жыл бұрын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레트로쪽 해박함에 늘 재밌게 봅니다.
@arcadekido3 жыл бұрын
재밌게 봐주셔서 고맙습니다.
@stgemini3 жыл бұрын
이 정도 수위는 괜찮다고 봅니다. 욕 한지도 몰랐을 정도였으니까요^^; 그리고 저는 패미컴판을 먼저 플레이 했고 아케이드판은 본 적이 없거든요. 졸작이란 건 알고 있었지만 이 정도 였을지는 상상을 못했네요ㄷㄷㄷ
@arcadekido3 жыл бұрын
패미컴판은 잘 만들었어요!
@yabawiman3 жыл бұрын
6:30 100원 주고 팔면 플레이어한테 개 이득 아님?
@arcadekido3 жыл бұрын
"이걸 100원을 (플레이어에게)주고 파는게" 란 뜻이 아니라 "이걸 100원을 (기계에) 주고 (플레이어에게)파는게" 뜻 입니다.
@cielluna66193 жыл бұрын
근데 우리동네에 왕서방으로 원코인 하는 양반 있었음....왕서방 고르는 자체가 원코인이 아니긴 하지만 아무튼 왕서방 나오면 그뒤로 안죽음
@arcadekido3 жыл бұрын
좋은 의견 고맙습니다!
@JudeAshita3 жыл бұрын
다행스럽게도 저희 동네에는 더블 드래곤3이 나오지 않아서 그 악랄함을 제대로 느껴보지는 못했지만 이 게임은 PC버전으로 정품을 구입해서 했으니 결국 쓰레기를 제 돈주고 사서 한 격이긴 하네요.. 다른 건 불법다운로드 많이 해서 해놓고는 막상 이 쓰레기 게임은 정품을 사다니.. 내 돈.. ㅠㅠ
@arcadekido3 жыл бұрын
그래도 정품사셨으니 게임시장 발전을 위해 잘하신 일이에요. 동네 오락실에 안나온 게 행운이셨습니다!
@swbaek12142 жыл бұрын
움직임이 인형같네..
@kjb42863 жыл бұрын
일본판은 처음부터 빌리형제, 오야마(가라데)형제 등등으로 선택이.가능합니다.... 그리고.샵이 없죠 길에.그낭.쌍절곤과 카타나가.떨어져있죠~
@idonothing75572 жыл бұрын
근데 당시에는 없던 코인 업그레이드 프레임을 도전하고 제안한 건 대단한 과감한 아닐까???? 저도 당시 절대 동전질을 하지 않았지만 이런 도전은 인정해줘야하는 거 아닌가????
@문재앙쩝쩝2 жыл бұрын
프레임 뚝뚝 끊키는 쓰레기게임에 현질요소를 도입한걸 도전이라고 할수있노
@후후-kbs3 жыл бұрын
ㅋㅋㅋ 이거 오락실에서 한사람으로서... 현질하면서 그래도 더블드레곤 이라며 한적있습니다.. 근데 진짐 3.4번 하고 겜 접었습니다
@arcadekido3 жыл бұрын
호기심에 해볼 순 있으나 꾸준히 하기엔 무리가 있는 게임이었죠.
@후후-kbs3 жыл бұрын
@@arcadekido 네... 그때 50원 하다 100원으로 오르고... 욕하며 했는데 100원으로 하는데 또 현질하니... 휴... 여튼 아참 왕서방 우린 홍금보라 했는데 ㅋㅋㅋ
@즐돌이3 жыл бұрын
최배달 일본명 오오야마 마스타츠 -> 오오야마 마사오. 참고로 소니의 모델 소니치바는 일본에서 최배달을 주인공으로한 영화의 최배달역할을 맡은적도있다.
@arcadekido3 жыл бұрын
좋은 의견과 구독 고맙습니다!
@유부녀단속반3 жыл бұрын
엄마 가 나 국민학교다닐때 뜬근없이 사준 게임보이 그때처음한게 더블드래곤 아무리해도 끝판을 못깨서 ㆍㆍㆍㆍㆍㆍ
@arcadekido3 жыл бұрын
그땐 더블 드래곤 최고 인기게임이었죠.
@bskpjw3 жыл бұрын
열혈시리즈는 열악한 하드웨어에서도 그부분들을 충족해서 명작인거죠~
@arcadekido3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좋은 의견 고맙습니다!
@Mr.Teslam3 жыл бұрын
이런 쓰레기 게임이 있었다구요? 저희동네 오락실에서는 본적이 없어서 몰랐네여 그시절 현질유도 시스템이 있었다니 ㅋㅋ 어떤 의미로 보면 게임역사의 한 획을 그었네여
@arcadekido3 жыл бұрын
생각보다 빨리 망해서 오락실에서 못본 분들도 계세요. 그래서 오락실용 더블드래곤은 2까지만 나온거 아니냐? 하시는 분들도 계시고요.
@안명의2 ай бұрын
조작감 툭툭 끊어진 느낌 정말최악의 게임 난이도 헬이구요 최고는 2편이라 생각함니다
@arcadekido2 ай бұрын
그런 부분도 참 엉망이었지만 세계관 자체가 기존이랑 완전 달라진 부분도 몰입이 확 깨졌죠.
초딩시절 스테이지 하나 깨고 나서 나오는 상점 화면에서 아무리 파워업을 눌러도 '인서트 코인'만 외치던 그 게임 그 이후로는 바로 옆에 있던 파이널 파이트만 했던 기억이 나네요 생각 해보니 파이널 파이트랑 같이 현역이였기 때문에 더 어이가 없네요 ㅋㅋ
@arcadekido3 жыл бұрын
그쵸. 동시대 게임이라하기엔 퀄 차이가 너무 나죠. 솔직히 잘 만든게임 벤치마킹만해도 평타는 치는데
@Fight812 жыл бұрын
왕서방은 홍금보?
@steellegionw40k3 жыл бұрын
왕서방은 홍금보 아닐까 싶네요 ㅋㅋ
@arcadekido3 жыл бұрын
저도 그런것 같습니다 ㅎㅎ
@강건-l7r3 жыл бұрын
좋은거 같아요 ㅋㅋ 시원하진 않지만 감정표현정도 ㅎ
@arcadekido3 жыл бұрын
저 자체가 이정도 밖에 욕을 못하는 사람이에요 ㅎㅎ
@강건-l7r3 жыл бұрын
@@arcadekido ㅋㅋㅋ 욕 너무 순하신듯 순한맛 넘 취저네요
@JW-73 жыл бұрын
배경은 멋있군요.
@smithadam72093 жыл бұрын
이 게임이 있었기 때문에, 게임업계가 발전할 수 있었죠. 그러다 온라인 시대가 열리고, 2013년도 경부터는 모든 게임이 사행성 위주의 게임으로 변질되긴 했지만요. 리니지도 룸티스 첫 캐시가 도입된게, 넥슨에 자회사가 되고부터입니다. 그때가 2013년이었죠. 참고로 아직도 리니지를 즐기는 94레벨의 린저씨입니다만, 접고싶어요. 그런데 템이 안팔리니 억지로 합니다. 하하하하하하.
@skuo1dw3 жыл бұрын
전 마침 동네 오락실에 더블드래곤3가 없어서 안심하고 패미컴판 더블드래곤3를 무사히 구입할 수 있었고 지금 현재도 소장중입니다. 물론 그 때 산 걸 아직 가지고 있는 건 아니고 어른 돼서 컬렉션용으로 다시 구입한 거요 ㅋㅋㅋ
@arcadekido3 жыл бұрын
말씀하신 패미컴판은 지금이라도 구입해서 소장할 가치가 충분한 게임이죠.
@fiasbd3 жыл бұрын
와..진짜 나쁜요소지만 시대를 앞서나갔네요 ㅎㅎㅎㅎㅎ
@arcadekido3 жыл бұрын
벌써 30년전에 저런 비지니스 모델을 구상하다니 대단한 시키들이에요
@user-tp2sx5it3i2 жыл бұрын
더블드래곤 2가 1보다 못한 이유는 열혈고교 쿠니오군의 시스템(주먹 발 점프에서 좌공격(우측을 보고 있으면 뒷발차기, 좌측을 보고 있으면 주먹) 우공격(좌측을 보고 있으면 뒷발차기, 우측을 보고 있으면 주먹공격) 점프로 바뀜)으로 바꾸는 바람에 팬들이 적응을 못해서였음. 전작의 확장판이어도 KOF 95는 쿠사나기 쿄 같은 캐릭터인 야가미 이오리의 등장으로 인해 KOF94보다 더 흥행이 좋았음. 그런데 더블 드래곤 3는 그걸 알고 1탄 처럼 버튼을 바꾸긴 했으나 그 당시로서는 매우 생소했던 현질 시스템을 도입하는 바람에 2보다 더 망함. MMORPG는 한 번 현질하면 영원히 갖고있는 반면 이건 현질을 해도 게임이 끝나면 없어지니까그냥 다른 게임보다 값비싼 게임일 뿐이었음.
@arcadekido2 жыл бұрын
아무래도 더블 드래곤2는 바뀐 조작체계가 큰 패인 같습니다.
@Hell_Dust-Buhnerman3 жыл бұрын
정말 최악의 구조를 지닌 수출판의 게임. 그 어린 시절에 이딴 데다 돈을 쓴 저 자신이 아주 그냥 병*이 구나 하는 생각이랑 왜 이 딴 걸 들여와서 애들 코묻은 돈을 후려치나 하는 생각이 들었는데 그걸 따지지 못한 것도 후회지요. 정말 누구 머리에서 이딴 착취구조를 떠올렸을지... 누구든 욕을 먹고도 마땅하다고 봄니다.
@arcadekido3 жыл бұрын
그때 애들 코묻은 돈이 얼마나 악랄하게 착취했는지 ㅠ
@Hell_Dust-Buhnerman3 жыл бұрын
@@arcadekido 악랄하기 그지 없는 구조였죠. 대체 참. 누구 머리에서 이딴 생각을 떠올렸는지. -_-; 아무리 봐도 지금의 현질 관련 요소에 분명히 영향을 끼쳤을 것이라고 봄니다. 안 좋은 점에 대해서 말이죠... 당시엔 안 좋은 점이 너무 심했었을텐데 결국 아이들도 조금 머리가 돌아가면 이건 하면 안된다는 걸 알게 되어서 오래 가지 못하고 사라졌지만, 이후로 이 시리즈가 악평이 쉽게 사라지지 않는 원흉이기도 한 망작이라 봐도 과언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이거에 비하면 더블 드래곤 어드밴스(GBA판)는 얼마나 걸작이었는지. 생각을 제대로 하고 만든 제작진이 있다면 성층권 하늘과 지하 수천미터의 차이라고 생각될 정도의 거리감이 느껴집니다.
@jaeeun25433 жыл бұрын
30여년전에 나온 것으로 기억 나는데, 저 게임 현질에서 자유로운건 오락실 주인이 아니라 오락실 알바였음..
@4차윈소녀의3살아이일3 жыл бұрын
처음 글 남겨요 너무재밌네요!
@arcadekido3 жыл бұрын
재밌게 봐주셔서 고맙습니다!
@tcrslchar70873 жыл бұрын
버블이 현질로 만들어졌다닛
@arcadekido3 жыл бұрын
더블 드래곤 3가 이런 형태로 나올줄 아무도 몰랐죠.
@karassssa2 жыл бұрын
더블 드래곤3는 진짜 이름만 더블 드래곤3 이고 완성도가 덜떨어진 망작 느낌인데 과한 현질 유도에 양심을 팔아먹은 놈들이라는 결론에 도달해서 일단 걸렀었네요
@레트로메다-뮤직숏3 жыл бұрын
재밌게 봤어요^^ 메가드라이브에도 더블드레곤3가 이식 된것 같은데 정말 재미없었고 이질감이 들었던 기억이납니다🤣 이런 사정이 있었군요ㅋㅋ 전 1,2 모두 재밌게 했는데 3탄은 너무 아쉽네요....
@arcadekido3 жыл бұрын
메가드라이브는 움직임이 오락실보다 부드럽고, 기상시 무적시간이 있어서 그나마 좀 낫습니다. 3탄이 다 망쳤어요ㅠ
@goodmiso813 жыл бұрын
아니 필사기 1은... 뭐지 얼마나 돌머리이면 ... ㄷㄷㄷ
@arcadekido3 жыл бұрын
우르데키스는 프랑켄슈타이너쓰고 오오야마는 멋지게 목감아 던지기하는데 빌리랑 왕서방은 영 모양이 별로죠.
@P40WarHawk3 жыл бұрын
택진 : ... 그게 뭐?
@Hariken813 жыл бұрын
1.2편까지 잘 나가다가 3편에서 말아먹는 시리즈가 종종 있었죠. 용호의권, 아랑전설, 투신전..
@arcadekido3 жыл бұрын
테크노스 저팬이 너무 안이했어요. 더블드래곤이라는 엄청난 ip의 2편을 만들때도 버전업 개념으로 기획했고 3편은 아예 하청제작을 줬으니까요. 직접 새로움을 추구하려다 시장성 대중성과 코드가 맞지 않아서 흥행실패한 케이스도 아니라 더블 드래곤 3의 원청인 테크노스 저팬이나 하청인 이스트 테크놀러지나 다 함께 혼나야 합니다.
@한도경-n2i3 жыл бұрын
사무라이쇼다운도 포함
@09lifehack3 жыл бұрын
이상하리만치 저만 빼고 그 모두가 욕하던 이게임, 끝판 밸런스실패, 현질 말고는 딱히 깔대가 없는, 나름 재미있게 즐긴 나만의 명작으로 남아있는 더블드레곤3탄 입니닷~~ 몸빵 대쉬 태클에 환호성을 지르며 박진감 넘치는 타격감으로 플레이 했던~~ 몸빵 대쉬 태클 하나 만으로 ~ 1편의 빨꿈치 공격을 상쇄시킬 정도의 임펙트를 느꼈습니다~~ 오토바이 족들도 그냥 나가 떨어지는 타격감 ~ 몸빵 대쉬 태클~ 날라서 벽차고 되돌려 날라차기도 참 신박한 기본 기술~~ 특히 각 스테이지 나라별 배경음이 정말 좋았던,, 이탈리아 편 OST 가 정말 좋았습니다
@arcadekido3 жыл бұрын
게임의 재미는 주관적이기에 다수와 취향이 다르다해도 그건 틀린 게 아니에요. 저는 이 게임에 대해 비평을 했지만 재밌게 즐기셨다면 09님께는 좋은 게임인거죠. 평가는 사람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Jihyunsk3 жыл бұрын
3:15 로니 생긴게 콘트라의 빌 라이저(패미콤 버전 스프라이트)가 DLC 참전했나 ㅋㅋㅋ
@말보루레드3 жыл бұрын
우르키데스는 쾌찬차뿐만아니라 비룡맹장에서도 성룡이랑 맞짱깜
@arcadekido3 жыл бұрын
맞아요. 그냥 잠깐 싸우고 지나치는 악역이 아닌 엄청난 실력을 보여줬죠. 액션보면 성룡 홍금보 원표같은 학교출신들과 격투기 선수 출신들 간 스타일이 달라서 딱 구분이 됩니다.
@JW-73 жыл бұрын
정지혁 병장 빙의해서 욕해도 이 게임이라면 무죄
@키엘-c6q3 жыл бұрын
이정도 수위는 전혀 문제없으실듯~
@arcadekido3 жыл бұрын
네. 의견 고맙습니다!!
@cw006craft3 жыл бұрын
쓰레기게임에 무슨자신감으로 현질요소를 넣었는가
@wavering85542 жыл бұрын
유구한 전통의 dlc!!
@yongg123 жыл бұрын
더블드래곤3에 과금 요소가 있었다는 것은 알았는데 스토리가 이렇게 병맛일줄은 처음 알았네요 모든게 잘못된 게임이었네요
@arcadekido3 жыл бұрын
괜찮은 구석이 하나도 없는 두루두루 못만든 졸작이죠.
@소미애비3 жыл бұрын
기억이 선하네요… 이백원 넣고 시작했는데 상점에서 돈 백원에 사라지단 기억 ㅋㅋㅋ
@arcadekido3 жыл бұрын
다 그런 경험했죠.
@꼬마돈까스3 жыл бұрын
제가 쾌찬차세대가 아니라 몰랐는데.. 오오키야마 킥복서인데 발차기가 태권도 기술들이 보이네요..
@arcadekido3 жыл бұрын
무술수련 경력보면 입식타격이 베이스로 종합무술가더라고요.
@PepeTheMasquerade3 жыл бұрын
딱 한 번 해보고, 너무 어렵고 이상해서 관심을 끈 게임인데, 이 영상 아니었으면 이 게임이 어떤 게임인지 평생 모를 뻔 했네요. ㅎㅎ
@arcadekido3 жыл бұрын
적들과 거리두고 대시공격 원페턴 아니면 너무 어려운 졸작이죠. 졸작들 공통점이 어렵고 이상하다는 겁니다. 제대로 보셨어요.
@PepeTheMasquerade3 жыл бұрын
@@arcadekido 네... 난이도도 극악이었고, 이게, 무슨 더블 드래곤이야? 딱 이생각 들더라구요. 근데, 이렇게 배경 이야기를 알게 되는건 유익한 것 같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즐거운 일요일 되세요!!!
@Nothink223 жыл бұрын
어렸을때 더블드래곤3 재밌게해서 왜 쓰레기지? 했는데 알고보니 제가 한건 패미컴판용었네요 ㅋㅋ 오락실판은 당시에 현질이 있었다니.. 이렇게 미친 게임이라는거 처음 알아갑니다 ㅋㅋ
@bk92163 жыл бұрын
욕이 하나도 없는데 왜 욕있다고 노심초사하는거임 ㅋㅋㅋ 귀여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arcadekido3 жыл бұрын
욕이 좀 있긴있는데 이정도는 다들 거부감없으신것 같아요. 다행입니다.
@하이트-q8t3 жыл бұрын
지금다시봐도 전작에비해 넘 허접하네여 폭망한게임에는 역시 다 이유가 있는듯 이것도 글치만 네오지오용도 만만치 않았음
@junhyungjang2283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근데 저 과금시스템은 도대체 누구 머리에서 나왔던걸까... 이 과금모델 어짜피 오락실 사장님 주머니에 들어가는거잖아... 제작사 주머니로 들어가면 그나마 이해라도 되는데 이건 뭐...ㅋㅋㅋ
@arcadekido3 жыл бұрын
그만큼 해외 오락실 쥔아저씨들한테 잘보여서 기판을 최대한 많이 깔고 싶었나봅니다. 우리나라도 오락실에 수출판이 깔렸던지라 이 게임의 현질 유도에 안좋은 기억이 있는 분들 많이 계시죠.
@닭횽3 жыл бұрын
저거 월광보합에 있을려나
@CrazyBoyWolf3 жыл бұрын
패미컴버전 3만 기억합시다
@arcadekido3 жыл бұрын
패미컴판 3는 추천작이죠!
@leeww9513 жыл бұрын
패미콤판 더드3는 명작이었음 클리어한 보스들로도 플레이 가능했는데 각자 개성이 달라서 써먹는 재미가 쏠쏠했음
@fotiten-e5z2 жыл бұрын
더블드래곤 1은 당근 명작이고, 2도 좀 익숙해지니 상당히 재밌게 했었네요 3편은 오락실에서 딱 한판 해보고 쓰레기임을 직감해서 쳐다도 안봄
@area88493 жыл бұрын
재밌는 게임이네요 ㅋㅋㅋㅋ
@鬼流星3 жыл бұрын
요즘 가챠겜들에 비하면 혜자네... 게임성이 쓰레기라서 그렇지.
@A2Studio348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아케이드키드님... 저는 너무 게임이 달라지고 재미가 없어서 정식 시리즈가 아니라 더블드래곤이라는 이름을 사용한 짝퉁게임인줄 알았어요..ㅋㅋㅋㅋ 차라리 더블드래곤2는 오락실에서 꽤 많이 했던것 같은데 3는 본적도 없는것 같아요..
@arcadekido3 жыл бұрын
3는 빨리 망해서 오락실에서 못보셨을 수도 있어요. 하우스카트님처럼 아예 3가 나온적도 없다고 알고 있는분들 많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