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D 아토3 문제점 & 이슈 13가지 1. 배터리 프리 컨디셔닝 기능이 없음 2. 충전속도 이슈 3. 겨울철 주행가능거리 이슈 4. 브레이크 재질 및 성능의 저질 이슈 5. 회생제동 성능 이슈 6. 내부 마감 이슈 7. 조립 불량 이슈 8. 부식 이슈 9. 내구성 이슈 10. 누전 및 감전 위험성 이슈 11. AS 이슈 12. 한국 철수 리스크 이슈 13. 출력 제한 이슈 * 추후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면 항목에 추가하여 업데이트 예정입니다.
@VR-xw4ly19 сағат бұрын
쇠교수님 컨텐츠가 6개월 정도는 든든할 듯 ㅋㅋ
@routemahn17 сағат бұрын
AS 이슈도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또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한국철수 리스크 아닐까 합니다. - 한때 닛산 차량 보유자 -
@처니-v6x17 сағат бұрын
안탐!!ㅋㅋㅋ
@비오냐밖에17 сағат бұрын
출력제한도 있어요 . 일렉트릭 차이나 보세요 난리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세븐스미스트17 сағат бұрын
어떻게든 까내릴려고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말만 하지말고 정말 말리고싶으면 실사례랑 펙트를 정리해서 공론화좀 그러면 안사지않을까?? 이게 뭐냨ㅋ 지능형안티인가보누
@whyissueTV17 сағат бұрын
7:58 관측된 철원 지역 기상청 기록 최저 기온은 -33.4도 (2010년), 민통선 지역(군 기상기록) 최저 기온은 -38 도 입니다. (어떻게 아냐구요?..... 알고 싶지 않았어요....) 따라서 특히나 강원도 지역에서는 LFP적용 차량을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굳이 대한민국에서 운용상 문제가 없으려면, 경남지역 정도가 괜찮을 듯 합니다.
@성이름-t9p4o17 сағат бұрын
경남지역은 언덕이 많아서 SOH 이슈가 있습니다. 중국 벤을 타는 사람이 있는데 주행거리가 해마다 줄어드는 것을 느낀답니다. 버스 이외에는 인기가 없는 이유죠.
@nulnuri7615 сағат бұрын
LFP는 동남아용이지요
@Gundamer050014 сағат бұрын
저도 30여년 전 철원 GOP에서 군복무 했습니다. 여름엔 너무 덥고, 겨울엔 너무 추웠어요... 겨울에 일기예보 나오는 철원 날씨는 시내 날씨 입니다. 전방 날씨는 -5 ~ -10°정도 더 떨어졌던 걸로 기억하네요.. 수은 온도계 얼어서 파열 되는 것도 많이 봤습니다.
@junmo-junjun312 сағат бұрын
6.25때 중공군 전사자 대부분이 동사 였던걸로 압니다. 연합군들도 이런 추위는 처음 느껴 본다고 했죠. 특전사들이 4월달에 산악훈련 하다가 갑작스러운 눈보라와 추위로 큰 사고가 난 적이 있었죠. 그 뒤로 산악 훈련시 동계장비 필수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히말라야 등정대가 설악산에서 동계 훈련 하다가, 조난 당하기도.... 경남 거제도도 추울 때는 최저 영하 15도, 한낮에도 영하 5도 일때가 있습니다. 도시처럼 대형 건물이 별로 없다 보니 바람 불면 정말 추워요. 서울에서도 살아 봤고, 동해에서 군 생활 했지만... 경남 지역도 추울때는 정말 .... 밀양, 양산, 지리산, 창녕 산 쪽은 엄청 추워요.
@nowmad792619 сағат бұрын
프리 컨디셔닝이 있어야 겨울에 얼만큼 데워야 하는지 여름에 얼만큼 열을 덜 받게 해야 하는지 알 수 있는 전기 자동차에서 필수로 있어야 하는 걸 뺀 건 문제점이고 시청자가 알아야 할 정본데 왜 다루지 않는지 정말 궁금하네요 현대기아가 이런 점 뺐다면 과연 지금처럼 조용히 넘어갔을까요? 이런 걸 얼렁뚱땅 넘어가려는 미디어들은 자기들이 무슨 목적으로 리뷰어 일을 하는지 본질을 좀 알았으면 합니다
@hwanju9420 сағат бұрын
프리컨디셔닝이 없다는 건 겨울 뿐만 아니라 여름에도 문제가 됩니다. 겨울에는 미리 적정온도로 데워야 하지만 여름에는 반대로 적정온도로 식혀야 합니다. 아토3 여름에 쓰로틀링 걸린다는 후기는 일본 유럽 다 널렸습니다.
@mifasoul962718 сағат бұрын
해외 유튜브를 통해 리뷰를 보면 프리컨디셔닝 이슈는 안 보이고 BYD 저온특성이 그나마 다른 LFB보다 블레이드 배터리가 낫다고 하던데, 그보다 급작스런 출력제한 현상이(출력 저하가 아닌 출력 제한) 발생 고속도로에서 30-40Km으로 비상 운전을 해야 한다고 함. (완전 방전 시행 후 정상 작동 된다고함. 즉 정비소에 들어가 통째로 배터리를 교환 하거나 탈거 해야하는문제)
걔들은 BYD에 목숨 걸었어요 왜냐면 수입차에 있던 하꼬 밑바닥 딜러들이 방황 하다가 갈 곳 없어서 들어간 곳이 BYD라서…. 이해 해야죠😢
@ianchung71319 сағат бұрын
여기호주도 겨울이 없어서 byd가 많이 팔리나 봅니다 호주인들 전기차 소비자 대부분이 lfp가 뭔지도 모릅니다 사기전에 영국 자동차 유튜브 carwow나 다른 한곳만 더 봐도 70km/h이상 에서 브레이크성능과 고르지못한 도로가많은 호주외곽에선 물렁한 서스펜션 때문에 위험할수 있다는 사실을 알텐데
@MOOHAYO16 сағат бұрын
진짜 광곤지 후원인지 받으면 단점을 과감하게 말 못하겠죠 일단 배터리차이, 프리컨디셔닝 무, 올해 2월 후속 신차발매, 유럽 유튜버들 만듦새및 기본기부족 영상, 하체부식문제.... 이러고 ev3와 3~500만원 차이 미친거아님 아토3를 왜 사지??
@sjt932312 сағат бұрын
안 그래도 전기차를 구매하시는 분들은 차 구매에 있어서 더 미래지향적인 분들이실 가능성이 높을텐데(전기차캐즘을 뚫고 전기차 구매를 결심하신 분들이실테니) 그런 분들이 더 상품성이 좋은 현기 전기차 냅두고 중국의 BYD 아토3를 산다고요?? ㅎㅎㅎㅎ 판매량 안 높을 겁니다
@suntree052017 сағат бұрын
중국이 묻은게 젤 큰 문제지 머 싼척하고 안좋은거도 문제지만 아토3 타면 너 요즘 어렵니? 할텐데 왜 타냐 2~300더주면 깔쌈한 ev3탈수있는데
@성이름-t9p4o17 сағат бұрын
ㄹㅇㅋㅋ 진짜 그돈씨죠
@박용규-q8k16 сағат бұрын
하지만 중국기술 좋다는 유투버말만 믿고 추위 다 지나고 따듯해지기 시작할때 구매해서 일년 문제없다며 잘 타다가 내년 겨울에 충전문제 격고 나서 후회하겠죠
@isecai19 сағат бұрын
처음에 배터리 프리컨디셔닝을 켜면 배터리 소모때문에 전비 떨어지는게 싫어서 안썼는데 최근에 써보니 프리컨디셔닝 동안 배터리가 뎁혀져서 배터리효율이 좋아지고 공조기 열을 덥혀진 배터리에서 빼서 쓰는지 전력소모가 확 줄어서 전비가 대폭 좋아지더군요 이런 기능이 없는 전기차는 제대로된 전기차라고 볼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유튜브-지박령19 сағат бұрын
우리나라의 환경을 생각하면 프리컨디셔닝이 필순데 그것까지 넣어서 팔기엔 시장이 작죠 고급화로 한국 시장을 씹어 먹을것 처럼 하더니 결국 저가 덤핑 쪽으로 방향을 바꿧나보네요
@sehyukp19 сағат бұрын
프리컨디션닝 집어넣으면 항속주행중에도 C-rate도 많이 올라가고 주행거리도 박살나겠네요~
@JhB42217 сағат бұрын
아이오닉 운전자로써 ByD 공식딜러 유튜브 채널에 배터리 컨디셔닝 기능 물어보니 "아쉽지만 현대기아에 들어가지 않은 기능은 국내에선 못들어갑니다" 이러길래 이 양반이 자율주행이나 여타 다른 기술 말하고 싶어 하는듯 싶어서 질문은 그게 아닌데 잘못 아셨네요 했더니 대답이 없더군요...한 마디로 현대기아 비꼬고 싶어서 댓글 달았다 자기도 몰라 입꾹닫되더군요ㅎㅎ 에휴 알아야 면장도 하지 참나
@user-wt6zr8orhd19 сағат бұрын
가타부타 시끄럽게 말고 제대로 된 전기차 사면 의식할 필요가 없는데.. 자꾸 상품성이 떨어지는 걸 보정하려고 애쓰다보니 자꾸 엉덩이공학, 직접타이나믹스 같은 유사 과학이 나오니 답답합니다.........
@dduunnll19 сағат бұрын
ㅋㅋ😂😂😂
@mathadmission174219 сағат бұрын
ㅋㅋㅋ 표현이 재미있네요..
@미일정벌19 сағат бұрын
커피야, 미용아, 입싸야.......다들 한 두어대씩은 산거 맞지?
@Ratatou220 сағат бұрын
어제 지인이 한번 호기심으로 BYD 수원매장 갔는데 딜러가 테블릿으로 보여준 자료에 차쌈표시가 있었네요 공식판매에서 자료가 잘 제공이 안된건지 왜 일개 유튜버의 자료를 자신의 공식에서 이용하는건지 의문입니다.
@조명가게-e4g20 сағат бұрын
@@Ratatou2 그냥 안사는게 답이죠
@jakup32719 сағат бұрын
BYD수원 매장 딜러 애가 오토기어 상당히 싫어 합니다.유툽에 올라온 영상에 댓글만 봐도 알죠 ㅋㅋㅋㅋ 딜러 영상에 아토3달면 마크 띠어서 해주나요? 하니 넵 당연히 해주죠 ㅋㅋ 이거 댓글보고 빵 터짐... 수원매장 딜러애 거르세요 ㅎㅎ
@조명가게-e4g19 сағат бұрын
@jakup327 딜러라기보단 그냥 중국나팔수겠죠 ㅋㅋㅋ 한국인 아닐지도모름 화교도많음
@풍기-z9d9v2 сағат бұрын
차쌈은 요즘 공중파 뉴스 인터뷰 나갑니다 이채널이랑 이제 엮지들 마세요
@박명훈-m4k2 сағат бұрын
사계절이 뚜렷하다 = 살기 존나게 힘들다 결론 = 한국은 강한자만이 살아남았다
@winterkks2 сағат бұрын
중고차에 팔리지 않는 건 차라는 것에 아무 의미가 없지요
@artpia515Сағат бұрын
이번달 2월달에 페리 신형이 나온다고 한다. 근데 3년지난 구형을 재고떨이로 파는건데 좋다고 유투버들이 홍보를 하고 있고 댓글을 보면 한심 하더라. 그리고 15%이하로 떨어지면 출력제한이 왔다고 하는데 byd에서 업데이트 해서 개선을 했다고 한다.
@jehyunyun15122 сағат бұрын
제 개인적으로 솔까 LFP에 프리 컨디셔닝 있어도 탈까말까 하는데 LFP에 프리 컨디셔닝이 없다? EV3급 차체에 3천만 초반? 우와~? 공짜로 줘도 안타죠ㅎ
@8hev66218 сағат бұрын
30퍼에서 광탈하는 LG폰 써봤는데 사람 미침 ㅋㅋㅋ
@gaegeuji20 сағат бұрын
저게 없다는 건 차에 브레이크 없다는 거랑 같음
@한우물-z7e18 сағат бұрын
항상 고맙습니당~~
@Panorama-memory19 сағат бұрын
중국에서 대가를 받고 빨아주는 유투버들 믿고서 사서 개고생을 해봐야 되는거죠. 직접 경험해보고 욕을 바가지로 하는 상황을 직접 겪어봐야~~
@성이름-t9p4o17 сағат бұрын
한 1000명 정도 이상 직접 찍어 먹어 보면 분위기가 바뀔거 같습니다.
@정지운-z4j19 сағат бұрын
이래서 주행 잠깐 하고 리뷰하면 안되는거네요.
@Kwonhs06128 минут бұрын
저런차를 ev3스탠다드와 서울에서도 지원금 받고 300만원 차이라니 팔기 싫은건가 지방 지원금 많이 받는곳에서는 오히려 더비싸지던데
@cpc561716 сағат бұрын
그래서 겨울 막바지에 출시하는 건가요? 24년겨울 넘기고 25년 겨울 오기전에 팔아치울려고....
@crazywriter674111 сағат бұрын
채널이 점점 늪으로 빠져들고 있는것같아 안타깝네요
@typhoon69043 сағат бұрын
니하오
@ea888219 сағат бұрын
유럽에 현대 로템이 흑표 전차만 파는 게 아니고 항상 같이 팜플렛 들고 나가는 게 또 다른 전차 '전동차' 입니다. ㅎㅎ혹서 혹한 다 가능하죠
@성이름-t9p4o17 сағат бұрын
드론으로 쓰면 좋을듯 싶네요. 열도 많이 안내니까 드론에 들킬 확률도 줄어들고요.
@lee-cq5vo19 сағат бұрын
오잉 ㅋㅋ 프리컨디셔닝 ㅋㅋ경우지ㅜ설정 처음 알았네요 ㅎㅎ 다음에 장거리 갈때 써먹어 볼께요
제가 프리컨디셔닝이 있는 아오5 몰고, 저희 형이 기능 없는 토레스 EVX 타고 다니는데요 저는 장거리 위주 급속충전이 잦고, 저희 형은 완속충전으로만 넣는 편이라 프리컨디셔닝이 없어서 힘든점은 없다고 합니다. 다만 전기차는 언제 어디서든 급속이나 초급속을 할일이 생길수 있으니까, 겨울철엔 프리컨디셔닝 기능이 필수긴 하죠 😅 차를 어떤 용도로 모느냐에따라 또 다를것 같습니다
[긴급속보] 노르웨이 자동차 잡지 모터(Motor)와 노르웨이자동차연맹(NAF)이 매년 주최하는 ‘엘 프리(El Prix)’ 테스트는 전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전기차 주행거리 테스트로 인정받고 있다. 1월 19일, 엘 프리 겨울 테스트 결과가 발표됐다. 테슬라 모델 3 롱 레인지 리어 휠 드라이브 버전은 기대와 달리 24대 중 21위를 기록하며 하위권에 머물렀다. WLTP 기준으로 436마일(약 702km)의 주행거리를 인증받은 모델 3는 실제 주행에서 330마일(약 531km)만을 기록하며 24%의 주행거리 감소율을 보였다.
@olymposswat26519 сағат бұрын
출력제한은 뭔가요. 이게 아토3 큰 문제 같던데
@김무현-e9v19 сағат бұрын
현기 작년 전세계 판매량 NO3..🎉
@TaihoHong17 сағат бұрын
Byd에 질문하고 답볍듣는 영상이 있었으면 더 좋았을거 같네요.
@birdsky862214 сағат бұрын
모카와 미디어오토는 광고받고 홍보하는지 모르겠는데~ 좋다는말만 하던데~ㅋㅋㅋ
@나유타-w4w18 сағат бұрын
있어도 잘 쓰진 않지만 없으면 섭섭한???
@정현준-y1j19 сағат бұрын
아토3 배터리15% 이하에서 출력제한 이슈도 있다고하네요
@망숭숭19 сағат бұрын
북기은상 켄보600이나 동풍소콘 펜콘IX5 같은 차들 생각하고 시승해보면 생각보다 괜찮다고 하던데 돈조금 더주면 훨씬 완성도 높은 국산차가 있고 콜레오스 같은 수준의 차량이 택갈이 해서 들어오지 않는한 팔릴까 싶네요.
@권기헌-q5u16 сағат бұрын
이삼년 지나면 다알게되죠.
@조명가게-e4g20 сағат бұрын
기아에서 1천만원대소형suv 나온다던데 스팩보니 BYD 압살하겠던데요 ㅋ
@김무현-e9v18 сағат бұрын
칼갈고 나올듯..
@성이름-t9p4o17 сағат бұрын
레이EV 대체용인가 보군요.ㄷㄷㄷㄷ 나오면 전기차 캐즘이라는 단어를 쓰면 중국인이라고 봐도 될정도네요.
@bangdali19 сағат бұрын
BYD 오랫동안 탔던 유튜버 영상을 보니 배터리때문에 겨울철 주행 가능거리가 확 줄어드는 문제는 없었고, 출력제한이 제일 심각한 문제라고 하네요.
@지잡대대코더19 сағат бұрын
지역마다 다르니까 북경같이 추운곳은 또 다른 평가들을 내리죠
@얀-e6u18 сағат бұрын
출력제한이 배터리성능저하의 결과물입니다
@성이름-t9p4o17 сағат бұрын
LFP 배터리 성질이 완충 전압과 방전 전압의 차가 적기 때문에 C레이트가 많으면 순식간에 전압강하가 되어서 그렇죠. 따뜻한 경남,제주도에서도 못 써먹는 이유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