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의욕과 지능까지 확 넓혀줍니다" 초등학교 때 절대 놓치지 말아야 할 경험 딱 한 가지 (전 멘사회장 지형범)

  Рет қаралды 383,939

데일리어썸 DAILY AWESOME

데일리어썸 DAILY AWESOME

Күн бұрын

Пікірлер: 235
@데일리어썸
@데일리어썸 26 күн бұрын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 영재성 바로 알기 " 책 구매링크 : link.coupang.com/a/b9V7yN
@helphinstinemcgarty
@helphinstinemcgarty 6 күн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ㅎㅎ 역시 어렸을때부터 다양하게 접하는게 중요하죠 이게 바로 요금제지!!! 싸고 합리적이고 시월모바일 알뜰폰요금제가 짱이네 ㅋㅋㅋ
@주주-f2u
@주주-f2u 27 күн бұрын
다양한 체험 활동 (첨단 기술을 접할수 있는것도) 폭넓은 독서,잡지도 교과서 쭉쭉 읽기 의도/ 과정 칭찬하여 자존감 살리기
@sooclinic
@sooclinic 12 күн бұрын
대치에서 아이들 많이 가르쳤습니다만. 학습이전에 가장 중요한게 기본기 같습니다. 아이들이 어릴수록 그릇의 기틀을 만드는게 핵심같습니다. 그릇이 만들어지면 담그는건 그 다음에 이루어질 부분입니다. 거기에 중요한게 집중과 몰입같습니다.. 그런데 그건 그게 무엇이든 아이들이 흥미를 느끼는 대상이어야 하고. (어릴수록 흥미없고 싫은데 집중 몰입은 어른도 어려운데.. 당연히 못합니다.) 그 흥미라는건 반드시 수동적으로 보고 재미있는게 아니라. 자기가 끄적이든. 시행이 어느정도 가능한 것들이어야 합니다. 게임이나 영상으로 화려한걸 보고 수동적으로 매달려 있는건 몰입이 아니라 생각되고. 그림을 그린다거나, 악기를 뚱땅거린다거나. 독서를 한다거나. 다큐를 본다거나. 그게 부모님이 보기에 마땅치 않아보이더라도 접근해가는 태도에 대해 배양과 격려 강화를 해준다면. 그렇게 아이들에게 몰입과 지속 시간 및 강도를 키워가면.. 나중에 가르치게 되었을때에 확실히 다릅니다.
@letgo1843
@letgo1843 Ай бұрын
내용이 너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러블리폭스
@러블리폭스 Ай бұрын
멘사회장님이셔서 그런지 말씀하시는데 여유가 많으세요..
@toy1020
@toy1020 27 күн бұрын
저도그게느껴졌어요 툭툭 무심하게 말을 던지시는데 여유가 느껴지십니다
@구멍_홀
@구멍_홀 25 күн бұрын
난 멘보사를 좋아한다 공부는 재능이다. 떡잎부터 다르다. 돈 많이 버는거랑 공부랑 비례 아니다. 좋아하는걸 하게 해라😊
@캡틴코리아-u2q
@캡틴코리아-u2q 19 күн бұрын
ㅋㅋ 여자라서그런가 보는눈이좁네 생각하는것도 그렇고.
@hejhej-lee
@hejhej-lee 26 күн бұрын
저희아이가 한가지 좋아하면 그것만 파고드는데(종이접기,기차) 그 분야에 대해서 할수 있는한 많은 지원을 하려고 하고있어요. 물론 공부에 도움되는건 아니지만... 잘 하고있는 거였네요! 😊
@herrmelloJ
@herrmelloJ 25 күн бұрын
멘사회장님은 공부만 알고 육아는 잘 모르실거라 생각했는데, 웬걸... 너무 많이 배워갑니다. 좋은말씀 정말 감사드려요. 공부천재가 육아천재인것같네요.
@GM-nv8cq
@GM-nv8cq 20 күн бұрын
타고난다... 될놈 되고 안될놈은 멀해도 안된다... 공부가 다 가 아니니 자기에게 맞는 직업을 가지면 된다
@앤앤앤-l2i
@앤앤앤-l2i 25 күн бұрын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
@lbk3587
@lbk3587 12 күн бұрын
건강이최고다......
@서동경둥
@서동경둥 28 күн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9kim328
@9kim328 20 күн бұрын
공부에서 최상위는 예체능과 같이 유전적인것이 맞음. 그러나 예체능에 비해서 길이 넓기 때문에 노력만 한다면 1등급 맞을수있음. 반박시 님말이 맞음
@이정민영어
@이정민영어 Ай бұрын
의도를 칭찬하고, 사랑받는 부모가 되라!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박사님덕분에 저희 막내아들 조기입학해서 학교 잘 적응하고 있습니다. 어느덧 3학년이 되었어요.
@shs712
@shs712 19 күн бұрын
어린 시절 어느정도의 훈련과 습관, 그리고 학교든 인생에서든 숙제부터 먼저 하고 노는 훈련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천재아이들은 그냥 둬도 되지만 수재부터 그냥 평범한 아이들에게는 길잡이를 잘 해주면 큰 변화가 만들어지는 건 사실입니다.
@jplus1422
@jplus1422 4 күн бұрын
제가 얼마나 잘 실천할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마음에 잘 담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lala_bao
@lala_bao Ай бұрын
어머.. 교수님 말씀처럼 4살때부터 공룡이름, 분포지역, 크기, 몸무게 달달 외워서 천재인줄 알았는데 조금 크니 포켓몬으로 빠져서 포켓몬 몇백마리 이름, 타입, 크기 등 달달 외우는데 영어단어는 드릅게 못외우네요..😆😆 교수님 말씀에 희망을 가져봅니다. 폭넓은 배경지식 넓혀주는데 힘써볼게요!
@dreamer0404
@dreamer0404 Ай бұрын
😂😂😂😂😂
@mariposabonnie7139
@mariposabonnie7139 Ай бұрын
아이가 똑똑한데 영어에 아직 관심이 없어서 그럴겁니다. 외우게 하지 말고 즐기게 하는 방법을 찾아 주시면 빨리 배울겁니다.
@inspired3138
@inspired3138 Ай бұрын
파닉스를 이해하면, 영단어 외우는게 쉬워져요. 영어학원에서 수년간 일해왔는데, 7, 8세 아이들 파닉스 배우면서 영어에 자신감 갖는 아이들 보면 보람있어요^^
@쌤-q6l
@쌤-q6l Ай бұрын
이 분 교수님 아니에요
@jisunbaek
@jisunbaek 29 күн бұрын
저희 아이랑 같네요. 공룡을 님 아이 처럼 했고, 이후에는 포켓몬...포켓몬 카드도 트렁크로 하나 입니다. 허허허.....😅 지금은 중 1인데 포켓몬 단어로 영어 공주 하면서 포켓몬 속성이 물,불,강철...뭐 이런 식이니까 포켓몬에 관련 된 단어들을 영어로 보기 시작 하더라고요. 덕분에 지금 영어는 고2 수능에서도 2-3등급 왔다갔다 하는데..수학은....😢 그냥 재능이려니 하고 둡니다. 참...포켓몬 워낙 좋아해서 영어버전, 한국어버전, 유럽언어 버전 등등의 책을 많이 사줬었네요^^;;;
@광준이-k8u
@광준이-k8u 28 күн бұрын
17:38 이 부분은 어린아이들만이 아니라 어른들 또한 흥미 있는 혹은 관심있는, 보고싶은 책에 시간가는 줄 모릅니다. 반대의 책은 흥미가 없기에 집중력이 떨어지며 관심도 없어하죠...
@김은혜-n3g8u
@김은혜-n3g8u 16 күн бұрын
만3-4세까지 스킨쉽, 부모의 즉각적인 반응 매우 중요합니다. 공감합니다. 그리고 바른 훈육, 절제할 수 있도록 양육하는게 요즘엔 특히 필요한 것 같아요~
@휴휴고고
@휴휴고고 18 күн бұрын
학습만화에 대한 세가지 거짓말 제가 다 믿고 있었는데요.. ㅎㅎ 아이가 만화를 넘 보는 게 불만이었는데 좀 여유있게 봐야겠네요..감사합니다 :)
@방서현-e4x
@방서현-e4x Ай бұрын
좋은 방향 제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ynlee100
@ynlee100 Ай бұрын
미국 초등학교는 등수를 직접적으로 알려주기보단 읽기능력은 몇학년 레벨에 해당하는지, 수학능력이 학년 기대 목표치를 달성했는지 미달인지 초과인지를 알려줍니다. 매우 적절하다고 생각해요.
@꿀맥주
@꿀맥주 27 күн бұрын
솔직히 학교공부는 교양의 영역이라 많이 해둘수록 좋다고 생각함.
@lee1kim1
@lee1kim1 18 күн бұрын
명강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IAI123
@IAI123 28 күн бұрын
공부 = 재능 오래앉아있는거 = 재능 오래앉아공부하는거 = 재능 공부하면서 이해도 하는것 = 재능 모든게 재능의 영역
@편안전활Y
@편안전활Y Ай бұрын
오늘 교수님 말씀듣고 제가 좀 바뀐다면 , 아이 인생이 바뀔수도 있겠다 싶어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ceored7408
@ceored7408 5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
@이수연-j1d
@이수연-j1d Ай бұрын
제 주관에 더 확신이 생기는 내용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libertycosmos369
@libertycosmos369 Ай бұрын
달리기 느리거나 미적 감각 떨어지는건 아이성향이고 유전적일수 있다고 받아들이면서 공부머리 없는 건 절대 못 받아들이는 사람들 ㅋㅋㅋ 공부가 젤 유전영향 큽니다. 제발 머리나쁜 애한테 하면 된다고 학대 좀 하지마 ㅜㅜ
@Good_life-u4m
@Good_life-u4m 29 күн бұрын
달리기도 미적 감각도 다 이론과 패턴을 공부하면 평균이상 가능합니다. 공부도 기술과 흥미의 영역이죠
@얌얌-t5l
@얌얌-t5l 28 күн бұрын
달리기나 미술은 그 분야로 밥 벌어먹고 살려면 0.1프로 이내에 들어야 하니까 재능의 영역이지만 공부는 10프로 이내만 들면 적당히 먹고 사니까 재능이 필요 없는 거죠. 10프로안에 드는게 뭔 재능의 영역임? 노력하면 다 돼지. 축구 선수로 국내에서 2000등이면 알아주지 않지만 의사는 한 해에만 2000명씩 뽑는데? 변호사도 한해에 1000명씩 뽑는데? 티오가 그렇게 많은데 그게 재능의 영역임? 서울대만 한해에 4천명씩 뽑아요. 연고때까지 합치면 만명도 넘는데? 근데 김연아는 10년동안 1명이고 그 이후 국내 1위도 돈을 제대로 못범. 공부도 예체능도 재능 영역은 맞는데 예체능은 재능의 영역에서도 성공이 어렵지만 공부는 재능 없는 수준에서도 노력하면 인정받기가 꽤 쉬움.
@vetym02
@vetym02 28 күн бұрын
예체능하고는 달리 공부는 어느정도는 해야죠. 애 인생이 어찌될지 어떻게 알고 손을 놓으란 말을 하나요.
@몇키로-s5b
@몇키로-s5b 28 күн бұрын
공부는 중간은 있어서 그렇습니다. 예체능은 증간이 없어요
@zerobug0
@zerobug0 28 күн бұрын
@@얌얌-t5l 이 분 말씀이 맞죠. 성공한 연예인들 대부분이 자녀들 유학 보내고, 국제학교 보내죠. 결국 성공확률의 문제죠.
@승찬이승비승후브이로
@승찬이승비승후브이로 8 күн бұрын
맞아요~~~ㅠ 교원에서 1000이상 쓰고 후회중이예요 이제서 서점가서 책사고 싶은데 그동안 넘 많이 산것때문에 돈이 아깝고 집에 아직 못읽은 책 넘 많고 무지한 욕심으로 전집사지말란 말 듣고도 좋겠거니하고 샀는데... 너무 많고 비슷한 스타일책이 많으니 제가 먼저 질리고 그러네요~~
@123-n9m
@123-n9m 27 күн бұрын
공부는 유전 영향이 큽니다. 그니깐 타고난다고요. 자기 학창시절을 좀 보고 아이들에게 요구하세요. 못난 아이는 없으니 되지 않는 공부에 채찍질 할게 아니라 잘할수있는 부분을 키워주세요. 안되는거 계속 시키면 부정적인 생각이 아이의 삶을 지배할수있습니다. 긍정적 사고 하나만 가지고도 세상속에서 빛을 낼 수도 있는데 안될 공부에 청소년기 갈아넣어서 아이 인생 망치지 마세요. 공부가 맞지 않는 아이는 고액과외로 학창시절 갈아넣는다 한들 인서울도 안됩니다. 아이의 그릇을 보고 뭔가를 담아야죠. 부모가 공부머리 없었는데 아이를 인서울 시키고 싶으면 그냥 국제학교 보내세요. 부모가 그 능력 없으면 아이의 행복과 인성에 포커스를 맞추고 키우세요. 그러면 아이는 사회에 나가 자기 역활 충분히 할껍니다.
@HairD2581
@HairD2581 27 күн бұрын
나만큼 하라고 하는건 됨?
@익명-p5b2u
@익명-p5b2u 25 күн бұрын
부모는 잘했는데 애가 그냥 그렇네요
@seungjinkim5118
@seungjinkim5118 21 күн бұрын
나는 잘했는데 애가 못한다면... 우리 어머니아버지가 위대한거네요.
@오래미-n3v
@오래미-n3v Ай бұрын
ㅋㅋㅋ 1등부터 꼴등까지 다 괴롭힌다는 말씀이 현실이네요.
@보브-n6s
@보브-n6s Ай бұрын
깊은 말씀 너무 감사드려요~~
@babababbob
@babababbob 29 күн бұрын
고등 수학으로 갈수록 수학도 결국 문해력이 많이 요구됩니다. 결국 언어 능력이 중요한데 이건 인지능력이 함께 동반되어야 하는거고 타고나는게 큽니다. 타고나지 못했다면 책이라도 많이 읽어야 합니다.
@포퓨-b9v
@포퓨-b9v Ай бұрын
좋은영상이네요!❤❤❤❤
@유림영어82
@유림영어82 28 күн бұрын
세상을 살아보니 공부하는걸 못 견뎌하는 사람은 어떤것도 잘할수 없더라.. 공부는 세상을 향해 나를 방어하기 위한것임 무지로 인한 .. 무식으로 인한 손해는 누구도 감내해주지 않기에 조금이라도 더 배우는것을 추천합니다 ㅎㅎ
@user-jc2vi3gb7m
@user-jc2vi3gb7m 28 күн бұрын
ㅜㅜ공부는 못해도 눈치있고 몸 날렵하고 일머리있고 사회성있으면 더 잘살던데요ㅠ 사회나오면 공부 잘하는지 아무도 몰라요ㅠ 진짜~!!!!!! 좋은직업 갖지않는이상
@liiqqiil4642
@liiqqiil4642 27 күн бұрын
공부 못하면 못 견디나요? 기준이 이상해요 환경 성향 사람차이 아닌가요? 또 견뎌야 하나요? 우리나라 번아웃 많아요 공부는 지극히 일부분입니다. 결국 사회에선 공부분야는 반복학습이고 컨텐츠도 많아요 근데 딴 분야는 경험하지 않고는 모르겠던데요
@TechnoParrot1
@TechnoParrot1 27 күн бұрын
공부잘하고 유학, 명문대 나와서 일머리 없어 주변사람들 속뒤집어지게 하는 인간이 지금 이 순간도 내 위아래옆으로 포진해있는데 ㅋㅋ 이것들을 어떻게 해야하는지 술집에서 이사님 푸념듣는게 내 매달 일과임 ㅋㅋ
@이다빈-q8g
@이다빈-q8g 27 күн бұрын
공부하는걸 못 견뎌하는 사람은 어,떤,것,도 잘할수 없다는건 너무 단정적인 말씀이시네요ㅎㅎㅎㅎㅎ
@이다빈-q8g
@이다빈-q8g 27 күн бұрын
공부가 적성에 안맞았던 손흥민,아이유가 님보다 잘살고 세상에 쓸모있어 보이네요.
@연우맘-t5h
@연우맘-t5h Ай бұрын
와..댓글 잘 안 다는데 말씀 하나하나에 감동이라 몇 자 씁니다~!! 선생님 이전 말씀들 듣고 아이 조기입학 보내고 학교생활 잘 하고 있어요^^ 책에 대한 특히 학습만화에 대한 부정적 시각도 돌려주시고 칭찬에 대해서도 게으름이 아니라 관찰 있게 칭찬하도록 노력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4isgood
@4isgood 27 күн бұрын
긴 영상이었는데 다 맞는 말 천지! 좋은 내용 전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runnerc5966
@runnerc5966 29 күн бұрын
제 아이는 돌 때부터 책을 읽혔습니다. 뭐든 수월하게 하고 이해 빠르고 경제적 비용도 많이 줄였습니다. 특히 자존감 높은 것과 인성 좋은게 제일 큰 수확인 거 같아요.
@seungjinkim5118
@seungjinkim5118 21 күн бұрын
지금 몇살이에요?
@kim-no1ow
@kim-no1ow 2 күн бұрын
독서는 기적을 만듭니다
@on_mars
@on_mars Ай бұрын
높은 지능이 재능인건 확실히 맞습니다.그리고 평범한 지능을 가진 사람들 중 지적호기심이 아주 높으면서 인내를 재능으로 타고난 사람들도 가끔 두각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습니다.이것이 후천적이라는 케이스가 아닐까 합니다. 지능×끈기(지능만 있는 경우 압도적 결과를 만들기 힘듬) 지적호기심×끈기(윗케이스보다 더 월등한 인내가 요구되며 훨씬 소수임) 다가짐=폰노이만,아인슈타인,리차드파인먼
@nohsungbum
@nohsungbum 27 күн бұрын
모든사람이 다 같은 인생을 살순없습니다 아이에게 어렸을때부터 선택지를 주세요 자립심을 키워주세요 생각할 능력을 키워주세요 그아이는 자신이 원하는 인생을 살아갈겁니다 모두가 아인슈타인이될순 없어요
@박정준-g3o
@박정준-g3o Ай бұрын
공부도 재능이긴한데 노력하면 어느정도는 된다....그러니 죽어라공부하라고 하는거지....최상위권은 재능러들이 놀고 있지만 그밑에는 고만고만임...결국 노력이 답임....하면 되던데???1등은 아니지만....그리고 안되는거 해보는것도 인생공부인데...돈버는 재능없다고 돈 안벌꺼임??ㅋㅋㅋㅋㅋ
@letsgooska
@letsgooska 27 күн бұрын
학교공부는 잘못해도 됩니다. 흥미가지는것위주로 시켜도 됩니다
@둥스임
@둥스임 Ай бұрын
저는 이미 늦은것 같습니다. 영유아 부모님들은 잘 하시길 바랍니다.
@ppj.s5261
@ppj.s5261 Ай бұрын
몇살인지 모르겠지만 늦었다 싶을때 지켜주세요
@denma-denQ
@denma-denQ 29 күн бұрын
장남이 31세라고 합니다.
@띵글할래
@띵글할래 28 күн бұрын
​@@denma-denQ ㅋㅋ 웃깁니다요~~
@521Qom-gv8ke
@521Qom-gv8ke Ай бұрын
공부도 타고나는 재능입니다...이젠 솔직하게 말할수있어야하는대..아직도 무슨 열심히 노력하면 된다는 구시대적 발언만하는 사람들이ㅡ많아요..공부잘하는 아이는 그냥 어릴때부터 잘해요..99%... 두뇌능력이 다른거죠..집중력과 정보처리 저장 정리하는 두뇌가 뛰어난거죠...공부못하는 아이들은 집중력부터 떨어집니다.. 이건 의지의 영역이 아니라 두뇌의 영역입니다.,솔직히 인정합시다
@recon61th92
@recon61th92 Ай бұрын
저희아들 초4때 문이과 통합 상위 0.5%이내 영재판정받았는데 완벽하게 후천적으로 발달한 지능이라더군요 부모님이 적재적소에 좋은 교육과 좋은 휸육, 좋은 체험, 사랑과 애정을 아주 잘 주셔서 발달한 지능이라던데 의사선생님이 틀린건가요?? 아빠는 고졸이고 엄마는 전문대졸인데 아이는 현재 초6에 전과목 중3~고1범위에요 아이의 지능은 타고나는거라고 못박아버리시기 전에 부모로써 정말 최선을 다해서 사랑과 애정, 교육과 훈육을 줬는지부터 돌아봐야된다고 생각하네요
@피오나-n8o
@피오나-n8o Ай бұрын
​@@recon61th92지능 검사해보면 선천적인지 후천적인지 알수있는 항목들이 있어서 그런가봐요. 그런데 선천척으로 타고나서 잘할 가능성은 높은데 그렇지 않은 아이가 후천적으로 잘하려는건 방법적으로 어려워 사례찾기가 힘들어요 요즘 그렇게 지능 올리려고 엄마들이 애쓰고 있지만 과도한 교육이나 조기교육으로 오히려 더 떨어지고 마는 결과를 만드니까요. 님의 경우도 부모의 애씀과 아이의 기질등이 맞물려 좋은 결과를 맺었을테지만 어느 가정이나 그럴 가능성은 낮지않을까요
@recon61th92
@recon61th92 Ай бұрын
@@피오나-n8o 담당선생님께서, 조기교육을 안시키신게 고지능이 나온 신의한수라고 하셨었죠 소름돋을 정도로 정서와 멘탈이 잘 발달되었는데, 부모님께서 정말 잘 놀아주시고 여러 체험학습도 많이해주시고, 스킨쉽도 많이해주셔서 지능이 잘 발달했다하시더군요 이 아이에게는 지금 세상에서 가장 강한 무기를 오른손에 들고 가장 강한 방패를 왼손에 들고있는 상태라며 무서울게 없는 아이라고 말씀하시더군요. 이건 선천적인게 아니라 완전히 후천적인 환경에 의해 발달한거라네요 아이가 선천적으로 타고나지않았다고 해서 우리아이는 타고나지않았어 라는것보단 부모로써 아이를 진심으로 사랑하고 아껴주는게 더 중요한것 같아서 적은 글입니다
@피오나-n8o
@피오나-n8o Ай бұрын
@@recon61th92 네 맞는 말씀이에요 그런데 작성자님 의도와 달리 후천적 지능으로 0.5프로가 나왔다고하면 엄마들은 그렇게 높여보려고 막 공부시키고 그것도 어릴때 시키려고 하다가 정서 망치고 지능은 더 꺼지는현상들이 나타나는것 같아요 전조작기 구체적조작기 아이들은 체험하고 직접해보고 놀고 사랑받고 부모와 대화도 많이 하면서 자연히 뇌가 발달하는데 말이에요 그래서 지형범님도 초등시기 아이들은 놀고 체험시키라고 힘주어 말씀을 많이 하는것 같구요 어차피 될아이만이 잘한다고 엄마들 너무 욕심내지마라고 하는 말인것같아요 여기서 어차피 될 아이는 진짜 타고난 아이거나 오히려 님처럼 키운 아이일테니까요 저도 님이 어떻게 키우셨는진 언급 안되어있어서 타고난 부분에 더 힘을 주었지만 구체적으로 말씀해주시니 더 도움 받았습니다^^ 말씀해주신 부분 외에도 아이가 똑똑하게 잘 큰데에는 크고 작은 이유들이 있었을거같아요 한결같이 행복한 육아하시고 댓글 보신 분들도 많이 배웠음 하네요
@user-db7fz5sb7p
@user-db7fz5sb7p Ай бұрын
공부도 타고나는 재능이란 거 공갑합니다. 후천적으로 성장 해 나가는 아이들은 공부 머리보다도 아마 무언가를 해내려는 그런 끈기와 집념이 있어서 이뤄낸 거라 생각 합니다. 물론 머리가 좋게 태어났다고 해서 다 잘 하는 건 아니고 머리가 나쁘다고 해서 다 나쁜 결과를 얻는 건 절대 아니지만..공부 머리도 어느정도는 타고난 재능이 있다는 건 정말 공감이 돼요.
@박지인-i7t
@박지인-i7t 27 күн бұрын
미국처럼 학년별 읽기 능력 지표가 있으면 좋겠습니다 외국애들도 단어 외웁니다 국어단어 뜻을 모르거나 인용하지 못하는 애들 많습니다
@amber1494
@amber1494 28 күн бұрын
그냥 대충 키우세요 알아서 크는거지 뭐하러 스트레스받으면서 키우나요 하고싶은거 다하고 사세요 인생짧아요
@세라-r7i
@세라-r7i 28 күн бұрын
이분 현답이시네 😂
@atthattime-o9h
@atthattime-o9h 27 күн бұрын
현자세요. 우리어머니가늘 주장하시는부분인데 ㅎㅎ 100년도못산다고
@user-hu1pn7hf8w
@user-hu1pn7hf8w 27 күн бұрын
그게 스트레스가 아닐 수도 있어요 ㅎㅎ
@김매화-u2m
@김매화-u2m 26 күн бұрын
모범 답안이십니다 인생 짧아요😊
@musicroy656
@musicroy656 20 күн бұрын
도서관에 풀어두면 만화책을 선택하는데 어쩌죠.....ㅠㅠㅠ 쿠키런 같은...ㅋ (만5세입니다)
@김동현-s7j7m
@김동현-s7j7m 23 күн бұрын
....생각해보니까 어릴 때 부모님이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었을 때에는 체험을 많이 할 수 있었는데.... 가세가 좀 어려워졌을 때에는 그런 게 없어졌었던 기억이 납니다.... 씁쓸하네... 대학교 가니까 가정형편에 따라 각자 갖고 있는 경험이 다른 걸 느끼고 이게 자본주의 사회의 구조적인 문제구나...하고 세상은 역시 공평하지 않아.... 그냥 버티면서 살아가는 거구나 하고 느꼈던 기억이 나네요. 아무튼 좋은 영상 잘 보고 갑니다.
@begood112
@begood112 Ай бұрын
좋은 말씀 공감하면서 잘 봤습니다. 마음이 좀 편해지는 것도 같고 우리 부부가 부모로써 어떤 부분을 노력해야할지 방향이 잡히는 것 같습니다. 아이가 한 분야게 깊이 빠져드는 경험을 하는 것에 대하여 저는 상당히 긍정적인 입장인데 제 주변에도 보면 선생님 말씀대로 비효율적인 곳에 시간과 정성을 쏟는다고 속상해 하는 부모들도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그런 태도가 매우 안타깝게 느껴졌었습니다. 어쨌던 저도 학부모중에 한명일 뿐이지 전문가가 아니다보니 가끔 내가 이렇게 생각하는게 잘못된건가 싶을때가 있기도 했었어요. 그런데 그 부분에 대하여 언급해주시고 아이에게 매우 좋은 경험이라고 해주셔서 내가 가지고 있는 가치관이 잘못된건 아니었구나 싶어서 내심 뿌듯함이 느껴졌습니다^^ 학습만화에 대하여 콕 찝어서 얘기 해주신 부분도 너무나 제가 오랫동안 가지고 있던 고민이었는데 말끔하게 해소해주셨습니다.ㅎㅎ 저희 아이들이 정말 누워서 책보고 엎으려 책보고 밥 먹으면서, 간식먹으면서 책위에 흘리고.. 거실바닥에 보던 책을 치우지 않고 펼쳐놓은 채로 두어서 잘못 밟고 찢어지기도 하고.. 책보다 자느라 몸에 눌려 구겨지고 찢기기도 하고요.ㅎ 아무튼 오만가지 별의 별 자세와 상황에서 책을 보는데 가족식사 자리 아니고서는 그것에 대하여 크게 터치를 하지 않았었어요.. 그냥 그저 편하고 재밌게 읽으라고요.. 그 부분에 대하여서도 언급해주시니 제가 마음이 편해질 수 밖에 없네요 ㅎㅎ 이 영상을 통해 고민했던 부분도 많이 해소되고 칭찬의 기술등 다른 좋은 말씀들도 많이 해주셔서 메모 많이 해놨습니다! 특히 사랑받는 부모가 되라는 말씀 머리와 마음속 깊이 새기겠습니다~! 메모와 영상 곱씹어 보면서 아이들과 행복한 초등시기를 보내겠습니다!! 다시 한번 좋은 내용의 영상 감사합니다^^
@카리타스-d6v
@카리타스-d6v Ай бұрын
미치게 좋아하는 것들에 게임도 포함되나요?😢
@박소영-i3q7r
@박소영-i3q7r Ай бұрын
저도 이게 궁금하네요ㅜㅜ
@hd85-i3c
@hd85-i3c Ай бұрын
게임도 재능이에요 ㅠㅠ. 좋아한다고 잘하는건 아니더라구요
@김다랑-v1v
@김다랑-v1v 29 күн бұрын
저도 궁금해요
@IAI123
@IAI123 28 күн бұрын
누가 그랬죠 아이가 프로게이머 하고싶어할때 최고 세팅으로 다 맞춰줬다고요. 장비탓 못하게. 그러고 그 세계에서 1등 못하니까 스스로 빠져나오게 되었다 하더라고요.
@seungjinkim5118
@seungjinkim5118 21 күн бұрын
이것도 미디어라고 믿고...ㅋㅋㅋ 넣었습니다...
@sonakbi9509
@sonakbi9509 Ай бұрын
❤❤❤❤❤
@kwanglim2887
@kwanglim2887 Ай бұрын
그런데, 멘사 회장님이셨던 분이 일반적인 지능을 가진 분들에 대해 공감하실 수 있을까요?
@teacherlee-diary
@teacherlee-diary 26 күн бұрын
부모는 자녀가 건강하게 성장하도록 하면 아이스스로가 자신의 인생을 설계해나간다. 너무 부모들이 자녀를 소유물로 생각하여 인생설계까지 해버리는데서 비극이 시작됨. 특히 유전이 99프로 작용하는 공부에서 더더욱
@하늘과햇살-g9m
@하늘과햇살-g9m Ай бұрын
100일 전까지 불같이 울던 아이. MBC에서 집중스케치할 정도로 외모도 예쁜 아기였죠. 돌 전, 모두가 잠든 밤, 밤새 혼자서 마루를 걸어다니며 하루 만에 걸음마를 뗀 신동! 5살 때 주변 약도나 아파트 구조도를 온집안 벽에 그리고 기록할 정도로 영특했던 아이였는데 부모로서 부끄럽지만 동기부여를 못찾아줘서인지 영상자극추구욕구만 남은 듯해요.
@나나-k2f8x
@나나-k2f8x Ай бұрын
요점이..책읽어라고~
@OMG-r3j
@OMG-r3j 25 күн бұрын
결국 학교에서 등수를 안 알려주니 사교육이 흥할수밖에 없지.
@정은영-j4l
@정은영-j4l 9 күн бұрын
문해력이 높으면 수학도 잘하는 것 같아요.
@noname-gm3hh
@noname-gm3hh 11 күн бұрын
아이 어릴때 제 일때문에 방학이면 유럽미국 끌고 다니며 한달씩 체력고갈되도록 아트 페스티벌 유랑다녔습니다 ㅎㅎㅎ 애를 두고 갈수 없는 상황이고 그렇다고 아이맞춤형 플랜을 감당할수도 없어서 거지꼴이었지만 아무튼 코로나 직전까지 매년 그랬으니 음악미술 및 언어 다문화적 경험치는 엄청 높았던 거 같습니다. 지금 고1인데 해외문화에 남보다 더 빠르게 친숙해지고 도전정신도 좋은 영향받은 거 같아요 어릴때 비싼 영어유치원보다 여행, 여행사 따라다니는 거 말고 직접 플랜짜서 소도시까지 헤집고 다니는 여행, 추천합니다. 어차피 학원보내며 고생할 거, 아이랑 함께 타지에서 고생하며 자기주도적 성향을 기르는거….. ㅎㅎㅎ 이거 가성비에요
@enjoyfun_KIN
@enjoyfun_KIN 20 күн бұрын
그냥 좋은말...저렇게 키우겠다고 그러면 아이가 그냥 대학 못가도 크게 실망하지않을 부모면 가능하겠지. 근데 그런 부모면 대안학교보낸다 ㅎㅎ
@예주원-f8u
@예주원-f8u 27 күн бұрын
선생님 영상 잘 보았습니다. 저는 이제 5학년에 올라가는 딸을 키우고 있습니다. 아기때 부터 책을 좋아해서 한글도 아주 이른시기에 혼자 터득했습니다. 아직도 챽을 좋아 합니다. 그런데 문제는 판타지 소설을 무척 좋아해서 편독을 하고 있습니다. 이대로 괜찮은것일까요?
@thko9915
@thko9915 27 күн бұрын
어차피 책은 관심도 없는 다른거 읽어보란다고 읽어지는게 아닙니다 역효과예요 원하시몀 문해력을 키울 수 있도록 조금 수준 높은 표현이 있는, 성인도 재밌게 볼 수 있는 그런 작품을 어머니가 찾아서 제공해주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어머니가 같이 읽으시고 얘기를 나누시면 더 좋겠죠
@stingonu
@stingonu 26 күн бұрын
다양한 곳에 가서 관심있는 게 생기면 예를들어 마카롱 좋아하고 맛있다면 마카롱관련된 이야기책이나 요리책? 이런식으로 넓히면좋을거같아요.. 저도 판타지책만 창작동화만읽었는데 역사를 모르고산게 나이들어 후회하더라구요 편식이랑 똑같은거같습니다
@러븐
@러븐 20 күн бұрын
지나가던 중년입니다. 저도 어린 시절부터 지금까지 대략 30년 동안 판타지와 무협지를 평균적으로 하루에 한 권씩은 읽은 거 같습니다. 총 권수로 만권은 넘게 봤습니다만 결과적으로 권수 대비 문해력은 크게 늘어나지 않았고 소양 또한 늘어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이제 와서 느끼지만 책은 다독보단 정독이 맞습니다. 즉, 만권을 읽어도 스쳐 지나갈 바엔 단 한 권을 읽더라도 머리에 남는 게 좋습니다. 물론 이런 저도 딱하나 장점은 있었습니다. 일례로 시험 볼 때 지문은 남들보다 빨리 읽었습니다.
@tomgstomgs
@tomgstomgs 19 күн бұрын
저는 윗분과 반대로 생각합니다 지금은 책을 잘 읽지 않는데 초등학교 시절까지 말 더듬고 국어시간에 책 읽을때는 많이 버벅여서 책읽기 시킬때가 곤욕이었습니다 저는 판타지나 무협소설 중학교부터 읽기 시작했고 처음에는 한권도 이틀은 걸렸는데 20살쯤에는 하루에 판타지소설 5권도 넘게 읽었고요 판타지나 무협이라고 하더라도 사자성어나 고급 어휘들이 나올때도 있다보니 단어의 선택폭도 넓어졌었고요 무엇보다 책읽기도 엄청 빨라졌습니다 거기다 말을 주변 친구들이 들을때도 논리적으로 하다보니 말 잘한다는 소리도 들었었고요 문자나 편지쓰기등 대학교시절 썸녀한테 연락하는데 도와달라고 너 글 잘쓰지 않냐는 소리도 많이 들었습니다 라디오에 사연보내서 뽑힌적도 종종 있고요 지금은 그 흔한 판타지 소설조차 잘 안읽다보니 예전과 다르다는걸 확 느낍니다 글을 못써서 장래에 뭐가될지 그거 하나 쓰지를 못해서 뒤에 친구들은 어떤내용 쓰나 보다가 싸대기까지 맞았던 사람이 이정도까지 발전을 했었네요
@hyunjinmin2744
@hyunjinmin2744 19 күн бұрын
저도 중학교 때 판타지 소설 많이 읽었는데 결국 장문의 지문을 속독하는 능력이 길러져서 언어랑 영어 수능등급이 잘 나왔었어요!
@janghoonkim2948
@janghoonkim2948 28 күн бұрын
공부도 재능이다 어쩌고 저쩌고 하는거는 결국 공부=입시=스카이 관점에서만 얘기하는 거지.. 이해가 조금 늦어도 꾸준히 하면 인서울 정도는 할수 있음. 머리 재능하나로 이러쿵 저러쿵.. 당신과 당신 아이 삶의 의미가 오직 입시에 초점이 맞춰줘 있다는 반증.
@롤러코스터-n3u
@롤러코스터-n3u 25 күн бұрын
이거지.공부의 재능은 단순히 공부머리 뿐만 아니라.끈기.도 중요합니다.
@yeon23355
@yeon23355 21 күн бұрын
돌때부터 지금 11살인데 공룡을 아직까지너무좋아하고 집착하고 그것만갖고놀아요ㅠ그냥둬야겠네요😅
@까꿍-u3h
@까꿍-u3h 18 күн бұрын
그런데 엄마들 초등 심화수학문제집 왜그리 풀리나요~ 박사님 말씀 다 맞는것 같은데 현실이랑 안 맞아서 괴롭습니다ㅠ 다음영상에서 현실대안도 제시해주셨으면 좋겠어요~
@seungjinkim5118
@seungjinkim5118 21 күн бұрын
황영조 러닝철학에 반박하는 러닝동호회 회장에 이어 멘사 회장 공부 철학에 반박하는 사람들도 등장😂😂😂
@다람쥐헌쳇바퀴에타고
@다람쥐헌쳇바퀴에타고 Ай бұрын
공부를 잘한다는 걸 판단하는 게 등수여서 불행한 것임 전국에 수능 만점 100명이면 1문제 틀린 사람이 1000명이면 2문제 틀린 사람은 실력 차이가 많이 나는 것임??? 등수로 보니 차이가 큰거지 실력은 다 고만고만인 것임
@peaceful_world5
@peaceful_world5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 수능 시험 하나로 직업을 줄 세우고 직업에 따라 임금의 차이가 크니까 사람들의 삶의 만족도가 높지 않은것이겠죠.
@다람쥐헌쳇바퀴에타고
@다람쥐헌쳇바퀴에타고 Ай бұрын
@@크리스피도우 적어도 님은 머리가 안 좋다는 걸 본인 댓글로 스스로 인정하고 계시네요
@thankyou797
@thankyou797 14 күн бұрын
독서를어떻게 늘릴까요. 제가일을해서 저녁9시예 30분하는데 그이상 못합니다..진짜늘리고싶어오
@러너-b1c
@러너-b1c 27 күн бұрын
아이 개발시키는거 스스로 하게끔 환경 만들어주고 유도하면 다 따라오면서 성장한다. 근데 그걸 할 수 있는 부모가 많지 않음. 나도 내 부모가 막키웠기에 자라면서 스스로 깨우친것을 애한테 가르치는건데, 육아티비보면 다 이미 내가 하고있는거더라. 공부머리가 유전이란것도 꼭 두뇌유전뿐아니라 이런 부모의 환경조성까지 포함하는 것.
@김리재-q5l
@김리재-q5l 26 күн бұрын
😂
@김희정-k3b
@김희정-k3b Ай бұрын
우리아이들 키울때 이 강의를 봤었야하는데 아쉽네요
@zerobug0
@zerobug0 Ай бұрын
학습만화가 좋다 안 좋다 라는 어떤 연구결과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소수의 경험이 다수에게 적용되거나 대변하지 않을 것이라서.
@앵거스-f6o
@앵거스-f6o 12 күн бұрын
애들이 책을 안 읽어요ㅠㅠ
@홍-v6c
@홍-v6c 13 күн бұрын
하루종일 놀이터에 있는데.. 괨찮나요 ㅋㅋ
@1500YOO
@1500YOO 24 күн бұрын
우리애는 똥이야기 미친듯이 좋아하는데ㅠ
@slothalto2294
@slothalto2294 28 күн бұрын
학원만 노 난다
@user-dkse9kdkw0
@user-dkse9kdkw0 23 күн бұрын
와 요즘에는 성적공개 안해요???
@골목세포
@골목세포 29 күн бұрын
푹빠져본 경험이 득이되는 예시, 항상 공룡이 나오더라구요. 우리집 초등5 여아, 아이돌 포카에 빠져서 중고로 사고판 지 일년쯤 된 것 같아요..쇼츠영상도 찍어 편집해서 올리구요. 폰사용시간과 영상시청시간을 하루 십분으로 제한하다보니 편집을 짧은시간에 잘하긴 해요. 그런데 저는 아무리 상상력을 발휘해보아도 현재 빠져있는 포카거래 & 포카쇼츠 로는 아이성장에있어 어떤 값진 스토리로 이어질지 진짜 모르겠어요😅 누가좀 댓글로 의견 나눠주세요. 진짜 나쁜 영향만 있을까요. 아니면 이것도 다지나가리 빠져있을때 푹빠져봐라 해도되는걸까요
@05CH-lw9et
@05CH-lw9et 27 күн бұрын
딸 키우는 집이라면 무조건 공감하죠~ 저희는 아직 초3인데 포카가 수백장이예요 ㅎㅎㅎ 당근 마켓이나 이런건 아직 가입이 안되니 거래도 불가하지만 다 똑같아 보이는 사진들 그들 사이에서도 나름 가격에 민감하고 그것을 소유물로 생각하더라구요 부자가 된 것마냥 좋아하기도 하구요 그것도 하나의 거래라면 그들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자본주의를 배울 수 있는거라 긍정회로를 돌려봤어요 이건 얼마짜라리고 어플을 보며 설명을 해주는데 제가 보기에는 아무리 봐도 그 가격에 살 사람이 없을 것 같거든요 이러면서 수요와 공급도 배우고 체험해 나가는거겠죠 현재는 포카가 돈보다 값져서 팔지 않고 모아가는거 같은데 간접체험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훗날 아이브가 해체되고 인기가 떨어진다면 마치 당시에는 가치있다고 생각한 주식을 샀는데 상장폐지되는 경험을 간접적으로 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어요 (저도 엽서 사진 모아서 방에 도배해두던 어린시절이 생각나서 그것도 다 한때다~ 라는 생각이 들어요^^) 대신 용돈의 어느정도는 따로 떼어서 진짜 주식을 사주고 있어요 나중에 너가 산 포카와 그때 엄마가 강탈(?)하듯이 가져간 네 용돈의 일부분으로 산 주식의 가치를 비교해보면 분명 느끼는게 있을꺼라고 생각하면서요 포카도 비싸니 어느정도 사주고는 이제 그만 사는거라고 못박았더니 그 안에서도 가지고 싶은 것을 친구들끼리 교환하고 그러더라구요 포카 포장 영상찍다 요새는 로블록스 게임하는거 편집해서 동영상 만들어 틱톡이나 유투브로 영상 올리고는 조회수가 엄청났어요 AI 사피언스라는 책을 보면 로블록스도 ‘하나의 세계다’ 그안에서 사람들도 만나고 직업도 가지고 돈도 벌고하면서 메타버스라는 한마디로 우리 세계의 작은 축소판이라고 하더라구요 그 책 한번 읽어보시길 추천드려요 이제 영상에서 말씀하시듯 디지털 매체 이용을 전향적으로 보고 우리가 아이들에게 좋은쪽으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줘야 할 것 같아요 하루 10분이면 오히려 갈증이 나서 할 수 있을때 하루 종~일하는 부작용도 생길 것 같아요 저는 아직은 너가 스스로 제한하거나 판단할 정도의 성숙함을 배워나가는 단계라 시간 제한을 두지만 점점 자율성을 높여줄 거라고.. 자유를 느끼려면 책임이 뒤따라야 하니 그날 할 숙제 할일은 끝내고 시간 내에 하는 거면 허용해주려고 해요 시간이 점점 30분-> 50분->1시간10분이렇게 늘어나니 깔아달라는 앱도 많아지고 더 다양한것을 시도해보더라구요 해외여행 가면 가는 여정을 브이로그 찍어서 올리고 전 그런거 자체가 너무 신기하더라구요 아무도 가르쳐준적이 없는데 혼자 편집 음악선택 자막 폰트조절까지해서 하나의 창작물을 만들어낸다는것이요 그래서 이번에 방학할때 반 친구들 이름을 하나하나 담아서 사진과 영상을 만들어 선물이라며 보내더라구요 예전에 우리가 편지 쓰던 시절에서 이제 영상으로 대신하는 시대가 온 것 같아요 물론 부작용도 있겠지만 긍정적인 면을 보고 그쪽으로 잘 발전 시켜주면 좋을 것 같아요 많은 것을 해보니 더이상 포카 사달라는 말도 안하네요^^ 아무튼 요즘 시대 육아 화이팅 입니다!!
@user-hu1pn7hf8w
@user-hu1pn7hf8w 27 күн бұрын
공룡과 포카가 동일선에서 비교되긴 어려울 것 같아요 ㅠ 오히려 게임 같은 거랑 비교되야하지 않을지.. ㅠ
@seojaehwa76
@seojaehwa76 9 күн бұрын
혼자 당근하고 하더니... 이젠 안하더라구요 나중에 다 나눠 주더라구요. 이제 중1 올라가는데.... 치장품 외모 이런것만 신경써요. 곧 포카 졸업하긴 할꺼에요. ㅠㅠ
@woojee8533
@woojee8533 28 күн бұрын
너무좋은말입니다
@조으네조아
@조으네조아 Ай бұрын
지능에 비해 어려운 공부를 하려하면 힘들겠지만 그걸 어느정도 가능케 도와주는 것이 동기인 것 같아요. 학창시절에 정말 취미활동에 매진했고 학교 성적이랑 상관없는 공부에 미쳐서 새벽에 해뜨기 전에 일어나서 등교 전에 배우러 다니고... 반면 학교나 수능 공부는 동기가 없으니 그냥 성적 맞춰서 그 대신 좋아했던 활동 관련으로 대학 진학했는데요 취업해야 될 때 되니까 자동으로 동기유발 되더라구요. 이 시험 떨어지면 진짜 인생 망할 수도 있겠다. 메타인지가 생기고 밤에 잠도 안 오고 독하게 해서 시험 합격했어요. 나름 끝자리 사짜로 끝나는 직업이요. 제 지능은 같은 일하시는 분들 대비 좀 낮다고 생각이 듭니다. 좀 더 시간을 많이 써야하거든요 학창시절에도 이런 동기와 메타인지가 있었더라면 인생이 바꼈겠구나를 공부 해보고 나서야 깨닫게 됐어요. 그래도 건강한 취미 활동이나 다른 공부에 매진할 수 있는 힘이 있었으니 그 힘을 늦더라도 공부하는 데로 전환도 할 수 있었던 게 아닐까 싶어요 요즘은 미디어 발달로 건강하게 매진할 수 있는 취미를 독려하는 것이 많이 어려워진 세상이지만 부모도 그런 취미 하나쯤 즐기는 모습을 보여준다면 어떨까 싶어요.
@peaceful_world5
@peaceful_world5 Ай бұрын
👍🏻👍🏻👍🏻👍🏻👍🏻
@채희박-e9x
@채희박-e9x 9 күн бұрын
6세아들이 수금지화목토천해명 이란 행성계 순서와 자전정도는 알고있었습니다. 같이 아이스크림을 사러나간어느날 밤하늘에 반짝이는 무언가가 보이길래 제가 지나가는 말로 저건 금성인가? 무심코 내뱉었더니 저것은 금성이 아니라고하더군요.. 왜냐하면 지금은 밤이기 때문이다.라고 라더라구요ㅡ 이정도의 답변이라면 현재 아이는 어느정도의 수준으로 교육해야 할까요
@iwannajoo
@iwannajoo 21 күн бұрын
자기주도학습 하게해라는 건 말은 쉬운데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이 있으면 도움이 됐을텐데 아쉽네요.
@유니콘-w2u
@유니콘-w2u 26 күн бұрын
폭넓은 독서가 좋긴 하지만 그걸로 공부 능력이 향상되지는 않는거 같아요 어릴때부터 독서 많이 하는건 좋지만 시간 촉박할때는 시험을 위한 공부만 하는게 나은거 같아요 어차피 시험공부도 단기간에 빠른 향상 해서 끝을 보는게 나은 시간 싸움이라 ㅠ
@susia126
@susia126 25 күн бұрын
독서량이 모여 독서력이 되고 그게 되야 문해력이 키워져요...
@유니콘-w2u
@유니콘-w2u 25 күн бұрын
@ 네 그건 맞죠 그치만 언제까지나 책을 읽을순 없으니까 책도 전략적으로 읽어야 빠르게 향상되는거 같아요 무조건 읽는거 말구요 ㅠ 독서는 많이 안해도 공부 잘하는 아이도 많고 독서 많이 해도 공부 못하는 아이도 많아서요 ㅠㅠㅠ
@맛있는된장찌개
@맛있는된장찌개 26 күн бұрын
학교 성적이 계급이라는걸 숨겨서 뭐가 좋아졌는가? 성적이 계급이 안되는 사회를 만들어야하는거 아닌가? 그게 불가능하다면 인정하고 계급을 타파하는 방법을 가르쳐야지...덮어놓고 되도 않는 공감하는척 토닥토닥...사회부적응자만 만드는 갸돼지 교육 역겹다. 내용과 다른 공교육에 대한 불만이었습니다
@sinloya9700
@sinloya9700 28 күн бұрын
다들 말은 쉽게 하죠. '대충 키워라 애들은 애들답게 키워야한다.' 그런데 보통 부모들에게는 그게 그리 편치가 않아요. 똑같이 놀리는 것 같아도 인생을 살아본 부모는 알거든요. 총알이 많은 집은 기다려줬다가 늦어 보이는 때더라도 아이가 배우려고 할 때 폭풍같이 지원해줄 수 있는 여유가 있습니다. 쉽게 말해 스파르타 고액과외 스파르타 고액 배울거리 등등 액기스가 완전히 다르거든요. 보통 가정의 자녀들은 평소에 역량을 키워놓아야 하는 현실이 큽니다. 찐 부자들은 아이들 기술 국영수 이런 것 보다는 인문학 경영학을 배우게 해줍니다. 그들은 노동자가 아니니까요. 고용주가 되거나 될 수 있거나 최소 사용자(간부나 큰 관리자급)가 될 자녀들이니까요. 출발점이 다르고 잠재적 추진엔진 자체가 달라요. 어쩔 수 없는 부분이 커요.
@권찌니야
@권찌니야 Ай бұрын
초4인데 책방 도서관 가면 유투버 그림책만 골라와요 이제 고전 비문학 명작으로 넘어가고 싶은데 안돼네요 ㅜㅜ
@재이-e9h
@재이-e9h Ай бұрын
우리집 아이 일주일에 한번씩 스무권 넘게 도서관 가서 빌려왔어요 아이가 빌리는 건 모조리 학습만화, 도서관에 있는 모든 만화를 다 봤어요. 본거 또 빌려보고요. 엄마가 글밥 적은 것들 좀 작품성 있는 만화들 껴서 주면 읽고요. 그렇게 일년 넘게 하니까 또 학교에선 만화를 못 보게 하니까 소설을 좀씩 읽었어요. 반쯤 만화책인 책들 윔피키드 같은 것 찾아보면 많아요. 도움이 될까 해서 알려드립니다
@zezehome_
@zezehome_ Ай бұрын
딱 저희 예비 초6 초4 아이들 얘기네요. 윔피키드 전권 딱 사놨는데 관심이 없네요. 전에 코드네임. 숭민이의일기.수상한시리즈까지는 읽었는데 다시 만화만 보네요..곧 읽기를!
@재이-e9h
@재이-e9h Ай бұрын
@@zezehome_ 그래픽 노블 생각보다 괜찮아요 사서 보는 것도 좋지만 도서관 추천해요. 일단 많이 대줘야 해요. 특별히 좋다고 하는 건 사주지만요 저는 도서관 가는 날은 공부 빼줍니다
@zezehome_
@zezehome_ Ай бұрын
@@재이-e9h 그래픽노블 찾아볼게요 저는 보통 당근으로 사서 보고 다시 재당근해요.
@thko9915
@thko9915 27 күн бұрын
고전 비문학 명작이 우리는 재밌나요… 차라리 판타지나 추리물같은걸로 호흡이 길지만 재밌게 읽을 수 있는 책을 먼저 보여주시고 훈련이 되면 고전 비문학을 보여주세요 사람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어차피 고전이라는게 그맘때 읽는다고 느낄 수 있는 부분이 적더라고요
@clara2885
@clara2885 27 күн бұрын
수학학원을 몇살부터 다니는게 좋을까요? 이것부터가 기본 고민이되네요 사고력수학 다녀야되겟죠?
@seojaehwa76
@seojaehwa76 9 күн бұрын
연산 정말 열심히 매일 시키시고요... 저는 애기 5학년때 보냈어요ㅡ 그래도 지기싫어하는 애고 점수에 예민한애라 최고점 받고 하더라구요. 연산 계속 시키세요.
@dreamcatcher4446
@dreamcatcher4446 Ай бұрын
너무 이상적인 아이에 대한 이야길 하시네요..
@ryubron.7777
@ryubron.7777 27 күн бұрын
이게 이상적이라고? 전혀 아닌데?
@rlagustjs1028
@rlagustjs1028 21 күн бұрын
이상적이지 않고 누구나 할 수 있는 거 같습니다. 다만 부모가 그걸 할 의지가 있냐 없냐의 차이인 거 같습니다.
@오혜미-r5k
@오혜미-r5k 19 күн бұрын
진짜 궁금하고 고민인데 전문가에게 물어볼 기회도 없던 차에 박사님 말씀듣다 꼭 여쭤보고 싶습니다..!! 1) 아이가 독서는 초1때부터 초6인 지금까지 매일 30분씩 꾸준히는 하는데, (책이 막 좋아서 읽는다기보다 자기가 고른 책을 읽는게 루틴화가 되어있습니다) 도대체 어느정도 이해를 제대로 하고 있는건지, 중심내용은 파악하고 있는건지, 디테일은 기억하는지 알 길이 없습니다.. 그래서 최근 중심문장에 밑줄을 그어가며 읽어라, 읽은 내용을 요약해라 등을 좀 시켜볼까 하는데.. 거부감만 들까요? 그냥 재미로 쭉쭉 읽어나가면 되는걸까요? ㅠㅠ 2) 아이가 좋아하는 것을 믿어주라고 하셨는데, 아이가 거의 돌때부터 현재까지 자동차와 버스, 기차 등 탈 것에만 꽂혀있습니다.. 초1부터 현재까지 한결같이 버스기사나 기차 기관사가 되고싶다고 하는데.... 직업에 귀천이 있는것은 아니지만 아이가 버스기사가 되고싶다는 것으로 진심으로 응원하는 부모는 많지 않을거라고 봅니다..ㅜㅠ 근데 평생을 이 이야기를 하니 이제 진짜 버스기사를 시켜야 하나.. 하는 생각까지 들 정도입니다..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ㅠㅠㅠ
@김청래-o3i
@김청래-o3i 29 күн бұрын
국영수 100점 받는게 인생의 목표가 아니잖아요~ 누군 지능이 높아서 누군 집중력 끈기가 좋아서 100점 받을수 있겠지만 그런 능력이 부족한애들을 노력이 부족하단 가스라이팅으로 국영수 머신을 만들고 있어요~
@Good_life-u4m
@Good_life-u4m 29 күн бұрын
선천적인면이 있겠지만 솔직히 수능이 선천적 영역에 좌우될만큼 ㅈㄴ 난이도 높다고는 안보이는데요? 그게 무슨 100년 난제를 푸는 영역이고 신약개발이고 고대언어를 해석하고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는 영역의 지능을 쓰나요? 그냥 궁데이 붙이고 기술만 좋으면 올라가는 영역이구만 그리고 사회에서 밥벌이 하는데 대부분 그 이상의 영역까지 요구안합니다. 그니까 부탁인데 공부는 재능이다 이딴소리하면서 자신들의 게으름을 남들에게 까지 가스라이팅하지 마세요. 내말에 공감 못하겠으면 공부가 아니라 취미하나 만들어서 뇌과학과 물리학 확률통계로 실력상승 시켜보세요. 분명 평균이상은 실력 쌓을수 있고 거기서 좀 깨닫고 패배자 마인드에서 벗어나십쇼. 나보고 잘난척하지마라, 넌뭔데 그래잘났어? 하시는 분들 있겠지만 주접싸지말고 "탤런트 코드, 몰입, 도파미네이션, 칙센트 미하이의 몰입, 공부의 기술, 99%성공하는 드리블의 기술(Dribble design)" 같은 기술,이론,뇌과학책 보고 공부좀 하고 공부든 일이든 취미든 해보소 소위 타고났다는게 얼마나 환상요소가 뻥튀기 됐는지 느낄것임. 뭐? 책 몇 권 읽은놈이 더 무섭다고? 😂나대지 말라고?틀렸다고 ? 현실은 다르다고? 응 반박시 니말이 다맞다😂 계속 그리살어 그럼ㅋㅋ
@seungjinkim5118
@seungjinkim5118 21 күн бұрын
처음 잘 나가다가 중반에 갑자기 급발진하네요😅😅
@minyeobjeong
@minyeobjeong 13 күн бұрын
학교에서는 학습만화 가지고 오지말라고 합니다 참으로 답답해요 ㅡㅡ
@jamiebak4857
@jamiebak4857 15 күн бұрын
좋은 말씀 너무 김사합니다!!.
IL'HAN - Qalqam | Official Music Video
03:17
Ilhan Ihsanov
Рет қаралды 700 М.
How to treat Acne💉
00:31
ISSEI / いっせい
Рет қаралды 10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