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w.podbbang.com/ch/16898?e=23464761 ▲시네마 지옥(W. 전찬일, 라이너) 풀버전이 듣고 싶다면? 고품격 예능 콘텐츠 '정영진 최욱의 매불쇼' 세상의 모든 이야기를 재미로 풀어내는 국내 유일 버라이어티 쇼! 압도적 재미, 매불쇼는 매주 (화~금) PM 2시~4시 팟빵앱을 통해 라이브로 들을 수 있습니다. 라이브 파일은 당일 밤 팟빵에 업로드됩니다.
@cho42764 жыл бұрын
팟빵 매불쇼 오피셜 000
@sunday09234 жыл бұрын
설명이 구차스런 칸19패!!!!! ㅋㅋㅋ 케미는 좋아요~^^
@jerrylee89384 жыл бұрын
전찬일 아저씨는 말하는거마다 다 내생각이랑 완벽하게 정반대라 정말 신기하다
@분뇨조절장애뽀숑이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갤럭시네뷸라4 жыл бұрын
저도 그렇네요 ㅋㅋㅋㅋㅋㅋㅋ
@Master_YLong4 жыл бұрын
동감합니다 참 희한하네요...
@향님-p9p4 жыл бұрын
난 완던 똑같아서 놀랏는데
@luvehem3 жыл бұрын
빵터짐 ㅎㅎㅎㅎㅎ
@seyoungkim13374 жыл бұрын
이번은 라이너 의견에 적극 공감합니다...넷플릭스에서 상영하는 영화를 만든다고 마치 감독이 자본주의에 유혹당한거처럼 해석한다는것 자체가 말이 안됩니다...터널 감독이 무슨 독립영화 감독이었나요? ㅋ
@NKY-j9p4 жыл бұрын
스필버그는 돈 많아서 제작도 하지 않나요.
@seyhath6174 жыл бұрын
넷플릭스라는 편견 때문에 작품을 작품 자체로 평가하지 않았다는게 평론의 질을 떨어뜨림
@뉴인소프트와이드펜4 жыл бұрын
저도 킹덤시즌1이 좋았네요 우리나라 조선시대를 제대로 보여주는 딕테일!!! 봉건사회가 왜 망하고 민주주의 정치가 되어야 하는 이유까지~ 진정한 정치란 무엇인가를 생각하게 하는~~
@그랑-c3v3 жыл бұрын
킹덤시즌2는 갈수록 허술하고 망가져서 1년기다린게 허탈했어요
@dksdndrl4 жыл бұрын
라이너가 이겼네...ㅋㅋㅋ 넷플릭스가서 찍었다고 혹평하는 평론가분들 시대가 바뀌고 있어요... 클래식음악도 flac로 듣는 시대에요... 영화는 극장에서 상영해야 한다는 편협한 사고가 예술을 특정 플랫폼에서 못벗어나게 하는 겁니다. 훌륭한 작품은 어떤 플랫폼을 따르더라도 그 가치가 있다고 봅니다. 나중에는 넷플릭스에서 성공한 작품이 극장에서 다시 개봉하는 일도 생기리라 봅니다. 넷플릭스 개봉인 크리스햄스워스의 익스트랙션이 그런 작품이지 싶네요...
@TV-we6qx4 жыл бұрын
ㅋㅋㅋ재미있게 잘 보고 갑니다ㅎㅎ
@별이맘-w4y4 жыл бұрын
평론가 두분의 궁합 참,좋아요~~~~~**
@TV-zi3yd4 жыл бұрын
왠일로 칸 19님 말에 동감. 시즌 2는 더이상 이어 볼 수 없었어요. 매불쇼가 젤 재밌음!
@solmilo4444 жыл бұрын
칸 19님 의견에 동의는 못하지만 두분의 케미는 최고네요 여기 꼰대라고들 하는데 꼰대가 뭔지 모르는듯 다른의견도 수용하는모습이 보기 좋아요~
@yh35yj294 жыл бұрын
봉준호 옥자도 넷플덕어 나온 영화인데? 자본이 없어서 영화만들고 싶어도 못만들고, 일하고 싶어도 일못하는 종사자들이 있을텐데 넷플에서 영화 만든다고 뭐라하는건 좀 아니다. 새로운시도 하고싶어도 돈없으면 못만들텐데 시험의장이 넓어져서 다양성이 많이지고 좋은거 아닌가?
@youngsong65264 жыл бұрын
킹덤 1 & 2 엄청 재밌어요. 쉬지 않고 본 시리즈 중 하나. 미국에서 보고 있어요.
@200boss84 жыл бұрын
터널 대박이지. 우리가족 터널보고나서 맨날 터널환풍기보면 떨어질까봐 쳐다봤죠.
@behere77314 жыл бұрын
밥값낸 김성훈 감독이 훌륭한것으로👏👏👏👏👏😎
@꾸숑-f7o4 жыл бұрын
정영진씨~힘내요.....
@j.kbaker66594 жыл бұрын
찬일이형 영화평론에는 공감 못하지만, 너무 조은형인듯... 계속 함께해요 칸19~~!!
@enjoydjub4 жыл бұрын
킹덤 시즌 1시즌2 다 너무 좋았어요👍
@elvenisar4 жыл бұрын
비평가가 아니라도 최소한 보고나서 비평해야 되는거 아닙니까? 안먹어보고 시식평하는거랑 뭐가 다르죠? 음식 이름, 가계 위치만 보고 맛을 평가할 수 있어요???
@blacksoul80404 жыл бұрын
직장인이라 실시간을 못봐서 풀영상을 보고싶은데 ㅠ 팟빵라디오 말구 .. 풀영상 유툽으로 따로 좀 올려주시면 안대나요?..
@hewirisuful4 жыл бұрын
팟방에서 다운받아 듣다가 오늘이야 구독했네요 ㆍ두분의 고스톱 쇼 때부터 잘 듣고 있습니다 ㆍ여기는 홍콩입니다 ㆍ내 이름도 김성훈 이라 방송듣기가 더욱 재미있네요ㆍ
@Leelion4 жыл бұрын
둘다 훌륭함. 다만 시즌1에 구멍이었던 중전의 연기구멍이 메꿔짐
@그랑-c3v3 жыл бұрын
메꿔진건가요?별차이모르게 어색하던데
@2689joan4 жыл бұрын
영화 안하고 넷플릭스로 내놓은게 신의 한수였지.. 전찬일세대 영화인들 저런 딱딱한사고 어찌할고.
@samssoh4484 жыл бұрын
저거를 그냥 우려하는 부분도 있구나 하고 넘어가면 되는 거지 무슨 딱딱한 사고니 비난하는 게 더 웃긴듯 상대에 대한 리스펙이 없음 자기랑 의견이 다르면 그냥 반대 하기 바쁨
@김똘똘-h3j4 жыл бұрын
예전에 우리는 한국 드라마 보면서 우리끼리 즐겼는데 넷플릭스가 생기면서 해외에 진출할 기회가 생겼고, 또 우리 같은 일반인들도 질 좋은 해외 드라마를 볼 수 있게 되었는데 대체 무엇이 문제란 뜻이지? 특히 스티픈 스필버그 그 사람은 왜 그런 말을 했을까? 다른 감독들이 기회를 얻는 걸 싫어하는 것 같네.
@moosoyou4 жыл бұрын
봉준호가 넷플릭스에서 옥자를 만들었던 이유는 국내 투자자가 없어서... 당시는 이명박그네 시대..
@user-cobaltblue4 жыл бұрын
당시 블랙리스트라...투자자 없던건 팩트다. 마틴스콜세지가 한국인이고 블랙리스트임?아이리쉬맨이 왜 나오냐
@jjshin804 жыл бұрын
@@gold_mark뭔개소리야 비유할껄 비유해야지...임마야
@patrickpl58204 жыл бұрын
@@gold_mark 대가리가 비었나 마틴 스콜세이지가 한국에 사냐? 너도 참 병이다ㅋㅋㅋㅋㅋ
@난나-x7b4 жыл бұрын
박근혜 때 봉준호는 블랙리스트였음 투자자 구하기 엄청 힘들었음 실제로 블랙리스트 재판에서 이런 증언은 수없이 많았고 결국 유죄 판결이 나왔단다 아가야 박근혜가 예술계 사람들 괴롭힌 거 사실이라고 확인 다 됐다고 알겠니?
@이미희-j8y4 жыл бұрын
킹덤은 정말 재미있는데~ 시간 가는줄 몰랐슴
@bomine93004 жыл бұрын
시드니에서도 늘 빠짐없이 매불쇼 듣고있어요~ 젤 좋아하는 코너인 시네마지옥 ㅋㅋ 전찬일 평론가님이랑 라이너 유튜브 사업가님 케미 넘 좋네요~~!! 갠적으로 킹덤은 시즌 1이 너무 재미있어서 2는 좀 루즈한 감이 없지 않았어요. 뭐랄까... 시즌 3를 위한 떡밥 느낌의 시리즈?! 그래도 너무 오래 기다려서 밤에 혼자 너무 행복해하며 봤네요~~^^
@brightkim75584 жыл бұрын
Good
@flashback-74 жыл бұрын
왼쪽 아저씨는 꼰대영화인의 전형이다. 전혀 현대적 감각을 이해 못한다
@baekunni4 жыл бұрын
킹덤 다 봤죠. 더 나오기를 기다리고 있어요..꽤 재미있어요
@울드밀리엄3 жыл бұрын
내가 나이들어서 저렇게 될까 무섭다
@지구인-g9y4 жыл бұрын
재밌어서 끊지 못하고 시즌 1,2를 봄
@착한녀석4 жыл бұрын
칸 19 라이너 19의 케미는 정말!!완벽!!
@H엘사4 жыл бұрын
최욱님ㅋㅋ매의 눈ㅋㅋ
@dongjinpark65194 жыл бұрын
전찬일씨 극장에서 개봉하면 다 영화이고 스트리밍은 영화로 안 쳐주나요? ㅎㅎㅎ 그럼 옥자보다 영구와 땡칠이가 더 우수한 영화겠군요
@dynamichodeng4 жыл бұрын
넷플릭스로 간게 왜 문제일까요? 전통적인 의미에 영화 인재를 집어삼키는건 무슨 문제일까요? 전통이란 이름으로 감독과 작가들을 개차반 취급하고 방송사, 혹은 투자자 입맛대로 망친 작품들이 한두개인가요.. 우리나라 전통적인 영화산업이라고 하면 오래 된 해외 명작의 스토리나 장면들 그대로 가져와서 “한국형 OOO” 이라고 말하는게 오히려 영화 평론가 입장에서 창피하신거 아닌가요?
@73comin4 жыл бұрын
패러다임이 변하면 기존의 것을 지키고 싶어하는 사람들과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는데 익숙한 사람들은 늘 충돌하기 마련이니까요.
@manhole1052 Жыл бұрын
음악으로 치면~~~대중가요는 ..음악이아니고... 오페라만~~~음악적 품위가 있다고 생각하는거랑 같은비유~~~ 오페라도, 대중가요도, 민요도, 국악도 음악인거지
@afterdue4 жыл бұрын
비평가의 별점과 네티즌의 별점 사이의 간극이 느껴지네요. 비평은 또 하나의 창작이라 하니 존중하겠습니다. ㅎㅎ
@strikerpeak82644 жыл бұрын
비평가도 나이먹을 수록 트렌드에 민감해야하는데.. 세상을 한눈으로 보는 느낌이 드네..
@파란해골13호-j6v4 жыл бұрын
칸 19 저 양반 안 보고 말하는 거 같은데 ㅋㅋㅋ 전문가라면 대중이 좋아하는 부분도 긍정하면서 식견을 밝혀야지 강 재미 없다고 하면 어떡하냐 그렇게 말하면 오만하게 보일 뿐이야
이 코너 굉장히 좋아합니다. 라이너님 채널 항상 재밌게 보고 있고, 전찬일 평론가님은 몰랐지만 매불쇼를 통해 알게 되었네요. 두분의 캐미가 정말 좋은 것 같아요. 라이너님의 가장 큰 장점은 정확한 대중의 시선이라고 생각합니다. 한 영화를 보고 이게 별로네 라고 느꼈던 제 감정이 뭔지 하나하나 말씀해주실 때마다 사이다 들이키는 것처럼 시원해요. 여기 달린 댓글들 대부분도 라이너님 칭찬이 자자하니 제 생각과 비슷하리라 봅니다. 그래서 저는 전찬일 평론가님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영화를 우리완 다른 시각으로 해석하시는 분이라고 봐요. 최욱씨 말대로 남들이 다 칭찬할 때나 비난할 때, 반대편에 서서 한명쯤은 브레이크를 걸어줄줄도 알아야 한다고 봅니다. 영화 해운대 해석하시는 모습을 보고 전찬일 평론가님은 유튜브나 커뮤니티 매체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으신 분 같아요. 해운대같은 경우는 개봉 당시에 천만이 돌파했고, 평도 그렇게 나쁘지 않았습니다. 애초에 당시 평가가 최악이었다면 천만이 들 수가 없죠. 천만이란 숫자는 지금 최고의 영화라 평가받는 기생충도 간신히 넘겼습니다. 그러나 각종 커뮤니티나 유트브, 여러 매체에서 두들겨 맞으면서 대중들은 이 영화가 얼마나 구렸는 지 사람들이 알게 됩니다. 때문에 영화에 대해 별 생각이 없던 사람들도 평가에 평가를 거듭해 쓰레기 영화까지 오게 된거죠. 저도 처음엔 그저 그렇네 했던 평가가 라이너님의 리뷰를 보고 이건 쓰레기구나 라는 생각으로 바뀌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시간이 지나 욕먹는 케이스는 영화 7번방의 선물도 비슷한 예라고 볼 수 있네요. 당시에는 류승룡 성대모사도 하고 즐거워하던, 마지막에 슬프다고 감동적이다 했던 평가들이 현재는 장애인 비하, 관객을 속이고 강제로 울린 영화 등으로 평가받잖아요. 영화는 시대에 따라 보는 관점이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저희보다 한세대 윗분이라고 말할 수 있는 전찬일 평론가님의 시선이 때로는 답답할 때도 있지만, 매불쇼를 풍성하게 만든다고 생각해요. 제발 나가지 마세요 두분. 완전 상극이라 재밌습니다. 최광희씨 있을 땐 라이너님의 적수가 되기엔 논리가 너무 빈약해서 재미는 있지만 아쉬웠거든요. 화이팅.
@guj69734 жыл бұрын
그래서 터널이 잘됐나? ㅋㅋㅋ 전찬일 저 사람은 대중적인 시선이 아닌가?
@마무마-n2d4 жыл бұрын
터널 잘되긴했고 나름 잘만들었음ㅎㅎ 하지만 킹덤에대한 생각은 정반대임ㅎㅎ 나도 개꿀잼ㅋㅋ 스토브리그 다음으로 인생드라마였다 ㅎㅎ
@이주영-f9k1w4 жыл бұрын
터널 700만관객인데 뭐가잘안돼 좀 알아보고 글 싸질러라 알아보지도 않고 터널이 잘됐냐고 글 지껄이네
@김영규-g6e3 жыл бұрын
넷플릭스가 일종의 제작사이자 배급사이자 극장(상영관)을 합한 기업인가요?
@홀딱벗고주면춥다4 жыл бұрын
재밌다는 말만듣고 있다가 시즌2나오고 하루종일 시즌1,2 다봄... 재밌든지...
@baumbmb4 жыл бұрын
칸19-라이너19 케미 졓음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라이너의강추비추3 жыл бұрын
근데 배두나 연기 살짝 어색했던 것 같지 않나여.?..
@구하리구두리4 жыл бұрын
라이너19지금비웃고있습니다ㅋㅋㅋㅋㅋ
@박가-z1w4 жыл бұрын
안현대감역의 허준호님의.좀비화되서 등장하고 뛰어나오는장면은 한국영화및 매체 사상 역대급장면이라 생각함 .......
@hyochulpak4 жыл бұрын
너무 심하게는 하지 맙시다. 저런 분이 있어야 놀려먹기 좋아요 ㅎㅎㅎ
@부드러운카리스마-x8b4 жыл бұрын
중전이 대례복입은 상태서 지은 표정은 정말 와~~~
@baumbmb4 жыл бұрын
근데 "찬일"은 맞지만 왜 "이너"인 건뎈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CaseyTaekwondo4 жыл бұрын
시대의 흐름에 영화와 드라마의 판로가 바뀐것 뿐
@귀요미꿀꿀이3 жыл бұрын
난 터널 보다 킹덤!
@jk-lw3mz Жыл бұрын
0:07 1:31 1:55 2:38 3:24 4:49 6:40 7:19 8:00
@콩이집사-e4l4 жыл бұрын
시즌2의 1편까지는 시즌1감독이 먼저 찍어둔걸로 아는데.. ㅋ ㅋ
@wonder984 жыл бұрын
저도 시즌 1이 좋았어요. 시즌 2는 화려한 대작느낌이었음. 뭔가 있을꺼 같은 중전이 아무것도 없이 무너진 느낌이라
@하하정택4 жыл бұрын
왕좌의게임은 마지막이 망
@Euna4124 жыл бұрын
어지간하면 좀 보고 얘기하길..전찬일?평론가 맞아?
@ksyhseve4 жыл бұрын
전찬일평론가님 넘 좋아요~~
@서용주-r8q4 жыл бұрын
뭔가 라이너가 나이 먹으면 전찬일 평론가와 닮을것 같다.
@김대욱-w6k3 жыл бұрын
라이너19 ㅋㅋㅋㅋㅋㅋ 들어도 들어도 웃기냐
@꽃보다사람-j8z4 жыл бұрын
칸19님 얼굴이 술한잔 하셨나요?빨개요ㅋㅋㅋㅋ
@soribaum4 жыл бұрын
칸19 vs. 라이너 의 케미가 점점 더 완성도를 높여가는 느낌적인 느낌...ㅋㅋ
@kwondavid19862 жыл бұрын
뒷부분에 웃긴부분을 편집했네
@YG_Lee4 жыл бұрын
뭐 원래 영화평론가 평점은 믿거하는 입장이라 그러려니 합니다. 화이팅
@23dhrbdjjsndj3 жыл бұрын
두사람 대립구조가 아슬아슬해서 볼때마다 긴장됨
@귀곡자-j2l4 жыл бұрын
오..... 싱글벙글쇼?
@jasonhwang16194 жыл бұрын
이거 올리는것도 감사한데요.. 빨리 이태윤 선생님꺼 올려주세요 ㅠㅠ 특히 엔딩이었던 타샤니 "경고" 올려주세요~~
오랜만에 이거보니까 일년만에 전쌤도 라쌤도 많이 변하셨네요. 색깔은 그대로인데 지금이 훨 발전적임.
@glayji4 жыл бұрын
전 시즌2가 좋던댕
@양파뤼-e3p4 жыл бұрын
아 좀만 더 길게 이야기해도 잼있었을텐데 아쉽
@utopro4 жыл бұрын
라이너의 의견에 동의. 하나만 빼고. 킹덤 2가 훨씬 재밌던데. 1은 2로 달려가기 위한 배경설명이 많을 수 밖에 없었으니.
@마무마-n2d4 жыл бұрын
재미는 2가더 있었지만 연출이 바뀌어서 그런가 아쉬운점은 분명 더 많았음
@전우진-u1o4 жыл бұрын
이번 편은 칸19님의 의견에 동의할 수 없습니다
@johndoe-cc1yi4 жыл бұрын
전찬일은 그냥 변화가 불편한거임 ㅋㅋㅋ
@ssjjpark46604 жыл бұрын
영화는.... 영화관에서 개봉해야 영화다...?
@planb_director3 жыл бұрын
시대감각 없는 전찬일...님.. 1년 후에는 전혀 다른 생각을 하실 듯..
@randylee34764 жыл бұрын
저런 관점도 있을수 있지뭐 ㅋㅋ
@illijil4 жыл бұрын
진짜 앵간하면 존중하겠는데 무슨 개소리를 저렇게 하는지 ㅋㅋㅋㅋ 듣다보니 헛웃음이 절로나네
@던컨21214 жыл бұрын
정말 꼰대평론이네요. 시대가 바뀌고 플랫폼이 바뀌는데 20년전에 머물러있는 평론가.
@유키짱-w5q Жыл бұрын
징짜 꼰대의 정석이다 저냥반 ㅋㅋㅋㅋㅋㅋ
@kennylee99594 жыл бұрын
전찬일씨가 아직 꼰머의 생각을 고수 하고 있네요. 기존의 영화제작-영화배급-극장상영 이러한 프로세스는 스트리밍 방식의 배급으로 바뀔 수 밖에 없는 시대의 흐름입니다. 코로나19로 인해 그 흐름은 더욱 더 빨라질 것이구요.
@크크선당2 жыл бұрын
평론가 개나소나 다 하는구나
@edward98764 жыл бұрын
돈으로 집어삼키는 만행은 CJ랑 롯데가 가장 잘하던 일 아닌가요 ㅋ극장영화들 토악질나오게 쓰레기처럼 만든게 누구죠?? 유명배우들 감독들 대리고 몇백억짜리 쓰레기영화 만들어놓고 자기네 회사 영화랍시고 스크린독과점해서 울며겨자먹기로 보게하면 당연히 쳐 망해야하는거 아닌가요? 관객들은 개호구인가요??? 넷플릭스가 인기인 이유는 극장영화산업이 충분히 경쟁력이 없어서인거 아닙니까? 넷플릭스가 자본을 쓰면 왜 나쁘죠? 최소한 넷플릭스는 창작자가 하고싶은데로 하게끔 지원해줘요 잘된영화 플롯들 다 배껴내서 공장에서 제품찍어내듯이 안만든단말이에요 최소한 내가 돈 낸 값은 한다는거죠ㅋㅋㅋㅋㅋ 아니 스필버그는 애플티비에서 일하는건 아시고 떠드시는거에요??????????
@user-cobaltblue4 жыл бұрын
@dreambrush 대공감ㅋㅋjk는 좋은작품들 몰래베끼기 전문임
@gkdnxk-wi3gt4 жыл бұрын
확실히 시즌1이 더 재밌었음 배두나 연기 궁금했는데.. 실망
@Jay-fj6wd4 жыл бұрын
작품을 보는 기준은 가지각색이니까 그렇다쳐도, 영화가 성공했다고 다음에 영화안찍고 넷플릭스가서 드라마찍으면 뒤쳐지는 건가요?? 색안경을 안쓰고 들을려구 해도 왜 자꾸 꼰대아저씨가 시대에 뒤쳐진 얘기하는 것 같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