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철수 형님의 기타앰프 감전사고 분석

  Рет қаралды 145,067

Engineer PAPA

Engineer PAPA

Күн бұрын

Пікірлер: 220
@biy4692
@biy4692 2 жыл бұрын
사고 당시에 현장에서 직관한 1인입니다. 훗날 제가 음향을 전공했는데 수업 내용 중에 그라운드와 전기 관련 강의 들을 때마다 배철수 형님이 계속 생각났었습니다. 영상에는 안 나오는데 쓰러지시면서 머리가 바닥에 세게 부딪히면서 피가 바닥에 흥건했었습니다.(그래서 무사했던걸까?) 구독자님들 DIY하시고 전기 사용하는 악기와 장비 다루실 때 조심들 하십시오.
@bigbear1845
@bigbear1845 2 жыл бұрын
와 디게 큰일이었네요
@warew_of_waffle
@warew_of_waffle 2 жыл бұрын
잡으면서 손이 먼저 터져서 생존하셨다고....
@dalbit321
@dalbit321 2 жыл бұрын
저는 잘 몰랐는데 생존하신게 기적이실 정도로 큰 사고였군요..
@user-nf1xo2ey2rdohyungisdump
@user-nf1xo2ey2rdohyungisdump 2 жыл бұрын
저때 감전사고면 사망인데 하늘이 살리셨네
@user_NEOB
@user_NEOB 2 жыл бұрын
분석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당시 젊음의 행진 생방으로 봤던 1인 입니다. 당시에는 쓰러지시는 순간 과감한 연기를 하시는줄 았았는데..아무튼 천운이었네요. 지금도 저녁6시 되면 배철수의 음악캠프를 들으며 퇴근하고 있죠^^
@거울봤냐
@거울봤냐 2 жыл бұрын
저때 유명세 타고 싶어서 자작극을 벌였다는 얘기들도 있었죠 ~ ㅎ 그런 시대였었죠 ~
@ppiati958
@ppiati958 2 жыл бұрын
과감한 연기....ㅎㅎㅎㅎㅎㅎ
@jjj8542
@jjj8542 2 жыл бұрын
사견인데욤. 일단 단서 두가지가 보이네요. 기사문에 "....500v....KBS 장비에는 이상이 없었다" 이거 전형적인 책임회피 기사멘트로 보입니다. ㅋㅋㅋ 두번째는 화면 잘 보시면 감전만 일어난게 아니라 송출화면 자체가 찌그러졌습니다. 앰프 하나의 결함으로 설명하기에는 사고가 너무 큰 것 같네요. 악기와 음향시스템간의 전원이 달라서 이 전원간 그라운드가 일치하지 않아 전위차가 발생한 듯. 악기를 잡은 상태에서 마이크나 마이크 스탠드를 접촉하는 순간 사고가 일어난 것 아닐까 싶네요. 요즘은 조명, 음향, 악기 간 그라운드 레벨 체크하는게 상식이지만 당시에는 건물 올릴 때 접지시공을 제대로 안하던 시절이었습니다. 건물접지 단자 따라가보면 그냥 벽에서 사라지는 경우가 부지기수였다고 하네요. 현장 엔지니어들도 문제점을 잘 몰랐을 것 같구요. 또, KBS 건물도 전원설비 시공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았을 듯. 조금 더 뇌피셜을 돌려보면 앰프 전원을 꽂으려는데 남는 단자가 없는 상황. 헉 어떻게 하지? 실방 5분전인데? 어?, 저 기둥 옆에 튀어나와 있는 110V 꽂는 전원콘센트 발견! 멀티탭 연결해서 꽂아버립니다. 그런데 그 전원은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일반전원이었고, 방송용 전원과는 달랐던 것. 사실 스튜디오에 있어서는 안되는 전원콘센트인데 당시 시대상황을 생각하면 있을 수 있는 상황. 평소에도 급할 때 별문제 없이 사용하기는 했을 겁니다. 당시 앰프에도 뭔가 문제가 있을 것 같기도 하구요. 앰프는 펜더 아니었을 공산이 큽니다. 송골매 같은 인기그룹도 쟈규어나 다트앰프 쓰던 시절이었어요. 물론 진공관앰프이고 성능도 나쁘지 않았구요. @바네사메이 곡 연주 좀 해주세요!!!!
@김광석자료방
@김광석자료방 2 жыл бұрын
아니 이걸 분석하신다고? ㅋㅋㅋㅋㅋㅋㅋ 아닠ㅋㅋㅋㅋㅋㅋㅋㅋ 이런거 많이 해주세요!!!
@AGKB624
@AGKB624 2 жыл бұрын
지금 방송녹화 현장 시스템을 책임져야하는 현실도 관리감독이 부실하다. 사회 전반적 인프라 인식 부재(안전등)는 그 국가의 수준. 진정한 선진국과 그외 국가의 차이. 화이트컬러만 세부/분업화
@heroturbo76
@heroturbo76 Жыл бұрын
문법의 부실함부터 해결하심이...
@JoonseokKim1
@JoonseokKim1 2 жыл бұрын
이 당시 젊음의 행진이 너무나 유명한 프로그램이라 국민 대부분이 봤을 겁니다. 저도 생생하게 기억 납니다.
@IsaccNewten
@IsaccNewten 2 жыл бұрын
어우 마지막 설명 들으니 진짜 천운 이었네요.. 안전 장치가 잘되어 있어서 잘 쓰고 있지만 항상 유의 해야겠네요
@XtraDiP
@XtraDiP 2 жыл бұрын
공파님 접지의 중요성 설명을 해주신것 좋네요! 저도 개인적으로 접지는 심하게 집착하고 중요시 여기는 사람중하나입니다. 한가지 의견을 덧붙여보자면 3상전원을 이용함으로 인하여 기타앰프와 마이크쪽 전위차로 인하여 감전된게 아닌가 싶습니다. (경험상 정말 많이보는케이스라서) 한때 스테이지크루로 일을 하면서 조명, 음향, 디스플레이(전광판) 등등 다양하게 만져보았는데요. 방송국이나 발전차등으로 스테이지를 구성하게되면 여러 전류가 크고 하다보니 3상전기를 나눠서 쓰게 됩니다. 저는 누설전류나 이런차로 크고 작은 감전경험이 있는데요 (매번 무섭습니다 무대의 철제로 된 무언가를 만지기가 흑) 실제로 무대장비 중국제 미인증장비쓰는곳도 많고 전에 78V나오는곳도 경험해본적이 있네요. 관련학과나 업종에서 일하시는분들은 그래서 많이들하는용어로 "무대전기"라고 언급하는게 바로 요거죠. 하지만 현실은 열악하기에 오디오 하우스쪽 (FOH) 과 무대자체(앰프가연결된)의 상이 다른경우가 종종있습니다. 실제로 감전이 많이되고 종종 요런것을 놓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를 간단히 해결하는 방법이 무선마이크를 쓰는방법도 있긴하죠 ㅎ 만약에 건반이 들어온다면 D.I를 통해서 유선으로 연결할텐데 결국 또 D.I만지면 감전되는 기묘한 일이...생기긴하죠 요 3상전기 그리고 위상차로 인해서 한회로내의서 0V와 다른회로의 0V가 회로간 위상차이로 인한 전압이 생기는 내용도 한번 다루어주시면 요 채널을 보시는 구독자분들도 재미있게 보실것 같습니다.
@XtraDiP
@XtraDiP 2 жыл бұрын
+ 중성선 방식과 접지에대한내용도 같이 다뤄주시면 좋을것 같아요!
@rsjazz
@rsjazz 2 жыл бұрын
이 내용이 맞습니다. 3상전원인데, 무대쪽과 FOH 쪽이 서로 다른 상을 혼용해서 벌이진 일입니다. 당연히 우리 선배 방송국 관계자들도 접지는 빠삭했습니다. 그때 당시에두요. 접지 를 오히려 철저히 했으나 상의 혼용으로 벌어진 일이라고 2년마다 갱신해야하는 무대 안전 교육에도 항상 시범 케이스로 나오는 내용 본적이 있는 것 같네요
@vjvmfalsxm
@vjvmfalsxm 2 жыл бұрын
"D.I를 만지면 감전되는 기묘한 일" 진짜 기묘하네요 ㅋㅋ
@tae-hoonkim1292
@tae-hoonkim1292 2 жыл бұрын
안전은 지나처도 좋습니다. 학교 방송실에서도 접지 개념없는 사람들이 만지작 거리다 지금도 감전사고 심심찮게 일어나고 있죠. 예전에 지방MBC 야외공연에서도 접지 문제때문이었는지, 방청객들이 감전되는 큰 사고가 날뻔한적이 있었어요.
@RogerJSkim
@RogerJSkim 2 жыл бұрын
당시 방송을 직접 본 사람입니다. 미스테리였는데 이런 거였군요. 잘 봤습니다.
@wooden757
@wooden757 2 жыл бұрын
직업상 기타를 많이 치는데 이런 컨텐츠 너무너무 재미있고 유익합니다 기타리스트에게 필요한 전기전자 지식 세미나같은거 열면 바로갈것같습니다 ㅋㅋ.. 화이팅입니다!
@nclwat
@nclwat 2 жыл бұрын
음향장비 전원이랑 악기들 전원이랑 다른곳을 사용해서 그랬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음향장비는 발전차에 연결하고 악기앰프전기는 방송국내부 벽콘센트에 연결했다던가하는 식으로 말이죠. 거기에다 접지도 안되어 있는 상태였으면 감전사고 날 수 있습니다. 요즘에는(적어도 10년이상 전부터는) 콘서트든 동네 이벤트 축제든 악기전원은 99% 음향장비 전원부에서 나가므로 특수한 경우 아니면 사고날일 없습니다.
@ThomasKim
@ThomasKim 2 жыл бұрын
중국에서 만든 듯한 놀이기구나 오락기 등은 전원단에 절연트랜스(1:1 권선비) 를 사용하기도 하더군요. 이렇게 하면 대지와의 연결이 없어서 두 선을 동시에 만지지 않는 이상 감전되지 않죠.
@무하-e1s
@무하-e1s 2 жыл бұрын
오호 그런방법도 있군요. 폐회로가 구성되지 않으니 지락사고도 없겠네요
@ThomasKim
@ThomasKim 2 жыл бұрын
@@무하-e1s 2차측이 비접지계통이 되어서 1선지락시에도 정상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됩니다.
@co-musician640
@co-musician640 2 жыл бұрын
아침에 일어나서 세번 점심먹고 세번 저녁먹고 세번 그라운드신의 가호를 빌어야 하는 전기관련 작업…
@enpark7
@enpark7 2 жыл бұрын
저 방송을 14인치 삼성이코노 흑백tv로 실시간으로 봤던 사람입니다. 당시 젊음의 행진 진행자였던 송승환 왕영은 두사람의 놀라서 허둥대던 목소리도 기억이 나네요..
@dkjdflakjdlfkjklajldfk
@dkjdflakjdlfkjklajldfk 2 жыл бұрын
둔촌아파트 80년대 입주해서 살때 국딩때.. 당시 아파트 110v 였는데... 인두기 전선 + - 짤라서 플러그 꼽고 두가닥을 아부지 시계 뒷판에 대는순간... 아이언맨에서 보는 펄스 파장이 눈앞에 뿌지지직 퍼렇게 생성되며 온아파트 전기가 다 나갔떤 일이 기억나네요. 덕분에 ㅋㅋ 아파트 냉장고 다 녹아서 .. 걸릴까봐 두근거렸떤 추억... 이제 고백합니다. 401동 여러분 제가 범인이었어요. ㅋㅋ
@박허리케인-z7y
@박허리케인-z7y Жыл бұрын
이런 분들 내스타일 ㅋㅋㅋ 👍 👍 👍
@김성문-i8d
@김성문-i8d Жыл бұрын
잡았다 이놈!
@choiiron8672
@choiiron8672 3 ай бұрын
평생 사죄하며 살아라
@normankim8730
@normankim8730 2 жыл бұрын
9:05 절연 장갑쓰시지.... 사모님 영상보고 기절하시겠어요...
@이동선-c2y
@이동선-c2y 2 жыл бұрын
어우... 감전된 영상에서 으드드듴? 하는 소리 들리는대 무섭네요...
@HeeminYT
@HeeminYT 2 жыл бұрын
전 60Hz소리가 충격이네요..
@nrg8929
@nrg8929 2 жыл бұрын
저도 보다가 깜짝놀란 기억이 있네요
@mrcaptdyce
@mrcaptdyce 2 жыл бұрын
동영상 늘 잘 보고 있습니다. 보다 보니 전제가 잘못 되었을 수도 있겠어요. 저는 저 영상을 직접 시청했어요. 자막보니 83년도이고 제가 고2때의 일이었네요. 당시 우리나라는 220V가 아닌 110V 일본 플러그를 사용했어요. 우리나라는 2005년(/* 수정합니다. 1973년-1995년까지 작업했네요*/) 220V 승압작업을 완료했네요. 당시에는 접지라는 개념자체가 흐릿했던것 같아요. 접지없는 US2P타입의 11자 플러그라서 당연히 따로 접지단자가 없었고요, 벽 콘센트도 접지가 없었고요. 당연히 방송국정도면 1종접지를 필요로 했을텐데, 당시에는 그런게 없지 않았을까 싶네요. 글쓰면서 저도 고개가 갸웃해지긴 합니다. 음향장비나 반드시 접지가 필요한 장비들이 있었을텐데, 당시 세탁기나 당시의 턴테이블은 접지 케이블이 따로 있는것도 보긴 했는데, 세탁기는 수도꼭지에 접지를 하라고 되어 있기도 했고요. 딴지 거는것 아니고요. 단지 당시 접지는 일반적이지 않았고 방송국이라는 곳에서는 접지를 따로 해결했는지 몰라도 일반가정에서는 플러그나 콘센트가 접지를 전혀 고려하지 않은 11형 US 플러그를 썼다는 것. 그 말씀 드릴려고 주저리주저리 적어 봤습니다. 새 해 복 많이 받으세요~ /* 제가 220V 완료시점의 착각으로 제 전제가 잘못 되었을 수 있네요. 110V에서 220V 로의 과정 기간내에 있었던 일일 수 있네요. 정부의 지침을 일반 가정이 아닌 방송국이라는 공적인 기관에서는 먼저 승압작업을 실시했을 확률도 높아 보입니다. */
@ysillkim4
@ysillkim4 2 жыл бұрын
승압은 90년 대에 이미 시행되었습니다. 94년에 산 컴퓨터가 당시 100/220V 겸용이었고, 90년대 말에는 프리볼트라고 해서 스위치 조작을 하지 않아도 되는 제품이 나왔던 기억이 나네요.
@mrcaptdyce
@mrcaptdyce 2 жыл бұрын
@@ysillkim4 제가 완료시점을 착각하고 글을 썼네요. 다시 읽어보니 제 실수 입니다. 댓글내용 수정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새 해 복 많이 받으세요.
@mrcaptdyce
@mrcaptdyce 2 жыл бұрын
@@mountainhardwearr 제가 완료시점을 착각하고 글을 썼네요. 다시 읽어보니 제 실수 입니다. 댓글 내용 수정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새 해 복 많이 받으세요.
@user_comment19
@user_comment19 2 жыл бұрын
지금 생각해보면 웃긴것이 수도꼭지 접지가 기본이던 시절....
@hanexp21
@hanexp21 2 жыл бұрын
아. 그리고 당시 피디가 당신 생명의 은인이리고 지금도 자랑한답니다. 바로 뛰어 올라와서 마이크를 발로 차면서 더 큰 사고를 피할수 있었다 하네요. ^^
@M16-l9o
@M16-l9o 2 жыл бұрын
계통간 접지는 되어있는데 그라운드 접지가 안된 상태에서 용량성 충전전류가 마이크를 잡는 순간 전류가 인체를 통해 빠져나갈수도 있을거 같아요
@bs-ku72
@bs-ku72 2 жыл бұрын
저 방송 어릴때 실제로 봤는데 처음에는 장난인줄 알았어요..배철수 아저씨 이후에 수염 기르셨죠..감전 당시 흉터때문이라고 ..
@얼음맥주-k1g
@얼음맥주-k1g 2 жыл бұрын
아 이 썸네일을 보고 어떻게 안 들어 올 수가 있나. 영상 보기 전 부터 잼있어ㅎㅎ
@hanexp21
@hanexp21 2 жыл бұрын
당시 곡목이 그대는 나는 이었습니다. 제 최애곡중 하나였는데. 그 트라우마 때문에 그 곡을 부르지 않았다고 하더군요. 얼마전 잠실 콘서트. 열망.에서 본인이 직접 밝히셨습니다~
@dwpckr
@dwpckr 2 жыл бұрын
FA현장에서 일하다보니 접지안된 환경을 자주 접하는데 그즉시 바로 전장업체 콜합니다. 사람들이 너무 쉽게 생각하는거 같더군요. 전기작업에서는 기본중에 기본인데 말이죠..
@kyzer8525
@kyzer8525 2 жыл бұрын
저도 기타치며 감전되본 경험이 많은데., 기본적으로 홍대 공연장들에서 기타치며 코러스할때 마이크랑 입술 사이에서 찌릿찌릿 합니다. 또 비오는날 야외 무대에서 비맞으며 기타쳐도 괜찮았는데 무릎 꿇는순간 감전이 찌릿찌릿.,. 해서 바로 벌떡 일어난 경험도 있고, 오바해서 호수에 빠졌다가 젖은채로 케이블 만져서 감전; 이래저래 많이 당해봤지만 다행히도 배철수형님처럼 기절할정도는 아니었네요 그런 경험들이 그때그때 짜릿한 경험으로 넘어갔는데 이영상을 보니 다행히도 살았다는 생각이 드네요 &^^;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박용철-x1d
@박용철-x1d 2 жыл бұрын
제가 11살때 생방송으로 봤던 기억이 아직도 납니다.
@HeeminYT
@HeeminYT 2 жыл бұрын
?와...11살이면 ...
@bear6331
@bear6331 Жыл бұрын
이런 교수님 수업이라면 너무 재미있을듯... :) 문외한이 푹 빠져서 한수 배우고 갑니다~ :)
@peppermintlee5168
@peppermintlee5168 2 жыл бұрын
저도 펜더 앰프라 예상 됩니다. 올드 트윈리버브 ( 90년도이전 )4대를 만져본적이 있었는데 4대 전부 전기가 올랐습니다;;;;; 그 이후 팬더 트라우마가 생겨서 스위치 켤때 나무젓가락같은걸로 ON 합니다. 최근 년식이야 뭐 상관은 없는듯 합니다.
@peachblackstudio
@peachblackstudio 2 жыл бұрын
접지 안된 집에서 살때 마이킹 녹음한답시고 기타잡고 SM57 위치조정하는데 손이 부르륵 하면서 강한 통증이..ㅋㅋㅋㅋ 그때 손끝으로 마이크 건드린게 아니고 마이크를 손으로 쥐었으면 혼자사는데 위험했을지도 모르겠다 싶기도 하네요. 사용한 앰프는 펜더 올드 베이스맨이었고....ㅋㅋ
@simsion03
@simsion03 2 жыл бұрын
이야기 듣는데 3년전에 접지가 안되는 집에서 앰프 소리가 이상해서 콘센트 뜯어서 확인해보다가 감전돼서 아버지한테 등짝 맞았던 기억이 납니다ㅋㅌㅋ
@Chris1o_o1
@Chris1o_o1 2 жыл бұрын
접지공사 핗수
@with-Sinbad
@with-Sinbad Жыл бұрын
접지떼고 전압계로 전압을 측정하면 계측기의 내부임피던스에 연동되서 Stray Voltage 즉 허전압이 측정됩니다. 그래서 인체를 모델링한 더미저항을 연결하고 저항에 흐르는 누설전류를 재도록 안전규격에서 가이드하고 있어요^^ 감전피해는 전압보다 전류가 더 중요하기때문이죠😊
@user-degaza
@user-degaza 2 жыл бұрын
배철수 아저씨가 방송화면이 끔찍해서 모든 영상들을 지우려고 엄청 애썼다고 합니다.
@Chris1o_o1
@Chris1o_o1 2 жыл бұрын
접지만 잘 해도 감전 화재방지는 물롬 차단기 작동 원할에다가 장비에 잡음이며 잡소리 잡다한 노이즈나 트러블 거의 다 사라집니다. 그러니까 엘전.. 모니터 어뎁터 접지되는거 언제팔건지..
@chrisLee-go1ed
@chrisLee-go1ed 2 жыл бұрын
악기 문외한인 전기 기사 시험전인 아재입니다. 접지중요성이 10톤으로 느껴집니다.
@영일만검푸른파도
@영일만검푸른파도 2 жыл бұрын
유능 하십니다 추천입니다
@coldtruth3944
@coldtruth3944 2 ай бұрын
십년도 전에 나도 무대에서 똑같은 경험을 한 사람으로 남 이야기 같지 않네요. 미국 사는데 집이 옛날 집이라 앰프의 접지플러그를 때어서 사용하던 앰프로 공연을 하다가 마이크 잡는 순간 똑같이 쓰러졌는데 다행이도 눈치빠른 옆에 있던 사람이 앰프를 꺼서 살아남. 안 그랬으면 어떻게 됐을지 상상만 해도 아찔
@BLACKSTAR00001
@BLACKSTAR00001 2 жыл бұрын
저역시 당시 생방으로 보고 있었습니다..
@lovmemory
@lovmemory 2 жыл бұрын
그때 PD판단력 오지는게 마이크 바로 발 차버림
@SEO-SKY
@SEO-SKY 2 жыл бұрын
저 사고는 접지 문제죠. 무대의 전원과 믹서가 있는 FOH의 전원간 접지 문제로 저 난리가 난거죠...
@Fahrenheit_1
@Fahrenheit_1 2 жыл бұрын
방송 공연장의 특성상 3상전원의 혼용과 전기기구의 결함(접지 미비, 전원의 누전 등)으로 인한 전위차로 발생한 사고라고 생각됩니다 (당시도 그렇지만 지금도 FM으로 설비를 한다면 조명, 음향, 기타기구 같이 라인을 나누어 3상을 분리하여 설비하도록 하는걸 권장했습니다 이는 행여나 누전이 발생하더라도 상 전원의 전위차로 인하여 더 큰 사고를 막기위한것이기도 했고 계통을 분리하여 유지보수와 사고발생시 원활한 복구및 관리를 위함이기도 합니다) 당시 110v 전원의 경우 대부분 접지가 제대로 안되던 상태로 사용했었고 80~90년대의 경우 비슷한 사고가 워낙 많이 발생했었습니다, 앰프의 결함 (전원이 하우징 또는 다른 라인으로 누전)과 접지 미비(특히 당시 방송, 공연쪽에서 두드러지는데 이는 잦은 이설이 주 원인입니다, 당시에는 접지 자체를 별도로 했어야하는데도 접지 라인이 충분이 구성되어있지 않아 멀리서 끌어와야하는경우도 많았습니다 그러다보니 접지를 잘 안하던 경향이 있었죠) 로 발생한 사고라고 추측되어집니다, 220V가 보편화 되어지고 관련 법 규정들의 강화로 인하여 콘센트 및 전원 플러그에 접지가 되도록 하면서 많이 사라진 문제이지만 2000년대 초반까지만해도 접지 미비로 인한 전기사고가 워낙 많았었습니다 물론 지금도 간간히 나오구요 그러니까 전기기구는 꼭 접지를 잘 하고 사용합시다 안그러면 다음날을 못볼수도 있거든요....
@yy_guitar7510
@yy_guitar7510 2 жыл бұрын
64년 디럭스 리버브 블랙페이스 펜더 앰프 집에서 연결하고 기타 잡는 순간 전기 와서 엄청 깜짝 놀랐습니다... 그 이후 작업실에서만 사용하는데 신발을 신고 있어서 그런지 괜찮더군요!
@TimeMaster33
@TimeMaster33 2 жыл бұрын
당시 저 장면을 생방으로 보다가 놀랐던 기억이 나네요. 처음에는 보면서도 뭔가 이해가 안되서 멍했다는...
@jayj7835
@jayj7835 2 жыл бұрын
당시 직접 실방으로 본 기억이 납니다.
@Jason_WS
@Jason_WS 2 жыл бұрын
diy 기타 조립해서 만드는 키트도 있던데 컨텐츠로 어떠신가요?? ㅋㅋㅋ 중국 직구면 15만원정도 하나봐요! 저는 만들 손재주가 없어서 한번 던져 봅니다ㅜㅠ
@dokdorian
@dokdorian 2 жыл бұрын
저 기타가 70년대 후반 80년대 초반에 생산되던 Gibson Fire Brand 시리즈 중 The SG 모델입니다. 배철수님이 저 사건 이후로 브릿지 그라운드 안해도 되는 EMG 픽업으로 교체하신것 같더라구요. 쟈니윤쇼 백밴드도 하셨었는데 그때 보면 픽업이 다릅니다 ㅎㅎ 최근에 투어 연주하실때도 같은 픽업셋팅인거같더라구요. 저도 79년산 The SG 가 있었는데 월넛 바디, 넥에, 에보니지판으로 엄청 고급사양이었고 소리 진짜 좋았던 기억이었습니다. 앨범도 한장 녹음했고 방송도 하고 클럽공연때 많이 썼었지요 ㅎㅎ
@cjdms8
@cjdms8 2 жыл бұрын
어휴 무섭네요.. 전기는 언제나 조심해서 써야겠습니다
@kjh-r5h
@kjh-r5h 2 жыл бұрын
무의식상태에서 감전 경험을 해본 사람이라면 정말 전기 신중하게 만지게 되죠.
@musicmantoto3770
@musicmantoto3770 2 жыл бұрын
당시에 생방으로 봤던 기억이 나네요 솔직히 끔찍했던 방송이라 다시 보기가.... 생사를 넘나 들었던 배철수씨는 영상 다시 보기가 가능 하실런지....
@Victory-g8q
@Victory-g8q 2 жыл бұрын
뭔말인지 모르지만 끝까지봤다. ㅋㅋ
@kyuhyong
@kyuhyong 8 ай бұрын
Green Day - American Idiot 뮤비를 보면 일렉기타를 치는 도중에 초록 물감이 섞인 물을 끼얹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러면 합선이나 감전되는거 아닌가요? 어떻게 연출했는지 문득 궁금하네요.
@runa0083
@runa0083 2 жыл бұрын
전기하시는 분들은 모두 땅신님에게 고사 지내얄듯 합니다. ㅎㅎㅎ 안전이 우선입니다.
@Ugly_KKoreano
@Ugly_KKoreano 2 жыл бұрын
회사에서 진짜 어이없던적이 있던게 제어반이 금속제이고 접지 잘되어 있는데 거기 기댄 상태로 옆에있는 PC제어반(접지X)건들였는데 순간 감전나서 육두문자 내뱉으면서 테스터 찍었더니 110v 찍혀서 진짜 식겁했던기억이 있네요.
@fridaytvtv9290
@fridaytvtv9290 2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을 보고 실제영상이 궁금해서 찾아보는데 분석한 영상이 2일 밖에 안되었음에도 바로 링크 걸렸네요...
@한솔-q6t
@한솔-q6t 2 жыл бұрын
저는 베이스 치는 전기기사 입니다. 제 생각에는 97V에 감전되신것 같습니다. 그 당시에 신인(?)이셨고 생방송 무대이다 보니 긴장하셔서 그랬던것 같네요. 회사에서도 97V에 감전 되신분은 한달 정도 가슴통증을 호소하시 더군요. 물론 공장의 기계에 접지선이 빠져서 그랬습니다.
@jeungwookbyun676
@jeungwookbyun676 2 жыл бұрын
너무 전문적으로 저같은 문과 낙제생은 이해가 힘드네요. 그냥 감전될 상황이라 감전되었다 그리고 발로 차서 철수 형님을 구하신 PD님이 대단하심.
@stern121
@stern121 2 жыл бұрын
전기는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이지만....제대로 이해하지도 못하면서 열심히 들었네요.ㅋㅋㅋ 전기 너무 무서워서 가까이 가지 말아야 겠습니다.
@hyungjinsung
@hyungjinsung Жыл бұрын
83년 고1 때인데 저 장면은 아직도 생생하네요. 저 일 이후 송골매는 해체되고 보컬맡으셨던 분은 솔로 나섰는데 생각 만큼 안되고 결국 배철수님만 주욱 지금까지 ….
@하용서-q3e
@하용서-q3e 14 күн бұрын
마샬9100(5881)앰프만가지고 있습니다 여기에맞는 스피커를 구하고싶은데 어떤것을 구하면좋은가요? 새해복많이받으세요
@a_nova
@a_nova 2 жыл бұрын
접지가 얼마나 중요한지, 분명 내 몸은 직접 땅하고 접하지 않는데도 왜 감전이 일어나는지 새로 알게 되었네요.
@남진우-q6j
@남진우-q6j 2 жыл бұрын
아아아~~~ 국민학교 3학년때.... 저도 기억나네요
@노일영-h1v
@노일영-h1v 2 жыл бұрын
미스테리 극장인가, 거기서 마이크 감전 사고 얘기가 나오더군요.. 밤무대 가수여서 마이크만 잡은걸로 추측합니다. 뭐 상세한 배경 설명을 없는, 그쪽엔 무지한 가수분의 설명이라 어떤 경우였는지는 불확실합니만
@눈총
@눈총 2 жыл бұрын
모자이크하신거보니 결국 노딱드셨군요 ㅜ
@mincheolp4240
@mincheolp4240 2 жыл бұрын
복권 트랜스와 단권 트랜스가 있는데... 복권에서 AC전원 입력쪽을 '핫' 그 후를 '콜드'라 하는데... 기타 엠프와 보컬 엠프를 단권으로 만들고(핫 과 콜드가 분리가 안됨) 어찌저찌 잘못하여 기타 접지선과 마이크 접지선의 전위차에 의해 감전이 된 게 아닌가 생각해 봅니다.
@gogogogoogh
@gogogogoogh 2 жыл бұрын
저장면 방송에서 직접 봤습니다. 스러지자 마자 사람들 몰려와서 끌어내고 화면이 평소와 다르게 바로 공고를 내보내더군요.
@bulgogi2002
@bulgogi2002 2 жыл бұрын
파파님 목소리가 코막힌 느낌..? 몸 괜찮으시길 바래요!
@뽀로로-t6v
@뽀로로-t6v 2 жыл бұрын
응악소리에 맞춰서 불빛이 움직이는 컬러박스 만드는 방법이나 구매 방법 알려주세요 ~~~~~~~~~~~~~~~~~~~~~~~~~~~~~~~~~~~~~~~~~~~~~~~~~~~~~~~~~~~~~~~~~~~~~~~~
@bobkim5002
@bobkim5002 2 жыл бұрын
마이크를 잡는순간 감전되는거보니 접기가 안된 기타와 마이크가 원인이였던거 같네요 무선 마이크를 쓰면 괜찮지만 ...
@까다로운철이
@까다로운철이 2 жыл бұрын
잼있었습니다.
@CCXR1166
@CCXR1166 3 ай бұрын
방송에서 나왔는데 엠프에서 접지를 안해서 감전된거라고 하네요
@황준영-e1r
@황준영-e1r 2 жыл бұрын
저때 아마.. 우리나라도 110V 사용 중 이었던 것 같은데 말이죠 ㅎㅎ 집 한구석에 있던 도란스가 생각나서요 ^^;;
@Chris1o_o1
@Chris1o_o1 2 жыл бұрын
220v승압하고도 당분간 접지 시공이 잘 없다가 요즘은 무조건 의무화 되었죠
@황준영-e1r
@황준영-e1r 2 жыл бұрын
@@Chris1o_o1 ㅋ 그것도 최근에나 접지 잘해 놓는 것 같습니다~ 제가 천주교 신자인데 오래된 성당가서 공연이나 행사 하려면 전기 땜에 애먹는 적이 많이 생기더군요 ㅎㅎ
@MsRalph386
@MsRalph386 2 жыл бұрын
현장 영상은 모자이크 처리하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80년대 아마츄어무선을 해서 접지의 중요성은 백번 강조해도 모자라지 않죠. 허츠키트 2키로와트 리니어앰프도 사용했으니.. 86년도 경주 도투락월드에서 행사중 감전된 경험이 있죠.. 장비설치시 제일 먼저 하는게 땅에 접지봉 박고 시작합니다..ㅎㅎ
@svf7241
@svf7241 2 жыл бұрын
불편러 왔노
@망고랑곰총각
@망고랑곰총각 2 жыл бұрын
찾아보면 모자이크 없는것도 쉽게 찾아지는데 거기 댓글 다 달았어요??
@user-uiefnkkink8822
@user-uiefnkkink8822 2 жыл бұрын
지는 쳐보고 남들 못보게 모자이크 하라는 꼬라지 봐라ㅋㅋㅋㅋㅋㅋ
@JinhyunChung
@JinhyunChung 2 жыл бұрын
저는 그 장면을 직접 봤지요. 배철수씨가 감전되고 약간의 비명이 있었지만 '젊음의 행진' 프로의 특성상 몸개그라고 생각해 사람들이 웃었고 잠시 정적이 흐른뒤 조용해지고 당시 MC였던 송승환씨가 나오면서 팔을 휘저으며 중지하라고 했습니다. 그리고 갑자기 방송이 중단되고 화면 조정 그림이었나? 기술적 문제로 방송이 중지되었다고 했나 아무튼 화면이 정지 되었습니다.
@slashzakkwylde
@slashzakkwylde 2 жыл бұрын
' 접지 ' 접지는 전기회로 또는 전기 장비의 한 부분을 도체를 이용하여 땅(ground)에 연결하는 것을 뜻한다. 접지의 목적은 번개, 갑작스런 고전압 신호, 의도되지 않은 합선 (특히 고전압 도체와의 합선), 전기 장비와 신체의 접촉 등으로 생기는 전기 충격 및 화재 등으로부터 기기와 인체를 보호하려는 것 충분히 일반인들에게도 일어날수있는 안전사고 !! 밴드활동 및 밴드취미활동을 하시는분들은 전문 음향기사분들께 밴드실 내부구조 음향기기 자리배치 및 설계에 대해서 꼭 ! 기초적인 상식을 물어봐주세요 ! 음향 전문가분들은 평소 무대 뒤 혹은 무대 밖에 어두캄캄한 곳에서 전기만지는거 좋아하시는 스피커맨 분들이심댱 일렉기타 배우시는 분들께서는 감전사고 꼭 유의하세효 ~!! 유선마이크
@jmpark598
@jmpark598 Жыл бұрын
국민학교때 저방송 라이브로 보다 겁나 충격먹은 생각나네요. 이와중에 소름인건 철수햄 항공대 전자공학과 나오신 공돌이신거 ㅎ
@야옹이-s2i
@야옹이-s2i 2 жыл бұрын
회사에서 약품 탱크 시료 채취 하는 데 전기가 오면서 손목이 갑자기 꺾임 그래서 공무과에 전기가 온다 하니 깐 안 믿음 거의 한달 동안 전기 먹으면서 시료 채취하다가 마지막으로 제발 봐 달라고 했는 데 공무과 막내가 마지 못해 점검 해주는 데 테스터기 찍어 보더니 갑자기 형 어떻게 살았어 그러네 뭔 소리 인가 했더니 220v 전기가 흐르고 있다고 말해 주더군요 ㅠㅠ 계속 전기가 온다고 그렇게 얘기 했는 데...
@hello5342
@hello5342 2 жыл бұрын
9:44 혹시 감전되면 손을 못 땔수도 있으니 스위치는 때리면서 키도록 하자
@seongjoonhong436
@seongjoonhong436 2 жыл бұрын
선박에서도 기관실화재시 누전 발생가능성으로 인해 손등으로 체크하고 문 만지도록 합니다 손안쪽으로 만지면 감전되면서 손으로 손잡이잡으면 뗄수가 없으니깐요
@sheen666
@sheen666 2 жыл бұрын
어렸을땐 감전 참고 공연하고 그랬었는데....ㅋㅋㅋㅋ
@samac_suninjang
@samac_suninjang 2 жыл бұрын
파파님~ 제가 전기전자 잘알못이라...이렇게 궁긍해서 남겨봅니다...전기장판 온도조절계가 한겨울 추울때 매번 내부휴즈가 나가버리는데 이게 고온설정하면 온도조절계로 전류가 많이 흘러서 휴즈가 나가버리는 걸까요?? 제가 옛날주택가옥에서 자취를 하면서 난방비때문에 전기장판을 쓰는데 7년동안 4~5개 정도 고장이 나서 새걸로 제조사에서 택배주문해서 한겨울에 고장난후 추위에 고생하며 늘 교체해서 쓰는데... 제조회사에서도 이유를 잘 몰라서 ..궁금해서 이렇게 글을 올려봅니다..
@홀리동키
@홀리동키 2 жыл бұрын
당시 티비 생중계 하던걸 봤었는데 마이크를 잡는 순간 그랬던 걸로 기억합니다.
@사오정-h5r
@사오정-h5r 2 жыл бұрын
인체의 조건도 매우 중요합니다. 손이 젖었거나 땀이 배어 있을때 저항이 수백 오옴대로 치명적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wolkye
@wolkye Жыл бұрын
학교에서 밴드부 공연 준비할때 기타를 들고 마이크를 입 가까이 대니 전기가 짜릿하게 올랐었는데 이런 이유때문이였군요.. 배우고 갑니다!
@bigbear1845
@bigbear1845 2 жыл бұрын
저의 경우는 기타와 보컬을 겸임했을때 마이크에 입술만 닿으면 찌릿찌릿 했던 경험이 많았습니다 배철수 형님 영상도 잘 보면 마이크 가까이 가실때 쓰러지셨어요
@dont-do-that-bro
@dont-do-that-bro 2 жыл бұрын
그때 생방송보고 마네킨으로 몰카 하는줄 알았는데, 왕영은 뛰쳐나오는거 보고 진짠줄 알았음. 😢
@TheSpanishloungekore
@TheSpanishloungekore Жыл бұрын
그럼, 와이어리스를 사용하는 경우라면 이런 감전의 위험은 없는건가요?
@skysmith_cho
@skysmith_cho 5 ай бұрын
현을 만진거랑 앰프 만진거랑 같다고 하셨는데, 현고정하는 파츠와 팟에 있는 부품은 직접적으로 닿지 않는걸로 아는데 그럼에도 전류가 통하나요? 너무너무 궁금합니다!
@skysmith_cho
@skysmith_cho 5 ай бұрын
아 생각해보니 그라운드가... 멍청한 질문이었네요ㅠㅠ
@hardtime9518
@hardtime9518 2 ай бұрын
패러데이의 법칙에 따르면 변화하는 자속은 마이너스 방향의 기전력을 만든다. 현의 진동이 픽업(전자석)의 자력을 변화시켜 전압을 만들어 내서 전류가 흐릅니다. 변압기도 두개의 코일이 연결되어 있지 않는데 8:08 전력을 전달합니다.
@꺄르르-x5o
@꺄르르-x5o 2 жыл бұрын
누전차단기는 안떨어지나요??
@Chris1o_o1
@Chris1o_o1 2 жыл бұрын
접지역할이 바로 이 누전차단기 에 있습니다.
@날개-q2f
@날개-q2f 2 жыл бұрын
실시간 보고 ...죽었다..고 놀란 기억 있는 영상
@주로타
@주로타 2 жыл бұрын
티비로 젊음의 행진인가 바로봄 바로 쓰러짐. 놀란기억이
@hobbyholic_LoveLive
@hobbyholic_LoveLive 2 жыл бұрын
당시에 과학적으로 조사를 했을까요? 아니면, 방송국에 최대한 피해가 없도록 조사했을까요?
@chungandre2936
@chungandre2936 2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봤습니다. 우리는 재미삼아 보지만 실제로 배철수님은 이걸보면 어떨는지..ㅠㅠ
@jjokobar
@jjokobar 2 жыл бұрын
기타의 브릿지에 납땜되어있는 그라운드선을 제거하면 저런 위험에서 조금 더 안전할 수 있지 않을까요? 접지가 잘 된 앰프라면 노이즈 차이도 없을거같은데요. 제 생각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junsuklee1369
@junsuklee1369 2 жыл бұрын
배철수님이 수년전 mbc황금어장에서 모든 방송국에 잇는 저 장면 vcr들 일일이 찾아다니면서 지웟다고 햇는데, 아직도 남아 잇엇군요...
@repairer868
@repairer868 Жыл бұрын
방송국 아카이브에 있던 장면이 유출되었다기 보다는, 개인이 vcr에 녹화했던것을 유튜브에 올린것 같습니다.
@sunsettv7051
@sunsettv7051 6 ай бұрын
@@repairer868 이게 맞는듯 합니다. 방송국 아카이브에 남아있던 장면이었으면 화질이 쨍했을 가능성이 높아서
@박용철-x1d
@박용철-x1d 2 жыл бұрын
배철수 형님도 전공은 전자공학이라는 아이러니가 있죠.,..
@joshua1203byun
@joshua1203byun 2 жыл бұрын
ㅇㅇ 한국항공대. 내 선배이심.
@es4210
@es4210 2 жыл бұрын
@@joshua1203byun AVONICS~~~ㅎㅎ
@hyocheolahn1909
@hyocheolahn1909 Жыл бұрын
80년대 동네 합주실 (계란판 방음) 대여 해서 밴드 연습할때 헤드머신쪽 기타줄 이 창문 샷시에 닿을때마다 감전 됬던 기억이 나네요
@yohjong
@yohjong Жыл бұрын
당시 TV에서 그 장면을 봤는데 관객 중 일부는 연출인 줄 알고 뻥이요~ 하고 외치는 사람도 있었습니다
@myway_j_1418
@myway_j_1418 2 жыл бұрын
기타 앰프는 AVR을 사용한 전원, PA 시스템은 AVR을 사용하지 않은 전원을 써서 위상차에 의해 큰 전압이 흘렀을 것이라는 말이 있더라고요.
@블루켓-f4b
@블루켓-f4b Жыл бұрын
나도 초딩때 철수형님 감전사고로 쓰러지는거 생방송으로 관람했음. 첨엔 장난치는줄. 이어 9시뉴스에 나오고 크게 다치지않았다공.
@mgarland848
@mgarland848 2 жыл бұрын
영원히 고통받는 철수형님 ㅠ.ㅠ
80년대 락음악을 씹어먹던 마샬앰프..DIY 도전 !
22:17
공돌이파파
Рет қаралды 96 М.
小丑女COCO的审判。#天使 #小丑 #超人不会飞
00:53
超人不会飞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Правильный подход к детям
00:18
Beatrise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Арыстанның айқасы, Тәуіржанның шайқасы!
25:51
QosLike / ҚосЛайк / Косылайық
Рет қаралды 700 М.
이 기타앰프 수리하신분 !  이건 정말 아니잖아요 ㅜㅜ
9:37
시나위 신대철님의 마샬앰프를 고쳐드렸습니다
18:13
공돌이파파
Рет қаралды 676 М.
갤럭시 z플립 4 지금써도 좋다!!!
3:22
야무진s5
Рет қаралды 3
You've never seen a garbage guitar like this.
9:47
공돌이파파
Рет қаралды 423 М.
역대급 재활용 쓰레기..  펜더앰프. 고쳐서 써봅시다
12:13
직류는 무엇이고, 교류란 무엇인가?
19:16
전병칠
Рет қаралды 2,4 МЛН
DIY 자작 마샬앰프를 무대위에서 크랭크업 해봤더니..
10:29
고고학자들이 사막에서 5,000년 된 배를 발견했습니다.
2:15:24
밝은 면 Bright Side Korea
Рет қаралды 4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