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 #원불교 #서양철학 [백낙청 초대석 013] 원불교 초대석 3편 #소태산 박중빈 #도산 안창호 #스피노자 #사요 #자력양성 #지자본위 #삼동윤리 소태산 대종사가 제시한 인생의 네 가지 요도, 사요四要란 무엇인가? 자력양성 지자본위 타자녀교육 공도자숭배의 의미를 스피노자의 철학과 비교하여 풀이해본다.
Пікірлер: 34
@박성산-u9f Жыл бұрын
백번 맞는 말씀이십니다. 현 종단에서 출재가 평등 시시템이 안되어 많은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 재가, 출가가 다 같이 협력하여 진리적신앙,사실적도덕으로 활짝피는 원불교가 되어 제중의 큰 원이 이루어지려거든 교단의 시대적, 생활화 대중회의 노력 이 중에 통일운곡과, 쉬운글의 교전 편찬으로 교헌의 개정까지 교단의혁신이 절실히 필요합니다 . 소태산 대종사님의 참 진리의 종교로서 부디 잘되기를 기원합니다
@김상기-p1e7 ай бұрын
선생님 존안을 뵈니 너무 좋아요 건강하셔서 더 좋고 여전하셔서 더 존경스럽습니다 102살이나 살고도 얼빠진 김 가 놈 정신 못차리는데 시대의 정신께서 지켜주셔서 눈물납니다
@황순욱-g8g Жыл бұрын
백샘 감사합니다 우리의 사상적 정체성을 일깨워가는 작업에 노구에도 불구하고 명확한 혜안에 감탄하며 곧 민족성을 보는 기쁨입니다
@SK_Shin Жыл бұрын
일원상의 경지, 일원상에 기반한 공부법 등 소태산 사상의 위대함을 다시 한 번 일깨워주셔서 감사합니다. 동척사업을 다른 시각으로 해석해서, 출가와 재가의 문제를 보는 시각이 참 신선하게 와닿습니다.
@kdp7286 Жыл бұрын
잘 몰랐던 원불교에 대해 관심이 생겼습니다. 4회에 걸쳐 유익한 방송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steveohmale Жыл бұрын
봐파 보수 하고 이븍에가서 살어라
@TV-fz2ru10 ай бұрын
원불교에 대해 알게 되셨고 또 관심이 생기셨다니 감사합니다. ^^ ()
@김미정-u8u8w7 ай бұрын
원불교의 교리로 삶을 살아가는데 뚜럿한 기준으로 삼고 살아가시면 어딜 가시든지 환영습니다.
@노루목-l8d Жыл бұрын
백낙청선생님 감사합니다 항상건강하시고 행복하시길 기원드립니다
@백명현b Жыл бұрын
진짜개인과사회에소금과같은마음입니다,.
@희타-q7s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dokdo88884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수고하셨습니다 🙏 응원할게요 😊
@marinesnow8428 Жыл бұрын
백낙청교수님 존경합니다💙
@박숙정-s9n Жыл бұрын
은혜롭습니다
@신의손with냥10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교수님, 유투브 방송해주셔서 너무 고맙습니다 접하기 어려운 주제를 쉽게 이해시켜 주시고 또 민족의 훌륭한 선조님들을 만나게 해주셔서 들을수 있으니 기쁩니다^^ 😊
@정승옥-c7u Жыл бұрын
백선생님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 😊
@두렷함으로 Жыл бұрын
👏👂✊🙏
@Loppatiin Жыл бұрын
영상 감사합니다^^❤❤
@bluea-k6s Жыл бұрын
사회개혁/개벽의 해법을 에 기반하여 풀어주신 점은 놀라운 방편이라 봅니다. 원망병을 통째로 자력기반으로 전환하셨죠?
@신효진-t4m Жыл бұрын
원불교는 신앙 수행의 두문에 영육상전하여 현실에서 잘살고 죽은뒤에도 해탈하는 종교인데 신앙에 대해서도 좋은 말씀 부탁 합니다.
@dokdo88884 ай бұрын
중요한 것보다도 더 중요한 것이 있는 중입니다: 소태산 선생님 께서는 인생 에서 부와 명예와 지위에 연연하지 말고 그냥 무디게 자유로운 해탈한 세계평화 지도국 주인공 되자 하신듯
제가 노자 도덕경을 해독해 보니 논리학이자 수학입디다. 대부분의 종교가 원전을 이해못해서 일으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kevinlee18617 ай бұрын
소태산, 원 불교 사상과 원리를 존중하나 사회 개혁에는 수동적인것같아 안타까운 부분인것같다.
@j.taomoon9349 Жыл бұрын
"몰라"만 하시면 돼요, 그러면 저 맛있는 거 좋은 거 땡기는 거엔 절대 몰라 안 해, 每 순간 '판단'하다 지 맘에 내키지 않으면 이때다, 아전인수式으로 "몰라"만 잘 하지 결국, 몰라의 恣意的 적용이랄까? 제멋대로 "몰라"인 즉, "네 멋대로 몰라!"
@이재덕이네 Жыл бұрын
원불교 젊은 교무님 말씀은 좋지만 표현이 어렵습니다. 교리에 나오는 표현 그대로를 쓰시려는 것이겠지만 단번에 이해하기 어려운 표현이 많습니다. 뜻은 살리되 지금 시대에 맞게 쉬운 우리말로 표현하면 어떨까요. '부정당한 의뢰생활' 은 '정당하지 않게 기대어 사는 삶'이나 '정당하지 않게 의존하는 삶' 처럼요...
@TV-fz2ru10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 ()
@하닷사-s2q Жыл бұрын
자유민주주의와 민주주의가 다른 이유 ㅡ 자유민주주의는 개인의 것을 인정해주는 것....민주주의는 개인의 것을 인정해주지 않는 것....어떤게 좋은가?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