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해 진짜 이름은 발해가 아니다! 놀라운 진짜 이름은?

  Рет қаралды 203,116

청화수 chunghwasoo

청화수 chunghwasoo

3 жыл бұрын

발해 진짜 이름은 발해가 아니다. 놀라운 진짜 이름

Пікірлер: 490
@user-mb8uh3rt2o
@user-mb8uh3rt2o 3 жыл бұрын
좋은사실 알고 갑니다 역사에 긍지가 없고 자존심이 없는 민족과 국민은 사대민족의 절정입니다 감사합니다
@dolmengondol8718
@dolmengondol8718 3 жыл бұрын
저도 평소 의문을 갖고 있던 부분이었습니다. "발해" 지금도 구글지도를 보면 "Bohai"라고 되어있는 발해만, 이게 "발해" 국명에서 왔을리는 만무하고 어째서 발해라는 나라이름을 사용할까?? "해동성국", "진국" 모두 살짝 언급만 하지 "발해"라고 부르는 것이 잘못된 것이라고 말하는 학자는 없었지요. 스스로 "고려"라 칭하였다면 후손인 우리들도 "고려"라 부르는 것이 백번 천번 맞습니다. 아, 이 사대주의의식, 그리고 식민 잔재를 어찌해야 할까요.. ㅠㅠ
@younghuh9203
@younghuh9203 3 жыл бұрын
또한 방송 에서도 발해만 을 보하이 만 이라고 부르고..
@chartres89
@chartres89 3 жыл бұрын
외세를 끌어들여 통일한 신라의 이익에도 부합했기 때문에 당이 부르는 호칭을 그대로 썼을테죠. 결국 통일신라 시대가 아니라, 한반도가 고려/신라 2개국이었던 시대 였다고 보는게 적절할것 같습니다.
@user-yh8ed8mr5n
@user-yh8ed8mr5n 3 жыл бұрын
@@chartres89 그 당시 삼국은 서로가 서로에게 모두 외세였습니다. 지금처럼 같은 민족이라는 의식이 없었기에 지금의 관점으로 외세를 끌여들여 통일했다는 말은 말이 되지 않죠
@pinkgl
@pinkgl 3 жыл бұрын
아 멋지다~ 그러고보니 남들은 지금 우리를 코리아(고려) 라고 부르고 있으니 옛고려, 그 다음고려, 신라 다음 고려까지 모두 명백한 우리 조상들의 나라였고 아직도 우리는 그 이름으로 불리고 있었군요.
@user-zs7eb5uc9r
@user-zs7eb5uc9r 3 жыл бұрын
언젠가 기회가 되면 꼭 밥한번 사겠습니다. 고대사에 약간의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나 늘 느끼던 갈증을 이리 시원하게 풀어주시는 청화수님에게 감사를 전합니다. 출출하시면 답글 남겨주세요. 드시고 싶은거 꼭 한번 사드리고 말씀 듣고 싶네요.
@user-yy1rd7gu1j
@user-yy1rd7gu1j 2 жыл бұрын
나도 영광으로 알고 청화수님 뵙고 밥한번 살께요! 👏👏👏👏👏
@user-ev9ly6er7g
@user-ev9ly6er7g 3 жыл бұрын
일본 역사에 발해와 외교할때 진국도아니고 발해도아닌 고려국왕이라고 되어있다 즉 고구려란뜻이다 일본은 발해를 고구려로 알고있고 발해인들역시 자신들이 고구려인이라고했다
@ssummyrwa
@ssummyrwa 3 жыл бұрын
점점 올바른 역사관을 가지는 사람들이 많아지는것에 의의를 두어야할것 같습니다. 항상 좋은 자료와 통찰력 보여주셔서 감사합니다.
@hony2826
@hony2826 3 жыл бұрын
정말 대단하십니다. 역사를 바라보는 시각을 어떻게 두느냐에 따라 해석이 반대로 될수있다는 논지가 정말 훌륭합니다.
@user-yy1rd7gu1j
@user-yy1rd7gu1j 2 жыл бұрын
청화수님은 누구십니까?
@user-ev7qc5sr9s
@user-ev7qc5sr9s 3 жыл бұрын
이 해석은 대단한해석인데.. 이게 맞다면 고구려는 천년역사네요 700년역사가 아니라
@user-zu2dz7di3e
@user-zu2dz7di3e 3 жыл бұрын
고구려 700년이 아니라 900년이란 설도 있어요. 학계의 인정을 받으려면 좀더 연구가 팔요하긴 하지만요. 고구려 초기 왕들의 재위기간이 쫌 이상한 부분이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peacemaker977
@peacemaker977 3 жыл бұрын
모택동 : 요동은 조선의 땅. 역사에 꼭 적어 놓아라. 주은래 : 고구려, 발해는 조선의 역사다. 역사왜곡은 하지말라. 대륙이라며 수천년의 역사를 자랑하지만, 정작 그 수천년 대부분을 주변민족에게 지배당하며 개돼지 취급을 받던 중간의 민족. 우리민족 건드렸다가 자기들 통일국가가 망했으면서도 그런 역사는 삭제시켜버린 나라. 어느나라일까요? ㅋㅋㅋ
@user-yr6zc6pe7t
@user-yr6zc6pe7t 3 жыл бұрын
@@peacemaker977 시진국
@phy7
@phy7 3 жыл бұрын
와..그러네요
@user-yy1rd7gu1j
@user-yy1rd7gu1j 2 жыл бұрын
이성계가 나타나서 고려 왕씨들을 모조리 없애고 조선이라고 촌스럽게 이름을 바꿔서 우리가 지금도 망해가고 있네! 근대 문재인은 조선...이라고 부르는 북한공산주의를 남한에 퍼뜨려 꼴사납게 되고 있네! 절대 안되! 공산당은 절대 안되~~~~!🛠🛠🛠🛠
@user-do6kf1ex8t
@user-do6kf1ex8t 3 жыл бұрын
우리가, 의식있는 분들이 꾸준히 사용한다면 언젠가는 바뀔거라 생각합니다. 다소 불편하더라도 꼭 바꿔야겠지요.
@aabrasax3982
@aabrasax3982 3 жыл бұрын
가장 신뢰가 되네요. 억지도 아니고 충분한 분석과 고증에 의한 것이므로 우리 역사학계가 즉각 바로잡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국사편찬위원회와 강단 사학계가 일대 반성해야 할 일입니다. 주변에라도 열심히 이 사실을 전파해야겠습니다. 어떻게든 진실을 바로 세워야 하는 일이라고 봅니다.
@joebae4990
@joebae4990 3 жыл бұрын
정말 대단하십니다. 이런 엄청난 정보룰 제공해주시니 존경스럽습니다.
@ikjaiahn2537
@ikjaiahn2537 3 жыл бұрын
몽골초원의 시각으로 보면 초원 동쪽은 왕이 누구였건 간에 그냥 "고려"라고 생각했겠네요. 조선이전 역사전체의 명칭과 시대구분의 재정립이 필요해 보임.
@user-jm2fi8ch4f
@user-jm2fi8ch4f 3 жыл бұрын
식민사관에 찌들어 있는 서울대학등 유명대학 사학교수들이 문제죠.군사정권때부터 오히려 이런 매국노 정신에 찌들려 있는 자들이 요리조리 때만 되면 큰 소리를 내며 친일진중 노예짓을 해왔죠. 한심한 노릇이죠.
@saeng7358
@saeng7358 3 жыл бұрын
@@user-jm2fi8ch4f 군정부때는 국풍ㅇㅇ이라고 전통을 중시했고 고조선 단군왕검을 세워주엏는데 아이러니하게도 교회나 종북세력들이 싫어해서 더 밀고나가지 못했죠 80년대 전통을 소중히하고 유적들을 발굴해서 이제까지 이어져 내려온거죠 왜 모두 매도하나요, 이제 살만해지니 숨어있는 역사까지 찾아내게된거죠 지금의 우리가 있는것은 다 그 과정을 통해 내러온겁니다
@taejonglee
@taejonglee 2 жыл бұрын
괜히 원나라 쿠빌라이가 충렬왕(당시 원종의 태자)의 방문을 두고 "당 태종도 굴복시키지 못했던 나라의 태자가 이제 스스로 내게로 오니 참 기쁘다"라는 식으로 말을 했겠습니까...ㅎㅎ저 말인즉슨 왕씨의 고려를 가리켜 당 태종도 굴복 못 시켰던 나라,즉 고구려랑 동일시하고 있다는 뜻이지요.^^
@user-hs1sg3vm6e
@user-hs1sg3vm6e 3 жыл бұрын
우와 그러면 고씨 고려, 대씨 고려, 왕씨 고려가 순서대로 존재했던 거네요. 대단합니다!
@jsh999
@jsh999 3 жыл бұрын
@hanson hansen 청화수에서 태조왕과 관련된 영상을 보시면 알겠지만 유리왕, 대무신왕, 민중왕, 모본왕 이 4명의 왕의 성씨가 해씨였는데 왜 해씨인지 다루고 있어요
@raymondkim3027
@raymondkim3027 3 жыл бұрын
발해 대진국 대씨 고려 시기 비석이 있다고 들었습니다. 그 비석에서 자신들을 뭐라 칭했나 확인하면 분명히 알수 있을것 같습니다.
@user-vu1fi7xd7v
@user-vu1fi7xd7v 3 жыл бұрын
내말이 성씨별 고려라 해야 옳음
@junegalaxy1199
@junegalaxy1199 3 жыл бұрын
요동반도에 소고구려 열씨도 잇어요
@user-uq3wk1xn5h
@user-uq3wk1xn5h 3 жыл бұрын
당시는 성씨가 큰 의미가 없지 않았을까요? 성씨는 중국만의 풍속이었고, 성씨가 없다는것이 곧 북방민족임을 구분해 주는 것입니다..
@ssoaisddksk6529
@ssoaisddksk6529 3 жыл бұрын
고구려 관련 교육을 아예 개편해야겠네요. 아와 어도 점하나만 달라도 다른법인데 남이 부르는대로 우릴 인식한다. 이정도면 아예 틀린 역사이고 처음 역사 집필한 사람이 중국인이 아닌가싶은데.. 장수왕 대에 국호가 한번 바뀌고 고씨-대씨-궁예-왕씨로 왕가의 대는 끊겼어도 그 정신과 명예가 계승 되었다 라고 가르쳐야할듯.
@user-oy3kr3qv7j
@user-oy3kr3qv7j 3 жыл бұрын
정말 놀랍네요 우리는 우리 자신에 대해서 왜 이렇게 모르고 있을까요 고맙습니다
@user-wg6cc5vn4r
@user-wg6cc5vn4r 3 жыл бұрын
청화수 선생님에게는 늘 마음 속 깊이 존경심을 느낍니다. 어릴 적부터 품어 왔던 의문들을 이렇게 명쾌히 풀어주시다니... 오늘도 큰 절 한 번 드립니다.
@bhk3466
@bhk3466 3 жыл бұрын
충격적이네요. 전 분명... 일본으로 보낸 국서에서 고려왕을 칭했다는 것을 알고 있었음에도 지금 이걸 보기 전까지... 발해가 정식 명칭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네요. 세뇌교육이란게 이리 무서운 거네요.
@user-pe8ze8yw2t
@user-pe8ze8yw2t 3 жыл бұрын
정말 그래요.. 저 또한 '고려국왕 대흠무' 라는 사료를 숱하게 봐놓고도 정식 명칭은 발해가 발해사람들끼리 쓰는 이름이고 고려는 고구려를 계승했다는 의미로 쓴 말인줄...
@user-pd5dk4zq5i
@user-pd5dk4zq5i 3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을 국회로!!!!!!!
@hrlee0616
@hrlee0616 3 жыл бұрын
그렇군요. 발해는 가짜. 고려가 진짜 이름.
@user-sg9gx5ei8s
@user-sg9gx5ei8s 3 жыл бұрын
그렇구나 아하
@user-xp7yh8gn8q
@user-xp7yh8gn8q Жыл бұрын
한국이 korea인 이유 우리는 고려민족입니다.
@user-pw4ff5gd9n
@user-pw4ff5gd9n 3 жыл бұрын
청화수님 덕분에 역사에 관심이 생겨 열심히 영상 잘 듣고 있습니다ㅡ
@user-ce1gd2wm3b
@user-ce1gd2wm3b 3 жыл бұрын
역사 교과서에서 시대적 표현할때 고씨 고려(원고구려) 대씨 고려(중고구려) 왕씨 고려(후고구려) 이런식으로 표시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8rgk463
@8rgk463 3 жыл бұрын
후고구려는 궁예가 세운 태봉국이 먼저입니다. 왕건이 궁예를 몰아내고 세운게 고려지만, 사적 의미로 왕건고려가 후고구려라는 뜻 으로는 동의 합니다.
@hspark9364
@hspark9364 3 жыл бұрын
근데 고구려도 왕이 고씨가 아니라 여러 성씨로 되어 있음.. ㅎㅎㅎ 주몽도 아니고 추모가 본 이름이기도 하고요
@metropark2ne1
@metropark2ne1 3 жыл бұрын
@@jameschoi2099 와~~~고(구)려를 계승한 나라들이 이렇게 많았나요???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
@user-qi4mu4uj5q
@user-qi4mu4uj5q 2 жыл бұрын
청화수쌤 감사해요~울컥하게 만드는 영상입니다. 다른모든영상도 몇번씩 열심히 볼정도로 훌륭합니다~!항상 응원합니다!!
@icbestmc
@icbestmc 3 жыл бұрын
역사라 함은 아와비아의 투쟁 단재신채호 선생님의 조선상고사 머릿글 정말 가슴에 와닿습니다~
@user-gs7ip6my2v
@user-gs7ip6my2v 3 жыл бұрын
이런 내용을 알게 해주시니 청화수님 사랑합니다 💜💕❤😘😍♥💜
@user-dd1dj7xf5r
@user-dd1dj7xf5r 3 жыл бұрын
훌륭한 강의 잘들었습니다^^ 지난번에 고구려 평양천도 영상 올리실때 현재 북한평양말고 다른 지역 평양설도 영상 올리신다고 했던거 같은데 그 영상 부탁드립니다^^
@user-xg9pb8qt3i
@user-xg9pb8qt3i 3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당과신라연합군은 고구려왕실을 끌어내렸을뿐~ 고구려의 영토를 실효지배 하지도 못했습니다.
@JohnSmith-iu3fc
@JohnSmith-iu3fc 3 жыл бұрын
정말 감격스럽게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ro4bq3yx4i
@user-ro4bq3yx4i 3 жыл бұрын
국사편찬위원장이 되어야 하실 분이군요
@no-se3px
@no-se3px 3 жыл бұрын
그렇군요.대진국이라고만 했지 그것 또한 당의 기록에서나 대진국이었네요. 원소생각하니까 확깹니다. 그리고 교차검증이 가능한 사서가 끝발 떨어지는 속일본기 밖에 없다는 것도 아쉽네요
@user-wx3ws1we5m
@user-wx3ws1we5m 3 жыл бұрын
멋쟁이 선생님!
@joosanglee6804
@joosanglee6804 3 жыл бұрын
이분 진짜 멋있는 분이네... 존경합니다
@mjk4660
@mjk4660 3 жыл бұрын
역사학자들 보다 더 훌륭하십니다
@user-vb9sw6de9z
@user-vb9sw6de9z 3 жыл бұрын
오늘도 배우고 갑니다 고맙습니다.
@user-dj6tf6ek3q
@user-dj6tf6ek3q 3 жыл бұрын
대진이라 생각했는데 고려가 맞군요 감사합니다
@MarkOnlineUo
@MarkOnlineUo 3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정말 감사합니다! ^^ 항상 잘 보고 있어요~ 청화수님 처럼 훌륭한 역사학자들이 많이 알려지길 바랍니다
@user-ec1rr8ci5h
@user-ec1rr8ci5h 3 жыл бұрын
청교수님 감사합니다
@jsh999
@jsh999 3 жыл бұрын
이렇게 보니 신라 통일은 신라 + 백제이고 고려는 고구려가 만들어지고 발해라 불리는 고려까지 1000년 존속했다라는 해석도 가능하네요
@et3389
@et3389 3 жыл бұрын
열정이 느껴져 구독하고 갑니다 ~^^
@user-jo2zn1fd8z
@user-jo2zn1fd8z 3 жыл бұрын
오...나름 10년 넘게 역사 공부해왔는데 이건 또 몰랐네요 너무 좋은 콘텐츠 감사합니다 배우고 가요
@user-xh9nj7vv7z
@user-xh9nj7vv7z 3 жыл бұрын
매번 잘 듣고 보고 갑니다 기분좋은 하루 즐겁게 잘 보내세요 감사합니다 ^^
@user-rr4hz9mv8o
@user-rr4hz9mv8o 3 жыл бұрын
역사교육에서 아주 옛날부터 발해라 불러서 지금도 그렇게 굳어진거같은데 한번 싹 리모델링할때가 된거같네요
@kevinkimks
@kevinkimks 3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이건 정말 바꿔야하는데 안타깝네요.
@user-el5jc4vf3o
@user-el5jc4vf3o 3 жыл бұрын
옳소 남의 인식으로 적은 내용을 정답으로 아는게 바로 식민적 생각 이제 고려라고 진국 대진국이라 했는데
@zerobluestorm9555
@zerobluestorm9555 3 жыл бұрын
옛날부터 혼자 생각하던 내용이었는데, 일목요연하게 잘 설명해 주셨네요. 시대 구분을 할 때 건국자 이름을 넣어서 하는 건 어떨런지. 유럽에서 튜더 왕조, 부르봉 왕조라고 하는 것처럼. 고구려는 추모 왕조, 발해는 대조영 왕조, 그리고 왕건 왕조. 백제도 온조 왕조, 신라는 혁거세 왕조... 국호가 바꼈다고 민족이 송두리째 바뀐 건 아니므로, 뭔가 고려(Korea)로 통합되고, 이어져 내려오는 느낌이 드는데.
@azores6549
@azores6549 3 жыл бұрын
여진족이라는 말도 사실은 고구려의 려와 진국의 진을 합쳐서 려진족 즉 고구려유민 발해의 유민 들을 낮춰서 표기한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asantiago6790
@asantiago6790 3 жыл бұрын
잘 듣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Twomypuppies
@Twomypuppies 3 жыл бұрын
없어진 역사책들 죄다 일본 왕실에서 보관하고 있을 것 같은 생각도 합니다. 각국에서 만든 역사책들이 지금까지 남아있으면 얼마나 좋을까요.
@user-vu4wj6qs5x
@user-vu4wj6qs5x 3 жыл бұрын
있읍니다 환단고기는 일본학자들이 일본사서에서 찾아낸 고구려중심 고고대사지요 ☆_☆
@onetimeonething2670
@onetimeonething2670 3 жыл бұрын
그렇군요. 좋은 지식 감사합니다. 고려^^
@user-co3vi6jo5n
@user-co3vi6jo5n 3 жыл бұрын
잘 봤습니다. 늘 감사합니다.
@user-tr8vw4qi3s
@user-tr8vw4qi3s 3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더 배우고 갑니다
@user-qr4sk1uk7f
@user-qr4sk1uk7f 3 жыл бұрын
맞어 발해가 스스로를 발해라고 부르는 사료를 못본거 같어
@dongyunlee5400
@dongyunlee5400 3 жыл бұрын
영국 역사에서 튜더 왕조, 스튜어트 왕조 이런 식으로 가문 왕조로 구분하는 방식을 우리나라에도 차용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고려 추모계 시대, 대조영계 시대, 왕건계 시대...
@changseokhan4628
@changseokhan4628 3 жыл бұрын
와 좋은 자료네요 잘봤어요.
@Long-livedandindependentKorea
@Long-livedandindependentKorea 3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jymin465
@jymin465 3 жыл бұрын
항상감사합니다 선생님!
@user-hq8lz2ne6p
@user-hq8lz2ne6p 3 жыл бұрын
그런 스토리가 있었군요!! 너무 좋은공부~하고 가네요! 그럼 저부터 발해가 아닌 고구려라 알고 있겠습니다!!
@user-pe8ze8yw2t
@user-pe8ze8yw2t 3 жыл бұрын
대흠무가 나오는군요ㅎㅎ 청화수님 덕분에 고대사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유튜브 닉넴도 예전에 바꿨었요. 항상 감사드립니다(__)
@stan_ms
@stan_ms 3 жыл бұрын
역시 화수형~ !!!
@mistyarea4512
@mistyarea4512 3 жыл бұрын
난 이 채널 구독자수가 100만원 가야 정상이라 본다. 내용과 퀄러티에 비해 구독자수가 너무 작은듯
@user-tt1op6fe4t
@user-tt1op6fe4t 3 жыл бұрын
100만내용이지만 영상 연출력이 살짝 아쉽 ㅠㅜ
@user-se4ii5qs7t
@user-se4ii5qs7t 3 жыл бұрын
내용은. 좋은데. 진행이. 너무. 루즈하고. 목소리가. 잠이. 오는. 말투인데요. 조금만. 개선하면. 100만은. 몰라도. 몇배는. 구독자가. 늘듯합니다.
@user-th3dy5dq6j
@user-th3dy5dq6j 3 жыл бұрын
@@user-se4ii5qs7t 운동할때 들으면 집중력 쩝니다ㅋㅋㅋ
@JHLEE-mp9to
@JHLEE-mp9to 3 жыл бұрын
대고려라 불러야겠습니다 왕씨가 아닌 대씨가 건국한 거니까요
@beaumoon8581
@beaumoon8581 3 жыл бұрын
Good idea. 그냥 고구려, 대고려, 왕고려로 시대 구분하는 것도 괜찮을 듯 하네요.
@user-lj5kl9ys8r
@user-lj5kl9ys8r 3 жыл бұрын
그냥 전부 고려인가고 카롤링거 메로빙거처럼 고씨왕조 대씨왕조 왕씨왕조로 구별해야죠
@user-vm6rs5iu3s
@user-vm6rs5iu3s 3 жыл бұрын
교차검증이 중요하다는걸 다시 한번 느낍니다 단순히 중국 역사서만으로 규정 해놓은게 생각보다 많은거 같아요
@user-po4uv5wp5c
@user-po4uv5wp5c 3 жыл бұрын
청화수 선생, 나이스 !
@user-zs3oi8vh8s
@user-zs3oi8vh8s 3 жыл бұрын
처음 알았네요. 고맙습니다.
@user-ov8db9hr9o
@user-ov8db9hr9o 2 жыл бұрын
항상 잘보고 있어요 우리의 역사를 바르게 알아야하는데, 도움을 줘서 감사합니다 ~^^
@user-mb3he5kn9m
@user-mb3he5kn9m 3 жыл бұрын
태국에서 한국을 부를때 까올리 라고해요 고구려 고려라고 지금도 쓰고있죠ㅎㅎ 까올리따이 남한
@weonnk
@weonnk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또 반성하게 되네요.. 감사합니다
@AidenDKim
@AidenDKim 3 жыл бұрын
우리 역사학자들은 미친거 아닌가..
@jeonghoonshin3966
@jeonghoonshin3966 2 жыл бұрын
현재 한국 역사 주류학파는 식민사학자 친일파 이병도 신석호 의 서울대 등의 제자들 입니다 거의 카르텔 수준입니다
@3JTriple
@3JTriple 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이름이 코리아가 될수 밖에 없었군요. 한. 조선. 고려 중 가장 오랫동안 쓰인 이름이네요
@hyungjusur1536
@hyungjusur1536 3 жыл бұрын
일제가 전국에있는 모든 역사서를 서울로 모이개 한뒤 가짜역사를 만들고 나서 진짜역사서를 모두 불태워버렸다고 합니다.. 우리 스스로의역사서가 일재애의해 4만권이 불살라지고 일재가 조작해서 경성제국대학 역사학과에 준것이 지금 우리가 배우는 우리나라 역사입니다
@user-un8mw3ld7c
@user-un8mw3ld7c 3 жыл бұрын
존경합니다...
@baekha1455
@baekha1455 3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user-yy1rd7gu1j
@user-yy1rd7gu1j 2 жыл бұрын
넘 재미있고 유익합니다. 감사합니다. 발해가 아니라 "고구려"라 하니 가슴 뿌듯합니다. 학교에서 배울때 '발해'라하니 이름도 이상하고 생소하여 우리나라 민족이 아닌것 처럼 느껴졌어요. 이미 고구려 장수왕때 고려라 했다니 지금의 코리아가 맞군요! 아름다운데, 고구려라 하면 카리스마 넘치고 멋있을텐데... 근데 왜 북한놈들은 "조선"이란 말을 쓰는지 촌스러워요. 💐고 구 려💐 KOKURYO ! 👏👏👏👏👏
@dioxin2768
@dioxin2768 3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입니다
@kimjh7940
@kimjh7940 3 жыл бұрын
나름 역사매니아라고 자부하던 입장에서 충격이네요. 진짜 몰랐습니다 대진국까진 알았어도. 좋은 영상 추천합니다.
@kennyreview
@kennyreview 3 жыл бұрын
그런대 이런 사실들을 학계에서는 들으려고 노력하나요? 아니면 기존에서 바뀌어야 한다고 하면, 꼰데처럼 귀 틀어막나요? ㅠ
@sanghoahn5064
@sanghoahn5064 3 жыл бұрын
정말 공감되요. 조선전까지 끊임없이 코리아였군요. 정부차원에서 역사바로잡기노력이 필요하네요.
@user-wo1kh5mw7w
@user-wo1kh5mw7w 3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이다. 우리가 우리를 찾아야 한다. 진국 .... 힘의 원리에 의해 발해가 되었음을 첨 듣슴다. 이젠 시진핑이 동북공정은 만리장성 북쪽까지 지들 변방토호국으로 만드려 하고 있는 지금 유익한 영상임다.👍
@doymusic7197
@doymusic7197 2 жыл бұрын
영상 잘보고 있습니다 시간이 되신다면 요즘 다시 거론되는 실제 고려영토에 관해 어떻게 생각 하시는지 알고 싶네요 감사합니다
@user-vw6ru2yk7z
@user-vw6ru2yk7z 3 жыл бұрын
참으로 감사합니다 우리는 우리스스로 존중하고 반성도 하고 역사를 알아야 미래가 있읍니다 너무나 좋은글 감사합니다
@user-ez3tk7qp8w
@user-ez3tk7qp8w 3 жыл бұрын
역사는 다수결로 결정되는 학문이 아니죠.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ykk030518
@ykk030518 3 жыл бұрын
이미 퍼진 이름도 바꾸어 보아요~~!!.감동적인 강의^^
@user-sx1fc6tp4y
@user-sx1fc6tp4y 3 жыл бұрын
오오 청화수님 해동성국 얘기 많이 해주세요!!
@yurigudu
@yurigudu 3 жыл бұрын
상식적으로 고구려를 계승하면서 다른 이름을 썻을리 없지 견훤 역시 백제를 계승한다며 나라이름을 백제로 지은것처럼 대조영도 고구려로 쓴게 맞을지도
@park56935
@park56935 3 жыл бұрын
백제도 후에 불러진거고 남부여나 부여로 불러야~~
@user-gf7lo7zq5c
@user-gf7lo7zq5c 3 жыл бұрын
처음알게 되었군요. 자세히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렇다면 발해가 고구려의 뒤를 이은 완전한 한국의 역사라는 걸 증명할 수 있겠어요.
@wuwalab2439
@wuwalab2439 3 жыл бұрын
몰랐던 역사에 또 한 번 놀라고 갑니다. 오랜 호칭을 바꾸는 것도 어렵지만, 오랫동안 쓰던 문자를 바꾸는 것은 더 어렵습니다. 일본은 오랫동안 한자에서 탈출하려 했지만 실패했습니다. 그러나 우리 나라는 세종대왕님의 한글을 사용하고, 한글에서 한자를 쓰는 걸 몰아냈습니다. 완전하지는 않더라도, 지금은 한자를 함께 쓰지 않아도 되는 상황입니다. 한국인이라면 발해를 옛 고려...로 바꿀 수 있는 것도 생각보다 쉬울 거라 생각합니다. 우리 역사는 넝마처럼 너덜너덜하게 왜곡되고 찢겨 있습니다. 중국과 일본의 왜곡으로 국민들의 분노와 관심도 높아졌습니다. 올바른 역사에 대한 갈망이 큰 지금이라면, 중국이 왜곡한 옛 고려의 이름도 금방 되찾을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썩어빠진 한글학자들도 많고, 이들은 매국 탐관오리 정권에 빌붙어서 한글과 한국어도 망치고 있습니다. 한글날에는 잊혀진 순우리말만 떠들 뿐, 일제의 잔재인 일본어는 거의 다루지 않고 있었습니다. 게다가 글과 음이 동일한 우리 글자의 장점을 지우기 위해, 외국인을 위해 발음법까지 개정했습니다. 요소별로 분류만 된 우리 문법도 그대로 방치해서 원리를 이해하는 게 아니라 암기를 하게 만들었고, 어법이나 글 쓰는 방법조차 제대로 가르치지 않고 있습니다. 짜장면 발음을 핑계로 효과(효꽈 -> 효과) 등의 발음도 바꿔버리고, "바라다 -> 바라"도 큰 원칙에 작은 원칙이 따라간다는 기본도 무시하고 왜곡했습니다. 이런 왜곡도 방송국에서 사용하면서 조금씩 퍼져나가고 있는데, 올바른 것을 되찾는 것은 이보다는 더 쉬울 겁니다. 희망을 버리지 말고, 강하게 주장하고 알리면 금방 진실이 퍼져 나갈 겁니다. 단, 아직도 남아있는 매국노와 일본의 스파이들이 거짓된 역사를 만들어서 사람들에게 아부하거나 한국사를 비하하고 있다는 게 문제입니다. 이런 장애물이 사라져야 올바른 역사를 우리와 전 세계에 알릴 수 있을 겁니다. 우리는 하루 빨리 현 정부가 올바로 작동하도록 힘을 보태서 우리 나라의 위상을 전 세계에 알리고, 그 다음 정권도 이어서 국내법과 국제법에 따라 매국 탐관오리, 패륜범죄자들을 뿌리 뽑고 처벌해야 할 겁니다. 진정한 한국의 저력은 그 다음부터 시작될 것이고, 그 때의 한국은 "홍익인간, 제세이화"의 이념으로 세상을 이롭게 만들거라 믿습니다.
@hyungjusur1536
@hyungjusur1536 3 жыл бұрын
정말 훌륭한 접근법입니다
@sudaeng1986
@sudaeng1986 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입장에서 역사를 재밌게 풀이해주시는 청화수님 감사합니당~(๑˃̵ᴗ˂̵) 그래서 고구려에서 코리아가 나왔고 발해(?)라는 나라가 고구려의 명맥을 잇기 위해 ‘고구려가 부활한 나라’라고 해석이 되네요. 우리 조상님께서 쓰셨던 저서들이 사라져서 유감이에여.T^T 신채호 선생님께서 조금이라도 올바른 역사를 알리고자 조선상고사라는 책을 내시고 ‘아와 비아’ 라는 철학을 우리 후손들에게 말씀하신 것 같아요. 대한민국 = 고구려(고려)
@pkh22011
@pkh22011 3 жыл бұрын
맞는 말입니다
@user-kr3ek7rx9m
@user-kr3ek7rx9m Жыл бұрын
늘 잘보고 있습니다. 공유합니다.
@dolls8496
@dolls8496 3 жыл бұрын
발해는 고(구)려 라고 불렸다고 했었는데 일본서기? 뭐 유물에도 고려라고 쓰여있었구요. (발해유물) 그래서 고려라고 알고 있어요. 잘 모르는 사람이 대부분일듯 ㅎㅎ 청화수님 덕분에 알고 있었지만 또 심도 깊게 생각하니 고맙습니다
@jinkyu-haengnimhot5454
@jinkyu-haengnimhot5454 3 жыл бұрын
현대의 중국 표준발음으로는 발해:Bo hai (뽀 하이), 말갈:mo he( 모흐어)라고 하는데 고대로 올라가면 더 비슷(?)하게 들릴 수도 있겠죠??
@user-wg5dv2ie2q
@user-wg5dv2ie2q 3 жыл бұрын
자꾸 얘기하다보면 바뀌겠지요~~ 시간은 좀 걸리겠지만~~
@user-qr9up1io2q
@user-qr9up1io2q 3 жыл бұрын
조선도 기자조선, 단군조선 등등 여러이름이 있었듯이 고려도 그렇게 이해하면 될까요?
@user-vt4su3qn4z
@user-vt4su3qn4z 3 жыл бұрын
'고려'라는 이름은 우리민족의 영원한 이름 같습니다. 영문으로도 KOREA라고 쓰고 있으니~
@park56935
@park56935 3 жыл бұрын
난 반대~ 고려든 조선이든 과연 민주주의 시대에 어울리는가? 결국 민주주의가 아니라 민족주의를 내포한 의미이기 때문에 그 이름에 대해선 생각해 봐야.....
@user-vt4su3qn4z
@user-vt4su3qn4z 3 жыл бұрын
@@park56935 님은 민주주의를 혐오하는 지능적인 안티로 보입니다. 민주주의라는 개념이 등장한지 얼마나 되었다고 과거 수천년에 걸쳐 사용된 나라 이름들을 민주주의 기준으로 판단하다니... 논쟁의 가치도 없는 주장압니다만, 님의 저의를 지적하고 싶었습니다.
@park56935
@park56935 3 жыл бұрын
@@user-vt4su3qn4z 지능적? 이거 칭찬인가 비아냥인가? 민주주적 해석이 안될것은 무엇인가? 최근 들어서 3.1운동을 단순 일제항거가 아닌 독립투쟁으로 재해석되고있는 작금이지만 100년전 당시 사람들 의 민주적가치관이 얼마나 있었을 거라 생각하나 지식층을 뺀 나머지 즉 교육의 기회조차없던 사람들이 민주주의를 알긴 했을까? 그렇다면 3.1운동을 민주적 자주성갖춘 독립투쟁이라는 해석이 과연 맞는것인가?!!
@user-vt4su3qn4z
@user-vt4su3qn4z 3 жыл бұрын
@@park56935 딱 보니 혐한이군~
@park56935
@park56935 3 жыл бұрын
@@user-vt4su3qn4z 딱보니 민주주의가 뭔지도 모르는 이러니 민주주의의 완성이 더디기만.....
@user-qx5kc4vj5n
@user-qx5kc4vj5n 3 жыл бұрын
그렇군요. 중대한 오류를 짚어주셨네요. 우리 후대는 학교에서도 수정된 역사를 배웠으면 좋겠네요.
@crenchebae
@crenchebae 3 жыл бұрын
청화수님 해석이 빛을 발하다.
@ethanallen890
@ethanallen890 3 жыл бұрын
북고려 (발해) 남고려 (왕건 고려) 어떨까요...
@why-how
@why-how 3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일본에서 영어를 도입하면서 동사란 이름을 붙인게 영어 교육을 어렵게 만들고 있습니다. 동사가 맞다면 move와 연관성이 있어야 하는데 동사는 verb이거든요. verb의 v는 변화하다, 다양한 등의 뜻이며 verb는 변사가 올바른 해석입니다. 문법의 70%가 변사의 다양한 활용을 설명한거죠. 그런데 고려국을 발해라고 부르듯이 변사를 동사라고 부르는 관습은 바뀌지 않을 겁니다. 이미 우리 뼈속까지 동사로 인식이 되었거든요.
@user-iw4kg2dy6j
@user-iw4kg2dy6j 3 жыл бұрын
후고구려라고 부릅시다. 우리끼리라도...
@ojw5129
@ojw5129 3 жыл бұрын
근데 후고구려는 나중에 마진-태봉으로 바뀌긴 해도 궁예가 후삼국 시대때 썼던 이름이라...
@Joon2.
@Joon2. 3 жыл бұрын
@@ojw5129 그 궁예가 썼던것도 고려죠 사실ㅎㅎㅎ. 우리가 구분하기위해 후고구려라고 부르는거일뿐
@moonsyou544
@moonsyou544 3 жыл бұрын
멋져 멋져
Кәріс өшін алды...| Synyptas 3 | 10 серия
24:51
kak budto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Would you like a delicious big mooncake? #shorts#Mooncake #China #Chinesefood
00:30
Final increíble 😱
00:39
Juan De Dios Pantoja 2
Рет қаралды 37 МЛН
고구려 안시성 실제 영웅은 양만춘 아닌 고정의였다
31:45
청화수 chunghwasoo
Рет қаралды 162 М.
백제 대륙 영토! 정말 존재했었나?
33:11
청화수 chunghwasoo
Рет қаралды 181 М.
불교부터 양자역학까지! 깨달음의 세계엔 경계가 없다! [헤르만 헤세 - 싯다르타 2부]
40:33
책유어셀프! - 당신 자신을 위한 책 이야기
Рет қаралды 2,6 М.
발해 멸망의 진짜 이유는 이거다!
18:36
청화수 chunghwasoo
Рет қаралды 231 М.
궁예 최후의 이상한 점들
18:19
청화수 chunghwasoo
Рет қаралды 129 М.
발해 멸망의 날 실제 기록들
41:17
청화수 chunghwasoo
Рет қаралды 225 М.
백제 온조는 소서노를 정말 숙청했나?
42:12
청화수 chunghwasoo
Рет қаралды 162 М.
신라 사람이 열도 왕이라는 의문의 기록! 그 진실은 무엇인가?
43:04
고구려 비극의 기원인가? 장수왕 의문의 행적
31:42
청화수 chunghwasoo
Рет қаралды 244 М.
조선이 감춘 실제 인물  홍길동의 진짜 진실!
41:28
청화수 chunghwasoo
Рет қаралды 196 М.
Кәріс өшін алды...| Synyptas 3 | 10 серия
24:51
kak budto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