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야심경 100번 읽은 것처럼 만들어드림

  Рет қаралды 756,708

NJT_BOOK

NJT_BOOK

6 ай бұрын

#불교 #반야심경 #석가모니
유튜브 속 보리수나무
편집 : 너동부장관 (김엽)
디자인 : 너동부차관 (박혜진)
너진똑 인스타그램 : / njttock

Пікірлер: 2 000
@NJT_BOOK
@NJT_BOOK 6 ай бұрын
+ 0:16은 우만자입니다. 좌만자와 같이 불교에서 쓰는 문양입니다. 큰 오해 없었으면 합니다. 다음부턴 여지가 아예 없도록 이미지 서칭에 조금 더 신중을 기하겠습니다 [참고] 산시산 수시수 파트는 청자를 고려한 맞춤형 해설입니다. 실제 불자님들은 각 단계를 훨씬 빡세게 받아들인다~ 정도는 이해해두면 좋습니다. 산시산 수시수 뿐만 아니라, 내용 전체가 다 그렇습니다. 더 나아가, 쉬운 설명을 위해 의도적으로 더 찐한 ‘색’을 칠했다는 사실을 모두가 이해하셨으면 해요. 말그대로, 이번 영상은 여러분 모두가 불교 철학을 이해하는 몹시 유용한 색이 되겠지만.. 결국 표현 너머의 본질을 이해하는 시간은 (당연히) 따로 필요하다는 말입니다.
@user-zg2iq8mg8y
@user-zg2iq8mg8y 6 ай бұрын
영상 잘 봤습니다! 혹시 불교 말고도 부처가 육사외도로 지정했던 교파 중 하나인 자이나교의 진리에 대해서도 영상을 제작해주실 수 있을까요? 무엇이 다른지 궁금해서요
@kimcheesepizza
@kimcheesepizza 6 ай бұрын
저는 잘못쓰신줄 알았는데 다이유가 있었군요
@gamja0121
@gamja0121 6 ай бұрын
나의 투쟁 15권
@user-rt7sd6ss2i
@user-rt7sd6ss2i 6 ай бұрын
ㅖ 그 죄송합니다
@user-er8sv1cm6f
@user-er8sv1cm6f 6 ай бұрын
1:35 5:32 5:42 15:51 이거 그 손가락 아닌가요?
@user-nl8df8be2b
@user-nl8df8be2b 5 ай бұрын
현직 스님입니다. 몇가지 단어해석이 전문적입장에서는 애매한게 있으나 해석의 큰 흐름은 문제도 없고 너무 좋습니다. 이런 컨텐츠를 만날 수 있어서 감사했습니다.
@gigihadid4195
@gigihadid4195 5 ай бұрын
현직 스님 안녕하세요. 날이 추우니 감기 조심하세요.🙏🏿
@L_00K1NG
@L_00K1NG 5 ай бұрын
​@@gigihadid4195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jy42745
@jy42745 5 ай бұрын
님 풀소유임??
@Nae2raljul
@Nae2raljul 5 ай бұрын
현직 스입니다
@psh0213
@psh0213 5 ай бұрын
인직 스님 입니다
@ioioioioi2060
@ioioioioi2060 4 ай бұрын
첫 수영 강습 다녀온 뒤 부끄러운 일이 많아서 이불킥하느라 잠도 설쳤는데..공에 대해 알고 보니 부끄러움만 있던게 아니었어요 어리바리 하던 저를 도와주셨던 분들, 먼저 말 걸어주신 분들, 코로 내뱉는 물의 느낌, 음파에 대해 배운 뿌듯함...등 재밌고 감사한 경험도 있었어요 첫 수영 경험을 [고통]이라 정의하지 않고 공으로 남겨두기로 했어요ㅎㅎ 이 타이밍에 이 영상이 알고리즘으로 뜨다니.. 좋은 영상 정말 감사합니다!
@copyj
@copyj 3 ай бұрын
공에 대한 이해가 잘 되신 것 같아요 행복한 나날이 찾아오기를 바래요!
@bobkm7564
@bobkm7564 3 ай бұрын
최고의 깨달음과 적용이네요.
@yumyumtv4362
@yumyumtv4362 Ай бұрын
이게 무슨말 인가요? … 이해가 안가네요.. ㅜㅜ
@user-nt5li7cx9d
@user-nt5li7cx9d Ай бұрын
​@@yumyumtv4362 수영장에서 부끄러움을 느낌으로 수영장은 [부끄러운곳]이다 로 정의하지 않고 [따 듯한 사람도 있고 배움의 재미도 있는곳이라고 생각할수도 있는곳이다] 내가 생각하기에 수영장은 부끄러운 곳일수도 재밌는 곳일수도 있다 이런말 아닐까요 쥰나 어려워서 천주교 밎습니다 전
@user-cg8dt6ky4y
@user-cg8dt6ky4y 29 күн бұрын
캬 실천에서의 적용
@yongwanjeon7229
@yongwanjeon7229 4 ай бұрын
불경은 읽을수록 종교라기 보다는 철학인것 같습니다.
@kjc5697
@kjc5697 2 ай бұрын
이해를 넘어 깨달으면 구원의 종교가 돨듯.
@chadolbac2daenjangjjigae
@chadolbac2daenjangjjigae 2 ай бұрын
깨달음이 이해 아닌가요?​@@kjc5697
@user-hx1wy9jw8l
@user-hx1wy9jw8l 2 ай бұрын
불교는 과학입니다. 우주 삼라만상 본질을 꿰뚫은 진리입니다.
@wh0caresfkdontmind
@wh0caresfkdontmind Ай бұрын
실제로 동양의 종교는 신앙보다 철학의 양상을 띄는 경우가 많아요,유교 도교 불교 다 그러합니다 개신교,천주교를 비롯한 기독교가 들어오고 번역하는 과정중에서 퉁 쳐버렸다고 합니다.
@arankang
@arankang Ай бұрын
모든 종교가 삶의 철학인데요?
@A-RaHan
@A-RaHan Ай бұрын
불교의 철학의 핵심은 바로 '공'과 '연기'입니다. '공'이라함은 '따지고 보면 세상엔 반드시 이러이러 해야 한다는건 없다' 라는 세상에 대한 깊은 통찰입니다. 또한 '연기'라 함은 세상 모든건 그 단독으로 존재하는게 아니라 무수히 많은 주변의 존재들.....더 나아가선 우주 전체가 그 한 존재와 연결이 되어 있다는 사상입니다. 이 두가지를 완전히 통달한 사람은 세상의 모든것들에 부딛침이 없으며 세상 모든것에 한 없는 감사함을 느끼고 편견과 미움 없는 행복한 삶을 살아가게 됩니다. 불교는 세상을 관통하는 깊은 이치를 알아내 우리 마음속 고통을 소멸시키는 가장 과학적이고 진보적이며 세련된 방법입니다.
@crischoi496
@crischoi496 11 күн бұрын
그것을 비단 불교로 한정 짓는 것은 선을 긋는 것과 같다고 생각합니다
@user-ti5ts5hj2x
@user-ti5ts5hj2x 8 күн бұрын
가족이 묻지마 살해당하면 어떻게해야하나요 불교론적으로? 시비거는게 아니라 진짜 궁금해서그럽니다
@hayeonkim7838
@hayeonkim7838 6 ай бұрын
와 이젠 종교까지 섭렵하시네 ㅋㅋㅋ 오늘도 언제나처럼 어김없이 세상 유익하고 흥미로운 영상 넘 감사합니다 ㅋㅋㅋㅋ
@ih4437
@ih4437 6 ай бұрын
그ㄴ데 불교 철학은 철학을 아는 사람이 지나가는게 이상한거임
@peuna258
@peuna258 6 ай бұрын
@@ih4437ㅇㅈ
@sangyeo_in
@sangyeo_in 4 ай бұрын
아는 사람 여기 지나갑니다
@user-op7tu5yt8r
@user-op7tu5yt8r 6 ай бұрын
지나가던 불자.. 매번 법회마다 아리송한 거 여기서 이마 탁치며 깨닫고 갑니다. 너진똑님 감사합니다 성불하세요~
@god8skyTekken8
@god8skyTekken8 5 ай бұрын
반야심경이 불교의 핵심이 맞습니다. 다른 경전이 필요 없을 정도죠. 반야심경은 색,공의 개념과 이해가 가장 중요합니다. 설명들이 좀 많이 멀어져 있어서 남깁니다. 오온의 핵심은 세상 우주 구성 요성 원자등의 물질을 나눈걸 오온이라 합니다. 오온개공이라는건 반야심경 내용대로 모든 것이 공했다. 왜 그런한가를 풀어 놓은게 색즉시공 공즉시색입니다. 나머지 수상행식도 그러하다 다시 한번 강조합니다. 공이라는 것은 인간 기준으로 생각하면 완전 없는 것이지만 우주의 기준으로 보면 없는 것이 아닌 상태입니다. 비유하면 물건을 태우거나 폭발할 경우 인간 기준이야 아무것도 없는 상태가 되겠지만, 우주의 기준은 기체화 된 상태가 되어 펴져 있는 상태가 됩니다. 눈으로는 안 보이지만 화약 냄새를 맡을 수 있으니 없다 할수 없겠죠? 눈으로 안 보인다 하여 냄새,소리,맛을 느낄 수 있으니 없는게 아니잖아요? 또한 태양계 은하가 대폭발로 멸한다 해도 질량보존의법칙에 의해 멸하는게 아닙니다. 생사를 초월해야 깨달음 열반에 이르게 됩니다. 생사를 초월하려면 이런 현상을 바르게 이해할줄 알아야만 각성할 수 있습니다.색이라는건 인간의 기준으로 존재한다 라는 뜻입니다. 인간 기준으로는 있다 할 수 있지만 우주의 기준으로는 그걸 있다라고 표현하기 매우 부족한 상황입니다. 마치 구름이 생겼다 비가 내려서 사라지는것과 같고요. 금강경에 나오는 여몽환포령 여로여역전 응작여시관 이라는 것처럼 아침이슬은 어떤 시기에는 분명 존재했지만, 해가 뜨면 증발해 없어지는 것처럼 모든 색은 존재한다 생각하는 모든 것은 번개,이슬과 같은 것이라 존재해도 존재한다 할수 없는 상태라는 것을 받아드리고 이해해야만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색은 공이고 공이 색이다 라는 구절이 나옵니다. 생사 또한 이와 같다는 것을 알게 되면 부처의 경지에 이르게 됩니다. 이 상황을 적정열반이라 합니다. 대충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17년 전에 알게 됐으며 세상에 알리고 싶으나 세상 사람들이 진리보다는 돈을 추구하기에 알릴 기회가 없네요
@KIRINJOSEART
@KIRINJOSEART 5 ай бұрын
오, 오늘도 내 영혼에 1포인트 추가 ❤.@@god8skyTekken8
@First_Revolution_Jaeryong
@First_Revolution_Jaeryong 4 ай бұрын
@@god8skyTekken8 잘 봤습니다 ㅋㅋㅋ 사구게를 지니고 다니시나 봅니다.
@user-me8xz1rx6w
@user-me8xz1rx6w 3 ай бұрын
아니 이분이 망치하나를 들고 너진똑님이랑 단둘이 있는 상황에서 지금 뎃글 그대로 말씀하시면 스릴러 한편 나올듯요...;;
@aAgglkw221
@aAgglkw221 3 ай бұрын
​@@god8skyTekken8 반야심경이 뭔데 사람들의 자유의지를 정합니까? ㅎㅎ 세상을 만든게 부처입니까? 개신교의 신만이 자기를 창조주라고 합니다. 특허를 먼저 낸거지요 ㅎㅎ 문제는 그 창조주라는 신이 일방적인 독재자 라는게 문제지만요~
@user-wi8mx2yt5h
@user-wi8mx2yt5h 5 ай бұрын
소리에 놀라지 않는 사자같이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처럼 흙탕물에 더렵혀지지 않는 연꽃 처럼 무쏘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ᆢ부처님 말씀 입니다 ᆢ 결국 공이 먼지 산은 산인 이유 를 스스로 사유 하여 깨닭아야 하는거지요 나무 마하반야 바라밀~
@ahhingk3060
@ahhingk3060 5 ай бұрын
영상 내용자체도 정말 유익하지만 요즘 저에겐 정말 와닿고 위로가 돼요 매 영상 볼때마다 항상 감탄하고 있습니다 계속 영상 만들어주세요!
@lemonadeblue1250
@lemonadeblue1250 6 ай бұрын
편견과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세상만물 그 자체를 있는 그대로 포용하고, 더 나아가 본질까지 생각해보자는 좋은 교훈이네요 오늘도 철학적으로 생각해볼만한 좋은 영상 올려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yan9757
@yan9757 6 ай бұрын
이거지.. 세상진리라고 불리는것들은 본질적으로 탈이데올로기를 의미하는경우가 매우많음
@user-ym8co7gf7q
@user-ym8co7gf7q 6 ай бұрын
본질(본디부터 가지고 있는 사물 자체의 성질이나 모습.)이 없다는게 연기법의 핵심입니다. 사물,감정,사람,상태그 자체에게서 변치않는 어떤 형상이나 성격이 있다 생각하는것이 무명이며 그 무명으로 인해 고통을 받는다는거지요. 예를들어 "내가 재벌인데 이런 대우를 받아야 하나?" 하며 고통을 받는것은 '나'라는 존재가 '대우를 받아 마땅한 고귀한 존재'라는 자성적 사고를 갖기 때문이고, "돈이 없어서 힘들어" 라는건, '돈이 없는 상태'가 '힘든 상태'라는 자성적 사고를 갖기에 고통을 받는것이라는 겁니다. 내가 사장이지만 언제든 부족한 대우를 받을 수 있다는 걸 알고, 돈이 없는 상태가 힘든 이유가 아님을 깨닫는게 고통을 벗어날 수 있는 진리라는 가르침입니다.
@user-lu6nd3pw4n
@user-lu6nd3pw4n 6 ай бұрын
이세상의 존재하는 모든 것들은 한가지로 정의 될수 없다.
@sengtak
@sengtak 5 ай бұрын
​@@user-ym8co7gf7q 와....댓글 보고 소름 돋는거 오랜만이다.
@loloko5465
@loloko5465 5 ай бұрын
@@user-ym8co7gf7q좋은말씀 감사합니다
@Gaon_lee.O_O
@Gaon_lee.O_O 6 ай бұрын
어떻게 이렇게 훌륭한 컨텐츠를 만드실 수 있는지 볼 때마다 정말 감탄스럽습니다. 내가 세상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는지, 이 결과가 어떻게 될지 미약하게나마 깨달았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lalalalaaa3646
@lalalalaaa3646 5 ай бұрын
늘 깊이있는 내용을 간단하고 이해하기 쉽게 알게 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반야심경이 이런 내용인줄 몰랐네요ㅎㅎ남들보다 조금이라도 낫게 살고자 하는 욕심에 인생사의 힘듬이 너무 큰데 그 낫다는 개념조차 다양하고 여러가지일수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ㅎㅎ그래도 삶이 아직 너무 힘든건 제가 아직 도를 덜닦아서인든 합니다ㅠ푸념하고 싶은 하루네요 감사합니다
@jinpli3392
@jinpli3392 6 ай бұрын
'오온이 공하다'라는 말이 정말 와닿아요! 무지개의 빈틈을 느낄 줄 아는 게 정말 소중한 거였네요 종종 제 생각과 감정이 명확하지 않아서 답답했고, 이걸 제 단점으로 생각해서 자신감이 부족했어요. 세상에 정답이란 건 없고 기준이란 것도 없어서 위축될 필요가 없는데도요. 이런 감상도 결국 인간이란 그릇을 타고나서 멋대로 해석한 결과겠지만, 복잡한 세상이더라도 그런대로 사는 게 맞는 것 같아요 오온이 공하니까요ㅎㅎ
@nandemonaiya2
@nandemonaiya2 6 ай бұрын
항상 영상 볼 때마다 느끼는건데, 알려준 지식을 바탕으로 이상한 방향으로 나가지 않게 알려준 내용을 다시 정리하고 또 정리해 주는게 좋은 것 같아요
@loveo6825
@loveo6825 6 ай бұрын
오늘 영상이 최고네요. 너진똑님이 쏘아올린 하나 하나의 인사이트가 한 사람 한 사람에게 평생 삶의 지혜로 남을 것 같습니다. 상투적이지만 진심을 담아서, 늘 감사합니다.
@ehot4216
@ehot4216 2 ай бұрын
이 영상을 만들기위해 공부하고 연구하신게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
@whyohyouj
@whyohyouj Ай бұрын
너무 마음이 편안해지네요... 콘텐츠가 정말 유익하고, 아름답습니다 ㅠㅠ
@kyccdsd
@kyccdsd 6 ай бұрын
지금까지 본 모든 유투브에서 처음으로 댓글달아요...정말유익하네요...당신은 최고에요...
@user-hu9fd4vc4r
@user-hu9fd4vc4r 6 ай бұрын
불교철학에 관심이 많았는데, 간단하게 설명해주셔서 좋네요!!
@user-zc4nb4ow1b
@user-zc4nb4ow1b 6 ай бұрын
와 진짜 대단한 영상입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너진똑님
@johnnydev6591
@johnnydev6591 5 ай бұрын
너무 좋은 내용 잘 봤습니다. 감동이 느껴졌네요
@user-qn7qf9kn7o
@user-qn7qf9kn7o 6 ай бұрын
평소에 흐릿하게 지나가는 생각을 명확하게 설명해주신 것 같습니다.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os3ni9jo8u
@user-os3ni9jo8u 3 ай бұрын
와 진짜 설명 미쳤다.. 평상시 생각하고 있던 내용인데 이렇게 말로 풀어서 표현할 수있다는데 정말 재능이신거같아요 세상이 보이는것이 다가 아니라는 믿음에 확신이 서는 영상이네요 감사합니다
@user-rb9ps7tc8z
@user-rb9ps7tc8z 3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이네요. 나이가 들면서, 이것저것 배우고 경험하며 알 것 같은 파편적 개념들이 영상을 만나 정리되는 것 같아 좋네요. 감사합니다 😊
@user-je7lh5qw9g
@user-je7lh5qw9g 6 ай бұрын
이렇게 좋은 영상들 올려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항상 잘 보고 있어요. 조금이라도 더 가까이 저런 철학들 사이에서 제가 생각할수 있고 이해할수 있는 기회를 재미와 함께 주셔서 정말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몇년전부터 사실 이 세상은 우주의 관점에서보면 다 공허하고 아무 의미 없는게 아닐까 싶었는데, 이 채널을 알고나서 조금씩 그 의문들이 풀려나가는것 같아서 기쁘고 편합니다. 정말 감사드려요.
@NovMojaMoja
@NovMojaMoja 6 ай бұрын
불자가 된지 얼마 되지 않은 사람입니다. 반야심경은 불교의 공 사상을 짧고 굵게 설명해준 좋은 경전이지만 표현이 예스럽고 복잡해서, 이렇게 진입장벽을 낮춰주는 영상이 정말 반갑습니다. 온갖 빛깔을 간직한 세상을 좁은 인식과 집착에 가두는 색안경에서 벗어나면, [ ]이라는 빈 도화지에 색안경에 같혀 여지껏 보지 못했던 빛깔의 아름다운 물이 들것이라고 배웠습니다. 진정한 행복은 바로 [ ]을 터득하고 여러 집착을 내려놓아 만들어진 빈 도화지같은 마음에 든 아름다운 물이고요. 덕분에 공에 대해서 더 잘 다가갈수 있던것같습니다. 부디 너진똑님, 그리고 이 영상을 보신 모든 분들께서도 마음에 여지껏 색안경에 가려 보지 못했던 아름다운 물이 드시길 바랍니다.
@manymanythinking
@manymanythinking 6 ай бұрын
노자?인가
@BOBSEONGSOO
@BOBSEONGSOO 6 ай бұрын
채널 가보니까 23년 10월 10일에 군에 입대했다고 기재되어 있는 데.. 군종병이신가?
@NovMojaMoja
@NovMojaMoja 6 ай бұрын
@@BOBSEONGSOO 종교에 종사하는 보직은 아니구 평범하게 절 다니는 사람입니다!
@bryq-xo8mh
@bryq-xo8mh 6 ай бұрын
반야심경은 공을 설명한 경이라고 하는건 정확하게 이해한 설명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st.constantinus8140
@st.constantinus8140 5 ай бұрын
그걸로 자신을 구원 할 수 있다고 생각하나요?
@mhking6703
@mhking6703 4 ай бұрын
캬~ 역시 불교의 교리는 수준이 매우 높다! 감동의 도가니~
@cerisier0507
@cerisier0507 5 ай бұрын
종교와 상관없이 많은 사람들이 보고 [ ] 의 집착에서 벗어나고 타인과 다른 생각도 너그럽게 받아들일 수 있게 되었으면 좋겠어요. 좋은 영상 정말 감사드립니다!
@paperlogy
@paperlogy 6 ай бұрын
이거지! 레전드영상 감사합니다😊
@hangroooooo
@hangroooooo 6 ай бұрын
와 내용 너무 좋다 이런 걸 볼 수 있다니 미디어와 유튜브의 순기능을 제대로 느낄 수 있었네요 좋은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평소에 조금씩 느끼고 있더라도 제대로 깨닫지 못하면 흘러가 버릴 수 있는 내용들인데 이렇게 정리해서 명확하게 일러주어 뇌리에 각인시켜 기억하게 만들어주는 것이 선현들의 지혜구나 싶어요 평소에도 잘 보고 있었고 감명 받은 내용들이 많았는데 오늘 내용은 정말 지나칠수가 없을 정도로 큰 깨달음을 주었기에 댓글 남기고 갑니다. 바쁜 요즘 세상에 혼탁한 머리속을 말끔하게 정리해주는 정말 좋은 채널이라고 생각해요👍 너무너무 감사드리고 더 많은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졌으면 좋겠네요
@user-jr6qy4fk3p
@user-jr6qy4fk3p 5 ай бұрын
댓글 진짜 안다는데 컨텐츠 너무 좋네요.. 유튜브의 순기능이네요.. 가르치는 학생때문에 힘들었는데 제 안에 제가 갇혀 그 학생을 바라보기 때문에 힘들었던것 같네요 감사합니다
@studiosaltfree1857
@studiosaltfree1857 4 ай бұрын
저는 욕심,집착, 자기 확신이 강한 성격이였는데, 살다보니 문득 알게 되더군요, 이 세상은 내 뜻대로 되는 것도 없고, 그것을 붙잡을수록 더욱 괴로워질 뿐이다. 내가 과거에 알던 것이 지금은 다르게 보이는 건 왜 그럴까 하고 깊이 생각에 빠지다 알게 된 게 '있는 그대로 보지 못했구나' 라고 깨달았습니다. 공사상은 딱 이 포인트인 것 같습니다. 자꾸 내가 보려고 하는 시야,생각에 집착하다 보니 너무나 많은 것을 놓치고 있더군요. 영상 속 무지개처럼 본질을 보려고 하지 않고, 특정 감정과 생각에 사로잡혀 , 보고 싶은 것만 보며 살아가는 것 같습니다. 사실은 아닌데 말이죠 종교와 신앙을 둘째로, 공사상을 한번 씩 알고가면 삶에 큰 도움이 될 듯 싶습니다. 좋은 취지의 영상 감사합니다!
@yoontruelight
@yoontruelight 6 ай бұрын
세계는 곧 나의 인식의 반영이다. -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user-bk4vi6zm9i
@user-bk4vi6zm9i 6 ай бұрын
쇼펜하우어는 불교에 관심이 많았다고 하네요
@Think082
@Think082 6 ай бұрын
⁠@@user-bk4vi6zm9i정확히는 우파니샤드접해서 불교를 알게되엇죠
@user-he9nk2ys4r
@user-he9nk2ys4r 6 ай бұрын
세계는 나의 표상이다.
@user-pl5pu6it5x
@user-pl5pu6it5x 6 ай бұрын
딱 그 시기부터 유럽의 지식인들이 미대륙과 아시아를 방문하면서 새로운 사상들을 받아들이던 시기입니다. 쇼펜하우어, 하이데거, 니체, 아인슈타인, 칼융, 하이젠베르크 전부 동양사상에서 영향을 받았지요.
@ChunSik262
@ChunSik262 4 ай бұрын
@@user-pl5pu6it5x 양자역학의 시작 ㄷㄷ
@crazygamecat
@crazygamecat 6 ай бұрын
진짜 너진똑님 영상은 항상 재밌고 유용한것 샅아요ㅎㅎ
@user-xw9nh9bd1m
@user-xw9nh9bd1m Ай бұрын
너진똑님 감사합니다. 정말 이해가 쉽게 만들어주셨네요 ㅎㅎ 한번에 이해하고 복습하기에도 좋은영상인거같아요.
@rinaj9478
@rinaj9478 4 ай бұрын
좋은 콘텐츠 감사합니다. 또 하나를 배우게되네요
@christinajeon3957
@christinajeon3957 6 ай бұрын
자료조사랑 대본 쓰시는 분들 대단하시네요^^ 좋은 채널 만들어주셔서 감사해요. [ ]의 삶을 실천해보도록 할게요. 😊
@user-lb3gz1fs5r
@user-lb3gz1fs5r 6 ай бұрын
이번 영상 너무 좋네요! 불교에 대한 이해도 없이 그냥 왠지 절에 가면 마음이 편안해져서, 뭐든 상관없을 것만 같아서 불자가 되고 싶었던 사람인데요 제가 벗어나지 못했던 많은 고정관념과 속단들을 타파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것 같아 보다 더 기대게 되네요 ㅎㅎ,,, 같은 대상이어도 인식하는 주체에 따라 그 개념이 달라지고, 그 대상이 변함에 따라 인식이 달라질 수 있기에 어떠한 대상은 사실 그 자체로 [ ] 이다. 이 빈칸을 채운다는 것은 인식 대상의 다양한 면을 배제한 체 착각에 빠질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착각은 누구든지 할 수 있기 때문에 타인이 어떠한 생각을 갖든 타인을 이해할 수 있으며, 나 스스로는 모든 것에 대해 빈칸을 남긴 채 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랄까요 제 이해력이 딸리지만 저에게는 이렇게 다가오네요 ㅎㅎ 인간관계에서도 적용되는 것 같아요 전 항상 '저 사람은 날 왜 싫어할까?' '저 사람은 왜 이렇게 생각할까?' 하면서 살았거든요... 혼자 상처받고 근데 타인에게 저도 하나의 객관적인 '대상'이고, 사람에 따라 저를 생각하는 방식은 다르며, 그 방식도 다양하게 바뀌어갈 수 있기 때문에 타인의 생각, 평가에 절 가두지 말고 있는 그대로의 나 자신을 받아들여야한다는 생각이 드네요ㅎㅎ 그러니 마음이 좀 편안해집니다... 뭔가 예전 영상의 '이방인'에서 전하고자 하는 메세지랑 유사하면서도 다른 듯요ㅎㅎ 요즘 바빠서 그냥 물 흘러가듯이 아무 생각도 안 하고 살아왔는데 많은 생각을 하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또 좋은 영상 기대할게요! 다양 종교들의 이념도 궁금해집니다 ㅎㅎ
@bumbleb5937
@bumbleb5937 3 ай бұрын
매번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peppermint4775
@peppermint4775 Ай бұрын
영상의 내용이 조금씩 잊혀질때마다 돌려보았는데 열번을 들어도 항상 좋은내용 같습니다. 훌륭한 영상 감사합니다
@user-lj3dd5vs5t
@user-lj3dd5vs5t 6 ай бұрын
ㅋㅋㅋㅋ영상 볼때마다 침소리랑 궤소리가 많이나와서 너무 좋아요ㅋㅋㅋ
@user-ce3xx1gm2n
@user-ce3xx1gm2n 6 ай бұрын
최고의 강의입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많이배웁니다
@ginapark8966
@ginapark8966 5 ай бұрын
우연히 보고 들어왔는데, 정말 많은 생각을 하게 되네요. 그릇너머의 본질을 보는 힘을 기르는 것이 수행, 잘 배워 갑니다.
@user-sb3ti1hh9x
@user-sb3ti1hh9x 2 ай бұрын
공부많이 하셨네요 잘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bryq-xo8mh
@bryq-xo8mh 6 ай бұрын
오늘도 좋은 영상 잘봤습니다! 너진똑 님이랑 다소 다른 의견이 있어 몇자 적어봅니다. 영상에서 고집멸도라는 말을 적어주셨는데 반야심경에 더 맞는 말은 지관겸수가 아닐까 합니다. 중요한 단어도 오온이나 공이 아니라 관찰과 지혜라고 생각해요. 그래서 저는 반야심경을 이렇게 요약해봅니다. "깊은 지혜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몸과 마음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을 관찰해 들어가서 그것들이 모두 실체가 없는 것 임을 알아야 한다"
@user-vr4jx2cn4c
@user-vr4jx2cn4c 6 ай бұрын
지나가는 불자입니다, 이렇게 소중한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_()_
@user-hh4tg2ir1p
@user-hh4tg2ir1p 25 күн бұрын
대박~~!! 완전 이해하기쉽게 설명해주셔서감사합니다 예시들어주시니 더잘들립니다 구독~꾸욱~!! 이걸 첨봐서 다른것도 궁금하네요
@xoxosh
@xoxosh 5 ай бұрын
항상 감사합니다 :)
@user-hf2dc4sb2i
@user-hf2dc4sb2i 3 ай бұрын
반야심경 이정도로 알기쉽게 설명하시는분 처음보네요 감사합니다 수행하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user-xl5xt2hx4c
@user-xl5xt2hx4c 6 ай бұрын
일체유심조를 비롯해 사람의 인식을 중시하는 콘텐츠들은 대부분 "모든 것은 마음가짐에 따라 바뀌는거야! 긍정적 확언을 하며 원하는 것을 끌어당겨봐!" 같은 결론을 내리고 끝내는데 여기에 갈!을 날리니 시원하네요 ㅋㅋㅋㅋ
@parksunneo
@parksunneo 6 ай бұрын
공감 끌어당겨로 안넘어가서 정말 다행이라고 느낌 너지똑 진짜 똑똑함
@user-rw5ty7rz2o
@user-rw5ty7rz2o 2 ай бұрын
일체유심조를 흔히 그렇게 비유하지만 제가 생각하기엔.. 그걸 말하고자 하는게 아닙니다 오히려 이 영상을 볼수록 일체유심조와 유사 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일체유심조를 설명하는 예시를 하나 꼽자면 절반의 물이 담긴 잔이 하나 있습니다. 그것을 보며 한 사람이 물이 절반 밖에 안남았네? 다른 한 사람은 절반이나 남았네? 라고 답했습니다. 두 사람이 같은 잔을 보았지만 결국, 자신의 마음에 따라 다르게 인식 하였다는 것이죠 이처럼 연관지어 말하자면 "공하다"와 일체유심조가 말하고자 하는게 같은 맥락이라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이것도 저만의 생각 입니다. 그래서 "공하다" 라고 하는가 봅니다.
@user-jf9sy4yw6g
@user-jf9sy4yw6g Ай бұрын
​@@user-rw5ty7rz2o이분이 말하고자 하는건 일명 이끌림 이론으로 불리는 사이비 사상으로 물잔이 콜라잔으로 바뀌길 바라는 사람들이 믿는 사상에 대한 비판입니다.
@user-jo1cs5xn6c
@user-jo1cs5xn6c 5 ай бұрын
대단히 감사합니다.
@unikon88
@unikon88 28 күн бұрын
알듯 말듯,,,,뭔가 많이 생각하게 만드는 컨텐츠이네요. 엥간히 오래 수행하신 분들보다 심오하고 명쾌하십니다. 감사합니다.
@user-rv2hj5ff4d
@user-rv2hj5ff4d 6 ай бұрын
스즈메의 문단속의 이모가 말하는 부분에서 눈물이 찔끔났어요...ㅠㅠ 2년전 불교 대학을 다니며 '오온이 공하다' 라는 진리가 너무 좋아서, 게임 닉네임을 오온이라는 이름으로 바꿀정도로 계속 머릿속에 담아두고 싶었는데, 인간 육체로 살다보니, 역시나 까맣게 잊고있었네요..^^;; 너진똑님 덕분에 다시금 기억이 났어요!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_ _) 현재는 영성 공부를 하고있는데, 그 쪽도 나중에 다뤄주시면 참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용ㅎㅎ
@mango4352
@mango4352 2 ай бұрын
마지막에 뭔가 가슴에 와닿았습니다 감사합니다
@yluenea
@yluenea 4 ай бұрын
인생은 스펙트럼과 그 사이 어딘가에 나만의 균형을 찾아 살아간다는 생각으로 살다가 이런 영상을 보니 머리속이 정리가 되는 느낌이네요. 다시 찾아와서 봐야할 만큼 울림이 큽니다. 이런 좋은 영상을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rr1ro1cp1i
@user-rr1ro1cp1i 3 ай бұрын
말투 컨텐츠에 너무 잘어울리는데...재밌어요 영상 재밌게봤습니다 진짜 똑똑하세요~
@user-ti9jm6nb6s
@user-ti9jm6nb6s 4 ай бұрын
부처님의 공사상을 [ ] 빈 칸으로 표현하심에 느끼는 바가 많았습니다. 빈 칸에 무언가가 꼭 채워져야되는 것이 아닌 그냥 비워있는것이 진리라는 말씀이 기억에 남네요. 영상 감사합니다.
@user-zr3ek1ib2p
@user-zr3ek1ib2p 4 ай бұрын
공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면, 텅빈중에 가득하고, 가득한중에 텅빈 온전함. 오온이 공한데, 공한 그대로 온전함을 깨달아야 ... 지금 공한 그대로 온전함을 알겠습니까? 알았다 해도 공이요. 모른다 해도 공이니.. 항상 늘 온전함을 알겠습니까? 생각으로 알려하고 이해하려는 순간 이미 어긋났습니다. 생각의 노예 머슴이 되지 말고, 직접 곧장 .......\\딱//
@user-ti9jm6nb6s
@user-ti9jm6nb6s 4 ай бұрын
@@user-zr3ek1ib2p 성불하십시오 _()_
@user-hu9fd4vc4r
@user-hu9fd4vc4r 6 ай бұрын
평소에 편견을 많이 갖고 살았던게 아닌가 생각하게 되네요!!
@MC_2KY
@MC_2KY 3 ай бұрын
처음보는 채널인데 한편보고 감명받아 구독 꾸욱~
@rim3373
@rim3373 2 ай бұрын
정말 감사합니다! 푹 빠져서 하나하나 새겨봤네요.
@user-zc4xl9hi9i
@user-zc4xl9hi9i 11 күн бұрын
유튜브 보면서 댓글 잘 안다는 사람입니다만.. 지금까지 영상들 제작한 것 보고 대단하다고만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번 영상보니 존경스럽다고까지 생각이 드네요 좋은 영상 항상 감사합니다.
@user-gw9pc4ym9s
@user-gw9pc4ym9s Ай бұрын
영상 진짜 잘 만드셨네요 대단해요. 불자님 감사합니다
@user-ny9vs4if7n
@user-ny9vs4if7n Ай бұрын
너진똑님 정말 감사해요. 이번 영상은 오프라인으로 저장해두고 아껴두다가 이제 읽습이다ㅋㅋㅋㅋ 아마 너진똑님을 시작으로 책을 읽은거 아닌가 싶습니다. 여기서 본 영상을 토대로 다른 고전을 읽기 시작하고 삶의 방향을? 저의 취미를 좀 더 의미있게 해주셔서 정말 감사해요. 고맙습니다.
@user-cz4ne8vv5m
@user-cz4ne8vv5m 2 ай бұрын
와.. 매우 신선했습니다. 어려운 설명을 쉽게 해석해주고 그림으로 보니 더 잘 이해가 되네요. 감사합니다
@ink____
@ink____ 6 ай бұрын
진심으로 이 채널이 오래 가기를 바랍니다....이런 양질의 채널이 더 많아지고 오래가길
@user-uy8jm6ky6r
@user-uy8jm6ky6r 6 ай бұрын
진짜 이렇게 받아들이기 쉽게 요약해주고 설명해주다니 감사합니다.
@yeop_seon
@yeop_seon 3 ай бұрын
매일 한번 씩 보며 깨닳음 얻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tj3zv8vr7c
@user-tj3zv8vr7c Ай бұрын
낼름 내름 할짝할짝 잘먹었습니다 계속 플레이하고싶은 강의 ❤ 요런 좋은강의라니 그 공덕으로 세상 복 너진똑님 다 받으셔요
@hyoseok7562
@hyoseok7562 6 ай бұрын
제가 불자도 아닌데 정말 힘들때 반야심경 해석본을 듣고 다녔어요ㅠㅠ 좋은 컨텐츠 감사합니다.....
@maxlsy0000
@maxlsy0000 4 ай бұрын
지금껏 읽은 반야심경중에 제일 이해가 잘된 전달 매체였습니다. 산이었는데 산이 아니다가 다시 산으로 되돌아 왔더니, 님덕분에 이제는 처음의 그산이 아니었네요. 감사합니다
@KHBang-qy3fq
@KHBang-qy3fq 3 ай бұрын
이영상으로 인해 많은 도움을 받네요 감사합니다 구독하고 갑니다
@user-no7qr5qk8n
@user-no7qr5qk8n 5 ай бұрын
볼때마다 느끼는 건데 님은 정말 천재임.. 그리고 정말 고맙고 고맙습니다!!!
@parksunneo
@parksunneo 6 ай бұрын
영상 정말 좋네요 또 참 좋은세상이라는 생각도 하고 갑니다 수천년 역사속에서 평생을 바쳐 닦아도 아리송한 상태로 하직하신분들이 많으실거라 생각하면 물론 영상한편에 다 담을수는 없는 내용이지만 이렇게 정수를 짚어 주시니 수생의 수행이 압축되는 듯 합니다
@dorams9865
@dorams9865 6 ай бұрын
인간으로서의 한계를 인정하라는 것이 정말 큰 도움이 됐어요. 좋은 책을 읽고 대가리가 깨졌을 때의 기분이 드네요 고맙습니다
@minpark4456
@minpark4456 Ай бұрын
진짜 심오하다 구독했어요 이런거 마니올려주세요
@sang_yi
@sang_yi Ай бұрын
와..... 진짜 이걸 이렇게 쉽고 재밌게 요약한게 놀라워요. 저는 책으로만 강의로만 딱딱하게 공부했었는데, 정말 좋은 영상이네요.
@user-ct3iy7ms7l
@user-ct3iy7ms7l 6 ай бұрын
관심있던 주제였는데 솔직히 볼 엄두가 안났습니다. 이번에 다뤄주셔서 감사합니다.
@shine-abundantly
@shine-abundantly 6 ай бұрын
너진똑님!! 어려운것을 유쾌하고 누구나 쉽게 느낄 수 있게 풀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종교를 떠나서 시대를 거쳐간 모든 성인들이 들려주는 이야기는 같지 않을까요^^? 다만 우리 인간이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달라지는것이겠지요^^ 전 세계 80억 인구중 같은 생각을 하는 사람은 단 한사람도 없으니까요^^ 즐겁게 시청하고 갑니다.^^ 구독 좋아요~ 꾸욱^^
@user-zv6zr7jh5r
@user-zv6zr7jh5r 5 ай бұрын
항상 제 생각의 범위 너머의 생각으로 가르침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영상 잘보고있습니다
@tv-tg7777
@tv-tg7777 Ай бұрын
배울게 많은 영상이네요 오늘 처음 접했는데 좋네요❤🎉
@Sunbed-Service
@Sunbed-Service 6 ай бұрын
반야심경을 공부한지 얼마 안됐는데 이렇게 좋은 영상을 만나게 되어서 기쁩니다! 반야심경에는 공과 무라는 글자가 많이 반복돼서 나오는데 진똑님이 말하신 것처럼 여기서 '비었다 없다'는 주로 '경계가 없다.'라는 말로 해석되곤 합니다. 사람에 따라서 학자에 따라서 이 경계없음을 풀어내는 방식이 다르고 다양한데, 진똑님은 현시대의 우리들에게 가장 어울리는 해석으로 설명해주신 것 같습니다. 다시 한 번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user-rg5ym3fh7o
@user-rg5ym3fh7o 6 ай бұрын
이게 설득이 되네요
@Angst444
@Angst444 6 ай бұрын
반야심경 공부를 시작해보려는 중학생입니다. 어떻게 공부하시는지 알려주실 수 있나요..?
@IIllIll
@IIllIll 5 ай бұрын
@@Angst444서점에가서 수준에 맞는 책을 찾아보세요ㅜ 그게 시작입니다
@user-zr3ek1ib2p
@user-zr3ek1ib2p 4 ай бұрын
마음공부가 깊어지면, 반야심경 260자도 필요 없고, 한단어 한글자도 필요 없음을 알게되지요. 반야심경 에서 오온이 공하고 하는 말은.. 오온이 공한 그대로 온전함을 말합니다. 오온이 공한 그대로 온전하고, 수상행식이 공한데 공한그대로 온전하며, 안이비설신.색성향미촉법.태어나고 늙고 병들고 죽고 괴롭고 힘들고 즐겁고 좋거나 나쁘거나 말거나 . 있거나 없거나 말거나. 모든것 이 다 공한데, 공한 그대로 온전하다 라는 것을 설한 반야심경 입니다. 생각으로... 좋다 나쁘다 이렇다 저렇다 뭐하다 . 망상만 일으키지 않으면, 잡념에 노예 머슴이 되지 않으면, 언제나 항상 늘~ 지금 이와같이 여여함을 보게 될것 입니다.^^
@inyeon6757
@inyeon6757 Ай бұрын
​@@Angst444반야심경공부를 시작해보려 한다는게 좀 어불성설입니다 ㅎㅎ 이 영상만 잘 이해하셔도 공부한답시고 찾지않으셔도될것같아요
@KJJ180
@KJJ180 6 ай бұрын
참..... 눈내리는 오늘 참... 많은걸 배웁니다 22분50초가아니라 이상한 시간여행을 한것같아요 감사합니다
@thefoodfitness
@thefoodfitness 4 ай бұрын
와 머릿속의 떠다니는 것들이 문장으로 깔끔하게 정리가 되는 기분!!
@the.muffin
@the.muffin 29 күн бұрын
설명 이해하기 쉽게 너무 잘하셨어요 감사합니다
@Gi-na78
@Gi-na78 4 ай бұрын
똑똑한게 아니고 천재이심!! 이 어려운 내용을 이렇게 쉽게!!
@user-ef5hx9sh2o
@user-ef5hx9sh2o 6 ай бұрын
너진똑님은 책을 정말 하루종일 읽으시나요…?어떻게 이렇게 잘 정리하시고, 그걸 영상으로 만드실까요…진짜 당신의 문해력 훔치고 싶네여..ㅎㅎ 영상 오늘도 잘보고 가요!
@user-je1fu1tt2v
@user-je1fu1tt2v 5 ай бұрын
정말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sya9395
@sya9395 4 ай бұрын
너무 좋은 영상입니다. 영상 내용을 들으니 어떻게 삶을 바라봐야할지 조금 도움이 되었답니다. 감사합니다 ❤
@user-gn8ty6hg2u
@user-gn8ty6hg2u 6 ай бұрын
최고의 강의입니다
@dd9589
@dd9589 6 ай бұрын
진짜 이런걸 다뤄주는 유튜보가 있다는게 순기능인듯하네요 짧은 시간으로 농축된 지혜를 얻을 수 있다는게 기모찌입니다
@user-gs6lc3ry1w
@user-gs6lc3ry1w 8 күн бұрын
이야~~~ 이런 영상을 만들어주셔서 감사해요. 시각이 달라지네요
@user-ro5gf2vg6e
@user-ro5gf2vg6e Ай бұрын
진짜영상좋다 감사합니다😊
@iyk-cc8lt
@iyk-cc8lt 6 ай бұрын
종교자체에 지식이 깊지는 않지만 불교라는 종교가 무언가 더 부드럽게 다가오는 이유는 솔직함으로 느껴지는 부분이 있어서 인것 같다는 생각을 했었었는데, 영상을 보니 비슷한 결을 가지고 있었다는 느낌을 받게해주네요. 영상 잘봤습니다. 오늘도 좋네요!
@bind1725
@bind1725 4 ай бұрын
아.. 어린왕자 영상이후로 이렇게 감동이 찐하게 온건 처음이네요 .. 너무 감사합니다
@KYD97
@KYD97 2 ай бұрын
이 영상을 통해 처음 알게된 채널인데 너무 유익하고 좋은거같습니다... 이런 유익한 채널을 찾으려 오랫동안 해맨거같은데 광명을 찾았네요. 구독 누르고 앞으로도 자주 뵙겠습니다😄
@g.m.trading.970
@g.m.trading.970 Ай бұрын
아니어떻게 이런 영상을 만드실수가있는지... 덕분에 감탄에 감탄을하며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seongsei
@seongsei 6 ай бұрын
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
@user-xu4ci7im9i
@user-xu4ci7im9i 6 ай бұрын
너진똑 진짜 폼 미쳤다… 작년부터 폼이 엄청 올라왔다고 생각했는데… 일년 넘게 고퀄 영상으로 폼 유지하시는게 진짜 대단하시네요… 오늘도 배우고 갑니당 좋은 영상 매번 감사합니다❤
@user-uu4ps3ec1v
@user-uu4ps3ec1v 25 күн бұрын
재미있고 쉽게 설명해준 영상이네요 감사합니다 ~ ^^
@josephkims
@josephkims 6 ай бұрын
영상 말미에 눈물이 나네요~ 잘 봤습니다.
Why exactly are poor people poor?
15:57
너진똑 NJT BOOK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How to Toughen Up While Criticizing Others
30:49
너진똑 NJT BOOK
Рет қаралды 536 М.
Каха ограбил банк
01:00
К-Media
Рет қаралды 3 МЛН
Они убрались очень быстро!
00:40
Аришнев
Рет қаралды 3,2 МЛН
Would you like a delicious big mooncake? #shorts#Mooncake #China #Chinesefood
00:30
니체와 불교 : 유럽의 붓다가 되고자 했던 니체, 그 이유는 무엇인가?
24:26
지혜의 빛 : 인문학의 숲
Рет қаралды 269 М.
Don't Be Deceived Anymore [Influence: Science and Practice]
17:16
너진똑 NJT BOOK
Рет қаралды 914 М.
[FAUST] tried making it into an anime
25:13
너진똑 NJT BOOK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하버드대 뇌과학자의 깨달음
9:09
심리학 고양이: 새로운 마음의 습관
Рет қаралды 938 М.
[Sapiens] Masterpieces that everyone agrees on
15:26
너진똑 NJT BOOK
Рет қаралды 927 М.
[The Millionaire Fastlane] We'll make it feel like you've read it 100 times
18:51
너진똑 NJT BOOK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