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장비 모터제어 기술 PLC에서 SW로 무게이동

  Рет қаралды 56,719

디일렉 THEELEC

디일렉 THEELEC

3 жыл бұрын

반도체 장비 모터제어 기술
PLC에서 SW로 무게이동
기사링크
(www.thelec.kr/news/articleView...)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디일렉 공식 홈페이지 (www.thelec.kr)
디일렉 네이버TV (tv.naver.com/thelec)
디일렉 팟캐스트 팟빵(www.podbbang.com/ch/1774594)
디일렉 페이스북( / koreathelec )
#PLC #소프트웨어 #소프트모션앤로보틱스 #자동화 #모터제어기술

Пікірлер: 105
@user-xn7bu9xj8y
@user-xn7bu9xj8y 3 жыл бұрын
항상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user-rq4fw3vo1n
@user-rq4fw3vo1n 3 жыл бұрын
많은 지식을 얻고있습니다^^ 감사드려요~~
@user-gq4ch4jj5d
@user-gq4ch4jj5d 3 жыл бұрын
항상 감사드립니다
@user-bl1qi5ce7e
@user-bl1qi5ce7e 3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bo6bg4jt5p
@user-bo6bg4jt5p 3 жыл бұрын
PLC에서 PC sw로 자동제어 전환 , 잘 시청했씁니다. 🦆🦆
@gorliaths
@gorliaths 2 жыл бұрын
댓글을 보니 뭔가 PLC vs PC 제어의 싸움이 된거 같은데.. 현직자 입장에서는 이렇습니다. 1. PC제어가 필요한 장비는 예전부터 PC제어를 했고, 전통적인 PLC 제어가 필요한 장비는 PLC를 썼습니다. 밑에서도 언급한 반도체 장비는 예전부터 PC제어를 많이 썼고 오래됐습니다. 휴대폰이나 소형 검사장비도 PC제어 많이 쓰죠. 2. PC제어가 PLC제어를 바꾼다기 보다, 기존 PC제어시장을 비집고 들어간다는게 클거 같습니다. 기존 PC모션제어 시장도 국내에서 작은편은 아니고, 같은 PC제어 하고 있는 분야를 뺏기 더 쉬우니까요. 3. PLC제어는 일반기계, 디스플레이, 자동차 뭐 어느 분야나 범용으로 쓰니까 사용가능한 인력도 찾기 쉬워요. 하다못해 인력개발원이나 전문대에서도 가르치는게 미쓰비시 plc, LS plc 니까요. 4. PLC를 PC제어로 바꾸기는 상당히 힘든면이 많습니다. 아무데서나 쓰는 범용분야에 PC제어 들이미는건 아닌거 같고요, 수십년된 전기꼰머 엔지니어들이 쉽게 바꾸지도 않아요. 5. 그리고 밑에 1ms도 아까운 회사들은 통신이 아니라 펄스제어 한다 하시는데, 국내에 유명한 반도체 후공정 장비회사들도 이미 통신으로 넘어간지 오래됐습니다. 아직도 펄스제어 하는곳 있죠, 하지만 대세는 이미 통신입니다.
@p0042
@p0042 3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은 정보입니다. 10만, 100만 구독자 돌파가 기대됩니다. 실은 혼자만 알고 싶어요 ~~ ㅋ..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mr4kh2fw4l
@user-mr4kh2fw4l 3 жыл бұрын
굿 ^^ 최고 ㅋ 대단하십니다.
@user-vn2ph7zf3s
@user-vn2ph7zf3s 3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봤습니다. 그런데... 객관적으로 분석하기보다는 주관적인 분석이 많다고 보여집니다... 1. plc에서는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전용 프로토콜을 사용함으로, 타메이커를 사용할수 없다는 건 통신방식의 서보일경우 이고 범용인 pulse 타입으로 선정시 어떤 plc에서도 타 메이커 서보 사용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실제 1ms도 아깝다는 고속 설비들은 통신으로 하는 서보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통신delay 때문이지요.. 1-1. plc 제조사에 따라 제공하는 전용 프로토롤을 말씀하셨는데, 이더캣 또한 범용 프로토콜로, 서보메이커에서 지원을 해줘야 사용이 가능합니다. 2. plc에서 20~30축 이 최대 사용 갯수라고 하셨는데, 솔직히 해당 영상의 기업을 띄워주기위한 내용으로 밖에 안보여 집니다. 3. 모션앤 로보틱스라는 회사에서 이더캣 관련 소프트웨어를 하드웨어 가격보다 저렴하게 공급할수 있는지가 관건으로 보입니다. 4. plc는 사양산업 : 아래 어떤분께서 말씀하셨듯이. 약 20년전에도 이런말들이 나왔으나, 현재까지 사용함은 물론, pc단독 제어시 버그, os안정성 문제, 바이러스 등의 문제로 단독 사용보다는 plc와 병행 사용이 더 많습니다 5. pc프로그래머를 깔보는 것은 아니나, 제가 여지껏 만나온 pc프로그래머는 하드웨어 관련된 지식은 거의 알지 못했으며, 센서하나 입력이 안들어 와도, 배선팀을 결국 불러 들였고, plc와 상호 통신을 할경우 버그를 찾지 못해, 몇주 이상 시간 허비하는 경우가 태반 이였습니다. 물론 제가 실력이 없는 분들만 만나서 일지도 모르겠으나, 저도 업력이 20년 되어 가는 사람으로서 경험을 토대로 말합니다.
@user-nq2fb2rq7t
@user-nq2fb2rq7t 3 жыл бұрын
공감가는 댓글입니다. 사실 이 영상은 가장 기본적인 사실을 왜곡할 수 있는 포스팅입니다. 국내 제어기술 수준의 민낯을 가감 없이 보여주고 있다고나 할까요. 1. PLC의 주 기능은 모션제어가 아닙니다. 정밀도와 실시간성을 희생하면서 선택할 수 있는 가성비 높은 차선책 중 하나입니다. 2. PC 제어는 HW 비용과 현장 대응 인건비를 절감하기 위한 차선책으로 PLC와 마찬가지로 정밀도와 실시간 제어에 단점이 있습니다. 2-1. PC의 CPU가 처리할 수 있는 통신의 bandwidth는 수십 us(백만분의 1초) 수준으로 높지만 모션제어를 위한 주변기기와의 sync를 안정적으로 가져갈 수 있는 수단이 없어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배보다 배꼽이 커지는 제어장치를 붙여줘야 합니다. 이와 같은 모델로 세계시장을 잡고 있는 회사가 바로 EtherCAT 프로토콜을 시장에 내놓은 독알 Beckhoff 사 입니다 2-2. 기본적으로 PC는 범용 컴퓨터입니다. 실시간 제어와 외부 인터럽트 처리에는 맞지 않는 것인데, 수학적인 계산, 다양한 GUI를 쉽게 할 수 있어서 어차피 PC를 사용해야하는 설비운용 프로그램에 모션제어까지 함께 할 수 있게 하는 구성에서 선택할 수 있는 차선책입니다. 3. 기존에도 PC 기반의 모션제어가 오랫동안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설비 모션제어에 사용되어 왔습니다. 본 영상에서 선전하는 회사는 여기에 PLC 기능을 더한 제품을 공급하는 것입니다. PC 기반 NC (Beckhoff, Fagor, Delta Tau, 등)와 정통 PLC (Mitsubishi, Siemens, Fanuc, Omron, 등)의 틈새시장을 공략할 목적으로 내 놓은 제품을 선전하고 있는 포스팅입니다. 기술을 소개하는 포스팅으로 보긴 어렵겠습니다.
@user-kp1he7oe3g
@user-kp1he7oe3g 3 жыл бұрын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올해 PLC 경력 4년차의 초짜 엔지니어입니다. 하신 말씀에 전부 동의를합니다. 저는 solar cell 양산하는 장비를 제어하는데, 다른 반도체 장비 회사를 보면 제어파트에 거의 다 pc제어 하는분들을 뽑던데, 반도체 장비를 본적이 없어서 그런지 왜 유독 반도체 장비들은 Plc 제어보다 pc제어를 선호 하는지 알수있을까요?
@user-ul1xy4zo5k
@user-ul1xy4zo5k 3 жыл бұрын
5번 진짜 격하게 공감 하고갑니다..
@user-uc3cb1xe1k
@user-uc3cb1xe1k 3 жыл бұрын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user-tf8ts3nb4z
@user-tf8ts3nb4z 3 жыл бұрын
이런 기초, 기본적인 기업이 살아야 3차, 4차 산업도 뿌리가 튼튼하게 자랄 수 있는겁니다.
@user-px8re9qd5t
@user-px8re9qd5t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qv6of6qw6u
@user-qv6of6qw6u 3 жыл бұрын
수박 겉핧기의 지식으로 PLC를 PC가 대체할 수 있다라고 보는건 무리입니다. 어느정도의 분야는 적용하더라도 PLC를 완전대체할 수는 없어요. PC가 빨라져서 가능하다라고 보는 눈은 단편만 보는겁니다. 그냥 이런종류의 사업을 하는 사람들도 있구나라고.....생각해야죠.
@yangheonlee4051
@yangheonlee4051 3 жыл бұрын
PLC에 대한 전문지식이 조금만 있어도 이런식으로 영상제작은 하지 않았을거에요. 흘려봐야죠
@airheater6245
@airheater6245 2 жыл бұрын
수고하셨어요
@user-bz1du4eu8p
@user-bz1du4eu8p 3 жыл бұрын
지멘스도 pc기반으로 옮겨갑니다. 지금 simotion은 트러블이 없다고봐도 무방하구요. 지금의 plc 최대의 단점은 hmi를 따로 또 개발해야하는거죠. 그리고 지나치게 복잡합니다. 제일 큰 차이는 pc기반 제어가 머신비젼 개발에 훨씬 유리하다는거죠.
@user-bv7fp5nw6k
@user-bv7fp5nw6k 3 жыл бұрын
AB PLC제품 사용해서 11년가량 현업에서 근무 하고있지만 영상포인트는 모터제어쪽 관련해서 중점을 두고 계신거 같네요 oil&gas /raw water /wwt 등 타 산업플렌트에서는 plc 많이 사용되고 있지요 모션제어나 모터제어등 일관적인 제어들은 pc 제어도 당연히 훌륭하다고 봅니다. 다만 센서나 계기류들이 많이 장착되어지는 플렌트에서 pc제어가 쉽게 접근할수있을지는 아직 의문이네요 이더넷을 통한다면 쉬운접근이겠지네요
@Ssstar-
@Ssstar- 2 жыл бұрын
틈틈히 pc제어도 배워둬야겠네요
@DHLEE-nv7ph
@DHLEE-nv7ph 3 жыл бұрын
PLC스캔속도는 현재 지멘스 s7-1500기준으로 나노세크급이구요.. 128축 모션컨트롤러로 충분히 가능하고요.. 아래 글들 읽어보앗는데 모터를 제어하려면 전기전자 구조상 드라이브를 통해서 제어해야하는데 이건 PC도 마찬가지고요 아랫글들 읽어봤는데 모터나 드라이브 지식이 없는글들도 있네요 모터제어할라믄 모터구조와 드라이브에 대한 이해필수인데 다들 오토튜닝만 하셨나ㅋ 포지션컨트롤러만 모터제어가 아닙니다.. 지멘스나 Abb 로크웰가튼 회사들은 괜히 잇는게 아닙니다ㅋㅋ
@user-no1oe2rg1v
@user-no1oe2rg1v 3 жыл бұрын
주식투자때문에 이채널늘 보는데 현업에서의 트랜드도 읽어가네요
@user-ry9sz2vg5e
@user-ry9sz2vg5e 3 жыл бұрын
코로나 조심하세요. 건강하세요
@user-zs9mr1rk4y
@user-zs9mr1rk4y 3 жыл бұрын
내가 본 방송 중 퀄리티 가장 높음~이런방송을 무료로 볼수있는게 대박이네요
@panic4094
@panic4094 3 жыл бұрын
20년전에도 앞으로 PC가 발전해서 PLC가 없어진다고 했었죠 근데 안정성 및 범용성에서 PC가 PLC를 대체 할 수 없더라고요
@user-ul1xy4zo5k
@user-ul1xy4zo5k 3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전직장이 PC로 서보드라이버 통해 모터제어했는데 오류가 상당히 많아서 안정화하는데도 오래걸리고 여러모로 불편하더라고요 차후 문제도 좀 그렇고.. 그래도 미래지향적으론 SW로 가는게 맞아보이긴하네요 ㅜㅜ
@mpdp4376
@mpdp4376 3 жыл бұрын
Cnc 제어도 mach3 라는제품이ㅡㅡ
@cutebear2w2m7
@cutebear2w2m7 3 жыл бұрын
PC 성능 좋죠... 안정성이 아직 문제인듯.. 해결되면 최고죠.. PLC는 10년써도 고장안나는데 PC는 3~4년쓰면 마더보드, 파워서플라이 등.. 고장나기 시작해서. 이부분 고쳐지다면 PLC 없어져도 될듯하네요.
@RonaldJung86
@RonaldJung86 2 жыл бұрын
자동차 제어는 어디쪽에 속하나요?
@digitect38
@digitect38 4 ай бұрын
안정성은 PLC, 범용성은 PC.. 이젠 PC도 안정적
@assembly5917
@assembly5917 3 жыл бұрын
기우인지 몰라도.... 문제발생하면 코딩한걸 다 훑어보거나 새로 코딩을 해야 한다는 점은 약점이 될 수도 있겠네요. plc는 제어값만 바꿔주면 간단히 수정될 수 있으니까요. 여튼 장점은 많아보입니다.
@filterkalman4647
@filterkalman4647 3 жыл бұрын
이런 부분 때문에 모션 제어는 PLC로 납품해달라는 업체들도 있죠. 현장 이야기 들어봐도 PLC는 뭔가 수정할께 있으면 어떻게든 하겠는데 C 는 못 건들겠다고들 하구요 ㅡㅡㅋ
@user-iz9ps3td2p
@user-iz9ps3td2p 3 жыл бұрын
미쓰비시 PLC R타입 모션CPU카드한장에 64축 제어 가능해요. 2장만 장착하면 128축 제어 가능해요. 한베이스에 모션CPU4장까지 장착가능합니다. 이더켓 방식도 당연히 지원한지 오래됐구요. 광통신 방식을 제일 많이 쓰고 안정적이에요. 예전에 PC로 100축 넘는 리니어모터 제어 해봤습니다. 이더켓 방식이었구요. 이더켓 방식이라 케이블 접촉불량 문제 생기기도 하구요. 광통신은 그런거 잘 없어요. 당시 PC도 PLC와 같이 모터제어를 위한 카드를 장착해야했고 축이 많아지면 카드를 추가 장착해야되는 것은 마찬가지 였습니다. 또, PC는 소프트웨어가 다운 되면 프로그램 중단으로 전모터가 동작 중단 되요. 그리고 B타입 모터드라이버는 미쓰비시 자사 모터만 장착하여 사용하지만 A타입 모터드라이버는 타사 메이커 모터와 조합하여 사용가능합니다. 주로 미쓰비시 A타입 드라이버로 야스카와 모터를 많이 제어하죠. 앞으로 동향이 PLC에서 PC로 이동하는 추세이다 라는 부분에 대해서는 모르지만 PLC제어적인 측면에서 다 가능하고 부족한 부분이 없는데라는 생각에 댓글남겨요~
@willchoi2612
@willchoi2612 2 жыл бұрын
미쯔비시 이더켓 안될 줄 알았는데 되나보네요 CC링크 안에 이더켓이 있는가봐요.. 타 제조사랑 호환 너무 안좋아서 고객사에서 미쯔비시 굳이 써달라고하면 참 머리아픕니다..ㅠㅠ
@user-oj7mu6sm7x
@user-oj7mu6sm7x 3 жыл бұрын
PC - 개발자나 유지보수자가 중간에 튀면 대응불가능한 경우 왕왕발생 PLC - 다른 인력으로 개발, 유지보수 대체가능, PC보다 단가 낮음 이게 현실
@user-bf8rd6kg5p
@user-bf8rd6kg5p 2 жыл бұрын
그런데 저런 반더체 장비는 표준화되는 장비듷이기에 문제없는 분야라
@ksj296
@ksj296 2 жыл бұрын
막연하게 대체된다고만하고 어떤 부분에서 pc 우위인지 설명이 부족한점이 아쉽네요 plc도 사실상 pc라고 볼 수있는데
@sangsupark6513
@sangsupark6513 3 жыл бұрын
컴퓨터는 일반 윈도우 데스크탑 보다는 서버쪽으로 가야하지 않나 생각됩니다. 안정성을 생각해서요.
@user-wo2hf1xs1m
@user-wo2hf1xs1m 3 жыл бұрын
이회사는 자동차 자율주행에서 os를 구현할 수 있는 회사군여 현대와 연견되면 엄청난 시너지를 발생시키겠군여
@user-wj4lz5un6e
@user-wj4lz5un6e 5 ай бұрын
지금 사용하고 있는 PC 본체와 OS 가 10년 뒤에도 구매가 가능한가 의 문제가 있습니다 20년 전에도 많은 설비가 PC 로 제어 되었다가 다시 PLC 로 돌아선 이유중 하나라 생각됩니다
@user-mc8ss8xs1i
@user-mc8ss8xs1i 3 жыл бұрын
keyword찾기 놀이~ㅋㅋㅋ 넘 잼나요~!
@user-tc9fd3pw5n
@user-tc9fd3pw5n 2 жыл бұрын
결국 지멘스 PLC로 더싸게 먹히는 기술을 비싸게 하는거랑 다른게 없음 지멘스는 SQL도 지원하니 데이터 분석 및 AI대비도 다된다. 고도로 집약된 소형설비 만들때는 유리하겠지만 SoC에 CPU와 서보드라이브 같이 박혀서 나오지 않는이상 비싼 돈 라이센스 주고 고치지도 못하는 장비 만드는거나 다르게없음ㅋㅋ
@tea-ya9130
@tea-ya9130 8 ай бұрын
저 회사 라이센스 가격은 조금 비싸다 해도 설치하기가 쉽지 않고 영업 대응이 진짜 뭐 같애.
@user-xx8sl8rf4r
@user-xx8sl8rf4r 3 жыл бұрын
PLC로 100축 제어하기 어렵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시장이 이동한다니요.... 100축 시장보다 4축이하 시장이 훨씬 큰데요.... 특수시장을 확대해석하시는건 아닌 것 같습니다.
@dojo3872
@dojo3872 3 жыл бұрын
둘다 하는 사람으로서 한마디하면 일반 소프트로 하면 개꼰데들이 존나 싫어할꺼임 plc 래더가 개쉬운데 그걸 소프트 엔지니어가 하면 금방익힘 다만 그만한 비용도 안주기때문에 소프트로 할 이유가 없음
@ssim3727
@ssim3727 3 жыл бұрын
ㄲㅋㄱ 꼰대십새들..
@user-gn2fk1mh9o
@user-gn2fk1mh9o 3 жыл бұрын
빼액하는 댓글 많네요. ㅋ 이게 성공했음 좋겠네
@thtns2617
@thtns2617 3 жыл бұрын
서보모터만이라면 plc가 pc보다 나은부분이 많겠지만.. 비전달고 다관절로봇이 붙는다면? pc가 낫다고 생각함
@user-wz8un3de3r
@user-wz8un3de3r Жыл бұрын
문제는 유지보수가 되냐인데 기업 내 보전팀이 대응가능한가가 필수조건일 듯 대겹은 될듯하고 10년 뒤 봐야할듯하군요. 근데 제조업 설비 50년 된것도 수두룩해서 ㅋ
@metal28
@metal28 3 жыл бұрын
과연 기존 업체가 그 자리를 쉽게 내어줄까요..
@JSH-do5qf
@JSH-do5qf 3 жыл бұрын
이 채널을 시청할 때 마다 보수경제신문의 불필요성을 절실히 느낍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5cha_
@5cha_ 2 ай бұрын
기업홍보영상인듯 하네요.
@user-ei9lu7wc7h
@user-ei9lu7wc7h 2 жыл бұрын
제조업의 시작은 설계 변경이고 끝나는 순간에도 이중투자의 설계변경 폐기절차 PC는 보증기간 지나면 설계변경에 대응 하는 절차가 거의 불가능, 모니터링 불가 윈도우 사양 변경시 부품수급 관리불가 PLC는 모니터링 해석이 가능 개발자가 바껴도 저작권 문제 없으면 대응가능 기종 풀체인지에 유연한 대응가능
@kimminhoae
@kimminhoae 3 жыл бұрын
PC 프로그래머가 PLC (래더)를 몰라도 모션제어가 가능해서 혼자서 북치고 장구치고 할수있습니다.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을 모션과 연계해서 더 강력하게 사용할수 있습니다. 자율주행이나 AI 와도 접목이 더 쉬워지겠죠.
@everglades_n_co.
@everglades_n_co. 3 жыл бұрын
아진엑스텍과 관련이 있는걸까요?h사는 hanXX?
@user-yh6hw6by7k
@user-yh6hw6by7k 3 жыл бұрын
4차산업 도약을 위해선 소프트파워가 꼭필요하다 세계기업들을 봐라 그들은 두뇌에 투자해서 모든걸 이루고 있지~ ! 우리도 새로운 철학을 가져야한다.
@user-zb6yy1zn7z
@user-zb6yy1zn7z 3 жыл бұрын
피씨로 프린터 쓰는 느낌이네요.
@user-zx1dj3gp4y
@user-zx1dj3gp4y 3 жыл бұрын
좋은정보입니다 그런데 5G용 반도체에서 일본의 무라타 독점소재 LCP때문에 한국이 위험하다는데 알아봐 알려주시면합니다 감사합니다
@meltingpot6007
@meltingpot6007 3 жыл бұрын
미들웨어까지 완벽한 회사구나..
@digitect38
@digitect38 4 ай бұрын
잘 아시는 듯 말씀 히시는데,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계신 내용이 좀 잘못되어 있어 보입니다. PC에 들어가는 CPU가 PLC의 것보다 보통 훨씬 빠르죠. 단지 PC는 여러가지 잡을 동시에 처리해야 하니, 실시간성이 부족할 수 있는데, 이럴 땐 RTOS 를 사용하여 극복 가능하죠. PLC가 좋은 점은 싸고 내구성이 좋고 컨트롤 전용이라 코딩이 간단하고 딴짓을 못하도록 단순화 되어있어 안정적이란 것인데, 복잡한 컨트롤로 들어가면 PC가 더 유연하고 훨씬 더 복잡한 것도 처리할 수 있어, 비중이 느는 추세에 있다고 봐야 합니다
@hyungjinpark30
@hyungjinpark30 3 жыл бұрын
I.O MODULE은 뭘로? PLC의 "P"기능만 PC 소프트웨어가 대체는 가능하겠지만 서보모터가 들어가는 장비에 통신기능을 "기본적으로" 주는 서보모터만 있냐? 100%대체는 불가능하겠지. 또 대체가 된다손 치더라도 "산업용안전성"이라는 측면에서 그것역시 PLC제어의 영역에 들어오겠지.
@MJ_Chae
@MJ_Chae 3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실제로 앞으로는 PLC를 대체할 PC가 등잘 할 확률은 높습니다. 다만 PLC를 마치 모터를 돌리기 위한 제품처럼 말씀하시는게 조금 정보적으로 오류가 있네요... 아무도 그런것에 말씀이 없으시네;;; 심지어 회사이름이 소프트 모션... 가벼운 움직임만 제어하겠다는 의미인것 같은데... PLC는 모터 돌리는 기능 없습니다. 확장된 컨트롤 유닛(CU)이나 드라이브(Drive)들이 서보 모터를 제어하죠... PLC는 그냥 OS없는 원초적인 PC입니다... 심지어 내용중에 일종에 전용 컴퓨터라고 말씀하시면서... CPU라고도 말하면서 하드웨어적으로 모터를 제어한다?? 3상모터 제어하시나 ㄷㄷ CPU가 있다는 것은 그 안에 소프트웨어가 있다는 뜻입니다. PLC가 마냥 안전성, IP등급, 노이즈 이뮤니티 등이 높아서 비싼게 아닙니다. 다 소프트웨어, 회로 설계 값이에요... 아쉽네요.
@koda2561
@koda2561 3 жыл бұрын
문제는 고객사에서 안 씀..... 왜냐면 안정성이 최고기 때문 잘되는거 놔두고 굳이....?
@hermanngoring3007
@hermanngoring3007 3 жыл бұрын
시도는 좋은데, PC자체의 전기적 안정성이 PLC에 비할바가 못됨...이사람 말대로면 진즉에 아두이노나 라즈베리파이 같은게 PLC를 대체 햇음...어짜피 PLC 도 PC도 마이크로 프로세서이고 PLC 라고 따로 구분하는건 용도에 최적화 한걸 구분된 용어란걸 기본적으로 이해를 못하는군... 이건 주가 띄우기용 뒷광고로 밖에 안보임
@user-ml2lb4fm4g
@user-ml2lb4fm4g 3 жыл бұрын
왜 plc가 모터쪽으로 계속 말하지? 모터제외한 분야도 많은데 plc의 유연성을 모터분야 하나만을 말하는건 굉장히 좁게 보고있다
@movementshj
@movementshj 3 жыл бұрын
산업현장에선 pc는 영원한 plc의 오른팔일뿐
@metal28
@metal28 Жыл бұрын
PLC가 PC를 먹는 거죠….PC가 PLC를 먹는 건가?
@yesyes-hu6yr
@yesyes-hu6yr 3 жыл бұрын
직원천오백명공장에 피씨바이러스먹으면 공장문닫아야겠네
@DHLEE-nv7ph
@DHLEE-nv7ph 3 жыл бұрын
비싼하드웨어 필요없다 소프트만 잇음된다에 빵 터지고갑니다 뭘 할라믄 제대로 하든가ㅋㅋ 이런동영상보고 기술주 판단해서 투자합니까?ㅋㅋ 최소한 엔지니어들의 감수는 받고 찍든지ㅋㅋ
@user-wo2hf1xs1m
@user-wo2hf1xs1m 3 жыл бұрын
한국사람들은 참 월등하다
@DRMDstyle
@DRMDstyle 3 жыл бұрын
PLC도 이제 한물간 과거의 기술이 되어가는군요
@DrJung-kh6is
@DrJung-kh6is 3 жыл бұрын
윈도우 pc를 사용하면 안정성이 문제일거 같아요.
@user-sj2gg9ik2i
@user-sj2gg9ik2i 3 жыл бұрын
그래서 리눅스를쓰죠
@sayno8888
@sayno8888 3 жыл бұрын
1등
@user-tu1lm7uv7n
@user-tu1lm7uv7n 3 жыл бұрын
그냥 제어 주체가 PLC 에서 PC로 바꿘것 뿐인데? 잘못들으면 드라이버도 없이 PC로 모터 직접제어하는 건줄 오해하겠네ㅋ 어차피 제어 주체의 차이라면 PC로 대체하는 메리트가 크지를 않아요. 축제어 한계? 지금 신형 PLC들 제어 축수 구성이 어디까지 가능한지도 잘 모르고서 100축 이상 안되는 걸로 해놨네요. 위치제어가 아니라 동기제어로 따져도 나왔거나 곧 나올 신형 PLC들은 100축 이상 가능합니다. 그리고 자동화 설비에서 제어 주체가 된다는게 어떤 의미인지 잘 모르는 모양인데 설비 전반적인 모든것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는 소리입니다. 전장 배선 부터 다양하게 붙는 컨트롤러 다룰줄 알아야하고 작게는 센서류나 각종 스위치까지. 거기다 유능하다는 소리 들으려면 설계나 기구적인 지식도 필요하구요 무슨 장비가 모터만 돌리면 끝인줄 아는건지
@user-ni7mz3vd9v
@user-ni7mz3vd9v Жыл бұрын
신뢰성 하나 만큼은 PC가 PLC를 따라잡지 못합니다. 자동화는 수만개의 제품을 생산하다 한번의 오류로 엄청난 손실을 초례할수 있기 때문에 굳이 유지 보수도 편하고 신뢰성 좋은 PLC를 버릴 이유가 없습니다. 뭔가 엄청나게 제조 혁신이 일어나지 않는 이상 PLC가 사라질 일은 없을거 같습니다. 그리고 미쓰비시나 옴론, 지멘스도 더 좋은 PLC를 개발하고 있고 때문에 현재 CPU 한대에 100축 제어도 가능 합니다.
@gandhimahatma7928
@gandhimahatma7928 3 жыл бұрын
비상장기업인게 아쉽
@BhangRonBooks
@BhangRonBooks 3 жыл бұрын
PLC 굳이 할 필요가 없네...
@sangsupark6513
@sangsupark6513 3 жыл бұрын
모터제어를 PLC에서 소프트웨어로 하면 장비 내구성이나 신뢰도가 상승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장비가 부피도 작아지고 가격도 저렴해 질 것 같습니다.
@user-vn2ph7zf3s
@user-vn2ph7zf3s 3 жыл бұрын
소프트웨어로 할수 있다는 것은 결국 이더캣이라는 범용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가능한 것 입니다. 결국 모든 제어를 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가 필수적으로 들어갈수 밖에 없어 설비 부피가 작아진다는 것은 말이 안됩니다. 만약 해당 소프트웨어로 서보팩 없이 소프트웨어로만 제어가 가능하다면 그게 대박이겠죠.. 그리고 가격 말씀하셨는데... pc제어 비용이 저렴한지 아시나 보네요.. 서보10축에 비젼2개 들어가면 개발 기간만 최소 3~6개월 비용은 최소 5천이상부터 시작 합니다. 과연 저렴한걸로 보이시나요??
@willchoi2612
@willchoi2612 2 жыл бұрын
@@user-vn2ph7zf3s ㅋㅋ ㄹㅇ PC 제어 뭐라하더니 모듈 하나 나오던데 ㅋㅋ PLC랑 부피가 다를게 뭡니까 아 이런 영상보면 짜증이 확 올라옴 님 말에 개 공감 그냥 제어 후발주자 기업이 마케팅 하는 것 같아요 근데 컨셉을 잘못잡음 진짜 엔지니어들이 뻔히 아는데 보기만해도 절대 안사고 싶네
@willchoi2612
@willchoi2612 2 жыл бұрын
굉장히 오점이 많은 영상이라고 생각합니다. PC 소프트웨어라고 하길래 서보로 예를 들면 드라이버가 필요 없이 코딩으로 처리해서 전압 전류 제어로 속도 위치 제어를 한다? 이러면 굉장한 센세이션아닌가 싶었는데 말장난 하시는 것도 아니고 그냥 컨트롤러만 바꿔 끼는 것 뿐이지 않습니까..ㅎㅎ 심지어 PLC 뚜껑 열어보면 보드에요;; PC에 있는 보드랑 다를게 없어요... 그리고 이더켓 이야기 하시던데.. 모터 사에서 이더켓 지원 안하면 끝아닙니까..? ... 추신으로 말씀드리면 LS 서보 다축제어 설계중이고 배선 지금 할건데 PLC도 이더켓 쓰는데요..? 미쯔비씨 야스카와 일본 종특 제조사 뺴고 유럽권 미국권 다 이더켓 호환이 가능한데요.. 영상에 나오신분이 관련 분야의 지식이 없으셨다면 그럴 수 있겠다고 생각하지만 만약 어느정도 권위가 있으신 분들이라면 굉장히 실망스럽습니다.. 그냥.. 저 회사 빨아주기 아닌가; +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하시는데 그 소프트웨어는 누가 만듭니까 결국 코딩해서 소프트웨어를 만드는거죠? XG5000 WORKS2 싹다 똑같은 소프트웨어고 똑같이 코딩해서 만든 소프트웨어입니다;
@fizer9301
@fizer9301 3 жыл бұрын
3분의2는 웃기는 소리, 우물안 개구리.
@nahsj3873
@nahsj3873 3 жыл бұрын
아니 대체하지말라고 ㅜㅜ 이제 plc회사 취직했는데
@user-gy4uc2fq5f
@user-gy4uc2fq5f 2 жыл бұрын
ㅠㅠ
@user-od6hx2kg2p
@user-od6hx2kg2p 3 жыл бұрын
Pc는 나온지얼마안되서 발전했고 활용범위가 매우 광범위하지만 불안정하다 Plc는 오래되었고 안정성이 우수하고 유지보수가좋다 가격이저렴 검사기나 핵심기술에는 pc가 들어가는게맞다 Plc로 불가능한것이니 하지만 그외에 것들은 plc로하는게 저렴하고 안정성있고 유지보수가우수할듯
@user-bq9xt3uo4c
@user-bq9xt3uo4c 3 жыл бұрын
과연pc 소프트웨어 하는 사람이 모터 구동 안되면 하드웨어 원인분석도 할까? 전혀 못볼껀데... 고로 저 장치는 좋지만 앞으로40년 후까지 pc가 plc를 대처하지 못함 ㅋㅋ 그리고 모션 빼고도 그럼 pc프로그램 보면 답이 없고 버그도 많고...
@dylanpak5305
@dylanpak5305 3 жыл бұрын
따지고 보면 plc도 결론상 1과 0으로 로직 제어하는부분아닌가용? plc역시 하드웨어 원인 분석이 안될꺼같은디.... plc가 가능하면 pc에서도 가능하지 않을까요? plc 프로그램은 설계해서 로직 만들때 복잡하게 만들지만 이것도 프로그램으로 짜는건데 동일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fgha1234
@fgha1234 3 жыл бұрын
@@dylanpak5305 PC제어는 보통 컴퓨터 기술자에서 오는 사람이 많고 PLC는 전기기술자분들이 PLC로 오는 경우가 많아서 그렇습니다. PC제어 하려면 컴퓨터가 기본 전제하로 깔려서 시작하는데 전기 하시는 분들이 컴퓨터 분야 까지 하기에는 어려운 경우가 많죠. 또 반대로 컴퓨터하시는 분들이 PLC로 래더 짜는것 까지는 어떻게 되는데 전기회로나 센서같은 하드웨어 분야에 취약해서 힘들어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 PLC가 유지보수에 유리한게 PC 같은 경우에는 텍스트 타입으로 어디가 작동하는지 한눈에 알아보기 힘들지만 PLC는 래더타입이라 작동유무가 잘 보입니다. 뭐 PC 제어가 짱이네 PLC 제어가 짱이네 하겠지만 결론은 둘다 배워야 트랜드에서 밀려나는 불쌍사를 피할수있죠.
@user-bq9xt3uo4c
@user-bq9xt3uo4c 3 жыл бұрын
@@dylanpak5305 pc기술자를 무시하는건 절대 아니고요 님 말한데로 쓰는데는 plc로 쓰든 pc로 쓰든 상관 없어요. 다만 다른분이 말씀한거 처럼 전기적 문제가 발생하였을땐 plc기술자들중 그래도 몇몇분들은 전기지식을 가추어서 문제를 해결하는 반면 pc기술자들은 사용만하고 전기적 문제시 해결이 어려운 부분이 있죠 그렇다고plc기술자가 모두 전기지식을가지진 않았습니다
@user-no1oe2rg1v
@user-no1oe2rg1v 3 жыл бұрын
맞는말씀입니다 저는 반도체웨이퍼핸들러 주력인회사에 소프트웨어 솔루션 아키텍트로 일을하는데 전기적인 지식이 생각보다벽이있습니다 소프트웨어적인 지식으로 만만하게볼건아니라고 보지만 알면 시너지가 엄청날 것이죠
@changarizona9062
@changarizona9062 2 жыл бұрын
둘다 서로 잘났다고 싸우는거 많이 봤는데 의미 없음. Plc 가 하드웨어 애기해봐야 pc는 이해못하고 pc가 소프트웨어 이야기해봐야 plc는 이해못함... 상대방에게 많은걸 바라면 안됨. 서로 이해하고 도와가면서 하는게 맘편하고 좋음
@user-bq9xt3uo4c
@user-bq9xt3uo4c 3 жыл бұрын
그냥 웃고 가지요~~~
@yunki4u
@yunki4u 2 жыл бұрын
좀 조사를 더해보시고 영상을 올리시지….
@user-dn4jj2rq7k
@user-dn4jj2rq7k Жыл бұрын
pc는 해킹당하면 끝아닌가? plc는 온도변화에도 강하고
@2583kingo
@2583kingo 3 жыл бұрын
뭔가 잘 못 이해하고 말하는 듯, ㅋㅋㅋ.
@user-gm3gh5zb6z
@user-gm3gh5zb6z 2 жыл бұрын
글쎄요. PLC를 업으로 하는 사람인데 공감은 안되네요.
@user-gq2ji7zx2x
@user-gq2ji7zx2x 3 жыл бұрын
주는 대본만 가지고 읽어대는 사람들 영상보고 화낼 필요 없어요 기술자 분들. 이런 얄팍한 상술로 기업가치 띄워서 투자나 받을라고 하고. 기술 있음 이딴 거 안해도 투자 다 받아요. 영상 보시는 투자자분들은 얼마나 그지같은 기업체인지 아셔야 합니다. 그럴듯해 보이지만 말도 안되는 얘기 많습니다. 저 기업체 제품이 좋다면 벌써 대기업이 다 적용했을 겁니다.
@user-gq2ji7zx2x
@user-gq2ji7zx2x 3 жыл бұрын
참고로 저런 제품과 비슷한 제품 천지입니다.
@user-pk2hb7rb9p
@user-pk2hb7rb9p Жыл бұрын
영상 봤을땐 광고같음 제목부터 이상함
@bluelobster6100
@bluelobster6100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The day of the sea 🌊 🤣❤️ #demariki
00:22
Demariki
Рет қаралды 57 МЛН
Whyyyy? 😭 #shorts by Leisi Crazy
00:16
Leisi Crazy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
Which one is the best? #katebrush #shorts
00:12
Kate Brush
Рет қаралды 24 МЛН
Increíble final 😱
00:37
Juan De Dios Pantoja 2
Рет қаралды 94 МЛН
내년 메모리 초호황을 예상하는 몇 가지 신호
10:42
디일렉 THEELEC
Рет қаралды 24 М.
전기자동차가 작동하는 방식은?
9:56
Lesics 한국어
Рет қаралды 274 М.
PLC 기초 설명
15:11
공학적인 사고방식
Рет қаралды 556 М.
몇 nm(나노미터)라는건 어떤 부분을 말하는 걸까?
17:10
CPU는 어떻게 작동할까?
21:48
bRd 3D
Рет қаралды 2,6 МЛН
500년 볼트 역사 뒤바꾼 신개념 볼트 창안한 볼츠원
34:59
디일렉 THEELEC
Рет қаралды 2,1 М.
How  IC (Integrated Chips) / Semiconductor chips are made  (Eng sub)
15:11
Урна с айфонами!
0:30
По ту сторону Гугла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ТОП-5 культовых телефонов‼️
1:00
Pedant.ru
Рет қаралды 20 М.
Gizli Apple Watch Özelliği😱
0:14
Safak Novruz
Рет қаралды 2,6 МЛН
сюрприз
1:00
Capex0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