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중 다시 보려고 적어요. 02:32 개요 03:12 흡음에 대하여 08:06 흡음재 남용에 대해서 14:03 상쇄,확산(디퓨저)을 이용한 보강 19:00 차음에 대해서
@장프로-n8e3 жыл бұрын
대충만 알고 있었지만, 너무나 명쾌한 설명에 오늘 확실하게 이해했습니다. 소중한 지식 나눔 항상 감사드립니다~!
@marangatutv3 жыл бұрын
방음에 대한 귀한 영상 너무 감사드립니다 교수님!!!
@완식의색소폰3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은 말씀이세요. 문제는 일반인들이 저걸 잘 모르니 악기 연습실 공사하거나 할때 제대로 설명하지 않고 무조건 두껍게 하면서 자제비 더 받고 하는게 문제조 ㅎㅎ 그래도 잘만 해주면되는데 그렇지 않을 때도 많고요 항상 정확한 지적과 설명 잘 보고 있습니다.
@veryover3 жыл бұрын
확산은 BBC 스카이라인 디퓨저 설계를 이용하면 스티로폼으로 누구나 쉽게 만들 수 있으니 해봄직합니다. 흡음제도 나무 형틀에 미네랄 울 정도만 넣어도 어느 정도 저역대 까지 잡겠지요. 다만 현실적으로 최적의 흡음과 확산이 어려운 이유는 슬프게도 공간의 협소함에서 오는 경우도 많습니다. 기본적으로 한국의 주거 및 사무환경에서 차음이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일단 차음벽 만드는데 거의 1m의 로스가 생깁니다. 그래봐야 70db 감쇄가 어렵고 특히나 돌고무 차음판은 소리를 잘 막는 만큼 진동을 기가 막히게 안으로 다시 반사시키니 흠음은 더 어려워집니다. 어쨌든 어마어마하게 두꺼워진 벽에다 거기에 군데군데 150t 흡음을 하고 거대한 확산을 붙이는게 어려운 일이지요. 게다가 니어필드 스피커를 벽에서 1m 이상 이격까지 시킨다... 점점 슬픈 일이 됩니다 ㅎㅎㅎ 돈 많이 벌어서 넓은 곳으로 가야 된다는 결론으로...
@라은순-u5n2 жыл бұрын
옆 에서 킁킁킁 거리는 소리에 완전 스트레스 언저 있던 여자가 그래서 머릿골 였는데 새로 온 자가 또 킁킁킁 지겨워서 골 머리스트레스ㅡ 어찌하면 좋을까고민
@황금사자-w4t3 жыл бұрын
무엇이 제대로 된 방음인가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방음을 한다고 하면 흡음제인 계란판모양의 스펀지를 잔뜩붙이는 것이 일반화가 되어있다보니 교수님께서 알려주신 차음이나 확산은 참 생소하고 그 것을 조화롭게 사용한다는 것이 어렵긴 합니다. 교수님의 4편으로 된 룸어쿠스틱 사무실 꾸미기를 보았는데, 저처럼 차음이 안된 상태라면 외부에 소리가 나가거나 들어 오는 것을 막을 수 없다는 사실을 알았습니다. 4방8방 흡음제를 도배한 것을 주로 보았는데, 그 것이 잘못된 사실을 알았을때 저에게 번가운 소식이었습니다. 흡음과 확산을 잘 활용을 하고 잘못된 어쿠스틱은 음을 망칠 수있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알게 되었습니다.
@orangecake3375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귀한영상 감사하게 잘봤습니다. 제가 성악을 연습하는데 뮤지쿠스같은 자가설치형 방음부스 내부에 차음제만 따로 설치해도 효과가 있을까요? 이웃에게 피해를 주지않고 싶은게 주된목적이구 안쪽에서는 어느정도 소리가 울렸으면 좋겠어요.
@sevenai02213 жыл бұрын
사실 일반가정집에선 상당히 힘든일이긴 하네요 ㅠㅠ
@hjleeworldmusicmusicstudy9282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_sura3 жыл бұрын
룸어쿠스틱이 참 힘든것 같아요~
@bite_guitar2 жыл бұрын
영상 많은 도움이 됩니다^^ 궁금한게 일반 우드블라인드도 플러터현상 잡을때 도움이 되나요?
@길벗-c6j3 жыл бұрын
김선생의 방송으로 인해 소리를 다시 해석하게 되는 군요..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감사드리면서 좋아요 누르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