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행기의 새로운 역사가 쓰여지고 있다? 날갯짓하는 비행 로봇! [안될과학 - 긴급과학]

  Рет қаралды 167,011

안될과학 Unrealscience

안될과학 Unrealscience

Күн бұрын

기존의 비행기가 아닌 날갯짓하는 비행기 연구가
사실은 비행기 개발 역사의 시초였다?
이제는 초최신 과학이 되어버린 날갯짓하는 비행 기술!
공진이 긴급과학에서 한방에 정리해보았습니다!
#오니솝터 #생체모방로봇 #드론 #유인비행 #박쥐
◆ Thanks to
Directed by Resonance
Editor: Resonance
Reference:
[1] R. J. Wood et al., IEEE Trans. Robot. 24, no.2 (2008)
[2] K. Y. Ma et al., Science 340, 603 (2013)
[3] M. A. Graule et al., Science 352, 978 (2016)
[4] N. T. Jafferis et al., Nature 570, 491 (2019)
[5] A. Ramezani et al., Sci. Robot. 2, eaal2505 (2017)
[6] E. Chang et al., Sci. Robot. 5, eaay1246 (2020)
◆Video:
1) Unknown Film With Wright Flyer
• Unknown Film With Wrig...
2) The History of the Helicopter
• The History of the Hel...
3) Project Ornithopter
www.ornithopter...
4) Human-powered ornithopter 2010
• World's First Human-Po...
5) AeroVironment's Nano Hummingbird
• AeroVironment's Nano H...
6) Festo - SmartBird
• Festo - SmartBird
7) Festo - BionicFlyingFox
• Festo - BionicFlyingFo...
8) Harvard University - Robobee
• RoboBee
9) Caltech - Batbot
• Advanced Robotic Bat C...
10) Stanford - Pigeonbot
• PigeonBot Uses Real Fe...
◆ Music.
Storm Time by Muciojad / muciojad
Creative Commons - Attribution-ShareAlike 3.0 Unported- CC BY-SA 3.0
creativecommons....
Music promoted by Audio Library • Storm Time - Muciojad ...
◆ 안될과학 인스타그램
/ unreal.science
◆ 안될과학 문의
E-MAIL : MoreScience2018@gmail.com

Пікірлер: 427
@weplaykor
@weplaykor 4 жыл бұрын
종이비행기도 날개짓하며 날수있게 하려고 곤충도 많이 연구했는데 ㅋㅋㅋ 역시 안될과학이 내용 정리를 너무 잘해서 항상 재밌게 보고갑니다! 다들 코로나조심하세요^^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크으 위플레이에서 이렇게 친히 댓글을 달아주시니 감격감격ㅠㅠ 종이비행기 굿즈 만들어주세요!♡
@heoyul1217
@heoyul1217 4 жыл бұрын
ㄷㄷ 진짜 국가대표네...
@윤미화-h8h
@윤미화-h8h 4 жыл бұрын
와!위플레이다!팬이예요!
@e.j_rsy5514
@e.j_rsy5514 4 жыл бұрын
오 위플레이님 위하!
@이형석-l6b
@이형석-l6b 4 жыл бұрын
비행기 예절 ㅇㅈ 합니다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처음 탔을 때 모르고 탔다가 조종석에서 기장님한테 혼난 기억이 있네요..ㅠ
@줏-u3b
@줏-u3b 4 жыл бұрын
@@Unrealscience 저두요 ㅠㅠ 신발신고탔다가 혼남 ㅠㅠ
@user-ez3lq7cs6o
@user-ez3lq7cs6o 4 жыл бұрын
@@Unrealscience 사이드 미러로 슬쩍 보더니 신발안벗냐고 혼났어요 ㅠ
@crescendo_999
@crescendo_999 4 жыл бұрын
비행중 멀미 나는 사람은 스튜디어스에게 말하면 목 내밀고 바람 좀 쐬라고 창문 열어줍니다. 아는 사람이 거의 없어요. 비행기 멀미로 힘들어하시는 분들이 가끔 보이면 안타깝더군요. 가서 말해주고 싶은데, 오지랖이랄까봐 그냥 조용히 있었더랬죠.
@heunyagye
@heunyagye 4 жыл бұрын
그리고 변기 버튼을 꾹 누르면 비데처럼 물이 나오더군요
@김태연-w1t
@김태연-w1t 4 жыл бұрын
공진형 평소에는 드립치고싶은거 참느라 힘들지?? 도입부부터 빵터집니다 ㅋㅋㅋㅋㅋ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저는 항상 진지합니다. 드립은 커피 아닌가요?♡
@김태연-w1t
@김태연-w1t 4 жыл бұрын
@@Unrealscience 드립이 커피면 형은 TOP야~ 어쩐지 원빈 닮았더라 ㅎㅎㅎ
@paulbaek5782
@paulbaek5782 4 жыл бұрын
안될과학이 아닌 아재과학
@이스터12
@이스터12 4 жыл бұрын
@@김태연-w1t 네? 원빈이요? 돈 받으셨나요?
@김태연-w1t
@김태연-w1t 4 жыл бұрын
@@이스터12 놀랍게도 공진님과 원빈님은 구성성분(?)이 99.99%일치합니다! 흑연과 다이아몬드의 관계랄까요?ㅎㅎㅎ
@jhl5087
@jhl5087 4 жыл бұрын
정말 오랜만에 어렸을때 과학자가 되고 싶다는 그 두근두근한 마음이 살아나네요. 정말 상상으로만 존재하는걸 실현시켜주는 시대가 오다니. 다시 과학에 관심 생깁니다. 수분활동에 대한 대안이 될수 있다는 곤충로봇을 보니, 과학이 만능이 될수 있다는 희망이 드네요.
@zxc57820
@zxc57820 4 жыл бұрын
6:40 진짜 박쥐 아녀??? ㄷㄷㄷㄷ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저도 소름 돋았습니다 ㄷㄷㄷㄷ
@musnmal
@musnmal 4 жыл бұрын
비행기 안타봐서 모르겠는데 진짜로 신발벗고 타나보네요...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괜찮아요! 저도 처음 탈 때 많이 헷갈렸는걸요? (흐뭇)
@청천고운
@청천고운 4 жыл бұрын
@@Unrealscience 요즘엔 그러나요? 이십년 전에 제가 비행기 탈 때에는 아녔는데...
@winter0117
@winter0117 4 жыл бұрын
요새는 위생 때문에 벗고 타는걸 항공사 측에서 권하더라고요...
@Eastsea2
@Eastsea2 4 жыл бұрын
종이로 된 씨래빠 줘요
@mr.nobody4024
@mr.nobody4024 4 жыл бұрын
안전바가 최고에요. 벨트였을때는 불편했는데 손잡이도 되고 아주 편안해졌어요.
@lauren__
@lauren__ 4 жыл бұрын
이런 영상을 매번 광고 두편만 보고 볼수있다는게 더 놀랍네요 아주재밌게보고있습니다
@mir9281
@mir9281 4 жыл бұрын
정말 한눈을 팔 수 없는 일목요연한 편집입니다 잘 보고 갑니다
@Shine_7
@Shine_7 4 жыл бұрын
소음문제를 해결할 수 있구만... 안 그래도 요새 다빈치에 관심을 가지다가 비행 관련해서 궁금했는데.. 이렇게 영상을 올려주시다니.. 소름...
@이정훈-r8k8s
@이정훈-r8k8s 4 жыл бұрын
안될과학은 모두 다 잼나고 흥미로운 영상이라서 좋아요.
@황병만-k4x
@황병만-k4x 4 жыл бұрын
공진선생님 너무나 재미난 영상을 봤습니다. 새로운 메타물질에 대한 재미난 영상을 조만간 볼수있기를 기원합니다.
@tongdoo112
@tongdoo112 4 жыл бұрын
활공시 에너지 소모가 거의 없다면 진짜 좋은 연구네요
@EVAchamchigelion_766
@EVAchamchigelion_766 4 жыл бұрын
페스토에서 만든 로봇들은 진짜 실물같네요...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저도 처음 영상을 접했을 때 많이 놀랐어요..!!♡
@흐미흐미-m4s
@흐미흐미-m4s 4 жыл бұрын
저는 예전에 기계과 대학원을 다니면서 소형무인비행체에 대한 연구를 했었는데 고정익, 회전익, flapping-wing에 대해서 정말 잘 정리해주셔서 너무 재밌게 봤습니다 가장 익숙하고 전통적인건 현재의 여객기 같은 고정익인데 아무래도 요즘은 드론을 많이 개발하다보니 회전익과 flapping-wing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는것 같습니다 그 중에서도 회전익 드론은 이미 일반인들도 많이 이용할만큼 안정적으로 대중화가 되었는데 날개짓을 하는 비행 로봇은 아직 갈길이 멀다고 알고있었는데 그동안 엄청 많이 발전해서 놀라면서 봤어요 감사합니다!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전공을 하신 분이 재밌게 봐주셔서 감격일 따름입니다 ㅠ♡ 잘 정리된 댓글 너무 좋아요!!
@xorakaytunes9076
@xorakaytunes9076 4 жыл бұрын
다 다른분인데 말투 통일되어있는거 너무 재밌어요 ㅋㅋㅋ
@deliveryinsights9407
@deliveryinsights9407 4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을 보고, 어떤 발상에 대한 가능성과 가치에 대해 속단하면 안되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ㅋ 날개짓하는 비행물체를 끊임없이 연구하는 자들이 있었다는 사실에 놀랐고, 심지어 그들이 놀라울만한 성과를 이루어 왔다는 사실에 또 한번 놀랐습니다.
@텔레토비-u8p
@텔레토비-u8p 4 жыл бұрын
음 좋아요 빠르고 간단하고 쉽고 명확한 설명. 구독합니다
@miachang6174
@miachang6174 4 жыл бұрын
긴급과학 너무 팬이에요 정말.. 너어어어ㅓ어어어어무 재밌어요!!!!!!!!!!!미쳤어요
@jungsooshin2306
@jungsooshin2306 4 жыл бұрын
6:34 재빠른 착지 메모....
@luthin.5231
@luthin.5231 4 жыл бұрын
와 정말... 항상 좋은 지식 정리해서 전달해주시는 것에 감사합니다. 대학원... 정말 본인 일도 하시느라 바쁘실 껀데.... 정말 수고하십니다.ㅠ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과학이 더 많은 대중 분들에게 주목받는 만큼, 과학분야에 종사하는 분들에게도 돌려받는 것이 많아질 거라 생각합니다! 앞으로도 과학자와 대중 모두 만족하는 영상 만들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ajh9683
@ajh9683 4 жыл бұрын
3:28 굳이 파닥거릴 거 없잖아 했는데 뭐야 ㅋ 이거 귀엽자놔
@YI_Boss
@YI_Boss 4 жыл бұрын
공진형 자료 넘나 좋은것
@CoolGameLife
@CoolGameLife 4 жыл бұрын
와 이거 자료 모으고 스크립트 쓰는데 진짜 오래걸렸겠어요... 잘봤습니다~
@onfoloj
@onfoloj 4 жыл бұрын
보다가 보니... 생물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진화한건지 새삼 느껴지네요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생물의 진화 측면에서 바라봐 주시다니..! 과학자의 면모가 보이십니다!♡
@비디올로지
@비디올로지 Жыл бұрын
비효율적인건 다 죽었기 때문이죠. 자유시장에서 살아남지 못하는 회사가 망하는것처럼요.
@sangmin8624
@sangmin8624 4 жыл бұрын
안될과학 제일 좋앙! 공진님 개좋앙..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저두 사실 사랑해요
@sciencebabyy
@sciencebabyy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키네틱아트 전시를 준비중인데 참고할한 레퍼런스를 얻엇네요. 감사합니다.
@조민우-g7b
@조민우-g7b 4 жыл бұрын
아놔 이 악마들ㅋㅋㅋㅋㅋ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천사같은 조민우님♡
@김민호-g2i
@김민호-g2i 4 жыл бұрын
주제를 하나 정하시면, 관련 자료들을 다 개인적으로 찾아보시는 건가요? 대단... 잘 보고 갑니다~
@freedom-lz7cg
@freedom-lz7cg 4 жыл бұрын
최고의 과학방송 될과학 채널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극찬입니다!!O_Ob!!
@신관우-d6y
@신관우-d6y 4 жыл бұрын
와 저도 생체모방로봇 관심많은데 정말 대단하군요!
@가진자-g9c
@가진자-g9c 4 жыл бұрын
뭔가 병맛같지만 정확해 보이는 수상하지만 그렇지 않은 정보 감사합니다
@dan_o7455
@dan_o7455 4 жыл бұрын
박쥐를 모방한 오니솝터 부분부터 소름이 돋았네요. 오니솝터.. 이 기술이 발전하기만 한다면 사람들도 새들처럼 자유롭게 하늘을 날아다닐 수 있을 것 같아요. 너무 기대됩니다!!
@배기철-f7u
@배기철-f7u 4 жыл бұрын
이번 영상 마무리가 되게 감동적이네요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마지막까지 놓치지 않고 영상을 봐주셔서 감사합니다O_Ob!♡
@parkyon777
@parkyon777 4 жыл бұрын
모르는 분야 알게되었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kimkneel99
@kimkneel99 4 жыл бұрын
뭔가 설렌다! 설레서 첫 방문에 구독하고 감.
@kimgajuk
@kimgajuk 6 ай бұрын
듄 오니솝터 보고 생각나서 다시 보러 왔습니다 역시 재미있네여 :D
@별똥이-z6c
@별똥이-z6c 4 жыл бұрын
이런 좋은 내용이 구독자가 3만도 안되다니
@mr.p1163
@mr.p1163 4 жыл бұрын
공진님 영상 진짜 재밌게 봤습니다. 공상과학속에서만 나오던 기술들이 점점 현실화 되어 가는거 같은데 언제 한번 다뤄 주실수 있나요?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재밌게 봐주셔서 감동감동ㅠ 추후에 더 많은 공상과학 속 기술들에 대해 다뤄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mr.p1163
@mr.p1163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당.
@harveys6091
@harveys6091 4 жыл бұрын
랩미팅 알림인 줄 알았네요 ㅋㅋㅋㅋ 처음엔 '날개짓 하는 비행로봇이 무슨 필요가 있나? 어짜피 똑같이 연료가 드는건데'라고 생각했었는데, 그런 점에서 연구 가치가 있었네요. 오늘도 유익한 영상 고맙습니다!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재밌게 봐주셔서 너무 감사드립니다!♡ 오늘 밤 11시에 랩미팅 기다려주세요!
@justiceleague206
@justiceleague206 4 жыл бұрын
재밌었어요 ! 튜텬 !
@김대희-q7b
@김대희-q7b 4 жыл бұрын
9:13 내노라(X) 내로라(O)
@김대희-q7b
@김대희-q7b 4 жыл бұрын
@@blues50542 땡
@김대희-q7b
@김대희-q7b 4 жыл бұрын
@@blues50542 추론은 잘 하셨는데 아쉽게도 한글 맞춤법은 '내로라'만 인정합니다.
@선비-e2i
@선비-e2i 4 жыл бұрын
배워감
@fierwalt
@fierwalt 4 жыл бұрын
진짜 공학자들은 대단해요.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정말 존경스러운 공학자 분들이 많지요! O_Ob!!
@아는게힘이다-d5l
@아는게힘이다-d5l 4 жыл бұрын
공진님 잘들었어요 재미있고 유익하네요 ^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재밌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WARFactory224
@WARFactory224 4 жыл бұрын
인류가 새처럼 날갯짓하는 연구를 어느정도 정복한줄알았는대 비교적 최근에 되서야 진전이 눈에보이내요 돈되는 드론이랑 비행기만 연구해서 그런가 눈에안띄는 분야는 발전이 생각보다 더디게되는것 같내요 소수분야 연구하는 공학자들을 응원합니다
@jm7783
@jm7783 4 жыл бұрын
공진형님 넘 재밌어요! ㅋㅋㅎㅎ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재밌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O_O♡!
@hobbysakuga
@hobbysakuga 4 жыл бұрын
재밌게 잘 봤습니다. 유익했어요.
@난나스키난나요
@난나스키난나요 4 жыл бұрын
이야 세상에 쓸모없는 건 없네요 ㄷㄷㄷ 날개짓하는 비행기에서 이어저 온 아이디어 ㄷㄷ
@davinci1202
@davinci1202 4 жыл бұрын
오니솝터...대학 졸업논문 주제였는데 오랫만에 기억나네요 ㅋㅋ
@j8s3021y1
@j8s3021y1 4 жыл бұрын
신기합니다용~ 재미있게 봤어요 ^^
@snowfoxkr3766
@snowfoxkr3766 4 жыл бұрын
비행기 안타봐서 몰랐는데 저런 예절이 있군요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괜찮아요!! 저도 처음에 전혀 몰랐는걸요? (흐뭇♡)
@오태양tv
@오태양tv 4 жыл бұрын
역시 안될과학의 짤방들은ㅋㅋ
@paulkim8527
@paulkim8527 4 жыл бұрын
직선으로만 비행가능 한 줄 알았는대, 곡선으로도 비행가능 한 것을 알게되내요. 멋져요
@서울K씨
@서울K씨 4 жыл бұрын
매력있다 공진~~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저도 좋아해요.
@lawmongus2614
@lawmongus2614 4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었어요!! 감사합니다 항상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재밌게 봐주셔서 더 감사합니다!!♡
@안우진-h5x
@안우진-h5x 4 жыл бұрын
이런 연구가 진행되는지 몰랐네요. 재밌었습니다. ㅎ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재밌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MultiKim78
@MultiKim78 4 жыл бұрын
저는 평소 비행기보다 새가 월등히 우월하다고 생각했어요. 고정익기는 실속(stole 날개에 받음각이 커져 공기유동이 박리되어 양력과 조종성을 잃는 것 등)하면 다시자세를 회복하거나 다시 속도를 낼 수 있는 양각을 맞추기가 매우 어려워서(특히 저고도에서) 추락사고가 생기는데, 새는 실속으로 떨어져 죽는 일이 없죠.(있나...?) 날개를 접었다 펴고 날개짓을 하는 것만으로도 쉽게 양력을 회복할테니까요. 처음 영상 제목을 보고 이런 내용이 당연히 나오겠지 했는데 조금 의외네요. 저는 로봇정도로는 어림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현제 기술로는 구현을 할 수 없겠지만요. 하지만 모르죠, 언젠가는 정말 새를 타고 다니게 될지 누가 알겠어요. 기술 발전이 우리 생각을 앞질러 가는 일도 많이 있으니...(물론 2020 원더키디는 빼고)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좋은 댓글 감사합니다! 역시 안될과학 구독자 분들의 높은 과학적 사고에 매번 감명을 받습니다♡
@HansenJoSoo
@HansenJoSoo 4 жыл бұрын
임무 중에 포식자에게 당하는 경우도 자주 발생할 것 같네요ㅠㅜ 퉽퉽 뭐야 이거!!
@홍도리-e7z
@홍도리-e7z 4 жыл бұрын
라이트형재 할 때 아재들만 알 수 있는 쌍라아트 나올 때 빵 터졌슴.
@김투잰
@김투잰 4 жыл бұрын
8:28 블랙미러...
@johnlee5654
@johnlee5654 4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ㄷㄷ
@스텔스박
@스텔스박 4 жыл бұрын
캬 시작부터 멘트가 흡족합니다.ㅎㅎ
@user-pl7sy2vy6d
@user-pl7sy2vy6d 4 жыл бұрын
않이 이 악마들 그놈의 예절 ㅋㅋㅋㅋㅋ 신발 벗고 타는건 누구나 알자너 ㅋㅋㅋㅋㅋㅋ 어휴 진짜 ㅋㅋㅋ
@날으는돼토
@날으는돼토 4 жыл бұрын
탑승후 국민 의례를 하고 애국가도 불러야하는거 맞죠?
@날으는돼토
@날으는돼토 4 жыл бұрын
@이이잉 이보세요! 어디 감히 국가를 폰으로 틀고 립싱크하려 듭니까! 최대한 목 가다듬고 삑사리 피해가며 뜨거운 가슴으로 힘껏 불러야죠!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이 악마들ㅋㅋ 국제선에선 애국가 안 불러요. We are the champion 부름.
@날으는돼토
@날으는돼토 4 жыл бұрын
@@Unrealscience 에~~~오!
@날으는돼토
@날으는돼토 4 жыл бұрын
@정갱민 아놔 여기 이렇게 진지한데 아닌데 ㅋㅋㅋㅋ 좀 개드립 좀 봐주세요 시정할게요 ㅋㅋ
@pwf2023
@pwf2023 4 жыл бұрын
오오 이런 연구가 진행되고 있었다니... 좋은 정보 잘 보고 갑니다. 문돌이지만 늘 재미있게 보고 있어요. 고맙습니다.^^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더 재미있는 연구 소식들로 계속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alphacanislupuschanco
@alphacanislupuschanco 4 жыл бұрын
군사적으로는 레이저가 수백km 정도의 사정거리 가지게 되면 기존의 탄 형태의 무기들은 무용지물이 되죠. 목표물까지 가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탄은 뜨는 순간 거의 100%의 정밀도로 요격 되어버리기 때문에...결국 상상속으로 그려왔던 로봇곤충무기들이 차세대 무기란 말인가 ㄷㄷㄷ
@_da21das66
@_da21das66 4 жыл бұрын
중요한 예절을 한가지 까먹으셨네요 ㅠ 비행기에는 공기청정시스템이 마련되있지만 일정량이상의 유해공기는 비행기 내부구조상 배출하기 어렵기 때문에 방구를 끼실때에는 손을들고 승무원을 불러서 손방구를 전달해야됩니다 모르시는 분이 많은것같아 댓글남겨요!
@프시케-b7z
@프시케-b7z 4 жыл бұрын
정말 대단한 기술력입니다. 멀리서 보면 진짜 새인줄 착각할 듯.
@신혜성-x6m
@신혜성-x6m 4 жыл бұрын
댓글 꼭 남기라는 영상의 마지막 메세지 때문에 결국 댓글을 쓰네요... 좋은 영상인데 보고만 갈 수 없네요~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재밌게 봐주셔서 그저 감사합니다 ㅠ♡♡
@rlagusdn6763
@rlagusdn6763 4 жыл бұрын
3년 전쯤 킨텍스에서 봤는게 진짜 신기하더라구요
@melotoha
@melotoha 4 жыл бұрын
넘 재밌어요~~~!!
@이중인격-v3h
@이중인격-v3h 4 жыл бұрын
진짜 깃털을 사용한건 진짜 창의적이다
@jrlee7643
@jrlee7643 4 жыл бұрын
연애만 해왔는데 이제 과학도 해봐야겠네요... 진짜 더 설래일지... 아니면 공진님 어떻게 책임지실런지 ㅋㅋㅋㅋㅋㅋㅋ
@ohnato
@ohnato 4 жыл бұрын
문제는 새들도 착각한다는 점입니다. 실제로 소형 오니솝터를 날릴때 까치등의 텃세가 강한새들이 덤벼드는 사고가 종종 발생합니다. 보다 대형이라면 많은 새들이 공포를 느끼게 될겁니다. 소형드론이라면 포식자에개 공격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TV-er5jl
@TV-er5jl 4 жыл бұрын
박쥐모양 드론은 멋지다 가지고싶을정도야 근데 작게 접어보관가능한가요???
@카오-j7v
@카오-j7v 4 жыл бұрын
소음을 줄인다는게 정말 대단한발명인것같네여
@복원-b8s
@복원-b8s 4 жыл бұрын
비둘기는 앞에 프로펠러 달려 있는데 오니솝터가 아니지 않나요? 날개를 변형시켜 기체의 흐름을 변경 하는건 지금의 비행기들도 하는건데...
@iffake2541
@iffake2541 4 жыл бұрын
농림축산식품부나 환경부에서 로봇비 활용해서 수질오염,토양오염, 병충해 IOT 관리하면 비용절감할수 있지 않을까요? 대량생산에서 단가 1만원및으로 연간 삼백만원 이내의 용역비용이면 개꿀일듯,
@ryunique2592
@ryunique2592 4 жыл бұрын
공래원의 안될과학은 정말 연애보다 설레(?)잖아!? 그래서 내가 연애를 안 해
@bic7
@bic7 4 жыл бұрын
벌새형이 제일 이상적이다 싶었는데 갈메기형하고 파리형, 꿀벌형도 실현하다니..
@indi8829
@indi8829 4 жыл бұрын
블랙미러에 로봇벌 관련 에피소드 있는데, 이제 범죄x, 사생활x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겠다 ㄷ ㄷ
@atomicnum29
@atomicnum29 4 жыл бұрын
계속 보면서 왜 이런걸 만들지? 더 효율적이진 않을거같은데.. 라는 생각을 했는데 보다보니 과학자들의 연구는 자연을 모방하는게 궁극적인 목표라는걸 잊고있었다는걸 깨달아버렸다
@imakaram
@imakaram 4 жыл бұрын
항공역학 분야는 한국이 조금 뒤쳐지는거로 아는데, 일단 많은 관심과 돈, 더 많은 돈 , 아주 많은 돈이 필요하지 않을까 싶네요 ㅎㅎ 그리고 다른 연구단체나 국가들에서 선행된 비행체들 보다 조금 엉뚱하거나 생각하기 힘든 분야로 진출해야 성공해도 큰 효과를 거두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이를테면 잠자리 라던지, 메뚜기라던가, 바퀴벌. . . . 아 아닙니다 ㅋㅎㅎ
@vocallim
@vocallim 4 жыл бұрын
갠적으론 박쥐모양이 맘에 드는데요.ㅎ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joagoggi9432
@joagoggi9432 4 жыл бұрын
언냐들 이거 나만 불편해??
@TgTgGunHo6969
@TgTgGunHo6969 4 жыл бұрын
@@joagoggi9432 윽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재밌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박쥐 로봇에 감탄했어요! O_Ob!
@뿌에엥-i4d
@뿌에엥-i4d 4 жыл бұрын
신이 자연을 만든게 대단하다란 생각이 듬 오히려 더 적은 연료로 더 많은 곳을 갈수있는 시대가 다가오고 있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듬
@hayoun3
@hayoun3 4 жыл бұрын
7:39 참고로 피존봇은 실제 깃털의 공기역학적 이점을 이용했다는데 주목을 받기는 했습니다만, 실제로 깃털이나 날개짓을 통해서 동력을 얻지는 않습니다. 현재 비행로봇은 아직은 깃털과 같은 수준의 무거운 물체를 달고도 날 수 있을 정도로 로봇이 가볍거나 힘이 좋지 않습니다. 보통 로봇은 가벼우면 힘이 안 좋고 제어가 잘 안 되며, 무거우면 힘이 좋고 제어가 잘 된다는 일종의 트레이드오프가 성립해왔는데, 아직은 새와 같은 크기와 무게로 안정적인 비행을 하기엔 인공 근육이나 초소형 모터 등 기술 성숙도가 그리 높은 편은 아닙니다.
@hJ-dy4vj
@hJ-dy4vj 4 жыл бұрын
피죤봇 동력이 뭔가요?
@hayoun3
@hayoun3 4 жыл бұрын
@@hJ-dy4vj 프로펠러입니다.
@utena6910
@utena6910 4 жыл бұрын
공기 역학을 넘어서는 반중력은 어디까지 왔나요?
@imaginationfactory2468
@imaginationfactory2468 4 жыл бұрын
아 너무 재밌습니다^^
@강쇼우
@강쇼우 4 жыл бұрын
안될과학 드디어 업로드 등판
@guardian8656
@guardian8656 4 жыл бұрын
0:18 여기 약을 파신다는 분이 있다고 유튜브 알고리즘이 절 인도했습니다.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헙♡
@Tg-rb5ni
@Tg-rb5ni 4 жыл бұрын
박쥐 로봇만들때 버그걸리면 이름은 코로나인가 엌ㅋㅋㅋㅋㅋ
@처련-h4x
@처련-h4x 4 жыл бұрын
재밌네요 ^^
@하나-h5v5o
@하나-h5v5o 4 жыл бұрын
멋지다. 실제로 스파이 곤충이 지금 날라 다니고 있을 지도. 사지만 승용은? 작용 반작용 법칙에 의해 아래위로 출렁 거릴 껄? 멀미~ 대안은 2장이 아닌 여러장이 날개를 반대로 움직이면 해결
@panxc_220
@panxc_220 4 жыл бұрын
FESTO 비둘𓅿𓂭 처음 TED에서 봤을때 정말 충격이 컸습니다ㅋㅋㅋ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저도 처음 봤을 때 많이 충격이었어요..!O_Ob!!
@natureandscience9245
@natureandscience9245 4 жыл бұрын
비둘기 로봇 진짜 영상 처음 보고 쇼킹했었는데.. 어떻게 생각하면 보고 흉내내는건데 이제야 가능했다는게 의아하기도 합니다.
@행복하세용-p2u
@행복하세용-p2u 4 жыл бұрын
긴급과학 짱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해피몽님 짱!♡
@삽족밥-k8r
@삽족밥-k8r 4 жыл бұрын
다빈치: 흐뭇 ^^
@user-hp5hc3wd6n.
@user-hp5hc3wd6n. 4 жыл бұрын
자연에게서 배우고 모방하니 자연은 위대하네요.
@용치
@용치 4 жыл бұрын
와진짜 날개짓으로 날라가는건 상상도 못했는데 ㄷㄷㄷㄷ
@neverfok
@neverfok 4 жыл бұрын
다 좋은데~~ 좀 자주 올려주세요~~ ^___________^ 너무 오랫만에 올려서 목 빠지겠어요.. 화이팅 응원합니다~~!!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재밌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긴급과학이 준비가 많이 필요해서 죄송합니다ㅠㅠ♡
@waytogolbj
@waytogolbj 4 жыл бұрын
오니솝터 하니까 듄 시리즈가 떠오르네요ㅎ
@안리체
@안리체 4 жыл бұрын
왜 이걸 안 놓고 계속 연구하고 있었냐를 생각해보면 역시 군사전용 기술로서 기존의 드론을 대체할 미래를 그리고 있었거나 틈새시장을 노리고 있지 않았나 싶은데요.
@DossMon
@DossMon 4 жыл бұрын
저런게 된다고했던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진짜 대단하다
당신이 보는 색의 진실!? 색의 비밀 한 방 정리! [안될과학-긴급과학]
11:55
Sigma Kid Mistake #funny #sigma
00:17
CRAZY GREAPA
Рет қаралды 30 МЛН
It’s all not real
00:15
V.A. show / Магика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
Сестра обхитрила!
00:17
Victoria Portfolio
Рет қаралды 958 М.
Мен атып көрмегенмін ! | Qalam | 5 серия
25:41
사용후핵연료의 처리는 어떻게 해야할까?  [안될과학-긴급과학]
12:08
Как устроены швейные машинки? [Veritasium]
16:50
Chinese Magic Mirrors are really clever
11:09
Steve Mould
Рет қаралды 2,2 МЛН
중력파 한 방 정리! [안될과학-긴급과학]
8:07
안될과학 Unrealscience
Рет қаралды 655 М.
Sigma Kid Mistake #funny #sigma
00:17
CRAZY GREAPA
Рет қаралды 30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