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안전관리자 직무고시(자체전기설비안전점검)에서 비상용 발전기 점검을 하는데 있어 절연저항측정, 접지저항 측정은 아무런 실익이 없습니다.
@biryu11Ай бұрын
21:00 이 부분이 제일 중요한 것 같습니다 절때 무리하지 마시고 아는것만 작성하시고 진짜 이건 하다가 돌이킬 수 없겠다 싶은건 빈칸으로 남겨놨다가 전안공에서 점검올때 알려달라하면 친절하게 알려줍니다 절때 무리하지마세요 그렇다고 아에 안 하진 마시고 ㅋㅋㅋㅋㅋ
@한전철-h4q8 күн бұрын
현실적인 강의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김석주-r9jАй бұрын
잘 보았습니다. 수고 많으셨습니다~
@edrjejuАй бұрын
발전기측 RST 상 절연저항 측정이니 n상 차단여부는 중요치 않는것 같구요. 차단기를 보여주기 위해 덮개를 연것일뿐 다른 생각은 안해봤어요.
@user-ilovekkhАй бұрын
안전관리자 해보면 건들지 않는게 가장 이상적임. 월1회 가동만 하면 정상동작된다는것
@팬텀솔져-c4m6 күн бұрын
실례지만 저압기준은 1kv 미만의 전압인가요?
@박유진-r8zАй бұрын
맞습니다. 저도 안전공사 검사 받고 발전기 점검문제 로 지적 받았는데요 재검 받았어요. 이참에 해보자 하고 무작정 했거든요 책자에 다 나와있더라구요 모르는 것은 외주 검사 받는곳에 물어도 보고 했는데 권장하지 않더라구요 혹시 불안불안 정전되서 발전안되면 이런 문제점도 있고 n선 분리 해야 되는것도 있고 풀리지지안하고요 기술이 있어야 될거 같아요 저도 수첩고급인데 불안불안 합니다. 이제 다시는 중급 정도면 시도도 못할걸요 이참에 책도 보고 물어도 보고 한적시 있습니다.
@kyoungdeukhan7903Ай бұрын
옳은말씀 입니다. 앞으로 수정이 되기를 바랍니다...
@정주호-v1oАй бұрын
이디라tv를 접하지 못했으면 직무고시할려고 접지저항계를 구매했을 것 같네요. 오늘도 하나 배웠습니다
@허영심-f3jАй бұрын
많이 배우고 갑니다~^
@woonkyungjeong1370Ай бұрын
다 책상머리에서 근무하는 사람이 감나라 배나라 현실하고 맞질안는 직무고시
@matchbbАй бұрын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고재경-t8qАй бұрын
이디라님 전압계에 연결 됐을때 절연이 안좋게 측정된다는건 전압계에 물려있는 중성선이 접지가 되어 있어서 그런건지 아님 전압계에서 누전이라는 말씀 인가요?
@uuytnh24 күн бұрын
7:20 절연저항 재는거요. 차단기내리면 2차측이 차단되서 2차측을 재야하는거 아닌가요? 1차측 재시는데 1차측은 계속 전압 들어오는 상태 아닌가요?
선생님 그건 위험한 생각 이라고 경험에 의해 적어 봅니다. 배터리가 발전기 돌릴때 눈앞에서 터져 보면 달라 집니다. 정류기반과는 다르게 위 플라스틱 커버가 다이므로 양 옆도 위험 해요. 배터리쪽이 운전쪽 근처에 있다면 무부하 운전 하더라도 돌릴때는 등을 돌리고 차 후 배터리 위치 조정 해야 합니다.
@조영봉-f4oАй бұрын
비상용 발전기 정전시 가동을 위한 설비 정전이 일어날 확률이 매우 낯읍니다 비상 발전기 점검을 위해 월 1회 정도 가동 기동만 하기 위해 쓰이는 밧데리다 보니 3년을 사용을 해도 거의 새것과 같읍니다 자동차 사용을 하는 밧데리 사용 회수에 비하면 낭비인 겁니다 저두 건물관리 게통 에서 일을 하다 보니 생생한 밧데리를 버리는 것이 안타 까워 글을 올려 본 겁니다
@sylee481Ай бұрын
발전기 기동 시 배터리 폭발 하면, 시험 운전자 위험..........합판으로 상단, 옆4면 모두 덮을 수 있는 구조로 해야 됨. (장기 사용하더라도 별 문제가 없을 수 있지만, 시한 폭탄을 안고 가는 것......폭발해서 사람이 다치면 큰일 납니다.) 전기 안전 관리자가 돈 몇 푼 아끼자고 위험을 감수 합니까?........사고 나면 책임져야 되는데....
@조영봉-f4oАй бұрын
납 뱃터리는 폭발을 해도 폭발력이 심하지 않읍니다
@user-km6ei8kw4rАй бұрын
5:55 n상이 어떻게 차단되나요 차단기 내린다고
@f-b5pАй бұрын
차단기 내리면 중성선도 끊어집니다. 그리고 N은 상이 아닙니다. 3상 4선식이라 하고선 r s t 상 n상? 4상인가요?
@user-km6ei8kw4rАй бұрын
@@f-b5p 찾아보니 끈어지네요 죄송합니다
@1IlIlIlIlIlIlIlIl1.Ай бұрын
ㅋㅋㅋㅋ
@나야나-u7tАй бұрын
옛날 공무과에서 일할때 220에서 0.2 이하 누전이라고 안전관리자 한테 배운거 같은데 맞을까요?
@edrjejuАй бұрын
맞습니다 300v 이하는
@낯섦미소Ай бұрын
접지저항은 접지저항계로 주접지단자함의 우측에 테스트 단자를 이용해 측정하시기 바랍니다. 절연저항예시가 100메가옴으로 기재된 것은 측정 계측기의 최대값 즉 무한대옴을 표시한것입니다. 참고로 진단업체에서 주로 사용하는 아날로그형 다기능계측기는 최대표기가 100메가옴이고, 일반적인 500V 절연저항계는 1000메가옴입니다. 직무고시점검 중 시험항목은 수정이 되야한다고 봅니다. 고압전기설비점검, 변압기점검, 전원품질분석을 하기위해 진단장비보유 및 운영을 할수 있는 전기안전관리자가 전국에 몇명이나 될까요.... 결국 전문진단업체를 통해야 한다는 결론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