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8.18.일.1~5PM 책한민국 공개강의에 초대합니다! 주제는 “흔들리지 않는 마음”, 참가비는 5만 원, 장소는 서울교육대학교 전산교육관 1층입니다. 일상에서 쉽게 활용하는 통찰명상도 배우실 수 있습니다. 신청링크: forms.gle/9Ea7... 이메일: checkhanminbook@gmail.com 인스타그램: checkhanminbook 브런치: 책한민국 출판사 증정도서. 광고비 없음.
Пікірлер
@난타-s9r3 ай бұрын
훌륭하신 책한민국님 항상 감사드립니다❤
@아녜스-k6n4 ай бұрын
책한민국님 솔직한 후기 조으네요
@김은주-u1d4q6 ай бұрын
홀로서기 인생철학의 정수 쇼펜하우어의 행복론 인생론에 한식에서 빠지지 않는 김치와 같은 하루치의 맛깔스런 말씀 내가 있기 때문에 존재하는 이 세상 내가 사라지면 사라지는 이 세상 나의 삶은 나의 의지와 선택인것 ! (새기고 새기는 멋진말씀) 우리의 모든 불행은 혼자 있을수 없다는데서 생긴다. 고슴도치 우화를 통해 홀로서기와 함께하기 사이의 적당한 관계의 거리를 숙지하며 지키는 정중함 예의에 대하여 긍정합니다. 행복의 원칙(쇼펜하우어) 특별하게 좋은 일도 없지만 아주 나쁜 일도 없이 지내는 것이다. 분별있는 자는 쾌락이 아닌 고통이 없는 상태를 추구한다는 명제를 모든 삶의 지혜이자 최고의 원칙으로 생각한다. 단순함이 진리의 기본👌 명예욕 허영심 자긍심 인간본성의 어리석음 세 가지를 염두합니다. 학이시습지 불역열호아 행복과 평온의밤 입니다. 애쓰신 책한민국 님 🙇♀️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bookkorea5 ай бұрын
들어주셔서 고맙습니다~!^^
@김은주-u1d4q5 ай бұрын
@@bookkorea 🍀🍀🍀 ^^
@정애이-n4o5 ай бұрын
오타는 알아서 읽으시고 겸손하시요.
@병주윤-z7q5 ай бұрын
버스 타고 출퇴근 하면서 책한민국께서 읽어주시는 책의 내용을 듣고 있으면 버스 안이 도서관 처럼 느껴집니다. 착한 영향력으로 사람들을 기쁘게 하는 책한민국님께 감사드립니다🎉
@김진희-q7v4 ай бұрын
오늘도 고맙습니다 꼭 1독하려고 합니다 늘 건강하세요🎉
@드리미-l2h5 ай бұрын
이번 책 소개도 잘 봤어요. 우리의 인생을 행복하게 해주는 내용이 마음에 들어 공감이 가네요. 열심히 읽고 좋은 배움 이어갈게요!
@곰곰이-o2p5 ай бұрын
나이를 먹을수록 쇼펜하우어의 철학에 너무나 공감이 갑니다!!!
@문수진-d1b5 ай бұрын
진심으로 고맙습니다 ^^
@joannakim74736 ай бұрын
항상 감사드립니다~🙏💕🌍
@장금아-e3g5 ай бұрын
어느날 문득 책한민국님 이 '큰 바위 얼굴' 자체로 우뚝 존재할 수 있다는 ᆢ
@bookkorea5 ай бұрын
고맙습니다.^^ 그렇게 되는 삶을 살겠습니다.
@quietly_reciting5 ай бұрын
오늘도 감사합니다! 오늘 하루도 즐겁게 시작해 보아욤! 😁✨
@kimjo53555 ай бұрын
운이 좋은 아침입니다^^ 오늘도 화이팅 입니다 가즈아 ^^
@이재원-n6n5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금땡이-r1m5 ай бұрын
잘 듣겠습니다🎉🎉🎉
@이천사-y1h6 ай бұрын
잘 들었 습니다 ~❤~
@나뭇잎-u5p5 ай бұрын
항상 감사한 마음입니다
@조흥자5 ай бұрын
수고많으셨어요 늘~ 감사합니다 ^^
@레드향골드6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김미정-s2l5 ай бұрын
행복한 사람들^^감사합니다💐
@이종대-b8v5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은주김-i9b5 ай бұрын
책한민국님^^ 감사합니다.😂
@도전하는삶-e9s5 ай бұрын
책한민국 스승님 오늘도 감사합니다♡ 그런데 가끔 이 목소리는 감기 인가요~?
@bookkorea5 ай бұрын
아뇨 가끔 오전 녹음시 이렇답니다.^^
@도전하는삶-e9s5 ай бұрын
@@bookkorea ㅎㅎ 공유 감사합니다♡
@mementomori15755 ай бұрын
쇼펜하우어 시대와 다른부분이 있네요. 요즘은 부유한사람들이 친절하고 날씬하고 행복해하며 육체노동자들은 불행하며 불친절하고 무례한경우가 많습니다. 아마 미디어의 발달과 그에따른 행복의 기준이 높아져서가 아닐까싶네요.
@행복하세요-t5x5 ай бұрын
세상이 올바르게 돌아가고 있다는 증거일수도 있겠네요! 깨어있는 사람들이 많아졌다고 할까요. 지금은 옛날과 다르게 타인을 좌지우지 할려고 하는 독재근성을 가진 사람일수록 지구에서 고립되는 것 같아요. 그것이 신념화되면 세계적으로 고립된 나라, 북한처럼 되는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