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펜하우어 : 당신의 삶이 허무할 때 죽음은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feat.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Рет қаралды 84,200

지혜의 빛 : 인문학의 숲

지혜의 빛 : 인문학의 숲

Күн бұрын

쇼펜하우어의 철학이 해석한 인간의 죽음.
그것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을까요?
이번 강의에서는 이 내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먼저
그의 철학적 특징에 대해 설명하며, 그 다음으로 그가 논한 죽음에 대해 설명합니다.
이번 강의에는 1977년 'Diogenes Verlag'에서 발간한 ⟪Die Welt als Wille und Vorstellung⟫를 저본으로 삼았으며, 본문 내용에 대한 인용에 있어서는 그 출처를 '페이지'로 하지 않고 '단락(§)'으'로 하였습니다. 그러니 이 점 참고하여 주시기 바랄게요.
00:00 인트로
02:18 죽음이 오히려 인간을 살게한다.
05:01 인간의 삶이 고통인 이유 : 의지의 맹목성
09:17 인간은 의지의 세계가 아닌 표상의 세계를 본다.
10:47 인생이 고통인 또 하나의 이유 : 개별화의 원리
14:38 인간이 고통을 극복하는 방식에 관하여
18:54 죽음 : 개체의 소멸인가? 의지의 소멸인가?
23:11 의지의 자유와 개체의 소멸, 무엇이 더 아름다운가?

Пікірлер: 102
@philosophy1
@philosophy1 2 ай бұрын
쇼펜하우어의 주저 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를 원하는 분들은 kzbin.info/www/bejne/fH2uXqN4g76Xiacsi=39CJQkahiSiTFZHb 이 강의를 보시기 바라며, 실존주의에서 논한 "죽음의 문제"를 만나고자 하는 분들은 kzbin.info/www/bejne/Y4bPi6Cgf8dshNEsi=UxNMa8sTwC5D6PSD 이 강의를 보시기를 바라겠습니다.
@ays2693
@ays2693 2 ай бұрын
이번 영상은 특히 인트로가 멋있습니다. 심혈을 기울여 제작한 강의에 경의를 표하며 왜 수많은 분들이 이곳에서 인문학적 가치를 찾고자 하는지, 그 이유를 입증해보이는 수준 높은 강의였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최고입니다!
@user-sk6ls5wv9w
@user-sk6ls5wv9w 2 ай бұрын
삶은 괴롭다. 괴로움은 서푼짜리 즐거움들을 희롱한다. 그러나 그 누구도 그 이유를 알지 못한다 그것이 삶의 본질적 괴로움이다. 삶은 행복추구가 아니라 불행을 피하기 위한 몸부림이다.
@user-ps3bo8rm7p
@user-ps3bo8rm7p 2 ай бұрын
재삶괴롭고괴로움서푼짜리즐거움희롱삶질괴로움삶들불행마스크큰일만큼두개크게비개늦개늘개질개심각착각생각삼백육십오일담백독백참삼각턱사각턱오각턱육각턱칠각턱팔각턱구각턱십각턱빈각시노총각문턱큰집맛없재
@user-hx4ly8os3p
@user-hx4ly8os3p Ай бұрын
자신이 믿는다면 거짓도 진실이 된다
@lovedysy
@lovedysy 17 күн бұрын
삶이 괴롭다고 해석하고 있는자가 누군지 쫒아가보시길 바랍니다.
@amid-vo8sb
@amid-vo8sb 2 ай бұрын
선생님 미남입니다❤
@jjkkyjjk2671
@jjkkyjjk2671 2 ай бұрын
동서고금의 종교와 철학 사상을 종횡무진 누비며 진수와 핵심을 간결명료하며 명쾌하게 설파해주는 혜성같이 등장한 신세대 철학자. 어렵고 난해한 사상을 쉽고 흥미진진하게 진리와 지혜를 탐구하고 깨닫는 여정으로 안내해 주신것 감사드립니다.
@kimws33
@kimws33 2 ай бұрын
어려운 철학적 논제를 그래도 쉽게 설명하시느라 수고가 많으십니다
@ksn0017
@ksn0017 2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쇼펜하우어의 허무주의에 대한 나의 짧은생각이…이영상을 보고 많이 깨달았습니다🙏
@chrisalcartrez2716
@chrisalcartrez2716 2 ай бұрын
집착이나 욕심때문에 삶이 힘들때 더 힘들게 만드는것이고 그 고통에서 편안해지기위해 살자를 하게 되죠. 집착이나 욕심을 비우고 살면 삶이 평온해 지는거 같기도 합니다. 사람끼리의 연민도 근본적으로 선한 사람끼리 만나야 할수있는거 같아요. 요즘 세상에 그런 사람 만나기 힘들더군요. 조금이라도 자기보다 약하면 자기 밑으로 둘려는 세상이라ㅎ
@user-ey2cv3hp9i
@user-ey2cv3hp9i 2 ай бұрын
최고~~ 다 이해는 안되지만 명강의였어요~~ 알듯 말듯 결국 인간의 삶과 죽음에 대한 이해에 관한 깊은 사유인 듯요. 결국 불교도 철학도 그 기본 맥락은 인간의 한계에 대한 서로 다른 화법의 차이가 있을 뿐 결국 유사한 듯한 느낌만 드네요. 어렵네요~~~ 다시 한번 감사~~ 미남 선생님~~
@user-sd2zm7bg9b
@user-sd2zm7bg9b 2 ай бұрын
의지를 욕망으로 바꿔 해석하면 감이 더 잘오네요 불교와도 인접한것 같네요~
@joon-heejung540
@joon-heejung540 2 ай бұрын
알베르 카뮈의 시지프 신화가 쇼펜하우어 영향을 받은거 같네요 서두에 말씀하신 것 처럼 쇼펜하우어가 실존주의 철학자들에 큰 영향을 끼친거 같아요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joon-heejung540
@joon-heejung540 Ай бұрын
@@user-mt5kk4gv2g 네~ 카뮈 본인도 실존주의 철학자가 아니라고 말하기도 했죠
@Kay-ps1cw
@Kay-ps1cw 15 күн бұрын
공식적으로는 니체의 영향을 받았다고 보죠 니체가 쇼펜하우스의 영향을 받았고쇼
@user-ok7nl2jy2w
@user-ok7nl2jy2w 2 ай бұрын
반야바라밀. 주객의 분리가 없는 상태가 궁금하군요… 주, 객은 분명히 있기도 한데 말이죠… 아기다리고기다리던 강의 들으면서 오늘도 차이와 반복을 거듭합니다. 감사합니다~❤
@lichtundwasser9044
@lichtundwasser9044 2 ай бұрын
연민을 통해 공감하는것이야말로 의지를 극복하는 길이라는 설명을 듣고 감명받았습니다! 비트겐슈타인이 우울증에 시달렸음에도 불구하고 자살하지 않은거랑 금욕적으로 살았던 이유를 밝혀낸거같은 기분이 드네요 ㅎㅎ
@aphilos262
@aphilos262 2 ай бұрын
허무주의도 표상이 만든 허영일 수 있겠네요. 표상에서 의지로, 그리고 의지로부터 해방을 향하는 쇼펜하워의 철학 여정은 오늘 이 시대에도 큰 의미를 가집니다. 고품격 강의로 그의 철학을 들려주시니 너무 좋네요. 감사합니다. 😊
@sharonjo8787
@sharonjo8787 2 ай бұрын
인간에 대한 쇼펜하우어의 해석에는 분명 현대철학적 요소가 많이 들어있는 것 같습니다. 시대를 앞서간 철학자가 쇼펜하우어라 생각해요.
@Ace-kv3qj
@Ace-kv3qj 2 ай бұрын
또 베스트셀러 명강의가 나왔네요. 이 강의도 카뮈차럼 100만 바라봅니다. 몇번 더 들어보니 좀더 이해가 되고 다른것이 보입니다. 지혜의 빛님 강의내공 존경스럽습니다. 리스펙합니다.
@user-yf1md1ih3e
@user-yf1md1ih3e 2 ай бұрын
죽음이 인간을 살게 하는 수준에서 벗어나 삶과 죽음의 근원에 대해 고민해보는 것이 중요하겠네요. 연민이 아닌 사랑은 이기심일 뿐이라는 쇼펜하우어의 말이 마음에 오래 남아 있을거 같습니다. 수준 높은 강의였습니다.
@user-im3ce2my3b
@user-im3ce2my3b 2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kw2tn4xb6u
@user-kw2tn4xb6u 2 ай бұрын
오늘 영상 너무 유익하네요. 시계추와 같은 인생에서 표상에 속지않고 행복해지는 방법은 작은 거에 만족하고 감사하며 사는 삶인데 지금 대한민국 사회를 정확하게 예언한 것 같지 않나요? 참 신기하네요.
@user-es5pz6bt5y
@user-es5pz6bt5y 2 ай бұрын
디오게네스-헤라클레이토스-쇼팬하우어-니체 계승되는 비주류 철학의 반항심은 철학사의 중요한 기둥일 것입니다
@klogos2282
@klogos2282 2 ай бұрын
무엇보다도 자살에 대한 쇼펜하우어의 분석이 날카롭네요. 삶 그 자체에 대한 부정이 아니라 삶의 특정 조건이나 상황에 대한 부정으로 자기를 멸하고자 하는 것이 자살이며, 이것은 결국 인간을 고통으로부터 벗어나게 하지 못한다는 것. 와닿습니다. 그리고 역시 쇼펜하우어는 칸트의 영향을 많이 받았기 때문에 형이상학도 인식론적인 관점에서 풀어나가고 있다고 보는데요, 표상이 결국 의지를 환원시키지 못하며 그래서 그 인식의 한계 때문에 인간은 고통에 놓인다는 것. 이처럼 인식론이 인생론을 포섭하는 경우는 근대의 끝에 서 있던 쇼펜하우어에게서 발견되는 독특한 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정말 재밌게 보았네요. 아, 그리고 맹목적 의지의 발현이 지혜의 빛님에게는 '미남'의 형태로 드러났다고 봅니다. ^^ 그래서 전 '추남'이라는 예시는 틀렸다고 봐요~ ㅋㅋㅋ
@socialphilo3557
@socialphilo3557 2 ай бұрын
저 의지가 끌고 가는대로 행동하는 인간의 모습이 역사다. 고로 쇼펜하우어를 배우면 앞으로 인간세상이 어찌되갈지 미래에 대한 명확한 인사이트를 얻습니다
@goodlifeluck
@goodlifeluck 2 ай бұрын
채널 알림이 왜 이렇게 설레고 반가운 걸까요🙂 심혈을 기울여 제작해 주신 영상과 어려운 내용을 쉬우면서도 깊게 해석해 주셔서 오늘도 감사히 “ 앎 ”에 대해 한걸음 나아갈 수 있는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filmstar
@user-filmstar 2 ай бұрын
이 채널은 저의 자부심입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aphilos262
@aphilos262 2 ай бұрын
저에게도 큰 자부심이랍니다~^^
@user-pf5xz1nj8d
@user-pf5xz1nj8d 2 ай бұрын
목소리가 언제나 진지해서 믿음이 가네요
@user-yq7nv2qf3u
@user-yq7nv2qf3u 2 ай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우울하고 무기력했는데 강의보고 다시 힘을 얻습니다
@user-vs2qo8xf8l
@user-vs2qo8xf8l 2 ай бұрын
쇼펜하우어의 철학을 제일 좋아합니다
@ays2693
@ays2693 2 ай бұрын
기다리고 기다렸던 강의! 드디어 만나는군요. 감사합니다. 😊
@jiseonglee1645
@jiseonglee1645 2 ай бұрын
이벤트로 보내 주신 책 잘 보고 있고 영상도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yf1md1ih3e
@user-yf1md1ih3e 2 ай бұрын
이벤트 당첨 부럽습니다~
@user-fn9kl9eb2l
@user-fn9kl9eb2l 2 ай бұрын
영상 잘 볼게요 감사합니다 늘 응원합니다 오늘도 기쁨이 충만한 복된 하루되세요 😊
@user-yn8bv3tq3s
@user-yn8bv3tq3s 2 ай бұрын
쇼펜하우어에 대해서 잘 몰랐었는데, 지혜의 빛님이 올려주신 영상을 보면서 점점 더 관심이 많이 생기네요. 이번 영상도 정말 재밌게 봤습니다. 또 기대할게요~
@user-tc3ik7ir6t
@user-tc3ik7ir6t 2 ай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언어철학 관련 영상도 기대합니다!!
@user-tx4fc7it5o
@user-tx4fc7it5o 26 күн бұрын
감사히 잘들었습니다^^👍👍👍
@user-nu9be6ij8x
@user-nu9be6ij8x 2 ай бұрын
영상 잘봤습니다 😊 니체가 말한 죽음에 대한 강의도 기대할께요
@user-in2lf1nz6h
@user-in2lf1nz6h Ай бұрын
그 어떤 지식보다 알찬 강의임니다. 감사합니다!!!
@user-bq4nb7xi3s
@user-bq4nb7xi3s 2 ай бұрын
처음 볼 때 부터 쭈욱 ‘어? 뭔가 붓다의 사상이랑 비슷한데?!’하고 봤는데, 끝에는 아예 대놓고 불교용어가 나왔네요😂
@whijaes
@whijaes 2 ай бұрын
요즘 쇼펜하우어가 유행인듯.. 200년전에 삶의 진리를 깨달아버리신ㄷㄷ
@socialphilo3557
@socialphilo3557 2 ай бұрын
아뇨 마흔에 읽는 쇼펜하우어 책이 티비에 알려지고 유명해지면서 개나소나 감성적으로 쇼펜하우어를 아는 척 소비할 뿐입니다. 실제 쇼펜하우어 철학대로 표현하면 전부 님을 부정적으로 대할거에요 마치 마이클 샌델의 정의란 무엇인가 책이 한국에서 2백만부가 팔렸지만 실제 내용은. 절대다수가 모르는 것처럼 말이죠. 심연의 끝판왕인 쇼펜하우어마저 감성으로 소비하려는 지금 한국사회는 가히 제정신이 아닌거죠
@bohwang8513
@bohwang8513 2 ай бұрын
​@@socialphilo3557 살기 삭막하니까 염세뽕 + 패션용 소비 ㅇㅈ ㅋㅋㅋㅋ
@decadent_
@decadent_ 2 ай бұрын
마흔에 읽는 니체도 ㅋㅋㅋㅋ 마흔이랑 뭔 상관인가 싶음
@socialphilo3557
@socialphilo3557 2 ай бұрын
@@decadent_ 마흔이 아니라 평생 가도 발톱만큼도 이해못할 사람들이 대부분 그 책을 사더이다ㅋㅋ
@socialphilo3557
@socialphilo3557 2 ай бұрын
@@bohwang8513 여자들이 그 책 사는거보고 진짜 얼척이 없었습니다. 82년생 김지영을 소비한 여자들이 쇼펜하우어를 인정하고 공부하려고 그 책을 사겠습니까ㄱㅋ
@wintertoldyou
@wintertoldyou 2 ай бұрын
항상 감사합니다!
@rosaheykungjung8378
@rosaheykungjung8378 2 ай бұрын
이해가 쉽게 말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dh7rs2cr9w
@user-dh7rs2cr9w 2 ай бұрын
짝짝짝 감사합니다
@peace7421
@peace7421 2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cg8pq7ml7j
@user-cg8pq7ml7j 2 ай бұрын
인간은 신의 꿈속에 존재하는 관념에 불과할지 모른다 마치 모든 의식 경험 기억과 감각들이 자기것인양 생각되도 그 근원은 우리가 결코 알수없는 절대자로부터 비롯된다는 말이다 세계의 원인은 세계밖에 있다 우리가 아무리 노력하고 고심해도 이미 그 결과는 정해져 있다는 생각이 든다 그저 여여한 마음으로 사는게 현명할듯
@user-qi5ww4nw8x
@user-qi5ww4nw8x 2 ай бұрын
삶의 문제에 관한 질문은 언제나 제 마음 속 깊은 곳을 건드리는 것만 같습니다. 좋은 영상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user-gz7hj9ev8t
@user-gz7hj9ev8t Ай бұрын
고맙습니다 ^^
@yogilmyway
@yogilmyway 2 ай бұрын
누구는 건강하고 누구는 병약한 것도 '의지'의 표현이라고 말할 수 있겠네요. 중병은 '표상'이며, 죽음은 '의지'로부터의 해방임을 알게 됩니다. 중환자의 죽음이 고통의 근간인 '의지'마저 소멸할 수 있을까요... 선생님, 오늘 강의도 잘 들었습니다. 늘 감사합니다.
@user-wc6kr5zp2d
@user-wc6kr5zp2d 2 ай бұрын
그 어떤 인간도 권태와 고통의 굴레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걸 알면 그 누구의 삶도 부러울게 없네요. 강의 넘 잘 들었어요. 나머지도 들어보고 싶네요. 그리고 집에서 먼지 뒤집어쓰고 있는 를 다시 시도해보고 싶은 용기도 생깁니다. Ps 잘 생겼다는 말 듣고 싶어서 그런거죠? 솔직히 얘기해보세요😅
@klogos2282
@klogos2282 2 ай бұрын
아하하하하하 저 이 댓글 보다가 빵 터짐~ 지혜의 빛님의 숨겨진 의도인가요? ㅋㅋㅋㅋㅋ 아니면 진짜로 '추남'이라 생각하셨다가 오히려 이 댓글 보고 "아 그런가?"라고 생각하실까요? ㅋㅋ 재밌습니다~
@lovedysy
@lovedysy 17 күн бұрын
삶과죽음이 하나죠 태어나서 행복만을 느껴본 사람은 행복을 모릅니다 불행이 있어야 행복이라는걸 알게되요 삶도 마찮가지 죽지않으면 삶이란 의미가 없어지는겁니다 영원히살건데 노력이 무슨의미가있을수 있겠어요? 내일하면돼지 영원히사는데 따라서 삶과 죽음이다른 개념이아니고 하나의개념 빛이있어야 어둠을 알고 어둠이있어야 빛을알듯 삶과죽음역시 하나입니다.
@socialphilo3557
@socialphilo3557 Ай бұрын
최고의 철학유튜버
@sundal1073
@sundal1073 8 күн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꾸벅
@34827a_
@34827a_ Ай бұрын
객체를 소멸시키면 의지 또한 함께 소멸되니까 자살을 하는 게 아닐까요(?) 의지의 근원을 찾고 의지를 부정하거나 방향성을 수정하는 것보다 그냥 일회성으로 객체를 소멸하는 게 쉬우니까
@user-dl1wk7yh8g
@user-dl1wk7yh8g Ай бұрын
쇼펜하우어의 철학이 불교의 가르침과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Ryeohan
@Ryeohan 18 күн бұрын
6:55 선생님 미남이신데..
@kimkyless6735
@kimkyless6735 2 ай бұрын
영상 잘 봤어요 😊💕
@yngsklee
@yngsklee 2 ай бұрын
잘 봤습니다. 철학강의를 즐겨 봅니다만, 항상 느끼는 것이 세상의 모든 철학은 불교의 아류에 불과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쇼펜하우어의 의지는 곧 자아이고, 삶과 죽음을 초월하는 것이 곧 열반적정, 윤회에서 벗어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enoshimachoi3990
@enoshimachoi3990 28 күн бұрын
의지에 대한 개념적 설명이 보다 필요하네요. 세상만물과 시공 모두가 의지의 맹목적 표현이며 행위라면 의지의 주체와 기준은 무엇인지..그리고 과연 '의지' 라는 한국식 표현용어가 쇼펜하우어가 생각하는 그것에 과연 적합한 것인지도 궁금합니다.
@mimmem76
@mimmem76 2 ай бұрын
쇼펜하우어는 불교를 공부하고 큰 감화를 받아 그의 철학을 완성하였죠. 하지만 불교는 저 의지라는 것에 대해서도 더 자세히 설합니다. 그게 업(카르마)이라는 것이고 업은 개별화된 각 존재 단위가 아니라 생명에 걸쳐서 흘러갑니다.
@klogos2282
@klogos2282 2 ай бұрын
불교에서 '업' 즉 카르마는 베다와 우파니샤드에서부터 논해왔던 것으로 이를 불교는 숙명론이 아닌, 인간의 노력으로 바꿀 수 있다고 본 것이 큰 특징이죠. 따라서 쇼펜하우어가 논한 '의지'와 불교에서 논하는 '업'을 같은 선상에 놓고 보는 것은 잘못된 이해라고 봅니다.
@user-xf9qu7bx2n
@user-xf9qu7bx2n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아동기때부터 28살이 된 지금까지 죽음에대해 생각을 하고 살았어요 죽음이 두렵다도 있지만 그저 편해지고싶은 마음이 더 큰 상태입니다 영상을 보고 궁금증이 생겼어요 그 의지를 볼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어떻게 해야 인식을 전환시킬수있는지 궁금합니다
@user-lg2sb3hk5i
@user-lg2sb3hk5i 2 ай бұрын
의지 보다는 욕구 라고 번역하는게 더 잘 받아들일수 있겠단 느낌인데 욕구가 좀더 객관적인 뉘앙스라 그런가 암튼 불교신자 입장에선 그다지 신선한 느낌은 없네요
@Giggler94
@Giggler94 2 ай бұрын
생이란 시간을타는 드라이브다. 다음 목적지가 어디고? 우리동네는 눈감고도 돌겠다. 살게하는건 좀 더 꾸고싶은 추억이 있기 때문이지 않을까. 이 포인트의 나와 답답할 수 있는 여전한 일상에서 색다른 사고를하는게 종교고요
@heueueueu
@heueueueu 2 ай бұрын
너무 맛있다ㅠㅠ
@user-ql4ve2mq2x
@user-ql4ve2mq2x Ай бұрын
내가 그때 대학생이라도 쇼펜하우어 수업 안 들었을듯
@user-vp8xj7je3l
@user-vp8xj7je3l 22 күн бұрын
겁이 없거나 탐욕이 없었다면 지금까지 멸종을 안당할수가 있나 새삼스럽게 철학이니 뭐니 해도 100백년인생에 1년만 행복해도 그 1년의 행복에 미련을 가지는 사는게 우리들
@user-sk6ls5wv9w
@user-sk6ls5wv9w 2 ай бұрын
무아, 유심조, 표상, 이데아, 부동의 동자, 신, 진단과 처방을 각자 제시 하지만 모두다 공허하다. 우리는 삶의 물음표를 움켜쥔채 소멸해 갈 뿐이다. 적어도 내가 보는 세상은 그렇다.
@user-vo6jc5mg9w
@user-vo6jc5mg9w 15 күн бұрын
그렇다면 어떻게 표상의 세계를 넘어 의지의 세계를 바라볼수 있고 알수 있을 까요????
@user-iy2po7ju7r
@user-iy2po7ju7r 29 күн бұрын
개인의 삶은 자신의 뇌활동의 시작인 의지 그리고 눈을 떠면서 보이는 것이 표상이다 의지는 표상을 보면서 경험을 축척한다 그런데 너와 나의 삶에 있어서 서로의 의지와 표상은 다르다 의지는 의식과 무의식으로 나뉜다 꿈 희망 욕망이 뒤섞인 채 표상을 만나는 순간 상상을 시작하게 되고 그 상상을 실현시키고자 실천을 시작하게된다 연예과 결혼은 이성간의 의지와 표상이 합치되어 일어나는 현상이다 일심동체 즉 결혼(의지)이라는 선언을 통해 법적으로 타인에 대한 성적인 배타적인 권리 즉 표상(유부녀 유부남)을 주장하는 것이다 결혼을 예로 들었지만 인간의 삶이란 무수히 많은 사건 사고에서 의지와 표상이 도출된다 이제 노인이 되버린 나로서는 의지 즉 꿈 희망 욕망이 사라지고 병이 든채 표상을 그제 바라보면서 남은 생이 얼마일까 생각한다 육체의 건강을 잃어버리면 의지도 사라진다 그래서 표상 즉 내가 세상을 바라보는 모든 현상(표상)을 그저 스쳐지나고 의식에 머물지도 못한 채 지난다 희망과 욕망은 사라져도 꿈은 여전히 지닌채로 이제 그 꿈이 희망의 불씨인지 악몽인지도 분별하지 못하는 무의식 상태가 되어버렸다
@user-ic6rt5rn7x
@user-ic6rt5rn7x 3 күн бұрын
육체의 건강을 잃어버리면 욕망도 사라진다로 수정하고갑니다~ 현재의식,잠재의식,무의식
@davidkim2896
@davidkim2896 2 ай бұрын
쇼펜하우어는 결국 불교철학의 일부분을 나름의 사변을 보태어 재해석한 것같음. 의지 = 욕망 = 집착, 이것을 내려놓으면 삶이 더 수월하다는... 죽음에 대한 공포를 가질 필요도, 자살할 필요도 없고... 더우기 나 아닌 다른 대상에 대한 연민을 가지면 삶에 의미도 발견할수 있고...
@user-xs7vs3hz1x
@user-xs7vs3hz1x Ай бұрын
불교에서 의지 그리고 욕망과 집착은 각각 서로 다른 개념임. 그리고 불교에서 말하는 살아있는 모든 것들에 대한 연민은 삶의 의미를 발견하기 위해 일으키는 게 아님. 사성제를 알고 보는 이라면 누구라도 그러한 연민이 자연스레 일어나는 것이지, 연민을 하겠다라고 의지를 일으켜서 연민을 하는 게 아니라는 거지. 그리고 불교에서 ‘삶의 의미’란 건 아집의 족쇄에 묶인 무지한 중생의 헛된 착각내지 바람임.
@user-ns2uh3hb6j
@user-ns2uh3hb6j 2 ай бұрын
재앙에..신이있다면 두발달린 인간동물들 싹다 공평하게 대리고 가세요. Forever~~~!!!!
@CheriYoon5871
@CheriYoon5871 2 ай бұрын
지구 🌎 상의 사람들은 제각각 생각하기에 골몰합니다.지구를 떠나서 우주의 공간에 선다면 많은 감명을 받으리라 생각됩니다.아폴로 달착륙선의 우주비행사들은 우주에 대한 깊은 느낌을 받았다고 합니다.
@user-ilovekkh
@user-ilovekkh Ай бұрын
철학을 대학에 전공하려 했지만, 현실적으로 돈벌이가 전혀 되지 않아 공학을 선택했지, 씁쓸하지만 결국 현실을 택할 수 밖에 없는 세상이 더 허망하다
@user-gv1dm3kz5y
@user-gv1dm3kz5y Ай бұрын
환~히 불 밝히고 때가 이르러 마땅히 아는 것을 당연히 알게 되면 이 때에 이르러선 불을 꺼라! 그리하면 영원히 꺼지지 않는 불이 켜지리니...
@user-le3xw5gn7c
@user-le3xw5gn7c 28 күн бұрын
10:30
@ClaySirius
@ClaySirius Ай бұрын
쇼펜하우어는 잠언서를 통해 답을 얻었듯, 인간이 고통스러운 이유는 성경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마귀로 인해, 하나님을 떠난 채 원죄를 안고 태어났고 그 체질은 죽을 때 까지 갖고가지만, 예수 그리스도 이름으로 내 몸에 묶인 마귀의 저주를 풀어내면 영혼에 하나님 나라가 임합니다 저도 지금 염세주의자 비슷한 상태이긴 하지만 내 생각, 내 환경, 사단과의 영적싸움을 했을 때 내 마음에 평안이 온 여러번의 증거와 체험이 있기에, 오늘도 내 기쁨을 빼앗고 오지도 않은 미래에 대한 두려움을 주고, 허울뿐인 욕망에 불을 지피는 마귀와 영적싸움 합니다 영적인 눈을 뜨고, 상대뿐 아니라 나 자신도 요한복음 8장 44절의 마귀체질임을 깨닫게 되면 나에게도 남에게도 속지않는 날이 오며 결국 상대방을 긍휼과 사랑의 눈으로 보는 순간이 오는듯 합니다 그러면 하나님이 우리를 만드신 원래의 형상, 창세기 1장 27절~28절의 모습이 회복됩니다 이게 원래의 사람입니다 예수는 나의 그리스도!
@user-oz9vh4ch6r
@user-oz9vh4ch6r 2 ай бұрын
@user-kw1ki2lh1m
@user-kw1ki2lh1m Ай бұрын
아 어렵다….
@user-ks5cl3mv2t
@user-ks5cl3mv2t 26 күн бұрын
표상의 개별화 공부못함용돈 질투하나 결국 같은 처지 의지무관 과식 낮잠 다 의지가맹목나타나 나도 뜻대로 안되는게 인생이다 너도 회사못 너공구몼함 의지표현 걑은 밖에서 강 서로연민 서로 동정 힘 엄세아니라 연민정 호랑달리 의식높다 본질 자살 삶상황에서 문제 의지부즹소멸아니라 인간의지세계방해요소 ㅇ
@Justlikethat2978
@Justlikethat2978 43 минут бұрын
꿀쟁
@cigocy1146
@cigocy1146 Ай бұрын
멱고 정액과 똥오줌으로 배설하는 것 근원적으로 쳐먹는 주댕이와 똥구녕의 구조로부터 출발해야함 즉. 의지로 표상되는 창조와 소멸의 세계 나훈아 노래 가사처럼 "내가 왜 이러는지 나도 몰라"... ㅋ 차마 누르지 못한 정념으로 비롯된 나의 세계 이또한 전인권의 노래 가사처럼 "그것만이 내 세상..." 이러면 이해가 쉽겠지? 이것을 헤겔과 맑스 확장하자면 역사 유물론으로 귀결 된다 즉. 정신은 실존적 육체로부터 육체는 욕망으로부터 만져지는 사실과 현현하는 구체적인 물질부터 철학은 정립되야 한다 작금의 현시대엔 의지의 현상을 화폐로 교환 한다 인간은 종교적이기에 앞서 정치적이며 욕망하는 동물이기에 의지의 지배를 받고 노동을 근본으로 봐야 한다 하느님이니 천사.악마니 하는 헛소리도 동식물의 노동 없이는 공허하다 어때요? 철학 참! 쉽죠?
@user-gv7fw1rt7g
@user-gv7fw1rt7g Ай бұрын
죽는순간이 명쾌하지않을거면 철학은왜 공부했나
@user-hr8os2bb9c
@user-hr8os2bb9c 21 күн бұрын
?
@Anniesh0618
@Anniesh0618 21 күн бұрын
??
@user-gv7fw1rt7g
@user-gv7fw1rt7g 17 күн бұрын
바보냐,,
@thingssmall390
@thingssmall390 2 ай бұрын
그냥 좀 담담하게 강의를 하면 안될까요 ?
@klogos2282
@klogos2282 2 ай бұрын
담담하게 하면 지루하잖아요~ 전 임팩트있게 진행하는 이 방식이 너무 좋네요~
Sigma Girl Education #sigma #viral #comedy
00:16
CRAZY GREAPA
Рет қаралды 70 МЛН
ELE QUEBROU A TAÇA DE FUTEBOL
00:45
Matheus Kriwat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100❤️
00:19
Nonomen ノノメン
Рет қаралды 37 МЛН
쇼펜하우어 - 인간의 삶이 고통인 이유(feat.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29:18
와..미친.. 쇼펜하우어의 천재적인 생각 총정리
19:24
라이프해커,자청
Рет қаралды 238 М.
붓다의 침묵 : 불교 사상의 핵심은 무엇인가?(feat. 윤회와 무아의 문제)
29:58
걱정은 환상이다
26:03
지식의 취향
Рет қаралды 138 М.
Sigma Girl Education #sigma #viral #comedy
00:16
CRAZY GREAPA
Рет қаралды 70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