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철학이 이해한 시간의 성질 : 시간이란 무엇인가?

  Рет қаралды 117,018

지혜의 빛 : 인문학의 숲

지혜의 빛 : 인문학의 숲

Күн бұрын

시간에 대한 불교철학적 이해를 주제로 하는 강의입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초기 부파 불교 시대에 집중하며,
설일체유부와 경량부의 시간 논쟁을 중심으로 소개합니다.
재미있게 시청하세요.

Пікірлер: 206
@namsooklee2133
@namsooklee2133 7 күн бұрын
지혜의 빛님 이런 강의를 하시기까지 얼마나 많은 시간과 열정이 있었을까요. 정말 감사히 듣고 있습니다. 🙏🏼
@bella_green25
@bella_green25 3 ай бұрын
감동입니다 대단하십니다 이런 귀중한 최고의 강의를 듣다니 !!!!! 정말 정말 감사합니다 ❤
@강연승-j9t
@강연승-j9t Жыл бұрын
보고 또 봅니다. 그런데 이런 강의를 한 편 하려면 얼마나 공부를 많이 하고, 또 얼마나 많이 준비를 해야 합니까? 젊은 분이신데 놀랍습니다.
@문호준-i5h
@문호준-i5h 2 ай бұрын
노력의시간도 중요하지만 이전에 타고난 바탕적 질량 갖춰줘야ㅡᆢ😅
@절정흔남
@절정흔남 Жыл бұрын
훌륭하고 대단한 영상과 설명입니다. 제아무리 똑똑하고 다독한 사람이나 학자라도 불교를 모르면 근본 진리를 모르는 셈이죠. 가히 불교는 우주의 법칙 진리를 담은 인류의 최상위 정신유물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serendipity-w5v
@serendipity-w5v Жыл бұрын
적확한 말씀이십니다. 한국인으로 태어나 원효나 의상을 모른다면 영국인이 세익스피어를 모르는 것과 같지요.
@학습관길냥이일기
@학습관길냥이일기 Жыл бұрын
훌륭한 강의를 공짜로 듣는 것이 미안할 지경. 정말 감사합니다.
@더스틴더윈
@더스틴더윈 Жыл бұрын
그저 박수를...👏 👏 👏
@KinderZOE
@KinderZOE 10 ай бұрын
😂🎉🎉🎉🎉
@zjswixbej
@zjswixbej 3 ай бұрын
진짜 최고의 유튜버 입니다. 100만 구독자. 수준 높은 영상들.
@gleekiju
@gleekiju 3 ай бұрын
현대 물리학에서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고 말하는데 부처님은 어덯게 그러한 것을 사유로만 깨달으셨는지 놀랍습니다.
@Soul-oo2jo
@Soul-oo2jo Жыл бұрын
감동하며 들었습니다. 마음의 종자가 있으며 조건에 따라 성장이 달라진다는 말씀, 크게 와닿았네요. 설사 안좋은 환경에 태어났다해도 나에게 좋은 환경을 주기 위해 이동하며 스스로를 잘 양육하고 수련해야겠다 싶습니다. 나는 찰나의 존재인데 지나치게 과거에 집착하여 살면 그 한계를 만들고 업도 끌고오게 되니 마음을 잘 수련하여 ‘나’로 이해하며 집착된 형상을 초월해야겠다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정훈-h4d
@정훈-h4d 5 ай бұрын
깨달으면 지금부터 운명을 바꿀수있다는게 석가의 가르침입니다.
@haribo8080
@haribo8080 Жыл бұрын
불교철학 많이 다뤄주세요 ❤
@Freshfresh7
@Freshfresh7 9 ай бұрын
붓다께서는 말그대로 천재이신듯 합니다
@user-sb3ti1hh9x
@user-sb3ti1hh9x Жыл бұрын
이어려운 이론을 대단하십니디😊
@OMG-mv8cd
@OMG-mv8cd Жыл бұрын
싯다르타의 사상은 알면알수록 감탄밖에 나오지 않습니다. 인류사의 천재 중의 천재인듯
@yogilmyway
@yogilmyway Жыл бұрын
현재에 집중하며 살아야 하는 이유... 다시 한 번 깨닫게 됩니다. 이를 알지 못하면 과거를 후회하고 미래를 불안해하며 살게 되겠지요. 이를 표현하는 다른 말이 '업보'가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불교 철학이 마음 공부 하는 사람들에게 왜 중요한지 잘 알게 됐습니다. 선생님, 늘 감사합니다.
@멩이-p6p
@멩이-p6p 11 ай бұрын
정말똑똑하세요.. 얼마나 많은 연구와 공부를 해야 이렇게 되셨을지👍🏻👍🏻
@손샘의쉽게배우는수학
@손샘의쉽게배우는수학 6 ай бұрын
아, 정말 좋은강의를 아침에 눈뜨고 만나니 열반이 따로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무상 고 무아 🙏
@junghoroh
@junghoroh Жыл бұрын
우와 놀랍습니다. 사랑하는 지혜의 빛님이 불교철학을 하시기에 저는 걱정걱정 대부분 불교철학을 자기방식으로 해석하여 헛소리가 대부분이라 그런데 역쉬 정확하게 구사론의 경전을 기반으로 하셨다고 하니 놀랍습니다. 아비달마 불교는 용수보살에 의해 이미 격파된 이론들이고 치밀한 학뮨적 업적은 있지만 붓다의 사상을 훼손한 면이 많으므로 담에 용수 보살로 정확하게 무엇이 잘못 된 것인지 부각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강의내용에 말씀해주신 있는 그대로 본다는 것이 양자역학의 파동 입자 이론처럼 불교의 여실지견이 우리의 상식으로 따라가기 힘듭니다. 앞으로 지혜의빛님 통찰로 우리의 상식이 천동설에서 지동설로 변하듯 코페르니쿠스 변혁이 오길 기대합니다. 화이팅
@자연스럽게-p8o
@자연스럽게-p8o Жыл бұрын
용수가 용궁에서 화엄경을 가져왔다는데,,, 대승불교 구라의 시작점이죠.
@Think082
@Think082 2 ай бұрын
무지역무득 이니라
@gracepark5560
@gracepark5560 2 ай бұрын
아. 오늘은 편하게 봐야지 했는데 역시 필기를 안할 수가 없습니다. 덕분에 한자의 벽이 낮아지고 굉장히 흥미로워졌어요. 고맙습니다.
@해뜨는시간-c8t
@해뜨는시간-c8t 10 ай бұрын
제가 본 최고의 불교강의! 고맙습니다
@이상해-d2c
@이상해-d2c Жыл бұрын
불교 관련 영상은 항상 흥미있네요. 다만 오늘 내용은 만만하지 않아서 나중에 한번 더 봐야할 것 같아요. 다음 영상도 기대하겠습니다~
@장문선-n2q
@장문선-n2q Жыл бұрын
불교철학의 심오함이란!!! 이러한 심오한 세계를 이토록 일목요연하게 정리해주시다니!!
@김상태-y2p
@김상태-y2p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 뭐가뭔지 모르지만 자꾸 찾아와서 귀가 열리도록 하겠습니다.
@Ranum-r2c
@Ranum-r2c Жыл бұрын
이건머. 왠만한 승려는 뺨치는 해설이자 법문이네요. 대단하심.
@conan8471
@conan8471 8 ай бұрын
어떤 승려가 이만큼의 반의 반만이라도 그 반의 반만이라도 이해하고 설하는 분들이 있던가요….?🤔
@serendipity-w5v
@serendipity-w5v 8 ай бұрын
@@conan8471 이 정도의 기초는 구사론에 있답니다 님이 모르시는 것 뿐이지요 원효스님이나 의상스님의 책 한번 보시지요
@serendipity-w5v
@serendipity-w5v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쉽게 설명할 수 있다는게 대단합니다. 한국인으로서 구사론을 모르고 지나가는 것은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지요. _()_
@qkjldf7425
@qkjldf7425 Жыл бұрын
붓다는 시간도 다른것들과 상호의존한다고 봤군요 정말 천재적인 사유입니다 시간이라는 실체가 따로 있는 게 아니고 변화가 없으면 시간도 없다고 봤다니 제가 다른 철학자들은 뭐라고 했는지 몰라서 비교는 못하겠지만 굉장히 유니크하다고 느껴집니다
@cls530
@cls530 Жыл бұрын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영상 너무 감사합니다🥹❤
@최명근-q9n
@최명근-q9n Жыл бұрын
놀랍습니다. 놀라울 따름입니다. 감사합니다.❤
@monse8798
@monse8798 Жыл бұрын
Thanks!, but today’s lecture is difficult to me honestly. I need to listen it again
@ays2693
@ays2693 Жыл бұрын
경량부의 인식론이 정말 놀랍네요. 칸트도 이 내용 접했다면 쓰러졌을 듯합니다~ 정말 놀랍네요!!!
@user-pl5pu6it5x
@user-pl5pu6it5x Жыл бұрын
19세기 유럽 지식인들이 다른 지역의 철학들을 많이 연구했던거 같은데 어쩌면 영향을 받았을지도 모르겠습니다, 특히나 현대 물리학자들은 불교에 대해 유독 기대가 컸더라구요..
@serendipity-w5v
@serendipity-w5v Жыл бұрын
칸트도 접했을 겁니다. 구사론 한번 보시길 권해봅니다._()_
@세상의모든반응
@세상의모든반응 10 ай бұрын
석가모니는 신이 아니라 할지라도, 보통 천재를 뛰어넘는 정말 특별한 존재같습니다. 제가 봐온 어떤 위인들도 이런 생각을 하지 못했다고 봐요. 거기에 다이아몬드 수저인데 어릴때부터의 생각자체가 남달랐으니까요.
@믕-r3i
@믕-r3i 8 ай бұрын
다이아수저라서 가능했단거임 다 가졌으닌까 생각 할 여유가 생기고 깨닳는거죠.. 흙수저면 당장 삶이 힘들고 바빠서 그런 생각에 빠질 틈도 없음
@junhochoi2442
@junhochoi2442 5 ай бұрын
ㅋㅋ 그 수저 버린 게 더 대단한 거죠. 세상의 고통 목격 후에 벽을 쌓고 불행을 피하려고 하기보다는 쥐고있던 것 놓고 직접 이해하려한 건데. 다이아수저였든 아니든 별 상관없았을수도 있죠. 필요조건은 아닌듯ㅋ 사람에게 관심도 많고 고뇌가 많은 사람인데 논리적이었던 게 더 큽니다. 100명의 석가모니를 왕자로, 거지로, 평민으로 여러 가정에서 태어나게 했어도 대부분 꽃피었을거라고 생각이 드네요. 인간의 고통을 바라보는 눈이 있었단 게 핵심인데, 그게 왕자라서 더.쉽게 가졌을 건 아니니까요.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권력자들이나 그들의 자식들을 보면ㅋ
@시현이-y4w
@시현이-y4w Жыл бұрын
공짜로 들어도 되는건가…너무 유익하다..최고
@공무비-u5g
@공무비-u5g 9 ай бұрын
좋은 내용이면 돈을 요구하는 분들도 많던데, 그러지를 않으시니 저절로 조금씩이지만, 지속적으로 마음을 표하고 싶어집니다. 혼란속에서 저를 건지시고 계십니다. 감사합니다._()_
@백련-d4i
@백련-d4i Жыл бұрын
설일체유부와 경량부를 이렇게 구분하여 설명해주시니 일목요연하게 정리 되네요. 불교를 공부하다보면 수천년 시간동안 먼면히 이어져 오고있는 세계 철학사상이 이미 불교 안에서 검토되고 있었던 내용들 아닌가 싶습니다. 일체를 있는 그대로 보고 있는 그대로 사유하기 위해 불교는 필수 가르침이라고 생각됩니다. 지혜의 빛님의 고등한 학문성취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Vitale673
@Vitale673 Жыл бұрын
위의 두 글에서 엄청난 수준차이가 느껴지네요... 기독교가 욕먹는 이유도...
@keggschilds
@keggschilds Жыл бұрын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도불교철학영상 부탁드립니다 !
@amimin2919
@amimin2919 Жыл бұрын
불교철학 설명하는 채널중 단연 최고!!! 구독하고 갑니다
@pawirochannel8654
@pawirochannel8654 Жыл бұрын
🌟Great content, the looks so nice these amazing a beautiful the temple for prayers, 14 like it. Good luck my friend.
@fruitwhite2877
@fruitwhite2877 Жыл бұрын
와.. 감탄을 금치 못하고 순식간에 들었습니다..! 정말 어려운 개념에다 한자어인데 귀에 쏙쏙들어오고 이해도 정말 잘되네요.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BSA21M
@BSA21M Жыл бұрын
최곱니다 ❤
@uptune5368
@uptune5368 Жыл бұрын
압도적인 강의…하 아무것도 알아들을수 없는데 이분은 압도됩니다 매일영상이 올라왔습 좋겠습니다!!!
@성이름-v7v8v
@성이름-v7v8v Жыл бұрын
경량부의 인식론을 들으면서 물자체 개념이 떠올랐는데 바로 뒤에서 확인사살을 해주셨네요 ㅋㅋ 인도 철학에 대해서는 잘 몰랐는데 이렇게 소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금강-b2r
@금강-b2r 11 күн бұрын
진심으로 이런 멋진 강읠 듣게 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건강하세요..
@lee-tx3pg
@lee-tx3pg Жыл бұрын
휴식후 강의 감사합니다 ❤
@그리운바다성산포
@그리운바다성산포 Жыл бұрын
정말 대단하십니다. 존경합니다.
@Think082
@Think082 11 ай бұрын
제발 불교철학 빨리 햐주세요…
@채권총론
@채권총론 Жыл бұрын
크~ 영상퀄리티가 최고입니다!
@aphilos262
@aphilos262 Жыл бұрын
경량부의 인식론이 정말 놀랍네요. 대단합니다.
@uhi9480
@uhi9480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insoopark2596
@insoopark2596 9 ай бұрын
아 이 젊은 분이 장차 한민족 정신문화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 세계문명사의 지도적 위치로 끌어올리게 하실 분이구나!!
@최임준-j6k
@최임준-j6k 9 ай бұрын
아주 수준 높은 강의입니다 ㅡ 감사합니다
@빼빼샤
@빼빼샤 Жыл бұрын
귀하게잘보았읍니다 선불교을다루어주셨으면 감사하겠읍니다
@서상균-x9g
@서상균-x9g Жыл бұрын
아름다운 강의 너무감사합니다
@삼화령
@삼화령 Жыл бұрын
훌륭합니다.🙏
@청보리-y3l
@청보리-y3l Жыл бұрын
무언가 뿌옇게 엉켜있다고 생각했던 여러 사상들과 인문학적 지식들이 근래 지혜의빛님의 여러 강의들을 들으면서 일목요연하게 정리되고 있습니다.특히 이번 불교철학강의에서 칸트와의 유사성에 대해 정리해주신 부분은 아주 인상적입니다. ~ 다시한번 고맙습니다^^
@김태수-p2k7b
@김태수-p2k7b Жыл бұрын
정말 재밌네요, 유식학파와 중관학파 이야기도 듣고 싶어요 감사합니다
@moment5730
@moment5730 Жыл бұрын
와~ 👍 잘 들었습니다 열심히 준비하신 강의 소중하게 두고두고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박현지-m6p
@박현지-m6p Жыл бұрын
귀한 강의 잘들었습니다. 쉽게 설명하시니 귀에 쏙쏙들어오네요. 감사합니다. 늘 건강하시고 행복하시길 응원합니다.
@shuratrail
@shuratrail Жыл бұрын
역시 명강이십니다. 불교 철학, 인도 철학 강의 기다리고 있습니다😊
@바람타고바람타고
@바람타고바람타고 Жыл бұрын
불교는 철학이 아닌 종교입니다. 기독교가 불교는 신을 믿지않으니 종교가 될 수없고 철학으로 분류해야한다고 했죠 실제로 '종교(宗敎)'라는 한자는 중국의 남북조 시대 말기부터 수·당대에 걸쳐 불교학자들이 경전의 내용을 명(名)·체(體)·종(宗)·용(用)·교(敎)의 5개로 분류하여 요약할 때 사용한 말로써 후에는 '종'과 '교'를 합쳐서 '종교'라는 단어를 쓰게 되었고 불교를 대표하는 불교의 교(敎)의 사상을 요약하여 설하는 교리가 즉 '종교(宗敎)'였습니다. 불교의 종지(宗旨=높은 뜻), 종풍(宗風), 종사(宗師), 종맥(宗脈), 종도(宗徒)의 宗을 많이 쓰고 있죠. 19세기 말 일본 메이지 시대(明治時代)에 서양의 ‘religion(릴리젼: re- 다시, ligio- 주워 올린다 또는 재결합)’을 종교(宗敎)로 번역 되면서 일반화 된 것이죠.
@carpediem8193
@carpediem8193 Жыл бұрын
잘 쉬고 오셨습니까. 좋은 강의 늘 감사드립니다 🙏
@ka0r116
@ka0r116 Жыл бұрын
중후반부터 이해가 힘들 긴한데... ㅠ_ㅠ 구독과 좋아요 눌렀어요! 철학같은 걸 좋아해서 강의가 재밌게 들렸어요!!!
@공불성
@공불성 Жыл бұрын
불성의 입장에서 보면 삼세는 따로 존재하지 않으며 지금만이 존재 한다고 볼수있다 하네요. 그러면서도 과거 현재 미래를 모두 내포하고 있다고 합니다. 왜냐면 불성은 영원하니까요. 마치 바다와 파도중 불성을 바다에 비유하고 파도를 몸과 마음이라 한다면 파도는 생멸하니까 삼세가 분리돼 보이지만 바다는 영원하니까 삼세를 내포하면서 지금만 있는거죠. 여기서 윤회는 파도의 입장이고 윤회에서 해탈은 불성의 입장에서 보는 거죠. 명강의 감사히 듣고 있습니다.
@주수정-i2z
@주수정-i2z 8 ай бұрын
멋진강의 늘 감사드립니다 최고십니다❤❤❤
@handk3310
@handk3310 8 ай бұрын
정말 경이롭다.....아니 붓다는 도대체 어떻게 이런 사고를......그 오래전에.....
@구름에달가듯이-z6p
@구름에달가듯이-z6p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lhi2745
@lhi2745 Жыл бұрын
우리가 불교를 제대로 인식하고 바라봐야 하는 이유가 우리의 의식구조 문화 모든곳에 불교적 가치관이 녹아들어가있으며 근현대문학이 대표적인 좋은예이고 , 우리들의 마음속에 이미 깊이 드리워져있는 진짜 전통 가치관이죠
@serendipity-w5v
@serendipity-w5v Жыл бұрын
한국인으로 태어나 원효나 의상을 모른다면 안타까운 일입니다.
@정치철학경제
@정치철학경제 Жыл бұрын
​@@serendipity-w5v원효는 현실감각이 좀..
@바람타고바람타고
@바람타고바람타고 Жыл бұрын
@@serendipity-w5v 원효대산는 당대에 신라보다 당나라에서 더 크게 존경의 대상이었습니다.
@yngsklee
@yngsklee Жыл бұрын
역시 부처님은 세상의 진리이십니다. 나무아미타불 나무관세음보살
@임종명-o7e
@임종명-o7e Жыл бұрын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labowski
@labowski Жыл бұрын
최고 강의🙏🏻
@변화전문가길코치
@변화전문가길코치 10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하양하양-l7b
@하양하양-l7b 4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재밌어요. 불교 관점에 놀라는 중입니다.
@reno3465
@reno3465 Жыл бұрын
카 ~~~ 멋진 강의 ~~~~! 자이나, 브라만~~ 부파불교 사상들까지 비교해 주시는~ㅎ 시 , 공간 개념에 시간만의 연속성은 존재하지 않음을 밝힌 양자물리 시대~~~ 의 현대 개념까지 샤카족 깨달은 자는 어찌 알았는지~~~~!!
@dnfkxpddl
@dnfkxpddl Жыл бұрын
잘들었습니다,
@nomadnowhere8926
@nomadnowhere8926 3 ай бұрын
엔트로피의 변화로 시간을 인지헌다 ..참 이 진리를 그 오래전에 직관적으로 이런 깨달음을 얻다니 대단합니다....
@홍순현-h6y
@홍순현-h6y Жыл бұрын
명쾌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
@breez8
@breez8 7 ай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 드립니다. 후속 강의도 기대가 됩니다!
@Hangyeoul-s1g
@Hangyeoul-s1g Жыл бұрын
왜 불교가 과학지식과 많은 연관성을 지닌지 그의 철학을 통해 이해하는 바가 크네요. 그의 철학은 말 그대로 과학적인 사고방식을 지닌단 점에서 참으로 놀랍습니다
@새벽창
@새벽창 20 күн бұрын
지혜의 빛님의 깊은 지식이 놀랍습니다. 매일 잘 듣고 있어요. 감사합니다._()_
@user-pl5pu6it5x
@user-pl5pu6it5x Жыл бұрын
오늘도 훌륭한 강의 감사합니다 선생님.. 🙏
@하버마스J
@하버마스J Жыл бұрын
유익한 강의입니다. 정말 재밌네요!
@아나르코스-p1c
@아나르코스-p1c 8 ай бұрын
알아가는 게 재미있습니다.
@할머니의4씨방교실.마
@할머니의4씨방교실.마 Жыл бұрын
와 . 엄청난 강의 너무 감사합니다. 젊을때 한창 파고들던 불교학. 이렇게 깔끔하게 정리 하셔서 머리에 쏙쏙 끌어올리시는 명석하심이 이미 통달 하신분 입니다.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바람타고바람타고
@바람타고바람타고 Жыл бұрын
이종표교수의 강의도 들어보면 시대별로 다뤄나서 들을만합니다. 시간이 길고 난해하지만 더 심층적으로 강의합니다.
@Yuntoll11
@Yuntoll11 2 ай бұрын
'나' 라는 자아가 살아있는 동안에만 있는 것인가?아니면 "나' 라는 존재가 소멸(죽음) 순간에 '나' 라는 존재 자체가 사라지는 것인가? 그 '나' 라는 존재를 육체의 존재로만 인식한하면 모순! '나' 사후에 보이지 않는 영계의 세상으로 시간을 초월한 영원한 여행속에서 '나" 를 찾아갈까!?
@Jasmine-74
@Jasmine-74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게 봤습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칸트의 인식론과 대단히 비슷해서 깜짝 놀랐습니다. 인간의 깊은 사고는 결국 비슷한 방향을 바라보게 되는 걸까요..? 올려주신 강의들 하나씩 볼 때마다 큰 기쁨이 느껴집니다. 너무 감사드려요..! ^^
@이민영-t9h
@이민영-t9h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지금 이순간 행복하게 살아야겠다고 다짐해봅니다 감사합니다
@김프롱-y5s
@김프롱-y5s Жыл бұрын
시간은 내삶에서 가장 큰 깨달음이었고 치유였고 전부였다 그래서 허겁지겁 달려왔어요 잘들어볼께요
@CMC93.7.15
@CMC93.7.15 Жыл бұрын
마음을깨달으신분께드리는조그만한뜻 부처가 가장 큰 깨달음이자 세상에 널리 알렸는데 숲에가려 정작보고있지 못하는마음에 적어봅니다. 부처 이마에 점 그안에 부처의모든 깨달음이 다들어있습니다. 세상모든깨달음을 이마에 점으로 담아냈습니다😊 마음이 아픕니다 부처의점을 깨달은스님들은 후회를 하실려나요? 붓다가제자들에게 연꽃을 들어올린이유중하나적고갑니다 진흙이 세상이고 연꽃이 사람이면 세상이아무리 더러워도 이 연꽃처럼 너 자신을 아름답게 피워보거라😊 지나가는 청년의 넋두리입니다. 답은멀리있지않습니다. 자신에게있어요 좋은 깨달음을 얻으시길😊
@블랙-r6l
@블랙-r6l Жыл бұрын
양자물리학에 관심있던 제가 어쩌다 불교철학까지 왔네요. 불교철학과 양자역학이 맞닿은 부분들이 많은 것 같아 흥미습니다. 유익한 콘텐츠 감사합니다^^
@바람타고바람타고
@바람타고바람타고 Жыл бұрын
불교는 철학이 아닌 종교입니다. 기독교가 불교는 신을 믿지않으니 종교가 될 수없고 철학으로 분류해야한다고 했죠 실제로 '종교(宗敎)'라는 한자는 중국의 남북조 시대 말기부터 수·당대에 걸쳐 불교학자들이 경전의 내용을 명(名)·체(體)·종(宗)·용(用)·교(敎)의 5개로 분류하여 요약할 때 사용한 말로써 후에는 '종'과 '교'를 합쳐서 '종교'라는 단어를 쓰게 되었고 불교를 대표하는 불교의 교(敎)의 사상을 요약하여 설하는 교리가 즉 '종교(宗敎)'였습니다. 불교의 종지(宗旨=높은 뜻), 종풍(宗風), 종사(宗師), 종맥(宗脈), 종도(宗徒)의 宗을 많이 쓰고 있죠. 19세기 말 일본 메이지 시대(明治時代)에 서양의 ‘religion(릴리젼: re- 다시, ligio- 주워 올린다 또는 재결합)’을 종교(宗敎)로 번역 되면서 일반화 된 것이죠.
@conan8471
@conan8471 8 ай бұрын
양자 물리학과 불교의 어떤 부분이 맞닿은 것인가요. ? 진심 궁금해서… 또 이건 이렇다 하는 증명이 있으면 알려 주시길 간곡히 청합니다.
@휴잭맨베어울프
@휴잭맨베어울프 8 ай бұрын
빛은 입자이기도 하고 파동이기도 하며, 심지어 물질인 전자도 관찰여부에 따라 입자와 파동의 성격을 띄고 있죠
@휴잭맨베어울프
@휴잭맨베어울프 8 ай бұрын
또 시간도 양자화 되어 있어서 불연속적입니다
@conan8471
@conan8471 8 ай бұрын
@@휴잭맨베어울프 그건 저도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명상과 환생과 어떤 것이 맞다아 과학의 보편적 증명이 된 건가요..? 그것이 알고 싶습니다.
@행복이하루
@행복이하루 Жыл бұрын
대단합니다. 앞으로도 잘 되실거 같아요
@이웃집버니즈
@이웃집버니즈 Жыл бұрын
밥먹으면서 보기 좋아요
@nyroysa
@nyroysa Жыл бұрын
세존께서 웨쌀리에 있는 마하와나의 중각강당에 머무실 때, 비구들에게 말씀하셨습니다. "비구들이여, 예를 들어, 이 대지가 하나의 바다가 되었는데, 그곳에 어떤 사람이 구멍이 하나 뚫린 멍에를 던져놓았다고 합시다. 그 멍에는 동풍이 불면 서쪽으로 흘러가고, 서풍이 불면 동쪽으로 흘러가고, 북풍이 불면 남쪽으로 흘러가고, 남풍이 불면 북쪽으로 흘러갈 것이오. 거기에 눈먼 거북이가 백 년마다 한 번씩 떠오른다고 합시다. 비구들이여, 어떻게 생각하는가? 백 년마다 한 번씩 떠오르는 그 눈먼 거북이가 구멍이 하나 뚫린 멍에에 목을 넣을 수 있겠는가?" "세존이시여, 백 년마다 한 번씩 떠오르는 그 눈먼 거북이가 구멍이 하나 뚫린 멍에에 목을 넣기는 지극히 어렵습니다." "비구들이여, 사람의 몸을 얻기가 이만큼 어렵다오. 비구들이여, 아라한이며 등정각자인 여래가 이 세상에 출현하기가 이만큼 어렵다오. 여래가 가르친 법과 율이 세간에서 밝게 빛나기가 이만큼 어렵다오. 비구들이여, 그런데 그대들은 인간의 몸을 얻었고, 아라한이며 등정각자인 여래가 이 세상에 출현했으며, 여래가 가르친 법과 율이 세간에서 밝게 빛나고 있다오. 비구들이여, 그러므로 '이것은 괴로움이다'라고 통찰하기 위해 노력하고, '이것은 괴로움의 쌓임이다'라고 통찰하기 위해 노력하고, '이것은 괴로움의 소멸이다'라고 통찰하기 위해 노력하고, '이것은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이다'라고 통찰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오." - 중에서
@낙타발걸음
@낙타발걸음 Жыл бұрын
저러한, 인간 존재와 우주에 대한 깊은 철학적 사유를 제시했던 고대 정신들이.. 신비주의와 미신을 이용해 몽매한 대중의 환타지에 편승하며 쌓아올린 물적토대에 근원한 권위에 의존하며 누천년 지속되고 있으니.. 삶의 철학이 왜 이따위 거들먹 난 채 하는 X칠 설화들에 오염되어 갔는지 안타까울 뿐. ( 이유야 뻔하지만.. )
@user-reeee
@user-reeee 10 күн бұрын
와 업보의 제대로된 불교 해석을 이제 알았네요 시간의 개념도 재밌습니다 진짜 흥미로운 종교같아요 덕분에 배우고갑니다!
@SeongELeum
@SeongELeum 2 ай бұрын
17:30 실제로 선천적 시각장애인들에게 시각을 회복시켜주면 '이해의 틀'이 없어서 수술 직후에는 생활에 어려움을 겪는다고 하네요
@이상해-d2c
@이상해-d2c Жыл бұрын
두번 보니까 확실히 이해가 더 잘 되네요. 불교는 종교보다 철학적인 가치가 더 뛰어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드네요.
@민흘림
@민흘림 Жыл бұрын
그렇게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아마 불교 철학은 강의실에서 쉽게 접근 되지만 종교로 접근은 긴시간이 소요되어 잘모르기 때문인지도 모릅니다
@serendipity-w5v
@serendipity-w5v Жыл бұрын
종교란 최고의 가르침입니다. 불교야말로 최고의 종교입니다.불교의 교리를 잘 모르니 관념적으로 철학을 떠 올리니 그런거 같네요.
@핑크펭귄-p4q
@핑크펭귄-p4q Жыл бұрын
대박.... ㅠㅠㅠ 오늘도 또 삶을 다르게 바라보게됩니다
@켄타우로스-u2h
@켄타우로스-u2h Жыл бұрын
훌륭한 강의 감사합니다. 에크하르트 툴레의 지금 이순간을 살아라의 책속에 등장하는 말들이 반복적으로 나오네요..
@정훈-h4d
@정훈-h4d 5 ай бұрын
저역시 수많은 영성책들. 시크릿.리얼리티트랜서핑등 뉴에이지 관련책들 수십권 읽었는데. 불교 접하고 싹다 버렸습니다. 불교철학에서 그럴싸하게 말만 바꾼것 뿐이더군요. 진짜 답은 불교에 있더군요. 수천년전부터 검증되어 내려온것이 진짜이자 메이저라고 생각되니. 표현만 바꾼 온갖 종류의 뉴에이지책들은 볼필요가 없더라구요. 진짜 시크릿의 법칙이 불교 사성제와 연기법에 다 들어있습니다.
@불태양-j1f
@불태양-j1f Жыл бұрын
불교가 정말 난이도있는 종교같아요.
@설동원-n9n
@설동원-n9n 10 ай бұрын
와 최고다
@MyGomdi
@MyGomdi Жыл бұрын
오...새로운 콘텐츠 올라왔네요
@김종덕-q2h
@김종덕-q2h Жыл бұрын
굉장합니다.❤
@amorfati1661
@amorfati1661 10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ch-lm2ix
@ch-lm2ix Жыл бұрын
삶은 순간순간에 있다는 가르침,,,그래서 순간순간 깨어 있어야 한다는거,,,,그래서 과거에도 안살고 미래에도 안살며 오로지 지금 이순간 밖에 없다는거,,,감사합니다
@바람타고바람타고
@바람타고바람타고 Жыл бұрын
과거를 후회하지 말라. 과거는 흘러간 것이기에 돌아오지 않는다. 미래를 근심하지 말라. 미레는 다가오지않았다. 현재에 집착하지 말라. 현재는 흘러간다. 다만 지금 이 순간 최선을 다해라
@Diva-od5yi
@Diva-od5yi Жыл бұрын
강신주씨가 불교철학 강의하면서 서양철학에서 발견한 것들을 불교에서는 이미 다루고 있었다 그래서 오히려 서양철학이 불교를 이해하기 위한 도구가 된다라고 했는데, 뭔 말인지 알겠네여.
주역(周易) - 정체된 삶에 변화를 불어넣는 동양의 지혜
30:27
지혜의 빛 : 인문학의 숲
Рет қаралды 381 М.
Mom Hack for Cooking Solo with a Little One! 🍳👶
00:15
5-Minute Crafts HOUSE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
붓다의 침묵 : 불교 사상의 핵심은 무엇인가?(feat. 윤회와 무아의 문제)
29:58
쇼펜하우어가 말하는 행복의 기술
20:54
지식의 취향
Рет қаралды 878 М.
사주 명리학 : 당신의 운은 어떻게 오는가?(feat. 나의 사주 내가 보는 법)
31:06
인도에서 불교는 왜 소멸했는가?(feat. 신을 믿는 종교와 불교의 차이)
17:11
지혜의 빛 : 인문학의 숲
Рет қаралды 822 М.
시간의 기원에 대한 최신 과학의 충격적 설명
14:29
충코의 철학 Chungco
Рет қаралды 192 М.
Mom Hack for Cooking Solo with a Little One! 🍳👶
00:15
5-Minute Crafts HOUSE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