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교란 무엇인가?
14:27
4 ай бұрын
Пікірлер
@Sohn-ek7wh
@Sohn-ek7wh 2 минут бұрын
4대성인 중 한 명이 공자 배출한 중국
@user-ye2uz2zv5f
@user-ye2uz2zv5f 5 минут бұрын
영상 재밌게 보고 있는 구독자 입니다 선생님께서 만드실때 쓴 자료들은 어디서 구할 수 있는지 여쭤봐도 되겠습니까?
@user-vb7ym5no8i
@user-vb7ym5no8i 9 минут бұрын
무서운종교다
@user-op8mq2os3h
@user-op8mq2os3h 10 минут бұрын
좋은 영상강의 감사드립니다 느낌에 근거한 허망함 확 깨입니다. 송구하지만 빨리빨리 다음편을 외쳐봅니다
@user-ry8kw8nt8b
@user-ry8kw8nt8b 11 минут бұрын
어디에 머믈건지 답하면 어떤신가유 붓다는 이미 말했지유 너 바보 너. 똑똑 당신의 판단^ ^^ 법호불법호청법호승 불교수행자아자씨 2024.05.31.금.오늘 문자에맞게 해석 수행에 맞게해석 문자를벗어난 그곳에가서 수행과 문자에 맞게 해석 어때유 금강경 구절에서 여 ㆍ我설인데 약 ㆍ我에 머물면 是名이 我이니라 이런 귀절이 있어유우 이거 해석ㆍ수행 ㆍ이해 하면되유 참고로 붓다의 말씀은 인문학.찰학을 넘 어 과학을 넘어 의학 과학을넘어 우주와소통하지유 참고로ㆍㆍㆍ 많이ㆍㆍ해유
@jtsdaejeon
@jtsdaejeon 48 минут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qk1is9js2c
@user-qk1is9js2c 55 минут бұрын
한국에는 이만희도 있고 ㅋㅋㅋ 정명석이도 있고.ㅎㅎㅎ 김삼환이도 있고. 조용기도 있다.. 유대교고 뭐고.. 한국의 이런사람들이 지구상에서 최고라고 한다..종교는 신앙은 믿어도 되지만 안믿어도 된다는 결론이다.. 현실은 힘의 논리.. 인간은 그냥 자유와 시간속에서 살다가 소멸하는 것이고.. 생-노-병-사... 희.노.애.락..
@user-qk1is9js2c
@user-qk1is9js2c Сағат бұрын
성경도 무엇도 인간이 다 진화 하면서 심심해서 만들어진것이다..특별할 것도 없다..
@user-qk1is9js2c
@user-qk1is9js2c Сағат бұрын
그냥 믿지마라...종교 자체가 없다고 생각해야지...
@tukim4183
@tukim4183 Сағат бұрын
최고의 강의입니다
@tukim4183
@tukim4183 Сағат бұрын
감사합니다.
@tukim4183
@tukim4183 Сағат бұрын
정말 감사합니다.
@MonkeyMonktheBillionaire
@MonkeyMonktheBillionaire Сағат бұрын
까뮈의 부조리는 기존시스템의 관습적 가치관에 기반하여 세상이 흘러가지않는 그것을 부조리하다 한거고 결국 기독교적인 권선징악이라는 가치관에 의문을 던진것이고 그 관념에서 벗어나야 창조적인 삶을 살 수 있다고 말한것. 부조리, 불합리의 기준이 선악적 가치에 기반한 기독교적 관점으로 바라보기에 그렇게 보이는 것일 뿐이라는 것 철학적 사유를 할 때에는 단어 그 자체보다 그 안에 담은 의미를 제대로 이해해야하죠. "삶은 의미없다"라는 말을 기독교적 가치관으로만 세상을 바라보던이가 했다면 선악적 가치관에 기반해서 보상과 징벌이 따르지않음에 회의감을 느껴서 말한것이고 진정한 삶의 의미를 찾고 창조적인 생산을 할 수 있는, 능동적으로 가치관을 직접 정립하는 수준에 도달할 수 있는 개똥사상으로부터 드디어 눈을 뜨고 한 말인거죠. 까뮈의 부조리라는 표현이 많은 오해를 낳기 쉬운 표현이네요. 영상하나로 이런 모호함을 풀어내시니 상당히 유용하고 짧은 시간에 많은것을 얻게됩니다
@tukim4183
@tukim4183 Сағат бұрын
감사합니다.
@tukim4183
@tukim4183 2 сағат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fk8cx8el3g
@user-fk8cx8el3g 2 сағат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2편 기다리고 있었는데 드디어 보게 되어 기쁘네요. 영상 퀄리티나 구성도 정말 알기 쉽게 정리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soyokaze6706
@soyokaze6706 3 сағат бұрын
해탈
@user-px3po8zk8p
@user-px3po8zk8p 3 сағат бұрын
윤회는 많은 실제가 있어서 있다고 믿을 수 있습니다. 단지, 다시 태어난 자가 전생의 그대로인지는 모릅니다.
@user-hf2gj8rn3u
@user-hf2gj8rn3u 3 сағат бұрын
감사해요 내용도 너무 좋지만 어쩜 이리 명료하고 말도 잘 하는지 지혜의 빛님도 대단해요
@user-bh2ki3by3l
@user-bh2ki3by3l 3 сағат бұрын
불법공부, 명상 위빠사나, 사마타, 간화성 등등 돌고돌아 결국 모든 불법은 부처님의 마지막 가르침 ''자등명 법등명'' 으로 귀속되는거 같습니다 부처님은 저희를 불제자, 즉 ''제자''라고 칭하셨습니다 우린 불교를 믿는게 아니고 불법을 공부하고 행하여 나에게 의지하고 불법에 의지하여야 하는 제자들이라고 생각해 봅니다 영상 진심 감사드립니다 나무 비로자나불 나무 노사나불 나무 석가모니불
@user-on3hn4tl2q
@user-on3hn4tl2q 4 сағат бұрын
우주만물의원리는 종교의소유가아님. 종교는우주만물의원리를 가르치는 것일뿐,우주만물의이치나원리자체는아님. 우주만물의원리나이치는 지구인의수준과능력인,분별과분석,판단력으로,알거나깨달을수있는것아님. 우주만물의이치나원리는 이런것이라고 말할수없는것임.있는것도아님.없는것도아님.지구인의생각,분별,분석.판단력으로표현되거나 알수있는것아님.이런이유로,성현들은지구인에게,지구들에게 생각을멈추라,비워라,무심이되게하라,명상하라.집중하라등등의말로가르치는것임. 이말을하는자신도 우주만물의이치나원리는모르지만,종교를객관적입장,편없는사고방식에서 생각해보고 하는말임.본인생각이 진리인지옳은지는모름.참고하시라는것일뿐임.다른말로표현하면,지구인의이성은 완전무결한 잣대가아니다라는 뜻임.지구인각자의인생은 각자개인이책임임.대신자신을책임질 존재는없음.예를들면 종교를믿든않믿든 지구인자신생각대로,언행하면,주위의사람들이 지구인이만든법의처벌을받게됨. 세계사를보면,지구인들은,종교나정치.사법.경제활동등등에서,내생각만옳다고,설쳐서.종교문제로시비하고죽였고,정치한다면서,다른인종이나국가를 죽이고,땅빼앗기도했고,하고있음.내생각만옳다는것과욕심으로.겉과속이다르지구인들임.지구의모든국가의지도자나대통령들도,전부비슷한수준임.오십보백보수준뿐임.가소롭고,오만한지구인들임.
@user-gz7hj9ev8t
@user-gz7hj9ev8t 4 сағат бұрын
고맙습니다 ^^
@user-on3hn4tl2q
@user-on3hn4tl2q 4 сағат бұрын
종교의자유는헌법에서 없게하라.종교를이용하여,지구인을 이상하게만들고있다.기준인법을이용하여,양심과정의없이.법을집행하는공직자처럼.지구인들을 억울하게만들뿐아니라,이상한사고방식으로,지구인현실의 심각한문제를만드니,법을만들때,종교인.지구인눈치보며.대략좋은게좋다식으로,법을만드는지구인들.결국피해는법을만든 사람들뿐만아니라,지구인전체에 심각한문제를만드는원인도되고 만들고있다.단한명의지구인도 바로하려는사람이없다는현실이 심각한문제임.종교와 정치와사법곽ᆢㄱㅇ제와교육.역사등등과연관되있음.역활만다를뿐.우둔하고오만한지구인임.우물속개구리처럼
@user-pu5rz8lv4v
@user-pu5rz8lv4v 5 сағат бұрын
불교와 기독교의 차이는 주인으로 사느냐 종으로 사느냐의 차이
@user-qf7eh4dh9l
@user-qf7eh4dh9l 5 сағат бұрын
필자의 의견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저 역시 불교가 가장 솔직한 인간의 마음이라 봅니다. 다만 1. 윤회가 있다 없다가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다 말하지만 분영한 것은 존재 유무는 윤회 자체가 중요하다 안하다와 상관없이 있다 없다는 별개라 봅니다. 2. 윤회가 있든 없든 불교에게 큰 영향이 없다 하셨는데 전 중요하다 봅니다 윤회가 있다는 것은 전생이 있다는 거고 없다는 것은 이 생이 끝이라는 겁니다 육도윤회니까요 제가 보았을 때 님의 글은 정말 수준 높은 영상이지만 정확성이 부족하고 제가 말하는 부분이 인간의 영역이 아니니 쉽게 말해 인간의 영역이아니라 하는 부분도 정말 좋아 보입니다. 하지만 있다 없다는 ㅇㅇ론이다 아니다 ㅇㅇ론 이다와 관계없이 님의 말은 이해 하지만 있는 그대로 세상의 존재에 대해서는 원 위치가 되겠네요
@sharonjo8787
@sharonjo8787 5 сағат бұрын
불교 사상의 요체를 정확하게 강의하셨습니다! 공부에 큰 도움 되네요~
@allthetimeallthetime9627
@allthetimeallthetime9627 5 сағат бұрын
부처님과 아난다의 대화가 담겨있는 경전을 듣고 싶은데 어떤 경전인가요?
@user-tk6ei6yv9u
@user-tk6ei6yv9u 6 сағат бұрын
초기 불교를 공부하고 싶은데 어떤 자료를 통해 공부 해야 할지 감이 오지를 않습니다 혹시 추천하는 책이나 논문이 있을까요?
@user-tk6ei6yv9u
@user-tk6ei6yv9u 6 сағат бұрын
선생님 강의를 여러 편 보았는데 특히 불교를 설명해 주실 때 불교와 관련한 오해 때문인지는 몰라도 약간의 흥분이 느껴지는 거 같아요 ㅎㅎ 이러한 점이 강의를 더욱더 집중하면서 보게 해주었습니다 앞으로도 불교 관련 영상 기다릴께요
@user-uv3ij9zk2c
@user-uv3ij9zk2c 7 сағат бұрын
이세상의 모든정보가 서로 소통공유되면서 재생되듯 인간도 똑같다
@user-nc9lx9vh8b
@user-nc9lx9vh8b 7 сағат бұрын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영과육은 동일한지 아닌지 답하라에 공감합니다 영과육은 동일할수도 안할수도 있답니다 영과육이 절대흐름인때는 동일하며 영과육이 구분으로 드러남만을 볼때는 안하답니다 육은 생각.감정으로 연결된흐름으로 드러나며 육은 내면외면일치로 드러나며 육은 안함에서 행함으로 드러나며 육은 현재에 과거미래와 연결되어 드러난답니다 육은 절대흐름으로 위의 모든것이 동시에 드러남을 알때 절대각자가되어 같으며 동시를모르고 구분만을 알때는 다르답니다
@user-uv3ij9zk2c
@user-uv3ij9zk2c 7 сағат бұрын
상주와 단멸을 융통시키는개념은 재생이다
@user-uv3ij9zk2c
@user-uv3ij9zk2c 7 сағат бұрын
모든 물질과 에너지는 재생될뿐리다
@user-ho6rl5ih7v
@user-ho6rl5ih7v 8 сағат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zv5vt6hc2n
@user-zv5vt6hc2n 8 сағат бұрын
영상 감사합니다
@user-ej2oy8rq6o
@user-ej2oy8rq6o 8 сағат бұрын
칸트는 철학을 형이상학과 실천철학, 논리학으로 나눴는데요. 동양철학과 서양철학의 근본적 차이점은 동양철학에는 형이상학은 있는데 실천철학과 논리학이 없는데요. 칸트는 이론철학보다 실천이성의 실천철학을 더 우위에 두웠는데요. 라파엘로의 아테네학당에 보면 그리스 사상가들 20여명이 등장하는데, 대부분이 철학과 수학, 천문학등 과학을 같이 하잖아요. 탈레스, 피타고라스, 아르키메데스, 유클리드, 히파티아 등 고대 수학을 열었고요. 플라톤은 기하학을 모르면 아카데미아에 출입을 금했고요. 아리스토텔레스는 소피스트들의 무논리 궤변에 열받아서 논리학을 열었고요. 이집트의 프톨레마이오스 대왕은 그의 스승 유클리드에게 기하학을 배웠는데, 너무 어려우니 쉽게 배울 수 없냐고 하니까, 기하학에는 왕도가 없다는 말은 유명하고요. 철학적으로 말하면 논리적 비약은 용납이 안된다는 거잖아요. 그리스에서 안다는 것은 논증인데요. 논증할 수 없으면 안다고 할 수 없다는 거잖아요. 논증은 논리와 추론이고요. 정의란 강자의 이익이다라고 한 트라시마코스의 논리를 소크라테스는 반증했고요. 육조혜능의 비풍비번이란 화두가 있는데요. 흔들리는 것은 바람도 아니고, 기발도 아니고 마음이란 화두인데요. 화두... 화두 자체가 논리적 비약 아닐까요. 논리적으로 성립할 수 없는 말들의 성찬들을 검증할 수 없는 신비화가 형이상학일까요. 피타고라스 정리와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이 더 공감이 가는 것 같아서 몇자 적습니다.
@co-co1234
@co-co1234 8 сағат бұрын
죽어서 열반에 이르면 어떤 상태가 되는건가요? 윤회를 하지 않는 상태라고만 말하지말고 구체적으로 어떻게 되는지 궁금.
@2-ty6xn
@2-ty6xn 8 сағат бұрын
선생님 항상 감사합니다. 영상 매번 감사하게 보고있습니다.
@dhwanin-ho4db
@dhwanin-ho4db 9 сағат бұрын
이게... 무료....?
@user-tz7ex4lb9y
@user-tz7ex4lb9y 9 сағат бұрын
지혜가. 아닌 디훼라는걸 알고 난후 유툽을 하시길 한국불교는. 엉터리다 위없는 지혜는 없다는걸 모르고 기독교식 메타피직만이. 난무하는 불교 참된 지성인이 업다는. 결론 즉 육신통이 열리지 안은 망령들이 입만 살아 잇다는거
@user-sl1hv7qg1e
@user-sl1hv7qg1e 9 сағат бұрын
인간의 오감으로 느껴서 판단하는 모든것을 진리라고 믿고싶다 왜 인간은 몸을떠나서 살수없기에 그렇고 사후에 영혼이 있다라는말도맏다고본다 단 그영혼도 언젠가는 구름처럼 흩어져 사라진다고본다 영혼은 육체의영향을 절대적으로 받기에 영혼과 육체를 나누는것은 생명이라고 할순없다 좆같은예기 맹 해봐야그렇고 술 담배 도박 과도한섹스 이런것만안해도 천국에산다고보면됀다
@judah0610
@judah0610 9 сағат бұрын
크 진짜 딥하다
@sunyata4812
@sunyata4812 10 сағат бұрын
짧은 영상에 너무도 훌륭한 정리였습니다. 윤회를 굳이 거론해 본다면, 윤회, 해탈, 아라한, 포살, 명색, 무명, 등등 수많은 불교 기본 용어들은 기존에 쓰였던 단어들이었습니다. 이들의 기본 뜻만을 가져와서 불교만의 새로운 내용을 부여하며 사용합니다. 그것만 보고 불교는 브라만교의 사상을 차용한 아류라고 잘못 파악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윤회도 기본적으로 생사를 반복하며 흐른다는 기본 의미는 그대로 이지만 기존의 윤회와 개념이 다릅니다. 즉, 브라만교는 아트만 윤회이고 불교는 연기법적 무아 윤회입니다. 브라만 창조신은 없다고 말씀하셨듯 윤회도 없으면 없다고 말씀하셨을 겁니다. 윤회 부정보다 창조신 부정이 더 큰 충격과 논란거리일 겁니다. 깨달음을 얻는 날 밤부터 전생을 아는 앎이 생겼다 하셨고 수행의 최종 결과물인 깨달음도 윤회의 횟수를 기준으로 나누셨습니다. 나머지 수없이 많은 윤회 관련된 경이 니까야에 현존합니다. 방편은 어쩔 수 없어서 임시적, 한정적, 피상적으로 써야지 수시로, 전체적으로, 기본적으로 사용하면 방편이 아니라 사기이자 거짓말입니다. 특히나 윤회가 없는데 지독한 금욕의 출가 수행을 찬탄한 것은 모순이며 부처님은 학대자가 될 것입니다. 유물론적 단멸론이 지배적인 시기에 윤회를 안 믿는 것은 자유이고 존중하지만 부처님의 가르침을 왜곡하는 것은 문제가 있습니다. 물론 윤회 없이도 불교는 상당한 가치를 지니지만 상당한 가치도 상실될 것입니다. 길어져서 죄송합니다~
@lll-bh1eb
@lll-bh1eb 9 сағат бұрын
안녕하세요. 댓글 보다가 궁금한것이 있어서 여쭙니다. 부처님께서 전생과 다음생같은 윤회가 없는데 금욕이나 출가생활을 찬탄한것이 왜 모순이라고 생각하시는지요? 저는 인간의 몸의 항상성, 즉 도파민 중독이나 쾌락을 추구하면 그에 따르는 과보로 고통을 받게 되는것등을 생각하면 다음생이 없다하더라도 금욕과 출가생활이 주는 청정한 삶을 떠올려본다면 그것은 모순이 아니지 않나요? 부처님이 학대자라 하려면 금욕주의가 아니라 고행주의를 설파했어야 이치에 맞는것 아닌가요? 불교에 대한 공부가 짧고 특히 대승불교에 관해서는 잘 몰라서 여쭤봤습니다.
@user-ze6gl3ew5k
@user-ze6gl3ew5k 10 сағат бұрын
불교 폼 미쳣다..2천년전
@jasonbourne957
@jasonbourne957 10 сағат бұрын
깨달음을 얻어 더이상 윤회하지 않겠다고 정진하는 스님, 불자들은 다 삿된 견해에 빠져있는거???
@youngkimkim8433
@youngkimkim8433 10 сағат бұрын
윤회는 생이 수레바퀴굴레다 즉 윤회에 집착하면 윤회해야 자유하니 윤회해야하고 윤회에 벗어난 자유는 윤회가 필요없으니 자아에 정진해야지
@user-es9lo5gx2x
@user-es9lo5gx2x 11 сағат бұрын
석가모니의 말을 분석하는 게 더 대단하다.
@user-bg4wp6tn3f
@user-bg4wp6tn3f 11 сағат бұрын
최고의 법보시_()_
@user-pr5ff3oy9y
@user-pr5ff3oy9y 11 сағат бұрын
붓다의 강의를 볼때마다 감탄합니다. 어쩜 이리도 핵심만을 잘 정리하는지....
@user-qm4wi5vg6m
@user-qm4wi5vg6m 11 сағат бұрын
눈빠지게 기다렸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