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는 저 차를 우리나라에서 누가 3천만원 넘게 주고 사겠나는거.... 조선족이나 화교말고는....
@GON-lu4meАй бұрын
SEAL은 최소 4천후반~5천만원대입니다. 아토3가 3천중반쯤 될거고.
@지완이-k5hАй бұрын
중국에서 3400만원 시작 4900만원이면 한국에서 얼마야 팔아야 할까? 한국 딜러비용, 자동차 전시 건물, a/s센터, 수입관세 등 시작가가 싼게 5천에서 시작해야 맞지 않을까? 그래도 공산당이 지원해 주면 조금은 낮출 수 도 있겠지...그런식으로 불공정 무역을 하니 북미, 유럽에 관세를 쳐 맞지...ㅎㅎ
@hedgehog2140Ай бұрын
2400인 아토3가 일본에선 3500에 팔리니까 그 퍼센티지를 고려하면....5500~7500은 해야....
@好人-w8oАй бұрын
이런 채널이 대박나야함..현재 한국의 중국차리뷰 보면 중국보다 더 중국을 애국하는게 한국인 유튜버들임...
@달달커피라떼Ай бұрын
똥카 똥통라인 스테이션똥 이런 애들ㅋㅋㅋ
@Puhaha-w7sАй бұрын
모우카
@dalbongpark2830Ай бұрын
저렇게 범퍼 부근에 강철을 써버리면 보행자는 부딪치면 다리 골절은 기본 값이 겠네요. 이건 너무 중국스러운 발상인데?
@shutterBYmeАй бұрын
앞에 범퍼도 강철로 만드냐? 유로앤캡 가서 씰에 보행자 점수 보고와라 헬조선 흉기차보다 높게 나옴ㅋㅋㅋ
@dalbongpark2830Ай бұрын
@@shutterBYme 그럼 유럽이나 다른나라 차들은 범퍼나 그 안쪽을 꽤 안쪽까지는 저런 철재빔을 안대겠냐? 충격흡수하라고 공학적으로 설계한건데, 중국 애들은 이걸 무시한거잖아. 그럼 결과는? 차대차는 상관없지만 차대 사람이면 그야말로 흉기지.
@shutterBYmeАй бұрын
@dalbongpark2830 진짜 알지도 못하면서 개헛소리 오진다 유럽애들이 왜 앞에 크러쉬빔을 byd씰처럼 길게 안하냐고? 그냥 원가절감하려는거지 충돌시 보행자가 받는 충격이랑 뭔상관이야 보행자 충돌 흡수와 보호수준은 1차적으로 범퍼고 그 다음이 후드다 범퍼가 밀리고 강철빔까지 인간이 파고들어갈 정도면 애초에 시속 80~90km 이상인데 이 속도로 사람치면 즉사하는거지 무슨 자꾸 강철빔 때문에 보행자가 죽는다는 거야
@dsk1199Ай бұрын
보행자보호는 PP재질의 연질범퍼로 하는겁니다 범퍼후단에 있는 강철보강대는 작은충격시에 라지에이터와 차축을 보호하고 수리비를 줄여주며 큰 충격시에는 충돌에너지를 프레임으로 전달해서 분산시키다가 설계한계치를 넘는 힘을받으면 찌그러지면서 충격을 완화시킵니다 무조건 넓은게 좋은건데 원가, 운동성 등의 이유로 제조사들은 작게 설치하고싶어합니다
@dalbongpark2830Ай бұрын
@@dsk1199 그니까 그 좋은 설계를 100년 넘게 내연기관 자동차를 만들어온 미국 유럽 일본은 안하고 중국은 할까요? 우기지 좀 마세요. 님이나 저나 이런 아마추어 보다 더 많은 데이타와 겸헝치를 가진 메이커들이 저런 설계를 안하는 이유가 다 있는 겁니다.
@GON-lu4meАй бұрын
이래도 한국 유튜버들은 '세계 최고의 BYD'라며 홍보하겠지. 차이나머니 무섭다해
@nc-fo5wxАй бұрын
저 가격에 중국차 byd 브랜드로 국내출시 하면 현기랑 비빌수가 없을거 같은데....커피랑 모트는 과연 구매할까?중국내에서도 저 판매량인데 한국에서 테슬라랑 현기를?
@이상민-g5kАй бұрын
모카정도에선 하겠죠 근데 자기돈으론 안사고 법인떠넘기기로
@가람김-w6sАй бұрын
@@이상민-g5k 모카는 byd 기술 발전 정도를 관심있어하는 정도라서.. 뭐...보유차종중에 ev3 폐차하면 그때 가서 고러는 할것 같은데... 그쯤되면 byd 말고 리오토 라거나 다른 애들이 들어와서.. 결국 byd차는 안사지 안을까요..ㅋㅋㅋ
@kki-yooooo-otАй бұрын
중국에서 증여해주겟지 ㅋㅋㅋㅋㅋ 그래놓고 구매햇다고하겟지 ㅋㅋㅋ
@김범재-m4oАй бұрын
셀투바디면 프레임바닥에 배터리팩을 붙이는게 아니라서 오히려 최저지상고확보에 유리해야 하는데 오히려 불리한 건 참 아이러니하군요. 여전히 BYD방식은셀투바디가 아니라 그냥 프레임바닥면에 셀을 붙인 형태라고 봅니다. 그냥 사이드 프레임 두께를 늘려서 프레임으로 팩을 감싼 형태. 블레이드 배터리를 셀투팩으로 만들었을 때 내구성부족을 보완하려는 방식으로 봅니다.
@uwin-rj4rjАй бұрын
기술이 안됩니다. 바테리가 커서임
@4k4kstrollman6Ай бұрын
비야디는 인산철에서 탈피해야 고성능도 가능함. 인산철 배터리가 가장 큰 약점인데ㅇㅇ
@dsk1199Ай бұрын
화재안전때문에 중국산인데도 팔리는게 LFP인데요? LFP 혐오론자야 그게 안보이겠지만요 NCM 전해액 = 수산화리튬 등 LFP = 탄산칼륨 등 고열에서 수소,산소로 순식간에 분해되서 그대로 화형식이 이루어지는거랑 사고시 이산화탄소로 분해되서 연쇄화재와 폭발이 방지되는거랑 원리를 아시면 무서울겁니다 날이 잘 드는 면도칼날을 기워넣은 팬티를 보호가죽 있다고 안심하고 입는거랑 같아요
@yappy6337Ай бұрын
Made in china를 버려야 그나마 싸구려 이미지를 탈피할듯. 기술력이 좋아진건 알겠지만 메이커보다 국가 이미지란게 쉽게 바뀌지 않음. 그 좋은 벤츠가 저렇게 된거 보면...
@달구지-g2eАй бұрын
혼자 조심스래 상상의 나래를 펼치자면 최근 중국이 독단적으로 한국인 무비자 일시 허용 한 이유가 byd에서 차량을 너무 많이 생산해 놨는데 자국판매량이 예상치를 훨씬 못 미치니까 재고 떠넘길 나라가 필요했나봄...그래서 한국한테 은근히 비자도 일시적이나 좀 융통성있게 풀어주는척...그러면서 그 일 있고나서 byd 국내 수입허용됨...ㅎㅎㅎ 혼자 상상해봄...그나저나 뜯어서 보니 뭔가 좋아보이긴하다만 뭐랄까 헬스를 했는데 지식도 없이 무턱대고 해서 하체는 근육 빵빵인데 상체는 비실비실 운동이 안된 몸이랄까...
@jaysbar4uАй бұрын
초과 생산으로 디플레 수출한 데 이은 실업자 수출~~
@JWinter93Ай бұрын
하체마저 걍 뻥근육이고 스쿼트 고중량으로 못침
@J.S_LeeАй бұрын
중국 간첩 잡으려 내란 일으킨거 아님? 근데 중국 간첩을 돕는다구요? 셰셰 굿짐당? 😂😂😂
@daniel0223-i8sАй бұрын
뇌가 음모이론으로 썩었네 전기자동차 한두개 수출하려고 비자면제라니 ㅋㅋ 고거보다는 중국 큰 그림이지. 너 한국 한달 자동차 판매량 전기차 판매량 아냐? byd가 한달에 몇대나 팔것같아? ㅋ 한국 전기차 시장 작다.. 마진도 박하고 산수부터 하고 나대도록
@c_trip999Ай бұрын
byd 국내 인증은 23년부터 시작했습니다.
@eondeoggilbigrockАй бұрын
나중에 먼로옹이 저걸 입수 해서 분석 하면 대폭소를 할거 같음.
@jinsooimsi2-yj4luАй бұрын
범퍼를 강철로 만들면 차는 충격흡수를 못해 운전자는 즉사.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야 하는 이유인데 중국차는 인명을 경시하고 차를 보호하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