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대하고 공대하고 비교하는게 아닙니다 치대 vs 한의대 이렇게 비교하는게 맞습니다 공대 하고 수능점수를 비교해 보세요~ 전교에서 몇손가락 안에 들어야 치대 한의대 갑니다. 물론 의대는 좀더 높아요 가천대 한의대면 서울대 인기과 빼고 대부분 다 갑니다.
@ddslee28755 жыл бұрын
이게 왜추천동영상에떴지ㅋㅋ .. 저도 대학 2년다니다 군대갔다와서 수능보고 치대갔는데요.. 현재는 개원 5년차 ㅠ 실제로 공대 간대기업 친구들보니 삶 의질이 높진 않더라구요ㅋㅋ 물론 제삻도그닥.. 페이랑 개원은 천지차이에요 일단 정신적 스트레스가 페이때는제로임 문제 생겨도내 책임이 크지않으닌까요 요새는 경쟁도심해서 매출압박도많이 있음 ㅜㅠ 당연 대기 업친구들보단 훨벌지만 이게 50 넘어서는 힘들어서 못하겠다는 생각이듭니다 사실 졸업하고 3년까지는 몸에 무리없었는데 요새 점점 직업병같이 옴 ㅜ 드릴말씀은 ..음 진료할때 자세처음에 잘 만드시구 페이 빨리떼려치고 개원하세요 ㅋ 페이는 내몸 써서 남돈벌어주는거임 하다보면 놀어요
@ipsiholic5 жыл бұрын
선배님 소중한 조언 감사합니다. 저도 빠른 개원을 염두해두고 쉴때 부동산도 보러다니고 하고있습니다! 채널 자주들려주셔서 잘하면 칭찬해주시고 못하면 질타해주세요:)
@lawboalthalllaw95084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치과대학 보다 생명을 치료하는 의대가 들어가기가 점수가 높아도 미국등 선진국에서는 인기가 더 높습니다 ^^:)
@hhuhjjhhjjh71155 жыл бұрын
난 서울대 다니다가 현타와서 의치대 가려고 수능 다시본 사람은 정말 수도 없이 봤는데 그 반대는 ㄹㅇ로 한번도 본적이 없음. 의치대에서 더 좋은 의치대가려고 반수는 많음
@ipsiholic5 жыл бұрын
실제로 동기 및 선후배중에 설공 굉장히 많았어요:)
@YonghwanShin5 жыл бұрын
이게 정답이네.
@1호선어딘가5 жыл бұрын
이게 졸라 다니기 힘들어도 튈 수 없는게 예과2년은 졸라 열심히 놀텐데 2년 버리고 아니다 싶어서 딴데 갈만한 깡이 있는 사람이 거의 없어서 더 적어진 것도 있긴 한듯
@Neurosurgeon985 жыл бұрын
ㅇㅈ 나 설대가려고 재수하는데 우리반에 설공 출신 5명 들어와서 멘탈 나갔음
@lillll76425 жыл бұрын
@@1호선어딘가 설공은 4년 투자해서 졸업까지 하고 회사다니다 의치한다시많이가는데여.. 2년가지고뭘
@매력이-h6o5 жыл бұрын
설공 카이스트 포공 출신들이 의치한 가려고 수능 다시보는 경우는 많아도 설공이나 카이스트 가려고 수능다시보는 경우는 아주 드물지 답은 나와있음
@boss-y864 жыл бұрын
설공이 뭔가요?
@에휴-l2j4 жыл бұрын
@@boss-y86 서울대 공대요
@kgy80882 жыл бұрын
공대공부가 적성이 존나타니까그런거지
@sheystwbh10 ай бұрын
카이도 수시로 뽑는거 아닌가요?
@user-vp5sd7sq2d4 ай бұрын
@@kgy8088걍 연봉이나 워라벨이 치대 의대가 압도적ㅋㅋ 직업 안정성을 생각하셈 이 영상속 가정은 대기업에서 끝까지 버티는거임ㅋㅋ 애초에 50살까지 회사에서 버티는 사람은 100명중 한명꼴임 ㅋㅋ 버틴다 해도 그 과정이 말도안되게 정신적으로 힘들겠지 ㅋㅋ대가리가 달려있으면 치대랑 스카이공대 합격랬을때 치대가는게 정상임ㅋㅋ
@sasga65765 жыл бұрын
결론 행복은 남과 비교하는게 아니다 돈 많이벌고 적게 벌고가 아니라 내가 즐거워야함.
@ysm23033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업으로 삼을 경우에는 외부나 내부적 스트레스로 인해 그 일이 쭉 재미로 이어지지는 않겠지만 어느 한 시점에서 저점에 닥쳤을 때 다시 회복하는 게 빠른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일의 능률도 빨리 상승해서 그 분야의 스페셜리스트가 되면 고수익으로 연결도 되고요.
@Blue_Mints5 жыл бұрын
헐.. 저희 아버지도 LG에서 수석연구원으로 일하시다가 부장으로 이번에 정년퇴직 하셨는데 정말 임원달기 어려워요.. 진짜 매일 새벽에 일찍일어나서 가시고... 그걸 20대때 대학 졸업하자마자 입사해서 정년퇴직까지 30년 넘게 해오셨고 시험도 매번 쳐서 1등 해오셔서 버티셨죠.. 회사에서도 내보낼수있는 건수가 없으니... 정년때 까지 다니시긴했는데 암튼 저는 원래도 약대를 희망했지만서도 아버지보고 저는 정말 대기업에 취업하기보단 약대가고싶다는 생각이 더 강하게 들어서 도전할 생각입니다..
@user-brian776 ай бұрын
지금 뭐하고 계세요?
@lbnl82445 жыл бұрын
치과의사... 어릴때 그냥 자투리시간?에 잡담나눌때 의사로써 돈말고 좋은게 뭐냐 물어보니까 환자가 자신이 치료함에 대해 고마움을 느낄때 제일 일할맛 난다 하셨는데 대기업과의 차이를 말할때 이게 제일 생각이났네요
@user-pi7et3jc3r4 жыл бұрын
치대랑 한의대 비교도 아니고 치대랑 공대비교라니 ㅠㅠ 월급이고 워라밸이고 다른것도 압승이지만 공대들어가면 지방 불려다녀야되는게 진짜 최악입니다.. 난 지방인이라 괜찮은데? 이게 아니라 연고지도 없는 다른 지방지역으로 다녀야되는거임 이거못버텨서 그만두는 사람도 많아요..
@sheystwbh10 ай бұрын
서카포 IT쪽 과 졸업하면 서울가나요
@미미-o1w4 ай бұрын
사무직도 지방 다녀요?
@user-vp5sd7sq2d4 ай бұрын
걍 애초에 치대가 압승ㅋㅋ 대기업에 50살까지 버티는사람이 몇이나될까 ㅋㅋㅋ버틴다해도 그 과정이 치과의사가 하는일보다 쉬울까?ㅋㅋㅋㅋ압도적으고 힘들지 ㅋㅋㅋㅋㅋㅋ 대부분이 50살까지 못버티는데엠 이유가있는법이지 ㅋㅋ
@Prayer-q5w5 жыл бұрын
유튜브라는 미디어 특성상 결론을 둘다 우열을 가릴수없다고 마무리지으셨지만 글쎄요.. 공대나와서 대기업다니는사람으로써 어떤면으로보든 치대나온 삶이 나은거같습니다 물론 적성은 배제하구요
@Jordanbutterson4 жыл бұрын
치대 보내주면 적성은 제가 마추겠습니다 ㅎㅎ
@이현숙-j4e5r3 жыл бұрын
물질적인 충족감에서 오는 삶의 질도 무시하지 못 하겠지만 정신적인 충만감도 비교할 수 없는 가치라고 생각해요. 각기 다른 사람들과 협업하면서 주기적으로 선진국에 출장다니면서 자극 받는 삶도 메리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닫힌 공간보다는 열린 공간을 지향하기에...케바케지만요. 현실적으로 강남에 집 한 채 물려 받을 수 있는 집안이면 스카이 공대 나와서 대기업 취업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해요.^^
@권수민-y9f4 жыл бұрын
이분 뭐하시는데 치대,공대를 다 졸업하신거지... 개쩐다
@폴리곤-u5d5 жыл бұрын
삼성금융계열사 다니고있고 현재 3년차 세후 6900정도 법니다. 요즘 삼성전자 ds나 하이닉스 정도면(설기항 연전전 급이니 입사는 무리없어보입니다) 신입 초봉이 세전으로 8500정도되는데 300으로계산한건 좀 너무 차이가있지않나싶네요. 하지만 물론 치과의사랑 비교할 급은 아니겠지만요.
@영문법-y6j5 жыл бұрын
현재 25살이고 21수능을 볼 계획으로 27살에 새내기 남자입니다. 취업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ㅠㅠ
@이지용-c1m3 жыл бұрын
삼전 반도체나 하이닉 반도체여도 세전 8500은 3교대 돌려도 안나올꺼같은데용??
@whatisdoingtoday945323 күн бұрын
350 정도 . 실수령. 많아야 500. 연차 쌓이년 . 성과금 등등 하지만 . 500.600선.. 근디 다른 분들도 그정도는 벌어요. 먹고살만큼 주자 더 주지는 않더라구요.
@mcs42395 жыл бұрын
의료업중에 치과의사가 정년이 제일짧은것 같아요 ;;; 처음에는 치과의사가 제일편할 줄알았는데 직접들어보니 매일 허리굽히고 목굽혀서 환자 입안 하루종일 보는데 목,허리 다 나간다고 하더라고요 ㅠㅠ 외과 의사도 나이 먹으면 수술힘들다하고요 그런거면 내과쪽 의사가 꿀이네요, 아 한의사도 꿀이고요 (한의사는 나이 많으면 더 신뢰간다는? 말도 있으니...;;;)
@ipsiholic5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목디스크는 치과의사들의 고질적인 직업병이죠. 하지만 일하는 과정이 재밌으면 감내할만하다고 생각합니다:)
@브트-q9q5 жыл бұрын
내과의사 전공과정 때 얼마나 힘든데요... 한의사 꿀이란건 맞는말 같고요 ㅎ 무당소리는 좀 들어도
@steelers05495 жыл бұрын
그러고 보니 의사들 보다 치과의사들이 평균적으로 젋어 보이던데 은퇴가 치과 의사가 빠르군요.
국시때 같이 밥스터디하던 동생 난 국시하고 인턴때 급여 세후 200-220정도 그동생 삼성가서 세전 8천정도 받았음
@waterpure4214 жыл бұрын
몇년뒤 퇴사로 손가락 빨듯
@이용호-w3q Жыл бұрын
과학고 카이스트 졸업생인데요 과학고 동기 기준으로 3분의 1 대학교수 4분의 1 정부출연연구원 4분의 1 삼성전자 LG전자 부사장 등.임원 다수 나머지 의대.치대.한의대 사업 등합니다 그냥 공대졸업 말고 과학고 졸업한 친구들은 생각보다 잘삽니다
@simpl67754 жыл бұрын
영상 잘보고갑니다 중독님^^ㅎㅎ 중간에 변리사 애기잠깐 나와서 그냥 제이야기 조금 하자면? 부모님이 회계사신데 요즘 최고의 직업이 먼지 아냐며 제게 하신 말씀이 바로 변리사엿습니다. 그게 제가 고3때엿고 전 그때 태어나서 그직업을 처음 들어봣죠ㅋㅋ 좀 조사해보니 수입도 그렇고 하는일도 그렇고 개꿀이더라고요. 최고의 직업으로 인정합니다. 근데 머 딱히 흥미없엇고 수능 잘치고 해서 현재는 수의대 다니고잇는 수의대생입니다ㅎㅎ 이 영상의 주제가 치과의사냐 대기업이냐 인데, 이둘의 가장큰 차이점은 전 고용인 신분의 차이라 생각합니다. 의사는 쉽게 생각해서 자기사업을 하는거죠 내위에 아무도 없는겁니다. 병원에서 일하는 거의 모든사람의 위치가 자신보다 아래가 되는거죠(하대한다는말은 절대아닙니다) 하지만 회사는 많이 다릅니다. 밑에서 부터 올라가는 구조고 머 말안해도 다 알겟지만 임원이 되는건 정말 엄청나게 힘들고 가능성이 낮다고 할수잇죠. 부모님의 영향으로 어려서부터 애기를 많이 들어서 잘압니다 이런 부분은. 저희 부모님이 해주신 명언이 잇죠 회사로부터 500을 받으려면 넌 그 회사에 5억을 벌어다 줘야한다. 죽도록 일해서 결국 회사만 이득보게 하는게 회사원이라는 겁니다. 드라마 미생에서도 이를 잘표현하는 에피소드가 하나잇죠,, 서론이 길엇는대 아무튼 인생은 정말 한치앞도 모르는거고 남의 시선, 평가는 전혀 중요하지 않다는걸 살다보면 다 느낄겁니다. 혼자 태어나 혼자가는게 인생이고 그안에서 자신의 가치와 목표 꿈을 찾는것도 온전히 본인의 몫이죠. 참 인생이랑 고독하면서도 아름다운거 같습니다.
@minjung_cho5 жыл бұрын
약대 희망하는 공대 및 석사 출신 27세 여자입니다. 공대 vs 약대 궁금합니다. 그리고 치대는 몇살에 입학하셨는지 여쭤봐도 괜찮을까요??
@ipsiholic5 жыл бұрын
시간이 나면 약사출신 동기에게 조언을 구하고 한번 제작해보겠습니다. 부끄럽지만 입학 서른에 했습니다^^
@곰돌이-n5t5 жыл бұрын
@@ipsiholic 치대입학이아니라 치전원가신거죠?
@ipsiholic5 жыл бұрын
@@곰돌이-n5t 네 맞아요^^
@현경묵향6 ай бұрын
@@곰돌이-n5t근데 치대랑 치전원이랑 뭐가 다름? 서울대도 치전원 밖에 없는데
@nwwBilly5 жыл бұрын
저랑 같이 근무하시는 원장님 39년생이신데, 이번에 은퇴하셨습니다. 한국나이 81세까지 하셨네요 손떨림 하나 없으시고, 인레이 와동 장난아닙니다. 이런 분도 있다구요 ^^
@ipsiholic5 жыл бұрын
81세 오우....존경스럽네요!
@이윤서-i5w5 жыл бұрын
어케 대기업 회사원이랑 치과의사랑 비비냐.. 진짜 눙물 ㅠㅠ ;-;
@Jordanbutterson4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우열을 가려 놓고 가릴 수 없다고 하다니...ㅜ 나름 배려인 거 같습니다.
@윤희채-l3p3 жыл бұрын
본인이 치과의사니까 그렇게 말하신듯 ㅋㅋ 3자가 보면 치대가 사회적 인식도 훨씬 간지고 워라밸도 더 좋아보입니다
@japangii3 жыл бұрын
근데 또 삼성전자 연구원이면 또 말이 다르긴 한데..
@limtori75033 жыл бұрын
@@japangii 삼전 하이닉스는 슬슬 넘사가 되었죠... 페이가..
@ywjeong41075 жыл бұрын
자신이 추구하는게 뭔지.. 이게 핵심이다.
@helloapple35575 жыл бұрын
yw Jeong 그전에 SKY공대나 의치대를 갈수있는 성적이 나와야 한다는게 사실 핵심
@ywjeong41075 жыл бұрын
에구., 그건 그냥 공대나 치대만 생각했을때겠죠...
@행여그댈맴돌아-g8h5 жыл бұрын
ㄷㅐ부분이 안정적 고소득 원하죠ㅠ 성적이 안되서 못가지..
@abceueue3 жыл бұрын
웃고갑니다
@이이-g5o4j5 жыл бұрын
치과의사는 계속 숙이고 고정된 자세를 유지하는 일이 많아서 50만 넘어도 목이나 허리에 문제 생기는게 태반임
@user-pw9mo9sl6i5 жыл бұрын
변리사 낭인들 처럼 회계사 낭인들도 대기업 많이 갑니다 ㅠ 매우 현실적이네요 변리사 시험이 매우 어렵다고 느낀게 당시에 군대에서 상병때부터 저녁부터 새벽 까지만 공부해서 1차 붙은 후임이 있었는데 그렇게 똑똑하던 애도 합격 못하고 대기업 가는거 보고 엄청 빡세다 느꼈습니다.
@mfq87345 жыл бұрын
마지막 사회적인식이 가장 인상깊네요. 내인생 내가사는건데 맞네요
@존시나-y3f5 жыл бұрын
교정과 외에 다른 과들은 어떤가요? 남자 기준으로 수련기간+군의관 고려했을때 gp에 유의미한 수준으로 받는 편인가요?
@ipsiholic5 жыл бұрын
교정과, 소아치과 빼고는 전문의1년차랑 gp 5년차랑 임금에서 유의미한 차이는 없어요. 나머지과는 해당과 진료에 좀 더 자신있다는 자기만족이 더 크다고 생각해요.
@donger05 жыл бұрын
@@ipsiholic 구강악안면외과는 차이가 좀 크지않나요?
@kor96445 жыл бұрын
보존과까지도 페이만 할꺼면 의미가 있어요
@for.67915 жыл бұрын
치대 목표로 삼수중인 수험생입니다. 꼭 치대 붙고 오겠습니다!!!
@ipsiholic5 жыл бұрын
한달가량 남았네요. 잘 마무리하시고 수능 끝나고 같이 또 고민해봐요:)
@홍이장군-x6h5 жыл бұрын
잘보셨나요?
@user-rs8fl2lz6o4 жыл бұрын
그러게 잘봤냐잉?
@youngwood71384 жыл бұрын
지금은 뭐함?
@user-ul3dr7dh4z2 жыл бұрын
@@youngwood7138 " 그 사람 지금 뭐함 ? " = 그사람 100% jot된 사람
네. 설컴은 고대의대보다 입결이 높은 현상까지 발생했더라구요. 뭐 좋은 현상이죠. 우수인재가 공대로 가는게^^
@오즈만디아스5 жыл бұрын
@@ipsiholic 와 요즘은 다른가보네요 고대의대보다 높다니 ㅋㅋ
@osh94055 жыл бұрын
ㅎ (인공지능학과)
@signalize32545 жыл бұрын
@@오즈만디아스 설컴공만 지방의랑 비슷하거나 높아요
@민정-t4m5 жыл бұрын
@@오즈만디아스 올해는 인설의랑 비볐더라구요ㄷㄷ
@Gricus5 жыл бұрын
앵간하면 의대가 낫지. 공대가서 대학원 나와서 사장되거나. 창업해가 초대박나는 경우라면 공대. 근데 울나라에선 상위 0.0001퍼여야함
@mcs42394 жыл бұрын
우열을 가릴수없다고 하는데 이미 영상에는 답이 나왔네여 ㅋㅋㅋ
@stryper25253 жыл бұрын
이게 비교가 되나요?? 밸런스 붕괴 아닌가요,,,ㅡㅡ 물론 로또 확률로 공대가서 스티브 잡스처럼 되는경우 제외하면 닥 치대 아인가요??
@sinsangdo873 жыл бұрын
교대다니다가 반수생각하다가 이영상보고 그냥 다니기로 마음먹었습니다
@duizilland125 жыл бұрын
대기업가서 아무리 잘 나가봤자 오너 따까리에 불과합니다. 역시 치과의사가 좋죠. 일단은 엔도나 열심히 해야지.
@1q2w3e4r-n-p3r Жыл бұрын
20대후반에 취업하고나니까 공감합니다..당시수능볼때 연고대상위권과면 지방수의대도 가능했고 심지어 지방수의 합격한 상황이였는데 서울로망있어서 바로 고대전전왔었는데..ㅠ
@user-vp5sd7sq2d4 ай бұрын
@@1q2w3e4r-n-p3rㅋㅋㅋㅋㅋ지금 수의대 연고대 모든 공대보다 높아요 ㅋㅋㅋㅋㅋㅋ
@user-vp5sd7sq2d4 ай бұрын
@@1q2w3e4r-n-p3r그리고 수의대는 평균연봉 약사보다도 낮음 ㅋㅋ약사가 9천정돈데 수의사가 7천정도임ㅋㅋㅋ..심지어 공부량도 의대급이라 존 나 힘듦ㅋㅋ
@YonghwanShin5 жыл бұрын
S전자 부장하나가 (지금은 임원) 자기 아들 설대 물리과 보냈다고 뿌듯해하고 있는데, 옆에 있던 부장(이 사람도 나중에 임원됨)이 본인 친구가 치과의사인데 못벌때 한달에 2천번다고 왜 거길 보내냐고 쿠사리를 엄청 줌. 뭐, 아빠 돈으로 잘먹고 잘살고, 아들은 여유롭게 학문에 힘쓴다면야 더할나위 없이 좋지.
@이희곤-r3d5 жыл бұрын
그 치과의사 아들놈 사기 존나 친 새기입니다. 구속되야 할 놈입니다.
@socsoci5 жыл бұрын
연봉도 중요하지만 연봉으로 자신의 학과와 학교를 정해야한다는게 참...
@그물-b2b3 жыл бұрын
꼰대 마인드로 가르치려는 게 아니라 겪어보고 와닿는 말만 해주시니 다 새겨듣게 되네요. 다른 특히 정년, 삶의 질 부분의 이야기가 와닿습니다. 5:41 이 부분도요!
@장병철-i8q5 жыл бұрын
형님 공대다니다가 현타와서 의대목표로 공부하고 싶은데 너무 늦었을까요? 사실 하기로 마음은 먹었지만, 나이드신 부모님의 주름이 보이기 시작하니 함부로 도전하기가 싶지는 않네요..
@ipsiholic5 жыл бұрын
정보가 너무 없어서 뭐라 말씀드리기가 뭐하네요. 학년,학교,나이 등 말씀해주시면 현실적인 상담해드릴게요.
@장병철-i8q5 жыл бұрын
지금 2학년이고 수능백분위 10퍼정도 되는 학교에 기계공학과를 재학중이고 재수했습니다. 나이는 22입니다.
@ipsiholic5 жыл бұрын
늦은건 절대 아니죠. 되기만 한다면요. 본인도 재수까지했으면 자신의 한계를 잘 아실거라 생각합니다. 수능으로 의대는 정말 어렵기때문에...정 미련이 남으시면 미필같으신데 군대에서 쳐보는것을 추천드립니다.
@장병철-i8q5 жыл бұрын
군대를 가서 볼려고 생각중 입니다. 또, 수능으로 의대가는게 의대가기에 가장 쉬운 방법이기에 끝까지 발목잡았던 국어에 목숨걸고 해볼려고 합니다.
@ipsiholic5 жыл бұрын
베이스가 없는 분도 아니시고 그 초심 잊지않으시면 가능성은 있다고 봅니다^^
@신대중-k9u5 жыл бұрын
대기업은 성과급 포함이 안되었네요 ㅎㅎ 평균내기 어려우셔서 빼셨겠지만요. 그래도 연 세후 1천씩은 더해줘야 맞을듯
@주용-n2m5 жыл бұрын
대중신 삼전 하이닉스 빼고 성과급 1000씩 꼽아주는 대기업 몇이나 될까요???
@주용-n2m5 жыл бұрын
김민석 수두룩 빽빽은 아니고 최근 2년간 공기기관경영평가에서 A등급 받거나 해서 1천만원 이상 성과급 받은 회사는 10개정도 뿐인것 같네요
@주용-n2m5 жыл бұрын
하잉 좀 멍청하신게 삼성이라하면 다 삼성전자만큼 주는줄알고 엘지라하면 엘지전자 가전사업부만큼 주는줄아는 방구석 백수들이 너무 많군요 계열사마다 다르고 그계열사의 부서마다도 다른게 성과급이고 엘지 전자 디스플레이 화학 이노텍 등등 300프로 넘어서 성과급 받은지 이젠 기억도 안날거고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반도체사업브 빼면 그성과급 받아갈 부서 없어 삼성전기가 성과급400프로받는다하면 우리가그렇게받아 라며 놀라겠지요 어디서 뇌피셜로 조지시는지
@jae-q4y4 жыл бұрын
하잉 대부분 성과급은 사업부에 따라서도 너무 달라요 선배들이 성과 좋은 사업부에 계셨나본데 대부분은 성과급 1000받는 곳은 드뭅니다....
@aliceinamerica78965 жыл бұрын
경험을 바탕으로 알려주신 영상 너무 잘 봤습니다. 혹 나중에 기회가 되신다면 치전원 준비 과정이나 현실적인 팁? 디트준비 과정 같은 영상도 올려주신다면 너무너무 감사하고 유익할것 같습니다. 좋은 하루 되시고 구독하고 갈게요.
@ipsiholic5 жыл бұрын
시간내서 준비해보도록 할게요^^ 구독 감사합니다.
@영문법-y6j5 жыл бұрын
갑자기 치대 가신 이유가 대기업 직장에 대한 처우가 별로여서인가요? 아 저의 행복의 기준은 돈(찢어지게 가난함)과 인정받고싶은 욕구 해외근무(로망)가 가장 큰데요 현재. 군필 25살에 9급(저소득)과 수능 중에 어느 것을 올인해야할지 고민이네요
@우기탱탱5 жыл бұрын
김진성 돈만 보고 갈거면 수능 추천 ,,
@영문법-y6j5 жыл бұрын
@@우기탱탱 ㅠㅠ 수능에서 치한 못가면 노답이지 않을까요
@우기탱탱5 жыл бұрын
김진성 어디 공무원 지원하는지 모르겠는데 제 주변 9급들은 후회하는 사람들만 태반이든데,, 강도 높은 민원에,야간에, 어후,, 보기만 하고 듣기만 해도 스트레스던데 의치한이 그렇게 가고싶고, 돈이 그렇게 엄청나게 벌고 싶고 , 인정 받고 싶다는 생각 있다면 .. 노력하면 됄거 같음 “고생 끝에 낙이온다” 일단 하고 싶은 걸 하셈,, 9급 잘 생각해보셈
@영문법-y6j5 жыл бұрын
@@우기탱탱 아직도 흔들리네요 ㅠㅠㅠ 과연 할 수 있을까 싶기도하고
@linanderson87435 жыл бұрын
비교가 될까,,, 회사는 사회고 의사는 개원하면 내 세상인데,,, 갓사랑 대기업이랑 어떻게 비벼,,
@MrMichaelKwon5 жыл бұрын
회사도 사장이되면 내세상 입니다. 그런분 많이 봤는데
@wanzeu65354 жыл бұрын
@@jabgsuxba8w779 일단 개원하면 벌어 먹고 삽니다 큰 돈을 원하는거 아니면 삶의 질적 차이만 보더라도 무조건 의사를 합니다
....중하위권은 마냥 신기해 합니다. 물론 노력해서 재수해서 가는 친구들도 있을 것 같더군요
@Null109655 жыл бұрын
외람된 질문이다만 유튜브를 하게 되신 계기가 궁금합니다. 그리고 유튜브가 아무리 레드오션이다고 해도 무조건 시작 해보는게 맞는걸까요? 직업이 남 부러울 것 없고 학업에서 산전수전 겪으신 분도 유튜브를 시작하는 것이 이런 질문들을 생각들게 하네요.
@ipsiholic5 жыл бұрын
유튜브하는 이유는 업로드 해놨습니다:)
@lawboalthalllaw95084 жыл бұрын
요즘은 한가지 직업만으로는 경제적 으로 힘드신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아시면서 꼭 물어 보는 이유는?
@최재용-r7p3 жыл бұрын
치대 전문의는 딸 필요가 별로 없을까요? 전문의 3년 동안 고생해서 따면 월급 3배로 오른다고 한 것 같아서요
@TV-tm3oi4 жыл бұрын
형님 실례지만 문과쪽도 해주실수 있나요??? 제가 문과여서 문과쪽도 궁금합니다. ㅠㅠ
@도희-v5y3 жыл бұрын
인문 의치한
@YGYGkkk4 жыл бұрын
치과의사해서 강남 아파트 구매 가능합니까?, 치과의사 개업했는데 그 상가 구입한 경우는 어떤 경우인가요?
@J.J.M-f2s5 жыл бұрын
공휴일에 치과 예약자 많아서 못가는곳이 더 많았음..ㅠㅠ
@전철홍-p7e5 жыл бұрын
치과 막상 개원하믄 다 잘될거 같죠? 잘되는 케이스만 보여주는 환상땜에 졸업후 실망한치대생들 많습니다.
@전철홍-p7e5 жыл бұрын
@@임성호-d6x 수의사도 자기병원있음 돈 많이 버는걸로 아는데요 동물병원보다 치과가 잘되믄 많이 벌죠 근데 잘되기 쉽지 않다는 이야기입니다.
@lawboalthalllaw95084 жыл бұрын
요즘은 코로나로 치과도 수입이 줄었습니다. 유튜브 ,치과 개원의 참고 하세요:)
@theplan53385 жыл бұрын
현재 ky공대 다니고 있는 학생입니다. 워라밸이랑 수입적인 측면에서 봤을때 지방치라도 가는게 옪은건가요? 공대를 더 선호한다건가 치대에 뜻이 있는건 아닙니다.
@Jskdjdnrl Жыл бұрын
궁금한게 있습니다. 치과의사가 됐는데 자영업이 안 맞아서 평생 페이닥터로 일하는 분들도 많으신가요?
@ipsiholic Жыл бұрын
제 경험상 평생은 찾아보기 힘들구요. 자영업이 맞아서 개원하시는 분들은 실제로 많지 않습니다. 연차가 높아질수록 자신만의 진료철학이 생기는데 페이닥터를 하면 대표원장의 스타일에 맞춰줘야하는데 거기서 의견충돌이 잦아집니다. 보통 이 때문에 개원을 많이합니다.
@reverse_engineering5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들 감사합니다 구독하고가요 앞으로도 좋은 영상 기대할게요
@mango-n8c Жыл бұрын
대학교 친구 치전원가서(난 그냥 취업) 치과의사인데 고작 3년차인테 인플란트 인센까지 해서 세후 거의 1700 가져간다는데(본인피셜) 이딴 구라 영상을... 세후 저정도면 연봉 3억이 그냥 넘는데 고작 3년차에?? 둘다 해봤다면서 경험토대로 말한척하지만 사실 본인도 알껄 개구라인거.
@실험맨 Жыл бұрын
인터넷에선 너도나도 의사고 서울대죠
@ljs5655 жыл бұрын
대기업에서 워라밸은 이제 정부의 주 52시간 근무제로 나아질 거란 예상이 있는데 이는 어떻게 보시나요? 그리고 주변분들 이 제도 이후에 몇시까지 일하신다고 하셨나요?
@ipsiholic5 жыл бұрын
긍정적인 입장이고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고 봅니다. 회사다닐 때 동기들을 보니 모든 부서에 완전히 정착되진 않은 것 같지만 제가 회사다닐때보단 현저히 좋아졌다고 하네요. 팀 분위기와 어떤 팀장을 만나느냐가 중요합니다. 제도시행 이후 칼퇴하는 동기도 있는반면 여전히 눈치보며 퇴근못하는 동기도 있어요. '여기어때'가 주35시간제 선제도입을 한 결과 매출,영업이익이 2배로 수직상승한걸 보면 근무시간이 아닌 효율이 절대적으로 중요함을 나타내고 있어요. 나랏일 하는 높은 분들이 모든 회사에 완전히 정착되게 해주셨으면 좋겠어요.
@부싼-r7s5 жыл бұрын
대기업의 복지또한 무시할 수 없죠 자녀 학자금 식비 의료비 교통비 휴가 시 할인혜택 사내 물품 구매시.할인
@gtmklaser5 жыл бұрын
대기업 복지 줘도 안받아요. 받는 만큼 개처럼 일시킴.
@user-pi7et3jc3r4 жыл бұрын
저거받으려고 공대가는 흑우없제
@으아악-m9s2 жыл бұрын
자녀없으면 무용지물
@호록호로록5 жыл бұрын
5:35 팩트...
@ipsiholic5 жыл бұрын
사실상 제일 지분이 크죠ㅋㅋㅋ
@huhhuh50975 жыл бұрын
약사는 그래도 70되신분들도 본거같아요
@ipsiholic5 жыл бұрын
약사는 인정합니다ㅋㅋㅋ
@죽쨍챡쨩4 жыл бұрын
약사는 80도봄 ㅋㅋㅋ 약국가서 면허증에있는 생년보고 눈을 의심함
@me.so.awesome3 жыл бұрын
@오스오억 붓 ㄹㅇㅋㅋㅋㅋㅋㅋㅋㅋ
@김덕문-q5d5 жыл бұрын
변리사 되기 많이 힘든가요? 제 꿈이 변리사인데 제가 너무 쉽게 생각하는거 같네요....
@팔도비대면5 жыл бұрын
혹자는 변리사가 이과과목 포함된 전공시험 때문에 사법고시보다 어렵다라고 하는 사람들도 봤는데 대부분 그건 아니라는 평이고 고시나 행시 바로 다음 급은 충분히 될 정도 난이도로 어렵다고 들었습니다 확실한건 8대전문직중에 젤 붙기 힘들죠
실리콘벨리의 FAANG중 하나에서 일하는 엔지니어인데요, 제 친구 의사들 다 제 삶 부러워 합니다. 근데 제가 돈은 덜벌어요.
@ipsiholic5 жыл бұрын
Dongseong님의 성공뒤에 부단한 노력이 있으셨겠네요. 하시는 일 더욱 번창하고 더 돈많이 버셔서 좋은데 써주셔요:)
@exnksxpknxspbjsxpb5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전 MAGA 입니다#ㅎㅎ
@박지환-c7e4 жыл бұрын
그렇죠 의사는 그냥 기술직이니까요 매일 아픈사람들 쳐다보고
@abcd123-h3w3 жыл бұрын
실례지만 연봉이 어느정도 되시나요? 아무것도 모르는 피떡인데 궁금해서요.
@Lee-oc1wm5 жыл бұрын
수련남아서 보철이나 치주과전문의하는거나 수련안남고 공보의하고 치과하는거랑 큰차이 나나요?
@MarryKim-wo4qn5 жыл бұрын
시험중독님은 대기업 다니실 때 업무시간이 길고 보람이 없어서 힘드신 게 컸나요? 아니면 인간관계에서 스트레스 받으시는 게 더 컸나요?
@ipsiholic5 жыл бұрын
둘 다 였습니다. 어느 하나라도 괜찮다면 퇴사라는 극단적인 선택까지는 하지 않았을거 같습니다. 굳이 꼽자면 업무가 누구나 할 수있는 업무고 보람도 없는게 더 컸습니다. 그런데 인생은 모르나봐요. 지금은 진료도 재밌고 일도 일찍끝나고 저한테 과분하게 좋은 원장님만나서 일하고 있습니다:)
@MarryKim-wo4qn3 жыл бұрын
@@ipsiholic 답변 감사드립니다!! 작년부터 시험중독님 영상 챙겨보고 있습니다. 답변 주신 줄 몰랐네요 알람이 안 와서요… 이번에 오랜만에 새로 올리신 영상도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qpzmwoxneicbv2 жыл бұрын
영상 좋네욤
@user-abcde12345a Жыл бұрын
8+2년을 대학+군대로 태웠다니 ㄷㄷ
@현지민-z7w3 жыл бұрын
저희 아버지가 실력이 매우 뛰어나면 쾌속승진이라는것을 한다는데 사실인가요?
@gxhcubgxtog3 жыл бұрын
대학 졸업 후에 수능으로 의대 가는 사람 있나요?
@김광민-u4b3 жыл бұрын
@@user-abxisudkrdk 요즘 수능을 메디컬고시라고 부르더라구요 ㅋㅋㅋ 그쪽 기숙사는 나이 많은 사람들 많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