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 온조는 소서노를 정말 숙청했나?

  Рет қаралды 163,209

청화수 chunghwasoo

청화수 chunghwasoo

3 жыл бұрын

백제 온조는 소서노를 정말 숙청했나?

Пікірлер: 97
@g0nhae
@g0nhae 2 жыл бұрын
캬아~ 흥미진진한 주말 아침의 시작, 좋아요~!!
@user-hx4rr6lw1x
@user-hx4rr6lw1x 2 жыл бұрын
잘 보았습니다 👍
@user-gt2rq7nx6d
@user-gt2rq7nx6d 2 жыл бұрын
재미있네요 백제건국 분석 학설 잘 봤어요 이렇게도 생각할수가 있네요 ㅋㅋ
@user-lx2dl1mj2d
@user-lx2dl1mj2d 2 жыл бұрын
영상올려주셔서 항상 대단히 감사합니다 청화수님~
@chunghwasoo
@chunghwasoo 2 жыл бұрын
정말 너무나 감사드립니다 더 열심히 하겠습니다
@siyeonpapa
@siyeonpapa 2 жыл бұрын
흥미로윤 가설이네요. 잘봤습니다.
@user-cv7dr1rf2m
@user-cv7dr1rf2m 2 жыл бұрын
애쓰십니다ㆍ젊은이! 역사공부도 다시되고~
@manrico736
@manrico736 2 жыл бұрын
이 유튜브 한편으로 대하 사극 10편 만들...재료가 나오네요.. 엠비씨는 일좀 해라..
@Jogakbo
@Jogakbo 2 жыл бұрын
4만 때 부터 구독해서 보는 열혈시청자입니다. 어릴적 삼국사기 읽을 때 천둥친 얘기, 용나온 얘기, 누가 뭘로 변한 얘기, 호랑이,개구리 나온 얘기 등등 '왜 이런 내용을 적었지?' 싶었던 의문을 지적 유희거리,생각거리로 바꿔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자주 올려주세요. 너무너무 재밌어요! 특히 한국사!ㅎㅎ 덧붙여, 간혹 유물이 새로 발굴되는 경우가 있는데 (ex.이번에 사비가 무덤) 새로 발굴된 유물에 대해 너무 궁금한데 정보가 너무없어요ㅠㅠ관련 민담이나 생각할거리 던져주시면 더더 행복할 것 같아요! 매번 좋은 컨텐츠 감사합니다!
@user-wn2qj9kv1d
@user-wn2qj9kv1d 2 жыл бұрын
저는 2번도 맞아 보여요 ㅎㅎ 생각하기 너무 힘들지만 재밌네요 감사합니다 ^^
@yurigudu
@yurigudu 2 жыл бұрын
고구려와 백제의 건국 이야기는 놀라울 정도로 비슷하네요 부여에서의 입지가 좁아진 추몽이 일부 무리를 이끌고 나와서 나라를 세운것도 그렇고 고구려에서의 입지가 좁아진 비류와 온조가 일부 세력을 이끌고 내려와서 나라를 세웠다고 적어 넣은것도 그렇고 판박이라고 할정도로 매우 유사합니다
@user-tm4zx2cn8w
@user-tm4zx2cn8w 2 жыл бұрын
마자요 신지은님
@hoonhoon1502
@hoonhoon1502 2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네요! 온조 비류만 생각했지 소서노는 어떻게 되었을까? 한 번도 생각한 적이없네요 이 주제 더 다뤄 주시면 안될까요? 너무 뒷이야기가 궁금합니다
@jim4674
@jim4674 2 жыл бұрын
4의 설도 있슴.. 한국내 기록만이 아니라 일본기록, 중국기록까지 그당시에 대해 적인 내용 토대로. 이것도 꽤 오래된 썰인디... (비류가 바로 죽지않고 비류백제로 계속 존재하면서 이들이 일본으로 건너가 천황가가 됐다는) 근데 이거 다루면 언급해야할게 넘 많아지고 복잡해지고 그렇다고 뚜렷한 결론이 나는것두 아님.. 일왕가를 이루게되는 응신왕 = 비류계로 보는 썰임.
@just3105
@just3105 2 жыл бұрын
우선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청화수님 백제 테마를 보고서 백제에 대해서 관심이 갑자기 많아졌는데, 한 가지 의문이 들었던 게 있습니다. 비류가 정말 바보여서 미추홀로 간 걸까? 바닷가는 농사에 불리하다, 이 정도 상식은 아무리 옛날 사람이어도 알고 있었을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이 얄팍한 생각에 의지한다면 3-2설이 가장 어울리겠네요... 아무튼, 영상 감사합니다. 정답이 없고, 여러 가능성이 상상력을 자극한다는 점에서 청화수님 영상이 정말 좋습니다!
@user-yg8uz4iu1q
@user-yg8uz4iu1q Жыл бұрын
오늘 ㅡㅡ브ㅡㅡㅡㅡㅡㅡㅡㅡㅡ브ㅡㅡㅡㅡㅡ브ㅡㅡ3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브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브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브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느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브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브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느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브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브ㅡㅡ브ㅡㅡ브ㅡㅡㅡㅡ브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브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브ㅡ브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3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브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브ㅡㅡㅡㅡㅡ느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느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브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브ㅡㅡ브ㅡㅡㅡㅡㅡㅡ느ㅡ프브ㅡㅡㅡ브ㅡㅡㅡ브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브ㅡㅡㅡㅡㅡㅡㅡㅡㅡ브브ㅡㅡㅡㅡㅡㅡ브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느ㅡ프ㅡㅡㅡㅡㅡ브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브ㅡ브브ㅡㅡㅡ브ㅡㅡ브브브ㅡㅡㅡㅡㅡ느ㅡㅡ브브ㅡㅡㅡㅡㅡㅡ브브브브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브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브ㅡㅡㅡㅡㅡ브ㅡ프브ㅡㅡㅡ브ㅡㅡ브브ㅡ브브ㅡㅡㅡㅡ브브느브ㅡㅡ브브ㅡ브ㅡ브프ㅡㅡㅡㅡㅂ
@user-yg8uz4iu1q
@user-yg8uz4iu1q Жыл бұрын
브ㅡ브프ㅡㅡ프ㅡ브브브브브브브브브브ㅡ브브브브ㅡ브프브브브프브프프ㅡ브브브ㅡㅡ프브느브브ㅡ브ㅡㅡ브ㅡ프ㅡ브브ㅡㅡ브ㅡㅡㅡ브ㅡㅡ브브ㅡㅡㅡ브브ㅡㅡㅡㅡㅡㅡ브브느ㅡㅡㅡㅡㅡ브ㅡ브브ㅡ브브브브ㅡㅡㅡㅡㅡㅡㅡㅡ브ㅡㅡ브ㅡㅡㅡ브ㅡㅡㅡㅡㅡㅡ브ㅡㅡㅡㅡㅡ브ㅡ브브ㅡㅡㅡㅡㅡ브ㅡㅡ느ㅡㅡㅡ브ㅡㅡㅡㅡㅡ브스ㅡㅡㅡㅡ브ㅡㅡㅡ브ㅡ브ㅡㅡㅡㅡㅡ브ㅡㅡ브브ㅡㅡㅡㅡ브ㅡㅡ브ㅡㅡㅡㅡㅡ느브ㅡ브ㅡㅡㅡㅡ브ㅡ브브브ㅡㅡㅡ브브ㅡ브ㅡㅡ브브브ㅡㅡㅡ브브ㅡㅡ브ㅡ브ㅡㅡㅡㅡㅡㅡㅡ브ㅡ브브ㅡㅡ프ㅡ브브ㅡㅡㅡㅡ브브ㅡㅡㅡㅡㅡ브ㅡㅡ브브ㅡ브ㅡㅡ브프ㅡㅡ브ㅡㅡㅡㅡㅡ브ㅡㅡ브브ㅡㅡㅡㅡㅡㅡㅡ브브ㅡㅡㅡ브ㅡㅡ브브븐프느ㅡㅡㅡ브ㅡ브ㅡㅡㅡ븐브ㅡㅡㅡㅡㅡ브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브ㅡ느느ㅡㅡ브ㅡㅡ브브브ㅡㅡ느쁘ㅡ브ㅡ브ㅡㅡㅡ브ㅡ브브ㅡ브브브ㅡㅡㅡ느ㅡㅡ브ㅡㅡㅂ느ㅡㅡ브ㅡㅡㅡ브ㅡ브ㅡㅡ브ㅡ브ㅡ브ㅡㅡㅡㅡㅡ느프브브브ㅡㅡㅡ브브ㅡ브ㅡㅡㅡㅡ브브르브ㅡㅡ브브ㅡㅡ브ㅡ쁘ㅡ쁘ㅡ브ㅡ브브ㅡ브ㅡㅡ브브ㅡ브ㅡㅡㅡ프ㅡ브브브ㅡ브ㅡㅡ프ㅡ브프ㅡ프ㅡ브ㅡㅡㅡㅡㅡㅡㅡ브ㅡ프브ㅡㅡㅡㅡㅡㅡㅡㅡㅡ브브브ㅡ브브ㅡ브ㅡ브브ㅡㅡ브브ㅡ브ㅡ브브브브ㅡ브브ㅡ브브브브ㅡ브쁘ㅡ브ㅡ프프ㅡㅡㅡㅡ브ㅡㅡㅡㅡㅡㅡㅡ브ㅡㅡㅡ프ㅡ브브ㅡㅡ브브ㅡㅡ브ㅡ브브ㅡㅡ프ㅡ프ㅡ프브ㅡ브브ㅡ브브브ㅡ브ㅡㅡㅡㅡㅡㅡㅡㅡㅡ브ㅡ브프ㅡ브브브ㅡ브브브ㅡㅡㅡ브ㅡ브프브ㅡㅡ브ㅡㅡ브브프브브브ㅡ브브브브ㅡ브프ㅡㅡ브ㅡ브브브브브브프브ㅡㅡㅡㅡㅡ브브브ㅡㅡㅡ브브브브브프ㅡ브브ㅡ프ㅡㅡ브브ㅡ브브브프브브브스ㅡ브ㅡ브ㅡ느느ㅡㅡㅡ브브프ㅡㅡㅡ브브브ㅡ브브ㅡㅡㅡㅡ브브브ㅡㅡㅡㅡ븝느브ㅡ브ㅡ브ㅡ브브ㅡ브브브브브ㅡㅡ브ㅡㅡㅡㅡㅡ브브ㅡ브프느ㅡ브ㅡㅡ브ㅡ브브ㅡㅡㄴ프브ㅡㅡ브브브브프브프ㅡㅡ브ㅡㄴㅅ브브ㅡ쁘ㅡ브ㅡ프ㅡㅡ프프브브ㅡ브ㅡ프브브브프브ㅡㅡ브브브프브픕ㄴ프브브브브브브브브브브브ㅡ브쁘브브브브ㅡ브브브ㅡ브쁘브브브프브브브브프브브프브브프브프ㅡㅡ브ㅡ브프브브브프브프브ㅡ브브브ㅡ브ㅡ브픈브브쁘브브브브프프브브브브브브브브브브브브프브브브브브ㅡㅡ브브ㅡㅡㅡ브프브ㅡ브브브브브브브ㅡ브브쁘브브프브ㅡ브ㅡ브브브브브브프브프브브브브브브ㅡ브프브ㅡ브브쁘프브ㅡ브브ㅡ브ㅡ브브ㅡ브브브ㅡ브프브프브븝ㄴ프ㅡ쁘느브브프브브브브브프프프브쁘브브브브브브프프ㅡ쁘브프브프브브브ㅡ브프브브ㅡ프ㅡ프브브프브프브브브프ㅡ브브브ㅡ브쁘브프브브ㅡ브프브ㅡㅡ브쁲ㄴ브브브브브브프브프프브프프브쁘브프쁘브브브브브브브브브브ㅡ프브프프프브브브브브브프브브브브브브브브브ㅃㅅ브브프브ㅡ프브쁪ㅂ느브브ㅡ브브프ㅡ쁘ㅡㅡ프쁘브ㅡ브프ㅡ프브쁘브브브브브브브브ㅡ브ㅡ프브프브브브브ㅡㅡ브프ㅡㅡㅡ브프쁘ㅡㅡㅡ브브브ㅡ브브쁘프브프브ㅡ프브브ㅡ브브프브브브브브브쁘브프쁘프프브프브쁘브브ㅡ브브브브쁘브프브브프브프브브쁘브브브프브프프브브븞브프브프프쁘브픈브브브브브브프프ㅡ븐프브브브브프프ㅡ브브브브프프브ㅡ쁘브브쁘쁘프쁘프프프쁘브브브브브브프브프프브브브프브프쁘ㅡ브쁘브브프브ㅡ브쁘브브프프쁘븝느프프프프브브브쁘쁘프브프브브브프브브브브쁘브프브프브쁘프ㅡ브브브프프프프브브브브브프브븐픈프브브브브쁘브브프브브쁘브브브프브브ㅃ스브프쁘쁘쁘쁘프쁘프ㅡ프브브프쁘브쁘프쁘브브브ㅡ브브브프프브브브븐프브브ㅡ브쁘쁘브브쁘프쁘쁘픖ㅍㅅ프프브ㅡ프프프프쁘프프쁘프프브브프브프쁘프쁘쁘프쁘프프쁘프브브프브브쁜프브쁲ㄴㅍ스ㅡ프븝느프프쁘프프브브프쁘브프브브브브ㅡ븝ㄴ브브쁘프쁘프ㅡ브브브쁘쁘프쁘프프프프쁘프프쁘브프ㅡ프프브프쁘브프프프ㅃㄴ븐프븝
@user-yg8uz4iu1q
@user-yg8uz4iu1q Жыл бұрын
ㄱ프쁘브프프프브브프쁘브프브프브브쁘프브프브브브픈프쁘브쁘브쁘프브쁘븐브프프쁘브브프프브프쁘브프브브프브프브브프브프쁘브브브브브브브브브프브ㅡ프프프브브브ㅡㄴㅂㄴ프브브브프브브프브ㅡ븦ㄴ쁘프프브브프프븟브브브브ㅡ프프브프브프브븐브프브브브브브프브브브브브브프브프브쁘브브ㅡ브ㅡ브ㅡ프브브브프브브브프ㅡ브브브브ㅡ브브ㅡ프브브브프브브브브브브브브브쁘브브브브쁘브브브프프프프브프브브쁘브프쁘브브브프브브브쁘브프ㅡ브프프브브브쁘브프프브브브ㅡ브브브프브브느븦느ㅡ브브브브브브쁘브프ㅡ브ㅡ브브프쁘브브브브프브프프브프프브브브프브브브프브프브ㅡ브브브브브브브브쁘프프ㅡ브프브브ㅡㅃ
@user-lj4id9cw6v
@user-lj4id9cw6v Жыл бұрын
ㄱ4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111
@user-cv7dr1rf2m
@user-cv7dr1rf2m 2 жыл бұрын
네~ 어디서 이런 사료를 찾아내시어 설명하시는지 궁금한 할머니 입니다ㆍ 옛적 공부를 좀 했다만~ 늙어 다시 들으니 공부도 되고 참으로 고마운 방송
@jim4674
@jim4674 2 жыл бұрын
백제 시조가 소서노였다는건 신채호가 첨 주장했던 얘기죠. (조선상고사에서) 위례홀에 수도정했는데 다시 수도천도를 위례홀로 하는 모순이 생긴다는것도 신채호가 첨 지적한거였슴.
@user-wp7ng8pp8j
@user-wp7ng8pp8j 2 жыл бұрын
요새는... 아버지께서 이 채널을 더 찾으신다.
@HOON_DI_1ST
@HOON_DI_1ST 2 жыл бұрын
형 청화수뜻좀 알수있을까요?? 일전 라방때 언뜻 들은거같은데 까먹어서요ㅜㅜ알려주심감사하겟숨돠
@stan_ms
@stan_ms 2 жыл бұрын
역시 화수형!!
@user-du7st2zc8v
@user-du7st2zc8v 2 жыл бұрын
느무느무 재밌습니다! 김흠돌 아껴놓고 보려다가 확인해보니 사라졌는데 아쉬워요ㅠ
@kdk2927
@kdk2927 2 жыл бұрын
하핰~ 재미지다여
@user-bw6ko9lo8i
@user-bw6ko9lo8i 3 ай бұрын
낙랑이 동쪽이고 말갈이 북쪽인 위치가 어디일까요.. 그곳이 첫 도읍지인건지..
@user-og8ho6yv9z
@user-og8ho6yv9z 2 жыл бұрын
혹시 마이크 뭐쓰시나요??
@seunghunbaek9237
@seunghunbaek9237 2 жыл бұрын
3-2설이 유력한듯하네요!온조의 시해설은 정론인듯요
@djfbf12
@djfbf12 2 жыл бұрын
존나재밌네진짜
@MarineFord320
@MarineFord320 2 жыл бұрын
재밌게 잘 봤습니다^^
@bwslovely
@bwslovely 2 жыл бұрын
잘보겠습니다!!
@user-qc8qm3sn9c
@user-qc8qm3sn9c 2 жыл бұрын
밀린테마가 많겠지만, 추후에 한신에 대해서 다뤄주셨으면 좋겠습니다. 한신은 과연 어리석은 천재였나? 이런식으로
@chunghwasoo
@chunghwasoo 2 жыл бұрын
예 대단히 감사합니다. 추후 한신도 꼭 한 번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정말 대단히 감사드립니다.
@user-dd6nc6uo4d
@user-dd6nc6uo4d 2 жыл бұрын
청화수 선생님, 항우도 좀 다뤄주세요...
@user-ks8qd3gb6i
@user-ks8qd3gb6i 2 жыл бұрын
7분전...이시간에 대박~~!!
@hwangsenal
@hwangsenal 2 жыл бұрын
6분전 ㅎ 영상 잘 보겠습니다 . 항상 감사합니다.
@user-bf2cm7xz9e
@user-bf2cm7xz9e 2 жыл бұрын
아 나는 주말에 청화수 영상 올라오면 너무 행복함
@user-zi1dv1bj9x
@user-zi1dv1bj9x 2 жыл бұрын
흥미진진하네요.. 3-2설에 한표를 던집니다.
@user-nn8mu5mf6n
@user-nn8mu5mf6n 2 жыл бұрын
항상 잘보고 있슴다ㅎ 긍데 추몽보다 소서노가 나이 많네요??.. 그 시대에도 연상이 편하고 좋았나 봅니당ㅎㅎ
@NaNa-dm5sl
@NaNa-dm5sl 2 жыл бұрын
이런식으로 자꾸 올리시면 영상 한두개쯤 실수로 지우실수도 있는거죠ㅠㅋㅋㅋㅋ 너무 좋네요 어제오늘ㅋㅋㅋ
@user-xp4vn3np9w
@user-xp4vn3np9w 2 жыл бұрын
처음에 분가했다가 망하고 다른 쪽으로 갔다는 게 사실 비류랑 온조가 바뀐 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도 드네요! 남쪽으로 내려와서 비류랑 온조가 갈라져서 나라를 각자 세웠는데, 온조의 한수 남쪽 위례성이 외적의 침입이라던가 하는 이유로 망하고 형(+소서노) 쪽으로 돌아가 합쳤는데, 비류가 암살이나 부자연 스러운 이유로 죽었을 것같아요. 그럼 할머니랑 호랑이 이야기는 비류 죽음 이야기가 되는 거고, 남은 비류 파벌이 온조한테 왕 자리를 물려주기 싫어해서 둘이 싸웠고, 소서노는 그 와중에 죽었을 지도 모르겠네요. 피를 본 온조가 자기 세력만 이끌고 자기 옛날 터전으로 돌아갔다... 뭐 이런 가설도 세울 수 있을 것같네요 재밌게 잘 봤습니다!!
@spitz2
@spitz2 2 жыл бұрын
으..늦었다 잘듣겠습니다!
@user-qr4sk1uk7f
@user-qr4sk1uk7f 2 жыл бұрын
일본이 비미호를 자신들의 역사에서 삭제시킨 것처럼 백제도 소서노를 지워갔던 걸까요? 그리고 백제의 의미가 백가제해(백개의 가문이 바다를 건넜다)라고하니..소서노 때에도 국호가 백제였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user-zo6pe7hj8g
@user-zo6pe7hj8g 2 жыл бұрын
고조선의 시초에 대해서도 다뤄주실수있으신가요?
@chunghwasoo
@chunghwasoo 2 жыл бұрын
네 감사합니다 꼭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대단히 감사드립니다
@user-no2ef8ws5h
@user-no2ef8ws5h 2 жыл бұрын
@@chunghwasoo 고조선의 시초라니 정말 흥미진진한 내용인데, 청화수님이 다뤄주신다니 벌써부터 흥분됩니다!
@user-sm1rk7lx9n
@user-sm1rk7lx9n 2 жыл бұрын
역사의 공간을 넓혀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eo2un8yf3i
@user-eo2un8yf3i 2 жыл бұрын
먼저 추천박고 고 즐건 주말입니다
@lefebvre-desnouettes5274
@lefebvre-desnouettes5274 2 жыл бұрын
오~이런설이있군요
@wallyfind2673
@wallyfind2673 2 жыл бұрын
3-1설에서 소서노가 죽고 그 세력을 비류,온조가 아닌 제3의 세력이 장악했고 권력을 잡은 세력이 전 지도자의 자식들인 둘을 가만히 둘 수 없어 압박했고 그에 두 형제가 자신들을 지지하는 세력을 이끌고 남하했다.. 라는 시나리오도 생각해볼수 있겠네요
@user-qc8qm3sn9c
@user-qc8qm3sn9c 2 жыл бұрын
이것도 그럴듯하네요.. 이게 추론하는 재미가 있다고 볼수도 있는데 우리나라 고대사기록이 적은게 정말 한스럽네요..
@user-wl3gr9tn1m
@user-wl3gr9tn1m 2 жыл бұрын
🥰🥰🥰
@user-fs2yj6vi3s
@user-fs2yj6vi3s 2 жыл бұрын
좋은자료 감사합니다. 한수남쪽 동일 설 경우말입니다. 지금 우리가 강남을 말할 때, 서울의 한강 남쪽을 말하는 사람도 있고 강남구쪽의 동네만 강남으로 말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렇듯이 한수 남쪽. 즉, 한강의 남쪽은 넓게보면 한군데가 아니지않습니까? 지금과 인구수가 다르고 도시의 사이즈가 달랐고 한성이 현재 강북의 한 구 내 사이즈, 또는 발굴된 풍납, 몽촌토성의 사이즈를 볼 때... 한수 남쪽만으로 기준을 잡고 동일한 지점이다는 아닌 것 같습니다. 대충 크게 보고 구 하나 정도를 당대 도성 사이즈라고 기준 잡아도 10개정도는 들어갈 공간이 한강 남쪽에 존재합니다. 동 사이즈로 잡으면 당연히 더 많은 지역이 한수남쪽구요.
@music2864
@music2864 2 ай бұрын
동의합니다
@user-bp1il5fi6n
@user-bp1il5fi6n 2 жыл бұрын
역사추리 대박이에요! 대하사극 서소노 60편 뚝딱
@user-pp5il8yo2o
@user-pp5il8yo2o 2 жыл бұрын
재밌네요 왜 역사서들이 추리를 하겠끔 썼을까요?
@user-sv9kk2je3e
@user-sv9kk2je3e 2 жыл бұрын
다음 편으 언제나와요?? 기다리고 있어요 땡뻘 땡뻘
@layerrare1398
@layerrare1398 23 күн бұрын
마지막 설이 설득력 있네
@user-mk4fw8is3v
@user-mk4fw8is3v 2 жыл бұрын
선추천 후감상
@choidaniel5008
@choidaniel5008 2 ай бұрын
3번 같아요.. 1,2번의 경우는 두 세력이 다시 합쳤다는 점에서 어렵지 않나 싶고 그 정도 경우라면. 한쪽 세력이 완전히 멸망 되어야 사태가 해결되죠.. 합치는게 아니라 3-2 의 경우는 온조가 보여준 인성에 위반되는 결과에요. 그 정도 욕심과 야망이 있는 사팜이였다면 애초에 홀본에서 너무 쉽게 나온게 아닐지요.. 고작 이방인 부자에게 집안의 모든 재산과 기득권을 양보하고 순순하 나왔던 사람 이자나요.. 분명 자신들의 힘이 더 강했을텐데도….
@user-fk8re3om6p
@user-fk8re3om6p 2 жыл бұрын
화수님. 조선 열국지 연의 ㅡ 탈고 하실때까지 "~~~ 화이팅♥
@user-tz8vq5wo1u
@user-tz8vq5wo1u 2 жыл бұрын
청화수님 혹시 근현대사는 비중이 떨어지는거같은데 혹시 이유를 알수있을까요~~무례한 질문이면 죄송합니다!
@chunghwasoo
@chunghwasoo 2 жыл бұрын
대단히 감사합니다 근현대사도 조만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user-bm1qv6wr5k
@user-bm1qv6wr5k 2 жыл бұрын
꺄오 백제라니..온조라니.. 소서노라니..!!!!
@user-dj6tf6ek3q
@user-dj6tf6ek3q 2 жыл бұрын
동쪽낙랑 북쪽 말갈 관력 백제 위치 추적 해 주세요
@user-cl8vy3cl8u
@user-cl8vy3cl8u 2 жыл бұрын
온조가 기록한 사료를 가지고 사기를 썼을 것인데 온조가 나쁘게 보이게 기록될 이유는 없다는 것을 감안하고 봐야 할듯 하군요. 3-1 설이 가장 유력한듯 하네요. 낙랑이 요동 쪽이라는 설이 있고 말갈이 자주 쳐들어 온것을 보면 아직 만주 쪽이나 신의주 정도 있을 때 인듯 하군요.
@youngju6215
@youngju6215 2 жыл бұрын
아 김흠돌 영상.. 🙁
@user-oi7cz7fl2u
@user-oi7cz7fl2u 2 ай бұрын
풍납토성 몽촌토성 둘다 한강이남 임. 풍납에서 몽촌으로 혹 그 반대로 이사한거 아닐까.
@TK-iq6tl
@TK-iq6tl 2 жыл бұрын
요새 디아2땜시 소서 검색좀 했더니 소서노가 추천에 뜨네 ㅋㅋ
@user-hg7dj5bi2z
@user-hg7dj5bi2z 2 жыл бұрын
책 내주세요 책을 원합니다 사겠습니다
@user-zt9bi8ex4l
@user-zt9bi8ex4l 2 жыл бұрын
소서노가 두아들을 이끌고 처음 자리잡은 곳은 한반도가 아니라 요서지방이었고 외적의 침략, 내부갈등 등 문제로 인해 온조가 지금의 한강으로 이동하여 세운나라가 우리가 알고 있는 백제가 아닐까 하는데...
@clotildeseok2158
@clotildeseok2158 2 жыл бұрын
미사리에 있다가 송파 쯤으로 갔나보네
@user-kx5bc1ge1x
@user-kx5bc1ge1x 2 жыл бұрын
지금 교편을 잡고 떵떵 거리는 지식자 나부랭이들은 과연 이런 분석을 보고 뭐라고 할까 궁금하네요.
@Unicusmomo
@Unicusmomo 2 жыл бұрын
일제식민사관전파자들이죠
@user-su2zg1xu4r
@user-su2zg1xu4r 2 жыл бұрын
3분전ㅎ
@user-eu3ij8wd4k
@user-eu3ij8wd4k 2 жыл бұрын
말갈족과의 싸움 낙랑군... 백제의 위치가 한반도가 아니고 만주요동지방일대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 강하게 드네요.
@user-tm4zx2cn8w
@user-tm4zx2cn8w 2 жыл бұрын
그건 아닐거 같아요. 일단은 한성쪽으로 내려간게 맞을겁니다 기록도 그렇지만 유물들도 다 거기서 나오는거 보면 한성이 도읍지가 맞아요
@jim4674
@jim4674 2 жыл бұрын
80년대에 그썰이 많이 돌았었긴함.. 비류백제가 바로 망한게 아니라 계속 유지되어왔다는 썰임 (한국만의 기록이 아니라 중국쪽, 일본기록 다 합쳐서 내놓은 가설이었슴)
@user-tm4zx2cn8w
@user-tm4zx2cn8w 2 жыл бұрын
@@jim4674 유지를 어떻게 해왔길래 그게 유지가 되겠습니까? 대륙쪽 설명하려면 부여세력들이 나중에 내려온거 밖에 없고 그마저도 백제랑 같이 연합해야 살아남을까 말까한데 기록적으로도 그렇게 만들어졌다는게 나오고요 저는 대륙백제에 관해선 더이상 말하지 않을거고 알려고도 안할거에요 환빠 국뽕 듣기 싫으니까요 어차피 경상도의 좁은 땅덩어리 신라가 삼국통일하고 끝난거니까
@valor2300
@valor2300 2 жыл бұрын
백제 초기도읍지는 한성이 확실합니다.. 요서경락설이라던지 산동지방 관련 설이면 몰라도 유적이나 유물, 고분등에서 너무나도 확실하게 방증해주고있죠 한성백제의 존립에 대해
@user-tz8vq5wo1u
@user-tz8vq5wo1u 2 жыл бұрын
좋아요
@redrum0099
@redrum0099 2 жыл бұрын
엄마를 ㅋㅋ
@kmlee8824
@kmlee8824 2 жыл бұрын
백제는 북경에 있었고, 고구려는 송화강 유역에 있었고, 비류는 바닷가라고 하는 걸로 보아 산둥반도 끝까지 간 듯… 그래야 낙랑이 동쪽에 있게 됨
@ppq2610
@ppq2610 Жыл бұрын
백제의 수도는 콘스탄티노플(지금의 이스탄불)에 있었고, 비류의 미추홀은 물이 짜다는 걸로 봐서 하와이에 있었음에 틀림없습니다.
@kmlee8824
@kmlee8824 Жыл бұрын
@@ppq2610 헐... 기록이 객관화 되려면 저래야 한다는걸 말하는데, 돌려도 너무 돌려깠네... 쯪쯪... 정력을 이런데 낭비하다니...
@ppq2610
@ppq2610 Жыл бұрын
나름대로 기록을 객관화해서 얻은 결론인데 정력을 좀 더 써보시면 아실 것 같습니다 :)
@kmlee8824
@kmlee8824 Жыл бұрын
@@ppq2610 님이나 쓰세요... 난 침대에서 쓸 뿐이니까...
@user-vu7ht7ri4n
@user-vu7ht7ri4n 2 жыл бұрын
기성용 부인 시해한건가
@user-qv4lz4ji9g
@user-qv4lz4ji9g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jonymatiacarranza1966
@jonymatiacarranza1966 2 жыл бұрын
No se que mierdas sea pero igual me meti porque el algoritmo de youtube me lo recomendo jajaja
@constanzasanchez3566
@constanzasanchez3566 2 жыл бұрын
x2
@kkh1395
@kkh1395 2 жыл бұрын
소서노 과부엿다가 재혼 남편한테도 버림당하고 아들도 불효자고. 짠한 여인이라는.
@qnseksrmrqhr
@qnseksrmrqhr Жыл бұрын
역사와 신화는 늘 같이해야 흥미로운게 아닌가 생각을 합니다..................늘 평안하시길....
백제 진짜 시조? 온조 형 비류 의문의 정체
44:33
청화수 chunghwasoo
Рет қаралды 292 М.
고구려 멸망의 숨겨진 배후
30:15
청화수 chunghwasoo
Рет қаралды 291 М.
La revancha 😱
00:55
Juan De Dios Pantoja 2
Рет қаралды 35 МЛН
1 класс vs 11 класс  (игрушка)
00:30
БЕРТ
Рет қаралды 3,3 МЛН
$10,000 Every Day You Survive In The Wilderness
26:44
MrBeast
Рет қаралды 131 МЛН
신라 왕을 시해한 의문의 가야인. 그들은 누구였나?
39:22
청화수 chunghwasoo
Рет қаралды 103 М.
낙랑의 진짜 정체는 무엇인가?
31:00
청화수 chunghwasoo
Рет қаралды 146 М.
신라 사람이 열도 왕이라는 의문의 기록! 그 진실은 무엇인가?
43:04
고구려를 동북아 최강으로 만든 위대한 왕들 l #어쩌다어른 l #tvN인사이트
7:24
"넷플릭스" 제작, 전국시대 3인방 일대기 - 종합본
1:07:14
역주행-한국사, 세계사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삼국지 최고의 비극! 유비 이릉대전의 진실
58:15
청화수 chunghwasoo
Рет қаралды 180 М.
신라 왕비와 화랑들의 이상했던 사랑
40:10
청화수 chunghwasoo
Рет қаралды 136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