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형 인간 강요하는 사회, ‘미라클 모닝’보다 중요한 것 [수면의 뇌과학]

  Рет қаралды 314,114

장동선의 궁금한 뇌

장동선의 궁금한 뇌

8 ай бұрын

오늘은 수면 부족이 현대인들에게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뇌과학적으로 분석해 보았습니다.
잘 자고 잘 사는 법이 궁금하다면 오늘 영상 끝까지 시청해 주세요!
- - -
참고로 영상에 나오는 연구는 다음 기사와 논문을 참고했습니다.
*기사: www.nature.com/articles/d4158...
*논문: B. Simon, et al. PLoS Biol. 20, e3001733 (2022).
성균관대 물리학과 원병묵 교수님께서 이 논문에 대해서 리뷰한 기사를 SNS에 요약해 포스팅해 주셔서 알게 된 연구의 원문을 읽고 영상에서 소개하게 되었습니다 ^^
#수면 #아침형인간 #저녁형인간 #잠 #갓생

Пікірлер: 357
@heavenlee416
@heavenlee416 8 ай бұрын
대학생 때... 평일에는 공부하고 스펙쌓고 주말에는 야간알바를 했습니다. 그때 친구들 말로는 인성 터지고 싸이코패스가 되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잠의 중요성을 너무나 공감하고 지나갑니다...
@OO_61333
@OO_61333 8 ай бұрын
@@user-cr9sl3hi9i 본모습은 정신이 건강할 때 나오죠..
@user-ph8uk7if7r
@user-ph8uk7if7r 8 ай бұрын
⁠@@user-cr9sl3hi9i잠못자ㅆ을때가 어떻게 본모습입니까....
@botsuzuki8129
@botsuzuki8129 8 ай бұрын
@@user-cr9sl3hi9i진짜 못배웠네
@rlaxodcjswo
@rlaxodcjswo 8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 20~30대때 대부분 겪는 문제들 우울감들은 잠을 많이 자면 해결됩니다
@user-ts1ec8gb9l
@user-ts1ec8gb9l 8 ай бұрын
친구들이 남아계시네요 다행히. 저는 그때 다 떠남😂
@user-ik5mt4xz2j
@user-ik5mt4xz2j 8 ай бұрын
이 이야기는 진짜 널리 널리 퍼져야해요 헤롱헤롱한 상태로 아침에 뭘 하느니 또렷한 정신으로 밤에 하는게 나은데 왜 꼭 아침이 중요하다고 강요하는지ㅠㅠㅠ 다른데서 봤는데 내가 몇시에 활동하는게 중요한게 아니라 똑같은 10시간이라도 그 시간을 알차게 쓰면 되는거랬는데ㅠㅠ
@user-ow3pb9ps6i
@user-ow3pb9ps6i 8 ай бұрын
오늘 영상 참 공감되네요. 우리 사회는 잠을 많이 자면 미련하다고 손가락질 하잖아요. 4시간 자는 유명인들을 거론하며 찬양하기도 하고요. 그런데 저는 8시간은 푹 자야 다음날 최상의 컨디션이 나오는 사람이라서 이런 풍토가 공감이 안 되더라고요. 사람마다 필요한 수면 시간이 다른 건 당연한 건데 말이에요. 덜 자고, 더 일하려는 사람을 부러워하고 따르기보단 더 자서라도 나를 잘 지키는 사람을 부러워하는 건강한 사회가 됐으면 좋겠습니다❤
@user-cr9sl3hi9i
@user-cr9sl3hi9i 8 ай бұрын
회사다닐 때 밤에 잠안오고 아침에 일어나는게 너무 힘들어 맨날 좀비처럼 생활하고 우울증까지 걸려 정신의학과까지 다녔는데. 자영업을 시작하고 저녁 장사하니 몸은 배로 힘들지만 진짜 삶의 질이 이렇게 올라갈 수가 없습니다. 잠이란게 삶의 질과 직결 된다는걸 느꼈습니다. 저와 같이 저녁형 인간이신 분들 저녁에 일할 수 있는걸 찾아보세요!
@nightsky_spring
@nightsky_spring 8 ай бұрын
본인의 수면패턴에 맞는 직업을 가지게 되신거 넘 부러워요 😊
@mariejang_
@mariejang_ 8 ай бұрын
옛날에는 잠을 자지 않고 뭔가를 성취하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을 대단하다고 생각했는데, 지금은 건강한 생활루틴을 꾸준히 유지하는 사람이 진짜 대단해 보여요. 나이 들면 잠이 없어진다는 말이 있잖아요? 지금 생각해보니까 그게 잠이 없어지는게 아니라 수면의 질이 떨어지는 걸 말하는 거 같아요. 잘 자는 것도 복인데 그래도 이건 지금 노력하면 가능성이 없지는 않은 것 같네요. 다들 잘 먹고 잘 주무시길~~
@canwilled
@canwilled 8 ай бұрын
저도 저녁형 인간이라 항상 게으르다며 은근한 비난을 들어야 했습니다. 정작 조용한 밤에 가장 능률이 오르는데 .. 그나저나 아침형인간에 맞는 시스템이 세계적으로 구축되어 있다는 것은 그들의 수효가 훨씬 많다는 뜻일 텐데, 그렇게 된 역사적인 이유가 있을텐데 갑자기 궁금해지긴 하네요 ㅋㅋ 옛시대엔 '틀리다'는 소리를 들었던 것들이 과학의 도움으로 '다름'으로 인정받게 되는게 참 고맙고 감사한 마음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lq6in2md7m
@user-lq6in2md7m 8 ай бұрын
주간에 활동하는 것이 생존에 유리합니다. 사냥과 농사 등의 활동이 본질적으로 빛을 필요로 하니까요. 또한 인간의 활동 대부분이 밤보다는 낮에 활동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한편, 저녁형이 있는 이유는 야간에 무리를 지킬 경계병이 필요합니다. 결과적으로 인간의 다양한 생체리듬이 인간을 지키고 보존할 수 있는 것이죠.
@canwilled
@canwilled 8 ай бұрын
@@user-lq6in2md7m 아 그러네요 .. 수렵 및 농경시대 기준으로 볼때 그렇겠네요 .. 감사합니다
@MMGOM
@MMGOM 8 ай бұрын
전구의 발명 이전까지는 끽해야 촛불, 횃불, 등불정도를 썼으니 밤에 뭘 하기 어려웠고. 전구의 발명 이후에는 빛을 자유롭게 쓸 수 있어졌지만 전구나 전기는 공짜가 아니고 햇빛은 공짜죠. 아침형, 저녁형 인간은 지금에 와서야 조금씩 밝혀지고 있는 개념이구요. 그때 당시 전반적인 사회 시스템을 만들던 행정가, 사업가들은 저녁형 인간의 존재조차 모르고, 존재하는지 모르는 건 당연히 고려조차 못하는 거니. 지금까지 인류가 쭉 살아왔던 익숙한 방식이면서 빛을 밝히는 비용도 따로 필요없는, 해가 뜰때 일어나서 해가 질때까지 활동한다는 아침형 시스템이 정착되는게 자연스러운거죠.
@canwilled
@canwilled 8 ай бұрын
@@MMGOM 오 그렇겠네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mybackhurts..
@mybackhurts.. 8 ай бұрын
빛이 있을 때 활동하고 빛이 없을 때 수면상태에 들어야 건강이 유지가 되는 것 같아요,,저도 새벽형 인간인데 일처리는 잘 되고 있다만 수면시간이 부족한 것도 아닌데 면역질환이 떨어지지를 않네요😢
@awYwa
@awYwa 8 ай бұрын
저녁형 학교였으면 서울대 갔을텐데;
@user-ro2po2xm1q
@user-ro2po2xm1q 8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
@enj8345
@enj8345 8 ай бұрын
ㄹㅇ ㅋㅋㅋㅋㅋㅋㅋ
@mynameis____yeah
@mynameis____yeah 15 күн бұрын
난 하버드 법대 갔다 ㅋㅋㅋ
@user-dg3yy9hk3s
@user-dg3yy9hk3s 8 ай бұрын
이타심과 수면의 관계 개인적으로 맞다고 생각.... 진짜 잠이 부족하면 타인이고 뭐고 알빠노 아 잠이나 쳐자고싶다zzz 이런 생각이 듦... 이기적으로 행동하진 않지만 굳이 이타적 행동을 할 힘이 없음
@litch_o
@litch_o 6 ай бұрын
진짜 공감되는게 아침형으로 바꾸겠다고 억지로 평균에 맞춰서 5~7시 기상하고 이럴때는 하루종일 개피곤하고 예민하고 살기도 싫어지소 그랬는데 프리랜서 하면서 10시 기상하고 점심때 부터 저녁8,9시까지 일하고 새벽 세네시에 자고를 반복하니싸 인생이 겁나 행복했음. 운동끝나면 새벽 한 시이고 뭐 너무 늦는 거 아닌가 라는 생각 버리고 내 루틴대로 사니까 진짜 좋음 ㅋㅋㅋㅋ 억지로 아침에 일어났다가 낮잠 때문에 리듬꼬이는데 점심때 일어나면 낮잠이안옴... ㅋㅋㅋ 이거 유전맞는게우리엄마도 점심 출근함ㅋㅋㅋㅋ
@sorasorasky5
@sorasorasky5 8 ай бұрын
프리랜서입니다. 제 수면시간과 피로도등을 몇달간 체크했는데 전 새벽3시정도에 잠들어서 10~11시 기상하는게 제일 좋더라구요. 미라클모닝도 한적있는데 하루가 너무너무피곤했었습니다. 요즘에는 점심먹고 하루를 시작하고 저녁까지 일합니다~~ 전 이게 편하고 효울도 좋아요.전 저녁형인간이었던거죠. ^^
@sorasorasky5
@sorasorasky5 8 ай бұрын
덧) 미라클모닝하느라 아침기상으로 루틴을 맞취놔도 금방 저녁형루틴으로 돌아가요.자연스럽게~~ 제 몸이 편한 시간대로 돌아가는거죠. 프리랜서라 제 루틴대로 살 수있어서 다행이예요. ^^
@sobakeee
@sobakeee 8 ай бұрын
아.. 진짜 저네요 넘 괴롭 ㅜㅜ
@user-zg2lk5dl2s
@user-zg2lk5dl2s 8 ай бұрын
잠 때문에 온갖 인생의 쓴맛을 경험해 본 사람으로서 그동안 게으르고 의지가 부족한 사람이라는 낙인과 함께 핸디캡을 안고 살아야 했던 사람들의 한줄기 빛이십니다. 틀림이 아니라 다름임을 뇌과학 입장에서 다뤄주시니 뭔가 위로가 되는 기분입니다. 감사합니다!
@minsuja8257
@minsuja8257 8 ай бұрын
제가 아침형인간되려고 1000일정도를 새벽 알바했는데 돈도 못벌고 병만생겨 죽기바로전에 의사님 잘만나 골드타임안넘기고 살아남 ㅜㅜ...그이후로 새벽운운 하는 이론가 책 다버림
@pizza452
@pizza452 8 ай бұрын
1000일을 해도 습관이 안되나보네요..
@minsuja8257
@minsuja8257 8 ай бұрын
1000일하면 될줄 알았는데...안되더군요
@jl_0725
@jl_0725 8 ай бұрын
고생하셨어요 ㅠㅠ
@user-ds2xk9cl9g
@user-ds2xk9cl9g 2 ай бұрын
새벽 기상한다고 병이생길수가있나요?
@younglord705
@younglord705 8 ай бұрын
갓생살고 미라클모닝하고 이런 보여주기식 삶은 때려치우고 자신만을 루틴을 가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좋아하는 것들을 곁에 두고, 작은 것이라도 좋으니 신념을 세우시고 남이 보든 안보든 그 신념을 지켜나가시는 겁니다(윤리적•도덕적인 신념뿐만이 아님) 그러다보면 자신만의 매력이 갖춰질 거예요. 저도 그렇게 많은 것들을 성취해나갔고 그 원동력들이 정말 큰 힘이됩니다
@BLA1NE
@BLA1NE 8 ай бұрын
다는 아니겠지만 '아침 잠이 많아서' 피곤하다던 지각생들. 어쩌면 사회가 만들어낸 불가피한 피해자들일 수도 있겠네요.
@realjjigaegogopanda
@realjjigaegogopanda 8 ай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travellll7069
@travellll7069 8 ай бұрын
이해 잘되고 좋은 강의 감사해요! 공감합니다!
@user-et6ge2jx3o
@user-et6ge2jx3o 8 ай бұрын
혹시 스트레스성 과수면에 대해서도 언제 한번 다루어주실 수 있을까요? 뇌가 강하게 스트레스를 받으면 의식을 셧다운 시킨다고 하던데 저도 그것때문에 직장에서 극도로 긴장할 때 갑자기 기절할 것 처럼 졸릴 때가 있거든요. 우울증이 심해질 때도 미친듯이 졸리구요..
@user-pu7uq9kf5s
@user-pu7uq9kf5s 8 ай бұрын
너무공감가요 ㅠㅠㅠ 잠이 절실해서 과수면하게되었는데 게으르다고 비판만 받고 악순환이에요ㅠㅠ
@Catpiecatpie
@Catpiecatpie 8 ай бұрын
저는 싸우거나 기분 안 좋으면 바로 졸리고 엄청 오래 자고 일어나면 개운하고 기분 안 좋았던거 다 사라지던데
@redmoon12321
@redmoon12321 7 ай бұрын
저도요. 잠으로 도피하는 느낌이에요. 그냥 현실의 스트레스를 회피하고 싶어서 잠만 계속 자려고 하는..
@ddu_dung_here
@ddu_dung_here 7 ай бұрын
저도 스트레스 받거나 우울할 때 잠자는 걸로 도피한 적 있었는데 스트레스 푸는 여러 방법을 찾으니까 이젠 잠으로 도피 안하게 됐어요. 일기를 쓴다거나 풍경을 멍때리며 본다거나 독서를 하는 등 여러 방법을 시도함으로써 잠 외의 다른 방법을 찾는 게 중요한 것 같아요
@Binaaaaaaaac
@Binaaaaaaaac 6 ай бұрын
헐 저도 긴장이 극에달하면 졸려요ㅠㅠ 제가 이상한건줄 알았네요..
@gbmkr
@gbmkr 8 ай бұрын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박사님 !! 짧고 자극적인 컨텐츠에서 벗어나 유익하고 즐거운 컨텐츠를 원했었는데 박사님 덕분에 여가시간에도 알찬 시간을 보내는 것 같습니다 !! 다니는 학교에서도 박사님을 종종 뵈는데, 부끄러워서 멀리서만 응원하고 있습니다! 좋은 말씀 감사해요~
@user-kq2ks6zt2j
@user-kq2ks6zt2j 8 ай бұрын
오옿 흥미로운 정보를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gimm3335
@gimm3335 8 ай бұрын
미쳤다.. 너무 유익하고 머리에 쏙쏙 박히는 설명 너무 감사드립니다ㅠㅠ 고등학생 신분으로서 아침에 일어나는 것도 너무 힘들고 새벽에 공부가 더 잘 되는 걸 느낀 적이 많아서 궁금했는데 이번에 배워가요!!❤
@kwoneyuni
@kwoneyuni 8 ай бұрын
교수님 안녕하세요! 새로운 정보를 얻어갈 수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funnyhot5295
@funnyhot5295 8 ай бұрын
장동선 박사님 이야기보따리는 너무 재밌어❤ 오늘도 유익한 뇌스토리 감사해요~
@user-gh8sy6pe5g
@user-gh8sy6pe5g 8 ай бұрын
저녁형 인간으로서 정말 공감갑니다 ㅠ 내가 여유를 가지고 있어야 남에게도 베풀며 전달할 수 있는데 컨디션에 따라 감정 조절하는게 쉽지 않더군요.. 오죽하면 그럴까.. 라는 상대방을 배려하는 선생님의 자세 배우고 갑니다. 😊
@user-ku4xt8sq5k
@user-ku4xt8sq5k 6 ай бұрын
저녁형 인간으로서 너무 공감됩니다... 항상 좋은 영상 감사드려요😆
@user-hk2nx1sk6v
@user-hk2nx1sk6v 8 ай бұрын
파자마 너무 귀엽습니당! 아침형 학교말고 두시간 늦게 등교하는 학교도 따로 생기면 좋겠어요 물론 여건되는 집들만 보낼 수 있겠지만요 ^^
@yunbong1209
@yunbong1209 8 ай бұрын
좋은 말씀 항상 감사합니다 !! 대학생입장에서 너무 공감가는 이야기였어요 :)
@summer9008
@summer9008 8 ай бұрын
정말 공감갑니다 잠을 적게 잔 날 유독 예민해지고 내 기분, 내 상태를 우선시하게 되더라구요 야식을 끊고 잠드는 시간을 조금씩 땡겨보겠습니다ㅜ
@nightsky_spring
@nightsky_spring 8 ай бұрын
야행성으로서 아침형만이 정답인양 몰아가는 세상의 잔소리들에 내내 억울하고 반감이 들었는데 속이 후련하네요 😂
@user-tk7vm3go3x
@user-tk7vm3go3x 8 ай бұрын
오늘도 감사합니다
@Anytime0000
@Anytime0000 8 ай бұрын
장박사님, 정말 감사합니다.. 어떤 철학자가 남겼던 말이 생각나네요 ' 고민거리나 걱정거리가 있다면 잠이나 자라 ' 수면의 중요성을 잘 이해하고 갑니다 고맙습니다~~♡
@jungeiseok
@jungeiseok 8 ай бұрын
쇼펜하우어
@leelee-re4cw
@leelee-re4cw 8 ай бұрын
근데 고민과 걱정 때문에 잠이 안 옴
@redmoon12321
@redmoon12321 7 ай бұрын
고민과 걱정이 있는데 어떻게 자죠ㅠㅠ 밤새다가 진짜 기절하듯 자긴 하는데 다음날 또 밤새고 계속 고민, 걱정하는건 똑같은데😢
@lupuswere7903
@lupuswere7903 6 ай бұрын
​@@leelee-re4cw그걸 내려놓는 게 명상이나 요가... 마음이 자유로워지기 위해서는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정답을 찾기는 어렵겠지만...
@leelee-re4cw
@leelee-re4cw 6 ай бұрын
@@lupuswere7903 저는 걍 운동 조집니다
@user-jg3qr2mp2d
@user-jg3qr2mp2d 8 ай бұрын
교수님 영상 재밌게 봤습니다☺️ 잠의 중요성과 아침형,저녁형인간에 대해 알아갈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뇌의 능률을 올리기 위해 앞으로 밤 안 새고 충분히 숙면 취하겠습니다… 교수님의 비대면 제자 올림
@dsimon2827
@dsimon2827 8 ай бұрын
박사님 영상보고 나서 잘께요~ 굿나잇~
@user-rm2tv5ke6h
@user-rm2tv5ke6h 8 ай бұрын
앜ㅋㅋㅋㅋㅋ 교수님 잠옷 너무 귀여우신 거 아니에요ㅋㅋㅋㅋ 이 착장으로 수업 한번 해주십쇼😀
@CH-uu3tu
@CH-uu3tu 7 ай бұрын
너무 재밌게 스킵 한 번 없이 잘보다가 갑니다 ㅎㅎ 구독하고가요~!
@user-ml7ir4iu5s
@user-ml7ir4iu5s 8 ай бұрын
좋은 내용입니다 감사합니다
@cosostyle
@cosostyle 3 ай бұрын
흥미로운 컨텐츠, 쉽게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시차적응이 왜 한쪽으로 오는게 더 어려운가에 대해서 잘 알았습니다. 😊😊
@user-eu9gr4ti3h
@user-eu9gr4ti3h 7 ай бұрын
아쥬~~ 속 시원한 영상입니다!!! 우리나라 사람들만 유독 잠에 대해 인색한게 아닐까?란 생각이 들어요. 진짜 자녀들이 잠 많이 자는거 싫어하는 부모님들이나 미라클모닝으로 인생이 바뀐다느니, 죽으면 평생 자는데 덜 자고 공부해라느니, 잠 많은 사람은 게으르다느니…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이 영상 좀 봤으면 좋겠네요. 단지 사람에 따라 수면시간과 패턴이 다를뿐인데.. ㅎ ㅑ… 잠을 뇌과학적인 면에서 명쾌하게 다뤄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전 원래 잠이 많았지만 ㅋㅋ 이제 잠 많은 저자신을 탓하지 않을거예요!! 자고 싶은 만큼 푹~~ 죄책감없이 완전 잘 잘거예요! ㅠㅠㅠ😊😊
@user-lo8fj7cd4q
@user-lo8fj7cd4q 8 ай бұрын
흥미로운 주제 잘 봤습니다. 구독 좋아요 누르고 앞으로의 영상도 기대하겟습니다 ㅎㅎ
@Creationbylim
@Creationbylim 8 ай бұрын
파자맠ㅋㅋㅋ박사님 너무 귀여우세요!😆😆 오늘도 영상 잘 보고 갑니다🌸🌸
@popnjk
@popnjk 8 ай бұрын
밤에 더 다채롭게 사는 나한테 정말 위로가 되는 영상이다ㅜㅜ
@user-zt4jv8kf2o
@user-zt4jv8kf2o 7 ай бұрын
너무너무 공감하면서 재밌게 봤습니다. 저도 수면부족에 불면증시달리면서도 커피를 못 끊고 있네요. 어느날 통장에서 후원금들이 줄줄이 빠져나간 걸보면서 화가 확 나더라구요. 자의로 기부를 하기로 해놓고 갑자기 왜 내 돈이 도둑맞았다고 느꼈는지 너무 궁금하더라구요. 진짜 잠이 너무 부족한 탓에 정신이 삭막해지고 피폐해진 게 분명한 이유였군요. 감사합니다.
@user-cs3jg3hi8z
@user-cs3jg3hi8z 8 ай бұрын
저도 저녁형인간이라 수험생활때 고민이 많았어요. 아침형인간만이 답이 아니라는 걸 많은 사람들이 알아줬으면 좋겠어요
@user-fo2lu9bj3n
@user-fo2lu9bj3n 8 ай бұрын
시험은 아침에 보는데 안 힘드셨나요..? 제가 저녁형 인간이라 어떻게 해야 할 지 고민이 많아서요ㅠㅠ..
@han4652
@han4652 7 ай бұрын
저도 수험생활 중인데 저녁형인간이라 고민이 많네요.. 혹시 패턴 어떻게 잡으셨을까요 ㅜㅜ
@user-tt6jz1vy3e
@user-tt6jz1vy3e 8 ай бұрын
맞아요.. 저도 아침마다 항상 잠과 싸웠습니다. 충분한 수면을 한다고 해도 늘 늦저녁에 과제가 더 잘 되더라구요. 입시를 할 때도 아침보다 오후에 시험이 있는 대학교에서 더 앞선 예비번호를 받았었습니다. 준비 기간은 훨씬 짧았는데도 말이죠.
@user-pt6bh6st6p
@user-pt6bh6st6p 8 ай бұрын
오지랖 줄이고 자신을 관리하고 성찰하며 타인에게 피해를 안 주려고 노력하는 사회부터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sinchan0311
@sinchan0311 8 ай бұрын
그런 사회가 되려면 스스로 실천하고 주변사람에게 모범보이고 행동하는 수 밖에 없는거 같아요.
@user-pt6bh6st6p
@user-pt6bh6st6p 8 ай бұрын
@@sinchan0311 설마 그런 생각도 없이 댓글을 달았을까요?
@user-mo1dd8vy2l
@user-mo1dd8vy2l 8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진짜 바뀌어야함 잠 적게 자는 것 뿐만 아니라 밥 제대로 안먹는 것 등등 미련하고 멍청한 짓을 미화하고 찬양하는 문화가 너무 많아요
@jun-heechoi9382
@jun-heechoi9382 8 ай бұрын
멜라토닌의 분비시간이 선천적인게 맞는지, 아니면 그 사람의 현재 수면패턴에 맞추어 그 시간대로 측정이 된 건지 궁금합니다. 후천적으로 바뀔 가능성이 있는지가 궁금해요.
@chocosmos
@chocosmos 8 ай бұрын
수면시간의 중요성은 알고 있지만 이타심, 써머타임하고 비교하는건 흥미롭네요 실제로 잠을 못 자면 신경질적이고 예민하게 되는거 같아요
@Allzzi
@Allzzi 8 ай бұрын
파자마까지 입고 촬영해주시니 내용에 더 집중하게 되는 것 같아요😆
@alemfre
@alemfre 8 ай бұрын
좋은 내용 잘 보고 갑니다
@happyet5968
@happyet5968 8 ай бұрын
곰돌이 푸우 같으시네요. 귀여우십니다. ㅎㅎ 저는 저녁형인간이라 많은 위안 얻고갑니다. 감사합니다.
@user-ne1wg8iu1b
@user-ne1wg8iu1b 8 ай бұрын
장동선 박사님, 유용한 컨텐츠 많이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영상을 보다 궁금한 점이 생겨서 질문 남겨봅니다. 요즘 진화론이 굉장히 핫한데, 진화론적 관점에서 보면 수십년간 인간의 생채시계는 아침에 깨어있고 밤에 자야만 하도록 맞춰져있는데, 저녁형 인간이 존재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과연 연구결과가 어떤 방식으로 도출되었는지도 궁금하네요. 진화론적으로 보자면 저녁형은 건강에 해로워야 하는거 아닌지 생각듭니다. 멜라토닌 수치라는 것이 밤늦게까지 생활하다보니 멜라토닌 분비시간이 늦춰져 그렇게 나온 것이 아닐까요?
@greenavenger
@greenavenger 8 ай бұрын
밤에도 야생동물이나 위협이 있을 수 있으니 누군가는 무리 중에 밤에 깨어 있어야 할 필요가 있었을 것 같습니다.
@user-wc5xg7lc8u
@user-wc5xg7lc8u 8 ай бұрын
저녁형 인간조 밤에 자지 않는 것이 아니라 자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늦다는 뜻 아닐까요? 설명을 들어보면 밤에 아예 자지 않는다는 의미가 아닌 것 같아요
@Howmuch_IQ
@Howmuch_IQ 8 ай бұрын
장동민님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yoon56915
@yoon56915 8 ай бұрын
울림 있는 내용. 감사합니다
@user-wh3vd4ni4p
@user-wh3vd4ni4p 8 ай бұрын
잠을 잘 자는게 건강뿐만 아니라 이기심까지 변화를 준다니 진짜 무섭네요 우리 사회에서도 잠에 대한 중요함을 다시 생각하면 좋겠습니다
@jip3712
@jip3712 8 ай бұрын
너무너무 좋은 이야기입니다!!!
@_R8888
@_R8888 8 ай бұрын
파자마인 걸 마지막에 말씀하셔서 알고 빵터졌어요 ㅎㅎㅎㅎ
@Belu518
@Belu518 6 ай бұрын
너무 유익해요!
@user-sj7zx5fr8e
@user-sj7zx5fr8e 7 ай бұрын
안그래도 제가 잠을 엄청 많이 자고 잠을 좋아하는 사람인데 이번에 새로 입사해서 바쁠때 딱 며칠만 4시간씩 자고 그랬는데 바로 몸에 이상이 오더라구요.. 그래서 그때부터 잠의 중요성을 깨닫고 푹 자고 있습니다 사람마다 필요한 수면시간은 다 다르지만 저는 9-10시간은 자야 딱 좋은 거 같아요 .. 😂 전에는 이런 저를 굉장히 자책하고 더 열심히 살아야지 하고 스스로 채찍질했는데, 그냥 이젠 받아들이고 푹자고 건강히 몸 챙기려고 합니다🥰
@sejunkim7670
@sejunkim7670 8 ай бұрын
드디어 내 편 등장인가... 감사합니다.
@jamiejang8584
@jamiejang8584 7 ай бұрын
너무 유용하고 이해하기 쉬운 영상 감사드립니다!
@user-dp8ob6mo4j
@user-dp8ob6mo4j 8 ай бұрын
저는 어릴때 트라우마 때문인지 만성 우울증이 있어요 장박사님 영상 호기심에 보게 되었는데 항상 좋은정보와 함께 위로가 되는 느낌이 들어요 :)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sweetierinarinarinarina
@user-sweetierinarinarinarina 6 ай бұрын
힘드시겠어요 토닥토닥
@vnfma7
@vnfma7 8 ай бұрын
이타심과 수면의 관계..굉장히 흥미롭네요
@getupat9oclk
@getupat9oclk 8 ай бұрын
파자마 예뻐요 마음이 편안해지는 옷이네요~ 샘과 어울리삼 ~~
@user-wf7gg8dg7k
@user-wf7gg8dg7k 8 ай бұрын
잠을 충분히 자도록 노력해야겠어요~!
@doChairsExist
@doChairsExist 8 ай бұрын
서머타임 때문에 수면시간 일시적으로 줄어들면 기부도 줄고, 심장마비도 늘고.. 이런저런 상관관계들 시사적이네요.
@user-uz1rb3yn6u
@user-uz1rb3yn6u 4 ай бұрын
교수님 잠옷 넘 잘 어울리고 귀여우심 좋은 말씀 잘 들었습니다. 저도 저녁형 인간이라 오랜 직장생활 하면서 오전에 너무너무 힘들었어요. 헤롱헤롱한 상태에서 일하면 실수도 하고 커피도 많이 마시게 되고… 지금은 자영업을 하면서 좀 더 자고 늦게 출근할 수 있어서 이 점은 좋네요.
@user-vt8wu6xk5p
@user-vt8wu6xk5p 8 ай бұрын
너무 재밌게 봤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makeitme
@makeitme 7 ай бұрын
23.11.4 수면의 질에 알게 됬어요 :-) 잠 적게 자면 ➡️ 이기적으로 만듦 잠은 자고 하자. 2:30 3:13 3:56 수면 부족의 문제점 4:41 똑같은 시간에 자야하나?: 멜라토닌, 아데노신 -아침형/ 저녁형 인간 5:52 잠 잘 자기 위함 - 아침 햇빛 ➡️ 각성효과 -오후 4시 이전 커피먹기❤ 7:10 결론
@user-uo3lz5mc3q
@user-uo3lz5mc3q 6 ай бұрын
저도 피곤해서 일찍 자려고 10시쯤 누웠는데 11시 넘어서야 잠들었어요. 그리고 아침에 여섯시에 일어나려고 알람 맞추고 깼는데 넘 피곤하네요.ㅠ 12시-7시 패턴으로 바꿔야겠어요! 잘 봤습니다 :)
@genar8202
@genar8202 8 ай бұрын
요새 규칙적으로 먹고 충분히 자고 하는데 진짜 좋더라고요... 근데 진짜 자기가 수면부족일땐 수면부족인줄도 모름 그냥 좀비상태로 적응된채 살다가 지금 규칙적으로 생활한 담에 알게됨... 아 그때 정말 피곤했구나하고
@heayoungjun8930
@heayoungjun8930 8 ай бұрын
저는 잠이 좀 부족하면 날카로워지는 걸 느끼면서 무슨 애기 잠투정도 아니고 나이 먹어가꼬 부끄럽다 했는데... 당연한 거였다는 걸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ㅠㅠ 알게 모르게 저녁형 인간들이 스스로를 자책하게 만드는 사회 시스템이에요...
@user-rh7pz8en6z
@user-rh7pz8en6z 8 ай бұрын
잘봤습니다!
@user-nw8dt1kn9d
@user-nw8dt1kn9d 8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su4ew3hp1n
@user-su4ew3hp1n 8 ай бұрын
나를 시스템에 맞춰서 일어나고 자는 시간마저 맞춰야하는 사회에 지치고 뇌과학에 위로받고 갑니다..! 저녁형인간은 아침이 힘들어잉
@sunnythesun6858
@sunnythesun6858 8 ай бұрын
영상 속 나오는 논문들과 연구결과의 바로가기 링크를 올려주실 수 있나요? 직접 읽어보고 싶어요!
@CuriousBrainLab
@CuriousBrainLab 8 ай бұрын
*기사: www.nature.com/articles/d41586-022-02248-z *논문: B. Simon, et al. PLoS Biol. 20, e3001733 (2022). 성균관대 물리학과 원병묵 교수님께서 이 논문에 대해서 리뷰한 기사를 요약해 포스팅해 주셔서 원문을 읽고 영상에서 소개하게 되었습니다 ^^
@canadahazel
@canadahazel 8 ай бұрын
흥미로웠어요 ❤
@nexonlikesmoney
@nexonlikesmoney 7 ай бұрын
옳소 백만번입니다!!❤
@jipjung_kim
@jipjung_kim 8 ай бұрын
당장 자러가야겠어요..
@Z.1.lighttube
@Z.1.lighttube 8 ай бұрын
잠을 푹 자면 장점 1.위에서 말한 뇌 과학과 연계해 공부에 도움이 된다. 2.피부가 좋아짐. 3.성장기 애들 한정인데,키 크는 데도 도움이 됨. 여러분 아무리 바빠도 하루 최소 6~7시간은 주무세요. 잠은 푹 자면 장점이 어마어마하게 많습니다.
@leesy2202
@leesy2202 8 ай бұрын
아침에 일어나서 밖에 나간 날과 아닌 날이 확실히 차이가 있긴 하더라고요 ㅋㅋ 그래도 랩실에서 저녁에 논문 쓸때 제일 잘 되는 거 보면 저녁형 인간이긴 한 것 같아요
@user-td5js6yg5k
@user-td5js6yg5k 8 ай бұрын
잘먹고 잘자고 잘싸면 인생 최고 👍 💕 😂. 감사드립니다
@_verse
@_verse 8 ай бұрын
오늘 저녁에 영화 을 관람하고왔는데, 극 중 배우들의 감정과 행동이 더 이해가 되네요. 후덜덜.. (커피마시면서 관람한건 안비밀😂)
@sayyes7535
@sayyes7535 8 ай бұрын
오오 저도 오전수업, 오전에 논문 읽고 공부하는 게 별로 효과가 없었던 것 같아요.
@Zeddy272
@Zeddy272 8 ай бұрын
수면의 질에는 블루라이트도 아주 중요하죠. 저는 저녁에는 블루라이트 오프 기능을 잘 쓰고 있습니다. 커피도 아침에 한잔만 마시구요.20대나 30대는 안그랬는데 40대가 되니까 이제 몸이 예민해져서 이런 사소한 것들의 영향을 직접 몸으로 느끼겠더라구요. 근데 전 미국에 살고 있는데 써머 타임 정말 너무 싫어요.😔 3월부터 11월 첫째주까지 약 8개월을 써머 타임으로 살아야합니다. 1년의 2/3를 1시간 당겨진 채로 사는게 너무 싫어요. 대부분 11시쯤에 자서 아침 7시 쯤 일어나는데 이 규칙이 깨지는 게 참 별로더라구요. 언제쯤 써머 타임이 없어질런지...🤔
@user-fr8tq8in3c
@user-fr8tq8in3c 8 ай бұрын
십여년 전에 아침형을 시도해봤으나…나와는 맞지 않다고 결론내리고 푹 자고 적당한 시간에 일어나고 있어요~
@user-gh6mu3dh2n
@user-gh6mu3dh2n 8 ай бұрын
잠은 진짜 중요해요 누가 뭐래도 잘 자는 게 최우선!
@user-rs4sg2tz6k
@user-rs4sg2tz6k 8 ай бұрын
파자마 귀여우셔요 ㅋㅋ
@ryongs6249
@ryongs6249 8 ай бұрын
파자마컨셉 귀여우세요 ㅋㅋ 저는 직업을 바꾸면서 저녁형에서 아침형으로 강제 개조되었는데 저녁형일땐 몰랐는데 밤11시전에 자냐 아니냐에 따라 다음날 몸+머리 컨디션이 너무다른거에요...? 그래서 더욱 신경써서 일찍자고있습니다. 수면시간은 최소6 보통7시간자고요 ! 나이들어가니까 수면시간도 더는 못줄이겠어요
@yetgut23
@yetgut23 8 ай бұрын
와...감사합니다 선생님!!! 보면서 울컥했어요...ㅠ.ㅠ
@user-tv3fr4dr8v
@user-tv3fr4dr8v 8 ай бұрын
숙면은 꼭 필요합니다😪
@roseswithpeony
@roseswithpeony 8 ай бұрын
요새 하던 고민들에 아주 좋은 답이 됐습니다. 감사합니다.
@andrew8807
@andrew8807 8 ай бұрын
혹시 너무 오래자서 문제되는 경우는 있는지 궁금합니다! 너무 오래자고 일어나서 몸이 찌뿌둥하거나, 잠을 많이 잤는데도, 오래자고 일어나면 아직 뇌는 졸린것같이 비몽사몽한 기분이 드는것 처럼요! 영상 유익하게 시청했습니다!
@user-gv2fc1jz5h
@user-gv2fc1jz5h 8 ай бұрын
운동한자다고 맨날 7시 8시 사이에 카페인 마셨는데..주말 늦잠을 포함해서 매일 아침 개운하단 느낌 없이 기계처럼 일어나더라고요. 이제부터라도 6시 전에 미리 마시고 운동 가야겠네요
@pionarlesmordo9310
@pionarlesmordo9310 8 ай бұрын
일단 수면이 부족하면 사소한 일에도 짜증부터 납니다 신경질적이고 참을성이 많이 떨어짐
@user-ik8qx8qe5k
@user-ik8qx8qe5k 8 ай бұрын
저도 어릴때 올빼미라 밤에 잠 안자고 있었는데 그때 성장 호르몬이 나온다는군요 나이든 지금은 아침형 인간입니다 낮에 충분히 활동도 하니 뇌에 좋은 영향을 주겠네요
@sienna8297
@sienna8297 2 ай бұрын
너무 공감합니다. 잠이 부족하면 일단 신경이 너무 날카로워지고 제 한몸 챙기기도 어렵다보니 배려심은 1도 안 생겨요. 여유로운 마음은 푹 자고 일어난 후 생기는 거 같아요. 딱 맞는 예는 아니지만 손흥민 선수도 밤 10시에는 취침해서 9시간, 혹은 10시간 잔다고 합니다. 그래야 다음날 최상의 컨디션으로 운동할 수 있다네요. 저도 최소 7시간은 자도록 노력하고 있어요.
@lani2747
@lani2747 8 ай бұрын
하...저는 카페인이 간에서 분해가 안되나 봐요(?)..ㅠㅠㅠ 낮 12시에 마셔도, 심지어 어떨 때는 오전 10시에 마셔도 밤에 잠을 못 잡니다..ㅠㅠ 저는 도무지 야행성인지 아침형인지 모르겠어요.. 하도 자는 시간이 왔다갔다해서 ㅠㅠ 카페인에 약한 것처럼 수면에 방해되는 요소에 유독 자극을 잘 받는 타입인가봐요.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sweetbee2532
@sweetbee2532 8 ай бұрын
박사님 항상 존경합니다~~
@sweetbee2532
@sweetbee2532 7 ай бұрын
오 하트받았다!🥰
@user-tf9pt7yy7w
@user-tf9pt7yy7w 8 ай бұрын
대학생 시절에 잠을 며칠 잘 못자고 지하철 탔었는데 내 앞에 지팡이 짚으신 할아버지께 도저히 자리를 내줄 생각이 들지를 않았었는데... 그리고 내릴때 너무 미안했었던...
@co-musician640
@co-musician640 8 ай бұрын
보약같은 영상 감사합니다
불안하고 막막한 현대인들을 위한 뇌과학 모음.zip
43:17
장동선의 궁금한 뇌
Рет қаралды 400 М.
Sigma Girl Education #sigma #viral #comedy
00:16
CRAZY GREAPA
Рет қаралды 86 МЛН
1 класс vs 11 класс (неаккуратность)
01:00
БЕРТ
Рет қаралды 4,9 МЛН
뇌과학으로 보는 성욕과 사랑 그리고 예술 [Art&Brain]
13:52
장동선의 궁금한 뇌
Рет қаралды 272 М.
계획대로 산다고 무조건 성공하진 않아요 | 태도의 뇌과학
8:50
장동선의 궁금한 뇌
Рет қаралды 156 М.
🧠 도파민 중독? 디톡스? 뇌과학자가 소개하는 뇌 해킹 방법 공개!
15:16
Talking with Hal Elrod after 6 years of Miracle Morning
24:33
That Korean Girl 돌돌콩
Рет қаралды 68 М.
"장박사님 이렇게 드시면 안돼요" 현대인 식단 전격 해부 ⭐️
13:16
장동선의 궁금한 뇌
Рет қаралды 202 М.
Sigma Girl Education #sigma #viral #comedy
00:16
CRAZY GREAPA
Рет қаралды 86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