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21 ‘생각의 범위’가 투영된 지도 04:43 대동여지도의 위대함 06:54 산천을 표기하는 법 🏞️ 09:37 일본도 활용한 대동여지도 10:49 조립 & 접이식 지도 12:07 목판 제작 🪵 13:42 ‘김정호 판타지’가 생겨난 이유 18:00 지리서 📔 20:23 대원군의 탄압을 받았다? 23:35 고산자의 또다른 유산들 26:04 전국지도 & 마을지도 29:25 선학이 있었기에 대동여지도도 있었다 🙏🏻
@WildBoarHunting-w4k3 ай бұрын
😊😊😊😊😊
@Lia33493 ай бұрын
댓글 몇 개 되지도 않는데, 전문가가 댓글로도 소통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왜곡된 얘기를 퍼트리는 몇 개의 댓글도 바로잡지 못한다면 대중강의로 기대할 수 있는 역할이 너무나 제한적인 거 아닌가요
어렸을 때 김정호의 위인전이라고 주장하던 책들을 보면서 잘못된 지식을 배웠고, 크고 나서야 김정호에 대한 정보가 하나부터 열까지 틀렸음을 알게 되었지요. 옛날 우리나라의 역사 교육은 혼돈으로 가득했지만 20년대가 넘어서야 그나마 나아지고 있다는 게 늦었지만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짜가천사3 ай бұрын
박물관에서 봤는데 그 크기에 압도 되었다 생각보다 크다
@TV-gs2gg3 ай бұрын
김정호~ 일가의 이야기라 귀가 쫑긋~ 고산자로에 살고있어 더 귀담아 듣는 듯
@tlopsol3 ай бұрын
예전엔 차마다 전국지도 하나씩 있었는데 말이죠..
@dsafsdsdwdfАй бұрын
컬러사진 (1861) 대동여지도 (1863)
@김상태-y2p3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뜨거운한방3 ай бұрын
제가 어릴때 알았던 발로 걸어다니던 대동여지도가 일제가 만든 이야기였다는게 놀랐습니다 바로잡아주셔서 감사합니다!~
@별나무-c8e2 ай бұрын
이 이야기가 전혀 허황된 이야기는 아닙니다 진짜 이런 사람이 있었으니깐요 에도시대 이노 다다타카 천문 지리 학자가 정말 일본 전체를 걸어다니며 실측해서 지도를 만들었습니다. 김정호 이야기 모태죠.
@김현-z1c7h3 ай бұрын
늘 응원합니다.!❤
@myoungkim16803 ай бұрын
저도 어릴때 어떻게 전국 길을 다니며 지도를 그릴까 참 궁금했었는데, 최근 조선시대 지도룰 보면서 정말 많아서 놀랐습니다. 거의 양반들 취미처럼 유행하기도 하고.
@201kdr2 ай бұрын
영상 고맙습니다😊
@바바라쭈3 ай бұрын
보고 자야지~~~ 언제쯤 본방을 들을까요~~~ 히잉…
@매니아썬3 ай бұрын
👍👍👍👍
@이명희-u4f3 ай бұрын
오늘 실시간 출첵합니다^^
@Zayden.O3 ай бұрын
지도는 인간의 시각의 범위를 2D에서 3D로 확대한 중요한 발명품. 네발 달린 동물의 시각에서 버드뷰로의 시각의 확대, 시각의 확대가 사고의 확대, 세계관의 확대를 가져온 인류사 변곡점의 근간에 있는 중요한 발견이지. 지형 중심이 아닌, 길 중심의 내비에 의존하는 최근의 세대가 3D의 지형보다 2D의 길로 밖에 지도를 읽을 줄 모른다는 건 상대적인 시각과 사고의 퇴화를 가져오는 건 아닐지..
@청룡의검3 ай бұрын
잘봤습니다 감기조심하세요 ^^
@Im-us6xg2 ай бұрын
박광일님 🎉😂
@유느10173 ай бұрын
아하!
@SeoulDragons3 ай бұрын
런던 지하철 댓글 있나 보러 왔습니다. 역시 있군요
@김영주-c6m3 ай бұрын
수업할때 학생들에게 얘기해주던 걸 확인해주셔서 땡큐입니다^^ 옛날 제가 읽었던 책에는 딸 이름이 순녀~ 시집갔다가 남편을 잃고 돌아온 딸이랑 만들었다고~ㅋ 혹시 일종의 비밀프로젝트가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도 해봤죠.
@조영성-b2y3 ай бұрын
일본은 미국에게 개향되기 이전에.. 네덜란드에서 유입된 서적들이 근간이기는 했지만 삼각측량을 이용해서 등고선까지 있는 지도가 있었다는게 불편한 사실이죠.. 외부와 없이 독학에 가까운 대동여지도도 대단한 업적이나 인정할꺼는 인정해야겠죠.. 일본이 대동여지도 보고 놀란거는 얼마나 얕잡아 봤다는 뜻일까요
@류엔터테이너3 ай бұрын
그러쳐 생님~ 그러쳐~!
@matttart3 ай бұрын
박선생 사랑하지 않을수없다
@MJ-zl3ph2 ай бұрын
매불쇼 출연 추카🎉🎉🎉
@Lia33493 ай бұрын
안 듣고 댓글 쓰는 애들이 왜 이리 많냐?;;; 대동여지도가 최초라는 썰을 반박하는 내용의 영상에, '19세기에 첫지도라니 웅엥웅'이라니 ;;;;
@쏭씅-e3c2 ай бұрын
대동여지도 완성하고 2년 후에 영국 런던에 지하철 개통됨 ㅋㅋㅋ 그냥 기차는 당연히 훨씬 전이고
@wesxkor3 ай бұрын
예전에는 네비없어도 알아서 다 찾아갔어. 도로표지보고 물어도보고 하면서.....
@김영주-c6m3 ай бұрын
참 당황스러울 때가 택시 타고 어디 가자고했더니 '그게 어디에요 '할때...*_*
@yoitang3 ай бұрын
대동여지도에 대마도가 있는 것도 없는 것도 있던데…혹시 차이를 알수 있을까요?
@faceoff27623 ай бұрын
저 또한 일제의 거짓 역사 교육의 희생양이었군요... 이래서 제대로 된 역사 교육이 필요하군요.
@팩트풀니스3 ай бұрын
일제에 의해 왜곡된 역사를 하나씩 소개해도 재미있고 의미도 있을 것 같네요. 예를들어 고려장이나 조선시대에 한글을 반대했다는 얘기들..같은거
@Lia33493 ай бұрын
제에발ㅠ 특히 고려장요ㅠ 저도 대학때까지 몰랐고 국민대다수가 이걸 아직 믿고 있어요ㅠ
@jhljhl3 ай бұрын
알량한 세계사 지식 갖고 김정호 대동여지도 폄훼하는 댓글들이 가끔 보이는데.. 국뽕에 빠질 필요도 없지만, 고대부터 지도가 발달한 그리스,중동 지역과 대항해시대와 과학혁명을 거치면서 급속도로 발전한 서양 기술 문명의 지도들과 비교하면서 폄훼할 필요도 없다. 당시 조선 지도 제작술은 그 외 다른 나라들에 비하면 매우 발전한 수준이었고, 독창적인 기술과 미학적인 측면도 있었고, 김정호 대동여지도도 그 연장선상에서 나온 지도로 매우 귀중한 자료가 맞다. 정조는 '도圖는 형形이요, 서書는 언言이다. 형形이 있고 나서 언言이 있다.'라고 하여 왕실도 지도를 매우 중히 여겼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홍석주(1774∼1842)는 '우리나라의 지지(地志)는 중국에 비하여 매우 소략하지만, 지도(地圖)의 자세함은 중국을 능가한다'라 했다고 한다. 만약 동국지도나 대동여지도가 우리나라에 없었더라면 어떠했을까 생각해보면 그 소중한 가치를 알 수 있다.
@passfade44583 ай бұрын
정보 : 대동여지도 발간 1년 뒤에는 대서양을 횡단하는 해저케이블이 설치되었다.
@gracekwak66663 ай бұрын
07:58 700th 좋아요를 눌렀어요. 미 대선 결과
@김영주-c6m3 ай бұрын
사회과부도 덕후임당
@aigomollamma233 ай бұрын
대동여지도의 기법을 보고 캬, 하고 감탄하는 것에 미안하지만, 저 지도는 19세기에 나온 지도임. 저 시기에 저 정도의 기법은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수백년 전에 있던 기법이고, 서양과 비교하면 부끄러운 수준임. 우리나라에 있어서 최고의 지도인게 맞음. 국사학자들은 우리나라 역사만 보고 감탄한다는 점. 올해 처음으로 국산 밥통 만들었다고 해도 100년 뒤에 감탄할 사람들임.
@David-by4jf3 ай бұрын
저당시 영국에선 지하철이 들어서고 일본은 메이지유신으로 되기 직전이다
@호이슨3 ай бұрын
어찌 걸어다니면서 지도를 만들까 대단하다
@ariul71053 ай бұрын
냉정하게 얘기해서 GPS, 네비게이션 이런거 지금 현재 다 미국때문에 하고 있는건데.. 막말로 미국이랑 등을 돌린다거나, 미국의 위성에 문제 등등 문제가 생기면 우리나라 사람들 거의 대부분 까막눈(?) 될듯... 적어도 지도정도는.. 등고선이 뭔지 축적이뭔지 기본적인건 볼줄 알아야 된다고 생각하는 초등학교때 아빠덕에 지도 좀 봤던.. 사회과부도라는 지도책 보던 40대입니다 ㅋㅋ 늘 잘보고 있습니다 우리 썬형 광일이형 재식이형 ㅎㅎㅎ
@gracekwak66663 ай бұрын
"책 속에 길이 지도로 소통된다" 일제의 조선어독본:역사왜곡을 그렇게나 심하게 했다니 놀랍지도 않아야 하는데 그걸 그대로 베껴서 7080년대에 가르치고 있었던 것이 끔찍한 식민지 잔재
@삶은달걀-l6j2 ай бұрын
근데 저당시 영국은 지하철 뚫림
@lovelove06132 ай бұрын
관청에 소녹된 역사는 다 일제가 불살랐겠지오
@이승우-g5u25 күн бұрын
김정호? 조선후기에 중인! 한자를 접할 수 있는 신분이었을까? 아무리 뛰어난 사람이라도 산에 한번 올라보고 길을 그려낼 수 있을까? 3300여봉우리를 하루에 하나씩 올라도 10년이 필요하다?
@헤이즐넛-q9d3 ай бұрын
헉.. 그동안 너무 무지했네요 ㅠ.ㅠ
@jungmunkim60113 ай бұрын
영화에서는 김정호 딸이 순심이가 아니라 순실이로 나오죠
@ShiroKitsune983 ай бұрын
대동여지도가 잘만든 지도다 라는걸 부정하는건 아니지만 너무 국뽕이고 우리유산 우쭈쭈 해주는 기분... 비슷한시기에 영국에서는 런던지하철이 개통되었으며 위성지도가 나오기전기준 가장 완벽에 가까운 세계지도도 만들었는데..... 아무리 우리의 문화유산이라지만 너무 과대평가하는거 같네요
@아리타자기3 ай бұрын
대동여지도 만들때 영국은 지하철 ㅋㅋㅋㅋㅋㅋㅋ
@꼴통_윤3 ай бұрын
김정호 활동 당시, 섬나라 지도 제작술 수준은 어땟을까? 측량술이 저질이라 독도는 자기네 땅이라고 우기는건 아닐지
@별나무-c8e2 ай бұрын
우리보다 앞서 있었습니다.1800년 초반 일본은 실측전도를 완성합니다. 발로 전국을 걸어다니며 지도를 만들었다는 김정호 이야기 실제 주인공인 이노 다다타카 지리 천문학자가 말입니다. 정확한 측량을 위해 일정한 보복으로 걷는 연습까지 하며 수십 년 일본 전역을 돌아다니며 실측을 해서 지도를 만들었습니다. 실제로는 제작 과정에서 죽어 제자들이 사후 3년 뒤 완성했지만요.
@AFTFH-993 ай бұрын
ㅋㅋㅋ 동시대 영국까지 안가도 중국,일본에서 대동여지도보다 더 근대적인 지도 수천장은 찍어냈을건데 지도 하나 가지고 물고빨고 ㅋ 그냥 웃기다
@iskim2293 ай бұрын
세계사의 흐름에서 조선의 후진성을 바로 보세요. 그렇게 찬미하는 조선이 왜 일본의 식민지가 되어야 했는 지 바로 보고, 제대로 알아야 합니다.
@부영-c6q2 ай бұрын
위대한 정신 ^ 유물중에 지도 제작물 과학과 수학 지리 학문에 총집결 돈 쉬대한 유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