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다니다가 치킨집사장이 되는 악몽같은 인생 시나리오

  Рет қаралды 282,908

더(The) 부자아빠

더(The) 부자아빠

2 ай бұрын

월급노예에서 탈출하는 것은 직장을 그만두는 것이 아닙니다. "돈의 함정" 즉 월급 또는 물질적 소유를 향한 경쟁을 피하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의 시간은 알람 소리에 잠에서 깨어나고, 출근하기에는 너무 먼 거리를 통근하고, 9시간 동안 상사의 지시를 받고, 주말에 Netflix를 보며 월요일이 오지 않기를 바랍니다.
슬프게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매달 주택담보대출, 자동차할부, 세금등을 지불하고 궁극적으로 그들이 일하는 회사의 사장을 현재보다 더 부자로 만들기 위해 일하는 끊임없는 주기에 갇혀 20대부터 50대까지 30년간 이 평범한 삶의 방식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우울하죠? 다행스럽게도 이 경쟁에서 벗어날 방법은 있습니다.
이 채널에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빠져서 헤어나오지 못하는 "돈의 함정"이 대체 무엇인지, "자산"과 "부채"의 차이점 등, 학교에서 가르쳐주지 않는 금융지식에 대해 알려줍니다.
******************************************************
이 채널의 모든 동영상은 교육 및 지식전달의 목적으로 사용되며 저작권 침해를 의도하지 않습니다. 이 동영상에 사용된 자료의 저작권 소유자이거나 이를 대표하고 해당 자료의 사용에 문제가 있는 경우 저희 채널의 "정보" 페이지에 있는 이메일을 통해 연락해주세요. 감사합니다.

Пікірлер: 746
@ymj2934
@ymj2934 Ай бұрын
이거 진짜 팩트다. 명심해라. 1금융권 본부장 출신이 은퇴하고 사업하다가 말아먹고 거지가 된 경우를 본적이 있다.
@maverickwan
@maverickwan 2 ай бұрын
정말 와 닿는 영상이네요~ 바로 구독 ㅎ
@user-vk8dy1uh2t
@user-vk8dy1uh2t 2 ай бұрын
와~~ 시원합니다~~ 머리속에 있던걸 깨끗히 정리한기분이네요~~! 감사합니다~~!
@user-io7kn1sx7l
@user-io7kn1sx7l 2 ай бұрын
집중이 잘되는 영상입니다. 많이 만들어주세요
@user-wt3ye1cs6d
@user-wt3ye1cs6d 2 ай бұрын
영상 잘 만드시네요
@plake385
@plake385 2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잘봤어요
@bjjofjin3601
@bjjofjin3601 Ай бұрын
크..구독하고 갑니다
@nanalee521
@nanalee521 2 ай бұрын
매주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TV-bo1tt
@TV-bo1tt Ай бұрын
뼈를 때리네요~
@sunghanmyung578
@sunghanmyung578 2 ай бұрын
이렇게 얘기해줘도 자기 스탈이 맞아야 되는것 같습니다.성격따라 간다는거죠... 참..중요해 보여요..인성 성격..근데 이게 타고난 기질이 많이 작용하니..
@user-dr8xk6jy5x
@user-dr8xk6jy5x 2 ай бұрын
돈,경제 공부에 매진 중인 십여년차 자영업자인데.. 참 좋은 영상입니다. 구독 누르고 갑니다.
@dpdtp1
@dpdtp1 Күн бұрын
대단하십니다.
@zinod7988
@zinod7988 Ай бұрын
제목이 자극적인데 팩트는 그 대기업도 대부분 못가죠. 별개로 내용 정리가 깔끔해서 좋네요
@user-tj7kn4ux3x
@user-tj7kn4ux3x 2 ай бұрын
직장을 다니면서 매달 꼬박꼬박 들어오는 월급(현금흐름)으로 무언가를 하지 않으면 결국...
@user-jr3tm4ym1s
@user-jr3tm4ym1s 2 ай бұрын
뭐를해야할가요 솔직히 엄두가 안나네요 나름 대기업 다니고 있는데 주식이나 뭐부동산 이런데 잘못손대서 나락갔다는놈들을 너무 봐서 그냥 돈만 모으고 있네요
@jeffez6605
@jeffez6605 2 ай бұрын
@@user-jr3tm4ym1s 주식은 국내주식하지 마시고, S&P500 ETF하세요. 부동산도 지방이나 신도시 상가같은거 하지마시고 서울이나 수도권 아파트 보시고, 비트코인도 조금씩 사모으세요.
@SUKim0693
@SUKim0693 2 ай бұрын
@@user-jr3tm4ym1s 부동산, 주식, 현금 다 들고 있으면 됩니다. 현실적으로는 부동산 비중이 훨씬 커지지요.
@tar-bk1bp
@tar-bk1bp 2 ай бұрын
​@@user-jr3tm4ym1s걍 미국 배당주 사십쇼 매수 전에 약 세달간 도서관가서 피터린치 . 워렌버핏 . 코스톨라니 . 등 유명 대가의 책을 읽고 뭐가 좋은지 본인이 판단 하십쇼
@user-iv6fd5ov7c
@user-iv6fd5ov7c 2 ай бұрын
@@user-jr3tm4ym1s그냥 모으는게 나락가는거에요… 소액부터 해보세여 미국 주식
@sunset90s
@sunset90s 2 ай бұрын
아는내용같지만 신선하게 다녀오네요 추천합니다
@the._.clear7
@the._.clear7 2 ай бұрын
최근에 문뜩 궁금했던 내용 다루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zzl-dh6vn
@zzl-dh6vn 10 күн бұрын
한국이란 나라는 열심히 해서 돈 더 잘번다??상식에 맞지않는 나라임
@SCHDLOVER
@SCHDLOVER 2 ай бұрын
님 덕분에 금요일이 기다려집니다. 감사해요!
@holakim87
@holakim87 Ай бұрын
와...... 엄청난 통찰력 이십니다... 평소에 주변사람들을 통해 조각조각 느끼고 있던 부분을 잘 정리해주셨네요. 컨텐츠 감사합니다.
@Gripis1004
@Gripis1004 16 күн бұрын
잘 정리돤 설명입니다
@user-qf6hp1cb5s
@user-qf6hp1cb5s 2 ай бұрын
지당하신 말씀입니다. ㅎㅎ
@user-vz5lq1hr3g
@user-vz5lq1hr3g Ай бұрын
금융지식을 쌓아라 = 어디든 투자하라는거임 공부하고 투자하면 성공할 확률이 올라가는거임 근데 그게 막 엄청나지는 않음 그럼 대학교수들 대다수가 엄청난 자산가겠지 평범하게 사는게 불행하다는 전 국민 가스라이팅이 문제라고 봄 한 부부가 일생동안 쌓아올린 재력이 어느정도면 될까 고민해보셈 투자하지않고 자식한두명 키우고 집한채있고 차한대에 적당한 현금있는게 불가능한지
@user-zk8ee1ti7t
@user-zk8ee1ti7t 2 ай бұрын
제가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생각했던 내용들...그림까지 그려주시며 설명 너무 잘들었습니다. 단 하나의 오점이 없습니다. b 교육자료 쓰셔도될듯
@user-gg7dz4tz1b
@user-gg7dz4tz1b Ай бұрын
"이 쪽"에 속한 1인 잘 보고 갑니다~~
@bullsnam2239
@bullsnam2239 2 ай бұрын
날카로운 분석입니다 👍
@user-pq3yj5vn1o
@user-pq3yj5vn1o 20 күн бұрын
보라색 왼쪽 딱 저네요.소름 돋았어요. 10대때 엄청 놀고, 수능 치기 전날까지 축구하면서 놀았어요. 학교는 애매한 4년제 들어가고나서도 정신 못차리고 학고 2번 먹었습니다. 전역하고 나서 새로 시작하고 싶어서(도피성) 중국으로 유학갔어요. 그때 정신차리고 한국인들과 어울리지 않고, 외국인, 중국인들과 어울리며 공부 열심히했어요. 졸업하고 최소 중견기업 들어가겠지하며 자신감 있는 상태로 귀국했는데, 5년동안 한국어를 거의 쓰지 않아 어눌해져서 면접에서 다 떨어지고, 일이라도 하자는 생각으로 자존심 버리고 계약직 들어갔습니다. 1년 안에 모든 걸 흡수하자는 생각으로 자주 야근하였습니다.일을 하면서 느낀게 월급이 너무 낮아 내 자신에 대해 화가 나고 우울했습니다. 영어, 중국어가 가능하지만 월급 200을 받는 현실에 의해 자존감이 바닥이었습니다. 유학 당시, 언어 공부, 성적만 높으면 좋은 기업에 갈거라는 착각과 언어를 제외한 다른 무언가를 준비하지 않았고, 자만했던 과거의 나를 벌을 내리는 시기라고 생각했습니다. 이제 더 이상 배울게 없었고, 중견기업들 서류 넣으니 면접이 잘 잡히더라구요. 하지만, 프로젝트를 따내더라도 제일 행복한건 제가 아닌 사장이라고 생각했어요. 다른 기업을 가더라도 이 감정은 똑같이 느낄거고, 문과인 나는 40대때 분명히 잘릴 것이다.라는 생각이 있었습니다. 회사에 이용당하지 말고, 내가 회사를 이용하여 성장하자 라는 생각을 매번 다짐하였습니다. 이러한 사상을 갖게 된 것은 외국인 친구들이 모두 사업가들의 자식이었습니다. 친구들에게 많은 영향을 받았습니다. 이로 인해, 28살에 사업 시작하여 현재 6년째 하고 있습니다. 직원들도 20명 있고, 제 나이대 사업가들의 비해 매출이 높은 편이구요. 외국인 친구들, 외국친 친구들의 아버지께서 많은 도움을 주셨습니다. 저는 운이 정말 좋고, 인복이 좋다는걸 느낍니다. 여튼 분명히 저처럼 많이 놀았고 자존감 바닥을 느끼는 분이 계실겁니다. 아마 나는 무능력하다, 쓸모없다, 당당했던 나의 시절이 그립다 라는 분들이 많을거예요. 다른 사람들의 말로 인해 회오리에 휘말리지 마시고, 회오리의 중심에 서세요. 사람들마다 출발선이 다릅니다. 대신 10대, 20대 초반에 많이 놀았기 때문에, 그때의 놀았던시간을 보충하기 위해 남들보다 2배, 3배이상으로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mansickim7358
@mansickim7358 7 күн бұрын
도피성 유학이란 말을 처음 듣는데 돈이 얼마나 많아야 유학을 도망으로 가지...
@user-pq3yj5vn1o
@user-pq3yj5vn1o 5 күн бұрын
​@@mansickim7358 중국 대학은 한국 사립대 문과보다 등록금 많이 싸요. 생활비는 당연히 한국보다 낮습니다. 그리고 전기오토바이 40만원 정도하는데 기숙사에 전기 무료 충전이 설치되어 있어서, 전기오토바이 사면 교통비도 안 나갑니다. 제가 가던 동에서 운영하는 헬스장은 1일 입장료가 350원이지만 시설은 많이 허접하여도 저렴해서 자주 이용했어요. 학교 식당 밥 한 끼는 3000~4000원 정도면 배불리 먹을 수 있어요. 지금은 모르겠지만, 저 당시에는 대학교 혹은 상해시에서 진행하는 유학생 프로젝트들도 있어서, 저는 1년 동안 어학연수 (방학 제외) 매달 45만원 지원 받았습니다.. 편입하고, 성적 좋아서 장학금도 받았어요. 즉, 중국 대학 생활비는 한국 대학 생활비보다 더 저렴하답니다.
@user-ds4qs8mr4q
@user-ds4qs8mr4q 5 күн бұрын
그러게.. 좋겠다 도피성 유학 ㅎㅎ 나는 석사하고 싶어도 돈이 없어서 조기졸업하고 중국가서 일했는데..
@user-pq3yj5vn1o
@user-pq3yj5vn1o 5 күн бұрын
@@user-ds4qs8mr4q 그러셨군요. 저 때는 중국에서 일하신 분들 능력 모두 좋으셨는데 님도 능력 좋으신 분이시군요. 알시다시피 중국 대학비는 한국대학비보다 훨씬 저렴하죠.. 어학연수도 상해시 장학생으로 생활비 지원받았구, 어학연수비는 무료였습니다. 중국대학으로 편입 후, 학교다닐때도 장학금 받아서 집에 최대한 부담을 줄일려구 노력했습니다. 여튼 제가 쓴글때문에 심란하셨으면 죄송합니다.
@mdlee603
@mdlee603 Ай бұрын
생각보다 퀄리티 넘 좋았어요
@dolgum826
@dolgum826 Ай бұрын
콸러티
@user-bu9es1gk2m
@user-bu9es1gk2m Ай бұрын
일리는 있는 데.. 사십먹고 보니 "젊어서 놀자" 하던 시절도 있고, 2019년 코로나 발발 전 - 등장한 수저론으로 인해... 변수가 좀 많이 늘지 않았나 싶네요.
@user-yz6yq4vk8m
@user-yz6yq4vk8m Ай бұрын
금융으로 노후 경제력 키울 재주 있는 사람 아니면, 한 살이라도 제 2의 재능이나 기술과 특기를 미리 지녀야 은퇴 앞 둘 때 그나마 덜 막연할 것이다. 현업이나 제2의 본업이나 힘든 건 마찬가지일테지. 남들과 비교 속에만 있지 말고 오직 나 살 길을 위해 나의 현재와 내면과 비교해서 자신이 가야할 길은 어딘지 찾아 보고, 그 앞 날의 시대에 먹고 살 수 있는 것인지 따져보기도 해야 됨. 너무 금융으로만 대비 하다간 금융 리스크라는 변수가 생길 때 직격탄을 맞을 수도 있고.
@user-qp7nm7on7c
@user-qp7nm7on7c 27 күн бұрын
현실에 안주하는 순간 바닥치는 미래를 볼수도있다는 것인가요.저는 그렇게 느껴집니다. 최근 많이드는생각인거같긴하군요.
@user-pz6be1ry2c
@user-pz6be1ry2c Ай бұрын
결론은 안주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는것 같네요. 정년 이후의 삶도 있으니 자생력을 작게라도 키워나가야겠습니다.
@Chalk1942
@Chalk1942 Ай бұрын
이런 게 바로 갈리치기다
@user-vh3vj6ll8o
@user-vh3vj6ll8o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FCFL041
@FCFL041 Ай бұрын
뭐 결국 월급만으로 생활하지말고 자산 만들고 계속 부를 키우기 위해 노력하란 말인데 확실히 이젠 80~90살까지도 사는데 그런걸로 노후대비는 해놓는게 맞긴하지 갈수록 빠듯한 세상일텐데 자식들에게 의지할 수도 없고 오히려 내가 늙어죽을때까지 계속 자식들에게 해줘야 하는 상황일지도 모르니
@user-vl1il9lr8b
@user-vl1il9lr8b Ай бұрын
분석진짜 최고네요
@user-kc4fk5cj8c
@user-kc4fk5cj8c Ай бұрын
얄팍한 일반화가 많긴하지만 자극은 되네요
@user-ez6wc9bw8q
@user-ez6wc9bw8q 7 күн бұрын
매우 부정확 ㅋㅋㅋ
@user-vu2eg5so4j
@user-vu2eg5so4j Ай бұрын
40대 자영업 4년차입니다. 회사 답없어서 나왔습니다. 회사는 감옥인데 . 사회는 지옥입니다 감옥보다. 10배 수입이 좋은데. 100배 더 힘듭니다. 이미건너와서 다신 돌아갈 수 없습니다. 어떤게 나은 삶인지는 모르겠습니다. 동시간대 두가지 삶을 살 수 없으니 . 정확한 비교는 결코 못 할것입니다. 그냥. 돈 더 번다는 사실에 의미를 둘 뿐입니다. 10년만 지금처럼 벌 수 있다면. 금융자산만으로도 계속 자산이 쌓일 것 같습니다. 하지만 사업이 언제 무너질지 모른다는 불안감은 극심한스트레스입니다. 살얼음판입니다. 살아남기 위해 오늘도 노심초사 하루를 살아갑니다.
@user-sd3oj8fv7x
@user-sd3oj8fv7x Ай бұрын
너무 와닿는 글이네요ㅠ
@user-hb2en5vw4e
@user-hb2en5vw4e Ай бұрын
노심초사가 진짜 맞는말
@ddd3618
@ddd3618 Ай бұрын
10배더벌어? 3년하면 은퇴네
@user-pb1if7py4b
@user-pb1if7py4b Ай бұрын
후회하시나요?
@Sohn-ek7wh
@Sohn-ek7wh 23 күн бұрын
화이팅❤
@ssc7597
@ssc7597 Ай бұрын
예전에 20살때 알바하던 고깃집 사장님 명문대출신에 리바이스 청바지 수입하던 회사다니다 관두고 창업했는데 20살인 나랑 내친구가봐도 안쓰러울정도로 장사감이 아예없었음 결국 몇달 못가서 망하더군요 무역하던 회사다녀서인지 고기는 괜찮은거 썼는데 거기까지였음
@user-fy9iz9lc4m
@user-fy9iz9lc4m Ай бұрын
이렇게 세분화가 아니고 대부분은 열심히 일하면 먹고사는건 해결하는데 욕심내서 일찍 궤도 이탈하면 복불복이지만 극소수 성공한다. 선진국에선 일자리,복지 제공되니 욕심부리지 말고 성실히 살면 노후가 편하다. 이 작자는 우리나라가 아직 중진국으로 아는듯, 기술 뭐라도 배워 아무거라도 시작하면 차츰 안계도 넓어지고 갈길이 보인다.뻥에 지레 포기하지 말길을
@user-hj4gq2se7r
@user-hj4gq2se7r 2 ай бұрын
직장인의 말로는 정해져있다
@boongboongkim822
@boongboongkim822 2 ай бұрын
부모도움도 바랄수없고 특별한 재주나 비상한 머리도 없는 흙수저들에게는 너무도 혹독한 한국을 25세 군제대 후 미련없이 떠나서 지금 65세가 됐네요. 그나마 먹고 살만한 사람들이나 한국이 좋으네 미국이 좋으네 하지 나같은 사람은 그야말로 배수의 진같은 이민생활이였습니다. 돌아갈 곳이 없었으니까요. 무엇이든 열심히하는거외에는 방법이없던 이민생활. 하지만 한국과는 다르게 그게 통하는게 미국이라는 선진국이였어요. 빈털털이 외국 청년이 황소같이 우직하게 일만했는데도 풍요로운 은퇴를 준비해주더군요. 자식들도 잘 커줬고요. 하나는 의사 하나는 환경전문공무원으로 잘살고있어요. 아무 비빌 언덕이 없는 청춘들에게는 선진국으로의 이민은 또다른 인생터닝 포인트가 될수있어요. 한국 대부분의 흙수저들은 한평생 혹시나하고 살아봐야 대부분 역시나로 끝날 확률이 크나까요.
@akekskf
@akekskf 2 ай бұрын
노오오오력만 한다면 어디서든 큰 성공을 할 수 있습니다.^^
@boongboongkim822
@boongboongkim822 2 ай бұрын
@@akekskf 물론 한국도 그런사람들을 찾아볼수는 있겠죠. 그 숫자가 적긴해도요. 미국은 대부분이 그렇고요. 그 차이예요.
@akekskf
@akekskf Ай бұрын
@@boongboongkim822 그럴까요? 아직도 한국을 1980년 대로 생각하시나 보네요. 미국의 20~30대 가구 중위 자산은 한국의 20~30대 중위 자산보다 작습니다. 딱 줄 세웠을 때 중간에 위치 하는 가구주의 자산을 비교하면 한국이 많다는 것입니다. PPP(구매력 기준, 실제 생활수준 평가지표) 기준으로 환산하면 차이는 더 벌어집니다. 머지 않아 40~50대도 그렇게 될 겁니다. 미국은 소수가 독점하는 사회라면 인정합니다. 지니계수가 위험 수준인 40%를 넘어가니까요.
@boongboongkim822
@boongboongkim822 Ай бұрын
@@akekskf 그렇게 잘사는 나라라는데 막상 가보면 너무들 힘들게 살고있더군요. 미국은 가능하면 하루라도 빨리 은퇴할려고하는데 한국은 죽을때까지 일해야 살수있는 노인이 태반. 그래서 OECD에서 노인빈곤률이 최고에다 노인자살률 또한 최고. 그게 잘사는거예요? 나도 은퇴자이지만 미국의 관광지가보면 대부분이 노인이예요. 그시간에 한국노인들은 일을 해야한다면서요? 막상 살아보세요. 왜 헬조선이라고 하는지 저절로 알게되요.
@akekskf
@akekskf Ай бұрын
@@boongboongkim822 전 한국에서 자발적 조기 은퇴했습니다. 당시 회사에서 희망퇴직 모집을 했는데 지원자가 너무 많아서 인사에서 고민했을 정도입니다. 한국의 노인 세대에 대한 경제력은 여기가 나름 분석이 잘 된 듯 합니다. 제가 보기에는 요즘 은퇴하시는 386 세대분들의 경제력 나쁘지 않습니다. kzbin.info/www/bejne/b4O2e6qnaNJ5fdE
@jyh8517
@jyh8517 2 ай бұрын
그렇다고 어릴때 쳐놀고 자존감바닥치며 이것저것하라는 얘기가 아닙니다. 현실은 개천에서 용안남
@user-nn4oc4kw1s
@user-nn4oc4kw1s 2 ай бұрын
정답
@user-ug9ux1hq7o
@user-ug9ux1hq7o 2 ай бұрын
개천에서 용이 왜 안남?? 나긴 남 ㅋㅋㅋㅋ ㅈㄴ 드물 뿐이지 ㅋㅋㅋㅋ 애초에 ㅈㄴ 흔하게 용이 나는거면 그런 말이 존재하겠음??
@silvererain
@silvererain Ай бұрын
엌ㅋㅋㅋ
@jb-vu7ec
@jb-vu7ec Ай бұрын
@@user-ug9ux1hq7o지금은 없다 씹새야
@user-ey9zu5tg3m
@user-ey9zu5tg3m Ай бұрын
옛날에는 모르겠는데 요즘세상은 진짜 드물지 개천에서 용나기
@user-be3lu1ys8o
@user-be3lu1ys8o 2 ай бұрын
새롭네요. 그럴듯한 분석 입니다
@yjl4789
@yjl4789 Ай бұрын
변수가 많으네요 ㅎㅎ
@user-xr2vo7xk2e
@user-xr2vo7xk2e Ай бұрын
정확한 견해 입니다
@black_knight_lion
@black_knight_lion 8 күн бұрын
대학을 1년만 다니고 자퇴하고 알바 경험 작은 회사 경험으로 조직과 거리가 먼 사람이란걸 알게 되었는데 사실 20살이 되기 전부터 남들과는 좀 다른 조직생활에 탁월하지 않은 사람인걸 인지 하고 있던지라 사실 대학도 가기 싫었지만 부모님은 결고 인정해주시지 않아서 다니게 되었었지만 작은 사기도 당해보고 자격증도 여러가지 따보고 일해보고 임금도 밀려보고 느낀것이지만 직업과 사람에겐 귀천이 없다 하지만 지식의 수준에는 귀천이 있더라고요 학벌에 관한 지식이 아니고 세상에 관한 지식입니다 꼭 대학->직장이 전부가 아닌 것 처럼 뉴스가 항상 정의가 아닌것처럼 남들이 가리키는 저기 보이는 직업이 전부가 아니고 자기 자신의 눈으로 찾으면 나에게만 보이는 직업이 있기 마련이더라고요
@RANDYORTON-mc4yn
@RANDYORTON-mc4yn 2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노인빈곤율,노인자살율이 높은 이유가 여기있음. 내 육체만이 아니라 자본도 같이 일하게 해야되는데 몸이 더 이상 생산성이 안 나오고 은퇴 후 현금흐름이 딱 끊어지면 그 순간부터 돈에 휘둘리는 삶을 살아야됨. 젊을 때 열심히 안 산게 아닌데 노후대비를 어떻게 해야하는지 누구도 가르쳐주지 않고 그저 은행에 예적금만하면 끝인 줄 알았지 주식같은 금융상품에 투자하는 걸 도박이라고 생각하고 죄악시 하니 노후에 비참할 수 밖에... 워런버핏이 한 말에 누군가 나의 노후를 위해 일해주는 시스템을 만들지 않으면 죽을 때까지 일해야된다고 했는데 노동만이 신성한 거고 자본이 일하는 건 불로소득이고 부정한 거라고 하면 은퇴후에 폐지줍고 다니는 것도 본인 선택이니 감수해야지 뭐.. 그래서 미국도 1980년에 금융문맹은 많고 노후대비는 해야되니 정부에서 401k 라는 퇴직연금 제도 만들어서 직장인들 월급의 10%씩을 매달 강제로 떼서 기업에 투자되도록 하고 60살 까지 못찾게 뒀더니 지금 그 사람들이 미국의 탄탄한 중산층을 형성하고 있음. 반대로 일본은 1980년대 정말 잘 나가던 시절에 기업에 투자 안하고 부동산 투기만 하다가 나락갔지. 현명한 사람이라면 미국처럼 되어야 할지 일본을 따라가야할지 답이 보일텐데 안타깝게도 우리나라에서 주식한다고 하면 대부분 단타로 도박처럼 돈 따는 걸로 알고 있고 실제로 그렇게 해서 망한 사람이 대부분이기에 워런 버핏같은 훌륭한 예시가 없고 제대로 알려주는 사람도 없었음. 앞으로 인구구조를 보면 부양해야할 노인인구는 많아지고 노동인구는 점점 줄어들텐데 가뜩이나 국민연금도 고갈된다고 그러는데 더 이상 국가가 노후엔 어떻게든 해주겠지라는 생각은 버려야된다고 생각함. 그래서 정부에서도 개인연금, 퇴직연금에 세제혜택 주면서 개개인이 알아서 노후대비하라고 장려하고 있는데 아직도 주식=도박이라는 편협한 사고에 빠져서 제대로 알아보지도 않고 그냥 은행 예적금만 하다가 물가상승률도 못 따라가서 망하는거임.
@user-yq6yh2fy4t
@user-yq6yh2fy4t 2 ай бұрын
근데 예적금으로 망한거보다 주식으로 망한 사람이 더 많아요
@user-gz1js8cf5t
@user-gz1js8cf5t 2 ай бұрын
예적금으로는 안망합니다...
@bree1316
@bree1316 2 ай бұрын
굿!!!!!! 감탄!!!
@akekskf
@akekskf 2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노인 빈곤율에 대해서 나름 정리를 잘 하신 유투버가 계시길래 소개시켜 드립니다. 생각보다 우리나라 노친네들도 그렇게 가난하지 않습니다. 저도 연식이 좀 되었는데 회사 친구들 대부분 잘 삽니다. kzbin.info/www/bejne/b4O2e6qnaNJ5fdE 주식을 보는 관점은 100% 동의합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저축만큼 위험한 상품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문제는 재무제표도 읽을 줄 모르면서 탐욕스럽게 불나방처럼 달려들다가 타 죽는다는 것이 함정이죠.
@user-ow5mt7kn9i
@user-ow5mt7kn9i 2 ай бұрын
주식히다망한건 배당보다 차익에집중하니 밍하는겁니다
@user-centered
@user-centered Ай бұрын
운도 무시 못함 가족중 누군가 크게 아프면 큰돈도 나가고 그리고 연차도 많이 내다가 나중에 눈밖에 나서 결국 퇴사까지도 감
@techtonykim
@techtonykim Ай бұрын
작가님이 말씀하신 모든 루트는 매우 공감합니다. 다만 저는 이모든 프레임이 모두 싫었고, 40대초반 영업마케팅 일을 그만두고, 캐나다 컬리지 기술학교를 졸업하고, 캐나다에서 기술자로 커리어 리셋했어요. 이좋은걸 왜 이제시작했을까 하는 생각이에요. 좀더 일찍 시작했으면 이미 30대에 Red seal 자격증으로 연봉 1.5억 받으면서 죽을때까지 먹고살 걱정은 안할텐데요. 여기 살면서 가장좋은건 남들과 비교하는 문화없고, 나이 때문에 취직에 천대받는거 없고, 아이는 행복하게 학교다니며 영어 네이티브 스피커 되었네요. 나름 흑수저 인생에 할수있는 최선의 프레임 탈출기라고 생각하고있어요.
@hwadams65
@hwadams65 Ай бұрын
물가가 살인적 이라는데 어디든 천국은 없슴
@glnglim
@glnglim Ай бұрын
어떤 길을 선택하더라도 정치는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이런 시스템 속에 살고 있는 건 당연한게 아니며 언제든 흔들리고 무너질 수 있습니다.
@jeffpark1099
@jeffpark1099 21 күн бұрын
공부만 잘하면 성공하고 삶이 행복하다 진짜 요즘 시대에 가장 큰 미신임
@user-fg4qf6gm3t
@user-fg4qf6gm3t 20 күн бұрын
첫번째 세번째 탑입이네요 미래가 암울하네요
@tv_4399
@tv_4399 Ай бұрын
비유 미쳤다 진짜~
@user-ni4nq7yi7s
@user-ni4nq7yi7s Ай бұрын
자본주의에서 금융지식은 생존과 직결됩니다. 하지만 가르쳐주는곳은 어느곳도 없더군요 25살에 연봉 삼천으로 시작하여 은행.증권사,부동산을 수없이 드나들며 금은채권주식부동산의 경험을 쌓았고 덕분에 자본주의와 인플레이션을 이해하게 되었으며 15년동안 전세 오천에서 시작 운좋게도 순자산 14억을 달성했습니다 모두들 자본주의에서 살아남길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star63022
@star63022 Ай бұрын
리스펙트합니다.. 👍
@nov01.h36
@nov01.h36 24 күн бұрын
눈물날뻔.. ㅠ
@user-cc8lo8st3r
@user-cc8lo8st3r 8 күн бұрын
살다보니 절대적이라는것도 없는거같고 여러 변수들이 존재하지만 그래도 팩트이긴하내요
@TV-ql9ji
@TV-ql9ji 3 күн бұрын
오~ 어떻게 분석하셨는지 궁금하네요~^^
@user-io8vj2tr4e
@user-io8vj2tr4e Ай бұрын
4년제 나와서 대기업 생산직 근무중입니다 처음엔 공장에서 일하는게 자존감이 상했었는데 40대가 넘어가니 아주 만족하고 지내고 있습니다 60세까지 정년 보장에 65세까진 계약직으로 근무가 가능한데 범죄만 안 저지르면 무조건 정년+계약직 보장이죠 대기업 생산직 특성이 월급이 호봉제라 정년까지 계속 오른다는 거죠 40대 중반이면 대부분 연봉1억은 받습니다 공돌이는 안 할거야 라는 자존심만 내려 놓으면 들어갈 길은 많습니다 도전 해보세요
@user-yi4ch3sw4e
@user-yi4ch3sw4e Ай бұрын
2교대인가요
@user-kn3nq9sl5n
@user-kn3nq9sl5n Ай бұрын
이 영상은 좀 잘못된거같은데 ㅋㅋ 각자 열심히 살아요 그냥
@Dave-oz6zg
@Dave-oz6zg Ай бұрын
교대근무면 술, 담배 완전 끊으시고 비번인 날 운동하세요. 우리 아부지 50대 암 걸리심 교대 뛰다가
@user-yi4ch3sw4e
@user-yi4ch3sw4e Ай бұрын
@@Dave-oz6zg 교대근무하면 몸관리 해야되군요
@cool-zl8ic
@cool-zl8ic Ай бұрын
대기업은 4조3교대. 주야비휴로 운영돼서 견딜만함
@user-eo2ub4xy2k
@user-eo2ub4xy2k 2 ай бұрын
첫번째 케이스 인데 맞네요. 신기하다.
@joshuae7082
@joshuae7082 2 ай бұрын
공무원ㆍ공기업 친구들이 나이먹어가니 여유로워 보이긴 하더군요.
@ruddystylo2615
@ruddystylo2615 Ай бұрын
늘 적게 살았는데 그게 가늘고 길게 쭈우우우우욱 갑니다.
@user-vz2xo6tq1o
@user-vz2xo6tq1o Ай бұрын
솔직히 젊은시절 영혼팔아서 인생말년에 조금 편한거죠 뭐.. 줘도안합니다..
@ksj261
@ksj261 Ай бұрын
@@user-vz2xo6tq1o 그런데 공무원 공기업 친구들은 왜 애를 낳을까요?...
@user-lr4rt2nz2h
@user-lr4rt2nz2h Ай бұрын
공기업은 연봉도 쌘편입니다
@FCFL041
@FCFL041 Ай бұрын
@@ksj261 공겹은 메이저가면 12년차쯤에 1억 근처로 찍으니 잘받는거긴 하고 공뭔은 모르겠다
@Oscar-Hong
@Oscar-Hong Ай бұрын
컥..빨간색 3번째 그룹ㅠㅠ
@FreemanWorld
@FreemanWorld 2 ай бұрын
종신고용과 연공서열이라는 철밥통이 모든 문제의 근원이다. 약자를 보호하기 위해 만든 이 '철밥통'이, 결국엔 가장 약한 사람을 굶게 만든다. 불량품이 반품이 안 된다면, 한 번 구매한 제품을 계속 강제구매해야 한다면, 구매했던 제품을 계속 비싼 값에 계속 강제로 구매해야 한다면, 누구나 구매를 망설일 수 밖에 없을 것이다. 그래서, 어디서 만들었는지, 검증은 된 것인지, 주변의 평가는 어떠한지 계속 살펴볼 수 밖에 없고, 이는 결국 불필요한 사회적 비용이 된다.
@user-uy8ux5ne9b
@user-uy8ux5ne9b Ай бұрын
재산 하나없이 고졸하고 28살 부터 죽을 각오로 7년 장사하니 연봉2억 넘습니다 차랑 집만 좋아지고 삶은 더욱 힘들어집니다 몸이랑 시간을 전부 갉아서 버는거라 놀러 한번 못가고 여행한번 못갑니다 장사는 신용이라 너무 힘듭니다. 역시 공부가 답입니다. 공부가 싫으면 죽을각오로 살아야 먹고삽니다
@naroprincess8070
@naroprincess8070 Ай бұрын
그래도 결국 돈이 얻었고 얻고 있잖아요...
@user-he4vx9rd2b
@user-he4vx9rd2b Ай бұрын
일반 근로자들은 차랑 집을 위해 평생 일 함 ... ㅎㅎ 그 2억 벌려면 대기업이여도 2~3년은 일해야 벌 수 있구...
@user-me9ec3bq3l
@user-me9ec3bq3l 25 күн бұрын
편입햇는대. 난. 그래도. 님이. 부럽다
@user-ij4qe7fv9i
@user-ij4qe7fv9i 23 күн бұрын
성공할 사람은 만두가게 하더라도 성공합니다 열심히 하는것과 잘하는것 그차이를 모르면 평생 몇 백만원 급여만 쫓아다닐거에요 참고로 밑바닥부터 10년 노가다하면서 지금은 44세 설비업체사장으로 월 3천~5천정도 벌고 돈걱정따위 안하고삽니다 20~30대분들 어중간한 직장다니면서 시간낭비하지마시고 내가 나중에 사업을 할수있는 기술을 배우세요 머릿속에 생각만 가득한 사람들은 평생 생각만 하다 늙어갈거에요
@hy8956
@hy8956 16 күн бұрын
​@@user-ij4qe7fv9i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user-yt6dl7uw2j
@user-yt6dl7uw2j 25 күн бұрын
3-1테크인데 제 인생을 보고 영상 만들었나 싶네요 중소로 시작해서 외국계 다니고 있는데 항상 남들에 비해 뒤쳐져있다 생각해서 남들 안하는거 다 도맡아 하고 인정받으며 살아남았습니다 영상대로 40~50대는 더 나은 삶을 살면 좋겠네요
@sswief123
@sswief123 14 күн бұрын
영상하나하나 엄청난 정성이 보여요 정말 좋은정보 잘보고있습니다요
@scm1203
@scm1203 2 ай бұрын
저는 중소기업에서 몇년간 일하다가 계속 이직하는 케이스입니다. 계속 다니고 싶은데, 그게 쉽지 않네요. 덕분에 이직하면서 연봉은 많이 올랐습니다.ㅎㅎ
@hyeon261
@hyeon261 2 ай бұрын
저는 대기업 처음에 들어와서 지금 4년차 Tc 8500 정도 받는데요.. 이제 좀 힘드네요.. 중소기업 계속 이직하고 최종연봉이 얼마신가요? 중소 한번도 안다녀봐서요…
@user-chbang
@user-chbang Ай бұрын
@@hyeon261중소기업 말고 대기업으로 이직하시는게
@jjyoo
@jjyoo 8 күн бұрын
​@@hyeon261답정너 자랑질ㅋㅋㅋㅋㅋ
@reoricsun9907
@reoricsun9907 Ай бұрын
40대에 들어섰습니다....지금 주변을 보니 너무 혼란하고 혼란합니다... 스스로도 ...새로운길을 지금이라도 찾아야할듯한데
@rookieinvester
@rookieinvester 2 ай бұрын
앞으로 ai 무인로봇화로 인해 실직자들 및 취업포기자들 엄청 생길텐데 10년안에 각자 자급자족 시스템 못만들면 생지옥 경험할듯..
@Bupyung_basket
@Bupyung_basket Ай бұрын
생지옥은 아닐것임... 각종 지원금,복지금.... 그리고 가파르게 늘어나는 최저임금 때문에 다같이 배급사회 일원이 된마냥 모두가 비슷한 돈 벌게 되는 구조로 바뀌어갈것임
@user-gd2qo1cr5l
@user-gd2qo1cr5l Ай бұрын
뭔소리임.. 혼란은 있겠으나 인구 절벽이라는데 무슨ㅋㅋ 공장이 자동화라고 생산직 안 뽑나?ㅎ 전화연결이 자동화라고 상담직 안 뽑나? ㅎㅎ 사회가 고도화, 고령화 될수록 대한민국처럼 서비스 기반 업종은 더 필요할 거임. 외롭거든. 단, 단순서비스가 아니라 고차원이 되겠지.. 뒤쳐지면 죽는거고.
@rookieinvester
@rookieinvester Ай бұрын
@@user-gd2qo1cr5l 경제뉴스 안보시나? 요새 ai및 로봇기술이 하루하루 갈수록 좋아져 대체 가능하다 싶으면 인건비 절감 차원으로 세계적으로 기업들 구조조정 가속화 하는거 안보임? 지금이야 인간대체 불가능하다 싶은 일들도 10년뒤엔 모르는거임.. 그러니 최악대비해서 살길 모색하라는거임..
@seungseoklee1623
@seungseoklee1623 2 ай бұрын
형님동생들 다같이 vanguard S&P500으로 가즈아!!
@osib182
@osib182 Ай бұрын
현실적이네요 그런데 3벌째부류에서 가끔 대박나는경우가 많음
@MasterHan78
@MasterHan78 Ай бұрын
성실하게 일하고 아끼고 절약하면 작은 부자는 될 수 있습니다. 남들과 비교하고 주제 넘은 소비를 하기 때문에 망하는거죠.
@user-gv5ew4gu4j
@user-gv5ew4gu4j Ай бұрын
저는 학창시절 공부도 못하고 전교에서 뒤에서 놀던 사람이었습니다. 안해본 알바없이 다해가며 서울에있는 전문대에 들어갔죠 물론 배울건 그닥 없었습니다. 하지만 대학때 알바중 손님이 스카웃해서 작은회사에 들어가서 200받으면서 8년일하고 같은회사 직종으로 사업체 만들었습니다. 물론 그 직종은 누구나 할수있는 레드오션입니다. 하지만 현재 직장인 연봉으로치면 지금 6~7억되네요. 제가 저보다 어린 후배들에게 말해주고 싶은건 한우물만 파라는것입니다. 거기서 멈추지말고 몸담았던 직종으로 사업체를 일궈 보세요 확률이 올라갑니다. 어디든 먹을거 없을거 같아도 내가 먹을 파이는 있습니다.
@jaecheon2000
@jaecheon2000 Ай бұрын
좋은 말씀이시네요 감사합니다^^
@appreciate7340
@appreciate7340 Ай бұрын
성공한 케이스이군요.
@user-po7ov6nu5c
@user-po7ov6nu5c Ай бұрын
운이 좋은경우임
@jaecheon2000
@jaecheon2000 Ай бұрын
@@user-po7ov6nu5c 모든 곳에는 항상 운이 있쬬 근데 운도 만들어나가는거임
@astjq8563
@astjq8563 Ай бұрын
20~30대 자주 이직하는 사람들의 차후 분석이 없네요 가운데 파란색 2번째그룹이요. 자신만의 브랜드, 조그마한회사 운영만 언급하고 영상에서는 그 뒤에 대한 얘기가 없는 그룹이네요
@MrYongminkim
@MrYongminkim Ай бұрын
거긴 지옥이기 때문일듯
@hyunszimmer431
@hyunszimmer431 Ай бұрын
5:07 올해 36살 이 부류인간입니다 제가 살아온 세월에 공감되어 순간 울컥했습니다
@user-di8ui3pd4y
@user-di8ui3pd4y Ай бұрын
에휴~~ 앞날이 캄캄하네요
@user-rl5sl3sr3n
@user-rl5sl3sr3n 4 сағат бұрын
맞아요.. 10대 공부안하고 놀기만하고 20대 그냥 시간 가면서 알바, 제조업 공장 다니면서 지냈습니다. 이제 30이 딱 되었는데 제조경력으로 중견기업이 한계이네요.. 다만 한가지 우물만 파도 좋은대학,스펙 있는분들보단 못버는건 사실인데 년차 쌓이면 본인쓸거 쓸만큼은 벌더라고요.
@seaotter0
@seaotter0 8 күн бұрын
현실이다..
@user-yz9gc2dx1i
@user-yz9gc2dx1i 2 ай бұрын
금수저빼고는 다 아둥바둥 사는거임
@user-ht2gd3lu8d
@user-ht2gd3lu8d Ай бұрын
금수저도 돈 걱정은 덜할 뿐 다 살기 힘듦 태어나는 건 고행의 시작임
@user-wi1ny1qx1o
@user-wi1ny1qx1o Ай бұрын
정답
@user-Griezman
@user-Griezman Ай бұрын
@@user-ht2gd3lu8d 금수저로 사는게 낫죠 흙수저로 사는건 너무 힘듭니다.
@psw_v
@psw_v Ай бұрын
이런마인드로 살아가는게 제일 비겁함
@user-gz1js8cf5t
@user-gz1js8cf5t Ай бұрын
@@user-Griezman 금수저는 편할거같죠? 갸들도 가진거 지킬려고 스트레스 많이 받을걸요 ㅋㅋㅋ
@user-hn2kg1dm9w
@user-hn2kg1dm9w 2 ай бұрын
치킨집 사장님이 어때서요..😢
@user-kc7nn6jj8q
@user-kc7nn6jj8q 24 күн бұрын
직장인보다 몇배 더 자기 몸을 하루종일 갈아야합니다. 쉬는건 사치구요
@user-hn2kg1dm9w
@user-hn2kg1dm9w 23 күн бұрын
@@user-kc7nn6jj8q 힘든건 어느 직종이든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직장도 정신노동이 심해서 자살하는 사람도 있잖아요) 다만, 제목에서 치킨집 사장님이 되는게 인생이 안좋은 방향으로 가는 것처럼 느껴저서,, 내가 자부심 가지고 일하는 치킨집 사장이라면 기분이 안좋을거 같네요.
@user-sv2oh2wy9w
@user-sv2oh2wy9w 16 күн бұрын
오직돈밖에 없는 그부류 지금 느끼고있네요 갚아야할것도 있고 열심히살려고 바둥바둥대는 그런부류 저에겐 딱입미다
@user-mu5fx8gv3l
@user-mu5fx8gv3l Ай бұрын
늙어가지만 지금은 걱정없이 사는 것은 첫째 부모의 은혜이고 두번째는 집사람의 은혜입니다. 그나마 지금도 돈벌이를 하고 있고 우리집은 한달에 천정도 수입이 있습니다. 퇴직을 해도 유지가 될 거 같습니다. 늙어도 돈 나올 구멍이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늙어도 직장을 다녀야 합니다. 일할 곳은 넘처납니다. 용역이라도 뛰세요. 편합니다! 하루 17만원입니다.
@jorde8333
@jorde8333 2 ай бұрын
수십년 스스로 강호에서 살아남아온 사람들의 내공 업무연결망 현장전문성들을 결코 쉽게 보면 안됨. 대기업있다가 퇴직하고 나온자들이 상대할수 있는 내공들이 아님.
@hinori8458
@hinori8458 Ай бұрын
결국은 그 사람들이 업계에서 오랫동안 형성한 인적네트워크가 중요한 핵심인 것 같더군요.. 그거는 대기업, 공무원 퇴직자들이 하루아침에 만들 수 있는 게 아니죠.. 하다못해 자영업이라는 것도 적당한 아이템 골라서 팔기만 하면 되는게 아니라는 게 느껴짐.
@ideakim3323
@ideakim3323 Ай бұрын
S대기업 퇴사자이며 현재 장사 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정확한 분석이라고 봅니다.
@user-tn9sl6ge4u
@user-tn9sl6ge4u Ай бұрын
대부분은 맞습니다만 껄렁껄렁했던 중졸,고졸 동창들중 돈 많이 번 동창들 많습니다... 농사,유통,장사. 월급쟁이들이 상상하기 힘든 돈을 벌더군요
@_INUIT
@_INUIT 16 күн бұрын
이거 ㄹㅇ이에요 마지막 세번째가 자영업 성공하는 경우 엄청많이보임 20대초반부터 일도하고
@peterju7863
@peterju7863 Ай бұрын
각 테크마다 경험이 없으니 자기테크만 떠들어댈 수 밖에
@QWERLKJFD
@QWERLKJFD Ай бұрын
동감합니다.
@justinelee5218
@justinelee5218 25 күн бұрын
분류를 현실적으로 잘하셨네요.. 정말 대기업 다니다보면 40대 중후반에 자의반 타의반으로 나가는 사람이 많고 보통 50넘어서도 버티는 사람은 그나마 팀장이상 직책을 갖고 있던 사람이었거나 아니면 정말 독종?으로 난 목에 칼이 버틸거다?라는 주의..ㅋ 그래도 2,30년만 버티고 나와도 어느 정도 성공한거라 봐야죠..
@ygojkj9583
@ygojkj9583 24 күн бұрын
3-1번을 살고있었네요. 지금 30대 초반인데 가게를 어떨결에 차렸어요. 뭐든 열심히해서 살긴했는데 그냥 할기회가 생겨서 작은가게 2개를 하고있고 애들도 있고 여자다보니 그냥 허덕이며 살고있어요. 대박난다? 글쎄요. 지금껏 살면서 대박보다는 쪽박을 살았고 큰 기대안해요. 경제공부 하다말았는데 주식시장 다시 들락거려야겠네요. 주식도 나름 감이 있다던데 감밖에 없는게 위험하다며 조언들었어요. 공부좀 더 해봐야겠어요. 아직 젊고 주위에 멘토들도 많고 이제 열심히보다는 마음비우고 눈앞의 일만 집중하려는데 잘되면 좋겠네요. 학창시절에는 가족이 찢어지고 중딩부터 혼자살았는데 공부를 너무 늦게 깨우쳐서 그냥 놨어요. 솔직히 공부하든말든 대학 그냥 나오고 공장이나 다니는부류들 많아요. 공장이나 현장에서 기술쌓는 부류도 많고요. 실컷놀고 공장에서 돈 많이벌고 35세쯤 집, 차, 결혼, 출산 다 갖은 분들도 많고요. 그냥 선택지는 다양한데 지금 내가 무엇을 준비하고 선택하느냐가 중요한듯해요. 삶이 얼마나 다양한데 좋은대학 나와도 헛똑똑이들도 많고 대기업 들어가서 스트레스 받고 나와서 알바하는 분들도 많고 나이때문에 창피해서 때놓치고 뒤늦게 창업하다 말아먹고. 밑바닦 여러부류를 만나서요. 그냥 마음비우고 뭐든 대비하며 살아가요.
@user-yw9bu7rx2c
@user-yw9bu7rx2c Ай бұрын
운도 많이 작용할듯. 사업한다고 전부 성공하는 것도 아니고 질병, 사고, 해고 등등.... 사람인생이 어떻게 흘러갈지 모름
@QWERLKJFD
@QWERLKJFD Ай бұрын
동감합니다. 그러나 그 운은 준비된 자들에게만 오는거죠
@TV-dk7ge
@TV-dk7ge Ай бұрын
이러한 부류도 결국 개인의 능력으로 알아가야 하는 거임 이것 자체도 능력주의의 오만함으로 보임 해서 이대로 저 부류에 속하는 사람들은 이제라도 바뀌어야 한다는 거임 ?! 어떤 부류의 사람이라도 차이가 벌어지는게 개인의 능력으로만 행해진다면 결국 자기자신만 탓하게 되는거임 잘 되든 못 되든 개인이 온전히 다 감수 해야하는 이 사회는 초 저출산 시대에는 이젠 한계에 왔음
@rempica
@rempica Ай бұрын
주변을 보면 주식이랑 사업만 안하면 중간 이상은 살더군요.
@user-er7gu4pz6p
@user-er7gu4pz6p Ай бұрын
그러게요 욕심 없이 그냥 월급에서 조금 모으고 자가+자차+개인연금 이러면 성공한거죠ㅎ
@bloodz0r
@bloodz0r Ай бұрын
한국 주식을 왜해 미국 주식을 햐야지
@rempica
@rempica Ай бұрын
@@bloodz0r 미국주식은 해요. 한국주식은 절대 안하지만요
@yunmyeonghun
@yunmyeonghun 23 күн бұрын
사업 잘 못해서 망한 사람 많아요.😢
@jstudio4000
@jstudio4000 2 ай бұрын
저는 30대 초반입니다. 나이대에 비해 조금 더버는 억대 턱걸이 연봉이지만 .. 가정이 불우해서 3으로 시작했고 지금 2-2의 길을 걷고 있군요.. 기술직이고 이직 여러번하며 이계통쪽 사람들을 두루 알고 있어 결과적으로 40대 전에 작은 사업체라도 만드는것이 꿈입니다.
@dainism121
@dainism121 25 күн бұрын
3으로 시작해서 2-2의 길이 무슨 뜻인가요??
@shk1704
@shk1704 Ай бұрын
1-3 이나 2-1 에 비해 3-1 이 다양한 도전과 실패를 거듭해 말년에는 더 잘될 수도 있다는데는 동의하지만 그걸 너무 일반화시켜놨네 ㅋ 애시당초 우리나라는 실패에 관대한 나라가 아니기 때문에 3-1이 금수저가 아닌이상 한두번만 도전에 실패해도 인생 나락감. 설령 성공한다고 해도 1,2 단계 사람들이 무난하게 회사 생활 하는동안 3-1은 진짜 뼈를 깍는 고생과 희생을 치러야 함. 그럼에도 통계적으로 보면 3-1은 1,2 보다 말년에 어려운 삶을 살 가능성이 높음 ㅋ 이는 우리나라 자영업자와 근로소득자 평균 소득 수준을 검색해보면 바로 알 수 있음 ㅋ 근로소득자 월급이 쥐꼬리라고 하지만 자영업자중 70% 이상은 그 인건비마저 못빼는 경우도 많고, 3년 내 폐업률도 70% 쯤 됨 ㅋ 한범 사업 실패할때마다 1,2억은 그냥 손해보는 거임. 그런걸 수차례 반복해서 나중에 인생역전 하는 사람들은 전체 3-1 중에 10% 도 안될거임
@_sopia3961
@_sopia3961 Ай бұрын
그래서 예시에 3-2도 있잖아요 ㅎㅎㅎ 꼭 사업으로 성공한게 아니라 강사나 프리랜서 특수직 등등 고소득은 아니더라도 중위소득 이상을 20년정도 유지할 수 있는 경우도 생애주기 후반에 안정적으로 잘 살죠. 미천하게 태어나도 될 사람은 된다는걸 존중해야지요.
@shk1704
@shk1704 Ай бұрын
@@_sopia3961 충분히 인정하고 존중합니다. 다만 본 영상의 3-2는 일반적으로 학창시절에 성실하지 못하여 자리를 못잡는 케이스가 아니라 범죄나 나쁜쪽으로 빠지는 경우를 모사함이 너무 극단적이고 일반적이지 않다는거죠. 너무 3단계를 모 아니면 도로 나눠놨어요. 본인의 주장을 위해서 그렇게 나누었겠지만 사실상 현실과 괴리가 크다고 봅니다. 3단계 역시 자수성가형 3-1, 무난하게 어려운 삶을 사는 3-2, 범죄나 유흥쪽으로 빠지는 3-3 이렇게 구분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또 미천하게 태어나도 될 사람은 된다고 하셨는데 본 영상의 취지와 차이가 있다고 봅니다. 3단계 사람들은 가정형편이 어렵다기 보다는 학창시절이나 취업과정에서 성실하고 무난한 코스를 밟은 1,2단계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무계획적이고 불성실하게 젊은시절을 보낸 사람들을 말하는거지 가정형편이 어렵거나 출신이 나쁜 사람들을 뜻하는게 아닙니다.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어도 부모백만 믿고 학창시절을 나태하게 보냈다가 3단계로 빠지는 케이스도 얼마든지 있습니다~
@user-zk9qo5nz5g
@user-zk9qo5nz5g Ай бұрын
3단계가 꼭 장사나 사업만 있는건 아님. 엔지니어나 전문가 중엔 3-1 케이스가 아주 많음. 공고 상고 나와서 성공한 케이스가 아직도 많이 있음.
@dolgum826
@dolgum826 Ай бұрын
깍는-->깎는
@user-ek2mw5yr8z
@user-ek2mw5yr8z Ай бұрын
늙어서 죽음의 순간에 인생을 돌이켜 볼때 돈만을 쫓아서 살아온 인생이 얼마나 허망한 것인가 깨달을 날이 올겁니다~~
@MrYongminkim
@MrYongminkim Ай бұрын
아까울듯 개고생해서 모았더니 이젠 다 놔두고 죽어야함.. 아 허망해 ㅋㅋㅋㅋㅋ
@user-vm8yn4hb4w
@user-vm8yn4hb4w Ай бұрын
20년동안 투자도 해야된다고 생각합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예금들고 집만사는 시대는 끝내야된다고 봐요. 가난의 굴레에서 빠져나올수가 없습니다.
@user-rn1vh9uu8j
@user-rn1vh9uu8j 2 ай бұрын
ㅇㅣ 영상은 지금 십대 이십대들이 봐야함
@hwadams65
@hwadams65 Ай бұрын
닭튀김 맛나는데 웬 악몽 ?ㅎㅎㅎㅎㅎ
@user-cb8ks2xl7z
@user-cb8ks2xl7z 2 ай бұрын
보라색 첫번째 테크트리 탔네요 맞아요 20대때 알바만 수십가지 하면서 내가 뭘좋아하고 잘하는지 직접 찾아보면서 찾고나서 미친듯이 노력해서 기술 쌓았음 지금 대기업 임원 급 연봉을 벌고있는 상태고 재정도 비슷 나도모르게 대기업과 비교하는 피해의식이 있기는함
@woongjang8560
@woongjang8560 2 ай бұрын
님이 승리자임.
@user-xk5tr9yr9s
@user-xk5tr9yr9s Ай бұрын
실례지만 무슨 일을 하고 계시나요?
@user-fv8xb6nm6g
@user-fv8xb6nm6g Ай бұрын
공감
@user-fhnjitdxjopknfsz
@user-fhnjitdxjopknfsz 4 күн бұрын
승리자네ㄷㄷ
@user-gi4ru5pk7u
@user-gi4ru5pk7u 26 күн бұрын
내 인생테크트리는 2번 3번이 뒤죽 박죽이네 학교다닐때 공부 안했는데 군대 제대후 중소기업 영업팀에서 나름 인정 받다가 30대 초반에 사업 벌렸다 쫄딱 망해서 노가다 뛰면서 공인중개사 자격증 따고 30대 후반에 내 사무실 차려서 20대때 내가 일했던 업종 전문 부동산으로 40대 중반쯤 되니까 어느정도 자리 잡히는거 같음 내 50대는 또 어떤 일이 벌어질까 두근두근 함
@user-fg4bm2qv9z
@user-fg4bm2qv9z Ай бұрын
결국, 대기업, 중소기업 모두 답이 아니구나..
@user-s1dfzv57ns
@user-s1dfzv57ns Ай бұрын
우리 큰아빠는 지금 자영업으로 1500정도 버는데, 500~600 벌던 형사계장 시절을 훨씬 더 그리워함.. 돈도 중요하지만, 명함이 주는 힘도 무시하지 못한다는 거지..
@PeterLynch7
@PeterLynch7 Ай бұрын
가정환경이 안좋아서 고졸로 중견기업 생산직에서 17년째 일하고 있는데 정말로 20대후반쯤에는 자존감 바닥치고 돈되는일이면 뭐든 해보려는 마음이 들었음 그래서 부동산,주식,환투자,비트코인등등 다 경험해보고 공부하고 있으며 다 수익들을 보고있고 은퇴후의 현금흐름을 30대때부터 고민하고 대비해오고 있음 직업적으로도 뭘 마다할 처지가 아니라 블로그, 유튜브, 스마트스토어, 배달, 물류상하차등등 뭐든 할 용의가 있고 배우고싶음
@Yoyomi9
@Yoyomi9 26 күн бұрын
+ 이제 겸손만 장착하면됩니다
사람을 미워하는 사람이 행복할 수 없는 이유 | 행복의 기원
11:16
지식은 날리지 [Jisik is Knowledge]
Рет қаралды 27 М.
외국인이 코스피 폭탄매도를 하는 이유
10:12
전인구경제연구소
Рет қаралды 153 М.
🇮🇩Let’s go! Bali in Indonesia! 5GX Bali
00:44
ISSEI / いっせい
Рет қаралды 31 МЛН
顔面水槽をカラフルにしたらキモ過ぎたwwwww
00:59
はじめしゃちょー(hajime)
Рет қаралды 31 МЛН
Como ela fez isso? 😲
00:12
Los Wagners
Рет қаралды 24 МЛН
국민 체조로 시작하는 중소인의 하루
18:02
이과장
Рет қаралды 585 М.
30대 후반부터 친구와의 격차가 급격히 벌어지는 과정
6:08
더(The) 부자아빠
Рет қаралды 15 М.
30대 퇴사 후 현실, 퇴사자의 간절한 조언
16:29
북토크
Рет қаралды 113 М.
A/S 들어갑니다. 14.10패치 화제의 빌드 근황
9:32
프로관전러 P.S
Рет қаралды 89 М.
BTS가 되지 못하면 한국을 떠나세요. | 손주은 | 동기부여 | 오디오북 | 미래이야기
7:25
🇮🇩Let’s go! Bali in Indonesia! 5GX Bali
00:44
ISSEI / いっせい
Рет қаралды 31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