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큐3일★하이라이트] 유역 면적 서울시의 4.5배. 춘천의 명소이자 수도권 식수원 | “소양강 블루스, 춘천 소양강 댐 72시간” (KBS 20210829 방송)

  Рет қаралды 371,959

KBS 다큐

KBS 다큐

Күн бұрын

다큐멘터리 3일 (일요일 밤 11시 5분 KBS 2TV)
“소양강 블루스 - 춘천 소양강 댐 72시간”
‘50년 가까이 되는 세월을 고스란히 간직한 소양강 댐’
춘천의 명소 중 한 곳으로 꼽히는 소양강 댐은 시원하게 트인 풍광으로 관광객들의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다.
소양강 댐은 1973년에 완공되어 국내 최대 규모의 저수 능력을 갖춘 사력댐이다. 소양강 댐은 오랜 세월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수도권에 안정적인 전력공급과 용수공급으로 제 역할을 다하고 있다.
50년 가까이 되는 세월 동안 쉴 틈 없이 달려온 이 거대한 댐 속에서는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을까? 소양강 댐을 관리하는 수자원공사 소양강댐지사 사람들을 [다큐멘터리 3일]이 만나보았다.
■ 댐을 지키는 사람들
매년 여름철이 되면 소양강 댐을 관리하는 수자원 공사 직원들의 발걸음은 분주해진다.
태풍과 홍수로부터 댐이 제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 작은 흠이라도 놓쳐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소양강 댐의 유역면적은 2,703㎢로 서울시 면적의 4.5배 정도이다. 30명이 조금 넘는 수자원공사 소양강댐지사 직원들은 넓은 유역면적을 관리하기 위해 쉴 틈 없이 움직인다.
■ 3개월간 퇴근하지 못한 사람들
운영과 송지선(35세) 차장은 아직도 작년의 홍수를 잊을 수 없다고 말한다. 홍수기에는 한번 비가 내리기 시작하면 수위가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불어나는데 작년 홍수기에는 몇 시간 사이에 200mm에서 300mm의 비가 소양강 댐 유역에 쏟아졌다. 불어난 수위를 안정시키는 데 필요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취합, 관리해야 하는 상황이 마무리되기까지는 3개월의 시간이 필요했고, 송차장의 가족들은 3개월간 퇴근을 하지 않은 송차장을 경찰에 실종신고 했다고 한다.
■ 댐과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
소양강 댐과 함께 탄생한 소양호는 인근 어민들에게는 보물과도 같은 존재다.
춘천시와 인제군, 양구군은 댐 생태계 증진과 어민들과의 상생의 의미로 매년 45000마리의 치어를 호수에 방류한다. 호수에 풀어놓은 치어는 2년이면 자라 어민들의 소득 창출에 기여한다. 어민들은 치어 방류 행사를 어려워진 조업 환경을 견디게 해주는 가뭄의 단비와도 같은 행사라고 말한다.
■ 댐을 찾아오는 사람들에게
한국 최대 크기의 면적과 저수량으로 내륙의 바다라고도 불리는 소양호는 찾아오는 관광객들에게 코로나 19로 지친 마음에 위로를 건넨다. 소양호는 매년 수질 평가에서 1등급을 유지하고 있다.
소양강 댐과 희로애락을 함께하는 사람들의 이야기!
#소양강댐 #춘천 #수자원공사
※ [다큐3일] 인기 풀영상 보기
엄마라는 이름으로 - 광주 영아 일시 보호소 72시간 • Video
혹한의 GOP 3일간의기록 • [다큐3일📸] ★살기 위해 눈을 치운다★...
부산 범어사 72시간 • [다큐3일★풀버전] 행복하십니까? 동안거...
나를 이기는 길 이기자 부대 수색대 무박 4일 • [다큐3일★풀버전] 중도 탈락률 30% ...
강원도의 힘 정선 5일장 • [다큐3일★풀버전] 푸근하고 정겨운 대표...
한 잔의 위로 용산 포장마차촌 72시간 • [다큐3일📸] 빌딩 숲속 작은 포장마차가...
다시 심장이 뛴다 - 대학병원 흉부외과 • [다큐3일📸] 집은 당직실, 일상복은 수...
신림동 고시촌 3일 • [다큐3일] 신림동 고시촌 3일 [풀영상]
미혼여성 임대아파트 3일 • [다큐3일📸] "스무 살의 상경기" 서울...

Пікірлер: 258
@한드레드
@한드레드 2 жыл бұрын
직원들 모두 소명의식 가지고 진지하게 업무에 임하시는 모습이 참 예쁘네요. 감사합니다.
@최지훈-p6d6s
@최지훈-p6d6s Жыл бұрын
마스크 쓰고 있아서 이쁜지 안이쁜지 자세히 모르겠어요
@김일계.t6f
@김일계.t6f Жыл бұрын
예쁘기는개뿔이구만 저희나라라고나 그것도 국내사람에게 대한민국을자꾸만 저희나라 학교는 어디초딩인가
@그때그사람-r4p
@그때그사람-r4p 2 жыл бұрын
제 조부모님은 강원도 춘성군 북산면 추전리에 거주하시다가 72년도 여름에 갑자기 물이 들어차서 인근 양구로 떠나셨습니다- 소양땜은 제 가족의 애환이 서려있는 호수입니다- 영상 감사합니다〰️👤💬
@지산정왕근
@지산정왕근 2 жыл бұрын
1953년 8월 내가 저 소양강댐 아래 춘천시 근하동 소양강가에서 태어났다 당연히 그때는 저 댐이 없었지 어머님은 화천분... 그래서 춘천시와 춘성군 근처에 외가 친척이 많이 있었다 그런데 어머님은 경남 남해 출신의 춘천시 주둔군 군인과 맺어져 나를 낳았다 난 남춘천 국민학교 3학년때 남해국민학교로 전학해야 했다 아버지의 잦은 이동으로 학업에 너무 지장이 커서... 남해 중학교 다닐때 소양강 댐이 만들어진다는 뉴스를 봤다 그때는 TV가 거의 없던 시대라 학교에서 단체 영화보면 월남소식에 이어 박정희 대통령 근황... 깜짝 놀랐다 소양강 댐이 완공되었다고... 순식간에 소양강가에서 살던 외갓집 사람들이 걱정되었다 중학교 졸업하고 제대하신 아버지가 살던 서울 석관동에 와서 제일 먼저 엄마한테 물어봤다 외가 식구들은? 걱정마라 다들 잘 살고 계신다 그러나 청평발전소의 간부와 결혼하신 큰이모님이 와서 엄마랑 속닥이는 소리를 다 들었다 외가쪽의 친척들이 다 쫒겨나 산 꼭대기로 이주 했는데 어른들은 거의 다 돌아가셨다고... 지금은 춘천에 8촌 정도의 친척들만 몇명 살고 있다 저 소양강댐 없었으면 수도권 한강의 기적이 생겼을까? 내 나이 칠십 툇골이니 솥바리니 정겨운 동네 모두 저 소양강 댐에 묻혀 있겠지? 한강의 기적속엔 내 외갓집의 정겨움이 사라진 속에서 솟아난 기적 수도권 주민들은 단 한번이라도 저 강원도 감자바위들에게 고마움을 표시해야 한다
@koreanwaterpunch
@koreanwaterpunch 2 жыл бұрын
작가다
@상태-l8d
@상태-l8d 2 жыл бұрын
글 정말 잘쓰시네요 항상 감사한 마음 가지고 살겠습니다
@ritajoo-v5w
@ritajoo-v5w Жыл бұрын
근화동(소양로1가) 감사합니다
@Kim-ig3qq
@Kim-ig3qq 2 жыл бұрын
춥고 배고픈 시대에 어떻게 저 큰 댐을 건설할 생각을 했을까..? 진정 감탄...그리고 감사함..
@1님-d3k
@1님-d3k 2 жыл бұрын
상수원보호구역으로 묶여 개발이 금지된 지역의 춘천시민들의 고통도..
@Kim-ig3qq
@Kim-ig3qq 2 жыл бұрын
@@1님-d3k 그래요..박정희 때문에 고혈압과 당뇨로 고통받는 국민들도 많죠..교통사고로 죽는 분도 많고.. 자연으로 돌아가자..
@rogue2586
@rogue2586 2 жыл бұрын
대일청구권으로 건설된거라 일제시대 강제징용,위안부 희생자 분들의 피와 땀이 서린거죠. 당시 시대를 고려하면 불가피한 선택이긴 하나 그 분들께 적절한 보상이 주어져야 하죠.
@Kim-ig3qq
@Kim-ig3qq 2 жыл бұрын
@@rogue2586 징용공은 1975년 박정희,그리고 2006년 노무현이 보상금 지급.
@bbb22224
@bbb22224 2 жыл бұрын
@@Kim-ig3qq 김일성이나 문재인 때문에 고통받는 국민들이 더 많다는 것도 잊지 말아라
@gracemir2
@gracemir2 3 жыл бұрын
댐은 이렇게 짓는거임. 물 방출할때보면 엄청~~~~ 나게 멋짐. 멋진 장관을 가진 훌륭한 관광지, 댐으로서의 기능과 규모. 한국에서 자랑스러운 명물중 하나 ☝️ 이분들은 환경부 직원들하고 비교햇을때, 일하시는 자세가 다르네. 진정성이 느껴짐 👍👍👍
@sunshinerice1486
@sunshinerice1486 3 жыл бұрын
시간 있으실때 여기오셔서 Hover Dam 도 구경하세요 정말 어마어마해요
@대문집막둥이
@대문집막둥이 3 жыл бұрын
화천댐을 보고 얘기를 하시나요?
@한량김사장
@한량김사장 3 жыл бұрын
춘천삽니다...좋은영상감사합니다
@panchokim86
@panchokim86 Жыл бұрын
소양감댐에 보면은 댐 공사중 순직한 분들의 이름이 새겨진 위령비가 있습니다.
@강성재-d7i
@강성재-d7i 2 жыл бұрын
국내 댐이나 저수지에 관심이 많은 순천시민 입니다 남부지방 올해 비가 넘 적게와서요 주암댐 저수율이 지금 25%라고 합니다 장마나 태풍때 비가 많이내렸을때 많은 물들이 흘러가니 채울수 있는 댐이나 저수지가 충분히 있어서 가뭄대비 했으면 합니다 댐이나 저수지 지날때 마다 만수가 되어 있으면 흐뭇 합니다
@sooh.1540
@sooh.1540 3 жыл бұрын
댐과 강이 많아서 안개가 많이 발생하는 춘천 덕분에 신비롭고 조용한 낭만적인 도시 춘천 가고싶다
@레드불-o1s
@레드불-o1s 2 жыл бұрын
그저 놀라울 뿐입니다. 거대한 댐을 어떻게 건설했는지 신기하네요
@user-rruu25qp8p
@user-rruu25qp8p Жыл бұрын
너무 위험해요 2023년에 짓는 아파트에다가도 콘크리트에 물섞이는데 저땐 오죽 했을까요? ㅠ
@cococopoco
@cococopoco Жыл бұрын
건설기술이 발달해서 저것보다 더 큰 댐도 건설 가능합니다
@극강의신
@극강의신 3 жыл бұрын
6:10 송지선 차장님 우리나라, 저희나라... 정도는 알고 쓰셔야죠
@양늙은여행자
@양늙은여행자 3 жыл бұрын
👍👍👍
@부드러운카리스마-x8b
@부드러운카리스마-x8b 2 жыл бұрын
소양강댐볼때마다 수문수가 너무 부족하지않나 싶어서 저러다 큰일나는거 아닌가 생각했었는데 보조수문이 있었네 앞으론 편하게 봐야겠다
@francho7181
@francho7181 3 жыл бұрын
저희나라가 아니라 꼭 우리나라 라고 말해야 합니다.
@sunshinerice1486
@sunshinerice1486 3 жыл бұрын
They spoke broken Korean and they are koreans what a shame
@davidjacobs8558
@davidjacobs8558 3 жыл бұрын
그게 문제가 아니라 존댓말을 없에야함. 존댓말 반말 잘못했다고 따지고 싸우는게 시간낭비인것임.
@goodbyedpi
@goodbyedpi 2 жыл бұрын
갈때마다 수문이 닫혀있어서 이 댐은 발전을 안하는가보다 했는데 발전은 계속 하는거군요 ...
@jamesLee-px4ux
@jamesLee-px4ux 2 жыл бұрын
댐 아래로 방류하면서 발전
@SharpLince
@SharpLince Жыл бұрын
발전용 구간은 따로 있으니깐요
@Wannabe2023
@Wannabe2023 2 жыл бұрын
박정희 대통령의 결단, 일본의 자본과 기술지원, 정주영 회장의 건설이 함께 이룬 대한민국의 대역사죠. 정말 대단했습니다.
@염라대왕-x2n
@염라대왕-x2n 2 жыл бұрын
🙇‍♂️💕~
@황주석-k6j
@황주석-k6j 2 жыл бұрын
대가리에 뭐가들었는지 쪼개 보고싶다
@younginkim002
@younginkim002 2 жыл бұрын
박정희는 일본 간첩
@LYEH-gf7tj
@LYEH-gf7tj Жыл бұрын
뻥치고 있네. ㅎ ㅎ ㅎㅎ
@thoughtsdistracting9787
@thoughtsdistracting9787 Жыл бұрын
@@LYEH-gf7tjㅇㄱㄹ
@파주퀸-p4j
@파주퀸-p4j 3 жыл бұрын
23:10~ 직원 4명 현장에 나갔는데 여자 1명은 그냥 숨만쉬고 종이에 뭐 적기만 하네. 자기보다 훨씬 나이많은 남자들은 전부 다 땀 흘리고 맨홀열고 들어가고 풀베고 발전기 나르고 하는데 저거 왜 필요하지? 남자 3명이서 하면 오히려 더 빨리 끝나겠는데? 걸리적거리기만 하지 저 현장에서 저 여자가 하는일이 도대체 뭐냐?
@R애플
@R애플 3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남녀 임금격차 주장하기전에, 남녀가 동일노동을 하는지 부터 생각해봐야합니다.
@R애플
@R애플 3 жыл бұрын
@@던붕이 왜 여성혐오죠? 남녀떠나서 4인 야외작업하는데 혼자 가만서있는걸 욕하는게 혐오인가요? `공정`하지 못한 상황아닌가요. 혐오가 아닌 불공정한 상황에 욕을 하는겁니다.
@R애플
@R애플 3 жыл бұрын
@@던붕이 저런상황이 실존하는데 여성들이 동일임금을 주장하고 할당제를 주장하는 사회 상황도 고려하여 충분히 욕먹을만한 상황이라고 보여지는데요. 저 여직원 과 남직원 월급이 궁금하네요. 공정한사회인가요 이게?
@파주퀸-p4j
@파주퀸-p4j 3 жыл бұрын
@@던붕이 저 4명이 하는일이 전혀 다른데 같은 월급을 주장하면 그게 도둑놈 아닌가요? 제가 사장이라면 저 남자 3명이 월급 300만원이라면 저 한명의 여자분은 솔직히 월급 10만원줘도 전 안쓸거 같습니다. 오히려 돈을 토해내서 저에게 주면 쓸까 고려해보겠네요. 저 남자분 3명이서 한팀으로 일하면 오히려 일도 더 빨리 끝나고 능률도 더 좋아보입니다. 애초에 같은 일을 안하는데 동일임금 이런거 주장하지 말란이야기에요. 저 4명이 다 같은차타고 갔다고 저게 동일노동 하는걸로 보입니까?
@주성치-k6p
@주성치-k6p 3 жыл бұрын
@@던붕이 남녀떠나서 작은공간에 효율적으로 여성분이 들어가서 일하는게 빠를것같은데......볼펜들고 끄적끄적 18 역겹다.
@sunshinerice1486
@sunshinerice1486 3 жыл бұрын
우리는 Hover Dam 이 있는데 정말 거대 합니다 소양강댐 도 대단히 커 보이네요
@김창범-n4v
@김창범-n4v 2 жыл бұрын
소양강댐에서배타고신교대로갔었던기억이 참추억이깃든곳이었지
@정인수-q2o
@정인수-q2o 2 жыл бұрын
맞아요 1984년11월14일 입대해서 102보에서 12사단 배치 받고 소양강에서 신교대가는 도중 배 안에서 전투식량 먹었던 기억이 새록새록 나네요.. 감사합니다^^
@박기용-s5w
@박기용-s5w Жыл бұрын
저는 86년 7월달 102보에서2사단으로 배타고갔는데요 선배님이시네요
@슬기로운검도생활
@슬기로운검도생활 3 жыл бұрын
누ㅡ군가보신다면.. 소양댐선착장에서 청평사 까지 왕복7천원의행복을 느껴보시길바랍니다.. 이렇게물이맑은댐은 처음보실지도모릅니다.
@홍순혁-e2r
@홍순혁-e2r Жыл бұрын
아버님 고향인데 춘성군 북산면 내평리 미상번지 얼마날 볼수 있을 가볼수 있을까요!
@이명호-e3x
@이명호-e3x Жыл бұрын
댐의 큰 역활 하나가 홍수예방 입니다. 수위조절 시 물이 강으로 방류 되는데 홍수 때 실패하면 엄청난 피해로 이어 집니다. 수위조절이 쉽지않습니다. 틀릴 확률이 더 많습니다. 강수량은 하늘이 하는일 이라 그래요. 누구의 잘못도 아닙니다. 그런데 수위조절이 필요없는 물관리 시스텡이 개발 되었습니다. 특허제 10-2503196호 입니다. 물난리가 없습니다
@studiobomnae5243
@studiobomnae5243 3 жыл бұрын
다큐인데 초반에 예전 뉴스 자막이 잘못되었습니다. 춘천군이 아니라 춘성군입니다. 춘성군에서 춘천군으로 바뀌고 춘천시와 합쳐진겁니다.
@김용기-z4r
@김용기-z4r 2 жыл бұрын
소양강댐은 댐을 막았는데 왜 녹조가 안생기지? 낙동강은 보만 설치해도 녹조가 생긴다는데...
@새새날
@새새날 2 жыл бұрын
오염수 유입이 없습니다. 공장폐수. 축산. 농업. 가정페수가 거의 없어요. 물을 가둔다고 오염되는게 아닙니다. 폐수유입이 문제.
@jjl1790
@jjl1790 3 жыл бұрын
궁금한게 있는데 다들 핸드폰을 작업현장에서 많이들 쓰시는데 떨어뜨려서 물에 빠진적은 없나요? 온갖 장비에 고 미끌한 폰을 쥐다보면 많이들 떨어뜨릴것 같애요
@류상순-n4i
@류상순-n4i Жыл бұрын
소양강댐 막기전 1965년에도 홍수가 나서 저가 근무하든 부대원도 피난을 나갔죠 이등병 계급장 달고 그부대에 배치된지 한달도 안되서 홍수가 난것이죠 추럭을 타고 위병소를 나가니까 추럭 바퀴가 물에 잠기더라고요 피난 나간곳은 봉의 국민학교였고요 거기서 3일 있다가 부대로 복귀했는데 우리부대는 다행이도 물에 잠기지 않았더라고요 그후 토, 일요일 되면 소양강 유원지에 나가서 물 놀이하고 했는데 제대하든해 1967년 7 ~ 8월에 의암댐이 준공이 되어서 소양강 유원지가 물에잠기고 사라졌읍니다 그때가 60년이 다되어가네요
@백지열-v4o
@백지열-v4o 2 жыл бұрын
1990년 대홍수 때, 소양댐 무너질 뻔한 것을 겪고서, 저 여수로를 만들었죠.
@깔끔정리-h4o
@깔끔정리-h4o 3 жыл бұрын
영상 어디를 샅샅히 살펴봐도 30도 넘는 여름날씨에 방수복 입는 사람, 낫들고 풀 베는 사람, 맨홀뚜껑 여는 사람, 그 안에 들어가는 사람, 장비 옮기는 사람, 모조리 남자직원들뿐 ㄷㄷㄷㄷㄷㄷ
@주성치-k6p
@주성치-k6p 3 жыл бұрын
볼펜들고 옆에서 열심히적으시는분 견학생 맞죠? ㅋㅋㅋㅋㅋㅋㅋㅋ
@user-ri73bdis88h7
@user-ri73bdis88h7 3 жыл бұрын
여성은 꿀빠는 일만 하는게 평등이라구요!!!! 모르면 공부하세요!
@khlee2636
@khlee2636 2 жыл бұрын
드론날리는여자 있네요
@cosmos155
@cosmos155 2 жыл бұрын
내 가족을 위해 가장으로서 피땀흘리는 기쁨을 모르는 젊은이들이 한심 . 아내도 딸도 없는 티가 이리 나는 법이다 . 남자가 잘 하는 일과 여자가 잘 하는 일이 엄연히 다른걸 요즘 청년들은 왜 모르는가 . 유약하여 딸과 같은 취급을 받길 원하는 아들들이 느는 것이 한심함니다 . 섬세함과 꼼꼼함을 요하는 생산라인엔 여자가 더 많은법입니다 .
@sudalchingu
@sudalchingu Жыл бұрын
수도권의 식수원인 소양강 댐이 있어서 물 걱정을 좀 더 덜하면서 살 수 있는 것 같습니다. 또한 소양강 댐을 지으면서 순직한 분들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분들의 이름이 새겨진 위령비가 보다 사람들에게 잘 보이는 곳에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항상 위령비는 사람들의 눈에 보이지 않은 곳들에 숨겨져 있더라고요. 항상 우리나라를 위해 노력해주시는 분들께 감사말씀올립니다.
@jonghyuplee7205
@jonghyuplee7205 2 жыл бұрын
18:40 소양호 물로 잠실 운동장 수영장 1350개를 채울 수 있다고 영상에서 언급하는데, 소양호의 최대 담수량은 29억톤입니다. 그러면 잠실 운동장 수영장에 담긴 물이 214만 8천톤이란 계산이 나옵니다. 영상 4:00에 보면 발전기 얘기하며 발전기 1기당 초당 125톤의 물이 필요하며 발전기가 2기이므로 초당 250톤의 물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그러면서 잠실 수영장 하나를 채우는데 필요한 양이라고 합니다. 다만 이때 기술자가 설명하면서 발전기 1기가 1초동안 필요량 즉 125톤으로 수영장 한개를 채울수 있는지 발전기 2기 필요량 즉 250톤으로 채울 수 있는 양인지 헷갈리게 말해서 정확치는 않으나 250톤이라고 해도 214만 8천톤과는 큰 차이가 납니다. 다큐멘타리에서 언급하는 숫자는 정확해야 합니다.
@준원김-k2d
@준원김-k2d 2 жыл бұрын
처음 말한곳은 수영장이고 지적하신부분은 잠실종합 운동장이라고 하는데요
@준원김-k2d
@준원김-k2d 2 жыл бұрын
잠실종합운동장 1350개는 맞는 정보입니다
@songcs3791
@songcs3791 3 жыл бұрын
73년 담수시작해서 78년 처음으로 방류했을때 물이 떨어지면서 무지개가 피던모습이 장관이였는데
@cnbanff
@cnbanff 3 жыл бұрын
25:52 몸이 커서 그렇다잖습니까 몸이 작은 분이 들어가야 업무가 효율적일 것 같네요 시정해주세요 ^^
@아침해-k3x
@아침해-k3x 3 жыл бұрын
80년대에 향어낚시하러 엄청 다녔지요 향어.잉어교배종F1.빠가사리.끄리.장어.민물새우.빙어를 많이 잡았지요 특히 향어는 하루에도 열댓마리씩 잡았었지요 지금은 하루 한 마리 잡기도 힘들어요
@망치가방
@망치가방 3 жыл бұрын
잡기만하고 치어 풀어준적은 없쥬? 다들 그러니 안잡히쥬.
@Byron_Lenon
@Byron_Lenon 2 жыл бұрын
@@망치가방 ㅋㅋㅋㅋㅋㅋㅋㅋ
@cruze1.8
@cruze1.8 2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좋은 프로그램을 없애버린 KBS 머허러 수신료 받아가냐
@JAN_BEER
@JAN_BEER 2 жыл бұрын
소양강댐 첫 방류할때 구경갔던 기억이~
@hb3675
@hb3675 Жыл бұрын
모든 댐에 확장 공사가 필요하다.
@김도근-s2x
@김도근-s2x 2 жыл бұрын
한 나라의 지도자 정치인들 은 협조해서 가뭄의 대비를 해서 댐갔은 시설을 만들어 농민의 농사를 잘 지을수 있도록 가뭄의 대비를 해야한다
@Agar1t
@Agar1t 2 жыл бұрын
@byeongheelee4220
@byeongheelee4220 2 жыл бұрын
장마나 폭우로 물이 불어나면 배수를 해서 하류인 서울에 물난리가 나는데 동해안쪽으로 터널을 뚫어서 44번 국도를 따라 여수로를 내면 어떨지요?
@fjdjshlfhf
@fjdjshlfhf 2 жыл бұрын
소양감댐이 인제까지 이어져 있고 서울 양양 고속도로 최장 터널 입구까지 수위로 200미터는 더 위에 있어서 투자비 대비 효용성이 떨어지고 관리하는것도 쉽지않고 터널을 뚫는다하더라도 터널 뚫는데 10년을 걸릴것이고 양양쪽으로 뚨는다 하더라도 남대천이 그 수량을 감당할 수 있을지 계산해야하고 아니라면 하천공사를 다시해야됩니다 4대강 공사 31조원이 들어갔는데 그공사 하나만 하더라도 몇조원이 들어가는 큰 공사에다 지금까지 소양강댐 방류한적이 손에 꼽습니다 그래서 좋은 아이디어긴 한데 효용성이 없죠 팔당댐을 방류하는건 춘천댐이나 청평댐이나 충주댐같은 곳의 수위와 방류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거죠
@박기용-s5w
@박기용-s5w 21 күн бұрын
도룡용 개구리 두꺼비등이 죽어서 안되요 어떤 정신빠진 여돌중이 그랬잖아요
@박영춘-p6y
@박영춘-p6y 2 жыл бұрын
1977년도에 비가엄쳥와서 인제 시내밑까지 물이찼었지요
@mondor7702
@mondor7702 2 жыл бұрын
이념에 전도된 환경을 빙자한 단체, 저 당시 있었다면 녹조 운운하며 소양댐 반대하고 난리치고도 남았을 듯...
@lnanols
@lnanols Жыл бұрын
반대만하겠나요? 온갖 모든 수단을 동원해서 필사저지를 하고 좌편향된 KBS MBC 이용해서 온갖 날조선동을 하겠죠
@BC-ei8lt
@BC-ei8lt Жыл бұрын
할배요 60년전입니다 세월이 바뀌면 인식과 지식도 바뀝니다 단군할배가 기름안나는 땅에 터잡은거도 우길려고 그랍니까 못배운건 죄가 아닙니다만 가만히 있으면 사람대접은 받습니다
@hyeongtaekim4323
@hyeongtaekim4323 5 ай бұрын
​@@BC-ei8lt말투보니 더 못 배웠구나.가방끈 길면 모하냐.인성이 바닥인데.니처럼.
@유기농콜라
@유기농콜라 16 күн бұрын
전설의시작
@현규최-o7l
@현규최-o7l 2 жыл бұрын
1년간 생산한 전기가 500만 MW 라는 표현은 잘못된것같네용
@눈꽃-b5y
@눈꽃-b5y 3 жыл бұрын
전국. 댐이. 수자원공사. 관리인가요?
@peterjoseph4187
@peterjoseph4187 2 жыл бұрын
38휴게소에 가서 소양호 보니 장관이더군여ㅎ
@nocentman
@nocentman Жыл бұрын
집중호우에 대비는 잘 되어 있으려나..
@앤에스
@앤에스 3 жыл бұрын
아 저희나라 세요. 시대에 맞는 말이네.
@귀신짤
@귀신짤 Жыл бұрын
소양댐엔 녹조가 없죠
@오리다무섭지
@오리다무섭지 3 жыл бұрын
06:13 저희나라 불편하다 우리나라다
@davidjacobs8558
@davidjacobs8558 3 жыл бұрын
존댓말 반말은 한국에나 있는것. 외국인들 한텐 아무 차이가 없다. 똑같이 번역될뿐. 그러니 쓸데 없는 걱정인것이지. 오히려 존댓말 없에야 진정한 평등과 민주가 가능해진다.
@stratkimstratkim4686
@stratkimstratkim4686 3 жыл бұрын
102보충대 에서 자대갈때....소양강댐 선착장에서 좌석도 없는 무슨 바가지 같은 배에 개같이 끌려서 양구 들어간 ..그 경험이 내 인생 최악의 경험
@고기집스님
@고기집스님 3 жыл бұрын
96년 군번 입니다~21사단 갔지요~바가지 배가 아니라 군용 LST입니다! 저도 그 배 탔습니다 !!도하 상륙작전에 쓰이는 도하중대가 거기 주둔 했지요
@파주퀸-p4j
@파주퀸-p4j 3 жыл бұрын
6:15 송지선이란 여자 35살 먹고 차장이라는 애가 "저희 나라" 이러고 있네...송지선이 너희 나라는 어딘데?
@sunshinerice1486
@sunshinerice1486 3 жыл бұрын
이북
@상급지로가즈아
@상급지로가즈아 2 жыл бұрын
민족의 영도자 박정희 대통령님 감사합니다.
@theSubtheSub
@theSubtheSub 3 жыл бұрын
나이랑 직급이 일반기업과는 좀 다르네요.경력이나 능력에 따른 차이라고 하더라도. 대리:50,36세....차장:53,41,35세....이런식으로 의아함만 자아내는데 차라리 이름하고 부서명만 표기하지 뭐하러 나이 직급까지 표기했는지 제작진에게도 아쉬움이 남네요
@sobubho
@sobubho 2 жыл бұрын
50세 대리는 위탁인가?
@임용수-e1o
@임용수-e1o 3 жыл бұрын
차창님 저희나라가 어디유? 우리나라지
@김상호-b6c
@김상호-b6c 3 жыл бұрын
저 여자한명은 아빠들 일하는데 구경나온 딸내미냐? 아빠뻘되는 아저씨들도 땀흘리며 일하는데 노트끌어안고 머하는거냐?
@주성치-k6p
@주성치-k6p 3 жыл бұрын
견학생 입니다. ㅋㅋㅋㅋㅋ
@나난-n3z
@나난-n3z 2 жыл бұрын
30년전 102보충대 입영통지서 받고 춘천.행 3일 대기후 저기서 배타고 신교대 훈련소 들어갔던적이 ㅋ
@yonglee6048
@yonglee6048 2 жыл бұрын
6:18 저희 나라가 아니라 우리 나라입니다.
@김선미-d3m
@김선미-d3m 2 жыл бұрын
댐과 천에서 사람들이 낚시를 많이 하는데. 그물과 녹조는 무슨 관련이 있을까요.
@brianahn8608
@brianahn8608 3 жыл бұрын
여자차장이 말 잘했네. 우리나라는 지형적인 요인과 기후적인 요인으로 댐이 필요하다고.. 근데 사대강사업에 기를쓰고 반대한 넘들은 뭔지 모르겠네...
@user-ri73bdis88h7
@user-ri73bdis88h7 3 жыл бұрын
기후적인 요인으로 물 저장용 댐이 필요한거고 반대로 기후적인 요인으로 운하는 힘든게 사실이야.. 유럽이나 미국같이 1년내내 강수량이 보장되는 지역에서나 할까말까 한게 운하인데 무식이들 선동당해서 발작좀 그만해라.
@brianahn8608
@brianahn8608 3 жыл бұрын
@@user-ri73bdis88h7 누가 무식인지 모르겠네. 유럽이나 미국이 강이 잔잔한 이유가 수많은 댐과 보때문이라는 것을 모르는 구만.. 운하로 말하자면 한강은 수량이 넘치고 낙동강은 수량이 너무 없어서 실무진에서 많이 검토되던 내용인데 뭘 알고 얘기해라...
@hyung-yulcho841
@hyung-yulcho841 3 жыл бұрын
지하로 들어가실 때에는 메탄가스랑 유화수소 조심하세요.
@wseoks
@wseoks 2 жыл бұрын
수자원공사에 관급 용역 납품해보면.. 자기들 시스템에 맞춰 다시 자료 재구성.. 다신 안 하고 싶어집디다..
@user-eo3dw4be1z
@user-eo3dw4be1z 2 жыл бұрын
박정희.대통령님.참.일많이하셨네요.업는돈가지고.생각과.선경지명.어느누가.결단하겠습니까
@R애플
@R애플 3 жыл бұрын
4인 야전하는거 가만~ 보고있으니 여자분 종이, 펜 만들고 암것도안하는데 10년전 영상인가? 보니 최근영상이네... 요즘도 현장에선 바뀐게 하나도없군요 힘쓰는건 무조건남자가... 그런데 왜 임금격차 논란이 있는지 의문 ...
@김상호-b6c
@김상호-b6c 3 жыл бұрын
일의강도나 능률을보면 솔직히 월급 1/10도 아까워보이네요.
@산태백
@산태백 3 жыл бұрын
김종필님 감사합니다 김대중 김영삼 두쓰레기 때문에 힘들었죠
@jblee7123
@jblee7123 2 жыл бұрын
50세 대리, 35세 차장..헐
@영섭김-n7b
@영섭김-n7b 2 жыл бұрын
50세 대리님은 공고졸업 하신것 같고 35세 차장은 대졸이지머
@난짱구-j5r
@난짱구-j5r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우리나라 저희나라 저희나라 대한민국은 우리나라 입니다. 저희나라는 달나라 인가요?
@개가짖어도열차는달린
@개가짖어도열차는달린 3 жыл бұрын
여전히 고된 일은 남자들만 하네ㅋㅋㅋㅋㅋ 성평등 국가 지리네.
@nostalgia_star
@nostalgia_star 3 жыл бұрын
하수처리시설 오수펌프장에 비하면 완죤 놀이공원 산책이네요.
@데스나이트-x2j
@데스나이트-x2j Жыл бұрын
저희나라? 우리나라다 에효
@user-eo3dw4be1z
@user-eo3dw4be1z 2 жыл бұрын
박정희.대통령님.참.일많이하셨네요.업는돈가지고.생각과.선경지명.어느누가.생각과결단.하겠습니까
@mimi0602_
@mimi0602_ 3 жыл бұрын
@blondiemortimer8840
@blondiemortimer8840 3 жыл бұрын
땡보 공뭔들 소양호 허드렛일 관리취재기네...
@joovali
@joovali 2 жыл бұрын
누군가 해야할일임…
@kkang0908
@kkang0908 Жыл бұрын
공기업인데요
@iqnfdkflee3052
@iqnfdkflee3052 2 жыл бұрын
18세 소양강 처녀는 지금 70세 쯤 되었을까요?
@권오석-g2g
@권오석-g2g Жыл бұрын
울나라도 치어어방류 아직은 저조한편같다 일본은 년간 몇천톤씩 치어를 방류한다고~어족자원이 어마무시할정도라는데~~~ 아뭏든 소양강댐은 인간삶에 최고의 선물덩이~
@송준목-j4j
@송준목-j4j 2 жыл бұрын
미래를 내다보고 저런 대형 댐 미리 잘만들었지? 지금은 환경단체 반대로 절대 불가함~
@블랙-o5i
@블랙-o5i Жыл бұрын
차장이라는 사람이 저희나라라고하네 ㅋㅋㅋㅋㅋㅋ
@달타냥-i9o
@달타냥-i9o 2 жыл бұрын
36살 대리 35살 차장 뭔 차이일까?
@택배노동자
@택배노동자 3 жыл бұрын
공기업에 일하는 사람이 저희나라라 케샀고
@린린거미
@린린거미 3 жыл бұрын
취업 비리 조사해야합니다
@user-rv8uo8ep6k
@user-rv8uo8ep6k 3 жыл бұрын
높임말써서 나쁠거없다~ 불의의 칼빵맞는거보다 낫다~
@송석율
@송석율 3 ай бұрын
소양강호. 는 최초. 연기자
@stephen_x
@stephen_x 3 жыл бұрын
일하시는 분들 고프로나 안전장비가 부족해 보이네요.
@내인생-u2p
@내인생-u2p 3 жыл бұрын
저희나라가 아니라 우리나라라고 표현해야 합니다 저희라는 단어는 내가 상대방에게 낯추거나 겸손에 의미로 쓰는겁니다 나라를 말할때는 낮추어 표현하면 안됩니다 우리나라라고 표현하세요
@윗이빨
@윗이빨 3 жыл бұрын
본사에서도 모니터링할텐데 일을 여자도좀해라 수자원 여자비율도높은데 지아빠뻘 되는사람은 맨홀들어가서 개고생하는데 옆에서 펜돌리고있네 그리고 당직은 왜 다남자가다하냐 이러면서 승진은빨리할라고하고 차라리 사업소에 only 여자만 해가지고 니들끼리해라 또 시가지 근처말고 수자원공사답게 오지에서
@23h40
@23h40 3 жыл бұрын
꼰.
@윗이빨
@윗이빨 3 жыл бұрын
@@23h40 딱보니 지가 찔려서 댓글 달았네ㅋㅋㅋ
@박형수-c1y
@박형수-c1y 3 жыл бұрын
우리가쉽게편하게쓰는물도많은분들의노고가있어서우리가고맙게사용하고있네요여러분들모두감사하고행복하세요고맙습니다물도소중한자원입니다한방울이라도소중히써야겠네요
@PostNemo
@PostNemo 3 жыл бұрын
6:05 좋은 컨텐츠 만드는데 진짜 질문 들으면 실화인가?? 싶은 생각이 드는 경우가 가끔 있음. 한~참 전에 만든 자이툰부대 영상에서도 이렇게 듣는 귀를 의심케하는 질문 던지는 양반이 있던데 동일인물인가 아니면 계속 그런 사람을 뽑는건가... 댐의 정의 자체를 모르고 촬영 가는건가...
@j99786
@j99786 3 жыл бұрын
어른들만 보는 게 아니고 배경지식이 있는 사람만 보는 게 아닙니다.
@user-wj9ce3ee8v
@user-wj9ce3ee8v 3 жыл бұрын
불편러들이 많네
@토이토이-s2l
@토이토이-s2l 2 жыл бұрын
35살인데 차장이라니
@ArsinoeSkyBlue
@ArsinoeSkyBlue Жыл бұрын
지금 소양호는 블루길 천지,,붕어 구경해본지 10년은 넘은듯..낚시에 걸리는게 죄다 블루길,, 쏘가리,장어 치어 푸는게 다 이런 이유..블루길이 이런 치어들 죄다 잡아먹는거지.어민들 굶어죽게 생겼음.
@전양진-v1r
@전양진-v1r Жыл бұрын
하늘이 주신 위대한 지도자 박정희 대통령.
@jayyoo906
@jayyoo906 3 жыл бұрын
댐이란 이름대신 소양호로 불러라. 50년이면 이제 고유 이콜로지가 정착되었을 것이다.
@망치가방
@망치가방 3 жыл бұрын
물을 가두는 건축물은 댐이 맞지. 물이고여있는 곳이 호수 호고.
@j99786
@j99786 3 жыл бұрын
댐과 그 댐으로 인해 고이는 호수도 구분 못하시는거예요?
@Rapido-tz6bn
@Rapido-tz6bn Жыл бұрын
옛날에 소양댐 안에 내수면 양식장 허가 내서 가두리양식장 있다가 1년도 못되 철수했다. 춘천시청에서 돈 먹고 떨어진거.
@사명대사-n3g
@사명대사-n3g 3 жыл бұрын
아무런 사고력 없이 중요한 산업 국방시설 촬 영해 방송하는 방송국 애들... 적국의 제1순위 타깃이 댐(.물식량.).교통.전기시설 그런데..식수의 중요한 시설을 적국들에게 공개 한다... 자랑스럽다 방송국 애들 ...
@j99786
@j99786 3 жыл бұрын
이미 개방되어서 관광객들이 드나드는 시설인데 방송에 나온다고 뭐가 달라질까요?
@사명대사-n3g
@사명대사-n3g 3 жыл бұрын
@@j99786 과거 군. 중요 산업시설 중요하게 관리했지요.. 그리고 미국 일본 방송에 군. 중요 산업 시설 방송 하였는지여 .... 국가 중요 시설 철저히 보완 관리 안하면 산업 스파이ㄴㅇ들 역모로 유수 기능 기술 해외로 이전된 사례 모르시나 입장 바꿔 생각해보셧 댁 집에 사람들이 자주 둘락날락하다 중요한 물품 없어지면 좋게는지 적국이 제일 먼저 파괴하 는 시설이 무엇인지 모르 시는가...
@j99786
@j99786 3 жыл бұрын
@@사명대사-n3g 이야... 사력댐 하나에 무슨 첨단 기술이 들어간다고 산업스파이가 온다고 하는지 참 신기하네요ㅎㅎㅎ
@사명대사-n3g
@사명대사-n3g 3 жыл бұрын
@@j99786 주적군이 노리는게 산업시설... 첨단 기술이든 아니든 파괴하면 용수 물부족에 주변 홍수로 침몰..피해
@j99786
@j99786 3 жыл бұрын
@@사명대사-n3g 그시간에 반도체 공장을 털지 않을까요? 주적이 너무 비리비리해서ㅎㅎ
@konayuki-lemon
@konayuki-lemon Жыл бұрын
11:22 저 공간안에 물 들어온다 생각하니깐 호러 그 자체네;
@yankeesg6716
@yankeesg6716 Жыл бұрын
자대배치 받으러 신남선착장까지 군용선을 타고 감
@jungsuklee1664
@jungsuklee1664 2 жыл бұрын
Southwest solar 집에 설치하고 후회합니다 절대 광고에 속지마세요
@눈언덕
@눈언덕 2 жыл бұрын
박정희 대통령이 아니면 누구도 할수 없었던 그의 선견지명 최고의 영웅이며 이명박의 4대강 업적도 간과할 수 없으며 더이상의 보훼손이 있어서는 안된다.
@joovali
@joovali 2 жыл бұрын
웃고 간다…
@초이스-c8x
@초이스-c8x Жыл бұрын
​@@joovali 김대중정부때 완공했죠??
@지중해-h4g
@지중해-h4g 3 жыл бұрын
말실수 하나했다고 득달같이 달려들어 물어뜯는거 보소 니들이나 잘해라 이자식들아...ㅉㅉ 니들은 실수 안하고 사냐? 지적질은 오지구만
@sunshinerice1486
@sunshinerice1486 3 жыл бұрын
Can't handle the truth
@yestube6579
@yestube6579 3 жыл бұрын
맞어 ㅋ
@minhaijin5314
@minhaijin5314 3 жыл бұрын
저기 위치한 부대서 군 생활 했는데 진짜 경치하난 끝내줌. 가끔 그립기도 함
@minhaijin5314
@minhaijin5314 3 жыл бұрын
@@프로리라캐 그 예하 부대였죠 ㅋㅋ
@minhaijin5314
@minhaijin5314 3 жыл бұрын
@@프로리라캐 아뇨 ㅋㅋ 위치 알면 그짝부대 딱 한군데 일건데요 ㅋㅋ
@서인경-l5q
@서인경-l5q 2 жыл бұрын
저희나라 아니고 우리나라인데
@stayy5
@stayy5 3 жыл бұрын
강원도 춘천군 --> 춘성군
@조승철-g6k
@조승철-g6k 3 жыл бұрын
저의 나라는 어디냐?
@나무나무야-e8b
@나무나무야-e8b 3 жыл бұрын
사력땜 살짝구멍만 나도 위험함 콘크리트가 댐이 짱임..
@도섭진
@도섭진 3 жыл бұрын
어? 저는 그반대로 알고 있는데요 흙더미는 대포를 아무리 쏴도 끄떡 없다던데요 드라마 영웅시대에서도 나와요
@주사파북송추진위원장
@주사파북송추진위원장 3 жыл бұрын
건설당시부터 전방에 가까운 소양강댐은 전시에 제1순위 북한의 폭격대상이 우려되어...파괴에 보다 안전한 돌과 자갈 모레로 채워 지어진 사력댐입니다.콘크리트보다 더 두껍고 충격에 강해요
@jonelee4561
@jonelee4561 3 жыл бұрын
반대입니다
@조이-v8z
@조이-v8z 3 жыл бұрын
모르면 아가리닥치고있으면 중간이라도갈텐데...
@다빠다까
@다빠다까 3 жыл бұрын
무지성 잼민이들 에휴... 왠간한 폭격에도 문제 없고 사력댐이 무너질땐 물이 넘치거나 할때 위험하지. 콘트리트댐이 중력식 댐인데 그게 뭔뜻이나 아누.. ㅋㅋㅋㅋ
@oooooo1210
@oooooo1210 3 жыл бұрын
(06:13) 저희나라............ 하.... 공기업에서 차장일하면서 35이나 먹은 사람이 댐업무알기전에 기본적인거부터 좀 제대로 알고 일합시다 아줌마.
@jonelee4561
@jonelee4561 3 жыл бұрын
기본적인거 잘알고 말하는데 뭐가틀린거죠?
@최준석-c8e
@최준석-c8e 3 жыл бұрын
@@jonelee4561 우리나라 가 올바른 표현입니다
@Jun-wu2de
@Jun-wu2de 3 жыл бұрын
공기업 특성상 35에 차장이면 업무능력 엄청나신분인데 저거 한번 말 잘못했다고 아줌마라고 하시는건 너무하시네요 ㅠㅠ
@youngsong2709
@youngsong2709 3 жыл бұрын
@@Jun-wu2de 말씀에 인정 합니다 본인들은 살면서 한번도 말 실수 않하고 살았나 봅니다 갑자기 마이크 들이대면 긴장할수 있을텐데 그걸 몰라서 썼겠습니까 송지선 차장 나이는 작아도 그분야에 공부 많이했고 노력하는 사람 입니다 그리고 다른 댓글에 아버지뻘되는 사람보다 일을 않한다고 한것도 봤는데 각자 주어진 일이 있는데 그런말들을 하는것인지 그사람들의 인격에 문제인것 같습니다
[다큐3일]'2007 추석3일간의 기록' / KBS 20070927 방송
42:29
KBS대전 [CULTURE&DOCUMENTARY]
Рет қаралды 206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