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아블로4는 비싸다 vs 안비싸다] 이 영상을 본 후 생각이 서로 바뀝니다

  Рет қаралды 801,487

김성회의 G식백과

김성회의 G식백과

Жыл бұрын

📪 Business Contact: SANDBOX NETWORK
🎥 유튜버, 스트리머를 위한 방송세팅: www.drgo.pro
#디아블로4_가격 #창렬 #안창렬

Пікірлер: 4 200
@Gansintsu
@Gansintsu Жыл бұрын
가격도 가격인데 요새 "최저의 서비스를 최고의 가격으로 모십니다." 라는 말이 와닿을 정도로 예구하기 두려운 시기임.
@kuu..kuuk..1902
@kuu..kuuk..1902 Жыл бұрын
디2리 운영 보면 디4 서버도 어떨지 궁금.. 돈내고 패키지 샀는데 대기열에서 엉엉울고싶지않아..
@Aahrong2
@Aahrong2 Жыл бұрын
솔직히.. 너무 당연하게도 대기열같이 그런 운영적인 서비스는.. 미칠거같음.. 그래서 그냥 후기나 보려고..
@user-zd5of9iu2v
@user-zd5of9iu2v Жыл бұрын
인정. 블리쟈드 게임 어느 순간 예약구매 했다가 피본게 한두개가 아님. 오버워치 디아3 디아2레져렉션 이거 다 예약구매했는데 정작 하지도 않고 있음...
@hearthjotmanggame
@hearthjotmanggame Жыл бұрын
하스스톤 유저들은 확장팩 예구할때마다 후회하고 있음ㅋㅋㅋㅋㅋㅋㅋㅋㅋ 밸런스 개똥망겜
@unnamed000
@unnamed000 Жыл бұрын
진짜 공감 모히또 가서 몰디브 마시는 수준 ㅋㅋㅋ
@simpleisgood8302
@simpleisgood8302 Жыл бұрын
게임이 재밋다면 비싸다는 여론은 점차 줄어들테고 더럽게 재미업고 루즈하게 나온다면 이때까지 상상도 못할 욕은 다먹을듯 ㅋㅋ
@user-ns9ne5dz1j
@user-ns9ne5dz1j Жыл бұрын
진짜 비싸도 게임에 있어서 중요한 재미만 있다면야 충분히 게임하지... 근데 요즘 블쟈 행보보면 루즈해지지 않을까 싶음
@junjay9969
@junjay9969 Жыл бұрын
하지만 이미 입금은 끝났다는거.. 그리고 차기작이 나올 때쯤엔 다 잊고 또 무지성 구매할 것입니다. 우리가 디아3에 당하고도 또 다시 디아4를 결제하고 있는 것처럼…
@user-ju3qt4ck7m
@user-ju3qt4ck7m Жыл бұрын
버그에 버그에 버그때문에 욕먹을거같음
@maniack2640
@maniack2640 Жыл бұрын
액트1정도는 체험판 다운로드 가능하게 해주면 결제할지도
@user-xh6nn4dx7k
@user-xh6nn4dx7k Жыл бұрын
솔직히 플레이타임 50시간이라 치고 존나게 재밌으면 십만원 가성비 ㅅㅌㅊ지
@tsjun9396
@tsjun9396 Жыл бұрын
많은 생각이 들게 하는 영상입니다 특히나 제품의 가격같은 민감한 주제니까요 내공깊은 영상내용에 깊이 감탄하게 되네요 패키지나 콘솔게이머들에게 한번 보라고 권하고 싶은 영상입니다
@Gamerecipe
@Gamerecipe Жыл бұрын
크으.. 쉽게 정리해주셨네요 늘 감사합니다
@duq
@duq Жыл бұрын
여러 의견을 잘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ade8494
@ade8494 Жыл бұрын
더큐티비 님 이시다 🙌
@user-cq6he7qr6o
@user-cq6he7qr6o Жыл бұрын
아니 여기서 ㅋㅋㅋ
@user-ns5vo7ts9c
@user-ns5vo7ts9c Жыл бұрын
두둥탁!
@user-ft5ou4wh5h
@user-ft5ou4wh5h Жыл бұрын
두둥탁 더큐님이!! ㅋ
@user-wz2em7pn4e
@user-wz2em7pn4e Жыл бұрын
진짜가 나타났다
@littlelightghost
@littlelightghost Жыл бұрын
신뢰의 문제죠. 예시로 든 사펑이 그랬고 최근 블리자드의 행보가 그랬듯 우리는 너무 많이 게임사에게 배신을 당해왔습니다. 물가 상승에따라 게임 가격이 올라야 함에는 긍정적이고 당연하다 생각하지만, 돈이 들어간만큼 기대에 맞는 무언가를 내놓아야 할텐데 그러질 못하기를 몇 번째일까요. 영상에서도 말했듯 우리는 완성된 게임을 원합니다.
@TaewooGwon
@TaewooGwon Жыл бұрын
신뢰의 문제가 아니라 본인 조급증의 문제입니다 소비자는 출시한 게임의 평가를 살펴보고 소비하지않을 권리가 있습니다 내가 구매한 제품의 질을 의심한다면 남들보다 조금 늦게 구매하면 그만인것을
@user-bq8ev3lg2m
@user-bq8ev3lg2m Жыл бұрын
@@TaewooGwon 공급자는 판매하는 물품의 상태나 질을 정확히 고지할 의무가 있고 그걸 여러 루트로 완성된 부분들만 부각시켜 홍보해서 판다면 그건 사기 혹은 과대광고라고 해요. 본인이 음식을 드시다가 식중독에 걸려 죽으셔도 음식을 남들이 먼저 기미하고 반응을 보지 않은 님 잘못이시죠???
@bbmgom
@bbmgom Жыл бұрын
@@TaewooGwon 조급ㅋㅋㅋㅋㅋㅋㅋ증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글로벌 광고 때린 상품을 출시에 맞춰 구매한 게 어떻게 조급증이 되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상품을 개떡 같이 만든 기업의 책임이지 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결제태도급 드립이네 아 ㅋㅋㅋㅋㅋㅋ
@user-zc9mr6bu9h
@user-zc9mr6bu9h Жыл бұрын
@@TaewooGwon ? 얼리를 산거면 모를까 정식을 산거면 그건 조급증이 아니고 정당한 권리임 대체 이런 생각은 어떤 교육을 받고 자라야 할 수 있는지 궁금해지네 진짜
@CaptainRiceWorld
@CaptainRiceWorld Жыл бұрын
@@TaewooGwon 댓글 이 모냥으로 다는건 본인 지능 문제임?
@kkkkk-of9dd
@kkkkk-of9dd 9 ай бұрын
크~이게 분석영상이죠~시원하게 팩트로 가려운 곳 긁어주는 ㅋㅋ 구독 박고 갑니다~
@DUGIBOB
@DUGIBOB Жыл бұрын
성회님 늘 좋은영상 감사드립니다! 최고예요!
@BELL-vh6mi
@BELL-vh6mi Жыл бұрын
가장 큰 문제는 게임 가격은 점점 올라가는데 완성도면에선 그렇지 못한게 문제라고 생각함. 이번 포켓몬 신작도 버그들이 쏟아져나왔는데 후에 패치로 고쳐졌음
@user-rt2kh2rc1u
@user-rt2kh2rc1u Жыл бұрын
뭐어떰 모바일겜하는 개돼지들이 하는게임보단 그래도 훨씬 낫지
@_NPT_
@_NPT_ Жыл бұрын
QA를 왜 유저가 하냐고ㅋㅋ
@ylem0921
@ylem0921 Жыл бұрын
@@_NPT_ 돈 벌면서 QA가 되는데 하겠냐구 ㅋㅋㅋㅋㅋ
@workingWASD
@workingWASD Жыл бұрын
버그는 나올 수 밖에 없는데 대처가 중요하지.. 피드백 바로바로 받고 빨리빨리 고치면 똥겜에서 갓겜 되는거 순식간임. 로스트아크가 이랬었지
@wadka2800
@wadka2800 Жыл бұрын
근데 그 고친거도 고작 빙산의 일각만 고친거인...
@user-ce8zv5wq8m
@user-ce8zv5wq8m Жыл бұрын
참 유익한 지식백과 채널 평소 어렴풋이 생각만 하고있던 주제에 대해 여러가지 자료들과 주장들을 정리해 이해하기 쉽게 딱딱 논리전개해주는 솜씨가 진짜 너무너무 통쾌함. 평소 관심없었던 주제라도 영상 한 번 보면 상식도 늘고 관심이 생기기도 하고 지식의 저변이 넓어지는듯~ 아아무튼 성회형 사랑한다고 알지???
@it_pp
@it_pp Жыл бұрын
정리 ㄹㅇ 깔끔하당
@waterpure8964
@waterpure8964 Жыл бұрын
중립적으로 잘 정리해 주셨던거 같습니다. 한가지만 덧 붙이고 싶은데, 예전에 게임 구매하던 구매층의 숫자로만 비교해 보자면, 지금은 훨씬 N수가 많은거 같아요. 단순히 물가상승률의 index로는 조금 다를 수 있는거 같습니다. 예를 들어 엘든링이 2000만장의 이유도 게임도 역대급이었지만, 그만큼 구매하는 사람들도 예전보다는 늘어난 효과가 있는거 같습니다. 디아블로4가 저는 게임만 잘 나와 준다면 구매 하겠지만, 좀 지켜볼 예정입니다. 진짜 말도 안되는 바램으로는 프롬소프트에서 디아블로 플랫폼을 (소울류처럼) 3인칭 시점으로 한번 내주었으면 좋겠네요.
@crossfight7759
@crossfight7759 Жыл бұрын
사실 이건 근본적인 것을 이루면 깔끔하게 해결되는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옛날 영상에도 나온 말인 '어쨌든 게임을 잘 만들면 된다!' 10만원 어치라도 그 값에 걸맞는 퀄리티와 게임성을 보여주면 사람들은 사기 마련이거든요
@kuu..kuuk..1902
@kuu..kuuk..1902 Жыл бұрын
어쨋든 재밌고 잘 운영하면 되지만 요즘 블자 행보를 보면 망설여지는건 사실이죠 ㅎㅎ 게다가 6개월전에 예구를 낸것도 처음이고.. 물론 저는 대가리깨져서 블자게임 디럭스로 다 산 사람입니다 🤪
@user-no2hk9sm2q
@user-no2hk9sm2q Жыл бұрын
그래도 10만원은..
@user-df6rq6oc9s
@user-df6rq6oc9s Жыл бұрын
근데 배틀패스가 딱!
@Lunana77
@Lunana77 Жыл бұрын
저는 이 의견 동의합니다 이 정도의 값을 받을만한 완성도가 아닌데 비싸게 받는게 문제라고 봐요 디아4도 출시 후 잘 만들어 졌는지 평가에 따라서 제값은 치는 게임인지로 바뀔수도 있는거니까요
@user-fz2om9pb7j
@user-fz2om9pb7j Жыл бұрын
처음부터 10만원은 너무 비싼대 해보고 재밌으면 계속 지르는건 부담이 적어도 10만원 주고 했는대 재미없으면.. 솔직히 한 1~3일 무료 플레이 해주면 모를가 아니면 포기~
@user-qx4uz4kw7m
@user-qx4uz4kw7m Жыл бұрын
95900원쓰고 서버대기열에 밤잠 못 자고 괴로워하다 끄고 자러갈 직장인들을 미리 위로 합니다
@user-qd6nh3vg3q
@user-qd6nh3vg3q Жыл бұрын
ㅋㅋㅋ 이댓글에 극하게 공감해서 댓글 다네요 맞네요 얼마를 주는가보다 일단 서버상태가 양호해야 게임을 하던 뭘하던할것 같네요
@MoonPIL3811
@MoonPIL3811 Жыл бұрын
서버는 나름 괜찮을거 같기도함 다들 눈치좀 보다 사서 하려는거 같아서
@jinheo904
@jinheo904 Жыл бұрын
뻥뻥 뚤립니다. ~ 시원 시원하게 게이머의 마음을 잘 아시네요.
@woodsageandseasalt
@woodsageandseasalt Жыл бұрын
예전엔 대작들을 사면 돈 아깝단 생각이 안 들었는데, 이젠 "이걸 사야되나?" 고민부터 하게 되는 현실이 씁쓸하게 느껴집니다.
@RedCrossRion
@RedCrossRion Жыл бұрын
가격상승에 맞는 퀄리티가 따라와주면 납득할거같은데 그렇지 못한 경우가 많아서
@HasJi_DggON
@HasJi_DggON Жыл бұрын
이모탈에 한번 당해서 믿음을 잃었죠....
@user-bc1df7kv3m
@user-bc1df7kv3m Жыл бұрын
게임개발을 인공지능이 대신해주는 시대가오면 편할텐뎅 ㅎㅎ
@jiwanee0
@jiwanee0 Жыл бұрын
@@user-bc1df7kv3m 그렇게 인공지능이 플레이해주는 게임이 출시되는데…
@ks3024
@ks3024 Жыл бұрын
@@HasJi_DggON 싸펑이면 몰라도 디아 이모탈은 과금이 목적이라 무료로 할수있는거 아닌가요?
@HasJi_DggON
@HasJi_DggON Жыл бұрын
@@ks3024 지금 디아4 처럼 이모탈 출시 전에도 배틀패스 말곤 과금요소 전혀 없다는 식으로 얘기했는데 막상 나오고 보니 중과금 이상 해야지 미니언 벗어나는정도 유료무료를 떠나서 저렇게 팔고 배틀패스도 판다고 했는데 배틀패스는 무료로 모든유저에게 혜택 주는게 아니라면 또 과금요소겠죠? 겜 이용에 돈 쓰고 또 패키지며 배틀패스며 돈요구 또 할텐데.... 그거치곤 기본값 패키지가 비싼 느낌
@user-goohanbeom
@user-goohanbeom Жыл бұрын
과거와 현재의 패키지게임업계가 가장 크게 달라진 점은 출시 이후에도 지속적인 업데이트와 유지보수가 이루어진다는 점인 것 같습니다. 단순히 버그 픽스 등 유지보수를 넘어 컨텐츠를 추가하는 등 업데이트를 통해 실질적으로 게임 개발 프로세스를 출시 이후까지 이어나가다보니 게임사 입장에서는 출시 이전에 총 개발비를 산정해서 가격을 책정할 수가 없게 됐고 추가적으로 지출할 비용을 출시 가격에 산입해야 했겠죠. 문제는 분명 게임을 충분히 다듬어 완성하고 추후 추가하는 방식이어야 하는 개발 프로세스가 미완성이라도 일단 팔고 차차 완성해나가는 식으로 변질되었다는 겁니다. 당연히 모든 게 계획한 대로 흘러가지 않고 소비자들에게 약속한 기능을 미구현하거나, 완성도가 심히 떨어지거나, 기한을 지키지 못하거나, 심지어 서비스를 조기에 종료하는 등 문제가 발생하면 그 피해는 아직 실현되지 않은 가치에 대한 비용을 지불한 게이머들에게 고스란히 돌아가는 구조인 겁니다. 디아블로4가 그런 류의 문제를 가지고 있는 지는 잘 모르겠으나 게임사들이 점차 완성된 제품을 팔고 돈을 받은 만큼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가장 기본적인 상도덕조차 지키지 않아가는 추세에 대해 경각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Energy_Mastery
@Energy_Mastery Жыл бұрын
문장력이 부럽네요
@izumiaco5079
@izumiaco5079 Жыл бұрын
그니까 저걸 평소 겜 잘 만드는 회사가 그랬으면 님같이 생각할텐데 블리자드에 대한 신뢰도가 지금 바닥이죠.
@user-yz1li5rc7i
@user-yz1li5rc7i Жыл бұрын
과거에도 했음
@rl5952
@rl5952 Жыл бұрын
사실 그건 제대로 게임을 완결짓지못하고 출시하니까 그런거죠.
@bbaa7696
@bbaa7696 Жыл бұрын
매우 좋은 글이네요. 격하게 공감합니다
@Orangefortime
@Orangefortime Жыл бұрын
예전엔 DLC도 DLC 거니와 에디션의 개념도 없었습니다. 패키지 시장에서 차이가 있을때라곤 한정판 패키지였는데, 이건 일찍 구매하는 얼리버드들을 위한 특전같은 것이었지 가격차이는 없었거든요. 지금으로치면 모든 게이머가 13만원에 해당하는 에디션을 기본에디션 가격에 모두 구매해서 가졌던거지요. 실물 패키지 생산도 할필요없고, 블리자드 경우 스팀같은 중간업자의 수수료도 없고, 에디션은 에디션 가격대로 DLC는 DLC가격대로 시즌패스는 패스대로 팔아먹는걸 감안하면 오히려 물가상승에 따른 게임값이 너무 단순하게 책정된거처럼 보여요. 실물 유통에서 드는 어마어마한 비용을 디지털판매로 절약했을때 게임사들이 게임가격을 눈에띄게 인하한적은 없거든요. 그로 인해서 게임사들의 이익이 2배이상 증가한 포인트가 있었을게 분명한데도 게이머들을 위해서 가격인하를 한다던가 하는 행보를 하는 회사는 보기 힘들었죠. 덕분에 게임사들 주가만 올라갔었고요. 깎아줄 수 있을땐 안깎아주고 올릴때는 일일이 올리는게 마치 한국 과자회사들이랑 비슷한 느낌입니다.
@user-ep5pb8um3t
@user-ep5pb8um3t Жыл бұрын
@@user-cf2yr2qd3g 그럼 님은 자기 외에 남도 열심히 생각해서 힘들게 살고 있을 게임사에게 풀프라이스로 게임 다 사세요 남들 스팀으로 세일 받아가며 살 동안
@callmechul
@callmechul Жыл бұрын
어우! 김성회님은 참 말씀을 잘하셔!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jackie3732
@jackie3732 Жыл бұрын
요즘 모바일게임 트럭 1대값보다 못한 가격이긴 하지만 이미 플레이 한 후 결제하는 것과, 까보지도 못한 게임에 결제하는 것은 상당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게임이 요즘 더 비싸다고 느껴지겠네요 그런 점에선 dlc가 게임사에겐 참 효자일듯... 게이머가 깐 후에 추가 결제를 할 수 있도록 하니까
@ksl6672
@ksl6672 Жыл бұрын
블리자드는 게임사에 교훈이 될 역사로 남기위해 라스트 댄스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question7823
@question7823 Жыл бұрын
결말은 호날두? ㅋㅋㅋㅋㅋ
@libre3860
@libre3860 Жыл бұрын
잘 보고 갑니다
@shink3995
@shink3995 Жыл бұрын
옛날이랑 비교해서 물가대비 싸진건 맞지만 게이머들이 늘어났고 불법복제도 엄청나게 감소했고 결국 같은 게임을 팔아도 시장경제에 따라서 어마어마하게 판매량이 올라간거죠 요새 그냥 방구석에서 결제만 하면 되니 옛날이랑 비교는 어렵긴해요
@seeartziwon
@seeartziwon Жыл бұрын
완성도 개판으로 나올거 예상하고 아직 존버 중…
@hazimagongbu
@hazimagongbu Жыл бұрын
에이 설마 10만원에 개판일리가 ㅋㅋㅋㅋㅋㅋ....
@seonghun2202
@seonghun2202 Жыл бұрын
사펑보다 심하게 나오는거 아님!?
@user-eg1xr8bt7b
@user-eg1xr8bt7b Жыл бұрын
@@hazimagongbu 디아3도 처음에 나왔을 대부터.. 딱히 2때보다 겜이 너무 캐쥬얼해짐
@Ppuli__
@Ppuli__ Жыл бұрын
솔직히 가격만 놓고 보면 크게 문제 될건 없어보이지만 최근 블자 행보를 보면 문제가 되는거 맞지 (하스, 옵치2 만봐도 패치해놓고 패치 노트 제대로 적지도 않고 유저가 알아서 알아내야하고 잠수함 패치는 무지성으로 해놓고 패치 노트 올리지도 않음 등등)
@onxidido
@onxidido Жыл бұрын
사펑 배필2042에서 당한게 너무 크다… 이젠 예구 안해
@jaelee6784
@jaelee6784 Жыл бұрын
1. 이전 게임은 모두 현물을 사는 방식이지만, 오늘날 게임은 절대다수가 디지털화되어 판매됩니다. 여기에 드는 보관, 유통, 포장, cd제작 등 물리적 패키지를 구성하는데 드는 비용이 모두 절감되었습니다. 2. 디지털화되면서 예전보다 몇배 몇백배까지도 게임이 팔려나갑니다. 예전엔 100만장이 팔려나간 게임은 거의 없었지만, 지금은 천만장 넘게 팔려나간 게임도 수두룩하지요. 3. 그 외에도 디럭스나 얼티밋에디션, 배틀패스, dlc 등등을 넣어서 이윤을 충분히 뽑아냈습니다. 4. 게임 만드는데 인플레이션 때문에 개발 비용이 몇십배 올라갔다고는 하지만, 그만큼을 더 벌고 있다는 점을 잊어선 안 됩니다. 게임사들의 매출은 게임 개발 비용이 증가하는 것 이상으로 올라갔습니다. 안그랬으면 다 망했겠지요; 예컨데 여기서 디아 4 이야기가 나온 김에 블리자드는 전년도 순이익 32억 달러가 찍혔는데, 게임 하나의 개발비용은 1/10도 되지 않습니다. 가장 많은 콜옵이 2억 2천, 디아블로 이모탈은 1억 1천, 와우는 2억입니다. 블리자드가 한해에 하나씩 게임을 출시하지도 못하지만, 일년에 하나씩 찍어낸다고 쳐도 개발비용은 그해 매출(89억달러)의 1/50, 순이익의 1/15정도밖에 안 됩니다. 코로나 이후 경제위기로 전세계적으로 임금이 동결된 상황입니다. 코로나시기 최대의 수혜자가 바로 게임판인데, 게임 가격을 올리는 건 부당한 처사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블리자드처럼 호성적을 내고 있는 회사가 말입니다.
@user-IDGAF95
@user-IDGAF95 Жыл бұрын
ㅇㅇ 이게팩트 물가운운하는건 애초에 기업이 그것도 산정못하고 지금껏 자선사업가마냥 게임을 점점 싸게팔앗다는건데 그건 말이안됨 자동차도 따지고보면 훨씬 구데기시절이 더비쌋음 항상 그시절 상황과 보편성을 고려해야지 ㅋㅋㅋㅋㅋㅋㅋ 지금처럼 인식과 유통이 아주 보편적이거 원활한게 패키지게임임 그만큼 이윤도 훨씬 많고 대형 게임사들도 우후죽순 생겨남 아주 좋은 지적임 !! 지금껏 기업들이 멍청하게 싸게 팔앗단 생각하는 흑우 없길 전부 이윤 남기고 알아서 잘 처먹고 삼
@slicekimbo2599
@slicekimbo2599 Жыл бұрын
개발 비용이 영업 이익의 1/10이라고 꼭 부당한 거임? 그럼 10배 남는 장사니까 왜 개나소나 다 해야하는데 그러지 않음? 블리자드의 고유 기술과 노하우 그리고 브랜딩 가치는 어디갔음? 잘 팔리면 비싸게 파는 게 당연한 거임. 그게 시장 논리이고 정당한 자본주의 체계인 거임. 예를 들어 헛똑똑한 당신네들이 임금 더 쳐주는 기업 졸졸 쫒아다니는 거랑 같은 이치인 거지
@user-IDGAF95
@user-IDGAF95 Жыл бұрын
@@slicekimbo2599 그런의미보단 가격 이윤 모든게 충분하면서도 이때다싶어 눈치보며 슬금슬금 올리니까 소비자가 반발하는 포인트이죠 정당하냐 안하냐겟죠 누가 계란값올랏다고 기업을 탓하나요
@jaelee6784
@jaelee6784 Жыл бұрын
@@slicekimbo2599 게임 가격을 올리는게 회사의 자유인 만큼, 그 회사의 결과물을 평가하는 것 역시 당연한 자본주의에서의 소비자 권리이죠. 고유 기술 브랜딩 가치 등을 논하셨는데, 그걸 다른 회사와 비교해서 평가하고 비판해야 서로서로 건전한 관계가 되는 겁니다. 막말로 얘네들이 전에 만든건 디아블로 이모탈인데 5만 9천원에서 10만원으로 올리는 거에 대해서 아무런 비판을 하지 않을 순 없잖아요. 엘든링을 만들었다면 이해를 할텐데. 말씀 중에 "게임 가격 결정은 회사의 자유"일 수는 없는 겁니다. 블리자드는 게임을 사 주는 게이머 때문에 존속이 가능하니까요. 그래서 얘네들도 이런저런 이유를 붙여서 게이머들을 챙겨주고 설득하려고 하는 거죠. 인플레이션 때문이다, 더 좋은 게임을 약속하겠다, 우리만의 노하우가 있다, 뭐 이런 식으로요. 그리고 그 이유가 정당한가 정당하지 않냐는 충분히 따질 수 있는 것입니다. 이런 경제주체간 상호작용은 참 기본적인 건데.
@Parangme
@Parangme Жыл бұрын
최고의 호구로 모시겠습니다. ㅋㅋㅋㅋ
@kth8813
@kth8813 Жыл бұрын
근데 현지물가 생각해서 냈던 가격들 때문에 생겼던 문제들이 스팀 대리구매 문제 이런 게 있죠 아무래도. 어느 나라 어느 지역의 사람이라도 같은 가격으로 즐길 수 있게 하자는 것도 틀린 말은 아니에요. 근데 이젠 70달러의 시대를 막을 수 없다! 하고 선언을 해 버리고 전부 가격이 올라버리면...사실상 가격 담합이나 다른 게 없지 않나..?
@mia_Ernen
@mia_Ernen Жыл бұрын
게임 가격 올라가는만큼 소비자들 눈이랑 엄격함도 같이 올라가는걸 잊지만 않으면 문제 없지 그리고 출시초기 접근성도 떨어질것도 기업측에서 감안하고 정했을거라 생각함 게임 나오고 순수하게 반응으로 대답하면 알아서 할인을 하든 뭘하든 할것
@ann_da_da_sea
@ann_da_da_sea Жыл бұрын
동의 합니다 우리는 플레이할 게임을 고를 수 있어요
@lalulu6205
@lalulu6205 Жыл бұрын
느그들이 눈이 ㅈㄴ 높다고는 생각 안함? 물가 고려해서 초고퀄리티로 나오려면 게임가격 20만원까지 올려야됨 가성비 혜자면 다물고 그냥 하자
@user-cg4sc4nr9u
@user-cg4sc4nr9u Жыл бұрын
영상을.보긴한건가? 명목비용 개념을 이해못한건가
@user-if1ug7kv1n
@user-if1ug7kv1n Жыл бұрын
@@lalulu6205 누가 물가오르라고 칼들고 협박함? 미리플레이 해볼 수도 없는 게임을, 똥겜인지 갓겜인지 알 수도 없는 게임을 10만에 선불지르고 사라고? 게다가 거시서도 dlc팔아먹고 bm추가해서 돈 더빨게?? 영상에서 서로 의견 비방 하지 말자고해도 말귀를 못알아 처먹어요
@100_mae
@100_mae Жыл бұрын
@@user-if1ug7kv1n 몇억, 몇십억짜리 아파트는 짓기도 전에 구매하는 한국인들임
@ihcho03
@ihcho03 Жыл бұрын
정말 정리 잘해주셨네요. 사실 게임 좀 자주 사는 사람이라면 게임이 퀄리티 있게, 재미있게만 나와준다면 가격은 크게 신경쓰지 않을텐데 요즘 완성도가 낮은 게임만 나오다보니 의심부터 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user-ky2bj9vd5k
@user-ky2bj9vd5k Жыл бұрын
한 가지 궁금한 부분이 있는데요. 과거에는 소비층이 적어서 가격이 비쌌다면 요즘은 소비층이 많아서 단가가 내려간게 아닐까요? 물가 대비 떨어 졌다는 게 게임 회사의 선행에서 비롯된 건 아닐 거 같은데요...그럼 가격을 다시 과거처럼 올리게 되면 부담은 소비자의 몫이고 게임 회사는 엄청 벌어 들인다는 계산인데.....제가 너무 과하게 생각하는 걸까요?
@kkomayong
@kkomayong Жыл бұрын
패키지 게임과 부분유료화 게임은 가격 인식에서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음. 사람은 자신이 시간을 들여 재미있게 즐긴 컨텐츠에 대해서는 돈 쓰는 거부감이 낮아지지만, 아예 해본 적도 없는 게임을 큰 돈 주고 사야된다면 부담감이 크기 마련임. 아무리 같은 가격이라도 이런 심리적 차이는 존재할 수밖에 없음. 게임을 충분히 즐기다가 보스를 깨는 거랑 튜토리얼도 없이 초반부터 보스를 만나는 거랑 어떤 게 더 어렵게 느껴지겠냐의 차이 정도.
@redstorm928
@redstorm928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최근 콘솔들이나 스팀게임은 데모버전이 이전보다 더 많이 나오고 있음
@kkomayong
@kkomayong Жыл бұрын
@@redstorm928 그것도 맞는 말이고 그나마 다행인 상황이지만 정작 풀프라이스의 AAA급 게임들은 그런 데모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게 함정...
@user-eg5ts9ql6p
@user-eg5ts9ql6p Жыл бұрын
@@kkomayong 바이오하자드 광팬은 너무 행복합니다 ㅋㅋ
@playbunny99
@playbunny99 Жыл бұрын
그럼 패키지 게임 저렴하게 팔고 현질하는 시스템으로 갈수밖에 없어요. 맞잖아요. 게임의 가격이 올라가는건 어쩔수 없는 사회현상인거 같음. 제가 하는 모바일게임 핸드폰 게임따위에 한달에 사람들이 100만원넘게 들 꼬박 꼬박 쓰는데... 저는 그 이상을 쓰구요. 그런데 이런 10만원 게임이 아깝다 비싸다 하는거 보면... 와.... 내가 지금 뭐하고 있나? 나는 딴 세상 사나? 이 생각이 듭니다. ㅠ
@kkomayong
@kkomayong Жыл бұрын
@@playbunny99 그래서 실제 이용자는 패키지 게임보다 모바일 게임이 훨씬 많고 모바일 부분유료화 게임이 범람하는 것도 그 이유니까요. 그게 옳다는 건 아닙니다. 그저 가챠 게임에 돈을 쓰면서 패키지 게임에 돈을 쓰지 않으려는 사람의 심리를 이해하려는 거죠. 이미 내가 만족하고 있는 게임에 돈을 지르면 어느 정도 만족이 보장되겠지만, 아직 해보지 않은 게임에 돈을 지르면 그 결과가 만족일지 불만일지 잘 모른다는 겁니다. 돈이든 상품이든 가치는 상대적이고 절대적인 정량으로 딱 잘라내기엔 너무 고려할 요소가 많다는 뜻입니다.
@Guts3736
@Guts3736 Жыл бұрын
최근 같이 인터뷰도 하고 분위기도 좋아 이 주제 다루기 쉽지 않았을텐데.. 진짜 이 형은 거침없이 구독자들의 가려운 곳을 긁어주는 것 같아 너무 좋음~ 기자도 아닌데 게임계의 참 기자랄까? 기레기들이 보고 배워야 함.
@gfdxvggjvcdcn
@gfdxvggjvcdcn Жыл бұрын
하움....
@newtype_overwatch
@newtype_overwatch Жыл бұрын
정말 정리가 잘 되어있고 내용도 알차서 너무 좋았습니다 G식백과 화이팅
@TimiNick-ji2fd
@TimiNick-ji2fd Жыл бұрын
와.. 너무 말을 잘하셔서.. 턱 빼고 봤어요.. 우와~~
@user-rr7sz7jl5c
@user-rr7sz7jl5c Жыл бұрын
디아2 레저렉션 사고 스위치판으로도 구매해서 잘 즐겼지만 그냥 향수만 자극하고 끝이란 데에서 너무 허무했고, 디아ㅡ이모탈 시즌패스 세번과 매달 약 이십만원 정도 질러주곤 했지만 쓰잘데기없는 불멸단 컨텐츠 강요와 파티플 강요, 밸런싱 개판과 디아에서 주는 스킬의 느낌 부재는 쉽게 디아를 포기하게 되더군요. 그러고 나니깐 디아4는 좀 보고서 살까 생각중입니다
@user-wu9zo4cl3d
@user-wu9zo4cl3d Жыл бұрын
트리플A급 게임들이 우리를 너무 실망시키다보니 평가를 기다렸다 사거나 할인을 기다리는게 맞지 않을까 라는 생각 중...
@rlawhdghk14
@rlawhdghk14 Жыл бұрын
저도 동감입니다. 골프공 게임에서부터 씨게 디이다 보니 일단 정보를 조금 얻고 구매여부를 고민하게 됩니다..
@DD-wp8xz
@DD-wp8xz Жыл бұрын
하물며 최근 블리자드? 심지어 디아블로? 흠... 지갑열기 망설여지는게 현실인 듯 싶어요
@Book_HI
@Book_HI Жыл бұрын
디아는 2 이후로 재미가 없음
@user-tp5pl7in6q
@user-tp5pl7in6q Жыл бұрын
누칼협과 알빠누 ㅋㅋ 너무재밌어요
@mtk5363
@mtk5363 Жыл бұрын
전반적 실태에 대한 자료조사와 분위기 확인, 상반된 여론들에 대한 자체적 증빙까지 아주 유익한 성회형 채널이지만... 생각이 다른 사람들끼리 만나면 칼부림까지도 나버리는 요즘 세태가 두렵기만 하네요 정치계도 맨날 소리만 지르고 거시적 공공의 이익을 위한 움직임은 찾아보기 힘든데, 소소하게 살아가는(?) 게이머들에게 계속해서 폭탄이 날아드니 정신 차리기가 힘듭니다ㅠ 아무쪼록 서로 조금씩 양보해서 잘 해결되면 좋겠네요... 뭐든
@hangunam120
@hangunam120 Жыл бұрын
거기에 추가되는게 요새 피시 게임은 전부 디지털로 거래되서 게임사가 판매하는데 추가 비용 (패키지 만들기 + 이송 + 소매)이 안드는데도 가격을 올리는 부분도 문제인거 같아요
@arkhtyi9456
@arkhtyi9456 Жыл бұрын
근데 게임사 비용만 따지기 시작하면 옛날에 비해서 순수개발비용이 천문학적으로 늘어나긴 했어서요
@kim-vg1fm
@kim-vg1fm Жыл бұрын
@@arkhtyi9456 개발비용보다 물가상승이 젤 큰이유가 아닌가요?
@kaki792
@kaki792 Жыл бұрын
요즘 미국 개발자 연봉 보면 딱히
@invitebyte3278
@invitebyte3278 Жыл бұрын
개발비용의 상당수가 인건비인데 인건비가 과거부터 지금까지 꾸준히 상승중이고 무엇보다 개발기간이 과거보다 길어졌다는거지 아타리 쇼크를 일으켰던 ET의 6주 개발기간같은 극단적인 경우는 차치하고서라도 과거에 비해 개발기간이 엿가락 늘어나듯 길어졌고 자연스레 개발사로선 늘어나는 개발기간만큼 쌩돈이 더 많이 들어간다는거. 그렇기에 개발자들 연봉을 줄이는 대신 개발이후 판매량에 따른 매출수익 인센티브 지급%를 늘려주는 방법으로 대체하고 있는데 잘팔리면 게임사나 개발자나 윈윈이 되겠지만 대박나는 경우보단 평작 내지는 손해나는 경우가 더 많음 게다가 요즘은 게임만 띡 개발하고 끝이 아니라 AAA게임같은 경우엔 광고/홍보비도 무시못하게 책정되기 때문에 이런저런 비용들 죄다 충당하려면 게임자체의 판매값을 올릴수밖에 없지.
@user-qg7ib5cx2p
@user-qg7ib5cx2p Жыл бұрын
참 구성 알차고 보기 좋은 컨텐츠임을 인정합니다, 감사합니다 김성회님~_~!
@user-qq2zi5ti7b
@user-qq2zi5ti7b Жыл бұрын
누칼협과 알빠임의 대결이라니 진짜 와닿네요.. 요즘 진짜 강대 강으로 서로를 혐오하는 문화만 남은 듯
@user-cv5so8xd8b
@user-cv5so8xd8b Жыл бұрын
알빠노
@user-nr3lg3fr1g
@user-nr3lg3fr1g Жыл бұрын
저기에 나오는 물가는 부동산 주식 등의 전체자산가격을 포함한 물가상승을 기준으로 한것이라 높은 비용인것 아닌가요? 사실상 현재와 2-3년전 가격으로 보게되면 어떨지 혹은 우리의 실질소득(임금) 혹은 명목소득(임금) 을 기준으로 게임가격과 비교해 봐야 좀 더 정확한것 아닌가 싶네요 소득대비 게임가격을 매년 비교하는게 더 타당한것같습니다.
@choister070
@choister070 Жыл бұрын
각자 다른 입장에서의 의견을 정리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덕분에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었어요. 물가 상승 떄문에 덩달아 같이 오르는 게임 가격도 이해가 되고, 이제는 게임 시장이 모바일쪽으로 집중되는 흐름도 이해가 되긴 되는데 가격을 올린다면 그에 걸맞는 품질의 게임(게임 말고도 우리가 제공받는 서비스, 제품 모두 다 포함해서)이 나왔으면 좋겠어요. 어줍잖은 사상같은 걸 끼얹어서(그것도 어설프게) 소비자들을 가르치려 들거나 거기에 반감을 가지면 자기들에 대한 핍박과 공격을 가하는 거라고 생각하는 개발진 입장도 이젠 신물나고 무엇보다 다 완성되지 않은 채로 나와서 게임 진행조차 수월하게 못하는데 가격은 가격대로 다 받아처먹고... 항상 김성회님이 말씀하시는게 있잖아요. 어느 업계에서 소비자를 이딴 식으로 대하냐구요. 블리자드 같은 거대 게임 회사가, 그것도 디아블로라는 IP를 가지고 이번에는 제발 게이머들을 '게임'으로 실망시키지는 않는다면 그것만으로도 다행이라고 생각해요;;
@user-gv8pn6cd8k
@user-gv8pn6cd8k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이제 블리자드한테 정 다 떨어져서 디아블로4가 잘 나오든 말든 별 관심이 안가기도 합니다
@choister070
@choister070 Жыл бұрын
@@user-gv8pn6cd8k 그간 블리자드 행보가 그리 좋지만은 않았죠. 이해가 갑니다. 근데 설마 디아블로 가지고 또...? ㅜㅜ
@dmk2695
@dmk2695 Жыл бұрын
디아블로IP로 장난친 이모탈이 있죠..ㅎ
@user-dq2hw1xm2h
@user-dq2hw1xm2h Жыл бұрын
가격이 올랐으면 그만한 퀄리티에 게임이 나와야 되는대 최근 게임사놈들 마치 게이머가 베타테스터 대하듯이 일단 출시하고 니들이 알아보라고 던져놓는거 같은 행동이 너무 맘에안들어요 블쟈 깐포지드사태 생각하면 구매하기 싫어집니다 이걸 정가 주고 샀었으니 18 빡쳐서 워3아직도 안키고 있는대 랭커 될꺼아니면 무작정 사전예약 구매하지말고 상태 본 후에 천천히 2주정도 있다가 사도될듯
@ugin7CC
@ugin7CC Жыл бұрын
동의합니다.
@sunghopaullee592
@sunghopaullee592 Жыл бұрын
전 전통 패키지 게임 유저지만 얼리어억셉스임을 포기한 이후부터는 매우 편해졌습니다. 뭐 직장이 있고 많은 시간 게임을 할 수 없다보니 자연스레 하고 싶었던 게임들은 40~50%할인된 가격으로 올라오고 그 와중에 다른거 하다보면 DLC까지 모두 합친판으로 할인까지 합쳐서 매우 싸지는 경우가 많다보니, 물론 디아4의 경우는 다르겠지만 얼리억셉스를 포기만하면 패키지 게임시장은 혜자가 맞습니다.
@user-bp4in3rh9j
@user-bp4in3rh9j Жыл бұрын
pc가 혜자가 아니죠. ㅎㅎ
@sync2ne198
@sync2ne198 Жыл бұрын
@@user-bp4in3rh9j 글쓴이의 논지를 전혀 이해못하고 이런 답글을..
@user-bp4in3rh9j
@user-bp4in3rh9j Жыл бұрын
@@sync2ne198 그냥 한마디 붙인거죠. 요즘 pc값이 미쳐서 4090 가격보면.
@sync2ne198
@sync2ne198 Жыл бұрын
@@user-bp4in3rh9j 그러니까 그 한마디를 왜 전혀쓸데없는데다 붙이냐는 겁니다 일상생활 대화하고 사나요 ?
@kucktaelim2054
@kucktaelim2054 Жыл бұрын
@@sync2ne198 영상 주제와는 직접 관계는 없어도 그냥 요즘 세태를 보고 웃자고 말한 드립이라고 볼 수도 있는 댓글에 일상 생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가 묻는 건 너무 과격한 거 아닌가 합니다. 굳이 누군가가 그런 조롱성 질문을 받아야 한다면 이 경우 어느 쪽이 더 합당할지... 그 "드립"이 딱히 누군가를 조롱하는 내용도 아니었을 텐데요...
@LEEkyouho
@LEEkyouho Жыл бұрын
환율상승과 가격상승이 콜라보해서 단밖에 2배가 됐으니😂😂
@user-si9rq6ni8d
@user-si9rq6ni8d Жыл бұрын
디아이번에 비싼거보다 미완성으로 내거나 하자가 있는 가능성 때문에 예구자체가 불안함 디아시절은 항상 초기때 서버문제가 항상터졌음 더군다나 최근에 터진 내부사건으로 제대로 만들었을 여력이 있나 싶음 그래서 사더라도 좀 지켜보고 살려고함
@Orangefortime
@Orangefortime Жыл бұрын
저도 흥미가 가긴하면서도 오히려 충분히 평가가 쌓인뒤에야 구매하고싶어요. 메타크리틱 기준 95점은 되야 만족할거 같은 가격이거든요.
@silvrain7
@silvrain7 Жыл бұрын
맞는 말씀입니다. 비싸다고 생각되면 안사줘야 전체적인 게임비용 상승을 막을 수 있을 것입니다.
@CHOEMUI
@CHOEMUI Жыл бұрын
안비싸다 생각하는 사람이 대다수가 된다면 그게 시장의 선택인것도 인정해야하죠 사는 사람 비난하는 부류들 많은데 시기질투밖에 안된는듯
@panda-king
@panda-king Жыл бұрын
솔직히 모바일 게임도 같이 즐기는 입장에선 그다지 비싸게 느껴지진 않아요. 하지만 요즘 게임사들이 완성되지도 않은 게임을 출시하는 일이 비일비재한 것도 사실이라 나오고나서 반응보고 사는게 가장 좋을것 같네요.
@zpzero8115
@zpzero8115 Жыл бұрын
@@CHOEMUI 뭘 그깟 10만원 가지고 시기 질투까지 나오냐 ㅋㅋ 마인드가 딱 10만원도 없는 그지는 겜하지마 말하는 븅딱 마인드네 ㅋㅋ
@user-mb7gc9zy7z
@user-mb7gc9zy7z Жыл бұрын
@@panda-king 님이 비싸게 느껴지지않는다고 해서 다른 사람들도 그렇게 생각 하진않음.
@ahnn19
@ahnn19 Жыл бұрын
@@user-mb7gc9zy7z 그럼 안사시면 됩니다
@iiii0909
@iiii0909 Жыл бұрын
근래 유튜버들 중에는 드물게 말씀을 상당히 논리적이고 깔끔하게 하시네요. 발음도 명확하고 문장 중간중간 비속어(ㅋㅋ)와 구어의 혼용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영상 잘 보았습니다. 계속 좋은 컨텐츠 보여주세요.
@gogoqgo
@gogoqgo Жыл бұрын
완벽
@user-my7ok7uf3i
@user-my7ok7uf3i Жыл бұрын
시기도 꽤 큰영향이있을듯.. 경기침체 분위기로 가고있는데 물가는 오르는 정말 힘든시기가 오고있네요 ㅠ.ㅠ
@rubinski71
@rubinski71 Жыл бұрын
물가를 잡기위해 강제로 침체를 만들어 이용한거라 어쩔수 없습니다
@SandWhaleWH
@SandWhaleWH Жыл бұрын
옛날 게임은 매 게임을 팔 때마다 CD 및 패키징, 유통 등에 돈이 들었는데 현재는 그렇지 않으며, 사실상 한계비용이 0이라는 점도 가격이 크게 오르지 않은 데에 한 몫 한 것 같습니다
@kvbhjdse
@kvbhjdse Жыл бұрын
그 유통 비용이 플래폼 수수료로 10~30%로 바뀌었죠
@user-zu4qq7vl3k
@user-zu4qq7vl3k Жыл бұрын
@@kvbhjdse 데 예전에 정직하게 패키지 팔때는 수수료가 10-30퍼가 아니라, 게임사가 먹는돈이 30퍼였을거예요. 패키지 제작,포장업자가 떼가고, 유통업자가 떼가고, 도매점이 떼가고 소매점이 떼가고 기타등등 떼갈사람들이 훨씬 많았거든요. 플랫폼 수수료 30퍼가 비싸다는건, 앉아서 돈벌면서 그정도 떼가는게 말이 되냐는 말이지 예전 패키지 판매할때랑 비교하면 게임사입장에서도 엄청난 이득입니다
@user-sn8sc3um7o
@user-sn8sc3um7o Жыл бұрын
@@yucknun 소비자 입장에서 비싼거고 게임사 입장에서 보는 순수익은 크게 떨어지지 않았다고 보는게 맞죠. 기업이 어떤 족속인데 가만히 손해보는걸 지켜보겠습니까?
@user-sv4uh9li7x
@user-sv4uh9li7x Жыл бұрын
@@user-sn8sc3um7o ㅇㅇ 애초에 과거 씨디같은 실제 '패키지'상품을 팔던때는 원가라는게 존재했는데 요즘은 그냥 팔수록 이득이라 가격이 아무리 안올랐어도 접근성이 비교도안되게 좋아져서 이익 절대 안떨어졌음 ㅋㅋㅋㅋ 예전에도 게임 해본 사람들이면 게임업계에서 전체적으로 회사이익이 줄었다는건 콧방귀도 안낄 개소리임 ㅋㅋㅋ
@user-pj8pl5zu5i
@user-pj8pl5zu5i Жыл бұрын
@@user-sv4uh9li7x ㅇㅇ 그래서 판매량줄면 할인자주때려서 팔잖아요 ㅋㅋㅋ 그게 이득이니까
@user-qf2qk7sk8l
@user-qf2qk7sk8l Жыл бұрын
가격이 오르는게 문제가 아니라 게임의 질이 오히려 과거에 비해서 떨어지는 느낌도 있어서 문제인 듯 사무라이 메이든 같은 쿠소게임이 엘든링 보다 비쌈 물론 국내기준으로도요
@yoonjealee2427
@yoonjealee2427 Жыл бұрын
그건 아니지 옛날이나 지금이나 풀프라이즈 받고 쓰레기인 게임은 항상 있었음 그 유명한 et사건 모르시나?
@user-hl1sm8qx8r
@user-hl1sm8qx8r Жыл бұрын
@@yoonjealee2427 et면 아타리 시절 말하는건가? 그 땐 게임 산업이 제대로 자리잡긴 커녕, 아타리가 비디오 게임 거의 독점하던 시절이라 지금 상황이랑은 매치가 안된다고 봄
@digduck9463
@digduck9463 Жыл бұрын
오죽하면 디아2 리마스터가 3보다 낫다는 이야기가 많이나오는 슬픈현실
@021622kw
@021622kw Жыл бұрын
삼국지9 2003년도에 출시했을때 9만원이었음. 그때 구매한 기억이 있네
@user-jh8zz1wk1h
@user-jh8zz1wk1h Жыл бұрын
@@yoonjealee2427 유명 IP를 망치고 풀프받는건 문제지 ㅋㅋ 물론 아직 안나왔으니 모르는 일이지만 그리고 9.5면 풀프 초과라고 생각함.
@user-hf1ox6bw5r
@user-hf1ox6bw5r Жыл бұрын
내용좋고 이슈는 잘팟는데 그래서 지식백과님은 어디쯤에?
@engineerk777
@engineerk777 Жыл бұрын
편파적이지 않고 정말 멋잇네요
@user-iz2ig6ko9b
@user-iz2ig6ko9b Жыл бұрын
내가 게임사입장이라도 개발비 많이 드는 패키지게임 보다 모바일게임 만들어 대박 노리겠다. 근데 문제는 모바일게임은 왜 이렇게 규제가 없는건지 궁금. 예전 피씨 온라인 게임은 과금유도에 대한 규제가 꽤 있었다던데..
@user-ci7wu9sm3w
@user-ci7wu9sm3w Жыл бұрын
진짜 완성도 생각하면 가격 ㅈㄴ괘씸함... 사펑 통수는 진짜 ㅋㅋㅋ
@user-eg5ts9ql6p
@user-eg5ts9ql6p Жыл бұрын
일부 유저의 글카 가격으로부터 지갑을 지켜준 갓펑 ㅋㅋ
@allthatlove904
@allthatlove904 Жыл бұрын
겜 채널에 특화된 보이스 ❤
@duck.e4348
@duck.e4348 Жыл бұрын
리니지 뽑기 몇번할빠에엔 대작게임사서 재밌게 즐길수만있다면 괜찮은 가격이라 생각합니다.
@minsookim941
@minsookim941 Жыл бұрын
블쟈의 하락세가 저 가격을 더 극적으로 창렬스럽게 보이게 함
@postgres2981
@postgres2981 Жыл бұрын
다른 회사도 아니고 이미지 신경써야할 블쟈가 저 짓거리를 하니 더 반발심이 생길 수 밖에. 그냥 게이머들 흑우로 길들이려는 듯
@user-wx5rl3rd8c
@user-wx5rl3rd8c Жыл бұрын
ㅇㅈ 블리자드 너 뭐 돼?
@user-bm2kl2sp1c
@user-bm2kl2sp1c Жыл бұрын
옵치도 겜에 비해 가격도 ㅈㄴ 비싸고 운영 개판이였는데 사기 두렵네요 디아4
@postgres2981
@postgres2981 Жыл бұрын
아 알겠다... 블쟈 생각이 뭔지 알겠다. 우리 이 게임에 자신 있음 > 몇 몇 흑우들이 먼저 산다 > 평가가 좋다 > 나머지 사람도 비싼 가격임에도 어쩔 수 없이 산다 이 그림 생각하고 있네 근데 게임이 정말 재밌는지는 나와봐야 아는거라 그게 쟁점이 될듯. 사실상 블쟈의 마지막 게임이 될 수도 있는데 과연
@invink6716
@invink6716 Жыл бұрын
"미안한데, 디아3 리포지드 에디션을 저 가격에 살 생각이 읍서요" 그리고 쌀국 인플레, 알빠냐~ 자업자득
@TailsFoxGMR
@TailsFoxGMR Жыл бұрын
옛날이랑 가격비교한다면.. 옛날처럼 게임 다 완성해야 게임출시 가능해지고 , 구매한사람들에게 실물 게임페키지 무조건 제공 해줘야......
@user-st5tw6yq7y
@user-st5tw6yq7y Жыл бұрын
와 김성회님 제작자와 게이머와의 사이를 잘 나눠서 생각해주는 이야기 너무나 잘보았습니다 정말 공감하는 이야기가 많았습니다 앞으로도 모든 게임인들의 입장을 들어서 알려주시길 간절히 바래봅니다
@user-fr1wi6jp1o
@user-fr1wi6jp1o Жыл бұрын
분위기보고 사야지 ㅎ
@Stein_0722
@Stein_0722 Жыл бұрын
10만원이든 100만원이든 그 가격에 걸 맞는 체험과 볼륨으로 나온다면 언제든 환영이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태반이죠..
@PORON_VIS
@PORON_VIS Жыл бұрын
사실 디아4는 게임이 잘 나왔으면 하는 마음이 개인적으로 더 큽니다. 가격이야 뭐... 모바일이랑 pc 다 즐기는 입장이라 트럭1개값이면 그러려니 합니다. (그래도 처음 가격 보고 흠칫 했던건 맞아요ㅋㅋ...) 아직은 발매까지 남은 시간이 많고 심지어 4일전 얼리억세스도 되니 그때 가서 리뷰 보고 구매 고려할 예정입니다.
@user-jm1fh5ff6f
@user-jm1fh5ff6f Жыл бұрын
옛날에 워크래프트3 확장판까지 해서 5만원 6만원 정도 했던 것 같은데 지금도 어지간한 게임 가격이 그런 거 보면 가격변동이 너무 없긴 했음. 다만 그때는 마트가서 큰 박스에 cd랑 가이드북 책자 큰게 같이 들어서 뭔가 사는 맛이 있었죠. 요즘은 그냥 온라인 결제하고 바로 다운로드하는 거라 뭔가 손해 보는 기분이 든달까..
@1453427
@1453427 Жыл бұрын
리니지 하는사람으로써 개혜자로 보임
@user-sz6fh2ec6m
@user-sz6fh2ec6m Жыл бұрын
이럴땐 그냥 개발에 쓴 비용과 매출 예상비용이이랑 향후 예상 유지비용을 투명하고 신뢰성있는 전문가의 계산 후 보여주는것도 방법이지 않을까요...
@user-cd9oe3yo3r
@user-cd9oe3yo3r Жыл бұрын
플레이타임은 차치하고 그가격의 퀄리티와 감동,재미,전율을 느낄 게임이라면 솔직히 비싸져도 아깝지 않은데.. 문제는 버그나 컨텐츠부족은 dlc와 추후패치로 미루겠습니다~ 하는 요즘 게임회사들 마인드가 참 아쉬운듯
@sparkymin
@sparkymin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izumiaco5079
@izumiaco5079 Жыл бұрын
팔다리 없는 X신을 풀피스마냥 쳐팔고 팔다리 DLC로 쳐파는 꼬라지보면 답 안나옴
@jaymeshwang7069
@jaymeshwang7069 Жыл бұрын
음. 과거에는 공장에서 찍어내고 유통해야 하지만 지금은 다운로드 방식이라 유통 및 생산비용이 빠졌고 게임시장 규모가 커져서 수요가 크게 늘었는데 과거 게임 비용과 단순 비교하긴 어려운 듯.
@user-ve7yy6lm6z
@user-ve7yy6lm6z Жыл бұрын
레시피는요..
@user-cc4co1dr4w
@user-cc4co1dr4w Жыл бұрын
디아2 나왔을때 만큼의 재미를 느끼게 해주면 더 비싸더라도 사서 하지만.. 왜 이번에 기대가 안되지.ㅠㅠ
@hmmi
@hmmi Жыл бұрын
게임사계의 BBQ;;
@user-xh2cj1ke1g
@user-xh2cj1ke1g Жыл бұрын
사실 요즘 게임에 인력 갈려나가는거 생각하면 가격 자체는 문제라곤 생각 안함 퀄리티가 유저를 만족시키냐 마냐가 가장 큰 문제인데 이건 게임이 나와봐야 아는거라
@johnkim760
@johnkim760 Жыл бұрын
옛날에는 게임이 완성되어 나왔고 실물로 나와서 중고거래도 되고 그랬지만 요즘엔 게임을 산다기보다는 이용권구매같은 의미라 체감하는게 다르긴하죠. 닌텐도스위치 칩으로 파는건 가격좀 비싸도 중고거래 잘되니까 크게 말없는 이유죠
@Create.CatMomMeateBall
@Create.CatMomMeateBall Жыл бұрын
그렇네요 디지털인데 이 가격은 별로 납득이 안가는 실물이면 어느정도 메울수가있는데
@red2love
@red2love Жыл бұрын
게임 기업 입장에서 완성품 바로 출시하면 복돌 도니깐 미완성으로 조금씩 업데이트 해주는 것임.
@banpler4850
@banpler4850 Жыл бұрын
디아는 이만 추억속에 묻기로 하였습니다.
@user-rp2im6lh7f
@user-rp2im6lh7f Жыл бұрын
물론 이번에도 디아4는 일반판으로 구매할 예정이지만 제 기준에 디아3 출시때가 블자 신작에 대한 마지막 설렘이었던거 같음
@kh.5826
@kh.5826 Жыл бұрын
물가인상률대비 게임 가격이 싸진 것 맞습니다만, 과거 롬팩 가격과 지금의 다운로드 가격의 비교는 무리라고 생각됩니다 롬팩 카트리지라는 매체는 과거에도 상당히 비싼 매체였습니다 그 후 디스켓이나 CD,DVD 등의 저럼한 매체로 바뀌어 가면서 가격이 많이 다운되었고요 지금의 다운로드가 주가된 시대에는 롬팩 생산 단가에 버금가는 스팀 수수료를 게임사에서 지불해야 하죠
@lmju21
@lmju21 Жыл бұрын
예전엔 패키지사면 설정집 원화 카드 몇개는 기본이라서 완전 고급졌죠
@poockpoock2
@poockpoock2 Жыл бұрын
그렇게 보면 또 요즘게임은 서버기반이라 서버 유지비용을 들먹이고 블리자드는 자체 클라이언트가 있지만 말씀처럼 스팀이나 딱히 자체 유통서버가없는게임사의경우 눈물을 머금고 유통서버에 수수료를 내야하는현실이죠 ㅎㅎ 세상이 변한만큼 유연하게 살아보려하지만 가끔 이게맞나 하는게 요즘 세상이네요 ㅋㅋ
@YeesuJeju
@YeesuJeju Жыл бұрын
확실히 균형잡힌 중도의 포지션이었다.. 감탄감탄
@user-pz4oo2lo7t
@user-pz4oo2lo7t Жыл бұрын
설날에 할인할듯
@MOSSOLV
@MOSSOLV Жыл бұрын
그때 가격이 비쌋던건 패키지를 실제로 사야했고 소장할수 있기때문이고 지금은 디지털로사는거라 그부분은 제했어야죠
@user-ew6mk9rz1v
@user-ew6mk9rz1v Жыл бұрын
진심으로 하는말은 아니죠..? 씨디한장, 페이퍼 몇장에대한 가격을..?
@user-sh5qb8tb7g
@user-sh5qb8tb7g Жыл бұрын
@@user-ew6mk9rz1v 그게 단순 시디값 종이값으로 끝난다고 생각해요? 유통은? 매장 운영은? 인건비는? 모든걸 다 제하고 편하게 게임만 온라인으로 파는거잖아요
@user-th7kx2gx8y
@user-th7kx2gx8y Жыл бұрын
@@user-ew6mk9rz1v 그당시 패키지는 실물로서의 가치성이 있었던 반면 지금의 디지털다운로드식 판매의 경우는 패키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치성이 떨어진다고 볼 수도 있을것같네요
@miubu2907
@miubu2907 Жыл бұрын
온라인으로파는 플랫폼이 수수료없이공짜라고 생각하시나요
@user-th7kx2gx8y
@user-th7kx2gx8y Жыл бұрын
@@miubu2907 얘네 배틀넷으로 직접파는데 무슨 수수료요?
@HowPants
@HowPants Жыл бұрын
10:18 22년을 풍미하는 타게임발 드립 누칼협과 알빠노가 돌고돌아 블리자드와 유저간의 주장문구가 되어버리다니 가슴이 아이러니해진다
@Elias_Park
@Elias_Park Жыл бұрын
게임플레이 영상 보고 10만원 넘길 거라고 예상했었는데 현실이 되었군요. 어차피 디5도 10년 뒤에 나올거라 완성도만 높게 나온다면 상관없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제 최애겜의 가격이 이렇게 비싸다는 것은 매우 아쉽지만 그래도 블리자드는 '양심적'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이제 코인 채굴이 안되기 때문에 카드 가격을 올려 받는다는 에미비디아 보다는 훨씬 말이죠. 단 궁금한 점은 환율 내려가면 가격을 내려줄까? 입니다..
@user-vs6jj6xg2z
@user-vs6jj6xg2z Жыл бұрын
너무 말씀 잘하시네요 저도 가격보고 구입을 망설였네요 지켜보기
@user-kk5cq6wx1q
@user-kk5cq6wx1q Жыл бұрын
아무리생각해도 10만원은 예구하기 꺼려짐 해보고 결정하는게 맞음 ㅋㅋㅋㅋㅋㅋ
@uksle2ove
@uksle2ove Жыл бұрын
옛날 게임은 패키지 하나 사면 그걸로 끝이었는데 요즘은 부가적으로 수익 창출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9만원대는 비싸다는 생각이 영상 보면서도 지울 수가 없넹ㅠㅠ 7~8만원이었으면 납득되는 가격이었을 것 같음. 저러고 또 DLC랑 확장팩 따로 팔 거자너...
@user-ib7sc4eh7q
@user-ib7sc4eh7q Жыл бұрын
앞으로 나올 dlc까지 즐길려면 디아4 20정도로 생각
@21kyun32
@21kyun32 Жыл бұрын
최고의 퀄리티의 본편에 추가 과금요소 없음, DLC 0.7본편급 퀄리티가 본편가격 정도면 비싸다고 생각들지않을것같습니다 과거의 게임이 이랬죠 하지만 요즘은 중퀄리티 본편에 시즌패스, 스킨등 추가 과금 요소가있고 심지어 추가 과금요소는 퀄리티가 높지도않음 DLC는 영상에 나온것처럼 추가가 아닌 본편에 빼놨던 요소를 끼워 맞추는 느낌이라서 더 비싸게 느껴지는것 같아요 차라리 디아블로같은건 게임을 7만원대에 하고 스킨을 엄청나게 잘 뽑아주면 추가 수익금으로 오래오래 빨아먹을 수 있는건데... 시즌패스에 진짜 개쩌는 꾸미기요소 몇개만 들어가도 엄청나게 살것 같습니다
@delgatoklay128
@delgatoklay128 Жыл бұрын
2000년대 초반에 PC방가면 포트리스,스타,디아블로2가 거의 다였습니다. 어릴때 패미콤 팩하나사면 빵꾸나도록 했죠 근데 지금은 각자 선호하는 게임이 너무나 다양합니다. 예전처럼 하나사서 진득하니 주구장창 할꺼면 10만원 하나도 안아깝겠지만, 하고있는게임이 너무 많을겁니다. 또 대체게임이 많아서 예전같은 인기가 있을지 모르겠네요
@user-cd1sb7fq7p
@user-cd1sb7fq7p Жыл бұрын
게임은 취미에 대체제일뿐이지 취미 자체가 될수는 없다.
@carlyounsh
@carlyounsh Жыл бұрын
영상 내용에 나온 것 외에 '판매 방식의 변화'도 게임값 상승에서 감안해야 할 내용에 추가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옛날엔 패키지 만들고 씨디 굽고 하면서 실제 물건을 만들어서 팔아야 했는데, 이제는 그냥 서버에 올리고 유저는 다운로드만 받으면 되기 때문에 '유통'에서 필요한 비용이 사실상 거의 다 사라졌는데 그런데 게임사들은 이렇게 사라진 유통비용의 문제는 언급하지 않고 있다는 겁니다.
@jwh3114
@jwh3114 Жыл бұрын
그 유통비용을 플랫폼이 받죠. 입점수수료가 그 개념에서 시작한 거고요. 니네 제품 팔아줄 시장 깔아줄테니 오프라인으로 팔 때 예상되는 홍보/제조/물류비용만큼 우리는 받겠다 + 내가 만든 시장이니 시장 점포 임대료도 추가! 사실 플랫폼이 생기면서 판매점 농간에 당하거나 발품파는 비용/시간 줄어든 것도 굳이 계산하지 않듯이 유통비용의 변화는 시대적 변화로 감안하고 넘어가는 게 맞지 않나 봅니다.
@user-bx1gi9cg4c
@user-bx1gi9cg4c Жыл бұрын
유통비용 없어진건 아니죠 서버에 공짜로 올리는 것처럼 말하셨는데 플랫폼들이 있잖아요. 스팀, 앱스토어 등등..
@sgu5896
@sgu5896 Жыл бұрын
물리적인 유통만 유통이 아닙니다
@carlyounsh
@carlyounsh Жыл бұрын
@@user-bx1gi9cg4c 유통비용이 없어졌다는게 아니라 많이 줄었다는 이야기 입니다
@carlyounsh
@carlyounsh Жыл бұрын
@@sgu5896 유통 자체가 사라졌다는게 아니라 유통 비용중 많은 부분이 사라졌다는 이야기 입니다
@tae-yangroh1875
@tae-yangroh1875 Жыл бұрын
영상에서 언급했듯이 완성된 게임으로 출시된다면 충분히 지불할 만한 가격입니다. 과연 디아4가 출시부터 칭찬을 받을지 일단은 지켜보겠습니다. 얼리엑세스 리뷰 보고 구입할지 고민좀 해봐야 할듯합니다. 솔직히 게임 구입해놓고도 안하는 게임들이 라이브러리에 넘치다보니 급하지 않은 게임들은 추후 세일할때 사도 늦지않는다는것을 너무 많이 느껴왔기때문이죠.. 고담나이트도 예약구매했으면 정말 뒷목 잡을뻔했습니다.ㅎㅎ 오늘 에픽가보니 50%에 추가 쿠폰 25%까지 할인 받을 수 있더라고요..
@paarl4393
@paarl4393 Жыл бұрын
지금 이런 이슈에서 끊임없이 승리를 이어가는 위쳐3는 대체....
@user-nh8ex6pc1v
@user-nh8ex6pc1v Жыл бұрын
예전에는 일본 버블이라 소프트 가격 비쌋던거 아닌가요? sfc 카트리지같은건 기본 12만원정도 했는데
@f6tw4f6f3rcy7
@f6tw4f6f3rcy7 Жыл бұрын
완성도+재미+플탐 보장해주면 10 만원도 싸다고생각함. 이만큼 가성비좋은 취미가 세상에없다 나가서 술마시면 저녁 몇시간 재밌게즐기자고 몇만원 우습게나가니까...
@user-qt2eb7uu9m
@user-qt2eb7uu9m Жыл бұрын
당연히 술마시고 먹는것보단 남는건 ㅇㅈ 근데 게임 타이틀값이 10만원 넘는건 선넘은듯
@jojodancer0828
@jojodancer0828 Жыл бұрын
근데 생각해보면 90년대 중반에 샀던 문명2가 3~4만원대였던걸 생각하면 게임 가격이 예전에 비해 떨어진건 맞기는 함
@user-ep8bw6sz9i
@user-ep8bw6sz9i Жыл бұрын
그떈 그냥 한국이 가난했던..
@user-sq2gk7pn8b
@user-sq2gk7pn8b Жыл бұрын
@@user-ep8bw6sz9i 90년대중반이면 imf직전 한국 최전성기죠. 컴퓨터 300~500만원 ,비디오게임 해적판팩 하나에 20만원 ,자동차 2000만원해도 현금유동성이 좋아 월급적어도 불티나게 팔리던 시기.
@user-sb7xb3zp9f
@user-sb7xb3zp9f Жыл бұрын
전 패키지 게임들이 좋은 퀄리티의 를 갖춘 게임이 합당한 가격형성을 한다면 좀 더 비싸게 나오더라도 좋겠습니다
@luuluupapa
@luuluupapa Жыл бұрын
가격 동일화 가장 큰 이유가 리즌락을 풀어서 그런거 같아요. 디아4로 한국, 미국, 남미 에서 파티 해봤네요.
@user-wi2vp9hc1h
@user-wi2vp9hc1h Жыл бұрын
풀프라이스에 dlc 가격 더한 가격인데 문제는 저기다가 시즌패스 같은거 더해서 더 뜯어먹는게 문제인거지. 내 기억에 디아3 한정판이 10만원 정도 였던걸로 기억하는데 한정판도 아니고 저 가격에 더 뜯어먹는 거면 양심 없는 거임. 모바일 게임도 아니잖아. 돈 더 뜯어먹고 싶었으면 모바일로 내던가
@nautregeajugi
@nautregeajugi Жыл бұрын
모바일로 내면 더 욕할텐데요?ㅋㅋㅋ
@user-mh7tr1dq3d
@user-mh7tr1dq3d Жыл бұрын
안하시면 됩니다. 모바일겜 하시면서 한달에 몇십만 몇백만원씩 쓰면서 게임하시면 됩니다. 당신이 좋아하는 게임을 하시면 됩니다. 당신이 싫어하는 게임을 안하시면되고 그 게임에 신경도 쓰지 마세요. 신경쓰다보면 열받고 머리카락 빠져요
@user-mv9iz4kr7m
@user-mv9iz4kr7m Жыл бұрын
비싼만큼 실물을 보고사야지... 예구는 이젠 힘듬
@miamasvin5874
@miamasvin5874 Жыл бұрын
라오어2 이후론 예구 절대 안 하게 됨ㅋ
@JAPARI_0
@JAPARI_0 Жыл бұрын
얼마가 나가든 전작보다 인벤토리가 넓다면 안창렬입니다.
@user-pw2gd5rq7g
@user-pw2gd5rq7g Жыл бұрын
모더원페어 2를 124,000원 주고 볼트에디션을 구매했죠.. 현실은 게임이 하도 튕겨서 겜 자체를 제대로 하지도 못하고 있는 실정....이거 단체 고소 때릴 수는 없는건가요~~
[스타필드 코리안 패싱의 이유는] ①돈 ②혐한 ③여자친구
16:13
김성회의 G식백과
Рет қаралды 485 М.
블리자드 82조 딜을 막아서는 101개의 세력들
14:04
김성회의 G식백과
Рет қаралды 487 М.
PINK STEERING STEERING CAR
00:31
Levsob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She ruined my dominos! 😭 Cool train tool helps me #gadget
00:40
Go Gizmo!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We Got Expelled From Scholl After This...
00:10
Jojo Sim
Рет қаралды 22 МЛН
블리자드 락★스타들의 민낯이 드러나다
12:34
김성회의 G식백과
Рет қаралды 828 М.
[챗GPT] 챗봇 쩌는 게 게임이랑 무슨 상관이겠냐
11:46
김성회의 G식백과
Рет қаралды 219 М.
마블이 몰락한 다섯 가지 이유
50:50
발없는새
Рет қаралды 315 М.
7  ПАРАДОКСОВ БЕСКОНЕЧНОСТИ
36:02
Mathin
Рет қаралды 327 М.
컴플리트 가챠 확률뽑기 - K게임이 넘지 말아야 할 선
14:39
김성회의 G식백과
Рет қаралды 469 М.
이제 돈도 못 버는 NC 근황
11:38
펭귄몬스터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퇴사한 디렉터가 밝힌 디아블로 개발비화 [디아2 레저렉션 #2]
11:59
АКУЛА АДАМ НУБТАН МЫҚТЫҒА АЙНАЛДЫ (GTA V)
1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