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이너 입장에서 바라본 생성형 ai 대해서 SORA

  Рет қаралды 51,264

유실장의 디자인 배우기

유실장의 디자인 배우기

4 ай бұрын

open ai에서 sora라는 생성형 ai 모델이 발표된 후 많은 디자이너들이 충격과 공포에 빠졌는데 ai로 프로젝트를 하고 수익화를 어느정도 이루어본
입장에서 제 개인적인 생각을 이것저것 적어봤어요.
openai.com/sora
www.midjourney.com/explore
www.internetmap.kr/entry/Stab...

Пікірлер: 254
@Monotontube
@Monotontube 3 ай бұрын
말씀하시는 것들과 적어주신 것들을 볼때마다 굉장히 공감가는 구간이 많네요. 챗GPT/DALLE3 자주 쓰는 사람으로써 창작쪽 부문은.... 좋은말로 하면 "대중적"이고 안좋은말로 하면 "뻔해보이는" 결과물들만 나오는 경우가 많더라고요. 개인적으로 AI가 점점 발달하고 우리 일상속으로 들어올수록 디자이너의 "재량"이 점점 더 크게 작용하면서 되게... 아마추어와 프로의 경계가 더욱더 벌어질거 같은 느낌이 듭니다. 영상 잘 보고 갑니다 :) 이런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you_siljang
@you_siljang 3 ай бұрын
네 저두 그부분을 정말 많이 느꼈어요. 공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gr6vs3zn5p
@user-gr6vs3zn5p 3 ай бұрын
GPT랑 DALLE3는 애들 장난 같은 건데 ㅋㅋ 스테이블디퓨전도 안파보고 뭐해요.. 프롬프트나 세부설정 간섭력도 없는 방식으로 만드니 양산형 뻔한게 튀어나오는 거지
@Monotontube
@Monotontube 3 ай бұрын
@@user-gr6vs3zn5p 정보 고맙습니다 :) 스테이블 디퓨전 이용해서 재량 길러서 요긴하게 써봐야겠네요
@if28fx
@if28fx 3 ай бұрын
인상깊은 의견이네요. 디자이너로서의 역량을 더욱 키워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johnbillon7757
@johnbillon7757 3 ай бұрын
@@if28fx 큰 의미는 없을 겁니다. 디자이너가 10년에 걸쳐서 힘들게 쌓은 역량 chat GPT는 10초면 학습합니다. 다른 방향으로 생각하셔야 할 겁니다. 디자이너를 기반으로 한 다른 무엇을 요.
@user-yb3se2tj3w
@user-yb3se2tj3w 3 ай бұрын
AI관련 영상 본 것 중에 가장 건설적이고 힘이 되는 영상이네요. 영상분야에 늦게 입문해, 이제 겨우 경력1년 채워가던 시기에 AI에 의한 무용론이 퍼져 마음이 복잡했습니다만, 덕분에 생각이 많이 정리됐어요. 감사합니다!
@you_siljang
@you_siljang 3 ай бұрын
네 ai는 우리를 도와주는 존재니까 너무 걱정마세요 감사합니다.
@jeeyounglee1811
@jeeyounglee1811 3 ай бұрын
최근에 관련 영상과 정보들 많이 뒤져봤는데요. 말씀하신 것 깊이 공감하는 바입니다.
@mover0513
@mover0513 3 ай бұрын
새로운 툴에 주눅들지말고 계속 써봐야겠네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you_siljang
@you_siljang 3 ай бұрын
네 정말 해보고 적용하다 보면 과장된 정보에 속지 않고 겁먹지 않고 나만의 먼가를 만들어 갈 수 있을꺼예요 댓글 감사합니다.
@DD-qx8cs
@DD-qx8cs 3 ай бұрын
구독하고 갈게요, 앞으로도 디자인과 AI 관련해서 도움이 되는 영상들 많이 만들어주세요!
@타임머신
@타임머신 3 ай бұрын
공감 투성이입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art0411
@art0411 3 ай бұрын
여러 생각들이 있었는데...영상을 보니 잘 정리가 되네여~~ 감사합니다~
@you_siljang
@you_siljang 3 ай бұрын
도움이 되셨다니 감사합니다
@user-rf6nj2ue8z
@user-rf6nj2ue8z 3 ай бұрын
저도 느끼는게 디자인을 멋지게 만드는것만이 디자이너의 일이라고 생각하는 대중이 많아서 (사실 프로중에도 많지만)그렇지 사실 디자인이란게 그림보다는 의도를 설계하는 일이라는 것을 사람들이 많이 모르는것 같더라구요 생각하는거 누가 못해 라고 하지만 사실 지금도 그림을 잘그리는 것보다 생각을 그림으로 잘풀어 가는 게 더 어렵다는걸 관과 하는것 같아요.. 결국 Ai의 발전은 노력하지 않는 사람을 많이 만들어 낸다는 생각을 많이 했는데 비슷한 생각을 하시는거 같아 공감이 가는거 같네요
@kwansungjung5871
@kwansungjung5871 3 ай бұрын
인상깊게 봤습니다. 여태 애써 무시하다가 이젠 정말 배워야겠다는 생각으로 여기까지 왔습니다. 개인적으로 ai를 공부하기 위한 과정을 한번 가이드 해주시는 영상도 만들어주시면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습니다. 다른 채널도 많은데 진짜 디자이너분이라서 더 신뢰가 갑니다.
@user-zb6lr4xu2w
@user-zb6lr4xu2w 3 ай бұрын
저도 이 부분에 대해서 항상 현타와 고민이 있었는데 전문가의 명쾌한 답을 들으니 속이 시원하면서 머릿속이 정리되네요..
@user-jq6dl6xl8p
@user-jq6dl6xl8p 3 ай бұрын
머스크의 뉴럴 링크가 나올 때 진짜 난리가 날 거라고 봅니다. 제가 생각한 것을 그대로 구현하게 될 거니깐요. 거기에 ai까지 결합하는 것이구요. 근데 강의 신청하려고 하는데 28일날 사이트에서 신청하면 되는거죠?? 전 사실 디자인쪽에 일 전혀 안 하고 디자인 감각도 전혀없는데 한번 들어보고 싶어서요
@user-he9zk9nz3n
@user-he9zk9nz3n 3 ай бұрын
문제가 되는게 뭐냐면 어느분야의 경지에 올라가려면 시간이란게 필요한대 그 출발점선상에서 현재의 ai는 한계점이 있을지언정 과정이란게 존재하지않으니까 기업입장에서 분야의 전문가 한명이 제대로 나올때까지 투자를 해줄까? 하는 의문점이 들음 그리고 투자해준다고해도 분명히 취업할수있는 풀도 엄청 줄어들거라는거는 자명..
@demzoart
@demzoart 3 ай бұрын
직장 다니면서 해외 타겟으로 하는 그림쟁이인데요. 기술이 발전함에 틱톡, 릴스 등이 퍼지면서 오히려 과정이 중시되고 있듯이 하이퍼리얼리즘과 순수예술이 다시 떠오르고 있습니다. 기술적인 논리대로라면 근대 사진이 발전할 때부터 이런것들은 진작에 없어졌어야 했을텐데 말이죠, 아무리 AI가 발전하여 완벽한 결과물을 보여준다 한들 역으로 그럼 당신은 그걸 소비할 것인지가 중요하죠, 신기한 건 잠깐일 뿐이고 중요한건 그걸 둘러싼 맥락과 본질이라 생각됩니다
@you_siljang
@you_siljang 3 ай бұрын
네 맞아요 대중들이나 기업들은 결국 자신의 가치를 보존하기 위해 유니크한게 무엇인가로 결론을 내리거든요. 사진기의 발명이 인상파와 큐비즘을 탄생시켰듯이 비주얼영상 세계는 또다른 방법으로 크게 변화할것 같습니다
@user-wl9mv3hr9u
@user-wl9mv3hr9u 3 ай бұрын
순수미술 하이퍼리얼리즘? 인간의 손으로 창조하는점을 짚으시는데 이분야는 뜨고지는게 없습니다 뒤돌아보는걸 좋아하는 일부에게만 흥미로울뿐
@minseokwon6484
@minseokwon6484 3 ай бұрын
@@user-wl9mv3hr9u동의함, 근데 이것도 복잡함, 그냥 일부 마이너한 취향이라기엔 그걸로 먹고 사는 사람들이 넘처나기 때문에
@dgyou4061
@dgyou4061 3 ай бұрын
@@user-wl9mv3hr9u 인간은 나이를 먹으면 누구라도 뒤를 돌아보며 삽니다. 오히려 늙어도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며 사는 사람이 드물고 그 때문에 소수의 창의적인 사람들이 권력과 명예를 쥐고 사는 거죠. 분명 그 분야도 AI를 활용한 상품을 만들 수 있고 영향이 있겠지만, 단순하게 생각할 영역은 아니죠.
@user-wl9mv3hr9u
@user-wl9mv3hr9u 3 ай бұрын
@@dgyou4061 그건 기성세대 이야기고 요즘 MZ세대나 잘파세대가 50년뒤에 나이먹는다고 기성세대와 같을까요..ㅋㅋ 인간은 진화합니다 지금 노인분들이 조선시대처럼 사는것도 아닌것처럼요 미래의 노인들은(현 잘파)지하철에서 vr 하고있을겁니다 네
@certifieed
@certifieed 3 ай бұрын
“예전에는 디자이너라는 직업이 있었단다”
@RockLee-im2nj
@RockLee-im2nj 3 ай бұрын
갸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악
@kim63804
@kim63804 3 ай бұрын
공산국가가 도래 하겠네요 사람은 할수 있는 일이 없고 회사와 나라가 생산을 담당하고 인간은 놀고먹으며 배급을 받는 이상적인 공산국가 ㅋㅋㅋㅋㅋ 일안하는게 사람이 행복할수 있을까하네요
@user-ewiduwuw
@user-ewiduwuw 3 ай бұрын
​@@kim63804 그건 서민들 바람이고 부자들끼리 도시국가 만들어 살아도 문제없음.
@nayanaya
@nayanaya 3 ай бұрын
@@user-ewiduwuw 부자들은 노예를 부리고 싶어하죠.
@nayanaya
@nayanaya 3 ай бұрын
@@kim63804 부자들은 놀고먹으며, 가난한 자들은 AI조차도 못하는 더더욱 하급의 일을 하면서 부자들의 노예가 되죠. ㅠㅠ
@rooney4260
@rooney4260 3 ай бұрын
시간과 비용의 측면에서 넘사벽입니다..
@yongpreme
@yongpreme 3 ай бұрын
저는 최근에 비주얼라이징 작업을 감으로 하는 디자이너들은 퇴보되서 없어지겠다라는 생각이 드는데요 디자이너가 사실 설계 작업을 통해서 상대방에게 데이터 분석을 통해서 얼마나 설득력있게 말하는지가 더 중요한 시대로 가는것 같네요!
@you_siljang
@you_siljang 3 ай бұрын
네 상상력이 뛰어난 형상화 능력이 강한 그런 디자이너의 세상이 올것 같습니다. 좋은 댓글 감사드립니다.
@magekweon8335
@magekweon8335 3 ай бұрын
작년초 미드저니 3개월 사용해 보고 느낀점이라 비슷하네요 ! 스테이블 디퓨전 모델 사이즈(PC에서 돌아감)가 작아서 한계가 있겠죠
@user-dr8zb7ms3m
@user-dr8zb7ms3m 3 ай бұрын
ai 이미지 활용해서 캐주얼 게임쪽에서 광고 돌리고 있는데요. 생성형 이미지를 그대로 쓰거나 리소스 뽑아서 이미지나 영상에서 합성하는 방식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일단 "생산성"에서 따라올수가 없습니다. 물론 저희 팀에도 이미지,영상 작업자분들 계시고 이분들이 더 훌륭한 성과는 내주시고 있겠지만 ai 발전 속도는 너무 빠르게 올라오고 있고, 연간 수백억 단위로 광고 예산을 태우고 지표보고 의시결정을 해야하는 포지션에서 ai는 막강한 툴이 되어버렸네요. 업계마다 케바케가 어느정도 있긴 하겠지만 어차피 상위 10%야 ai 잘 활용해서 살아남겠죠. 다만 ai가 내주는 생산성,속도,성과에 뒤쳐지는 중위 하위 디자이너들은 타 업계처럼 대량 해고로 이어질 수 있다고봐요.구글,메타 다니던 엘리트 직장인들도 본인들이 대량해고 당할거라고 생각하진 않았겠죠. 막연히 공포를 가질 필욘 없겠지만 거대한 흐름은 피해갈 수 없다고 보네요.
@you_siljang
@you_siljang 3 ай бұрын
네 빈익빈 부익부는 점점 더 심해질꺼 같아요. 점점 더 소규모 점조직화 되는 현상때문에 잠시도 마음놓을 수 있는 회사도 없을 꺼 같고 계층은 점점 더 벌어지게 되는건 맞는거 같아요. 그 물결에 올라타냐 아니면 밑에 깔리느냐의 싯점이랄까. 그래서 주도적이고 감각있고 비지니스 마인드를 가진 사람이 모든걸 독식하는 시대가 올꺼 같습니다.
@brrr792
@brrr792 3 ай бұрын
이미지 리소스 하나 뽑으려면 최소 몇십 주고 일주일 기다려야했는데. 3분이면 나오니까 거부할 수가 없죠.
@asja1111ify
@asja1111ify 3 ай бұрын
광고 만드는 사람들도 사라질거라는 생각은 안하나요?ㅋㅋ
@user-xx5jk6io6h
@user-xx5jk6io6h 3 ай бұрын
반응들이 긍정적이어서 놀랍네요 2년만에 저 정도 퀄리티내는 ai가 나왔는데 과연...
@you_siljang
@you_siljang 3 ай бұрын
오히려 제발 쓸만하게 완벽하게 나왔으면 하는 바램도 많아요. 게임체인저가 될 정도로. 현업을 하면서 막상 ai를 사용하다보면 그러한 마음이 절실하게 들때가 많거든요. 그리고 현재의 3d그래픽 퀄리티도 만만치않게 급속도로 발전중이라 보는 사람마다 ai에 대해 느끼는바가 다 다를꺼예요
@jaybridge
@jaybridge 3 ай бұрын
AI기술이 이렇게나 빠르게 발전하는 모습을 보면서 놀랬다기보다 당황스러울 정도였습니다.. "사실 AI의 끝을 예상하기가 어렵게 되었습니다" 대중들이 AI의 결과물에 적응하고 인지하기 시작했다는 말도 수개월도 안된 제 스스로 했던 말이였는데, 최근 소라 영상 샘플을 보면서, 했던 말을 뒤로하게되더군요. 결국에는 앞으로 대중들이 원하는, 반응하는, 그 무언가를 기존의 시장가치와는 전혀 다르게 변화해 나갈지 모르겠다는.. 예상하기 어렵습니다. 그저 시장이, 대중들의 인식이나 반응이, 다분히 바뀔 것이며, 우리가 예상하지 못하는 전혀 새로운 흐름으로 갈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해봤습니다. 적어도 현 시점에서는 매우 공감하는 내용의 영상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you_siljang
@you_siljang 3 ай бұрын
댓글대로 사진기가 발명되면서 인상파와 입체파가 시작되었듯이 전혀 다른 비주얼이 트랜드를 지배할것같아요. 광고 영화 영상이란 결국엔 보편성에서 탈출하는 방향으로 가치를 보존시키고 싶은 기업들에 의해 좌우되는거라
@Aroma03
@Aroma03 3 ай бұрын
멋져요 😮
@tjkim8171
@tjkim8171 3 ай бұрын
저도 영상 쪽 현업 종사자 이긴 합니다만, 저희 회사 같은 경우는 파이어플라이를 디자인 래퍼런스 용도를 제외하고는 다른 AI툴은 라이센스 문제 때문에 실무에서는 활용 못하고 있습니다.
@Hansol_Shin
@Hansol_Shin 3 ай бұрын
실무자들에게 정말 필요한 말씀을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ai의 정보에 대해 계속 알아보고 공부하며 현재에 최선을 다하자라는 생각을 하면서도 가슴 한 켠에 불안의 씨앗이 사라지지 않았는데 유실장님의 말씀을 들으니 앞으로 어떻게 해야할 지 방향성이 갈무리 되었습니다. 항상 올려주시는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you_siljang
@you_siljang 3 ай бұрын
댓글 감사합니다. 계속 쓰다보니까 ai는 적군이 아니라 아군이더라구요 ^^
@user-tl4rs6mn1i
@user-tl4rs6mn1i 3 ай бұрын
Ai가 학습한 자료의 출처가 누군가의 작업물이라는 점에서 부정적인 인상이 강하긴 해요. 이 문제가 해결되면 좋겠는데 유야무야 넘어갈것 같아서 😅 귿데 어쩔수 없이 발맞춰 가야 하는건 맞으니 소개해주신 프로그램들 한번씩 써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leekaviyaza6603
@leekaviyaza6603 3 ай бұрын
간단한 CF 광고는 이제 일반인도 수준급으로 만들어 낼수 있을듯..놀라운
@Juyongseok
@Juyongseok 3 ай бұрын
현 시점에서 AI에 대한 막연한 공포심보다는, 현재 하는일&공부에서 도움을 주는 훌륭한 조력자 역할로 AI를 대하는것이 맞을거 같네요. 너무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TrinSevenZ
@TrinSevenZ 3 ай бұрын
훌륭한 조력자가 너무훌륭해서 사용자를 뛰어넘어버리니 문제
@monstershonda
@monstershonda 3 ай бұрын
누가 대해준데요? 아니 그냥 일거리 자체를 안주는데 뭘 스스로 대해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건 님생각이구요 . 사업주 입장에서 디자이너를 쓸필요가없는건데. 뭘 대해요
@philipuuu991
@philipuuu991 3 ай бұрын
개발자들은 진짜 모션그래픽쪽이 AI화 되면 정말 최고임 ㅋㅋㅋㅋㅋ 혼자서 서버 만들고 클라이언트단 GPT사용해서 짜고 대충 로직코드만 만져서 디자인쪽은 싹 다 소라써서 하면 정말 최고임 ㅋㅋ 앞으로 1인 1서비스화가 가능해지겠네요
@jini6580
@jini6580 3 ай бұрын
​@@monstershonda 영상보시면 아셨듯이, 그 AI라는 툴을 제대로 잘다루는 것도 결국 일반인이 아닌 디자이너의 영역같습니다. 지금도 보면 똑같은 AI가 만든 작품인데도... 누구의 손을 거쳤느냐에 따라 고품질에서부터 보기민망한 수준낮은 퀄의 이미지까지 천차만별이더라고요. 기존 디자인 개념이 좀더 확장되고 변형된건 맞는데, 이제 더이상 디자이너들이 필요없어지기보다는 오히려 또다른 형태의 디자이너들이 필요해지는 느낌을 받습니다.
@user-ewiduwuw
@user-ewiduwuw 2 ай бұрын
​@@jini6580 그 툴을 다루는게 점점 쉬워질거라는 생각이 드는데 글쎄요...
@Nemexis_K
@Nemexis_K 3 ай бұрын
챗지피티가 나온지 아직 1년밖에 되질 않았는데 이정도로 빨리 발전한 거 보면 10년, 20년 뒤에는 어떻게 변할지 모르겠습니다. '5. 디자인잘하고 ~~우위'는 변하지 않는 진실이라고 확신할 수 없을 것 같아요.
@user-me8xv8bx4k
@user-me8xv8bx4k 3 ай бұрын
5번의 의미는 결국 명성을 말하는거임 디자인 예술이라는 것 자체가 이름값이 딤당하는 부분이 상당히 크기 때문에.. 다만 5번에 해당되는 사람은 극 소수지.. 근데 이런 논리라면 어느 분야든 1퍼센트가 성공을 한다는 것이라 딱히..
@MouseAlive
@MouseAlive 2 ай бұрын
좋소에있는 ui ux디자이너들은 사실 빨리 대체되는게 이로운거같아요. 결과물도 뱔론데 협업에 방해나되고 프롬프트로 대체가능함
@user-oi4xj2yp4c
@user-oi4xj2yp4c 3 ай бұрын
멋져요
@user-do6hv3ow8g
@user-do6hv3ow8g 3 ай бұрын
소라 발표 이전에도 이미 작은 회사들은 원화가 디자인 파트 파트 많이 짤렸습니다. 작년에도 12명이였는대 1월에 이미 4명됨 10~20명 정도의 외주로 먹고 사는 회사에서 이미 나와있는거 하청하는건 ai 못 따라 가거든요 세세한 팀장급 수정 작업말고는 날라간 사람들 이미 많아요 문제는 12~16명이 작업 하는거보다 3~4명이 작업하는 양이 더 늘어나서 몇년 안에 아예 파트가 사라질거라고 말하고 다니네요 물론 대기업은 다르겠지만 인맥으로 하청도 계속 생존 하겠지만 디자이너 직군이 많이 사라질건 확실하네요 프로건 아마추어건
@hildakang5924
@hildakang5924 3 ай бұрын
AI는 당신을 대체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저 AI를 사용하는 사람이 당신을 대체할 것이다. 영상감사해요.
@you_siljang
@you_siljang 3 ай бұрын
두줄 요약 감사드립니다. 명쾌하네요
@jenna-hn7ye
@jenna-hn7ye 3 ай бұрын
감사해요 ❤
@you_siljang
@you_siljang 3 ай бұрын
저도 감사해요
@user-mp3ii4me9u
@user-mp3ii4me9u 2 ай бұрын
선생님 감사합니다
@cohiba3672
@cohiba3672 3 ай бұрын
영상쪽도 빠르게 대처하고 있기는하지만 발전 속도가 워낙 빠르다 보니 질질 끌려가는 느낌이랄까... 더 문제점은 미국이나 기타 인공지능 선진국에서 향 후 이 분야 산업 선점 중요도가 워낙 높으니 막대한 자금을 투자하고 있다는 것이죠 인공지능 발전 속도는 더욱 가속화 될 것 같네요 이게 작가, 디자이너, 영상관련 직종의 중간 단위의 일자리들이 싹다 날아갈수도 있다는 위기감이 점점 팽배해 지고 있는듯 합니다. 투자자나 기획자들은 같은 돈이면 퀄리티가 좀 떨어져도 크게 차이가 나지 않으면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 당연한 자본의 논리라.
@kbsmd0
@kbsmd0 3 ай бұрын
예술 영역이 수학이나 과학처럼 규칙이 아닌 우연(너무 많은 조합)에 의해 만들어지는 영역이라 생각합니다. AI 이전에는 규칙이 없는 분야라 컴퓨터가 접근하기 불가했지만 AI가 나옴에 따라 사람보다 더 시도를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제 AI가 노릴 영역은 판단의 영역입니다. 사람만이 느끼는 호감와 창작성을 판단하는 교육을 받게 된다면 훨씬 더 좋은 결과물을 낼겁니다. 특이점이 언제 올지 기대됩니다.
@csslick9865
@csslick9865 3 ай бұрын
디자인하고는 좀 다를 수 있는데 현재 AI 모델이 흥미로운 건 실제 인간과 같이 실수도 많이 하더군요. 주도적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말에 공감이 갑니다.
@kmg164
@kmg164 3 ай бұрын
돈 없는 디자인 전공 학생이라 AI 활용 강의 구매하기도 망설여지고 당장 미드저니나 달이 써보고 싶긴한데 정기 구독 형태라 꺼려지고 그러네요 전역 후 복학이라 기존 툴 다루는 능력도 신입생 수준으로 떨어진 상태인데 당장 개강 2주 전이고... 세상이 저만 남기고 너무 빨리 흘러가는 것 같은데 뭘 해야 할까요
@you_siljang
@you_siljang 3 ай бұрын
활용 강의 구매는 현재로썬 비추구요 미드저니는 한번 구독해서 사용해보세요. 그렇게 큰돈은 아니고 배우는데 어렵지도 않아요
@user-nx6gv8ju9l
@user-nx6gv8ju9l 3 ай бұрын
윈도우 코파일럿 사용 해보세요 무료이구요 텍스트 넣으면 그림 만들어 주고 좋아요!! 화이팅
@user-nx6gv8ju9l
@user-nx6gv8ju9l 3 ай бұрын
유데미 강의는 싼게 많으니 그것도 활용 해보세요~할인도 자주 한답니다
@khwork235
@khwork235 3 ай бұрын
스테이블 디퓨전은 오픈소스라서 다들 무료로 사용합니다. 다만 초기 설치시 구글링하는 수고가 좀 듭니다
@user-ny5pm8kz3y
@user-ny5pm8kz3y 3 ай бұрын
냉정하게 컴퓨터로 작업하는 그래픽 디자이너는 산소호흡기를 달고있을 뿐. (이것을 주도할 극소수는 살아남겠지만) 이제 모빌리티, 로봇들까지 상용화 되면 기존 자본주의 체제로는 현 사회를 유지할 수 없는 상황이 오고 새로운 혹은 보완된 체제가 도입될 거임. 우리가 힘든건 적응이 불가능할만큼 변화가 빠르기 때문이지 차라리 완전히 자리를 잡으면 적응하기 쉽긴 할거임. 한가지 생각해볼 것은 사람은 사람끼리 즐기는 것을 좋아하는 동물인지라 '그들만의 리그'가 형성될 가능성도 없진 않다는거. 게임도 아무리 AI가 발달해도 사람은 사람끼리 대전하는 것을 더 좋아함. 바둑계도 사람끼리, 격투기도 넘사벽인 동물들에게는 발끝도 못미치지만 사람끼리 모여 사람들이 열광하듯, 인기있는 가상의 스타들이 생겨나도 실존인물인 스타에 더 열광하는 사람이 많듯.. 사람에 의해 움직이는 것에 사람은 열광하는 경향이 있음. 이건 우리가 인간이기 때문에 거부할 수 없는 부분임. 이 법칙이 이 분야에도 적용될 수 있다면 뭐 나름 새로운 작은 둥지가 생길 가능성은 있겠죠.
@user-ny5pm8kz3y
@user-ny5pm8kz3y 3 ай бұрын
한가지 디자이너들의 착각은 대중들은 우리만큼 그래픽을 유심히 분석적으로 보지 않는 편임. 그림을 많이 그리는 사람들은 인체가 삐꾸나면 그걸 금방 눈치채지만 일반인들은 심각한 경우가 아니라면 이걸 인지하지 못함. 그래픽의 영역도 마찬가지로 우리가 생각하는것보다 전문가의 역할이 크지 않게될 가능성은 없지 않음. 물론 대규모 투자가 이뤄지는 분야라면 반드시 이걸 통제할 능력있는 사람은 필요하겠지만. 이 분야 지원자가 급감되면서 이런 인재가 다시 필요해지는 시기는 올 수 있겠죠.
@nanotree
@nanotree 3 ай бұрын
지금의 생성형 ai는 3d공간에 대한 이해가 없기 때문에 굉장히 이질적인 부분이 도드라지는 것인데 현실을 마치 게임 속 사진처럼 오브젝트를 ai스스로 만들고 어떤 용도인지 구분하고 선별하고 할 수 있는 수준까지 온다면 굳이 전문가들의 데이터가 이니더라도 취미로 그린 그림이나 단순 여행중 사진 등 사람들이 올린 자료에서 힌트를 얻어 인간의 개입 없이도 지속적으로 기계인 만큼 자료수집하고 생성하는 것이 훨씬 더 빠르게 가능해 질 수 있다고 보여져요. 무엇보다 이러한 ai 발전 과정에서 저작권이 강화되기 보다는 오히려 약화되는 경향이 클 것으로 생각되는 이유가 실리 없는 규제 보다는 형평성을 강조하는 기조가 강화됨에 따라 창작물에 대한 권리나 유사성이 무언인가 등을 따지는 과정에서 결국엔 전문적인 영역은 마치 직선이나 패턴 무늬 툴 처럼 ai학습으로 대체 될 것이고 전문적인 것은 개인적인 것이 아닌 보편적인 것이 될 것 같고요. 창의성 역시 ai가 창작이란 이름의 수요에 대한 정보 수집을 통해 생성된 창작물을 개인적인 경험에 의해 창작,생성된 창작물이 이기긴 힘들 것으로 보여요.
@user-bh7fhs32g
@user-bh7fhs32g 3 ай бұрын
디자이너가 사라질 수는 없고 저런것도 다 활용하는 디자이너가 필요하겠죠.
@seoulstudio
@seoulstudio 3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AI 검색하다가 영상 잘 봤습니다 ! 궁금한게 있어서 혹시나 해서 문의드립니다 저희는 가방을 만드는데, 가방의 모델 착용사진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툴은 뭐가 좋을까요? 모델 얼굴은 안나와도 됩니다.
@you_siljang
@you_siljang 3 ай бұрын
그나마 스테이블 디퓨전이 적합할꺼 같습니다
@seoulstudio
@seoulstudio 3 ай бұрын
@@you_siljang고맙습니다 ❤❤
@user-sf3wy1bx1q
@user-sf3wy1bx1q 3 ай бұрын
"헐리우드의 종말" "영상업계는 끝났습니다" 처럼 호들갑 떠는 것들 보고 고구마 만개 먹은듯 답답했었는데, 정확히 분석해주시는 영상 보니 속이 다 쉬원하네요. 파이팅입니다.
@you_siljang
@you_siljang 3 ай бұрын
레블님 안녕하세요 영상들 잘보고 있습니다. 어느정도 도움이 되었다니 기분좋네요.
@jinuuuuuuuuk
@jinuuuuuuuuk 3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영상 잘 챙겨보고 있는 구독자 입니다. 혹시 실례가 안 된다면, ai 툴을 어떻게 배우셨는지, 무엇을 참고하며 공부했는지 여쭤볼 수 있을까요?
@you_siljang
@you_siljang 3 ай бұрын
처음엔 스테이블 디퓨전으로 지금은 미드저니 위주로 쓰고 있어요. 유투브검색만해도 엄청나게 나오니까 배우기 쉬울꺼예요. 스테이블디퓨전 같은경우 설치가 좀 복잡한거 빼고는 쉬운편이고 미드저니는 정말 아주 쉽습니다
@Rommel0810
@Rommel0810 3 ай бұрын
인공지능이 인간을 넘을 수 없다. 인간과 인공지능의 차이는 결국 " 선택 " 이라는 걸 넘을 수 없기에
@dongkeunjang2585
@dongkeunjang2585 3 ай бұрын
눈썰미 좋은 비전공 담당자와 디자이너가 경쟁하는 시대가 열리는 것 같죠? 경계도 좀 모호해 질 것 같구요. 전공자들은 자기 디자인을 브랜드화 하지 않으면 살아남지 못할 것 같구요. 개성있는 디자인 스타일이 저작권으로 인정되기를 기대해봅니다.
@momusa2795
@momusa2795 3 ай бұрын
문제는 이런 기술이 이제 시작이라는 거죠…
@bugarati
@bugarati 3 ай бұрын
솔직히 이정도 가지고 살아남느니 뭐니 하는 게 의미가 없는 듯...
@monstershonda
@monstershonda 3 ай бұрын
팩트는: 디자이너를 돕는게 아니라 디자이너가 현저하게 줄어들겁니다. 이건 어쩔수없어요. 누가 공존한답니까? 사업주 입장에서 디자이너 쓸필요가없는데 구지 디자이너 월급,급여, 줘가면서 할피요없잖아요. 디자이너쪽 일 말고도 다른 업계들은 대부분 줄였고, 점점 필요가없는건 로봇이나 키오스크로 대체하고있습니다. 디자이너들이 뭘 이용한다 이런 스스로 희망적인얘길하는데 사업주가 아에 일을 안주는데 뭘 이용을해요..ㅋㅋ
@nofilter_review
@nofilter_review 2 ай бұрын
디자이너가 외주만 받아서 하는 직업에서 벗어날것 같은데요. 가까운 미래에는 직업 구분 자체가 의미 없을 듯. [디자이너: 외주 받아서 비주얼 만드는 사람]이라는 정의도 바뀌고, 사업가, 디자이너, 기획자, 마케터 이런 구분이 무의미해질 것 같음
@CGguys
@CGguys 2 ай бұрын
아트계열 일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근본적인것에 대해서 1도 모르고 쓰신 글인듯.. 더 공부하시길 먼 훗날 스스로 학습하는 ai가 상용화 되었을때라면 이야기는 전혀 다르게 되겠지만 ㅇㅇ
@pheobe718
@pheobe718 2 ай бұрын
어차피 시장은 경쟁사회죠 매정하지만 줄어드는건 필연적인 과정입니다. 그냥 단순 디자인을 하는게 아니라 전과정 디렉팅 역량을 가진 사람이 살아남게 될거란 얘기입니다. 저 내용의 골자는 모든 디자이너가 살아남는게 아니라 살아남는 디자이너는 ai를 이용하게 될거란 얘기입니다. 그리고 이건 모든 산업에 적용될거예요 불평할게 아니라 저 이야기를 자신의 것으로 만들면 됩니다.
@olleh180
@olleh180 3 ай бұрын
게임최적화 지룡자😮
@Habsramhappy
@Habsramhappy 3 ай бұрын
결국엔 '무엇을 말할 것인가'의 문제같습니다 AI의 툴을 사용하다보면 느낄겁니다 내가 정확히 무엇을 원하는지를 알아야 한다는 것을요 그냥 겉으로 그럴싸하기만 하면 된다면 상관없겠지만 이제는 손기술같은 것보다 이해력 판단력 인문학적 소양 등이 더 중요할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프롬프트 몇줄만 입력하면 다 된다고요? 네 그렇죠 근데 똑같은 명령어로 다른 사람이 입력해도 상관없죠 즉 결과물을 독점할수 없다는거죠 그렇기에 더 디테일해야 하는거고 그러려면 디자인 외적인 능력도 수반해야 진짜 제대로 활용할수 있겠지요
@invink6716
@invink6716 3 ай бұрын
드는 생각은 앞으로는 미술계는 디테일한 손기술보다는 상상력으로 먹고 살아야 하는 시대가 되지 않았나 함. 물론 그런 과도기도 오래갈진 모르겠지만..
@user-ewiduwuw
@user-ewiduwuw 2 ай бұрын
그렇다면 어린애가 30세 전공자보다 잘 할수도
@kim63804
@kim63804 3 ай бұрын
3D가 그랬죠 파판7이 처음 나왔을때 철권이 처음 나왔을때 비주얼영상정도면 나도 시간이 있으면 하겠다 생각했는데 8편나오고 이건 죽도록하면 되지 않을까 9편나왔을때는 허억 감정이 실렸어 10편나왔을때는 이건 흉내도 못내겠다 그리고 쭉비슷한데 이제 발전이 더디죠 영화도 메트릭스를 정점으로 비슷비슷하죠 아바타나 엔드게임 같은게 있지만 천지가 계벽하는 느낌은 아니고 이미 고퀄의 수준은 2000년대 초반에 하이엔드에 도달했죠 2000년대까지의 발전은 정말 눈이 부셨는데 지금은 거기에 한참 못미쳐요 그떄의 1년은 지금의 10년 같았죠 미드저니는 실무에 써먹기 어렵고 sora는 데모가 너무 강한거 같고 영상작업자 중급자 이상 되면 이게 필요할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앞으로도 큰영향도 없을듯하구요 vr처럼 시즌별로 뭔가 해결되었다 잇슈빨다 잠잠해지는 걸 반복 되지 않을까 하네요 대기업의 발표를 다 믿는 것도 얄팍하죠 시즌별로 느끼지만 대기업도 잇슈로 먹고 살고 데모로 투자자를 끌어들이고 흐지 부지하는게 많아요 현업에서는 그게 많이 보여요 찍으려면 수백도 수천도 들수 있지만 그렇게 만드는건 정확한 의도하에서 하는 작업이죠 그냥 잘만들어진 영상은 왠만한건 널리고 널렸고 내가 필요한건 항상 없고 AI가 다른사람이 볼때 감탄할만한것은 만들어줄수있어도 내가 필요한걸 만들어 줄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들어요 지금은 너무 못 미치고 앞으로 20년 후에 그게 될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아이폰이 나오고 15년정도 지났나? 천지가 계벽할만큼 발전을 했나요? 1년이 이정도이고 10년 20년후에는 저같은 작업자가 직업을 잃을 것같지만 지금이 정점일수도 있어요 ㅋㅋㅋㅋ 사실 이게 수십년의 연구 결과이고 상영화 하기전 그연구의 절정이 아닌가 합니다 압으로 몇년 사이에 대단한게 지극히 개인적으로는 안나올거 같아요 ㅋ 개인적으로 보면 랜덤을 뛰어 넘지 못하고 키워드만으로는 디테일 을 얻지 못할거 같네요 AI를 아무리 만저봐도 작업자의 정확한 의도는 반영되지않쵸 어도비도 쳇GPT4도 한참 못미치더군요 그냥 체험학습 미래는 이런거다 하는 정도 같네요(이걸 어떻게 써먹지?)결과는 좋아 보이지만 과정이 못 따라가네요 그래도 희망을 걸어봅니다 미래는 아무도 모르는 거니까요 참고로 표현하는게 서투른 작업자가 표현력을 키우기 위해 개인적인 생각을 담은 글입니다
@you_siljang
@you_siljang 3 ай бұрын
장문의 댓글 감사해요. 제가 느낀거랑 비슷하게 느낀게 정말 많으신듯 합니다. 빛좋은 개살구느낌이 강해요. 신기하긴 한데 막상 쓸곳은 별로 없는
@kim63804
@kim63804 3 ай бұрын
@ljang 신기술마다 다 파며 사는 작업자라 이 또한 계속 공부를 하겠지만 그게 직업에 위협을 느낄 정도는 아니지만 쭉그랬던것 이제 시작하거나 시작한지 얼마 안되는 사람들이 너무 기죽지 않는게 좋을 거 같은데 요즘 유튜브보면 엄청 공격적이더군요 그런 공격적인걸 한두번 보는건 아니지만 AI에 가장 가까운거같지만 가장 먼분야가 아닌가 합니다 등잔 믿이 어둡죠 다른 분들보다 노하우가 느껴집니다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user-nx6gv8ju9l
@user-nx6gv8ju9l 3 ай бұрын
Ai 가 고도로 발달하는 사회에서 디자이너라는 직함 하나만으로 먹고살기 힘든 세상이 온 거 같습니다. 연관된 다른 업종과 콜라보를 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한다면 자기 가치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기회라 생각합니다~!!
@Habsramhappy
@Habsramhappy 3 ай бұрын
저도 이렇게 생각합니다 투잡 이런 개념이 아니라 본인이 다룰수 있는 영역을 넓혀야 한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user-og1nu5pb8c
@user-og1nu5pb8c 3 ай бұрын
정확히 말하면 각종 분야에 걸쳐 실력이 어중간한 사람들이 도태되는 세상이 온 겁니다.
@pheobe718
@pheobe718 2 ай бұрын
ai 나 자동화 프로그램 발전의 근간은 결국 편리함을 위해서죠. 일반 회사에서 자동화 프로그램을 들여올려고 하는데 그것이 그냥 되지 않아요 그것을 잘 사용하기 위한 설계와 기획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그것이 사용되는 분야는 논의하다 보면 고도의 작업이 아니라 동일하게 반복성이 짙은 잔업이 될 수 밖에 없더라구요 회사에서는 리스크도 편리함만큼 중요하니까요 그 리스크도 프로그램의 발전으로 점점 보완되겠지만 결국은 그것을 기획하고 관리하는 사람의 역량이 더 드러나게 될거예요 결국 고도의 사고와 업무 기획력을 가진 사람들이 살아남게 되고 그렇지 못한 사람과 급여나 대우 차이도 더 커지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전 디자인도 마찬가지 관점으로 보게 됩니다. AI를 전문 분야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결국 그 결과물을 완벽하게 컨펌하기 위한 눈이 필요하고 AI는 그 과정의 일을 해줄 뿐이죠 절대 모든 과정을 대체할 수 가 없을거예요 시작과 다듬기, 결과물의 방점은 결국 의도하는 사람이 결정지을 수 밖에 없으니까요 ai 기술은 다수의 사람들이 하던 노동을 줄여주고, 더 빠르고 정확한 의도된 작품을 만드는데 기여하게 될 것 같아요 걱정하기 보다 신기술에 대한 호기심과 빠른 파악이 앞으로 더 경쟁력 있는 사람으로 살아남을 확률을 높여줄거라 생각되네요 시장은 결국 편리와 인건비의 감소로 흐를 수 밖에 없으니 더 많은 지식과 응용력이 필요할거 같아요
@user-ln0en6myjx
@user-ln0en6myjx 3 ай бұрын
ai를 학습시키는 프로그램어로 전향하는게 ai는 쉬지않고 학습해서 금방따로 올듯
@siknam7011
@siknam7011 3 ай бұрын
제일 무서운 건 시간이 갈수록 일반인들 모두가 쉽게 참여 가능 하다는 것...
@FreeThrowDesign
@FreeThrowDesign 3 ай бұрын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쫄지 말자!!!! ㅋㅋ
@May10th
@May10th 3 ай бұрын
그쵸 디자인은 사실 이미지만 만든다고 이루어지는 게 아니죠. 그보다 이미지를 생산하는게 주 업무인 일러스트레이터, 포토그래퍼 분들의 타격이 정말 심할 것 같습니다.
@RiddleFiddle7680
@RiddleFiddle7680 3 ай бұрын
Ai를 명령하는자만이 살아 남을거같네요
@user-fj8yf4fh2k
@user-fj8yf4fh2k 3 ай бұрын
창의적이라고 평가받는 조건도 머지않아 ai가 학습할것입니다. 불쾌한 골짜기도 점점 깊이가 낮아지겠죠. 디자인을 잘 이해하고 방향을 결정하는 디자이너만 살아남을 것입니다.
@user-mt8so1ku7o
@user-mt8so1ku7o 3 ай бұрын
멀게만 느껴지겠지만 초기에 이정도면 3년안에 영상 업계는 다 이거 쓸거고 그냥 대부분은 공장으로 가야될거다.
@SUN-nk9lr
@SUN-nk9lr 3 ай бұрын
공장도 요즘 많이 쳐내는 중임
@INIXIE360
@INIXIE360 3 ай бұрын
미국보면 ai 때문에 인력이 감축되는 현상을 간과해선 안된다고 생각함. sora는 디즈니가 100년간 쌓은 노하우를 수백명의 기술자들이 투여해서 작품을 만드는데 그런 노력들 무시하는 치트기술임.
@you_siljang
@you_siljang 3 ай бұрын
그럴수도 있지요. ai는 당장 내일 뭐가 나올지 모르구요 예측이 안되는 시장인건 맞아요. 그에 맞춰서 어떻게 적응하냐가 관건이긴 합니다. 아직까진 발표되는것마다 포장지가 더 큰 느낌이라 이번 sora는 기대중입니다. 저는 sora가 프롬프트의 저주에서 벗어나서 정말 실무에 쓰일 베이스가 되길 바라는 입장이여요
@hosantora483
@hosantora483 3 ай бұрын
치트기술이라기보단 치트키급 성능의 기술이지
@user-dg9ji7bf3l
@user-dg9ji7bf3l 3 ай бұрын
사회는 노력이 아니라 성과로 평가 받는 곳이죠. 생산력이 떨어지면 짤리는 것이구요. 내 노력을 무용하게 만들었다며 분노할 때가 아니라 어떻게 해야 내가 살아남을 수 있을지를 고민하셔야 될 것 같습니다
@asja1111ify
@asja1111ify 3 ай бұрын
@@user-dg9ji7bf3l내 노력을 무용하게 만든게 아니라 영상은 잘 모르겠구요 그림이나 성우 음악쪽은 원래 소스들 자체가 불법으로 퍼온 원작자들의 저작물로 만들어진거랍니다.. 그래서 분노하는거구요. 자기 직업 아니라고 그렇게 막말하는거 아니에요
@edgarbae7809
@edgarbae7809 3 ай бұрын
행사 기획자로.... 자랑?이지만 뭐 PPT는 기본이고 2D, 3D, 영상까지 다 만지며 제안서를 혼자 씀. 작년 '전국기능경기대회' 제안서를 쓰며.... '5차 혁명과 AI'로 풀어 보려고 했는데... 'AI'는 쏙~ 뺌...'AI가 코딩도 해주는데 검수만 해주면 끝 아님?? 아래에 '존잼 + 시간단축.....'이라는 글이 있는데 비전공인 저도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툴, 유튜브 등 2D, 3D 툴을 배워 디자인 비용을 아낌. 난 전공자야!!! 이런 마인드로 희망회로를 돌리면 망합니다. 아.... 진짜 개욕을 먹으며 기획서 쓰는 법을 배웠는데..... 요즘 주니어들 AI 툴 '쓰는 법'을 배워서 기획서 중간치 씀..... p.s. 희망회로 금지...
@SHINSEOHA_0
@SHINSEOHA_0 3 ай бұрын
저도 모르게 스멀스멀 희망회로를 돌리고 있었던거 같네요,, 마지막줄.. 가슴에 박고 갑니다.
@MouseAlive
@MouseAlive 2 ай бұрын
맞아요 애초에 접근성도 낮은직업
@user-tf8ru9cu1x
@user-tf8ru9cu1x 3 ай бұрын
디자이너도 아니고 그냥 지나가는 사람입니다만, 제생각엔, 지금과 미래의 ai 를 과거와 비유하자면, 산업혁명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예전에는 면직물 만들때 사람이 손으로 일일히 만들어야 했지만, 산업혁명이 발생하면서 기계가 말도안되는 속도와 저렴한 가격으로 만들어 냈죠. 그거하고 똑같다고 생각합니다. 이게 육체 노동에서 정신?노동에까지 온거라고 봅니다. 디자인도 이제 공장(ai)이 싼 값에 쉽게 적은 노동인구만으로 만들어내는 시대가 온겁니다.
@OneTabbyYeiX
@OneTabbyYeiX 3 ай бұрын
정확하죠 정신노동자가 비단 그림만 있는게아니죠 의사 변호사 세무사 노무사 경리 여러직종의 정신노동을 기반으로하는 사무직은 대체가능성이 매우 높음
@OneTabbyYeiX
@OneTabbyYeiX 3 ай бұрын
AI시대가 살아남으려면 산업혁명때 이촌향도를 했듯이 어쩔수없이 모두가 ai 기술을 배워야하는 시대가 온거라고생각합니다. 저도 상업미술쪽에서 프리랜스로 일했는데 다접고 걍 이제 프로그래밍 딥러닝 이런걸 배워야겠다는 생각밖에 안드네요 이제 Ai가 내가원하는 모든걸 제공할텐데 그걸 기술적으로 제어하거나 이해할능력이 없으면 도태된다고 봅니다
@vrai1253
@vrai1253 3 ай бұрын
⁠@@OneTabbyYeiX음.. 프로그래밍도 몇년전에는 컴공이 핫하긴했죠. 연봉도 많이 올라오고 물론 아직 현재 수준의 ai를 통해서 복잡한 수준의 코딩을 하는것은 불가능하지만 기초 수준의 코딩은 충분히 해내는 수준입니다.시간이 지나면 지날 수록 더욱 빠른 속도로 코딩 능력이 올라가게 될거고 단순한 코더를 포함해서 과장해서 중~상위권의 개발자들도 미래엔 장담할 수 없다고 봅니다. 미래에 살아남으려면 open ai 개발자 같이 혁신적인 ai를 개발하는 극상위권 개발자만 살아남을것 같네요. 결국에는 개발하는 사람은 극상위권 소수만이 개발하고 나머지는 ai를 어떻게 활용해야 할지에 초점을 둬야하지 않나 싶네요
@hero20060
@hero20060 3 ай бұрын
AI 요 근래 오픈에이아에서 소라 발표한이유로 관심많아져서 자주 찾아봤는데 처음에 부정적으로 봤다가 현재는 낙관적으로 보고있음 지금 그림 Ai는 인터넷에 존재하는 그림을 크롤링하여서 만듬 이건 뭐다? 즉 남의것을 강탈하는 행위라고 생각하면됨 조만간 AI 예술 규제관련 법안이 통과될것으로 보이고 실제로 유럽은 법안통과됐음 Ai 그림이건 동영상이건 결국 데이터베이스가 필요함 사람들이 한것이 없으면 결국 인공지능 도 창조하지못함. 예술계과 인공지능으로부터 타격에서 살아남을것이라는게 이제는 이해가감 인공지능이 스스로 무 에서 유를 창조하는 AGI가 언젠간 나올것이라 생각하는데 그때는 모든 직종이 타격 받을듯. 디자이너 들은 자신이 한거를 인공지능한테 학습시키고 마지막에 본인이 bake하고 다듬는 과정이 Ai를 잘쓰는.법 같음 오히려 개인적으론 르네상스 이나 사진기가 나올때처럼 새로운 문화적 지평선이 열릴것이라고 본인은 생각함 아님 말고ㅋㅋ 본인은 인공지능 딥하게 관심가진지 2주째임 ㅋㅋ
@antsuper4929
@antsuper4929 3 ай бұрын
지금은 초기 단계라 그렇지 시간 지날수록 점점 더 빨리 업그레이드 될텐데 사실상 끝났다고 봐야...
@tutmstudio
@tutmstudio 3 ай бұрын
AI 가 하나의 툴일뿐이라는 부분은 동의하기가 힘드네요. AI로 인해 새로운 시장이 형성되고 있으며 과거의 직업은 없어지게 될겁니다. 과거 실크를 밀던 초창기 디자이너가 컴퓨터를 부정했듯이. 이젠 컴퓨터를 다루는 행위가 기본이되어 있는 디자이너 입장에서 보면 미래에 생각만 하고 있으면 표현이 되는 세상이 오면 그런 컴퓨터 툴을 잘 다루던 개발자형 디자이너들은 자리를 잃게될겁니다. 그게 무섭다는 거죠.
@user-st4pk8yi7s
@user-st4pk8yi7s 3 ай бұрын
바뀌는 건 크게 없겠지만 앞으로 채용 공고가 나오지 않을 것 같네요;;;
@PETBOY
@PETBOY 3 ай бұрын
스테이블 디퓨전도 소라같은 트랜스포머 언어 도입한다고 하던데요
@you_siljang
@you_siljang 3 ай бұрын
반가운 소식이네요
@x10storm64
@x10storm64 3 ай бұрын
소라가 기존 생성형ai와 다른점은 기존에는 버전3,버전4 이렇게 인간이 갈고닦아서 새로운 짜여진 툴을 하나씩 하나씩 개선해소 내놓는 방식이라면 소라는 바둑 알파고처럼 공간학습을 계속 돌려서 나온 결과라는거. 그래서 학습계속시킬수록 오늘다르고 내일다르고 순간순간 계속 발전된 방향으로 진화하기 때문에 기존 생성형프로그럼처럼 버전1,버전2이런 개념이 무의미해짐 결론적으로 소라선에서 대부분영상제작편집툴 다 정리될듯 보임 소라 제작자가 한 말; '소라는 AGI 강인공지능이 나오는데 단초를 제공할 것이다' 챗GPT로 AI에게 입을 줬다면 소라로 AI에게 눈을 준다는 의미
@seereal1
@seereal1 3 ай бұрын
IT 전공중인 학생인데 음악,디자인,영상촬영,사진촬영 이런 부분은 이미 망했다고 봅니다. 매년 아니 매일 새롭고 더 성능 좋은 ai모델이 나와요. 앞으로 몇년 뒤면 컴퓨팅 성능까지 더 좋아지겠죠. 교수들도 말하는게 코딩 분야도 이미 AI가 거의 완벽히 대체 가능해서 개발자 진로도 불투명하다고 하더라고요. 이번에 특히 Sora라고 동영상 제작하는 AI 보니까 창작 분야는 AI가 5년안에 전부 다 먹을거라 확신이 들었습니다. 그림 그리는 영상, 사람이 무언가를 만드는 영상 이런 것 조차 딥페이크로 얼굴만 갖다 붙여서 AI가 영상으로 만들 수 있으므로 그림 그리고 디자인 하고 이런건 취미의 영역으로만 남을 것 같네요
@JungSoYoul
@JungSoYoul 3 ай бұрын
토니스타크가 아이언맨을 만들때 쟈비스에게 아이언맨 만들어라고 시키지 않았습니다. 이거 계산해봐 , 어떤거 조사해봐 하고 시켰죠. 세상이 존재하지 않던걸 만들려면 여전히 사람이 주고 인공지능은 보조입니다. 대신 쟈비스가 얼마나 많은 박사들을 대체 시켜버렸는지 생각하면 소름이죠. 수많은 연구원들이 했을일을 쟈비스 혼자 하니까요 코딩분야도 완전 초지능이 나오기전까지는 ai는 부분 코드를 만들어주는 역할을 담당할꺼고 , 전체적인 고객의 니즈를 분석하고 전체 구조를 잡는건 사람의 몫이 될꺼라 생각합니다. 다만 한번 만들어진걸 다르게 만들때는 인공지능이 금방 변종을 만들겠죠.
@KimchiBlast
@KimchiBlast 3 ай бұрын
결국 엔지니어 + 디자이너 둘 다 가능한 소수의 능력자만만 살아남을듯.
@user-rt9ix8vv1i
@user-rt9ix8vv1i 3 ай бұрын
확실히 밥그릇 위험해진 디자이너 분들이 민감하시네요. 물론 뛰어난 실력이 있으면 생성형 ai을 더 잘 써먹겠죠. 하지만 그건 소수의 얘기고 기존에 싼 맛에 쓰던 디자이너들은 정말 위기인겁니다.
@zzpa5097
@zzpa5097 3 ай бұрын
4:50 이건 너무 개인적인 생각이신 것 같아요 20~30명이 할 일을 혼자서 할 수 있다면 상상하신 대로 할 수 있는 사람도 대체될 수 있기에 디자이너가 해변에 앉아서 클릭 한 번으로 생성하는 게 아니라 디자이너가 아닌 사람들이 클릭하고 있겠죠
@Fishman812
@Fishman812 3 ай бұрын
디자이너가 아닌 사람들, 더 범위를 넓히자면 미학적 감각과 자질이 뒤떨어지는 사람들은 백날 클릭질 해봐야 절대 의미있는 아웃풋을 낼 수 없습니다. 그런 논리면 님이 제프 베조스나 저커버그보다 우월한 웹서비스를 이미 만들어내고 오퍼레이팅까지 충분히 가능해야 합니다. 이미 ‘기술적’으로는 완벽하게 가능합니다. 근데 그럴 리도 그럴 수도 없겠지요.
@yongpreme
@yongpreme 3 ай бұрын
프롬포트를 전문으로 잘 작성할 수 있는 디자이너가 나오겠죠 현재는 미국에선 프롬포트 엔지니어라는 직업이 대체하고 있긴 합니다..
@user-by4zm3sp7k
@user-by4zm3sp7k 3 ай бұрын
AI 는 다른 식의 포토샵인거 같은데... AI 로 생성된 좋은 작품은 또 그만한 사용 능력이 있어야 만들어 지죠. 개나 소나 AI 붙잡고 디자인 한다고 좋은 결과물 안 나옴.
@sw93k98
@sw93k98 3 ай бұрын
말씀 감사합니다. ^^ 아직 한번도 안해본 사람입니다. 가령 인쇄해야하는 300DPI 퀄리티 그래픽경우도 AI가 쉽게 만들어내나요? 이전 경우 포토샵에서 CMYK 모드 300DPI에서 작업후 EPS로 저장해 인디자인으로 가져갔었는데 그렇다면 사진 및 그래픽 퀄리티도 포토샵에서 위의 경로를 거친 작업을 한 것처럼 빠르게 되는지, 그리고 현업에서 그렇게 사용되는지요? 디자이너가 명령을 올바로 디테일하게 넣는것이 승부의 관건인가요? 그렇다면 매우 언어 사용에 있어, 요구 사항에 있어 깊이 있을수록 원하는 결과물에 다가간다고 볼 수 있을까요? 그렇게 나온 결과물에 또 포토샵에서 수동으로 제 마음에 맞게 디테일한 수정도 가능한가요?
@you_siljang
@you_siljang 3 ай бұрын
프롬프트라는게 정교하고 복잡하다고 해서 맘처럼 그렇게 안되요 . 오히려 퀄리티는 프롬프트가 단순할때 잘나오는 현상이 있어요. 일종의 ai에게 자유도를 어느정도 부여했을때 최선의 결과가 나올 확률이 높거든요. 디테일한 수정이나 그런건 다 포토샵에서 하거나 포토샵 ai 기능을 활용하는게 나을꺼예요. 그리고 해상도 뻥튀기는 8000x8000픽샐정도가 한계라 이해하심 될꺼예요. 주로 서양인과 백인문화권 환경이 잘나오고 동양권은 잘 안나오는 현상도 있고 이건 하다 보시면 느끼게 될꺼예요. 학습한 이미지데이터란 한계가 분명히 존재해요. 지금의 ai가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게 아니거든요.
@sw93k98
@sw93k98 3 ай бұрын
@@you_siljang 예… 말씀 감사합니다~^^
@jowanjoon
@jowanjoon 3 ай бұрын
10년후 : 저영상들이 ai 초창기에 허접하게 만들어졌던 영상들이라는거
@awwsessf1480
@awwsessf1480 3 ай бұрын
오히려 맨 첫 공습을 받은 게임원화는 차차 적응해가는 것 같음. 툴로써. 그리고 한계도 인지되어서 실무에선 다시 수작업으로 돌아가는 느낌. 퀄 좋아봤자 너무 빨리 소비되어서 싸구려느낌이 나고 컨트롤이 안되고 유의미한 디자인 히스토리도 안쌓임.
@you_siljang
@you_siljang 3 ай бұрын
멋지네요. 제가 관련세미나를 했을때 비슷한 내용으로 발표했는데 실제 얘기를 들으니 더 확신이 갑니다. 감사하고 멋지십니다
@user-jh8el2dw3b
@user-jh8el2dw3b 2 ай бұрын
실무자이신가요?
@rlaghwhd0123
@rlaghwhd0123 3 ай бұрын
2d, 3d 프로그램 뿐만아니라 이젠 AI프로그램까지!! ㅠㅠ
@user-mj5hl9kn7e
@user-mj5hl9kn7e 3 ай бұрын
2:26 여기 편집이 살짝 잘렸네요.
@you_siljang
@you_siljang 3 ай бұрын
다찍어 놓고 보니 그때 큰 소음이 들어가서 부득이 하게 어설프게 잘랐네요 ㅜ ㅜ
@altarcast6306
@altarcast6306 3 ай бұрын
3일 내내 위에 프로그램 다 사용해 본 결과. 에라이 차라리 내가 모션그래픽에서 만들자. 아직 4-5세대 정도 되야 할듯합니다
@curvedair3830
@curvedair3830 3 ай бұрын
AOVs를 뽑지 못하면 디게 답답할 거 같은데 안 그런가요?
@you_siljang
@you_siljang 3 ай бұрын
네 진짜 답답해요. 마스크질 수동으로... AOVs가 나오는게 언제쯤 될지 기다려봐야죠
@albamdaechu7776
@albamdaechu7776 3 ай бұрын
😀
@me-us8px
@me-us8px 3 ай бұрын
숏츠정도는 상업적으로 가능할 것 같네요
@you_siljang
@you_siljang 3 ай бұрын
네 가능한데 문제가 현재 유튜브 측에서 ai 숏츠나 컨텐츠 생성에 제한을 걸 움직임이 보이네요. 그게 관건일듯 합니다.
@AiVogue
@AiVogue 3 ай бұрын
코랩 스테이블디퓨전 써본 사람이볼때 이런 퀄리티는 ai 테마주 헤처먹기 위한 홍보용일듯. 프롬프트 몇줄로 절대 이렇게 못나옴 적어도 전문태그 써가며 100줄은 만들어야함. 발레시아 밈 유행할때 미드저니에서 절대 그 정도 퀄리티 못나옴, 코랩 sd 돌려야 겨우 구색 맞췄음.
@angeldoIl
@angeldoIl 2 ай бұрын
예전엔 디자인과 ux로직이 구분되서 개발됐었지
@mg-6733
@mg-6733 3 ай бұрын
ㅋㅋㅋ 넘 좋아요 !!!!!! 😊😊😊 센스없는 직원님들 보다는 1000% 결과물 만족합니다 일못하고 말귀 못알아 듣는 능력미달자 들의 뻔한 거짓말! 1. 기획이 완벽 하지않아서 2.변경 요구조건이 많아서 3. 퀄리티 놉이는중 이라서
@user-jh8el2dw3b
@user-jh8el2dw3b 2 ай бұрын
망했다고 자조하는 사람들은 아마 영상,디자인업계 꿈꾸지만 아무것도 공부안한 사람인 가능성이 있을 거 같아요 애초에 관심없으면 보지도 않을테니ㅋㅋ 디자인은 학력이 필요없는만큼 진입장벽도없고 누구나 시도할 수 있었지만 작업자 간의 연봉,실력 격차가 큰 만큼 꾸준히 공부하고 시도하는 사람만이 살아남는 건 예나 지금이나 변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guptaneeraj9900
@guptaneeraj9900 3 ай бұрын
디자이너라 그런지 한글도 디자인해서 쓰시네요. 그냥 TTS로 생성하는 게 나을 것 같아요.
@MrYung1871
@MrYung1871 3 ай бұрын
이 ai들을 말로 풀어서 영상화할수있는 문과의 시대가 오는건가?
@seo81670
@seo81670 2 ай бұрын
이미지는 말로 대적하게 풀지 못함 절대 ㅋㅋㅋㅋ 피겨 경기 영상을 말로 풀어서 똑같이 만들수 있다고 생각함?
@seo81670
@seo81670 2 ай бұрын
방 사진 하나 찍어도 그 정보량 다 언어로 서술하려면 ... 거의 끝없을 텐데
@NanJaDong
@NanJaDong 3 ай бұрын
아직 시작도 안했다~~사람은 어디에 사용하고 검토만 하면 되는것이다
@user-sx9sf3uw2k
@user-sx9sf3uw2k 3 ай бұрын
성냥공장에서 성냥끝에 황을 기가맥히게 잘바르는 장인입니다 기계가 아무리 발달해도 사람이 직접 만든 성냥을 따라올수 없죠! 디자이너도 저만큼 미래가 밝다고 봅니다 화이팅!!
@user-tv9mh1yc5c
@user-tv9mh1yc5c 3 ай бұрын
미드저니와 포토샵을 이용한 돈벌이는 어떻게 할수있을까요? 집에서 지내는 백수인데 과거에 웹디자인등등 영상 작업도 했던 사람인데 매우 아깝습니다. 이대로 무엇을 해야할지
@you_siljang
@you_siljang 3 ай бұрын
그닥 유의미하게 돈벌이 할 수단은 별로 없습니다. 주로 쓰는 방법을 파는쪽이 압도적으로 많은 상황이구요. 만드는것과 그걸 판매하는것은 아주 다른얘기라서요. 요즘 쇼츠에 ai를 사용해서 스토리탤링이나 어떤 주제를 잡아서 하는경우가 많은데 컨텐츠 소비속도가 워낙에 빨라서 유행이 엄청 빨리 지나갑니다. 거기에서 뭔가를 해보는것 정도가 몇개 안되는 방법중 하나인것 같네요.
@dongugkim6969
@dongugkim6969 3 ай бұрын
계산기가 나왔다고 수학자가 다 죽었나.....? 사진기가 나왔다고 화가가 다 죽었나......? 악마는 대가를 받고 일을 하지만 신은 무조건적인 믿음과 헌신을 강요하지 때로는 우리가 옳다고 생각한게 오답일수도 있으니......
@user-sv3tr5bf4b
@user-sv3tr5bf4b 3 ай бұрын
마냥 AI에 절망하기보단 이렇게 잘 써먹는 사람이 진짜 전문가지
@Aile967
@Aile967 3 ай бұрын
일제 침탈 와중에도, 앞에서 저항하는 사람들 힘 보태주지는 못할망정 일본어를 배우자! 잘써먹자! ㅇㅈㄹ 하는 놈들 있었죠
@goyashiro5298
@goyashiro5298 3 ай бұрын
@@Aile967 인공지능을 일제침탈 비교하는거보소 ㅋㅋㅋ 인공지능이랑 싸워서 뭐 어쩌게?ㅋㅋ
@Aile967
@Aile967 3 ай бұрын
@@goyashiro5298 창작자로서 자기 작품 수탈 당하는건 막아야 될거 아님? 싸우는건 둘째 치고 ㅋㅋㅋ 근데 이완용 같은 넘들이 나타나서 오히려 AI한테 작품 무료상납하고 잘써먹어야 된다 ㅇㅈㄹ 하는게 비유 찰떡이구만 뭐.
@oooo-pollloooo
@oooo-pollloooo 3 ай бұрын
대체 안되요 디자이너는 왜냐면 수학 공식이 아니거든요 창의력도 디테일해야 가능한거예요 디자인은 디테일한 요구로 완성되는거기때문에 힘들거라 봅니다 두리뭉실하게 구현은 할수 있겠지만요 디자인일을 해본다면 절대 로봇이 사람이 하는정도로 구현할수 없디고 느낄겁니다.
@Gtoaa550
@Gtoaa550 3 ай бұрын
AI 나왔을 때 반응 비전공자: 와.. 디자이너들 백수되겠누 디자이너: 존잼 + 시간단축 + 개꿀
@you_siljang
@you_siljang 3 ай бұрын
@@_INUIT 네 시간걸리는 작업 처리해주는 플러그인. 디자이너는 더 편하게 잼있게
@imthefirstone
@imthefirstone 3 ай бұрын
잘릴거 생각 안해요 ㅎㅎ
@user-ip1dp5zm8z
@user-ip1dp5zm8z 3 ай бұрын
생성형 ai가 단순한 툴 이라는 것은.. ai 개발자들이 개발자 입장에사 이야기한 것 입니다. 남의 아이디어, 누군가의 창작물의 동의 없는 조합은 범죄가 맞아요. ai는 양심이나 죄책감이 없어요.
@jini6580
@jini6580 3 ай бұрын
@@imthefirstone 잘릴 것을 두려워할 수준의 사람이면 어쩔수없이 도태되고... 그걸 이용해서 앞으로 나갈 정도의 인사이트와 실력을 가진 사람이면 오히려 부상할듯... 항상 변화의 시기엔 이런 현상이 반복되죠.
@user-rt9ix8vv1i
@user-rt9ix8vv1i 3 ай бұрын
결국 양극화. 뛰어난 소수만 살아남고 기존에 싼 맛에 쓰던 디자이너들은 줄줄이 백수행이겠죠. 이건 어느 분야나 똑같아요. 글로벌 트렌드 😢
@Dennis-iz5sk
@Dennis-iz5sk 3 ай бұрын
개발자들은 오히려 좋다 하구 이용해서 일 능력 올리는데.. 디자이너도 똑같이하면 되지 물론 올라운더만 살아남겠지😂
@AIpha7387
@AIpha7387 3 ай бұрын
AI의 시대에도 이렇게 적응하고 활용하는 전문가들이 살아남겠죠 앉아서 거만하게 "난.. 반대야! 반대 반대!" 이러고 있으면 본인만 손해 활용법을 배웁시다
@Aile967
@Aile967 3 ай бұрын
네 님은 제발 님 저작물 AI에 무료 상납 하시길 바래요. 모두의 저작물을 인질로 잡고 지금 테크 기업들이 횡포를 부리는데 한가한 소리나 하고있고 ㅋㅋ 전체적으로 이완용 같은 분이시네요. 님이 창작시장 죽이는 겁니다. 경쟁할 필요 없이 다른 창작자들 시체 위에 올라 앉겠다는 거잖아요? ㅋㅋ
@Aile967
@Aile967 3 ай бұрын
거물 아티스트들이 연합하고 소송으로 싸우는 동안 뒤에서 이완용 같은 짓이나 하고 ㅋㅋ 일제 쳐들어오는데 일본어를 배우고 활용하자 안하면 본인만 손해 ㅇㅈㄹ 하고 ㅋㅋㅋㅋ
@user-me8xv8bx4k
@user-me8xv8bx4k 3 ай бұрын
@@Aile967 ㅋㅋ 이사람은 도태되겠구만 완전 보수 마인드네 님은 조선에서도 서양문물 안받아들이는 똥고집 조상이었을듯
AI Architecture created under a minute; Evaluation from an Architect?
18:26
Balloon Stepping Challenge: Barry Policeman Vs  Herobrine and His Friends
00:28
Купили айфон для собачки #shorts #iribaby
00:31
Super gymnastics 😍🫣
00:15
Lexa_Merin
Рет қаралды 96 МЛН
명령어로 영화를 만드는 AI 세상
8:26
빨강도깨비
Рет қаралды 127 М.
AI와 디자인, 현주소와 앞으로의 미래
11:10
디고디원찬 dgodwonchan design
Рет қаралды 21 М.
디자이너가 회사 고르는방법 ~!  제발 아무데나 가지 마세요.
8:16
유실장의 디자인 배우기
Рет қаралды 26 М.
Balloon Stepping Challenge: Barry Policeman Vs  Herobrine and His Friends
0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