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소전 발발. 소련은 완벽했다! 그런데 왜?!!▶결정적 하루 [2차 세계대전]-54

  Рет қаралды 76,894

KFN

KFN

Күн бұрын

Пікірлер: 145
@eze9450
@eze9450 3 жыл бұрын
캬...꽤 오랬동안..아마 제가알았던게 90년대후반이니 못해도 30년넘은 고정관년 혹은 2차대전 직후부터 생각되어져온 소련군의 무능이 이렇게 뒤집히다니..이런연구가 계속나와줘야 먼 일국의 장들이 싸이코였다는둥 군력욕심만 많은 독재자였다는둥 그런 얕은관점을 깨닫게 만들텐데말입니다. 앞으로도 좋은 사료연구부탁합니다
@조영남-f6p
@조영남-f6p 3 жыл бұрын
이렇게 듣고 나니 히틀러가 빨리 준비 한것이 나름 효과도 있었던거고 프랑스 순식간에 함락시킨 독일이 대단한거였던거네요. 그걸 또 버티면서 막아낸 소련군도 대단 ...
@user-dj1yw7912
@user-dj1yw7912 3 жыл бұрын
독일 예상 프랑스 함락에 6년인데 6주만에...
@kingmaker0101
@kingmaker0101 3 жыл бұрын
독일이 소련한테 43년부터 완전히 털리기 시작한 궁금증이 다 풀렸네요 감사 합니다. 38년당시 소련이 독일보다 gdp도 높았고 전쟁 기간 내내 군수 물자도 독일보다 우위 였고 자원은 비교 불가로 많고 특히 석유, 인구도 2배이상인데 초반에 털린 이유를 단순히 숙청때문이라고 알고 있었습니다.
@진주은성게장
@진주은성게장 3 жыл бұрын
와 ~~~대박 입니다 팬 입니다 ~~~~
@ChocoMilkTea1
@ChocoMilkTea1 3 жыл бұрын
와 소련의 국방력 증대와 준비에 대해 이야기 한 방송 최고입니다
@kcs8772
@kcs8772 3 жыл бұрын
진짜 제가지금것 봐온 독소전 관련 분석중 최고입니다. 소련의 문제는 결국 스탈린 본인이었습니다. 그리고 본인의 욕심은 하늘을 찌르는데 경제력같은 현실은 거리가 있으니.. 그리고 인명을 갈아넣을 정도의 전술을 구사할 정도로 서구는 상상못할 정도의 조직력, 체계, 군기를 유지한 군대인데 무슨 형편없는 군대라는가 말이 안되죠. 그리고 군관구의 특성은 사실 소련이 너무 광대한 나라니 그런거라 생각은 하는데 혁신이라는게 수많은 시행착오와 경험을 통해서 업글되는거지 무슨 정해진 답이 있으면 다 그걸 택하죠. 그런데 문제는 혁신에는 어마무시한 비용과 댓가가 따르는데 참..
@hwanchoi6760
@hwanchoi6760 3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 내용이네요. 조회수가 잘안나오는것 같아서 아쉬워요. ㅠ
@fierwalt
@fierwalt 3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단순히 겨울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겠네요.
@HazardWearingUniform
@HazardWearingUniform 3 жыл бұрын
진짜 이정도 사료는 어떻게 공부해 오십니까? 앞으로 더 영상을 자주 뽑아주십쇼 박사님
@goldeneagle3218
@goldeneagle3218 3 жыл бұрын
남교수님은 최고의 군사 전문가 이십니다. 1941년 소련군 배치가 공격형 이였고, 전략도 있었습니다. 독일이 이를 알고 먼저 움직인 겁니다.
@Smilehouse_lofi
@Smilehouse_lofi 3 жыл бұрын
역시 약은 약사에게 전쟁사는 존테일에게 ~ 너무 희화한 소련이야기와는 분명히 차이가 있음. 적어도 대숙청까지 벌린 스탈린과 공산당이라면 그 정도 허술한 인간들은 아닌 듯
@김장학티비
@김장학티비 3 жыл бұрын
디테일의 완벽을 보고 있습니다 새로 배우는 기분입니다 요즘 푹 빠져있습니다 구독햇어여
@nalyooooooos
@nalyooooooos 3 жыл бұрын
항상 새로운 것을 알게 해주셔서 고맙습니다!
@논개오
@논개오 3 жыл бұрын
내용이 best of best
@미래부자-d5w
@미래부자-d5w 3 жыл бұрын
전쟁사를 보며 인생에 대해서 배우게 되네요 너무 재미있습니다
@더블제이-g6e
@더블제이-g6e 3 жыл бұрын
항상 잘 보고있습니다. 2차대전 해전사도 영상으로 보고싶습니다
@gamevideochannel1550
@gamevideochannel1550 2 жыл бұрын
이야... 좋은 명강의 말씀 잘 듣구 갑니다!
@aimarpablo1411
@aimarpablo1411 3 жыл бұрын
어마 무시한 사료 항시 잘 보고 있습니다.!
@오크주술사
@오크주술사 3 жыл бұрын
우와 잘보고갑니다.good!!!
@myoungkim1680
@myoungkim1680 3 жыл бұрын
역대급이네요. 영국.프랑스 전차애서 구시댜적 교리가 읽히고, 독일전차애서 부족한 기술과 선진교리가 읽혔다면, T34 같은 완벽한 전차가 운좋게 나왔을 리 없죠. 러시아가 많은 준비를 했지만 혁신의 타이밍과 정치체제, 독재자의 오판이 얽힌 문제로군요.
@myoungsookim605
@myoungsookim605 3 жыл бұрын
정말 몰랐던 소련의 독일과의 전쟁 대비 과정 배우고 갑니다. 자료 정말 많이 공부해 오신 것 느껴지네요.
@backtothesin
@backtothesin 3 жыл бұрын
선 추천, 역시 존 테일 !!!!👍
@fhana97
@fhana97 3 жыл бұрын
내용도 너무 좋고 말도 잘하시네
@csj481
@csj481 3 жыл бұрын
재밌네요 ㅎㅎㅎ
@kimsids
@kimsids 3 жыл бұрын
방법... 오랜만에 듣네요!!
@13무명씨
@13무명씨 2 жыл бұрын
1943년 후반 정도 되면 자기 장교들이 현재 1개 여단 정도의 병력과 장비를 운용할때 가장 효과적으로 싸운다는 것을 알고 그걸 적용 하면서 지극히 빠르고 효율적으로 싸우는 붉은 군대가 되었습니다
@timeplayer940
@timeplayer940 3 жыл бұрын
혁신을 하고 있는 동안에 독일에게 맞았고, 평화 시기에 열심히 한다고 43년에 전술적 완성도가 완벽하게 올라올지는 미지수 있데 독일한테 맞아가면서 장교들도 경험을 쌓고 전술적으로도 완성된 소련군이 43년 부터 반격을 개시. 문제는 그러던 와중에 희생된 3천만의 소련 장병들. 전쟁 전 소련 인구가 2억정도 였다는데 소련 해체까지 이걸 회복 못할 정도면 너무 비싼 수업료를 치뤘다고 봐야
@dimmorashuvant3784
@dimmorashuvant3784 3 жыл бұрын
무솔리니가 그저 공산당을 싫어했다니..흑흑 대공황 온 미국을 보고 자본주의좆망이라고 생각하고 소련이랑 친하게 지내면서 모스크바에 카가노비치 볼 베어링 공장도 지어줘서 전쟁동안 소련 볼 베어링 생산의 3분의 4를 책임져 주었는데... 파시스트 이탈리아랑 소련이랑 경제교류도 너무 활발해서 독소전 직전까지만 해도 소련 외제차 1등 국가가 이탈리아 제였는데.... 흑흑 무솔리니의 소련 사랑에 소련은 감동받고 갑니다.
@user-dq6tf9ms6q
@user-dq6tf9ms6q 3 жыл бұрын
이미 소련도 대비중이었군요 병력수까지 맞춤 대비 ㅎㅎ
@성이름-l9f7m
@성이름-l9f7m 3 жыл бұрын
정말감사합니다. 무료한 당직 잘버티고있습니다.
@치즈피자치즈추가
@치즈피자치즈추가 3 жыл бұрын
방법 당했다니.... 이 오래되어 잊혀진 말을.... 존남 혹시 햏자?
@cjfdlskfkche5162
@cjfdlskfkche5162 3 жыл бұрын
결론: 인생은 타이밍이다.
@klausfeuermann3825
@klausfeuermann3825 3 жыл бұрын
1:17 Lebensraum...독일제국시절부터의 꿈...
@Twillightman
@Twillightman 3 жыл бұрын
거기에 나치 시절 넘어가서 "우리가 살기 위해서 저기에 사는 열등인종 모조리 몰살"까지 추가....
@유사인류조센진
@유사인류조센진 3 жыл бұрын
망상이죠
@루카치-u3m
@루카치-u3m 3 жыл бұрын
동양 쪽으로는 일본 제국이.. 대동아공영권 이라는 이름의 망상을 앞세웠죠.
@유사인류조센진
@유사인류조센진 3 жыл бұрын
@@루카치-u3m 그건 현실성 있는 비전입니다. 나찌처럼 특정 인종을 멸살하고 지들이 땅을 처묵하겠다가 아니라 동아시아 민족들을 일본 중심으로 통합하겠다는 겁니다.
@BGK-qn4le
@BGK-qn4le 3 жыл бұрын
@@유사인류조센진 어지럽네 진짜 ㅋㅋㅋㅋ
@risajung1686
@risajung1686 3 жыл бұрын
이 형 소련발음 아나운서 같음ㅋㅋ
@kangsj1977
@kangsj1977 3 жыл бұрын
역시 존테일 만만세!!!
@昌元李
@昌元李 2 жыл бұрын
많은 장교들이 스탈린에 숙청되면서 전쟁 발발 당시 유능한 지휘관이 적었던것이 치명적이라고 봅니다...아첨꾼들이 주요 요직을 차지하고 전쟁지휘능력이 많이 저하되여 있었던 상황임...
@고양이용-e9b
@고양이용-e9b 3 жыл бұрын
4:30 열심히 일해도 숙청 ㅠㅠ
@댄성-l5v
@댄성-l5v 3 жыл бұрын
젖문가들은 항상 스탈린이 유능한 장군들 죄다 숙청해서 초반에 발린거라고 해서 아, 그런가보다 했는데. 남소령님이 명쾌하게 가르쳐주네. 재수없게 소련군 편제와 교육훈련을 혁신해서 싹 갈아엎고 있는 타이밍에 쳐들어왔다고. 운칠기삼이라고. 이래서 어떤 관념이 생기기 전에 틀을 잡아주는 전문가를 먼저 접해야...
@최호준-f5f
@최호준-f5f 3 жыл бұрын
그냥 지역패권국 수준에서 대륙규모 국가에 도전한거 자체가...패전을 예약한 전쟁이었던 듯.
@vfjoivjdfojw
@vfjoivjdfojw 8 ай бұрын
05:27 소련군 규모 10:40 군관구 혁신 15:25 대비 못한 이유
@jamesyang4634
@jamesyang4634 3 жыл бұрын
프랑스가 그토록 빨리 무너질 줄, 프랑스도 러시아도 독일 자체도 몰랐으니...독소전쟁시기를 42-43년 쯤으로 잡고 계획을 세웠던 것은 아닐까요?
@naosmana5335
@naosmana5335 3 жыл бұрын
9:44 소비에트 마치가 여기서 나오다니?
@dbsrldud83
@dbsrldud83 3 жыл бұрын
제가 생각하기에는 결론적으로는 { 독일은 이미 패망이 확실시되는 거였다 } 라는 거군요... 소련을 빨리 치나 늦게 치나 어차피 소련 내부에서는 혁신을 하고 있었으니 말이죠ㅋㅋ
@승아-v7m
@승아-v7m 3 жыл бұрын
진짜 러시아는 숙청과 전쟁으로 현 시대 까지도 남자 인구수가 적으니...
@gomdorij3213
@gomdorij3213 3 жыл бұрын
이건... 논문감인데..^^*
@cjfdlskfkche5162
@cjfdlskfkche5162 3 жыл бұрын
그냥 독일이 동장군과 보급물량대결에서 밀린거야.보급 좋았으면 소련 망했어.
@humanplusscience4449
@humanplusscience4449 3 жыл бұрын
다른 학자들 논문을 조사해서 준비한 거니까요 ㅎㅎ
@vfr598
@vfr598 3 жыл бұрын
@@cjfdlskfkche5162 일본도 보급 문제만 없었다면 동남아를 칠 필요도 없었을거고 진주만을 재공습하는것도 가능했을지 모르죠 그게 안됐다는점에서 이미 말이안돼는거임.
@혁신-s5y
@혁신-s5y 3 жыл бұрын
@@cjfdlskfkche5162 물동량 생각 안 했으면 나폴래옹이 이미 전세계 다먹었지
@모던타임즈-e4w
@모던타임즈-e4w 2 жыл бұрын
@@cjfdlskfkche5162 보급이 밀린거부터가 독일이 처음부터 패망할이유다 독뽕아
@곽아라리
@곽아라리 3 жыл бұрын
이분은 이름이 뭐예요? 완존 밀리타리 1타 강사. 정말 구웃~~~
@kkkkuh12
@kkkkuh12 3 жыл бұрын
=남보람=
@taehyunkim3530
@taehyunkim3530 3 жыл бұрын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의문이 드는게 있어 댓글 남깁니다. 스탈린의 대숙청은 정적을 제거하는 과정이고 그 과정 속에서 북한처럼 당연히 군부 숙청이 진행된걸로 보이는데, 군부 숙청의 명분 중 하나로 군제 개편을 진행했다고 보는건 이상한걸 까요?? 군제 개편을 통해 기존의 전통적인 군부 세력을 약화 시키고 스탈린만의 군부 세력을 만드는 과정이 결국 독소전쟁에 있어서의 능력 발휘 부제가 아니였나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스탈린의 군부 숙청이 재능 억제 역할을 했다는 점을 봤을 때, 독소 전쟁의 초반 약함은, 결국 스탈린의 숙청 때문이였다라고 생각하는게 비약인지 궁금합니다!.
@유수윤-m4o
@유수윤-m4o 3 жыл бұрын
사실 전쟁 준비가 끝날 47년까지 기다리지 못 하고 모험적으로 폴란드 치고 소련 친 히틀러라는 존재 때문에 모두 꼬인거네요 오히려 막무가내로 들이 박았던게 유럽에게 엄청난 피해를 준거군요 참 아이러니합니다
@남자탁용삼
@남자탁용삼 3 жыл бұрын
노르망디 상륙작전 언제 나올까 🤔🤔🤔?!
@Jbgmjbgm
@Jbgmjbgm 3 жыл бұрын
너가 방구석에서 백수로 편안하게 기다리면 나오겠지^^
@식빵집사-n4c
@식빵집사-n4c 2 жыл бұрын
스탈린이 1937년에 장교들 37,000명을 시베리아로 유배도 아니고 아예 총살시켰답니다. 그래서 독소전쟁이 일어났을 때 유능한 지휘관들이 다 죽어서 소련인민 2700만명이 희생되었다고 합니다. 마찬가지로 1979년 이란에서 이슬람 혁명이 일어나고 팔레비왕 아래에서 있던 장교들을 엄청 죽였다고 합니다. 그 결과로 1980년~1988년 까지 이란 이라크 전쟁 때 이란국민의 희생이 더 컷다고 합니다.
@Inceptor_key
@Inceptor_key 3 жыл бұрын
임진왜란을 봐도 아무리 준비해도 실전을 통해 고도로 단련된 적을 상대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전쟁을 통해 단련되는 수밖에 없어 보입니다.
@유재성-u3b
@유재성-u3b 5 ай бұрын
임진왜란은 체급이 다른 나라의 전쟁이었다는 것이 요즘 생각입니다. 당시 일본의 인구와 조선의 인구, 군수품제조능력, 군대의 훈련 및 실전능력 등의 차이가 달랐다고 생각합니다.
@hyun000228
@hyun000228 3 жыл бұрын
15:52 너 숙청 ㅋㅋㅋㅋㅋ 존남이 이거 다 정리한게 대단하다. 라인란트에서 자연스럽게 대숙청 이야기로 가네 ㅋ
@mrcha0501
@mrcha0501 3 жыл бұрын
소련군이 전쟁에 준비가 안되어 있던것도 있지만 독일군이 41년 6월에 쳐들어온것도 문제였음 소련에 쳐들어 올려면 겨울때문에 봄에 쳐들어 와야하는게 정론이였는데 41년에 독일은 유고슬라비아를 침공해서 그해 여름이 되어서야 다음 전쟁을 치룰수 있었음 때문에 소련은 차마 독일이 41년에 쳐들어 올것이라고 생각을 못했고 스탈린은 충격에 빠져서 은거에 들어갈 정도로 충격을 받음
@hyeok3074
@hyeok3074 Жыл бұрын
지역마다 다른건가 봄에 눈녹아서 진창생긴다하지않았나 봄에 들어가는게 정론? (잘모름)
@jctree2172
@jctree2172 3 жыл бұрын
파충류가 허물을 벗기전, 갑각류가 탈피를 마치기전 물렁살일때 공격당한 꼴이네요. ^^;;
@김지훈-j5l6i
@김지훈-j5l6i 3 жыл бұрын
질문 있습니다 재미있게 잘봤습니다 영화서 봤을때 사람 여러명당 총 한자루만 주던데 근건 사실이 아닌겁니까 ?
@박상민-s2w
@박상민-s2w 3 жыл бұрын
41년 소련을 침공하자고한 독일 정보국 소속 동부외인군 라인하르트 겔렌의 분석이 맞았네요
@Twillightman
@Twillightman 3 жыл бұрын
실제로 독일도 자기들이 완벽하다고 여긴 10주 소련 격파 플랜이 싹 무위로 돌아가기도 했죠. 작전은 언제나, 누구에게나 그럴싸하게 완벽했습니다. 현실을 마주하기 전까지 말이죠
@유사인류조센진
@유사인류조센진 3 жыл бұрын
독일이 압승해야 했던 전쟁이죠. 그게 막힌게 신기한거고.
@user-xw1qi6wp1m
@user-xw1qi6wp1m 3 жыл бұрын
소련이 종심전투교리를 고안해낼 정도로 지적으로도 만만한 군대가 아니었음.
@ellescaliciaelles4260
@ellescaliciaelles4260 3 жыл бұрын
변신중에 쉴드치고 있는데 명존세 당했다는거군요...
@armirad
@armirad 3 жыл бұрын
와 명언나왔다 나의적은 나
@하늘의아들-h2v
@하늘의아들-h2v 3 жыл бұрын
소련의 반격은 동장군의 도움만은 아니였다는 거군요.
@다이어트는내일부-q4v
@다이어트는내일부-q4v 3 жыл бұрын
오오
@paullee6525
@paullee6525 2 жыл бұрын
침략의도도 알고있고 규모도 알고있는데 방어자의 불리함???? 신박하네
@원초의하나
@원초의하나 2 жыл бұрын
근데 국방비 증가는 억측이 강하다 생각합니다. 일국사희주의 스탈릴체제는 원래 주류 세력 독일 뿐만 아니라 자유주의 모든 진영과 군비로 경쟁한다고 스탈린의 철학이 그러하였다는 관점을 볼때 무시할수 없는게 크죠. 국방비 증가는 자본주의와의 경쟁을 준비하고 자본주의의 반동을 억제하려했다는 스탈린의 전략으로 보는게 합리적이라 생각됩니다.
@PH-mo6pn
@PH-mo6pn 3 жыл бұрын
소련이 상대적으로 약했던것은 맞지만 독일의 역량 (자원, 기동한계선 등등)은 그 약한 소련을 굴복시킬만한 정도가 아닌게 중요 포인트 (독소전 시작전에 독일도 알고 있었음)
@맛있으면따봉올림
@맛있으면따봉올림 3 жыл бұрын
만약에 독일이 프랑스까지만 먹고, 소련의 공세를 역으로 방어하는 입장이 되었다면 전쟁은 어떻게 흘러갔을까요?
@유사인류조센진
@유사인류조센진 3 жыл бұрын
소련의 침공 시점에서 독일이 1.영국을 제압하거나 최소 강화한 상태냐 2. 계속 지지부진하게 싸우고 있던 상태냐 이게 중요하겠죠
@맛있으면따봉올림
@맛있으면따봉올림 3 жыл бұрын
@@유사인류조센진 둘 다요
@맛있으면따봉올림
@맛있으면따봉올림 3 жыл бұрын
@귄터-JG52 진짜 영국.. 때문에 항공손실은 말할 수도 없고 동부전선에 집중하는 사이 전쟁 끝날 때 까지 전략 폭격 맞응 거 생각하면 영국 진짜 독함..
@usergwhsj1
@usergwhsj1 3 жыл бұрын
그랬다면 42년에 영국본토가 나치손아귀로..
@유사인류조센진
@유사인류조센진 3 жыл бұрын
@@usergwhsj1 독일은 영국 본토 점령할 능력이 없었습니다. 이탈리아에 얹혀서 북아프리카 식민지나 터는게 최선이었죠. 흔히 무솔리니가 괜히 전선 확대했다고들 욕하는데, 추축의 적이 영국인 상황에서 이집트 진공은 최선의 전략입니다. 진짜 바보는 독소전 터뜨려 적을 불린 히틀러고요.
@남센터느림
@남센터느림 3 жыл бұрын
제네 당시에 맘만먹으면 2천만도동원할수있엇다는데 후덜덜
@피부암통피
@피부암통피 3 жыл бұрын
이상한과 나쁜형 다른 나쁜콧수염형..보람이형 독백 너무재밌음ㅋ
@임석근-t5j
@임석근-t5j 3 жыл бұрын
숙청... 가족 이산....
@user-dq6tf9ms6q
@user-dq6tf9ms6q 3 жыл бұрын
전쟁도 인생도 세상사 운칠기삼인 것인가 차라리 영국 공격하느라 허비하지 말고 프랑스에서 잠시 보충만 하고 바로 소련으로 들어갔더라면 앞으로 독소전 기대됩니다 스탈린의 손짓하며 너 숙청 포즈 재밌는듯 ㅎㅎ
@유성김-z2c
@유성김-z2c 2 жыл бұрын
지금은 저거 어따 팔아먹었노???
@오귀발
@오귀발 2 жыл бұрын
대숙청이 완벽했다니 이건 무슨... 수많은 장교단 숙청에 무기개발 연구원 등 지식인 숙청 참으로 완벽하당
@대주교SupremePatriarch
@대주교SupremePatriarch 3 жыл бұрын
존남님 살만 좀 빼시면 존잘로 바뀔듯 지금도 잘생기긴 했디만
@betman6145
@betman6145 3 жыл бұрын
결론은 독일의 침공은 fortuna 70% 실력30%
@유사인류조센진
@유사인류조센진 3 жыл бұрын
41년엔 적이 너무 압도적으로 강했죠. 정확히는 독일 헝가리 불가리아 루마니아 이탈리아 추축 5국 연합군. +꼽사리 핀란드까지 6국 연합군의 침공. 물론 이때 독일이란 오스트리아 체코까지 포함한 규모. 반면 소련은 아직도 주력부대 상당수가 시베리아 즉 일본과의 국경쪽에 배치돼있었죠. 5국 연합군 병력 약 450만명 소련 서부 방어군 약 150만명 3:1 싸움이었습니다. 독일이 압승하지 못하면 그게 이상한거였고, t34 kv1등 우월한 기갑전력으로 그 '이상한 일'이 결국 벌어진겁니다. 1941 바바롯사는 '소련은 왜 처발렸나?'를 물을게 아니라 오히려 '독일은 왜 계획대로 확 밀어버리지 못했나?'를 따져야 할 전역입니다.
@아웃사이더-t5r
@아웃사이더-t5r 3 жыл бұрын
@귄터-JG52 핀란드가 싸움을 잘하긴 하는데 꼽사리 이유가 핀란드는 소련침략을 목적으로 하지 않았고 겨울전쟁 때 소련에 빼앗긴 자국영토회복을 목적으로 했기 때문입니다..그래서 소련과 2차 대전때 북부집합군으로 싸움을 핀란드는 "계속전쟁"이라구 하고 자국영토 회복하자 마자 소련과 전쟁하지 않았어요..나머지 국가는 독소전쟁 내내 독일을 도와 전쟁을 했고요...
@유사인류조센진
@유사인류조센진 3 жыл бұрын
@@아웃사이더-t5r 네. 독일과 제휴하지만 동맹은 아니라는 애매한 스탠스를 유지하다가 전세가 기울자 대차게 뒤통수를 날렸죠. 그래서 '공식적'으로 추축국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박쥐죠. 다른 북유럽 국가들처럼.
@北朝鮮人民共和國
@北朝鮮人民共和國 2 жыл бұрын
아무리 그래도 동장군이 아니었으면 소련은 진작에 먹혔지. 겨울 2번 보낸게 독일의 패인이지. 암튼 땅덩어리는 크고 볼 일이다.
@Ulsan_Whale
@Ulsan_Whale 3 жыл бұрын
마인크래프트.. 아니 마인 크라프
@klausfeuermann3825
@klausfeuermann3825 3 жыл бұрын
3:05 소위 자유민주주의를 주장하는, 심지어 박사들을 모아 놓은 "역전다방"에서도 이 쌉소리를 주장하던데...민주주의가 자본주의 즉, 개인의 재산소유를 인정하는 것에 기초한다는 것은, 고대 아테네와 로마에서부터 인정되어온 사실이고, 미국 독립선언문에 대한 해석에서도 볼 수 있는 것...역쉬 남박사님은 솔직하게 돌직구를 던지시는 군요.
@멍멍이-l5w
@멍멍이-l5w 3 жыл бұрын
역시 스탈린탓이 9할이군.
@Suneast-d2q
@Suneast-d2q 3 жыл бұрын
인명경시하면 생각나는 소련군과 일본군. 그러나 소련군은 사람을 갈아넣은뒤엔 배우고. 일본군은 배우지못하고 다시또 갈아넣는다.
@남자탁용삼
@남자탁용삼 3 жыл бұрын
독소전쟁 초기 소련이 싸움을 왜 못했을까요 🤔😠😡?!
@asd13841
@asd13841 3 жыл бұрын
숙청땜에 우수한 장교가 없어서...??
@storm_kimchi
@storm_kimchi 3 жыл бұрын
싹 다 뒤져버려서?
@맛있으면따봉올림
@맛있으면따봉올림 3 жыл бұрын
진짜 후반에는 독일군이 압살 당할 정도로 전술이 좋았는데 독일군이 불쌍할 정도.. ㅠ
@유사인류조센진
@유사인류조센진 3 жыл бұрын
독일이 너무 강해서
@belleepoquela3271
@belleepoquela3271 3 жыл бұрын
방법. ㅋㅋㅋㅋㅋㅋㅋ 나이가 보이시는 단어 선정 ㅋㅋㅋㅋㅋㅋ
@fcpark954
@fcpark954 10 ай бұрын
프랑스가 그렇게 빨리 항복할 줄 몰랐겠지...여러모로 2차 세계대전에서는 프랑스가 민폐였음.
@dkl3027
@dkl3027 3 жыл бұрын
배경음 거슬림
@9163-t4x
@9163-t4x 3 жыл бұрын
대공황후ㅡ세계가ㅡ공산주의ㅡ공포에ㅡ시달리지 ㅡ
@wiwetkiw
@wiwetkiw 3 жыл бұрын
쏘련을 달랜다고? ㅋㅋ 소련판 햇볕정책이노 ㅋㅋㅋ 핵대중의 스승님이노
@의열단박재혁의사
@의열단박재혁의사 3 жыл бұрын
대 깨 왜 구 냐?
@의열단박재혁의사
@의열단박재혁의사 3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 고마 더럽히고 느긋들 나라로 끄지라!
@wiwetkiw
@wiwetkiw 3 жыл бұрын
@@의열단박재혁의사 전라도? 홍어? 아이디만 봐도 아찔하노 ㅋㅋㅋㅋ 불매운동 열심히하겠노
@firesword5199
@firesword5199 3 жыл бұрын
그 개혁도 독일 대비하려 만든 것 같은데, 훌륭한 군인에 바보 정치가 끼어든 탓이었군요. 결국, 독일도 정치로 망한 셈이지만요.
@아하스-s2u
@아하스-s2u 3 жыл бұрын
음 그래도 저는 방송 내용의 결론에 동의하기는 어렵습니다. 어떤 혁신도 인재를 숙청하면서 하지는 않습니다. 애초에 사람 마구 없애버리고 그럴 듯한 조직구성만 쪼물딱 거리는 짓을 혁신이라고 할 수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대규모 인재 숙청의 댓가는 축적된 경험이 줄어들었다는 표현으로는 부족할 것 같아요. 죽은 사람들의 숫자만큼 암묵지와 통찰은 사라진 것이고 복원 불가능합니다. 그 댓가는 철저히 인민들이 피로 지불했습니다. 지도자는 국민을 상대로 뻘짓을 혁신으로 포장하면서 실험을 해서는 안됩니다. 당시 소련의 준비를 평가하려면 서류 이면의 것도 같이 봐야 하지 않을까요.
@Bill_Bousquette
@Bill_Bousquette 3 жыл бұрын
문재인이 대통령이니까 ㅋㅋㅋ 민주당 변명거리 지어내는거에 열중하네
@donchoo4706
@donchoo4706 3 жыл бұрын
와우... 마치 북한이 독일 같고....우리가 소련 같은 입장이네요... 우리도 국방비 쏟아붇고 북한 침략을 대비해서 계속 준비 하고 있는데... 우리도 지금 군부대는 개혁을 너무 자주 하는것 같은데 부대 통합이라든지... 할당된 작전 지역도 자꾸 바꾸고 나중에 혼란을 초래하지는 않을까?? 너무 미국교리를 배운 장군이 많은것 같음.
@park7367
@park7367 3 жыл бұрын
바른 말 하는 사람들을 마구잡이로 해고하는건 문재인 이재명 닮았군
@klausfeuermann3825
@klausfeuermann3825 3 жыл бұрын
7:02 자유진영...이런 표현들이 영국과 프랑스의 제국주의 시절 악행을 희석시키는 표현이라 생각합니다. 그냥, 자본주의 진영이라고 합시다. 아니면, 서구진영이나. 탕탕절을 즐기는 우리가 왜 박정희가 강제로 접목시킨 개념들을 아직도 쓰고 있는 겁니까. 학술적 표현은 "The Cold War was a period of geopolitical tens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and their respective allies, the Western Bloc and the Eastern Bloc, which began following World War II."로 서구진영과 동구진영입니다. 이 철학적 혹은 정치경제학적 프랑켄슈타인 상태를 극복하지 못하면, 서양 연구자들과의 feedback에서 병신소리 듣습니다.
黑天使被操控了#short #angel #clown
00:40
Super Beauty team
Рет қаралды 61 МЛН
Каха и дочка
00:28
К-Media
Рет қаралды 3,4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