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음악을 즐기고, 오디오에 관심이 많은 할머니입니다! 아무래도 전문용어가 많으니 이해하기가 힘드네요. 얼만전 잘쓰던 야마하 리시버가 고장나 수리비가 많이 나와 이참에 업그레이드겸 바꿀까 생각하고 있어요. 지난번엔 앰프와 스피커의 매칭이 어땠는지도 잘 몰랐어요. 프론트 스피커는 jbl스튜디오 590이며 우퍼,센터,리어를 쓰고있어요. 앰프출력이 어느정도여야 잘 맞을까요?
@munsukwon83933 жыл бұрын
옴수뿐아니라 반드시 헤드폰의감도도 봐야합니다. 옴수가 낮아도 감도가높은 헤드폰들은 반드시 앰프와 Dac을 잘 물려야 제대로된 소리가나고 고급헤드폰이 고장나는경우는 정말 드무니까 마음놓고 쓰시길. 포컬 헤드폰들만 약간 여기에 문제가있으니 조심하시길. 이야기가 길어져 포컬 헤드폰들에대한 이야기는 길게 못합니다.
@몰라몰라-g1t3 жыл бұрын
혹시 55만원으로 살수 있는 좋은 헤드폰 추천 가능한가요? 엠프나 덱도 필요없는 것들 중에서요
@FSA4902 жыл бұрын
@@몰라몰라-g1t 그건 헤드폰이아닌 헤드셋인겁니다..... 오디지의 게이밍 헤드셋이 딱 그 가격대에 소리가 좋다고 호평을 받은 바 있으니 추천드립니다.
@jagdishsama40853 жыл бұрын
넉넉하고 든든한게 최고제~~~
@김종혁-z1d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유튜브로 교수님 영상 보면서 음향을 꾸준히 공부하고 있는 음향하는 청년입니다!! 나중에는 라인어레이에 대한 소소한 이야기 컨텐츠도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지난 번 라이브에서 8",10"가 설교용 라인어레이로 좋다고 하는 답변을 염탐하다가 본적이 있는데, 어떤 이유로 좋고 그것을 듣다 보니 라인어레이에 대해서 더 궁금해지고 공부하고 싶은데, 관련된 유튜브 영상이 없는듯 합니다.. 매번 좋은 유튜브 컨텐츠 제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항상 응원합니다
@PixelMeLo3 жыл бұрын
기대 되네요 좋은공부가 될듯
@BlueSky-ep6rv3 жыл бұрын
그만해!! 다 터져! ㅋㅋㅋ 센스도 넘치시네요.
@ruinroar3 жыл бұрын
그 정도면 고막이 먼저 터지는게 아닌가요?
@ssawai198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젠하이저 ie200모델이 임피던스가 18옴인데요. ifi go link 꼬다리 dac/amp와 사용해도 되는걸까요? 고링크 스펙설명에는 아웃풋이 32옴에서 1.5V/70mW이상이고 300옴에서 2V/14mW이상이라고 되어있습니다.
@가즈아-f9e Жыл бұрын
한계점이라는게 볼륨 100으로 들으면 안된다는 것인가요?
@lIllIlIllIlIllI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교수님. 제가 16옴짜리 이어폰을 presonus의 studiolive32믹서의 모니터링 헤드폰 아웃풋에 총알잭을 끼워서 듣고 있습니다. 그런데 모니터링중 각 옥스믹스별 소리를 듣는중 특정 옥스로 바꿀때마다 이어폰에서 띡!하고 찌르는 느낌의 소리가 나는데 그것도 오늘 설명한 내용과 같은 멕락에서 나오는 현상일까요?
@lIllIlIllIlIllI3 жыл бұрын
또 다른 질문이 있는데 새로 댓글 달기는 조금 그래서 이어서 질문하겠습니다. lg폰에 있는 quad-dac 모드중 외부 음향 기기 모드 활성화의 조건인 600옴 이상을 내기 위해 50옴 이하의 이어폰이나 헤드셋에 무저항잭을 물려서 그 모드를 활성화 시키는 것도 이어폰이나 헤드셋에 좋은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봐도 될까요?
@seungbinchun56753 жыл бұрын
@@lIllIlIllIlIllI 엘쥐폰은 그 난청방지 국내법 때문에 기본 0.4? 정도에서 2vrms로 출력 늘려주는거로 알고있는데 2 정도면 그냥 평범한 DAC 수준 아닌가요? 이정도는 상관없을거같은데
@KharismaKoo3 жыл бұрын
사람은 역시 배워야하네요
@hyohyopp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저같은경우 평판형 헤드폰 쓰고있는데 딱딱소리나서 USB선을 2.0에서 3.0 다른쪽으로 바꿔서 쓰니깐 딱딱소리가 안나네요 usb 출력 문제였나봅니다.
@찌옹수3 жыл бұрын
한번도 이런적이 없어서 다행이네욤 :)
@먼치킨-e2i3 жыл бұрын
아! 이제껏 60옴 짜리 d8000이랑 35옴짜리 스텔리아를 아작내고 있어네요. 그냥 무식하게 댐핑이 좋은 걸 좋은 소리라고 생각하고 있었네요.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aristophia4 ай бұрын
초창기에 큰 소리로 에이징한다고 이어폰 두 개 터뜨린 적 있죠. 비싼 거.
@비솟2 жыл бұрын
14:40
@jhb9052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교수님~~ 영상 너무 잘 봤습니다! 감사드립니다 ㅎㅎ 그런데 제가 궁금한 점이 두 가지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1. 하이파이맨이나 댄클락오디오 헤드폰들은 감도와 옴수가 모두 낮은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는 헤드폰 앰프에 연결해야만 볼륨확보가 되더라구요~ 평판형 헤드폰들은 대체로 높은 와트수도 버틸 수 있도록 설계된 걸까요? 제가 사용하는 헤드폰은 하이파이맨 아리아 구형인데, 감도는 90dBspl에 임피던스는 35옴이라 궁금합니다! 2. 제가 헤드폰에서 딱딱 소리가 나는 걸 들어본 적이 있습니다. 댁앰프인 DX3PRO+에 분배기(HA400)를 연결하고, 댁앰프의 소리를 -6dB까지 높인 후에 (0dB가 한계치였던 걸로 기억합니다) 분배기 소리를 0에서부터 서서히 올리면서 볼륨을 조절했는데, 오르바나 라이브 1이라는 헤드폰에서, 듣기 편한 볼륨이었는데도 불구하고 딱딱 소리가 나더라구요. 저는 분배기에서 소리를 줄여서 출력하므로 문제가 없을 줄 알았는데, 제가 잘못 알고 있는 것 같습니다. 실제 출력하는 볼륨의 크기와 리시버가 받는 와트 수가 비례하지 않는걸까요? 댓글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혹시 이 질문들과 관련하여 이미 촬영하신 영상이 있다면 제가 보고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
@zziung3 жыл бұрын
빠지면 빠질 수록 어려운 음향의 세계....
@하영준-n9z2 жыл бұрын
블루투스 헤드폰 이어폰도 해당하는 이야기인가요?
@Ehk07012 жыл бұрын
블루투스 중에서 유선연결이 가능한 기기들에도 일부 적용되는 이야기
@blackmirr3 жыл бұрын
유독 포칼 유토피아 헤드폰 고장 이슈(특히 내부 단선)가 자주 보이는 이유가 바로 이건데 사람들이 제 말은 안 믿어주더라구요. 비싼 헤드폰인데 원래 내구도가 낮느니 어쩌니 하는 이상한 논란이 정리되길 바래봅니다.
일반적으로 하이파이맨 헤드폰이 옴수에비해 출력을 많이 먹는다는 평가가 많은데 시간되신다면 하이파이맨 헤드폰 출력에따른 변화가 어떻게 되는지 리뷰한번 부탁드립니다 👍
@sominmin3 жыл бұрын
하이파이맨 HE6SE같은경우는 50옴인데 감도가 83db라 600옴인 베이어다이나믹 T1보다도 훨씬 볼륨을 많이 올리죠 32옴기준 6W출력 나오는 헤드폰앰프를 써야 여유있게 울릴수있는.....
@몰라몰라-g1t3 жыл бұрын
제발 아무나 유선헤드셋 추천해주세요 현재 55만원 있고 2020맥북 프로, 아이폰11pro에 연결해서 쓸 생각인데 임피던스까지 따져서 추천해주세요. 엠프까지 살 돈이 없어요
@previsions3 жыл бұрын
hd660s 추천이요 ^^
@몰라몰라-g1t3 жыл бұрын
150Ω 정도면 덱이나 앰프 없이도 폰에서 괜찮게 사용할 수 있나요?
@FSA4902 жыл бұрын
@@몰라몰라-g1t 아뇨 절대로요.. 폰은 32오옴만 되어도 볼륨을 끝까지올려도 큰소리를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Hip dac2 같은거라도 있어야 구동됩니다. 애초에 음향을 신경 쓸 거면 덱 앰프 구비는 각오하셔야됩니다. 아무리 헤드폰 좋아봐야 사운드카드가 젬병이면 소리 완전 구려요
@몰라몰라-g1t2 жыл бұрын
@@FSA490 저 이미 이어폰을 주문해서 내일이면 오는데, 페리오딕 로듐이랑 aonic4샀어요 좋은 선택인가요?
@FSA4902 жыл бұрын
@@몰라몰라-g1t 나쁘진 않네요.. 이어폰도 괜찮고 dac가 조금 아쉽다만 충분히 폰 내장 오디오보단 좋을겁니다.
@dizzyjung3 жыл бұрын
평판형 헤드폰 한쪽이 이상한 소리가 나서 뜯어보니 다이어프램이 찢어진 경우가 있었습니다. 다이어프램이 워낙 얇더군요 데미지에 매우 취약하달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