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벤트 마감됐습니다※ 응모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12월 10일부터 12월 15일까지 가 진행중입니다. 입안에서 톡톡 터지는 '비격진천뢰 초콜릿'을 구독자 200분을 추첨하여 보내 드립니다. 간단한 설문에 답해주시면 이벤트에 응모하실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더 찐한! 염초 냄새 가득한 영상으로 다시 돌아오겠습니다. - 전통밀덕맛집 국립진주박물관 배상- ▼이벤트 참여하러 가기▼ jinju.museum.go.kr/kor/html/sub06/060301.html?mode=V&no=8e0b51faf60c59e8c6a31ae072e479cf&GotoPage=1
@cheshirecat6024 жыл бұрын
재미있고 유익한 영상 감사드립니다!!
@김성연-r5p4 жыл бұрын
박물관과진행하면서 더자세히알수있게되서 좋아요!ㅎㅎ
@user-ng7th1fv1z4 жыл бұрын
박물관 하면 딱딱하고 재미없고 틀딱이라고 생각했는데 국립진주박물관 유튜브를 보고 저의 편견이 없어졌습니다. 그 덕분에 다른 박물관등도 알아보고 알아보다보니 한국사에 관심이 생겨서 한국사 자격증도 취득하였습니다. 국립진주박물관 유튜브는 저의 인생에 새로운 재미와 목표를 가져다 주었습니다 감사합니다
@bidfor67984 жыл бұрын
코로나가 끝나면 방문해야지
@hs1898-h9i4 жыл бұрын
재밌는영상에 재밌는 이벤트까지 정말 감사합니다 ㅎㅎ
@yujinnchoi19604 жыл бұрын
군대에서 전차병이었습니다 전차내 주포의 공이가 중요하고 분실되면 안되어서 전차가 아닌 건물내에 따로 보관했습니다 비격진천뢰 뚜껑도 그런 이유로 지연신관과 함께 세트로 따로 보관해서 지금까지 발견이 어렵지 않았나 추정해봅니다
@villainmochi4943 жыл бұрын
호오… 저도 동의합니다. 본디 단순한 금속은 녹슬기 쉽고 관리를 용이 하기 위해선 따로 두고 관리했을꺼 같아요. 합쳐서 관리 한다면 아마 분리하거나 결합이 어려운 부분이 생기기 때문에.. 녹 제거를 위해서 라도 편하게 하지 않았나.. 하는 지나가던 귀금속과 학생입니다..
@5thousandwon4 жыл бұрын
이번 영상으로 비격진천뢰에 대해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었네요.. 이런 좋은 퀄리티의 영상을 만들어주신 국립진주박물관과 건들건들님, 정말 감사합니다!
@김승신-t7m4 жыл бұрын
진주박물관 최고입니다.ㅎㅎ 국박에서 이런 참신한 기획을!!! 놀랍습니다.
@xroadcedarhill92244 жыл бұрын
다큐 퀄리티가 공중파 다큐도 울고갈 정도네 건들건들 대단혀 하여튼 ㄷㄷ
@gravel1brevet2campinghocke274 жыл бұрын
품질 품격 품위써도 충분할건데... 아쉽네요
@dcacao14 жыл бұрын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선생님께서 멋지게 다시 써 주세요👍
@johnteordorr113 жыл бұрын
다큐멘터리 퀄리티가 브롣캐슽 다큐도 크라잉 할 정도네 건들건들 그레이틀리 하여튼 ㄷㄷ
@choichad30174 жыл бұрын
역사 연구를 진행하는 기존의 제도권에 해당하는 진주박물관과 밀러터리 미디어 건들건들의 만남!! 정말 기념비적인 현상입니다(주접 아님 ㅋㅋㅋ) 이런 신선한 시도들이 더 많이 이루어져서 한국의 전쟁사 연구가 더 대중적으로 조명되고 했으면 싶네요. 항상 응원합니다
@강민철-w2b4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을 보고 비격진천뢰에 대한 궁금했던 부분이 해소 되었고 재미있게 보았습니다. 이런 유익한 영상을 기획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SulfurParrot4 жыл бұрын
심지가 2개였군요. 심지를 나선형으로 감아서 시한신관효과라는건 알았는데 그건 처음알았네요
@saehyoung0124 жыл бұрын
역시 전통밀덕맛집 진주박물관이네요! 이번 영상도 잘 보겠습니다~
@chc3044 жыл бұрын
7:48 진천뢰 자료들은 홍위병들이 다 박살내버렸다구!
@fck18254 жыл бұрын
아 문화대혁명때 홍위병이 개박살ㅋㅋ
@lee-rf2eu4 жыл бұрын
지네역사가아니니 역사지우기ㅋ
@doulk24763 жыл бұрын
문화대혁명 마오쩌둥: 이책은 해로운 책이다.
@체크리스트3 жыл бұрын
고마워요 홍위병! ㅋㅋㅋ
@비디올로지3 жыл бұрын
선대왕조의 위대한 문화유산은 우리 홍위병이 다 불태웠으니 걱정말라구!
@스위-s3u4 жыл бұрын
초콜릿이요? 박물관에서 이런 이벤트 신기하네요 모..책나누어주겠지.. 했는데.. 새로워서 좋습니다
@안촉촉한초코칩-k9c4 жыл бұрын
이야 입안에서 터지는 빙철의 맛을 느껴보라니... 살벌하누
@송명진-q1l4 ай бұрын
재출시 해줘...
@catfather44874 жыл бұрын
뚜껑 하나가 발견된게 정말 천운이 도운거였네요
@easeafe4re5814 жыл бұрын
아이디어가 대단한데요. 껍데기를 산산조각낼 기술력이 그때 있을 순 없었겠죠. 대안으로 2~3조각으로 분리한뒤 속에 있는 금속파편으로 살상하다니. 지혜가 돋보이는 구조입니다
@HI-tg3ji3 жыл бұрын
왜 없겠나요 충분이 잘깨지기 쉬운데 다루기위험해서 안만들엇겠죠 지금도 수류탄위험하자나요
@저는기어다닐거에요 Жыл бұрын
@@HI-tg3ji단순히 잘 깨지게 만드는 게 다가 아니라 포탄 발사할 때의 충격은 견뎌야 하잖아요..
@HJ-je7iv Жыл бұрын
@@HI-tg3ji포탄의 충격을 견디면서 날아가 땅에 쳐박히는 충격도 견디고 오직 폭발하는 압력에만 산산조각 나 터지게 만들려면 지금도 고도의 기술력이 필요할 겁니다ㅋㅋ 16세기에 그건 어렵죠
@muneungBeing4 жыл бұрын
건들건들의 영상미와 그것이 보여주는 정보는 TV에 나오는 다큐영상 보다 더 재미있다
@TheLegender024 жыл бұрын
이 때까지 알던 비격진천뢰는 지연신관 작열탄의 느낌이었다면... 지금은 느낌이 원격 지연신관형 크레모아 느낌으로 재발견 될 것도 같네요.
@Dwaejigugbab26584 жыл бұрын
발사용 크레모아를 조선시대때 만든 우리나라 칭찬해
@룰루하잉-x3s3 жыл бұрын
근쟝대부분이 과장인듯
@user-Roni3 жыл бұрын
@@룰루하잉-x3s 과장은 아닐걸? 위력에 관해서는 ㄷㄷ
@버프코트2 жыл бұрын
@@룰루하잉-x3s 근데 일본측 기록에도 비슷하게 묘사된거 보면 그만큼 충격적인 신무기였다는건 확실하뎌
@룰루하잉-x3s2 жыл бұрын
@@버프코트 무기자체는 그럴 수 있는데 그게 동아시아의 무기의 혁신을 가져오진 못했다는거에서 그만큼 단점이 많았겠죠
@jasonahn80764 жыл бұрын
영상 정말 잘 봤습니다! 앞으로도 이와 같은 영상이 계속 올라왔으면 좋겠습니다!
@lobata87704 жыл бұрын
정말 유익한 영상입니다
@머밍-h8i4 жыл бұрын
역시 건들건들 ㅎㅎ 계속 한국사를 이렇게 풀어주었서면 좋겠습니다.
@변형-u9g4 жыл бұрын
유익하고 재밌게 봤습니다~ 좋은컨텐츠 감사해요 😄
@서라벌-x1d4 жыл бұрын
진주박물관 최고다
@sungminhwang17004 жыл бұрын
정말 감사합니다! 여러 새로운 사실을 알았네요! 앞으로도 더많은 자료들과 정보가 나왔으면 하네요! ㅅㅅ 그나저나 중국에서 과연 그 자료를 받고 보일 반응도 걱정되는데... 건들건들도 응원합니다! ㅅㅅ
@하둠4 жыл бұрын
건들건들 형님들 여기까지 오셨네 영상 재밌게 잘 보고있습니다
@kcs732094 жыл бұрын
다음에는 화차 시리즈라도 나올려나? 문종화차, 유성룡화차,변이중화차,신경중화차 등등.. 같은.
@미숫가루찌개4 жыл бұрын
세종: 과학덕후. 문종: 밀덕. 유성룡: 기록덕후. 나대용,이순신(휘하장수): 함선덕후
@윤채-o8r4 жыл бұрын
화력에 환장한건 역시 조선시대에서부터 예고된거군
@845marine8454 жыл бұрын
고려시대부터...최초의 함포가 그 당시 시작이니.
@lee-rf2eu4 жыл бұрын
고대 산악문명때부터 화력을 중요시했죠ㅋ
@thecontentful4 жыл бұрын
이런 영상을 ................................................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Xia-hq7mh4 жыл бұрын
아 정말 최곱니다 !!!
@칼라밤나락 Жыл бұрын
영상 진짜 겁나게 잘 만들었네요ㅋㅋㅋ 관련된 영상들 다 보고 있는데 하나같이 다 감탄사만 나옵니다 ~!
@오후1020분4 жыл бұрын
초콜릿 이벤트에도 썼지만 이런 해명(?) 컨텐츠가 괜찮은 것 같아요
@백원일-l6g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좋은정보! 힐링방송 감사합니다! 구독좋아요는 사랑입니다!^^
@BoutKorea4 жыл бұрын
아마 자랑스러운 홍위병이 중국 진천뢰 다 꺠부셨을듯..ㅋㅋ
@블루레터3 ай бұрын
걔네들거는 던지는거 아니었나요? 질려포통처럼...
@jadeelix5942 ай бұрын
@@블루레터수류탄?
@ack314511 ай бұрын
살상력을 높이기 위해서 상당한 구상과 실험을 하고 만들었다는 생각이 드네요. 우리 조상님들 대단하심.
@JERRY_KOR4 жыл бұрын
초콜릿 폭탄까지 칭찬해요 ㅋㅋㅋ
@이은정-d9q9h4 жыл бұрын
이벤트 덕분에 공부 잘 했어요~ 감사합니다^^
@doom93443 жыл бұрын
5:10 측면을 얇게 만들고 뚜껑을 단조로 무겁게 만든 이유는 오뚜기처럼 심지 부분이 아래로 서기 위해 만든 거 아닐까요. 그러면 측면이 옆으로 바라보면서 터지면 더 큰 피해를 줄수 있겠죠. 그리고 쇠공의 철의 강도를 약하게 주조하여 낙하 충격를 견디면서 내부 폭발에는 깨지면서 터지게 할수 있을듯합니다. 그래서 4방에 구멍을 만들었고 깨지면서 3단 분리가 되었겠지요.
@밀체4 жыл бұрын
건들건들 콜라보를 누가 계획하셨는지는 몰라도, 사랑합니다 + 비격진천뢰를 해전 및 수비용으로 사용한 경우도 있을까요???
@포뇨아기물고기-g5s4 жыл бұрын
백번째 댓글이네용^^♡ 비격진천뢰 멋진설명 입니다
@Sien_Ha3 жыл бұрын
진천뢰는 지뢰고 비격진천뢰는 '비격' 즉 날아서 쏘는 무기니 그 차이만 하더라도 차별화 가능한 무기죵
@다시쓰는징비록임진왜4 жыл бұрын
질려포통이나 발화통 같은 것도 같이 비교해서 설명했으면 좀 더 좋지 않았을까 싶네요. 비격진천뢰에 대한 깊은 이해가 될 수 있어 좋았습니다. 다음 영상이 기대됩니다.
이 정도의 나라를 구했던 무기면 일부러 나라에서 지원해서 재현해서 실험을 해 보는 것도 가치가 있을 것 같네요.
@장동현-d4q3 жыл бұрын
kzbin.info/www/bejne/jImpZa2ko5KEjLs
@Twibap2 ай бұрын
3:33 비격진천뢰의 뚜껑에 다른 의견 있습니다. 1. 중앙의 손잡이 꼭지 -> 심지 2. 양측 구멍 -> 손잡이 --------------------------------- 뚜껑은 본체와 십자(+)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그렇게 구성하기 위해서는 뚜껑을 회전시켜야 하는데, 이때 필요한 토크를 주기 위해 손잡이가 필요했을 것입니다. 심지가 2개라고 하더라도 그 심지가 같은 물건이었다면 불발을 대비했다고 하기 어렵습니다. 전란에 두 종의 심지를 준비하기도 어려웠을 것입니다. 따라서 제 얕은 의견으로 가운데가 심지 구멍이고, 영상의 심지구멍은 뚜껑을 눌러서 잠그기 위한 손잡이 구멍이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ghjeon95579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만들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일상을 누리는 가운데 이렇게 연구하시는 분들 덕분에 우리의 역사를 또 새로 알게 되는군요. 이장손 그 위대한 이름도 기억하겠습니다,
@기르태4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ㅎㅎ 형님들이 기존에 하셨던 영상들 6.8미리나 전쟁사도 기대되니까 천천히라도 좋으니 복귀해주세요!!ㅎㅎ
@날강도-d8m4 жыл бұрын
하나 여쭙니다. 비격진천뢰... 그니까 대완구의 사거리는 얼마나 나왔나요? 이거이 임란시절 수군에서 활용했다는 기록은 있는지요? 수군에서 진천뢰를 사용했다면 영화 명량의 폭발장면이 고증오류가 아니라는 의미도 되는데 말이죠.
@포리스트캠프4 жыл бұрын
명량은 횃불에 화약이 유폭된 거고 진처뇌 자체가 폭파는 되는데 징비록이나 불멸의 이순신에 나온 것 같은 충격신관식 고폭탄같은 모습과는 거리가 한창 멉니다. 대완구로 쏠 때 유효사가 230보 정도 나왔다는군요(m.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32433) 기사에선 1.2m로 환산했는데, 시대마다 조금 차이가 나다보니..
@김광영-u6g3 жыл бұрын
세금은 이런데 지원해야됩니다 응원합니다
@김민호-e4l4 жыл бұрын
이건 고창군 무장면 옛 무장국민학교 운동장에서 발견 된건데요... 제가 국민학교 시절에 이미 나온적이 있었어요 그때는 그냥 버려진거지요... 학교 운동장은 비만 오고 나면 깨진 도자기가 너무 많이 나와서 학교 첫 조회 시간은 전교생이 깨진 도자기나 돌맹이를 줍는게 일상이었어요 반갑긴하내요
@madkkm874 жыл бұрын
기갑장교 전역자입니다.. 이거 예전부터 너무 궁금했는데 예전에 사용했던 화포들의 조준방법과 사격제원을 어떻게 산출했는지 알고 싶네요 ㅠㅠ 전차포의 경우엔 전차장이나 포수가 레이저로 사거리 찍으면 측풍감지기, 탄종, 사거리, 온도 등 각종 제원을 탄도 계산기가 계산해서 사격하는데요 중세시대 조선의 화포술이 궁금합니다... 제가 알기에는 눈대중으로 사격했고 임진왜란때 함포사격으로 적함을 격멸했다는데...눈대중으로 쐈다면 23전 23승이 나오진 않았을거 아닙니까... 뭔가 방법이 있었을텐데... 예를 들어 몇백보에서는 화약을 얼마 넣어 사격했다, 몇백미터에서는 화포의 각도를 좀 올려서 사격했다, 적이 근접하면 고각을 낮췄다 등등... 아닌가요? 그냥 대충 눈대중으로 쐈을까요...
@탐조등-y3y4 жыл бұрын
당대에는 정리되어 문서로 남거나 짬밥으로 구전되는(?) 사격 제원이 있긴 있었을 것 같습니다.(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에서의 전투 기록을 보면 천자총통 포대가 대포병 사격을 쏴서 청나라 홍이포 포대를 격파한 등의 기록이 있습니다. 물론 지금처럼 가시선 밖에서 곡사로 포탄을 주고 받은 건 아니고 가시선 내에서 이뤄진 교전이지만, 대포병 사격을 할 수 있을 정도의 정확도라면 그냥 감으로 쏘는 수준은 아니었겠죠.) 문제는 그게 지금 안 남아 있으니 뭐라 단언하기가 어렵단 거죠. 그리고 결국 사격 통제의 기본은 적과 나의 정확한 거리를 아는 건데, 당시는 역시 눈대중 외에는 교전 중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이 없었을 겁니다. 포의 고각이나 조준을 조절하기가 어렵단 문제는 차치하더라도요. 여기에 특히 해상에선 파도에 의한 함선의 롤 피치 요가 더해지죠. 자이로 안정기가 달린 현대 함포로도 이 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수는 없는데 당시는 오죽 더했을까요. 따라서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함대 함포의 유효 사거리가 흔히 생각하는 것보다는 상당히 짧았을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서양 범선들이 서로 현측 까고 마상 창 시합하듯 스쳐 지나가면서 포를 쏘는 교전 양상이 괜히 나온 건 아니란 거죠.
@별나무-c8e4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전 해전은 근거리에서 직사격 했다고 봅니다.탄종은 산탄을 사용했을 거라고 보고요 드라마나 영화에서 나오는 원거리 곡사격은 힘들다고 봅니다. 상식적으로 흔들리는 배에서 조준도 쉽지 않는 대포를 가지고 심지가 타들어가는 격발방식의 대포로 움직이는 표적을 곡사격으로 맞춘다? 로또번호 맞추는게 더 쉬울듯 ㅎㅎㅎ
@myway_j_14182 жыл бұрын
@@별나무-c8e 아예 근거리는 아니고 100~200보(120~240m)정도에서 포 사격을 했죠. 거리별 화약량을 다르게 하는 포 사격술도 존재했고요.
@때구르르w2 жыл бұрын
당시에도 가늠자와 가늠쇠가 있었습니다.
@김도훈-k6j4 жыл бұрын
초콜릿어제 왔어요! 달달하고 안에 톡톡터지는 초콜릿이 들어있어요 색도 예뻐요!
@nelsonjeong83573 жыл бұрын
각 대학 고고학과, 지역박물관, 각군사관학교, 국사편찬위원회, 필요에 따라 KAIST 등 이과 연구기관 등이 협력해서 제대로 된 군사사 연구를 진행해 나갔으면 좋겠습니다.
@throneblack69014 жыл бұрын
8:26 박격포 주특기 조상님들의 욕설이 여기까지 들리는 듯 하다 ㅠㅠ
@자명종-y1r4 жыл бұрын
건들건들 아재들이 만들어서 재미 세배 기관 주도의 역사컨텐츠라 유익함 네배 공중파 따귀후리는 퀄리티까지 이게 유튜브 시대다
@청솔향-g9u4 жыл бұрын
처음 역사스페셜에서도 이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이때도 비격진천뢰자체가 산산히 부숴 진게 아니라 길게 찢어졌고 그안에 파편들이 화강암바위에 쑤셔박혔지요! 실로 놀라운 위력 이었습니다. 물론 과거의 주조 야금 능력을 감한하면 진천뢰는 아래위로 쉽게 터졋을 터이고 비산하는 쇳조각 파편은 충분하진 못한 폭압으로인해 위력은 덜햇겠지만 살상 반경은 더 넓엇을 터입니다.
@Nirong4 жыл бұрын
역사가 이렇게 재밌는거였나....ㅋㅋㅋㅋ
@dudrak75752 жыл бұрын
질려포통 도 다루어 주셔요
@ideakim33233 жыл бұрын
영상 참 잘 만들었네요. 공중파 보다 훨 좋네요. 대단합니다.
@jaelim60874 жыл бұрын
멋있습니다 ㅎㅎㅎㅎ 성우분들도 너무 맛갈 나시네요
@kcs732094 жыл бұрын
오래전에 역사스페셜에서 나온적은 있는데.. 그때는 뚜꿩 부분이 철변을 밖아서 고정한 거라서 폭팔할때 뚜꿩 부분으로 45각도로 회전하면서 철편을 분출.
@youngmoon87624 жыл бұрын
한국이나 일본의 기록에는 소리가 천지를 진동하고 쇠편이 별처럼 쏟아졌다고 되어 있는데 이거는 아무리 봐도 회전하면서 철편이 분출한 모양은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사용된 진천뢰를 보면 두세조각으로 외피가 불규칙하게 쪼개져 있는 것을 봐서는 깨지지 않으면 저련 형태가 안되죠.
@티베트인들이여독립의3 жыл бұрын
고딩때 허접한 흙백사진으로 봤는데... 작동원리며...세상 진짜 좋아졌다...^^
@Yeulyeul23 жыл бұрын
시편전처리 기술을 발전이 많이 되어 유물들도 고증 및 분석이 가능해 진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jhl4823 жыл бұрын
비격진천뢰 박물관이나 사진으로 볼때마다 제일 궁금했던게 저 뚜껑을 어떻게 고정하냐 였는데..(그래서 심지구멍을 나사구멍인줄 알았던 적도..) 넣은 다음 90도 돌리는 거였군요..!
@skyblood994 жыл бұрын
기습에만 쓰인건 좀 의아한데요? 심지는 사전에 감아놓을 수도 있고 충분히 준비될 수 있는 것들 같은데 어찌 보면 조총보다 발사시간이 짧았을 수도....
@압도海-K정 Жыл бұрын
비격진천뢰 개발배경, 개발자 등에 대해서 소개해 줬으면 더 좋아을것같고, 행주대첩, 진주대첩, 청군들과도 싸울때-광교산전투-도 많이 사용하고 효과를 많이 봤다는데, 너무 싱겁게 소개를 하셨네요.
@고양이용-e9b4 жыл бұрын
포로 쏘려면, 저정도로 두꺼워야 할까요. 많이 두껍네요.
@InitialJKJ7904 жыл бұрын
그당시 금속생산기술이 부족해 불순물이 많이 들어 있었습니다. 불순물이 들어가면 그 주변이 약해져 깨지기 쉬웠죠. 게다가 현대에는 합금을 이용하여 최대한 원하는 스팩에 마춰 만들 수 있지만, 그 당시에는 그런 기술이 없기 때문에 각 광산에서 생산된 금속의 합금 비율이 달라 품질도 천차만별이었죠. 그저 장인의 경험과 감으로만 만들어 지기 때문에 최소 품질에 규격을 마춰야만 합니다.
@GYANGBA_764 жыл бұрын
건들건들 행님들 위해서라도 참가해야지
@이동건-q9c1s4 жыл бұрын
아름답다
@SM-dh2dk4 жыл бұрын
여윽시 화력의민족
@seojinyang87133 жыл бұрын
흥미로워요
@드키무티3 жыл бұрын
8:00 비격진천뢰도 사실 명나라에서 만든 거거든요! 폭발할 때의 팽창력에 비격진천뢰 쇠껍데기도 튕겨져나가면서 왜군 얼굴을 박살냈을 것 같은데 그 정도 위력은 없었던 건가?
@lkj0984 жыл бұрын
유서깊은 포방부의 역사...
@71폭우4 жыл бұрын
비격진천뢰 초콜렛 잘받았습니다. 잘보관해놨다가 진짜 특별한날 먹어야겠어요
@skyyu87772 жыл бұрын
충격에 민감한 흑색화약을 넣고 폭팔없이 발사해서 원하는장소에 폭파하도록 만든것은 당시 세계유일한 첨단기술인듯 합니다
@BlackSkyUploadTube3 жыл бұрын
0. 이중신관? 1. 세열수류탄의 원리를 알았다면 덜 두껍게 만들었으려나요...
@포리스트캠프3 жыл бұрын
헌데, 흑색화약의 한계상 파편 생성에 한계가 있어서....
@BlackSkyUploadTube3 жыл бұрын
@@포리스트캠프 뭐 그냥 쇠공보다는 쇠공 조각덩어리가 좋지 않나요?
@ShutTheYunMouth2 ай бұрын
땅에 떨어질 때 쉽게 파손되는 것 때문일 수도 있겠네요...
@쏘치킨88-z9u2 ай бұрын
흑백요리사에서 철가방 요리사가 만든 팔보완자가 생각나게 되는 비주얼이네요.
@미숫가루찌개4 жыл бұрын
즉 지금으로 치면. 지뢰나 크레모아를 포에 넣고 쐇다는거지?
@kyunghochoi59124 жыл бұрын
동학농민전쟁 터져서 노획 방지로 땅에 묻은게 아닐까 합니다.
@nasty_waterdeer4 жыл бұрын
16세기 무기가 왜 19세기 지층에 나왔는지 현역은 안다 왜긴 그때 만든거 19세기까지 치장물자라고 쌓아놓고 있었으니까 그렇지 아마 그냥 묻혀버린것도 파기하기 귀찮아서 그랬거나 쐈다고 하고 안쏴서 남으니까 잉여수량 파묻은거일거임
@youngmoon87624 жыл бұрын
카빈총알 남아있는거 보니까 이해는 간다. 카빈총알도 수백년 쟁여놓을듯..
@Nutshell0013 жыл бұрын
앵 몇년전에 외주받아서 만들었던 작업물이 여기나오네요.
@j86633 жыл бұрын
비격진천뢰가 지연신관의 시초가 된 폭탄인 셈이군요
@easeafe4re5814 жыл бұрын
금나라의 진천뢰는 개인화기였다면 조선의 진천뢰는 공용화기였네요
@티마르포포카4 жыл бұрын
당시 입었던걸 참고로 보자면, 그정도 화력으로도 충분히 타격을 입히고 남을 정도겠죠. 병사들이 다 갑옷을 입는건 아닐거 아니에요? 거기다.. 저런게 몸에 들어가면 수술로 빼내기도 힘들었을거고. 이런걸 고려해보면.. 사용은 당연히 하긴 했겠죠. 한번에 물건 만들고 사용 못한게 한참 남아있었을테고.
@pokronews4 жыл бұрын
구독합니다
@jeanne1312 жыл бұрын
누가 이 댓글을 봐주실지 모르겠는데 도움이 필요해서 여쭙니다. 전장식 대포 격발 시, 심지에 붙을 붙이던 병사를 따로 부르던 명칭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bhpark91254 жыл бұрын
우와....수류탄처럼 선빵은 물론 전투 중간 중간에도 막 쓰이는 줄알았는데 그게 아니였다니,,,, 마치 전투의 시작을 알리는 포병사격의 역활이었네요. 역시 포방부의 조상 답다 ㅋㅋㅋㅋㅋㅋㅋㅋ
@Gaygaygayya4 жыл бұрын
결론:타임머신 도입 시급
@abcabc42194 жыл бұрын
역덕들의 압도적인 지지를 받을듯ㅋㅋㅋㅋㅋㅋ
@jamesyang46344 жыл бұрын
전쟁 후에는 잘 안쓰인게 비용문제라고 들었는데 아닌가요?
@전역자-i8j4 жыл бұрын
크레모아랑 비슷한거 같아요 ㅎ
@Taiwan_No_14 жыл бұрын
아 맞다 설문때 추천하는 무기로 신기전을 안썼다 제길
@김병순-r3d1p7 ай бұрын
심지 꺼지는 경우 많을텐데 4개로 만드는게 낫지않나?
@ShutTheYunMouth2 ай бұрын
그럼 4개 받고 8개로~~
@greatbingo34704 ай бұрын
미국보다 200년 앞서 고폭탄이 등장한건가요?
@lyr28632 ай бұрын
고폭탄보단 유탄에 가깝겠네요
@구독해주세요진아세상 Жыл бұрын
지금 전장에서도 써도 될듯
@금나라돌격기병대3 жыл бұрын
진심 이런 조선 전기의 화력무기들을 보면 매우 안타까운건 조선은 16세기에 이장손이라는 군사기술자 화포장에 의하여 매우 혁신적인 신식 포탄인 '비격진천뢰'를 실전에서 사용하였는데, 무려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프랑스에서 18세기때 만든 슈랩널보다 무려 2세기 앞선 것이었는데, 비격진천뢰에 영감을 준 진천뢰라는 무기는 투척식 폭발탄으로서 출현 시기가 매우 오래된 화력 무기였지만, 이 무기를 포탄으로 발전시킨 것만 봐도 조선 초기까지 매우 진보적인 군사 기술력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음. 그러나 문제는 조선은 이런 당시 세계에서 가장 앞선 최강의 화력무기 개발에 성공했음에도 불구하고 재정적인 문제를 이유로 군사 무기 발전을 더이상 하지 않고, 조선이 망할 때까지 이런 혁신적인 무기들에서 더 나아가려고 하지 않아서 정체되버리는 바람에 조선보다 군사 기술력이 2세기나 뒤쳐졌던 유럽에게 순식간에 추월당하는 걸 보면 진심 안습 중의 안습.. 하여튼 조선은 막상 매우 좋은 무기들을 개발했어도 그걸 제대로 발전하려고 하질 않으니 발암...
@dpark72723 жыл бұрын
나름대로 아쉬웠던 역사가 맞긴하죠
@ShutTheYunMouth2 ай бұрын
공자왈 맹자왈 서책을 읽는 기술(?)이 더 우대받았던 성리학 국가라서 어쩔 수 없었습니다. 한 때 종교에 매몰되어 미개하게 살던 중세유럽 떠올려보시면 오히려 조선시대가 더 선진문명이었습니다.
@에효맨2 жыл бұрын
비격진천뢰 외 무기를 세종 이후로 꾸준히 투자를 했다면 더욱 강력한 무기로 발전했을 것인데!
@내일의홍2 жыл бұрын
신기전등등.
@_anarchist3 жыл бұрын
이름부터가 날아서 공격하는 진천뢰니 진천뢰 복사본이나 개량본이 맞는거같긴 한데, 이미 자료는 문화대혁명으로 증발한지 오래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