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님 정말감사합니다 요즘 사이비 전문가이 범람하는 시기에 기분이아주 좋은 시간입니다 한번 감사합니다 건강하세요
@parkkathy76464 жыл бұрын
고급 정보 공유해줘서 감사합니다~~ 그래서 대주전자가 최근 지속적으로 급등하고 있었군요...
@steadycode914 жыл бұрын
오늘도 감사합니다
@보현애비4 жыл бұрын
값으로 매길 수 없는 멋진 자료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less82454 жыл бұрын
항상 감사드립니다.
@해새로운시작4 жыл бұрын
항상 감사드립니댜 정말 좋은정보 영상입니다.
@Cyrilstorm4 жыл бұрын
하도 양극재만 이슈가 되다보니 조금 묻혀버린 경향이 없잖아 있는데 실가는데 바늘가듯 음극재도 배제하고 갈 수 없는 중요한 것이죠
@달리는달팽이-q8d4 жыл бұрын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이규춘-n5e4 жыл бұрын
좋은정보 항상감사드립니다
@Malaminee4 жыл бұрын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Timbucktoothed4 жыл бұрын
정말로 정확한 정보. 저도 엔지니어지만 소재부분쪽 아니고요. 하지만 소재는 항상 흥미로운 주제죠. 저는 공업용 원심분리기 기술자고 워낙에 heat exchange form factor 와 heat efficiency cycle 로 시작했어요. 지금 시작하라면 소재 엔지니어 되고 싶네요.
@eng_tv4 жыл бұрын
실제 배터리 제조에서는 소재쪽 담당자들이 크게 재미는 없습니다. ㅎ
@kioto43954 жыл бұрын
배터리데이 관련 나노와이어 기술의 발표가능성에 대해서도 이야기 되고 있다고 합니다 해당 기술에 대해서는 가능성과 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간략히 고견 듣고싶습니다
@트루맨-s3y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국내에도 실리콘음극재를 통해 기존 배터리에 비해 200%효율을 인증까지 통과한 기업이 있어요! 물론 상장기업은 아니지만요! 유로셀입니다.
@김민기-e4x4 жыл бұрын
여기 설명이 이해 쏙쏙
@희망이-w8h4 жыл бұрын
영상감사드립니다.
@봄-u1s4 жыл бұрын
실리콘 음극은 20년째 개발중인데 상용화쪽에선 특별 발전이 없어요 가격 수명의 문제가 있죠 저도 연구개발해봤는데 부피팽창 ...히밤 일본에 이차전지 리서치하는 회사리포트에서도 절래절래한 실리콘 음극 공부할때 파란책에서보던 자료들 보니까 진짜 반갑네여 ㅎㅎㅎ
@방경민-e8m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carpenterh25044 жыл бұрын
잘 봤습니다....좋은 정보 많이 공부 합니다..
@vitaki25853 жыл бұрын
실리콘 옥사이드 제조 방식 / 실리콘 알로이 방식 / 실리콘 탄소 코팅 이렇게 3가지로 알고 있는데 . 알로이 방식(합금) 방식이 옥사이드 제조 방식보다 더 비용과 기능면에서 앞설까요?
실리콘 음극재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cycle시 volume expansion이 문제로 작용하고 있는데 처음 300% 팽창하고 나면 그 다음 cycle 이후로는 팽창이 거의 발생하지 않나요? 얼마만큼 수축이 일어나고 팽창이 다시 이루어지는지 궁금해서요 ㅎㅎ
@soowanham15124 жыл бұрын
마지막 도표를 보면 동박 항목의 표현이 동그라미에서 세모로 바뀌고 있는데 이게 무슨 뜻인지 설명을 해주실 수 있는지요? 차세대 배터리에서 동박의 수요가 줄어든다는 것인지 궁금해서요...아니면 동박의 수요는 차세대 배터리(실리콘 전고체)에서도 계속 수요가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eng_tv4 жыл бұрын
차세대 배터리에서 동박을 없애는 것이 개발 추세입니다. kzbin.info/www/bejne/jarEfaqGqquLp9U
@leehyunwong4 жыл бұрын
배터리 선구자 요즘나오는 방송들은 엔지니어tv 에서 이미나온 내용들임~~
@일산뻔데기-l7z4 жыл бұрын
엠케이전자가 숨은 안오른 해당종목입니다 더불어 더 안오르고 깜짝놀랄기업은 6....
@신현철-l5b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항상 놀라운 정보로 공부 많이합니다. 질문 하나 해도 될까요? 그냥 알고 싶어서요. 곤란하시면 신경 안 쓰셔도 됩니다. 소나타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선루프 대신 태양광 집열판을 설치해서 밧데리를 충전시킨다고 합니다. 주행거리를 늘리는 거겠죠. 그런데 왜 전기차는 지붕에 집열판을 설치해서 충전하는 시도를 하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집열판의 문제일까요? 아님 밧데리의 문제일까요? 아님 집열판과 밧데리를 연결하는 소프트웨어적인 문제일까요? 그 외에 어떤 문제일까요?
@eng_tv4 жыл бұрын
효율이 떨어진다고 하는데 최근 배터리로 바로 충전하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어 향후에는 실현될 것으로 봅니다. www.engineering.com/ElectronicsDesign/ElectronicsDesignArticles/ArticleID/15290/Why-the-Tesla-Model-3-Will-NOT-Have-a-Solar-Roof.aspx
@신현철-l5b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정보를 찾는 기술이 제가 부족해서요.....사소한 것으로도 실망시키지 않으시는군요. 열독... 홍보.... 감사....^^
@신현철-l5b4 жыл бұрын
설치할 때의 경제적인 문제와 설치했을 때의 효율적인 문제를 언급했군요. 감사합니다. 그렇다고 해도 주행거리를 연장시키는 일을 포기하지 않을 건데, 그렇게만 보도하는 것은 아마도 집열판에서 생성되는 에너지를 직접 밧데로 충전하는 과정에서 기술적인 문제가 있을 거라고 추정하시는 것으로 판단한다고 제가 생각할게요^^
@신현철-l5b4 жыл бұрын
표현이 이상한데요, 정말 감사한 마음으로 한 표현이니 기분 상하지 마세요. 감사 감사
@dngrn074 жыл бұрын
대주전자재료 너무 많이 올라서 ㅜ
@steevepark49664 жыл бұрын
Great !!
@미소카츠4 жыл бұрын
흑연에서 실리콘으로 바껴도 동박의 사용은 계속 되는건가요?
@eng_tv4 жыл бұрын
계속 사용됩니다
@80jun4 жыл бұрын
영상감사드립니다 동박이 세모 모양은 어떤 뜻인가요
@eng_tv4 жыл бұрын
다른 소재로 대체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kzbin.info/www/bejne/jarEfaqGqquLp9U
@김중진-m9u4 жыл бұрын
👍☕☕☕
@도리깨손4 жыл бұрын
🤩👏👆
@뭉치-m5f4 жыл бұрын
kzbin.info/www/bejne/p6qVc3mMpJmMidE 선생님 해수연료는 어떻게 보시는지요 실용화 가능할까요?
@eng_tv4 жыл бұрын
나트륨이 전고체에 유리한 지 모르겠내요. 전기차는 전고체 가능성이 우선입니다.
@검사외전-u4q4 ай бұрын
한솔케미칼
@zoom3355774 жыл бұрын
기술이 실력 입니다. 21세기는 과학의 시대 입니다. 힘내라 대한민국 아자!~ kzbin.info/door/8ntMZ29Ii4OfZnDmJaSUp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