억만장자 투자자, 이거 보고 잠수정 탑승 거절했다

  Рет қаралды 2,162,875

일간 소울영어

일간 소울영어

Күн бұрын

출처
Inside edition
• Billionaire Says He Ba...
daily mail
• These Titanic submarin...
NewsNation
• Las Vegas businessman ...
BBC
• Titanic sub: Safety co...
ABC news
• Las Vegas businessman ...
CNN
• Man who turned down tr...
0:00 탑승 거절한 부자
1:00 투어를 알게 된 과정
1:38 아들 반응
2:28 꺼림칙했던 점
3:20 맥가이버리하다?
4:13 탄소섬유 선체?
4:50 제임스 캐머론 감독 반응
5:12 해외반응의 특이한 점
5:45 진짜 문제는?
6:46 주요표현 다시 듣기
*도를 넘는 악플이나 비평은 사전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양해 부탁드려요.
🏷 business anybody.can.speak@gmail.com 🏷 review instagram @dailysoulenglish 🏷 just me instagram @reva.kim
I believe all content used falls under the remits of Fair Use if any content owners would like to dispute this I will not hesitate to immediately remove said content. It is not my intent to in any way infringe on their content ownership. The videos used have been repurposed with the intent of enducating others. If you happen to find your art of images in the video please let me know and I will be glad to credit you or remove the work. Business e-mail: anybody.can.speak@gmail.com

Пікірлер: 1 600
@snowyevening7012
@snowyevening7012 Жыл бұрын
자꾸 언론에서 내파(implosion)를 "폭발" 또는 "내부 폭발"로 번역하는데, '폭발'은 그 단어 자체가 explosion이고, 에너지나 물질이 급격히 바깥으로 팽창하는 걸로 알고 있어요. 내파는 그 반대로 강한 외부압과 내부압이 균형을 이루려고 '안쪽으로 찌그러지는 것'을 말해서 '폭발'이란 말이 어색하게 느껴집니다. implosion의 정식 명칭은 '압궤'라고 하고요. waiver는 포기서/포기라고 말하면 맞는 말이지만 주어가 없어서 너무 축약된 거고, 이 경우 권리 포기서 또는 권리 포기조항이라고 하는 게 더 나을 것 같습니다.
@Sentineljohnson5334
@Sentineljohnson5334 Жыл бұрын
이거 되게 불편했는데 감사합니다
@ultramarineblue4147
@ultramarineblue4147 Жыл бұрын
내파 또는 압궤를 듣는 순간 의미를 머릿속에 이미지화 시킬 수 있는 성인이 생각보다 많지 않을 것 같아요. 저 역시 내파는 한자단어로 의미를 유추한다손 치더라도 압궤는 처음들어봅니다.
@vickor9903
@vickor9903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저도 심해에서 발생 불가능한 폭발 어쩌구 하는 거 보고 기초 과학적 지식도 없는 사람들이 뉴스나 이슈를 만드는 게 너무 많다고 봤네요
@LolitaGuild
@LolitaGuild Жыл бұрын
찌그러졌다가 폭발했겠지요
@user-vy8ue3yd2j
@user-vy8ue3yd2j Жыл бұрын
@@ultramarineblue4147이미지연상이 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상황에 적합한 단어를 쓰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DoRuby
@DoRuby Жыл бұрын
와.... 개인용 실험 비행기를 타고 온다는 이야기를 듣고 대표의 안전의식을 판단해서 결국 탑승하지 않았다는 것이 정말 현명한 판단이었네요. 부자모두 날카로운 판단력 덕분에 참사를 피할 수 있었군요..
@75grosso
@75grosso Жыл бұрын
비행기든 잠수정이든 결국 시험용 기체에 고객을 모집해서 탑승 시켰다는것 자체가 사업적으로도 도덕적으로도 문제가 있네요
@Perk_you
@Perk_you Жыл бұрын
​@@75grosso실험적으로도 문제가 크죠 검증도 되지 않은 실험을 본인이 주체적으로 진행하는 무모한 짓도 본인 선택이니까 어느정도 존중은 하겠다만 타인을 끌어들이는 순간 존중받을 가치도 없습니다
@user-bl4wo2nr2h
@user-bl4wo2nr2h Жыл бұрын
돈을 잘버는사람의 안목이랄까... 사람보는 눈이 탁월했던거같음
@ABC-kx5gy
@ABC-kx5gy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같으면 개인용 실험 비행기를 만들거나(만들 수는 있죠), 운항허가를 받기가 거의 불가능 할 듯(우리나라를 비하하거나 조롱하는 것은 아님. 전반적인 문화). 코로나 때 마스크 착용 문화나 정부 가이드도 달랐던 것처럼 여러가지가 다르네요. 좋은 점도 있습니다. 미국 대학에서 한국계 미국인이 총기난동 사건을 벌였을 때 대부분이 코리아나 한국 교포에 대한 의도적 비난을 하지 않았습니다(일본이라면 심했을 테고, 만약 우리나라에서 외국인 사건이 났다면??). 꼭 미국인이 정의로운 것이 아니라, 문화의 차이로 보는 것이 좋겠네요. 미국 법에 의하면, 개인용 실험비행기를 만들어 운항해도 불법은 아니니까요.
@user-ri6qg3nx1y
@user-ri6qg3nx1y Жыл бұрын
. 불쌍한 미국부자들 부자 미워하고 남잘되는 꼴을 못보는 한국에선 저런 사업 돈ㅈㄹ한다 욕먹고 하지도 못할텐데 다음엔 꼭 한국에서 태어나시길
@user-sl9cn7zx3t
@user-sl9cn7zx3t Жыл бұрын
와 아들 통찰력이 먼저 아버지를 구하고 아들 말에 귀기울여 들은 아버지도 레전드다. 진짜 똑똑하고 현명한 부자들이네.
@user-zp1hw3qs2x
@user-zp1hw3qs2x Жыл бұрын
다시 말하면 19살도 아는걸 이 사장이란 사람이 몰랐던거죠.
@tyt1638
@tyt1638 10 ай бұрын
@@user-zp1hw3qs2x 그렇게 해석될수도 있겠네요
@user-os4hg5bt4p
@user-os4hg5bt4p 9 күн бұрын
일반인은 알수없는것들임 잠수함에대한 지식+ 비행기를 직접 타기때문에 비행기에대한 지식이 있었기때문이지
@user-gv7tx8we1y
@user-gv7tx8we1y 7 күн бұрын
정상적인 부자들이지
@user-kh9ng9zt3x
@user-kh9ng9zt3x 5 күн бұрын
@@user-os4hg5bt4p기자가 신명나게 깐거보면 일반인도 알법한데…
@woodolll
@woodolll Жыл бұрын
이 대표 성격을 보니깐 그냥 완전히 상상을 초월하는 또라이임. 위험을 즐긴다는데 본인이 탑승한 이유가 뭐겠음. 주변에서 이번에는 진짜 위험하고 어떻게 될지 모른다고 만류를 해도 오? 그렇다면 내가 스스로 타고 직접 갔다오면 되잖아 마인드로 직접 탑승한거고 사고가 난거지 만약에 이번에 성공했으면 더더욱 기고만장해져서 결국엔 사고가 날 수 밖에 없는 회사였을뿐..
@kimduk1379
@kimduk1379 5 күн бұрын
영상을 다 보신 것 맞죠..?
@woodolll
@woodolll 4 күн бұрын
@@kimduk1379 무슨뜻인가요
@studyonlytilsuccess37
@studyonlytilsuccess37 4 күн бұрын
맞음. 나중에 회사 내부에서 폭로까지 나왔음. 회사 사원들은 분명히 국제적인 안전 기준에 한참 미달되는 상태의 것이고 장기간의 정비가 필요한 상태라고 주장했지만 저 대표는 모든 내용을 무시하고 자신의 잠수함에 결점이 있다는 사실을 받아드리지 못하고 계획을 강행시킴. 또라이 맞음. 저 영상 뒤쪽 내용은 사내 폭로가 나오기 전의 평가임. 그 후에는 서구에서도 굉장히 비관적인 평가를 받고 있음.
@user-zx3ob1fh2y
@user-zx3ob1fh2y 3 күн бұрын
@@kimduk1379너야말로 안본거 아니냐...?
@abcabcab5861
@abcabcab5861 Жыл бұрын
캬 실험용 비행기를 타는 대표를 보고 나 같으면 아 본인이 만든 제품에 자신이 있는 사람이구나라고 느낄 거 같았는데 투자자 답게 본인과의 가치관을 비교하고 거기에 오히려 가지 않는 걸 확신하네.
@GimanLee
@GimanLee Жыл бұрын
그러게
@Chan_brother
@Chan_brother Жыл бұрын
이말도 맞는게 본인이 만든거에 본인이 다 타고 하니깐 신뢰가 갈 수 밖에…
@user-ru3tq4sd3j
@user-ru3tq4sd3j 10 ай бұрын
헬리콥터 자격증 있고 실제로 몰아보는 사람입장에선 그딴걸 타는거 보면 정신나간걸로 보일텐데
@JJ-rq3tg
@JJ-rq3tg Жыл бұрын
제목만 보고는 억만장자가 운까지 좋네 싶었는데 인터뷰를 보고나니 괜히 억만장자가 된게 아닌것 같네요. 통찰력이 뛰어납니다. 또 개인을 탓하지 않는것도 우리나라랑 참 다른점입니다. 듣고 보니 제도적 결함이 문제라는 말도 이해가 되네요. 우리나라의 경우 대규모 안전사고가 발생하면 전국민과 모든언론이 책임자 한사람에게만 득달같이 몰려드는데 우리랑 다르네요.
@user-ug7jb4fy8x
@user-ug7jb4fy8x Жыл бұрын
동의합니다. 아무래도 국민들이 정부에 대한 믿음이 너무 없다보니, 그쪽에 책임을 무는 것보단 차라리 개개인에게 무는게 더 현실적이라고 생각하는 것 아닌가 싶네요.. 안타까운 일입니다. 현명하게 정치하는 나라들이 새삼 부럽네요
@7mmalltheway
@7mmalltheway Жыл бұрын
정치 보다는 합리적인 사고 체계가 잡혀 있는 서구 문화의 특징이 아닐까 합니다. 예전에 조승희가 총기 난사 했을때 그와 한국인을 분리해서 생각하고 오히려 그를 그렇게 키워낸 미국 사회의 책임이다 라며 그 역시 희생자로 보고 추도하는 사회 분위기에 충격 받았습니다. 당시 한인이 받은 피해는 전미에서 한인 소유 자동차 한대의 유리창 박살 난것 말고는 없었지요 . 물론 그러하던 미국도 요샌 어린 또라이들이 매우 많아 졌지만요.
@ymk3416
@ymk3416 Жыл бұрын
국가와 사회의 책임을 개인의 책임보다 더 폭넓고 막중하게 보는것 같습니디.한편 우리나라는 피해자 조차도 개인의 책임을 물으면서 국가와 사회는 회피하기 바쁜듯한 생각이 들고 언론이 가장 큰 논란을 가중하는거 아닌가하는 생각을 해봤습니다. 한편으로는 진짜 책임져야하는 이들의 일종의 회피용 덤터기가 더 큰거 같기도하고요. ㅜㅜ
@thunder5311
@thunder5311 Жыл бұрын
피지배당하던 사람들과 선동과 시위가 만능이라 생각 하는 사람들이 가득한곳이 대한민국이니까요
@seokyi8577
@seokyi8577 Жыл бұрын
​@@user-ug7jb4fy8x저기에 정치가 왜나와? 한국의 암적인 종특보소 그 세대 새낀가?
@5rion
@5rion Жыл бұрын
아들도 본인이 그렇게 좋아하는건데도 문제점을 발견하고 선택한게 대단하네요. 보통 사람들은 눈에 콩깍지가 씌여 제대로 판단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은데… 본인의 생각을 아버지께 전달하고 아버지도 아들의 말을 귀 담아 듣고 함께 생각하는 부자의 모습이 이상적이네요.
@YoungukJo
@YoungukJo 11 ай бұрын
ㄹㅇ
@user-of2zb2ic7z
@user-of2zb2ic7z 10 ай бұрын
하필이면 좋아하는게 타이타닉이라 ㅋㅋㅋㅋㅋㅋㅋㅋ
@rmlee9275
@rmlee9275 Жыл бұрын
저도 들은 얘기이지만, 우선 저 잠수정에 쓰인 재료가 항공기에서 쓰다 버려진 것인데 저것도 유효기간이 있어서 항공업계에서는 폐기시켜야 합니다. 그런데 엔지니어링에 엔자도 모르는 대표가 그 폐기물들을 사온 것도 문제지만, 공기압과 수압이 같다고 본인 스스로 가정해버리고 믿어버린 것도 큰 문제죠. 엔지니어가 대표에게 타이타닉 수심의 반 정도만 들어갈 수 있다고 말해줬음에도 무시했다고 합니다.규제 탓도 있지만 무식한 사람이 용감하다는 말을 실제로 실천해주신 분이죠
@Johyeongjin
@Johyeongjin Жыл бұрын
문돌이가 공돌이 말을 안 들은 셈이군요.
@caap2701
@caap2701 Жыл бұрын
일부러 그런듯
@user-cy1ec9gb5n
@user-cy1ec9gb5n Жыл бұрын
진짜 대가리가 비었나 공기압이랑 수압이랑 어떻게 같은데
@wcwt
@wcwt Жыл бұрын
스틱이 4천원짜리라는데
@StormBackHit
@StormBackHit Жыл бұрын
공기압, 수압 같은지 다른지 구분 못하는 건 진심 뭔 중딩 과학책에도 나오는 거 아닌가.... 밀도개념을 모르는게 무슨...
@USA-TIGGER
@USA-TIGGER Жыл бұрын
와.. 2인용 실험비행기 타고오는 위험에 무감각한 인간의 말을 신뢰하지 않았구나ㄷㄷㄷ 대단하당
@YOOXICMAN
@YOOXICMAN Жыл бұрын
많이 배워갑니다
@myohan23
@myohan23 Жыл бұрын
🍖 🫡
@rekm7347
@rekm7347 Жыл бұрын
형이 왜 여기에...,ㅎ
@dailysoulenglish
@dailysoulenglish Жыл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crosam2294
@crosam2294 Жыл бұрын
미국 가서 앙구스 고기드시러 갈건가요 육식맨님?😂
@user-vp8dr2cf6u
@user-vp8dr2cf6u Жыл бұрын
고기고기 육식맨님 가정집 아사도 엄청 재미있게 봤으요
@user-m3bd2030
@user-m3bd2030 Жыл бұрын
와…. 저 투자자의 리스크 테이킹에 대한 확고한 기준과 판단이 인상깊네요…
@vinyljourney7
@vinyljourney7 Жыл бұрын
리스크테이킹이라기보다 그냥 위험감지라고말하면 모든사람들이 곧바로이해가능
@Hi-xl2ec
@Hi-xl2ec Жыл бұрын
합리적이성이 작동하는게 정말 힘든데 위기에서 구해졌네.
@FantasticFlea
@FantasticFlea Жыл бұрын
아들이 헬리콥터 조종사라서 판단에 도움이 된걸로 보이네요.
@yeonjuseong4972
@yeonjuseong4972 Жыл бұрын
위험감지보다 위험수용도가 문맥상 더 맞을 것 같아요.
@user-rg1uo1vz3t
@user-rg1uo1vz3t 4 ай бұрын
@@vinyljourney7어떻게든 꼽주려는 남자 드릉드릉
@user-cq4fz8dm9j
@user-cq4fz8dm9j Жыл бұрын
이 기사를 보며 대표가 미쳤네 했는데 해외언론은 규제가 없었다고 비판하고 한 사람의 모험심은 비판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왠지 숙연해지네요
@user-wf8qf2yu9m
@user-wf8qf2yu9m Жыл бұрын
그 모험심 때문에 4명이나 죽었는데 너무 책임감 없는 시선 같아요
@kalry77
@kalry77 Жыл бұрын
@@user-wf8qf2yu9m 애초에 어떤 규제도 받지 않은 미허가 잠수정으로 본인이 사망해도 책임을 묻지 않는다는 서약까지 하고 탄 거니까요. 그건 그만큼 리스크가 있는 행위라는 걸 알면서도 탑승했다는 거니 굳이 욕할 필요를 못 느낀 거겠죠.
@ch.rubystar
@ch.rubystar Жыл бұрын
대화법이 그런 겁니다. 우리나라는 이렇게 말하지 않는데, 속으로는 그렇게 생각해도 겉으로는 특히 매체를 통해서 말할때는 개인을 비난하지 않는 것 처럼 말하는 게 그들의 사고라고 봅니다. 모두 그렇지는 않겠지만, 대화를 나누다 보면, 보여지는 거랑 개인적인 생각을 사석에서 말할때 차이들이 있었어요. 우리나라 정치인들이나 좀 유명한 분들 말할 때도 저런 식으로 하지 않나요?
@Kate.L11
@Kate.L11 Жыл бұрын
저들의 문화인거죠! 윗분말씀처럼 대화법에서도 느껴지는 문화.. 미국서 아이 키우며 느끼는게 창의적 모험적 리더쉽을 굉장히 높게 평가하기때문에 저런 대화법이 어색하지 않지만 우리나라로 따지면 책임감 없는 행동으로 보여지죠 우리나라는 그런 통제 없이도 인식자체가 하면 안된다 기준이 높지만 서양권에서는 규제가 굉장히 엄격하고 과하게 있어야 지키는 나라라 그런것 같아요 그리고 개인의 자유를 엄청 따지는나라기 때문에 코로나때도 봤자나요 ㅠㅠ
@user-mw5sv5nl1b
@user-mw5sv5nl1b Жыл бұрын
공무원이 직업선호도 1위인것처럼 안전한것만 추구하는 우리나라의 시선으론 당연히 이해 안될듯요.
@mcmxc0418
@mcmxc0418 Жыл бұрын
05:19 이 부분 진짜 공감.. 우리나라 같으면 그냥 1차원적으로 어떻게든 관계자 한명 특정 지어서 조질 생각밖에 안했을텐데 사회적 문제로 지적을 하고, 같은 대상을 바라봐도 위험성을 바로 캐치해내는 억만장자의 통찰력..선진국과 부자들은 진짜 생각하는거 자체가 다르네요
@Kkkhgggc
@Kkkhgggc Жыл бұрын
한국도 사회탓 합니다. 사회 안전망 시스템이 부족해서 일어난 사태 세월호, 이태원 사건 등 그래서 정부책임으로 묻고 지원금도 지급했죠
@user-uu1ye2xz3e
@user-uu1ye2xz3e Жыл бұрын
​@@Kkkhgggc사회탓 안 했죠. 대통령탓 하고 탄핵 시킬려고 했죠ㅋㄱㅋㅋㅋ
@eugeneeen8100
@eugeneeen8100 Жыл бұрын
@@Kkkhgggc 사회탓이 아니라 대통령탓, 시장탓하고.. 다음은 아시죠?
@user-hj5zp2pw5s
@user-hj5zp2pw5s Жыл бұрын
​@@Kkkhgggc세월호가 사회탓을 하긴했죠 아주 조금 근데 대다수는 정치적목적으로 범인찾기놀이 하지않았나요? 제가 기억하기론 사고현장 가서 계속 고생하다 컵라면 하나 먹었다고 마냐사냥 한일이 있을텐데요?
@Kkkhgggc
@Kkkhgggc Жыл бұрын
@@user-hj5zp2pw5s 맞습니다.
@jihyunkim4110
@jihyunkim4110 Жыл бұрын
선주가 함께 사망했기 때문에 개인을 향한 큰 비난을 피하는 것 같기도 합니다. 좋은 성품과 의도를 가진 사람이었다는 말도 있지만, 사고의 책임이 스톡턴 러쉬와 오션게이트 있다는 의견이 지배적인 것 같아요. 잠수정 선체에 탄소섬유 사용이 안전하지 않다는 내부 고발과 해양 커뮤니티에 항의 서한이 있었지만 이를 무시했고, 보잉사에서 품질수명이 지난 탄소섬유를 싸게 샀다는 얘기도 주변에 했었다고 합니다. 새로운 기술과 재료를 도입하는 혁신자의 모습을 보여주긴 했지만 안전이 검증되지 않은 실험에 사람들을 끌어들여 돈을 벌었다는 점에서 비난을 피하긴 힘들 것 같네요.
@jisungpark8952
@jisungpark8952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근본적으로 탑승자의 안전을 무시하고 오로지 실험적으로, 돈만 생각하면서 만든 허술한 잠수정으로 보입니다.
@user-zh6me9vf2v
@user-zh6me9vf2v Жыл бұрын
배우신 분이신듯 , 신문기사같이 술술 읽히네요 ㅎ
@Aiyrewf35frew
@Aiyrewf35frew Жыл бұрын
탄사람들은 무슨죄일까
@typebin
@typebin Жыл бұрын
탄소섬유는 가볍고 인장에 강한 재료이기 때문에 비행기엔 어울려도 잠수정에는 어울리지 않는것이지요 차라리 철제를 쓰는게 가격도 싸고 좋을듯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Жыл бұрын
다른 나라들은 삶의 가치를 "가족" 이라고 했는데 오직 한국인만 "물질적 풍요" 라고 답했습니다. 청소년 꿈이 "건물주" 라는 말하는 유일한 나라 입니다. 티비에는 유명인과 그 자식들 나와서 자랑질 하는게 거의 다 입니다. 재산,인맥,취미 , 집 , 자식... 자랑질이 끝도 없죠. 진보 , 보수 할것 없이 핏줄 퍼주기에 혈안이 되어 있는 나라 입니다. 유전무죄 , 무전유죄 . 각자도생 인간지옥 한국. 한국은 오만과 모멸의 체계 라고 했습니다. 애들이 부모 소득에 따라 "2백충 , 3백충 , 임대충" 이라고 놀리는 나라 입니다. 생애 선택 자유 지수 0.25로 거의 세계 꼴찌 한국!!!!! 부모의 간섭이 매우매우 심한 한국!!!! 그러니까 부모도 자식도 서로 얶매여서 불행하게 사는 한국! 주변에 노처녀 , 노총각들 엄청 많고 이들의 얘기 들어보면 다들 결혼할 기회 있었지만 부모나 이성의 부모가 반대해서 결국 결혼 못하고 노처녀 , 노총각 된 사람들 진짜 숱하게 봤습니다. !!! 최근 5년간 가족간 칼부림 50% 증가!!!!! 부모는 자식이 부모 뜻대로 안따라 준다고 , 자식은 부모가 남들처럼 지원 안해준다고 칼부림 급증!!!!!! 힘들어 지면 핏줄을 한운명체로 보고 가족 살해(동반 자살)가 매우 흔한 나라. !!!! 제사로 핏줄 연결을 끊임 없이 각인 시키는 나라. !!!! 외국인들이 느끼기에 한국인들은 생각의 폭이 좁다고 말 합니다. !!!!!!!!!! 외국인들이 한국인들과 대화할때 짜증나는게 꼭 똑같이 "왜 한국에 살아?" "몇살이야? " " 너의 부모님이 걱정 안하니?" "한국에 가겠다고 했을때 부모님이 반대 안했니??" 이런 질문을 한국인 누구나 똑같이 해서 짜증 난답니다. !!!!!!! 한국에서 유학한 몽골인이 한국인들로 부터 "성형해라" "쌍커플 수술해라" "다이어트해라" ... 간섭이 엄청 심하고 자존감 떨어지게 했는데 미국에서 유학할때 미국인들은 칭찬 일색 이더랍니다. 조선시대 외국인 선교사가 쓴 글에 "조선인은 남의 일에 간섭이 심하다" 라고 했습니다. 19년간 자살율 세계 1위 인데도 남이 죽든말든 , 남이 고통 있든말든 매일 국뽕 먹고 "오~ 필승 코리아" 만 외치는 나라!!!!!!! 말 못하는 아기들을 수십년간 해외입양 세계 1위. !!! 초저출산 세계 1위 . 은둔형 외톨이가 61 만명. 한국에 대한 문제점을 말하면 "그렇게 불만이면 너가 이민 가라" "너는 어느 나라 사람이냐?!" "너가 게을러서 그렇다 . 더 노력 해라" "너나 잘 해라".... 전부다 개인탓만 하는 사이코패스적인 사회!!!!!!!! 매년 국적 포기자가 한국은 2만명 정도 , 인구 2.5배 많은 일본은 3천명 정도 . 일본 보다 16배 국적 포기자 많은 한국. 한국에 온 외국인들이 신기하게 느끼는게 한국은 길거리에서 장애인이 안보여서 한국에는 장애인이 없는거 같답니다. 실제로는 장애인이 없는게 아니라 이동이 불편해서 못나오는 거죠!!! 한국인 청년 유튜버가 자전거로 미국 횡단 하는데 미국인들은 수시로 차들이 서서 한국인에게 "뭐 필요 한거 없냐?" 고 물어봐주고, 먹을거 주고 , 자전거 고장나면 자기 시간 들여서 같이 고쳐 주더군요. 또는 캠핑장 , 숙박시설 , 수리점 까지 공짜로 태워 주는 사람 널렸구요. 어떤 미국인은 자기 집에 재워 주고 식사 대접 하기도 하고 , 어떤 미국인은 편의점에게 계산 하려니까 자기가 대신 계산해 주면서 자전거 여행을 응원 해주더군요.!! 이 유튜버가 한국에서 자전거 여행 할때는 누구하나 도와주는 사람 없고 외로웠다고 합니다!!
@BSYBang
@BSYBang Жыл бұрын
뉴스에서보다 더 정확한 설명 그냥 운명이 바뀌었다는 식의 흥미꺼리 뉴스만보다가 이걸보니 왜 마음이바뀌었는지 명확히알겠네요.
@RyangHwa1991
@RyangHwa1991 Жыл бұрын
영상을 보니까 외국과 한국의 인식의 차이가 엄청 나네요. 정말 우리나라 같으면 이딴 거 만든 대표 나와라 하면서 대표 멱살부터 잡을 생각 하는데 각서도 썼고 법적으로 문제 없으니 안타까운 사고지만 이런 문제에 대해서 규제가 마련되어야 한다 말하는게 신선하네요.
@Perk_you
@Perk_you Жыл бұрын
분명 규제에도 허점이 있겠지만 이 사건은 그냥 실험이나 시행착오도 딱히 없이 본인과 타인을 실험 동물로 쓴 것 밖에 되지 않음 악의보다 더 무서운 게 근거 없는 신념으로 가득찬 순수함 그게 진짜 광기
@woowooHoot
@woowooHoot Жыл бұрын
저도 이글에 동의. 물론 시스템(즉 규제)의 문제도 일정부분 있을수 있겠으나 [신념으로 가득찬 순수함 그게 진짜 광기]
@ej7314
@ej7314 Жыл бұрын
달나라 여행도 결국은 같은 맥락! 언제든지 사고가 나서 인명피해가 날수 있는 관광상품중의 하나일뿐! 모험을 할것이냐 말것이냐는 결국은 개인의 판단과 결정으로, 그로인한 책임또한 선택한 개인에게 있음!
@user-rc2qr5pe7f
@user-rc2qr5pe7f Жыл бұрын
순수함이라기보단 오만과 아집 쓸모없는 집념 자기가 다 안다는 오판 타인의 피드백은 전혀 수용도 안함
@soondori3364
@soondori3364 Жыл бұрын
“근거없는 신념으로 가득찬 순수함“=”광기“ ……. 맞아요 또 그런걸 긍정적인 삶이라고 믿고있죠
@Vidabello639
@Vidabello639 Жыл бұрын
진짜로 순수한 광끼가 무서움
@whildchin2619
@whildchin2619 Жыл бұрын
어떤 불행한 사건이 있을 때 그런 불행한 사건을 일으킨 어떤 사람의 선택에 책임을 묻느냐 아니면 그런 선택을 하게 끔 유도하거나 방치한 사회 제도나 환경에 책임을 묻느냐의 차이 같네요. 과거 미국은 각 개인의 선택에 더 큰 무게를 두었고 그것이 개척과 모험으로 나타났다면 지금은 좀 더 사회 제도와 환경에 더 무게를 두는 거 같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정치적으로 진보와 보수의 균형이 필요한 것 처럼 개인의 선택와 함께 또한 환경 제도의 문제도 균형있게 책임을 지우고 살펴보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user-hm2jk9tz2r
@user-hm2jk9tz2r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는 그게 극단적으로 일어나니 싸움으로 변질되죠.. 얼마전 이태원 압사 사건도 놀러갔다 죽은 개인책임 vs 통제못한 국가책임 가지고 서로 자기말이 맞다고 욕만하다 끝났죠
@SangDo_Kim
@SangDo_Kim Жыл бұрын
@@user-hm2jk9tz2r 근데 이태원 사건은 진보와 보수의 갈등 측면도 있겠지만 불합리한 선동이 끼어들었음. 광우병 선동이나 세월호 선동과 일맥상통. 이러한 불합리한 선동 세력을 진보라고 불러주면 진보에 대한 모욕일 듯.
@heayoungjun8930
@heayoungjun8930 Жыл бұрын
@@user-hm2jk9tz2r 정확히는 그렇게 대립구도로 몰아가죠
@jamesmillerjo
@jamesmillerjo Жыл бұрын
대표의 책임을 안묻는다기보다는 언론에서 다루는 내용이니만큼 장점은 장점이고 문제는 문제로 보는 선을 확실히 나눴다고 보는게 맞지않을까 합니다 제약 없는 인터넷에서는 거의 능욕에 가까울 정도로 가루가 되게 까거나, 조롱에 가까울 정도로 풍자하는 것이 흔한데
@user-up5xj6
@user-up5xj6 Жыл бұрын
@@user-hm2jk9tz2r 본질을 보기 시작하면 책임을 져야하는 부분이 생기는데 한국에서는 잘못을 인정하면 자리에서 물러날 때까지 압박을 가하는 정치문화가 있습니다. 정확히 말하자면 누군가를 자리에서 물러나게 하려고 명분을 가져오는 경우가 많다보니 서로가 서로를 믿지 못하게 된 것 같습니다. 그게 본질적인 접근을 방해하고 필요할 때 공격하고 방어하는 정치문화가 되니 서로 우기기를 합니다. 그래서는 국민들의 이익을 실현할 수가 없지요. 그런데 이게 이럴수 밖에 없는 것이 그런 제도적 장치는 표면적으로 드러나있는 이들을 대상으로 많이 퍼져있고 한꺼플 벗겨내고 들어가보면 실상은 완전히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태반이기 때문에 알고도 눈감고 넘어가는 경우들이 많아서 이 문제를 구조적으로 해결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런 양상이 빚어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간단한 예시로는 최근에 있었던 선관위에 아들 채용문제가 있겠지요. 사회 전반적으로 암암리에 일어나는 일인데 이 문제를 전국적으로 잡자고 하면 전국적인 저항을 받을 것이나 원하는 곳을 공격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내세우게 되면 반박하기가 어려워진다는 점이죠. 비슷한 문제로 위장전입 문제가 있겠지요. 주로 자녀교육이나 자녀취업 문제가 여기에 해당하는데 어디까지 허용할 것이고 어디까지 허용하면 안될 것인지에 대한 사회적 공식화된 기준이 없기 때문에(아니 있는데 너도 나도 안지킨다가 맞겠네요.) 코에 걸면 코걸이 귀에 걸면 귀걸이가 되는 겁니다. 조국교수 자녀분들 문제도 이것을 확대시켜 적용한 것이리라 생각합니다. 누군 잡고 누군 안잡는다가 계속되는 한 한국에서 본질적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자고 나서는 이는 아무도 없을 것입니다. 이건 주류사회의 건전성에 관한 이야기라 아무도 쉽게 꺼낼 수 없지요. 그들이 이 사회의 주역임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니까요.
@Lia3349
@Lia3349 Жыл бұрын
마지막 말씀에 진짜 배울 점이 많네요. 우리나라 같으면 저런 사고가 만약 일어났다면 다 치워 버리고 수십 년 간 비슷한 사업은 고사상태에 이를 것이고, 만약 비난이 정부에 이르면 대표와 대표 가족에 대한 인신공격을 벌이면서 시선을 돌리겠죠. 영미의 것과 같은 태도라면, 이번의 비극을 딛고 언젠가는 성공하겠지만 한국처럼 대처한다면 우주니 심해니 늦을 수밖에 없겠구나 느꼈습니다.
@jeankim1232
@jeankim1232 Жыл бұрын
잠수정 기사를 보기위해 우연히 들렸는데, 차분한 진행과 함께 뉴스및 영어표현 공부 구성이 좋네요. 주기적으로 공부하기 좋은 채널을 만나게 되어 반가운 마음입니다. 감사합니다.
@dailysoulenglish
@dailysoulenglish Жыл бұрын
격려 감사합니다.
@Nahroo_Song
@Nahroo_Song Жыл бұрын
제가 하고 싶은 말을 먼저 해주셨네요. (아 물론 저는 오래 전부터 구독하고 빠짐없이 영상을 보고 있었습니다만 ㅎㅎ) 요는 서구권에서 이 사고를 바라보는 견해에 적잖게 충격을 받았습니다. 우리나라 미디어와는 정반대의 차분하고 날카로운, 거기에 모험가에 대한 과도한 비난이 없는 점도 무척 인상적이었고요. 그런 면에서 이 채널이 참 좋습니다. 영어 표현은 사실 너무 고급이라; 저에겐 수준이 높지만, 제가 추구하는 시야의 확장 면에서 너무나 도움되는 채널이에요. 다시 한 번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dailysoulenglish
@dailysoulenglish Жыл бұрын
@@Nahroo_Song 기억하고 싶은 피드백과 응원입니다. 감사합니다~
@Haze168
@Haze168 Жыл бұрын
확실히 해외는 문제가 생기면 규제를 얼른 만들고 합의하여 문제를 해결해나가는것 같음. 우리나라는 그냥 책임질 사람에게 모든 책임을 떠넘기고 나몰라라해서 그때 잘 넘어가면 다음에도 똑같은 사고 발생하는 경우가 더 잦은듯.
@user-pg5bx2op5v
@user-pg5bx2op5v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는 뭔 사건만 터지면 전후사정 다 무시하고 그냥 욕하기 바쁘잖아요. 기승전 전라도 , 한국남자, 정치인 등등이 나오는 나라에 그게 딱맞는 수준이라고 생각해요...
@user-pr5zt5co6l
@user-pr5zt5co6l Жыл бұрын
문제가 발생하면 개개인의 책임을 따지기 보다는 사회안전망의 문제를 논하는 모습이 흥미롭네요. 만약 규제를 위반하여 사고가 난 것이라면 그 행동에 대한 지적이 먼저 나왔을까요?
@user-rd2bs5tb7d
@user-rd2bs5tb7d Жыл бұрын
그때도 책임 문제가 먼저 나왔겠죠
@thqngjdb5832
@thqngjdb5832 Жыл бұрын
규제고 자시고 할 것도 없이 테스트 파일럿이나 하던 양반이 기술진 말도 제대로 안 듣고 제멋대로 원가 후려쳐서 만든 잠수정으로 목숨 장사 하다가 사고난 걸 무슨 규제를 탓함? 걍 개인의 잘못이지.
@Kkkhgggc
@Kkkhgggc Жыл бұрын
@@thqngjdb5832ㅇㅈ
@ej7314
@ej7314 Жыл бұрын
@@thqngjdb5832 사고의 차이! 그건 당신의 인식이고 저 사회에서는 다른 시각으로 사고를 바라본다는 것임!
@BabaYaga-yh3yi
@BabaYaga-yh3yi Жыл бұрын
아직 사건 조사가 시작조차 못한 상황이라 그럴꺼임 조금 기다려 보셈. 아마 지금 오션게이트는 자산 정리해서 숨기느라 바쁠듯
@hamadm6974
@hamadm6974 Жыл бұрын
서로 배끼기 바쁜 한국 뉴스보다 정보도 빠르고 내용도 알차네..
@JakeBaikal
@JakeBaikal 3 ай бұрын
한국언론이 반드시 배워야 할 점입니다.
@Ohzyworld
@Ohzyworld Жыл бұрын
기자도 대표 앞에서 날카롭게 지적한거 대단하다. 그것도 알기쉬운 단어로. 치켜세우기만 하는걸 너무 많이 봐서인지 저렇게 앞에서 대놓고 누군가는 생각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해 지적하는게 대단한듯…
@Solhung2010
@Solhung2010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바라보는 시점이 이렇게 다를 수있구나 우리같으면 저 대표를 씹어 먹었을텐데 개인의 아이디어를 마음껏 펼치게 하고 안전에 대한 디테일한 법에 대해 말하면서 탑승자 본인이 안전에 대한 객관적인 안목을 말하는거 보고 너무 놀랬네요
@sarahkim4336
@sarahkim4336 Жыл бұрын
적입니다. 이성적 생각이 좀 부족한것 같아요.
@Ear-yomi
@Ear-yomi 10 ай бұрын
씹어먹기에는 그 대표도 그 다섯명 중의 한명으로 함께 죽었으니 욕하기도 모하죠
@water1236
@water1236 8 күн бұрын
그래서 한국이 망해가는거죠 ㅋㅋ
@user-se4ev5wi3b
@user-se4ev5wi3b 7 күн бұрын
​@@water1236 딱히 안망하는중인데. 경제성장률 좋은데
@user-wq5bp4vf9g
@user-wq5bp4vf9g 6 күн бұрын
@@user-se4ev5wi3b 한국은 소리없는 전쟁중임 oecd 자살률 1위,저출생 1위 이것만으로 코로나때 보다 더한 국가재난급인데 진짜 이대로가면 중국에 나라 먹히던가 이민자로 가득찬 국가 되던가 소멸되던가 이 중 하나가 이 나라의 미래임 심각성을 너무 모르네
@ultramarineblue4147
@ultramarineblue4147 Жыл бұрын
와 정말 좋은 영상입니다. 영어를 배우면서 동시에 그들의 문화까지 배울 수 있었습니다. 사건만 보며 사람을 탓하지 않는것.
@ultramarineblue4147
@ultramarineblue4147 Жыл бұрын
@@Jurk844 말씀하시는 내용에 관한 오피셜 링크 주세요.
@joonwonsong4081
@joonwonsong4081 Жыл бұрын
오피셜 링크 어쩌고 냉철한척 으휴 ㅋㅋ 그냥 아무 유튜브 뉴스채널 봐도 다 나와요 ㅋㅋㅋ😂 이 영상에 나온 인터뷰 영상들도 대부분이 대표의 안전의식 부재를 탓하고있고 미리 디자인적 문제점에 대해 경고했으나 잘린 오션게이트사 전 엔지니어에 대해 많은 언급이 있었는데요? 해외 여론의 핵심은 importance of certification이지 lack of certification이 아닌데 이 채널장은 아예 잘못파악했어요 ^^ 멀쩡한 안전인증과정들 너~무 많은데 하나도 안해놓고 "혁신" 이 단어 하나로 모든걸 합리화한 대표의 멍청함에 대해 주로 다루고있죠. 카메론 감독도 인터뷰서 이미 잠수관련 기술은 지난 60년간 엄청난 발전을 이뤘는데 이 회사의 안전의식 부재와 인증과정 무시로 생긴 사고라고 말했죠. 이게 돈걸린 내기도 아니고 굳이 타임스탬프랑 링크까지 따와서 영어 표현이 어쩌고 떠들며 어휘력 부족한 당신을 설득할 필요는 없어보이네요 그냥 계속 이런 영상으로 세상을 배우고 사십쇼 ㅋㅋ 마치 저열한 한국은 대표를 탓하지만 서양은 우월하기때문에 사회전체의 책임으로 본다는듯이 선동하네요 이 채널. 애초에 대표 탓이 맞습니다 ㅋㅋ
@ultramarineblue4147
@ultramarineblue4147 Жыл бұрын
@@joonwonsong4081 저는 서양과 한국을 비교하는 의견을 말하지 않았습니다. 또한 당신처럼 댓글을 1차로 작성 후에 2차로 가공하는 짓도 안합니다. 상대방의 의견을 자신 마음대로 확대해석하시는 군요. 아뭐 그 말이 그말 아니었나 그 말의 속뜻이 그거잖아. 하시겠죠? 만약 제가 아니라고 하면 맞다고 증명 하실수 있으십니까?
@yongyong1011
@yongyong1011 Жыл бұрын
개인이 아니라 규제 문제를 지적하는게 흥미롭네요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dailysoulenglish
@dailysoulenglish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scottkim8241
@scottkim8241 Жыл бұрын
한국같으면 국가 탓한다고 욕했겠죠
@jamwondong_jiujiteiro
@jamwondong_jiujiteiro Жыл бұрын
​​​ 규제문제 무슨뜻인지 모르죠?
@woowooHoot
@woowooHoot Жыл бұрын
@@scottkim8241 어이쿠야 규제를 지적한 것이 국가를 지적한 건데;; 즉 시스템의 문제인거라는 얘기고 그 시스템은 국가가 만드는 겁니다.
@Kkkhgggc
@Kkkhgggc Жыл бұрын
⁠@@scottkim8241한국같으면 국가탓 했죠 이미. 세월호때도, 이태원때도요. 욕하면 그 욕하는 사람을 또 욕했죠
@minhhumel3920
@minhhumel3920 Жыл бұрын
해설이 차분하면서 논리적이네요. 이 채널은 처음 보는데 단순히 영어만 공부하는 영상이 아닌 거 같습니다.
@SSKimMD
@SSKimMD Жыл бұрын
역시 미국은 사고의 원인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원인 해결을 하여 유사한 사고를 막는데 더 관심을 보이는 아주 휼륭한 사고 체계를 지녔습니다. 이 점은 우리가 본 받아야 합니다. 사고의 재발 방지엔 관심이 없고 책임질 사람만 찾는 태도는 매우 후진적입니다.
@teancoffee6786
@teancoffee6786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좀 배웠으면 하네요. 추모만 하지말고.
@dmskcdd6956
@dmskcdd6956 Жыл бұрын
@@teancoffee6786저 사고가 정부가 잘못해서 난 사고였냐? 지극히 사적인 여행 상품인데 . 어따 갖다부쳐
@yumireyko9272
@yumireyko9272 Жыл бұрын
사대주의. 미국은 문제가 넘 많은 나리임. 하루가 멀다하고 mass shooting 일어나는데 그건 왜 방지못하지? 다른나라는 한번 mass shooting나면 빡세게 규제해서 다시는 안나게하는데. 이건 한가지 예일뿐. 저 CEO가 저런 조잡한 잠수정으로 사업하지 못하게 규제했어야지.
@user-hh1sn4hw6n
@user-hh1sn4hw6n Жыл бұрын
뭔 그넘의 역시 미국 ㅋㅋ 제일 망가지고 있는나라가 미국인데 뭔 맨날 그넘의 미국 ㅋㅋㅋ
@annmffighjj
@annmffighjj Жыл бұрын
@@yumireyko9272 그건 개같은 총기협회에서 로비를 존나 해대니까ㅋㅋㅋㅋㅋ똑같은 원리로 약 성능 지나치게 쎈거 규제 못하는것도 제약회사들 로비 때문임ㅋㅋㅋㅋㅋ저게 논란이 될 수 있는 이유는 사실상 고객이 부자니까....그런거임
@gauix7
@gauix7 Жыл бұрын
잠수함 만드느라 빚많이 졌나보네요... 인생살면서 느낀점.. 딱 봐서 뭔가 아니면서 꺼림직하면 바로 연결고리 끊어야함... 괜히 얷매일 필요없음.
@user-is8ht2rl9i
@user-is8ht2rl9i Жыл бұрын
회사 대표와 회사 내부 고발 관련 내용들을 살펴보면 위험 신호가 있었음에도 묵살했던 대표가 확실한 책임자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같이 사망해버리는 바람에 비난의 정도가 뉴스에서는 덜 한것 같네요.
@user-rc2qr5pe7f
@user-rc2qr5pe7f Жыл бұрын
Ceo는 죽었고 대표는 살아있음 어쨌든 너무 큰 사건이여서 책망하기는 그렇지만 그렇다고 책임이 없는건 아니지
@Jay-rx1ky
@Jay-rx1ky Жыл бұрын
재발을 막기위해 배워야하는것을 찾는 문화가 부럽다. 몇명 때려잡고 마녀사냥을 하고 누군가는 오히려 이런 비극에 반사이익을 얻고 심지어 그걸 추구하면서 정작 그 원인은 외면하는 이 사회에ㅡ살다보니.
@user-lt4ng3ws7r
@user-lt4ng3ws7r 4 күн бұрын
저쪽 재벌하고 우리나라 재벌은 그 결이 많이 다르죠
@user-cd6qm9sc5z
@user-cd6qm9sc5z 4 күн бұрын
한국이었으면 특별법 제정하라고 시위하고 난리치고 수년동안 시기만 돌아오면 집회하는데 정작 사회나 법체계는 그대로 사람들 안전불감증도 그대로
@Jay-rx1ky
@Jay-rx1ky 3 күн бұрын
@@user-cd6qm9sc5z 사회가 뭔 구석기시대수준이에요. 시체팔이들이 누구 혹은 어떤 정당을 지목하고 자기들 유리하게 판짜는데 골몰하고 누구하나 희생양으로 매달고 .. 정작 예방이나 훈련은 안중에 없고 ㅠ 세월호 이후 어떤 안전매뉴얼 교육도 훈련도 없었잖아요.
@KC-oe1iw
@KC-oe1iw Жыл бұрын
맥가이버리 내용에서 지렸다. 이 CEO가 어떤 수준의 사람이란걸 알 수 있는 내용이고 이미 탑승한 4명의 손님들도 CEO를 겪어봤더라면 얘기가 달라지지 않았을까 싶네요. 이렇게 큰 프로젝트에 정부가 관여하는거 하나없고 그냥 각자도생인것만큼 사전 리서치며 잘 알아보고 타는게 필수였네요. 그리고 저렇게 막판에 사람이없어 태워보겠다고 급격히 가격하락시키고 찾아오고 이러면 벌써 거기서 메릿이 왕창 떨어짐. 어떤 세일즈라도 마찬가지임.
@asphaltickim
@asphaltickim Жыл бұрын
아이디어 그 자체 뿐 아니라 말하는 사람의 성향과 관점까지 날카롭게 파악한 것, 그리고, 사고 이후에도 그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좋은 사람이라고 말하는 것까지... 많은 생각을 하게 하네요.
@user-hs6eje8g37e
@user-hs6eje8g37e Жыл бұрын
서양사람들이 되게 모험적인건 확실한거 같아요. 저잠수함대표도 말도안되게 모험적이고 안정적이지 못한것으로 돈을 벌었지만 저기에 탑승한 부자들도 사망하더라도 책임을 묻지않는다는 서류따위에 서명하면서도 저 잠수함의 위험성에 대해 알아보지도 않고 덥썩 타다니 우리 사고방식으론 이해가 안되죠.
@user_sdkdbijqlketg
@user_sdkdbijqlketg Жыл бұрын
그러니 세상의 끝에는 낭떠러지가 있다는 믿음이 있던 시기 목숨을 걸고 신대륙으로 먼거리를 항해했던 거죠.
@boeo1234
@boeo1234 Жыл бұрын
헐.. 당연히 보험이 되어있을줄 알았는데 책임기피서류까지 있다니... 보상도 못받겠네요 ㅠ
@FantasticFlea
@FantasticFlea Жыл бұрын
한국에서 아파트, 상가건물 짓기 전에 사서 나중에 후회하는 일 빈번하잖아요. 이것도 일종의 경제적 안전에 덜 민감하다 볼수 있죠.
@willowtree006
@willowtree006 Жыл бұрын
흑인이 스탠드업 코미디를 할때도 백인스럽다.라는 말을하는데 저런 무모한,모험적인.낙관적 사고를 할때 사용함. 인종별 문화별 차이가 확실히 있긴한듯 물론 그런 남다른 도전정신과 탐험심으로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고 눈부신 발전을 해 온 것을 보면 장점도 되고 단점도 되고
@user-ul7rb2bl2s
@user-ul7rb2bl2s Жыл бұрын
지금은 안하는데 주말마다 지상파에서 방송해주었던 미국이나 캐나다 홈비디오 (웃긴 영상) 보면.... 너무 병맛스럽고 괴짜스러운 장난을 너무 많이 친다는것을...알게 되죠. 어떤 특별한 행동을 하기 전에 내가 안전한가? 이 행동이 사망이나 큰 사고로 이어지지 않을까? 생각하는 능력이나 교육환경이 우리랑 완전히 다른듯함...
@user-cs5ei8op1w
@user-cs5ei8op1w Жыл бұрын
상당히 흥미로운 영상이네요. 감사합니다 어떠한 문제에 개인이나 기업의 문제나 책임도 따져봐야하지만, 사회적인 안전망이나 대책을 잘 세우지 못했냐에 반성도 함께 해야한다고 생각하고 있어요. 비교하고 싶진 않지만 우리 사회도 이런 마인드는 배웠으면 합니다. 반성이 없다면 또 다시 이런 사고가 일어날테니까요
@coco_jerry
@coco_jerry Жыл бұрын
사람마다 생각하는 안전의 기준이 다르다는걸 몸소 보여준 것 같다. 만든 사람은 일단 작동하는거에 집중되어있고 타는 사람은 작동보다 안전에 집중할 수 밖에 없고.. 근데 저런 사소한 위험 행동들을 캐치해서 자신의 안전을 지켜 살아남은 사람들이 좀 놀랍다... 거의 예지력급..
@twahn7707
@twahn7707 Жыл бұрын
탐험과 모험을 좋아하는 것은 나쁘지 않은데, 저건 그냥 안전불감증을 그저 리스크가 존재하는 모험으로 포장 한 것으로 밖에 안보여집니다.
@aaron7609
@aaron7609 Жыл бұрын
심성이 선량한지는 모르겠는데 걸려면 자기 목숨과 자기 재산만 걸어야지 남의 돈으로 남의 목숨까지 거는 건 부도덕한 것 아닙니까?
@EJS0
@EJS0 Жыл бұрын
그럴의도가 없었다 라고 단순히 보는거같네요.. 속으로 생각할 순 있어도 그걸 드러내진 않는 느낌
@dnkqn8062
@dnkqn8062 Жыл бұрын
누가 보면 저 대표가 타라고 칼들고 협박한 줄 알겠어요
@user-rm2zc1yl1c
@user-rm2zc1yl1c Жыл бұрын
결국 탑승한 사람들은 본인들의 의지로 탑승한거기에 도덕적 책임까지 운운하는건 좀 아닌듯 싶네요
@user-be8fs1bz9v
@user-be8fs1bz9v Жыл бұрын
​@@user-rm2zc1yl1c 아니죠 도덕적 문제가 있습니다 이곳저곳에서 진작 안전에 관한 문제가 터져나오고 있었는데 그걸 숨기고 안전한 것처럼 표현했기에 저 사람들이 탄거죠 과연 탑승객들이 잠수정에 관한 제대로 된 정보를 제공받았을 때 저 상품을 구매했을까요? 판매를 위해 가리는 정보들이 있었을테고 그건 비도덕적인 행동입니다
@dhkd1157
@dhkd1157 Жыл бұрын
계약서에는 안전 검증이 되어있지 않다고 명시되어 있고 사망시 책임지지 않는다는 내용도 적혀 있는데 거기에 서명한 사람들의 판단력도 문제겠지만 아마도 저 대표가 감언이설로 설득을 많이 했을거 같습니다. “당신 이외에도 많은 사람들이 탔었다. 문제 없었다. 운용한지도 몇년 됐다” 등등 물론 그렇게 꼬득이는 행위는 비즈니스 영업 활동이니까 그렇다 치지만 냉정하게 말해서, 계약서나 영업 방식에 거짓말이 있었다면 그건 문제가 되지만 모두 진실만 진술하고 있었다면(안전검증 안됐다. 탈래? 식으로) 도의적인 문제를 찾기는 조금 어렵다 생각합니다. (그냥 저 말도안되는 계약내용이 담긴 상품을 구입한 사람들이 바보)
@user-um8hc2tt1y
@user-um8hc2tt1y Жыл бұрын
1:36 이 문장도 좋네요
@Chiikarika
@Chiikarika Жыл бұрын
저도.. 외신뉴스 살짝 보면서 그들은 진정한 모험가들이었다고 애도하는데 ,, 조금 놀랐어요. 사실 인간의 발전은 무모한 도전에서 시작했던거였지 싶고 … 리스크 애피타이트 라는 단어도 배우고 영상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tyt1638
@tyt1638 Жыл бұрын
운명이 이렇게 갈리다니
@user_bk8w9d5pbj0otz.h6
@user_bk8w9d5pbj0otz.h6 Жыл бұрын
Bloom 의 19세 아들이 친구의 의견을 받아들인 점이 놀랍다. 그 친구가 결정적으로 이 심해잠수정의 문제점을 이야기했다는 점도 대단하지만, 그 지적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Bloom 에게 계획 취소를 요구한 그의 아들은 투자자의 DNA를 타고난 듯.
@dwh4322
@dwh4322 Жыл бұрын
대표에 책임을 묻는게 아닌, 악의가 없었기에 시스템에 책임을 묻는건 신기하네요. 저로서는 받아들이기 어려울정도로 개방적인 사고방식입니다.
@anonymous-yx6kf
@anonymous-yx6kf 11 ай бұрын
대표, 즉 책임자에게 당연히 책임 묻습니다. 그니까 책임자이죠. 다만 문제해결이 허가권을 가진 정부의 허가 조건을 조정하자는 거죠. 한국은 모험과 도전같이 '남자가 빨리 죽는 이유'를 싫어하기 때문에 그 싫은 감정이 법에 반영되는 거죠.
@user-nq3du2oz3i
@user-nq3du2oz3i 11 ай бұрын
같이 죽었자나
@user-sb4re9hv8s
@user-sb4re9hv8s 11 ай бұрын
당연히 저걸 허가를 내준 법, 시스템의 문제죠…개방적인 사고방식이라기보단 당연한거 아닌가요….?
@user-kp3nf9pu3h
@user-kp3nf9pu3h Жыл бұрын
똑똑하고 대단히 신중하네.그래서 결국 목숨을 건졌고..
@user-ml6wr4nx4p
@user-ml6wr4nx4p Жыл бұрын
실험용이었기 때문에 규제를 피할 수 있었다는 건 이해가 되지만 적어도 실험용이니 영업적으로 승객을 태우지 못하게 최소한의 규제는 했어야한다.
@soonhan1
@soonhan1 Жыл бұрын
모험에 대한 시각의 차이 인듯 합니다. 미국이나 유럽에선 모험가에 대한 존경이 늘 있어 온거 같아요. 도전 하는 사람들에 의해 발전을 했으니....
@sienna8297
@sienna8297 Жыл бұрын
며칠전 뉴욕타임즈 팟 캐스트 the daily에서도 이 문제를 다뤄서 알게됬습니다. 팟캐스트에 출연한 타임즈 기자는 저 탑승객 중의 한명인 프랑스인 타이타닉 전문가와 친분이 있었다고 합니다. 그 기자역시 해양 탐사 전문가이구요. 저 회사에서 기자에게도 2018년부터 접근해왔다는데 거절했다고 합니다. 이유는 영상에 나온대로 X-box에서나 쓰는 조이스틱을 잠수정에 쓴 것같은 조악한 기술, 그 어떤 공인인증 기관의 시험을 거치지 않은 것이 문제였다고. 처음부터 굉장히 위험했다고 하네요. 이 사건으로 해양탐사가 위축될까봐 걱정하더라구요. 오션 게이트의 CEO는 무책임한 사람이 맞습니다. 본인이 daredevil이라도 남의 목숨을 가볍게 여기면 안돼죠. 그에 대한 비난이 적은 것은 서양의 죽은 이를 나쁘게 말하지 않는 문화도 한몪했다고 느껴집니다.
@christinekim3769
@christinekim3769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서양사람들은 일단 일어난 사건은 문제해결 측면에서 분석하며 원인에 대해서 자극적이지 않게 완곡하게 표현합니다.
@user-je7ri8qq2w
@user-je7ri8qq2w Жыл бұрын
으이그 조은 사람이엇다로 모든것을 정당화 할수 없습니다 ~~조은사람이다면 더욱 정교하게 모든것을 완벽하게 실현한 다음 완전할때 영업 해야 함니다 ~저것은 기술의 상징이니 진짜 조은 사람이라면 완벽희 완성하는 것이 가장 조은 사람임니다 전쟁 중이면 적을 사멸하고 이겨야 진짜 조은 사람이 댐니다 사업이나 영업이면 팔고자 하는것 잘 팔아야 조은 사람임니다 실페는 절대 조은 사람이 아님니다 절망적인 사람이 대는것임니다 ~허니 불안정한것을 영업 하엿다는 것은 조은사람이 아닌것 임니다그 조은 이미지가 쥐양인것 임니다 ~~조은 사람 엄청 만치만 그 조은 사람 모두가 능력자는 아님니다 거지에 가난벵이 부터 부자들도 학자도 기술자도 다 존재 함니다 현 법관도 조은 사람이 있겟스나 사람이라 자신의 욕심을 추구할수 박에 없습니다 먹는것 자채가 남의 생명을 뻬아사 먹어야 함니다 ~~
@user-je7ri8qq2w
@user-je7ri8qq2w Жыл бұрын
한마디로 저들이 살아 돌아 온다면 무어라 말할가요 ~~야 너 이따위로 만들어 영업 하냥 ~~아마 망하게 모든 동원 그리고 법적 책임을 뭇겟지요
@didiq
@didiq Жыл бұрын
@@magnum1062 맞습니다. 게임 조이스틱 미핵잠수함에도 사용합니다. 사용자체가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 고장 대비 여분이 없는 것이 문제.
@user-gb9uy7gl9s
@user-gb9uy7gl9s Жыл бұрын
죽은 이를 나쁘게 말하지 않는 문화는 허구입니다. 서양에서는 고인에 대한 희화화에 훨씬 관대해요 레딧만 봐도 이미 많이 유머스럽게 다룬 글 많음
@user-qs1cn8mo2v
@user-qs1cn8mo2v Жыл бұрын
탐험과 모험에 관대한 문화라 우리랑은 많이 다르고 판단 대응이 이성적이네요 비극적 사고임에도 서양이가진 장점이 보이네요.좋은 기사였습니다.
@real-big-wave
@real-big-wave Жыл бұрын
상식선에서 생각하면 피할 수 있는 문제인데 그게 쉬운 일이 아님 항상 머리를 차갑게!!
@rainnovember2331
@rainnovember2331 Жыл бұрын
실험용 비행기에서 위험에 대한 주관적 판단 기준으로 이어지는 판단이 굉장히 인상적이네요.ㅋㅋㅋ 괜히 억만장자가 된 게 아닌듯ㅋㅋㅋㅋ
@jeffbaek0523
@jeffbaek0523 Жыл бұрын
근데 미국이나 영국에서 저 대표에 대한 책임보단 규제의 부제를 언급하는게 이미 대표는 신체포기각서 비슷한걸로 “이건 시험장비고 니들은 같이 시험대에서 나랑 죽을수도 있다”를 충분히 알려줬다, 그리고 이 위험한 모험은 그걸 읽고 서명한 개인의 선택이 컸다는 생각이 깔려있는 것 같네요. 그래서 개인이 어떤 선택을 하더라도 개인이 감수할 위험을 최소화 하기위한 규제를 얘기하는거구요. 저 잠수정이 검사대상이었다면 어떤 스펙으로 만들었는지 서류를 내야했을거고 스펙 검증을 위한 검사를 받았겠죠. 아마 그러면 저 스펙으로는 검사통과를 못했을거고 사람들이 죽지 않았겠죠. 그리고 대표가 비난을 피하고 있는 이유 중 하나는 대표가 같이 탔던것도 컸을 것 같구요. 대표가 같이 안탔다면 비난과 책임을 피할 수 있었을까 싶네요... 솔직히 같이 안탔으면 비인증, 비검사 시험체로 사람들을 사지로 몰아넣은거고 같이 탔으니 실험적 장비로 모험을 하다 목숨을 잃은거... 라고 생각하나...? 암튼 거기에 대해선 저도 참 맘이 복잡하네요.
@pepsi950
@pepsi950 Жыл бұрын
서양이 확실히 문제를 보는 관점이 더 합리적이고 건설적이네요.
@gorgo13
@gorgo13 Жыл бұрын
괜히 전세계 패권을 쥐고있는게 아니죠. 개인의 문제탓으로 돌리기보단 법규상의 허점에 비판을 하는 모습이 인상적이네요.
@gogoki112
@gogoki112 Жыл бұрын
저도 영상 보면서 같은 생각 했어요. 우리나라랑 많이 비교됩니다. 우리도 사회가 성숙하는 과정이 필요할듯 해요.
@nemobin
@nemobin Жыл бұрын
@@Nekokawaii3 저 기업도 날라갔죠
@tongtongjeri
@tongtongjeri Жыл бұрын
근데 탑승객들이 다 억만장자라면서 그럼 똑똑한 조언가 비서라던가 직원들 건너 건너서라도 과학쪽에 사업가나 능통한 지인들도 많았을텐데 위험할수 있다고 알려주는 사람이 없었던건가. 아님 걍 무시한건가
@euphorim
@euphorim Жыл бұрын
개인의 모험심을 별나다고 생각할 수도 있었으나 그것을 전혀 탓하지 않고, 그것을 말리지 못한 규제와 시스템의 미흡을 지적하는 모습이 굉장히 성숙해 보이네요. 우리나라 사람들은 성질 급해서 저렇게 못할듯... 책임자를 악마화하면 당장 속편해 하니까.
@user-nk1yl7he6g
@user-nk1yl7he6g Жыл бұрын
진짜 부자인 사람은 부자인 이유가 있네 리스크나 사람보는 관점이 다르고 판단도 잘하는거보니.. ㄷㄷ
@nicknameserious2551
@nicknameserious2551 Жыл бұрын
죽은 사람들 전부 부자임
@user-je7sw3uu9x
@user-je7sw3uu9x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
@user-nk1yl7he6g
@user-nk1yl7he6g Жыл бұрын
@@user-fp6ru1rt6l 개소리가 아니고 말하는 분석력이 달라보이는건 맞자나? 뒤진사람들 중 승객은 실험적인 잠수정에 모험심 때문에 가게 돼서 죽은거고 왜 염병하고 불나방처럼 댐빔?
@user-nk1yl7he6g
@user-nk1yl7he6g Жыл бұрын
@@nicknameserious2551 you too
@user-pi8sz3pd2z
@user-pi8sz3pd2z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알아보고 싶었던 뉴스였고, 영어 공부까지 할 수 있어서 좋네요. 잘 보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영상 기대할게요~
@dailysoulenglish
@dailysoulenglish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chickengod9191
@chickengod9191 Жыл бұрын
아우.. 이거 기사 내용도 그렇고 최신 기사로 이렇게 번역해 주시는 거 너무 좋아요.!!!
@user-sh7hx8sh5d
@user-sh7hx8sh5d Жыл бұрын
이런 채널을 왜 지금 알았을까요?외국계 회사에 다니고 있는데 항상 뭔가 부족했는데..영상 감사드리며 많은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dailysoulenglish
@dailysoulenglish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되셨다니 감사합니다
@reynardpark9362
@reynardpark9362 Жыл бұрын
높은 이익 대비, 높은 위험을 취하기엔 전 담이 크지 않아서 시도조차 못 할 것 같네요.
@user-cq9fp7ue7z
@user-cq9fp7ue7z Жыл бұрын
Reputation을 좋게 말해주는 점이 저도 놀랍네요.. 실험성이면 자기랑 자기 연구원들이랑 왔다갔다 하지라고 생각했던 저는 뼈속 한국인 ㅎㅎㅎ 마지막에 거부의사를 밝히는 손님들이 있었을 때 다시 한번 돌아보고 점검하고.. 자신을 제어할 수 있는 능력이 있었다면 좋았을텐데.. 너무 안타까운 사고입니다... RIP
@Lanub
@Lanub 7 күн бұрын
미국에서 한사람만 조지지 않는이유 다음번에 이런일이 일어나지 않게하기위해 규제나 법률제정을 얘기해서 사회적으로 끌고 오지만 한국은 법률문제는 예전부터 나오지만 절대 바뀔일 없기때문에 책임자를 조져서 다른사람들이 실수하면 저리 조져지는걸 보고 실수안하기위해 노력함..
@iiliillliiiiililil
@iiliillliiiiililil Жыл бұрын
마지막 개인이 아닌 구조의 문제로 바라보는 시선이 인상적이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hyunhochoi8705
@hyunhochoi8705 Жыл бұрын
실험용 잠수함이라는 걸 알고 탄 거면 머... 목숨을 배 밖으로 내놓고 살던 사람들이 죽을 확률에 당첨된 것 뿐이겠네요
@johnpetermakesyoufree
@johnpetermakesyoufree Жыл бұрын
아무리 모험적인 것이 좋은 것이라는 인식이 있더라도 생명은 소중한 것이며 인간은 지구에 사는 한 물리법칙을 무시하고 살 수 없습니다. 잠수함이나 비행기등을 만들때에는 안전 기준과 메뉴얼이 확실하게 적립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user-zh1ro5ow6g
@user-zh1ro5ow6g Жыл бұрын
어찌보면 대단하다. 저걸로 몇번 성공적인 운행을 했다는 게….
@insight0.9
@insight0.9 4 күн бұрын
나도 자본투자자로 먹고살고있지만, 찐 투자자는 머리속 회로가 얼마나 벌겠다보다도 첫째도 둘째도 셋째도 리스크 관리에 초점이 맞춰져있습니다. 그래서 투자뿐 아니라 실생활 어떤 부분에서도 무의식적으로 리스크를 회피하려는 경향을 보입니다. 그래서 사고도 적게나죠.
@jerrykw3839
@jerrykw3839 Жыл бұрын
제임스 카메론 감독이 원래 전공이 해양학자이고 취미가 바다라 그걸 연구하기위해 취미로 만든 영화가 타이타닉 아바타라고 함😮 개 쩔음. 그러니 아주 전문가다운 영화가 나옴. 근데 잠수함 사업한 사람은 과학자가 아니고 장사꾼일뿐임. 암튼 Aficionado 라는 단어는 처음 들어봄. 라틴어같기도하고 이태리어 같기도한데 신조어 같은 느낌😮 잘배우고 갑니다
@Avenir0304
@Avenir0304 Жыл бұрын
와 타인의 행동을 현명하게 판단하고 빠르게 대처했네요. 한 수 배우고 갑니다.
@user-zt5iz6sv9c
@user-zt5iz6sv9c Жыл бұрын
와.. 여러번 놀랐어요. 번역 영상을 보지 않았더라면 몰랐을 내용입니다.. 위험 수용범위라고 언급한 인터뷰도 놀라웠고, 해외반응에서 대표를 탓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도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제도도 제도지만 가장 먼저는 저 사람의 무모한 모험심으로 다른 사람 안전까지 위협하고 비극적 결말까지 만들었는지 탓 했을 것 같거든요. 며칠 뉴스를 보면서 속으로 그렇게 생각하기도 했고요. 사실 대표인 당사자가 잠수정에 탑승한 것 만으로도 그는 정말 악의없이 자신의 생각을 믿은 거겠죠.. 그건 알지만 아무튼.. 영상 잘 봤습니다.. 생각을 더 해보게 되는 기회가 되었어요
@azkjhg364
@azkjhg364 Жыл бұрын
어떤 분야에 사고가 생기면 당연히 그 일을 총괄로 관리할 수 있는 체계와 정부 및 관리자들의 책임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개인에게 책임을 모두 전가하고 매도하는 것을 너무 많이 봐왔다 보니, 해외에서도 개인의 잘못으로 마무리할줄 알았는데 사고를 사고로 볼줄 아는 시각이 있는 것이 의외네요. 이러한 대처방법은 배워야 한다고 봅니다.
@danielkim6391
@danielkim6391 Жыл бұрын
그들의 문화는 우리 한국과 많이 다릅니다. 실패할 수 있는 일에 도전하는 것과 모험하는 것 탐험하는 것을 굉장히 빈번하게 하는 편이죠 일단 창업의 경우만 보더라도 우리나라보다 월등히 많습니다. 실패해도 안전장치가 마련되어 있고 창업을 장려하는게 문화속에 깔려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무서워서 창업을 꺼려합니다. 안전장치도 부족하고요. 만약에 저런 말도 안되는 모험을 시도한 대표가 한국에서 그랬다면 대표와 대표가족에게 엄청난 비난과 고통이 쏠리게 될 것입니다.
@jason_cha
@jason_cha Жыл бұрын
외국은 투자자의 돈으로 창업하고, 우리나라는 창업을 하더라도 내 재산을 담보로 걸고 창업을 한다는, 작지만 아주 큰? 차이가 있습니다. 외국은 실패를 하더라도 열심히 노력했다는 증거만 있으면 투자자의 돈만 날리고 다시 시작할 수 있지만, 우리나라는 창업했다 망하면 집안이 풍비박산 나고 빚쟁이가 찾아오죠.
@mrnamjisoo
@mrnamjisoo Жыл бұрын
인간의 삶은 B(Birth)와 D(Death)사이의 C(Choice)다. 고인들의 명복을 빕니다.
@dailysoulenglish
@dailysoulenglish Жыл бұрын
정말 그렇네요~
@j-countrylife
@j-countrylife Жыл бұрын
자신이 죽을뻔했다는 그당사자였을걸 뉴스를통해 볼때 얼마나 오싹하고 무서웠을까..모험 경험 탐험도 좋지만 역시 안전문제는 너무나 중요한..
@sanggyuhwang7937
@sanggyuhwang7937 Жыл бұрын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자주 놀러올게요
@djjcxsxjr
@djjcxsxjr Жыл бұрын
이런 체험스포츠 등이 뭔가 동남아국가보다 미국이 더 체계적이고 안전할 것 같지만 실제로는 안그런 경우가 많음. 관광객이 손쉽게 접할 수 있는 스쿠버다이빙만 해도 동남아에서는 체험다이빙의 경우 2인당 인스트럭터 1명이 반드시 붙어서 처음부터 끝까지 케어하는데 하와이에선 한 명이 열명도 넘는 인원 델꼬 들어가고 뒤처지든 말든 지혼자 돌아댕김
@lowlanz
@lowlanz Жыл бұрын
사회제도가 세상 모든일을 미리 대비하긴 힘들죠. 목숨이 걸릴 정도로 실험적이고 위험한 일이라면 저 취소해서 살아난 부자처럼 본인이 위험성에 대해 연구하고 알아보고 조심하는게 맞는거죠..
@jlee7978
@jlee7978 Жыл бұрын
하지만 사회제도가 개선돼야 이런 문제가 재발하지 않죠. 개인에게 책임을 묻게되면 피해자를 탓하게 됩니다. 피해자가 무지했다는거죠. 근데 피해자가 전문 지식을 잘 모르는건 어떻게보면 당연하지 않나요? 위험한 물건을 만든 사람이 잘못된거죠.
@lowlanz
@lowlanz Жыл бұрын
@@jlee7978 이런 일이 일어나면 이를 계기로 개선될 수는 있겠죠. 그런데 저렇게 동의서받고 타국영해에서 목숨거는것까지 미리 대비하긴 힘들었다고 보네요. 세상에 저 정도 가능성은 수없이 있고 그런걸 다 제도로 대비한다면 행정력과 정치력이 낭비될겁니다.
@Sunbaalance
@Sunbaalance 8 күн бұрын
구독해버림 영상퀄 너무좋네요 토플중인데 도움됩니다
@yhw40
@yhw40 Жыл бұрын
저게 맞는거 같다. 개인을 향한 비난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돌아설게 아니라 사회 구조를 파고들어 재발을 방지하는 태도는 배울만하다
@dbfh1258
@dbfh1258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은 내용 입니다.
@youcantata
@youcantata Жыл бұрын
잠수정의 재료로 탄소섬유를 썼다는 건 놀라운 일이네요. 탄소섬유는 금속보다 인장강도는 매우 강하고 가벼워 내부에서 압력을 받는 비행기나 고압탱크 등에는 최적의 재료지만 반대로 외부에서 내부로 압력을 버티는 데는 별로 좋은 재료가 아니죠. 차라리 화강암 블록 같은 재료가 더 좋은 잠수함 재료가 되었을 겁니다.
@learningkoreaneveryday3096
@learningkoreaneveryday3096 Жыл бұрын
이 사건에 관심이 많아 여러 영상을 보았는데 제일 구체적이고 깔끔하게 된 영상이네요 영어공부는 덤이라니 ^^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Honey-ho_rice_cake
@Honey-ho_rice_cake Жыл бұрын
확실히 모험과 개척이 발전이 원동력이었던 사회여서 그런지 한국과는 인식이 많이 다른것같네요. 뭐든 새로운 시도와 개발은 위험과 희생이 따르죠. 이러한 희생없이는 발전이 불가피 하기도 하고요. 개인의 시도를 무작정 비판하기보다 앞으로 이러한 일이 다시 일어나지 않게 하기위해서 사회공동체가 해야되는 일이 무엇인지 생각하는 태도가 멋져보여요.
@lis9937
@lis9937 Жыл бұрын
본 유투버가 다른 기사를 많이 안 보고 짧은 소견을 말하고 있음. 개발자의 욕심/안전에 대한 경시가 다른 희생자를 낸 것이라는 것이 중론임.
@user-wf8qf2yu9m
@user-wf8qf2yu9m Жыл бұрын
​@@tv-bt8rt 여러 의견이 있지만 ​​대부분 그렇게 생각한다고요 이 영상 만드신 분은 이 발언을 한 뉴스를 따와서 이걸 보고 있는거구요 이 뉴스 하나로 저 나라 민심이나 의견을 대표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는게 더 이상하지 않으세요? 영상 하나로 선동당하실 분이네
@user-nb7tc1ng4w
@user-nb7tc1ng4w Жыл бұрын
저도 저도 첨 뉴스봤을때ceo만의 백퍼 문제라고 보진않았어요. 저도 첨에 라이트형제가 생걱났다고해야하나? 예전부터 에디슨도, 라이트형제도그렇고 모든 발명가들이 그런모험심과 창의적인일이 발전시킨건 분명하니깐요. 그렇지만 아직 불안정한상황에서 성급하게 상용화해서 고액상품화 ,사고위험 대비를 안한것은 문제로 보입니다.
@metake3072
@metake3072 Жыл бұрын
정보가 없던 시절에 그렇게 발전시킨 라이트형제, 에디슨이라 찬양받는거지 저 사람은 정보가 널리 퍼져있는데도 확실하지 않은 정보와 재료로 잠수정 만들어 태워 보냈습니다; 사고의 시점이 달라요;;
@user-rc2qr5pe7f
@user-rc2qr5pe7f Жыл бұрын
혼자죽으면 라이트형제지만 남들을 감언이설로 죽음에 이르게했으니…
@hr-vl9do
@hr-vl9do Жыл бұрын
심해 4키로는 우주에 가는 연구력 만큼이나 더 고심하고 상용화 했어야 했는데 하다보니 자본력이 많이 들어가고 회사의 운영때문에 전문가나 직원의 경고와 안전따윈 무시하고 본인이 직접 영업에 뛰어들며 이지경까지 온거 같음 디스카운트 해준데서 절박하구나 싶었음
@yerinenglish
@yerinenglish Жыл бұрын
첫번째 인터뷰 듣고 진짜 소름돋네요… 역시 부자의 통찰력은 ㅜㅜ
@cafe99days
@cafe99days Жыл бұрын
사람을 마녀사냥하듯 지적하는게아니라 시스템적인부분을 지적한다는 문화가 멋지다.우리나라에서는 볼수없니
@user-wf8qf2yu9m
@user-wf8qf2yu9m Жыл бұрын
저 문제 좀 더 알아보시면 마녀사냥 할 것도 없이 CEO가 우겨서 저 사달이 난거예요 마녀사냥은 아무 잘못도 없는 사람을 몰아갈때 쓰는 말 이구요
@user-wf8qf2yu9m
@user-wf8qf2yu9m Жыл бұрын
시스템을 지적하는건 배울만 한거 같아요
@Ear-yomi
@Ear-yomi 10 ай бұрын
이미 죽었는데 사냥할것도 없을 듯
@maxiyoung5897
@maxiyoung5897 10 ай бұрын
항상 좋은 컨텐츠 만들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dailysoulenglish
@dailysoulenglish 10 ай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user-ie5xx8ej3o
@user-ie5xx8ej3o Жыл бұрын
구성이 진짜 좋네요. 영어 공부도 되고 시사 공부도 되고 고민해볼만한 질문도 던지는…멋진 콘텐츠입니다.
@jisoo000818
@jisoo000818 Жыл бұрын
"개인의 선택"에 집중하고 그게 기본적으로 강하게 깔려있어서 그런것 같기도해요, 우리나라만 봐도 우리는 반대로 그사람이 그런선택을 할수밖에 없었던 사회적 이유, 압력에 집중하는데..
@joey_insightful
@joey_insightful Жыл бұрын
컨텐츠도 너무 좋고 영상도 너무좋고 내용도 너무좋고 편집도 너무좋고 목소리도 너무좋아요
@user-nz2yt5oz6n
@user-nz2yt5oz6n Жыл бұрын
보다 보니 생각의 지평을 넓히게 되는 영상이군요. 감사합니다.
@user-hd9db7wb3j
@user-hd9db7wb3j Жыл бұрын
와 지식얻고 갑니다 역시 사람은 많이 알아야 세상을 보는눈도 다른것같네요
@seungdongkim7202
@seungdongkim7202 Жыл бұрын
그 잠수정 사장(ceo)가 좋은 사람이라는 것이 문제다. 보통 사람이 좋아 보이면 , 그가 만든 제품이나 상품을 믿게 된다. 그것이 아마도 탑승객에게 타도 괜찮을 것이라는 판단을 하게 만드는데 일조를 했을 것이다.
@user-bb5mf3tt1p
@user-bb5mf3tt1p Жыл бұрын
영상 유익하고 좋네욧
@Ilillilllliliiii
@Ilillilllliliiii 11 ай бұрын
너무 유익했던 영상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tytysue
@tytysue 11 ай бұрын
저게 2억 짜리 탑승이었다니...헐.... 타이타닉 침몰한 위치가 진짜 어마어마하게 심해이던데. 거길 내려가겠다고 한거였구나. 사제 잠수함으로. 사고 안났으면 그게 더 이상했겠다.
@jerrykw3839
@jerrykw3839 Жыл бұрын
와...😢 잠수함이 최첨단 최고 안전한 설계한줄 알았더니 혼자 뚝딱뚝딱 허접하게 만든 발명품같은거라니..😢 진짜 사장 나쁜사람이다. 안전따윈 개나 줘버리고 돈밖에 모른 인간이라니. .. 돌아가신분들 안타깝네요😢 쿵쾅소리가 구조해달라는 소리가 아니라 수압을 견디지못하고 폭발했다는거라니..너무 끔찍한 죽음이다😢 저 회사는 망했군. 전부다 구조되어 살아있으면 좋을텐데 .😢 고인들의 명복을 빕니다.
@user-pw5di1xx9q
@user-pw5di1xx9q Жыл бұрын
쿵쾅소리는 별개입니다… 내폭 자체는 시뮬레이션에서 0.03초밖에 안 걸려서 일순간 쾅 하고 끝났을 거고요, 나중에 구조작업에서 녹음된 쿵쾅 소리는 고래나 다른 선박에서 낸 것일 거라고 합니다.
@ThomasKim
@ThomasKim 11 ай бұрын
좋은 의도가 항상 좋은 결과를 만들진 않죠..
@leebella2803
@leebella2803 8 күн бұрын
자막과 내용이 마음에 들어, 이 영상 보고 구독했습니다!!
A pack of chips with a surprise 🤣😍❤️ #demariki
00:14
Demariki
Рет қаралды 55 МЛН
The day of the sea 🌊 🤣❤️ #demariki
00:22
Demariki
Рет қаралды 89 МЛН
Пробую самое сладкое вещество во Вселенной
00:41
‘80만 틱톡커’ 의사 면허 박탈하며 판사가 한 말
3:57
일간 소울영어
Рет қаралды 589 М.
The story of how the blue house contacted me for a visit to North Korea
11:00
백지영 Baek Z Young
Рет қаралды 1 МЛН
Revealing Invasion of Privacy Issues of Han Hye Jin's Villa.
16:41
한혜진 Han Hye Jin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세상의 모든 핵폭탄을 동시에 터뜨리면?
8:03
한눈에 보는 세상 – Kurzgesagt
Рет қаралды 155 М.
A pack of chips with a surprise 🤣😍❤️ #demariki
00:14
Demariki
Рет қаралды 55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