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걸 생각하고 알게되네요 영상 감사합니다. 박사님 강의는 언제나 재미있고 유익합니다. 감사합니다
@으잉빠스잖아2 жыл бұрын
스토리 텔링 능력이 대단하시다.
@tv-wz1xu2 жыл бұрын
말씀 넘 잘하십니다. 구독 합니다.😍👍👏
@이금자-s2o9c2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ㆍ많이배웁니다ㆍ맞는말씀 이네요
@제프리-c6y2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은 사춘기...제발 올바르게 성장해서 훌륭한 어른이 되길 간절히 바랍니다. 지금의 해괴한 상황이 마지막 성장통이 되는 거라 희망을 가져봅니다.
@유지훈-f8x2 жыл бұрын
ㅡ
@바르고고운말2 жыл бұрын
저출산이라 성장하기 전에 뒤져버리겠누ㅋㅋㅋㅋ
@kolkim79582 жыл бұрын
한국은 비행청소년
@66I77I82 жыл бұрын
나라가 60~70년 정도의 짧은 기간에 너무 급하게 발전해서 민도의 수준이 그 속도를 따라오질 못함 ㅋㅋㅋㅋ
@안녕-x2d7q2 жыл бұрын
@@66I77I8 그래서 다른나라는 치안이 그래 안좋나
@데이지-w8v2 жыл бұрын
3번째 들었습니다. 들어도들어도 너무 가슴에 와닿네요^^;;
@바람처럼흐르다2 жыл бұрын
좋은 점도 많지만, 바꾸어야하는 것도 있지요. 자존감을 중시한다는 것은 그만큼 자존감이 없어서, 콤프렉스가 강하다는 겁니다.
@venges13692 жыл бұрын
몇번이고 또 보고 봐야하는 영상 감사합니다
@강동운-c2y2 жыл бұрын
이런좋은 강의를 이제서야 봤네요 잘보고 갑니다...!!
@허정연-d9p5 ай бұрын
한국인 을 잘 관찰해 재밌게 들었습니다
@sungwookryu79332 жыл бұрын
눈물이 다 납니다...내가 존중받는 느낌이 들어서... 잘 봤습니다
@나는누구-w7e2 жыл бұрын
들어도 들어도 재밌어요😄 강의를 너무 맛깔나게 하시는 분🙆
@홍사백-c8q2 жыл бұрын
유익한 강의입니다.교육에 있어서는 중고등학교때부터 적성검사와 자녀의 적성과 뜻을 살려주는 교육과 시스템이 최고로 중요합니다.흔히 우등생보다 농띠부리던 학생이 사회 성공률이 높다고 하는 이유는 자신의 적성을 고집대로 살려 나가서 일찍 성공한 반면 많은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이나 의지와 상관없이 일관된 공부라는 시간에 허비하는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공부던 기술이던 운동이던 방향을 제대로 찾아가는게 최고로 중요합니다.
@파란하늘-r9c2 жыл бұрын
엄청공감하면서 재미있게 들었어요 ㅎㅎㅎ
@Flower_Jooma2 жыл бұрын
훌륭한 강의 감사합니다
@johnlee84592 жыл бұрын
명강 잘 들었습니다!! 전 국민이 봤으면 하는 바램이네요.
@hs-vp6mg2 жыл бұрын
와 뒤로 갈수록 복습하고싶은 강의네요bbb
@djj97742 жыл бұрын
관계성과 주체성 이 성장속도뿐만 아니라. 빨리빨리 추진력 세계1위라. 경제발전이 .. 순식간에 ...
@chimahangju60412 жыл бұрын
격하게 공감되는 강의였습니다 잘듣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외자배-x8z2 жыл бұрын
정말명강이시네요
@내가고쳐타차5 ай бұрын
과거와 현재를 해설해주는 똑똑한 해설자.정작해야할일은 지금의현실,아무것도하지않는,젊은 일꾼,일하는일꾼으로 탈바꿈 시킬수있는 현실 교육을,미래,내일을바꿀수있는 방법은 불가한가요.학교,가정,사회. .인성변화.교육,중요한것같아요.바꿀수있을까요."조기교육" 추천해봅니다.
@aejakammerer70232 жыл бұрын
아니지요. 사회의 책임이 아니라, 한국에선 부모님이 아이들의 어떤학교에 가야된다, 어떤대학에 가야된다, 누구와 결혼해야된다, 모든 한 인간의 삶을 부모님이 만들어놓는 방법은 자식은 부모 소유것이라 잘못 인식 생활입니다. 스스로 몰라서, 원하지도 않게 자식 인생을 망치고, 또 한국엔 복종 의식이 부모ㅡ선생, 사장에서 아직 강하게 남아있는 잘못. 독일에서 인사드립니다. 대한민국만세.
@장기태-q6c2 жыл бұрын
제도와 부모들의 연대책임이죠.
@rainywolf35362 жыл бұрын
이시람 강의는 배울점 느낄점이많네요
@user-hongjihoon2 жыл бұрын
지금 가장 우리 다울때 가장 큰 힘을 발휘한다. 개인적인걸 좋다 나쁘다 할 수 없다 생각합니다. 타인을 존중하되 나를 낮추지 않으며 사회적 개인적 위치에 해당하는 적절한 행동을 해야하는데 일본 여탕에 남자가 보일러 수리 하는게 잘한건 아니라고 봅니다. 인간의 본성과 사회마다 특성이 있는것이지 그 문화가 잘 된거다 그래야 인류가 바른길로 간다라고 말 할 수 없음.
@전창우-n2l2 жыл бұрын
강의가 좋아서 벌서 여러번 들어 보는대 들어도 들어도 너무 좋네요...
@격정자2 жыл бұрын
마지막 🐎! 울고싶은데 눈물을 흘릴 수 있는 기회를 주지 않네요
@차연우-y5n2 жыл бұрын
명강의네요.. 한국은 이제 바껴야됩니다
@다건-m5b2 жыл бұрын
정말 재미있고 유익한 강의였습니다^^
@어둠의다크-r2s2 жыл бұрын
한국인들은 세계에서 가장열등한민족이다!! 저출산이 왜터지겠냐!!
@wkb84092 жыл бұрын
수년전 티비로 한편? 봤었는데 유튜브에 떠서 다시 한번 저분 강의가 맘에 들어 다시 봤는데 정말 명강의 같습니다 우리가 왜 현재와 같은 현실속에 살수바껭 없는지를 쏙쏙 알려주는 강의이고 앞으로 어떻게 우리가 우리 사회가 살아가야 할지 미리 알려주는 강의같습니다 다른 주제로 다시 보고싶네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강사님으로 인정합니다 !! 대통령,국회,정부 인사들 모여놓고 교육 하고 그 다음으로 기업주들에게 교육좀 헤주시기 바랍니다 !!!!
@kmint66012 жыл бұрын
속도가 아니라 방향성이다. 추상적인것 같지만 사실 뼈때리는 말입니다.
@kkk-j3p4p5 ай бұрын
속도는 방향+속력입니다 속력으로 바꿔주세요
@격정자2 жыл бұрын
월드컵에서 내일이 함께하는 것을 보게 되네요 신기해요
@jkim70422 жыл бұрын
* 내 삶에 스스로 나만의 주인공이 되는날입니다 남들보다 더 멋진 영화가 될려고 노력/ 비교 하지 말고 묵묵히 나와 우리 아이가 주인공인 영화를 만들고 아이가 아이만의 영화를 스스로 만들때 인정해 주고 즐거워 해줘야 겠습니다. * 열심 열심이라는 강도보다 나에게 맞는 방향을 찾아보자
@최용선-w6b2 жыл бұрын
심리학이 인문계열 처럼 보이죠? 좌우당간 내가 볼땐 제일 재미있는 인간생각공학과같어요
@O-mySunHoony2 ай бұрын
18:04 말씀하시는게 좀 어색해서 다시 들어보니, 착각 하신것 같아서 글 남깁니다. "밥 안먹었니?" 한국말은 먹었으면, "아니요, 먹었어요." 안먹었으면, "네, 안먹었어요." 라고 답하죠. 부정으로 질문해서 먹었는데, "네, 먹었어요"는 영어식 답변입니다. 한국말은 질문에 대해서 맞으면, "네" 라고 말하고, 질문과 다르면 "아니오" 라고 답하는데, 영어는 결과가 먹었기 때문에 질문이 '안먹었니?' 라고 부정으로 물어도 답은 '네' 라고 하는것입니다.
@k코스모스-m1d2 жыл бұрын
강의가 넘 좋아요 👍👍👍👍👍👍👍👍👍👍👍👍👍
@이현권-r8w2 жыл бұрын
내 마음에 속 드네 좋은 강의 감사 감사 세계속에 대한민국 현실에 만족하지말고 유비무환 정신으로 더더욱 연구하고 노력하여 세계1등이 되도록 하이팅합시다
@최종갑-y4d2 жыл бұрын
고려대 심리학과 교수님.. 명강의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엄도열-p3r2 жыл бұрын
사람은 누구나 이기적이죠 이기적으로 살지 않으면 살기가 힘들기 때문에 이기적으로 살 수 밖에요
@신성식 Жыл бұрын
명강의네요ᆢ
@Bottesini-yf9if2 жыл бұрын
변화 와 질서 예의 도덕 배려는 시기상조 지금 어린 학생들이 기성세대가 되는 그때가 개인주위로 가겠지만 질서는 잡히지 않을까 합니다
@AguaViva_06162 жыл бұрын
다이나믹 코리아~~~ ㅋ
@chang2495892 жыл бұрын
100퍼센트 공감되는 강의, 감사합니다.
@은퇴교수오복이5 ай бұрын
재미있는 강의 좋은 강의 잘 듣고갑니다. 일부 경제발전은 본질을 조금 벗어나서 해석한 부분이 아쉽네요
@yangpas2 жыл бұрын
주차자리 없어도 교차로 부근은 안대었으면 좋겠음. 본인 가족이 교차로 지나가다가 사고나도 그럴수도 있다고 넘어갈수있는지가 궁금
@bsmomo39622 жыл бұрын
가족 확장성에 대해 다시 들어보니 지금 정부가 귀담아 들어야 할것 같네요
@매일치맥2 жыл бұрын
이분 개그맨하셔도 잘하실듯 ㅋㅋ
@아이고세상에-i3u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고개 끄덕여지는 멋진 강의 감사합니다~~
@hyungyujoo18732 жыл бұрын
세상을 이해하는데 정말 좋은 강의네요. 가족확장성은 정말 많은 시사점을 주네요. 이태원 참사 때 국민들의 분노와 정부의 태도 등등...
@gbcszcfdcvc0015 ай бұрын
43:13) 산업현장에서 사고가 많은 이유 ~ 기계가 눈치 껏 알아서 해 줄 것으로 착각
@김상태-y2p4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격정자2 жыл бұрын
공장에서 찍어나오는 문화에서 나를보고 내일과 모레를 설계한다는 것은 정말 어려운 일이다.
@미남-k8t5 ай бұрын
난 기성세대이다. 대학을 졸업하고 건설 회사에 입사해 장기간 해외 공사에 파견되어 열심히 일하다 보니 벌써 은퇴를 하고 집에서 딱히 목적없이 시간만 보내고 있다. 강의를 듣고 공감하고 생각이 착잡하다. 내가, 내 자식을 그저 남들 하니까, 뒤쳐지지 않을까 하며 눈치를 보다 자식 교육도 나의 노후도 다 놓쳐버렸다. 이제 은퇴를 하고 후회하고 있지만 지나버린 시간, 왜 내가 좀 더 자각하지 못했을까 ? 후회만 남아
@멋의1인자2 жыл бұрын
북한학생들에게 사춘기는 어떻게지내는지가. 제일궁금하네요 우리 어릴때시대에도 사춘기발광이 존재 하지 않았는데요
@좌파들은기생충2 жыл бұрын
굿
@kj-wu7xt2 жыл бұрын
좋은강의 잘들었습니다 하지만 지금의 젊은세대들이 자신들의 부모세대들을 원망만 하게될까봐 걱정입니다 부모의세대를 인정하면서 자신의 스스로의 주체성과 자존감을 찾아서 살아가는 강의를 해주시길 바랍니다
@mikkim8055 ай бұрын
감사 감사합니다
@카페라떼-t7w Жыл бұрын
재밌다 ㅎ
@misti9-q3s5 ай бұрын
제대로 된 사회시스템을 갖출때 입니다. 약자가 보호받고 노력하는 이에게 보상이 주어지는.....지금 세상은 대부분의 자본과 권력이 소수에 편중되고 집중되어 있습니다. 상위기득권은 그 부를 나누고 싶지도, 불공정한 기울어진 운동장을 바꾸고 싶어하지도 않죠...고이면 썩게 마련입니다. 특히 대한민국은 상위 기득권은 친일세력이 상당합니다. 세로운 세상의 변화에 맞춘 사회 시스템의 마련은 생존을 위한 필수입니다.
@std37865 ай бұрын
조선시대 양반가 피해가 오늘날 ᆢ 피해자 인식ㆍ 현 서울은 전 시내가 아파트 성을 이루고 이는 아피트간 사회적 문화소통이 아닌 단절지속ㆍ부의 격차로 현 서울대도시 중산층 가정은 50대 이상인데 그들은 대학교육 받은 비율이 약30퍼센트ㆍ 무엇의미 이는 보상심리가 작용ㆍ 두번째는 빅정희 독재시대 박정히가 친일 좌파 경력에 반대급부로 국민들 분열 조장시킴ㆍ 새마을운동을 경쟁시킴ㆍ전국 산림녹화 경쟁시킴ㆍ 이시대부터 1970후부터 이미 서두 피해의식 서민들의 이기적 개인적작용ㆍ 잘 살아보자가 정정 당당 아닌ᆢ사회구조 만듬ㆍ 2000년 월드컵 계기로 화합이나 보수정권이 다시 반공이데올르기 국민분열시킴ㆍ 한국은 절대로 선진시민 안된다ㆍ 이미 경쟁사회 시대떠나 개인주의적 1인가구시대 돌입ㆍ 이는 주변 안돌아보는 특징ㆍ 아파트 문화가 한국을
@junholee75202 жыл бұрын
언변이.. 대단.
@kk44964 ай бұрын
아직은 기술직을 하려고 해도 대졸과 고졸의 페이차이가 큼. 이 것먼저 해결해야 제대로된 방향을 잡을 수 있음
@격정자2 жыл бұрын
소셜리스트에 변수가 너무 많아지면 그것이 곧 변명이죠
@erotikaJJang2 жыл бұрын
와! 천재적이다. 관점이. 와! 나만 이렇게 느끼나? 심리학자들의 관점은 다 저렇나? 와!
@hanja_dosa2 жыл бұрын
재밌네요..
@에이-s4w2 жыл бұрын
윤떵려리 좀 들어라
@leemr.102623 күн бұрын
한국인 특 인정 ㅎㅎ 하라면 안하고 하지말라면 하고 ㅎㅎ 인정요~~
@mycallful2 жыл бұрын
이 명강의를 주체성 강하신 기성세대 분들이 보셔야 하는데
@파니-s6f3 ай бұрын
객관적 근거가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100프로 공감이 가는 막연한 논리
@nkid20005 ай бұрын
훌륭한 강의십니다. 대한민국은 105년 됐습니다. 인지해 주시기 바랍니다.
@장지현-q7o4 ай бұрын
대한민국 48.8.15건국되었습니다 멸공
@승짱-j3p2 жыл бұрын
전이거 본방때 보고...진짜...이마를 몇번을 탁!! 쳤는지 몰라요;;;ㅠㅠ
@k_onig38842 жыл бұрын
사춘기가 기네요...2030년쯤엔 벗어날 수 있을까요?
@jihyun64892 жыл бұрын
둥지가 좋아야 알을 낳죠 ㅎ ㅎ ㅎ 그 애가 기초수급자가 되면 어떻게 생각하나요? ㅎ ㅎ ㅎ
@유수현-j8z2 жыл бұрын
왜 이렇게 많은생각을하고 살아야하지? 드라마 대사가생각나네 “꼰대너희들이 세상을이렇게만들어놓고 꼰대너희들보고배운 우리가 잘못이야?” 강의는 강의일뿐 오해하지말자~|~
@푸른구름나무5 ай бұрын
볼때마다 눈물이 나네
@SuperSandpiper2 жыл бұрын
심리학 이제 좀 먹고 살만하니까 다른곳에 눈을 돌릴 여유가 생긴것이다
@바르고고운말2 жыл бұрын
먹고 살만하기만 하고 잘 살기는 어려우니까 그런듯
@user뿜뿜4 ай бұрын
아...눈물나...
@김병철-h5r5 ай бұрын
''너 내가 누군지 알아'' 의 대답에. 미치게하는 대답이 ''몰라'' 이것보다 더 미치게하는 대답이 ''그래서 어쩌라고요'' .....
@물개작두2 жыл бұрын
레이 달리오의 국가 평가 방법을 적용하면 우린 사춘기가 맞음. 사춘기 나라의 국민들 특징은 나라를 실제보다 스스로 저평가하는 경향이 있음. 일본 같은 진짜 중년 위기 국가를 보면, 나라를 고평가함.
@남유병걸2 жыл бұрын
열심히 할줄 아는 자, 그냥 열심히 하는 자, 둘 다 같이 가야 합니다. 열심히 한다는게 뭔지 모르는 자, 열심히 하지 않는자도 우리예요, 조금 뜬구름 잡는 말이지만 아직 우리는 데리고 가는 자, 따라 가는자를 좀 더 조직화, 체계화할 인재가 백마를 타고 나타나기를 기다립니다. 결론은 미미했어요.
@산과바다-o5j2 жыл бұрын
멋진 강의 끝까지 듣고 갑니다.감사 합니다. 모셔가서 공유 합니다.
@빛과소금-w5s2 жыл бұрын
다른나라도 마찬가지
@jinyoungkim89163 ай бұрын
참 대단한 관찰과 결론.
@강래원-h6o4 ай бұрын
팩트확인 꼭필요
@sooihgyi3625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도 있음 보일러공이 여탕 들어가는거.... 아무도 신경 안씀....
@간첩법확대2 жыл бұрын
군대 사고 이야기에서 세월호사고와 지금 이태원사고를 대하는 우리를 볼수 있네요. 이런 정서를 정치적으로 교묘히 이용하는 것들이 반대한민국세력들이란거 이제는 알게 되었죠. 이제 선동 안 당해!!! 하지만 삼가고인의명복은빌었습니다
@공공-e2w2 жыл бұрын
깊이가 있는 내용이네요
@Ds-gu5dn2 жыл бұрын
주체성 하나 제대 하루두고 말년 병장이 내가 제대하면 군대가 돌아가겠나 하는 걱정~
@영찬김-i9w5 ай бұрын
70년대 군대서 몬키,망치,드라이버만을 가지고 자동차 보링을 했어요. 안돼면 다시 그러다 나와. 봐봐 내가 해 볼게ㅡ
@빛나리-u9u4 ай бұрын
최고 홍익인간 교육이 필요한때
@갈채2 жыл бұрын
나도 일본 목욕탕 갔는데 여자분이 청소하려 들어와서 깜짝 놀랐는데... 어찌 보면 일본 시각이 더 유연한 듯 ... 어느 나라가 목욕탕을 남,여 혼탕으로 사용하듯... 교육의 필요성과 방향성이 문제이기도 하겠네요. 세계적으로 경제발전 요인을 분석해 교육이 그 방향으로 가야... 외우고 시험 위주의 교육 말고...
@둥둥둥-l9s5 ай бұрын
교수님 강의 너무 재밋게 봣는데 한가지 부탁드리고 싶은게 다르다와 틀리다 구분해주셨으면 합니다
@whisperinghope71412 жыл бұрын
이것이 한국과 미국의 차이점 이였다 미국: 하라는대로해서 세계 1등 한국: 하라는대로 안해서 세계 1등됀 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