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다 약을 하는 게 멋이 된 걸까

  Рет қаралды 456,510

우키팝

우키팝

Жыл бұрын

Big의 시대에서 Lil의 시대로
지금은 어디로?
--------
올해도 많은 래퍼가 세상을 떠났습니다
래퍼들이 이른 나이에 죽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죠
약 하거나 아님 총 맞거나
오늘은 래퍼들의 이른 죽음
그 첫 번째 편으로 진통제 남용에 대해 얘기해보려 합니다
p.s 두 번째 편은.. 만들 수도 안 만들 수도 있습니다
사진: gettyimageskorea
음악: Epidemic Sound, KZbin Audio Library
#LilPeep #JuiceWRLD #MacMiller

Пікірлер: 612
@wookipop
@wookipop Жыл бұрын
마약성 진통제 사운드가 점점 더 Rage하게, 사이키델릭하게 발전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현재 외힙 최고 트렌드세터 Playboi Carti의 음악이 그러 한데요 그가 세운 레이블 이름은 아예 Opium(아편)인데 여기 소속 래퍼들 음악 쫙 들어보시는 것도 추천 드립니다 (Ken Car$on, Destroy Lonely) 요즘 래퍼들이 무기력, 분노, 허무를 음악으로 어떻게 구현해 내는지 직접 느껴보시길 바래요 국힙에서는 그루비룸 휘민 a.k.a Lil Moshpit이 낸 [AAA] 앨범 추천드립니다 + 이런 디보를 뺐네요 (with Digital Dav) 이게 K-Rage다 kzbin.info/www/bejne/mZmnnomXrMegmKc
@user-ep1cl3zp8p
@user-ep1cl3zp8p Жыл бұрын
얘기 나온김에 하이퍼팝이나 레이지 음악도 다뤄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한국에서 pc뮤직같은 레이블이 언급되는걸 못 본 것 같아서..
@user-ql5vq4fz2h
@user-ql5vq4fz2h Жыл бұрын
국힙 Rage 디보 xyber attack도 추천드립니다 이번에 CHXPSTIX 뮤비도 나왔으니 많이 들어주세요😈
@user-ql5vq4fz2h
@user-ql5vq4fz2h Жыл бұрын
@@user-ep1cl3zp8p Tayngoat&Babycandy-HYPER GOTH LIFE 추천드립니다
@wookipop
@wookipop Жыл бұрын
@@user-ep1cl3zp8p 무라마사도 나왔으니 하이퍼팝 무조건 가야죠.. 타이밍을 좀 놓치긴 했지만 더 늦기전엔..!
@kith3885
@kith3885 Жыл бұрын
정키한 레이지 하면 yeat도 추천합니다!
@jambava
@jambava Жыл бұрын
힙합의 본질은 마약, 갱스터 그 자체가 아니라 갱스터와 마약들이 판치는 동네에서 살 수 밖에 없었던, 갱스터스러운 생활을 할 수 밖에 없었던, 마약을 팔면서 살 수 밖에 없었던 나의 삶이 본질인데 어느 순간 부터 주객이 전도 된 것 같습니다... 거기다가 사회적으로 금기시 되는 행동을 했을 때 남들에게 뽐내면서 명예로운 훈장을 얻는 다는 어린애스러운 과시와 착각도 크게 젊은 층들 사이에서 마약이 크게 유행하는 한 이유라고 생각합니다 학창시절 흡연, 음주를 하고 자랑스럽게 이야기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느낍니다 모든 사회적인 문제가 그렇지만 딱 어떤 것 하나가 원인이 아니라 다양하고 복합적인 원인들이 서로 얽혀있어 폭발한 것이 작금의 상황이라고 생각이 되네요
@mc_seimo
@mc_seimo Жыл бұрын
통찰력있는의견머릿속에담아갑니다🤨👍🏽✨
@PigeonsBox
@PigeonsBox Жыл бұрын
저도 동감합니다. 그리고 그 과시의 시작이 SNS인 것 같아요. SNS와 떨어질 수 없으면서도 그걸 보면서 또 박탈감을 느끼고. 그럴수록 본인도 허세, 과시하는 SNS를 업로드 하고... 근데 현실에선 그게 사실이 아니란 걸 아니 약에서 찾고..
@bongsamkim
@bongsamkim Жыл бұрын
요즘의 어르신들에 대입해보면, “라떼는 말이야, 전쟁통에 먹고 살게 없어서 아무거나 막 줏어먹고 너무 힘들어서 술과 담배는 기본이었어~”라고 말하는게 전기 래퍼였다면, “담배 한대에 내쉬어지는 한숨, 그리고 내쉬어지는 한탄”이 후기 래퍼인것이려나요?
@user-od4dk3ki4b
@user-od4dk3ki4b Жыл бұрын
여러 매체본 바로. 미국이 본인만 성실하면 고졸이어도 중산층정도로 얼마든지 살수있는 돈이넘져나든데. 흑인들 솔직히 중2병 심한거같음. 꼭 부자는 아니어도 성실히 고졸만해서 회사 착실히다니고 하면 얼마든지 기반잡고 가정꾸리고 사는데~ 너무 중2 자기연민/사회탓이 오바인거같음. 꼴사나움. 꼰대들 훈계싫어하는데, 솔직히 한국에 군대가 성인의 중2 자기연민 끊는 효과는 분명히있음
@user-en5mw9nn9m
@user-en5mw9nn9m Жыл бұрын
옛날 래퍼들은 '내가 그 구렁텅이에서 성공해 여기까지 올라왔다' 는 자부심이 골자였고, 지금은 현실이 빡세니 마약을 찾는 회피 성향을 정당화하는 느낌. 어느쪽이든 마약은 구림. 그걸 자랑하는건 똥폼이고. 근본적으로 마약을 쉽게 접할 수 있는 환경과 사람들을 힘들게 만드는 사회를 개선하는 방법밖엔 없다만...
@kidoofficial7438
@kidoofficial7438 Жыл бұрын
오래전부터 힙합이라고하면 빈민가, 돈, 여자, 마약 이런 키워드가 항상 따라붙었고 너도 나도 그걸 이야기하는게 지겨웠었는데 마약이 왜 유독 힙합하는 사람들이 많이 팔고 하는지에 대해서 더 깊이 이해하게 해주신 영상 감사드립니다. 항상 느끼지만 영상 하나에 자료조사 엄청나게 하실 것 같네요
@user-xf3mo8lx9b
@user-xf3mo8lx9b Жыл бұрын
저거 진짜 와닿는 말이네요 친구같은 부모는 좋은 부모가 어니거 꼰대같더라도 옳고 그름을 알려줄 수 잇는 부모가 좋은 부모다
@rim3373
@rim3373 Жыл бұрын
진짜 마약 금지된, 청정 나라에서 사는 게 행운이라고 생각했는데, 최근에는 마약이 멋이 되고 슬금슬금 많이 들어와서 걱정이에요. 이게 멋이 아닐텐데. 부정적인 감정을 다른 방법으로 잘 헤쳐나가는 사회가 되길
@user-rg1oc4kp4e
@user-rg1oc4kp4e Жыл бұрын
이젠 청정국이 아니에요
@user-qb3sh8ix3q
@user-qb3sh8ix3q Жыл бұрын
원래 청정국 아니였고 암암리에 다 돌았습니다
@Liberation_Activist
@Liberation_Activist 5 ай бұрын
그러니까 대마초 합법화 해서 합법시장으로 돌려야죠
@user-jf1lu2kb1m
@user-jf1lu2kb1m 4 ай бұрын
문크의 업적이죠 ㅋㅋ
@islanduntomyself
@islanduntomyself 3 ай бұрын
@@Liberation_Activist그냥 합법인 나라로 가주면 안될까?
@immapizzaboi1380
@immapizzaboi1380 Жыл бұрын
시대에 따라 '멋'이라는 개념의 결이 달라져서 그러는것 같아요 지금의 세대는 '가난하고 우울하지만, 그 시련을 이겨내고 난 성공했다.' 라는 자수성가를 동경하지만서도 '이겨내고 성공했다'의 초점이 아닌 '가난하고 우울함' 마저도 멋있어 보이기에 유행처럼 따라하는것 같은 생각도 있네요. 마치 그것이 힙해보이고 그런 수순을 밟아야지만 본인들의 삶이 더 극적인 빛을 내는것이라는 것처럼.. 그렇게 잘못된 시작에서 비롯되어, 허세와 열망에 빠지다보니 점점 더 자극적으로 나아가는.. 최초의 '이겨내고 성공했다'라는 목표점은 어느새 흐려지고 방향성 또한 잃어버리니 현재의 약에 의존하는 비참함과 우울함만 남아있을뿐이겠죠 스스로를 자각하는 순간 본인의 목표와 너무 상반된 현실에 더 고통이 배가 되는것이구요 무한의 굴레에 스스로 빠지게 되는 슬픈 현실입니다 근본적으로 세상이 살기 힘들기에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이겠죠 래퍼들은 옛날에도, 현재에도 현 시대의 시대상을 음악적으로 발언을 하는 일종의 기자 역할이기에, 이들의 목소리를 막는것은 해결방법이 아니라는 의견에 대해서는 저도 동감합니다! 오늘도 덕분에 많은 생각을 하게 되는 좋은 영상이였습니다 고맙습니다 :)
@CHOOSANG
@CHOOSANG Жыл бұрын
우키팝영상의 뒷편에는 항상 정성어린 열정이 느껴져서 정말 좋다
@badthang
@badthang Жыл бұрын
힙합을 한국힙합으로 외국의 힙합까지 13년도부터 빠져들었는데요 많은 음악을 들어봤지만 결국 개인적인 생각은 마약은 팔지도 하지도 말아야 할것이며 저는 한국의 중산층인 만큼 그들(해외)의 삶에 왈가발부 할 수는 없지만 저와 비슷한 또는 낫거나 조금 덜한 삶의 사람들(사실 모두)은 마약을 가볍게 다뤄선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또 걱정되는게 요즈음의 가사를 보면 durg plug 행위가 자랑인 듯히 적히곤 하는데 법치국가이면서 마약에 대해 강경히 불법임을 알리는 우리나라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생각을 하면서 랍온어비트 노래를 듣습니다. 사람이 참 복잡해요
@wookipop
@wookipop Жыл бұрын
수상해~
@user-ql5vq4fz2h
@user-ql5vq4fz2h Жыл бұрын
랍온어비트는 못참아..🥲
@badthang
@badthang Жыл бұрын
갱 처럼 생겼지만 반전없이 갱 맞어~
@user-nx5do5hg5t
@user-nx5do5hg5t Жыл бұрын
랍온어비트는 킹정이지 ㅋㅋㅋㅋㅋ
@user-ty4oe8yz5j
@user-ty4oe8yz5j Жыл бұрын
이야,,, 도대체 어캐 팝, 힙합 모든 장르를 다 폭넓게 이렇게 깊게 잘 이해하는지 정말 리스펙합니다 전 지금 힙합음악을 하고 있는데, 저보다 이 시장에 대한 이해도가 높으신거 같아요 ㅋㅎㅋㅎ 국힙 외힙도 진짜 좋은 언더 분들 노래도 많이 아시는거 같고,, 존경합니다 정말루
@user-nb5dr8tm9p
@user-nb5dr8tm9p Жыл бұрын
이안아 빨리나와라
@gomcow
@gomcow Жыл бұрын
미국인으로서 삶의 고통일 뿐이고 그걸 읊었을 뿐인데 그걸 멋이라고 생각해서 너도 나도 따라하는 세태가 됐네요 장르의 고향에서 트렌드가 빠르게 수입되는 힙합 장르 뮤지션들이 빠르게 영향을 받고요 요즘 뉴스에서 자주 들리는 마약사건들도 그렇고 마약이 멋이 되는 이런 풍조 끝났으면 좋겠습니다. 고통, 우울함을 노래하고 공감하는것에 그쳐야지 철지난 20세기 정신론도 아니고 고통은 고통이고 우울함은 우울함일뿐 행동을 따라할만큼 긍정적인게 아닌데 말이죠.
@user-kg6yq7lv7u
@user-kg6yq7lv7u Жыл бұрын
퀄리티 높은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채널이 더 흥해서 우리나라 청년들이 정신 똑바로 차릴 수 있도록 기도합니다. 앞으로도 열심히 영상 만들어주세요 ㅎㅎ
@vial4483
@vial4483 Жыл бұрын
훌륭한 퀄리티의 영상이네요 이런 내용이 많이 퍼져야 할텐데...
@_ian
@_ian Жыл бұрын
저도 퓨쳐의 음악을 듣고 약물 이름을 어떻게 이렇게 멋진 음악으로 만들었을까 라는 생각이 먼저 들었는데 결국 이 매력적인 가사가 여러 생명을 앗아가게 만들었네요 저는 차라리 맥클모어의 음악처럼 마약이 만들어낸 끔직한 참상을 담담하게 적어내는게 이런 결말을 초래하는 걸 예방한다고 생각해요 drug dealer, otherside 와 같이 말이죠 이런 음악들은 퓨처의 음악을 들었을 때와는 반대로 가사를 처음 보고 섬뜩하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었고 이러한 가사가 청자의 마음가짐을 바로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이미 지금은 영상에서 언급하셨듯 이모힙합이라는 하나의 문화가 되어 누가 힘들고 글루미한 삶인지 등수를 매기는 것과 같이 되어버렸고 이게 맞는가 싶기도 한데 그래도 인정은 해야겠죠 이번 영상도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드네요 정말 유익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ny5jw3xq3c
@user-ny5jw3xq3c Жыл бұрын
조금늦은감은 있지만 지금 시국에 꼭 필요한 얘기인거같습니다 😂 좋은영상이네요!!
@hasitak
@hasitak Жыл бұрын
깔끔한 마무리…!!! 박수를 보냅니다👏👏👏👏👏
@DamnPeggyy
@DamnPeggyy Жыл бұрын
사실 우리 사회가 어두워지면서 emo랩과 그 특유의 분위기에 공감할수 있는 분들이 많아진것같아요. 당장 한국에도 우원재,빈첸 등등이 유행했던것만 보면 참 사람들이 많이 힘들어하는게 잘 보여지네요. 쥬스월드, just lose it 비트에 프리스타일 하는거 보고 소름돋았던 래펀데 안타깝게 가셨네요.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ssx2508
@ssx2508 Жыл бұрын
한국사람 들어라
@woon_in
@woon_in Жыл бұрын
그냥 찌질이들이 많아진 게 아닐까
@morningglory1844
@morningglory1844 Жыл бұрын
​@@woon_in 말 못알아듣는 멍청한 사람들은 많아진듯ㅋㅋ
@ShinI0o
@ShinI0o 6 ай бұрын
우원재 빈첸은 둘 다 기믹덩어리라는 점에서 음악에 집중이 안댐.. 음악에 자기 이야기를 담아야지 기믹만 이빠이 담고있음..
@user-pq7eb8xw3l
@user-pq7eb8xw3l 5 ай бұрын
빈첸은 팬들이나 당장 빈첸 노래 댓글만 봐도 오글거리는 기믹래퍼임,, ㅈㄴ빈첸포함 우울증호소인들이 판쳐
@dogechae5415
@dogechae5415 Жыл бұрын
그저 사회가 약에 찌들어서 이에 공감하는 사람들이 많으니깐 그걸 또 상품화 시켜서... 사회가 너무 암울하니 이를 노래하는 사람들도 우울하게 지내는 거 같아요... 다들 건강하게 살아야 건강한 노래가 나올텐데 또 그렇다고 약이 없다면 그에 따른 모습을 그려내질 못하니 그저 안타깝네요... 아티스트 더 나아가 사회가 건강하게 사는 시대가 오면 좋겠습니다
@wowow5238
@wowow5238 Жыл бұрын
저거 다 swat 해서 다 쓸어버리면됨ㅋㅋㅋ 근데 미국이 약간 방임주의고 흑인들 포기한 감이 있어서 교육을 시켜주려고 해도 본인들이 거부하고 그런실정이랔ㅋ 그냥 편한길을 택한거고 그걸 인종차별로 합리화하는것뿐임
@arryhh6731
@arryhh6731 Жыл бұрын
@@wowow5238 swat ㅇㅈㄹㅋㅋ 미국사회가 잼민이 로블록슨줄아노
@lisagia2244
@lisagia2244 Жыл бұрын
@@arryhh6731 미국이 자유방임주의적인 면도 있고 흑인 방임 하는 것도 맞고 흑인 놈들이 가정환경하고 살아온 환경 상 교육이고 뭐고 자포자기 하는 것도 맞고 그런 총체적인 문제러 생기는 편견 보고 인종차별이라고 입막음 하는 것도 맞고 마약 빠는 놈들은 전부 죽여야하는 것도 맞는데?
@user-sw9zu9nk3v
@user-sw9zu9nk3v Жыл бұрын
우키팝님 전 걍 평범한 고2인데요 요즘에 비욘세가 너무 좋아져서 유튜브 찾아보다가 우키팝님이 비욘세 영상 다뤄주신거 보고 영상 퀄리티도 좋고 목소리도 좋으셔서 팔로우했어요! 진짜 마약이 요즘엔 더이상 해외문제가 아닌만큼 우리나라도 심각하단걸 마지막에 언급해주셔서 좋았어요 앞으로도 조은 영상 마니 만들어주세요ㅎㅎ
@ArtistAVICII
@ArtistAVICII Жыл бұрын
마약 총 여자 돈 이런 주제가 래퍼들 노래에서 자주 쓰이는 주제인건 알았다만, 특히나 마약에 관해서 이렇게 딥한 이야기는 처음 알았네요. 흥미롭게 잘 보고갑니다 웈팝님.
@user-nf2rf2ge3m
@user-nf2rf2ge3m Жыл бұрын
진짜 좋은 내용이었어요. 가치관을 뒷받침하는 사회 구조와 역사적 맥락을 짚어줘서 이해하고 공감을 많이 했어요.
@Gobbimang
@Gobbimang Жыл бұрын
와 어쩌다 어른 영상...... 너무 와닿는다.
@user-gd8tm4tg3u
@user-gd8tm4tg3u Жыл бұрын
대단하다 우기팝 이런 퀄리티의 영상들을 올리다니.. 근데 영상 좀 더 많이 올렸으면
@user-yq9os2zb1t
@user-yq9os2zb1t Жыл бұрын
알차고 깔끔한 설명이네요. 잘 봤습니다
@Chicken_Fried_Chicken
@Chicken_Fried_Chicken Жыл бұрын
마약이 아니면 안되는 삶이 일부에서 끝난게 아닌 이제 세대의 공통점이란건 무언가 시스템에 문제가 있단 것이겠죠... 보고나니 우울하지말자라는 생각이 드네요 신나는 팝이라도 듣고 자야겠어요
@user-zb1br6hh3b
@user-zb1br6hh3b Жыл бұрын
동감 ㅋ
@lupuswere7903
@lupuswere7903 Жыл бұрын
옛날 우리나라 가요계도 마약 사건 많았다고 들었음. 채워지지 않는 무언가가 그렇게 만드는 거겠죠.
@user-rd9mi1we7q
@user-rd9mi1we7q Жыл бұрын
약물 문제를 미화하는 것으로 변질되어버린 힙합 문화 자체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그 개선은 어떤 계기로, 혹은 유명 아티스트들이 이끌어주어야겠죠
@user-oy3sl1fn5n
@user-oy3sl1fn5n Жыл бұрын
마지막 장면에서 구독박고 갑니다. 힙잘알이였네ㅋㅋㅋㅋㅋㅋ
@Doodd980
@Doodd980 Жыл бұрын
멋진 분석입니다 인터뷰까지 따오는게 아주 인상적이네요
@mc_seimo
@mc_seimo Жыл бұрын
전반적인 상황을 이해할 수 있는 심도 깊은 해설 감사합니다 🙏🏽✨
@henryyeo4980
@henryyeo4980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이런 취지에 디지털 컨텐츠 너무 좋아요 ❤
@valor2300
@valor2300 Жыл бұрын
요즘보면 국힙은 내려치기하고 말이안된다며 엄마밥 뜨시게 먹고 조선에서 무슨 힙합이니 하는 부류가 있는데 정말 힙합 아니 음악에 대한 견문이 얕고 무식한 부류라고생각함 그들의 시선에서 봣을때, 외힙이 더 큰 문제라고 오히려 말해야한다고 생각함 이 영상을 보고, 외국 특히 미국도 단순히 갱스터 스럽고 리얼힙합을 추구하던 시대는 많이 지났고 우울함 이란 소재가 메인이 되었으며 약물복용에 대한 문제가 심각하단걸 위에말한 아무것도 모르고 헛소리하는 부류가 좀 알앗으면 좋겟음
@mindnever7572
@mindnever7572 Жыл бұрын
요즘 힙합시장에 걸맞는 주제네요 우키팝 형님과는 정말 진지한 여러 음악 대화를 나눠보고 싶습니다. 이토록 쿨하고 멋진 형, 찾기 쉽지 않거든요😊😊
@user-cw3tg4wr5q
@user-cw3tg4wr5q Жыл бұрын
와 영상 퀄리티 미쳤네 왜 이런 채널을몰랐지
@user-qe9vs5kn6b
@user-qe9vs5kn6b Жыл бұрын
업로드 감사합니다!! 새벽에 업로드 고생하셨어요!🎉🎉
@soonbeomKwon
@soonbeomKwon Жыл бұрын
저는 학생때 밴드음악의 활기참이 좋아서 음악을 좋아하기 시작했는데 저도 어쩔수없는 대중인지 음악의 분위기가 우울하게 바뀔수록 저도 우울해지는 느낌이 들어서 어느순간 저도 우울해지는 경우가 생기더라고요. 제가 언제부터 이렇게 수동적인 사람이 되었나 다시생각해보게 되는것 같아요. 단순 음악이지만 오랜시간 들어왔고 이제라도 좀더 주체적인 자세를 가져야겠다는 생각이드네요...
@agsheuehd
@agsheuehd Жыл бұрын
스트리밍 사이트에서 원하는 음악만 듣는게 제일 베스트 같습니다.
@ahpuro
@ahpuro Жыл бұрын
50전, DMX, (YOUNG) JEEZY 등 덩산바지에 큰 체인 걸고 너도나도 마초력 과시 대회할때 전 힙합을 접하고 그때 학교에 래퍼따라해 일진놀이 하던 애들에 실증나고 애니보는걸 숨겨야 했던 제 미국 친구들이 지금 잘나가는 래퍼들이랑 같이 일하는거 보고 휴철이형 전에 3 6 마피아, UGK, 릴 웨인 sizzurp에 대해 랩하는게 멋있어 보이고 칸예의 808 앨범이 정말 큰 감명이였다 라고 말하는 래퍼들 보면 인터넷에서 놀던 애들이 인터넷을 제일 잘 활용해 떳다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느낍니다. 그리고 나 존내쎄 하던 래퍼들이 쌈 못하거나 갱력 위조 하는거 들통나면 바로 등돌리던 팬덤과 달리 2010년대 래퍼들은 나도 나루토, 유희왕 봤어 그리고 우울한적 있었어 라고 솔직하게 말하니 공감대로 인터넷에 큰 지지층이 형성되는것도 보고...마지막으로 좋든싫은 칸예 그리고 후에 락키 처럼 예술성을 겸비해야 걸어다니는 대기업이 된다 를 바라보는 시대가 도래한거 보면 힙합이 참 대단한 문화적 진화를 하고 있는게 느껴지는 동시에 고질적인 문제들로 인해 일찍 생을 마감한 수많은 아티스트들을 보면 안타깝기만 합니다
@suhyunbi7930
@suhyunbi7930 Жыл бұрын
누가 나루토 유희왕봣다고햇나요? 진짜궁금해서요ㅋㅋ
@ahpuro
@ahpuro Жыл бұрын
@@suhyunbi7930 릴우지, 스키마스크, 덴젤커리 찾아보시면 꽤 있습니다. 스키마스크는 천년퍼즐 체인 매고 다녀서 한때 관심좀 받았죠
@suhyunbi7930
@suhyunbi7930 Жыл бұрын
@@ahpuro ㅋㅋ감사합니다ㅋㅋㅋ
@TICTAP
@TICTAP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봤습니다 :)
@mezzryhere
@mezzryhere Жыл бұрын
양질의 영상 감사합니다
@yh8329
@yh8329 Жыл бұрын
꼰대여도? 상관없다. 어른은 어른 다워야 한다. 좋은 말이네요.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위해 약을 하다니 매우 무지하여.. 안타까운 결과네요.. 불만을 무기력과 분노의 방식으로 해소해 버리는 군요. + 여러분 헬스에 미친자가 됩시다. 괴로움을 진통하는데에 효과가 있고 몸도 좋아집니다. 책도 읽어보세요, 어떤 내용이든 상관 없습니다. 내가 재밌어하는 거면 됩니다. 다른 사람들이 뭘 좋아하는 지가 궁금하다면 BEST상품을 보시고요, 사람들이 그걸 왜 좋아하는지를 고민해 보세요. 일기도 써보세요. 누구 보여 줄 것이 아니니, 잘 쓸 필요 없어요. 본인의 불안을 텍스트화 해서 구체화 시켜서 정리해주면 큰 도움이 됩니다. 규칙적으로 사세요. 아침에 일어나서 ~ 저녁까지. 나만의 건강한 루틴을 만들어서 살면 더 재밌을겁니다.
@user-zz5zm7ul6u
@user-zz5zm7ul6u Жыл бұрын
이번영상 진짜 야무지다
@user-zf1nk8fw2s
@user-zf1nk8fw2s Жыл бұрын
마지막 주제의식까지 너무 좋은 영상이네요 단순히 영향력 있는 힙합가수만 탓하기보다 더 큰 사회문제로 봐야할 것 같습니다
@stan7772
@stan7772 Жыл бұрын
영향력있는 힙합가수를 탓해서는 안되져 ㄹㅇ,, 걔네가 한건 음악이고 예술일뿐이고 자기얘기 한거 뿐이니까 래퍼들 입막아야된다는 개소리하는사람은 없길바래요ㅜㅜ
@wowow5238
@wowow5238 Жыл бұрын
탓을 하긴해야지;; 무슨ㅋㅋㅋㅋ 안하는 사람도 있는데ㅋㅋㅋ 미친소리하넼ㅋㅋㅋㅋ 아닠ㅋㅋ 대놓고 범죄 행위 부추기는뎈ㅋㅋㅋ 사회문제 생각안하고 자기 돈벌이 앨범만 생각해서 하는건데 미국이 이런점이 너무 약함 자유주의랑 방임이랑 구별을 못함
@stan7772
@stan7772 Жыл бұрын
@@Igkrkwk8fkq1fk9dj 난독아 글 다시읽어라 내가 언제 마약하는게 상관없다했냐 그런가사쓰고 음악만드는걸 탓하면 안된다는거지 지혼자 헛소리하고있노ㅋ
@stan7772
@stan7772 Жыл бұрын
@@wowow5238 무슨 탓을해ㅋ 방임이네 뭐네ㅋㅋ 그런가사보고 영향받아서 유해한행동을한다면 그건 100% 행동한사람 잘못이지ㅋ 만약 그 책임을 예술가한테 물으려는것은 검열을 하려는거고 그게 역사적으로 좋게 작용한적이 있었나?ㄱ
@stan7772
@stan7772 Жыл бұрын
@@wowow5238 대표적인 예시가 있음 다크나이트보고 자신을 조커에 투영해서 4년후 다크나이트 라이즈 상영관에서 총기난사한 사건. 이게 범죄자를 멋있게 묘사한 놀란감독한테 책임이 있는거냐? 에미넴이 가사에서 힙합 대변한거처럼 음악이 우리한테 총을 장전해 방아쇠를 당기라고 해서 우리가 총을쏘면 아티스트가 고소당해야겠네ㅋㅋ
@user-yr8rh7kl3e
@user-yr8rh7kl3e Жыл бұрын
영상이 담은 내용의 퀄리티가 장난이 아니네요. 음악, 사회 여러 방면으로 깊은 생각을 지닌 것 같습니다. 잘 보고 갑니다.
@user-or6lb4hw5x
@user-or6lb4hw5x Жыл бұрын
매번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영상을 통해 입문하게 된 아티스트고 있고 좋아하는 아티스트들의 걸어왔던 길까지 알 수 있어 음악을 더욱 사랑하게 되는 것 같아요 항상 감사하고 응원합니다!! p.s 괜찮다면 마할리아 버크마 영상 부탁드립니다!
@user-wn3oc6te2c
@user-wn3oc6te2c Жыл бұрын
한국사람은 음악을 오래경험하고 들을수록 점점 더 좋아지는 아티스트죠
@lsw1104
@lsw1104 Жыл бұрын
이 시간에 영상이라니..감사합니다
@SHUN_HAYAO
@SHUN_HAYAO 6 ай бұрын
언제나 느끼지만 자료조사, 통찰, 여러모로 대단하십니다.
@TheAstronautByJin
@TheAstronautByJin Жыл бұрын
모르던걸 또 재미있게 배웠어요.
@user-rb9th5ty4f
@user-rb9th5ty4f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 sns는 인간의 사회성을 자극함으로서 성공한 컨텐츠지만 동시에 열등감을 극대화 시키는 요소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의 자율성이 보장된 사회에서 마약의 촉진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봅니다.(동시에 연결망 역할도 수행)
@user-to1lo3mo4s
@user-to1lo3mo4s Жыл бұрын
와 영상!
@chickenhamburger8638
@chickenhamburger8638 Жыл бұрын
영상 유익하네요 잘만드심
@user-vg2sp3hh6w
@user-vg2sp3hh6w Жыл бұрын
'총, 마약이 있는게 진정한 힙합이지' 라는 생각때문에 국내보단 미국 음악을 많이 들었었는데, 그것들이 불러오는 문제는 간과했었던것 같습니다. 한국에서도 마약얘기가 끊이지 않는 만큼 범지구적 문제라는게 와닿는데 전세계 모든 사람들이 마약 때문에 피해보지 않는 시대가 왔으면 좋겠네요.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yddasdd7374
@yddasdd7374 Жыл бұрын
근데 솔직히 한국 랩은 미국 랩에 비교하면 존나 병신같긴 함ㅋㅋㅋ 교육도 집안도 다 살만해서 음악에 전념해놓고 갱스터인척 하는 거 존나 병신같음
@fireeggkimpaul4758
@fireeggkimpaul4758 Жыл бұрын
격하게 공감합니다!! 한편으론 공산국가인 중국이나 무슬림 국가인 인도네시아가 통제가 우리보다 더한 것도 있지만 마약사범한테는 사형을 구하는 이유가 다 있는 것 같습니다~!
@revive5314
@revive5314 Жыл бұрын
총,마약이 있어야 진정한 음악이라고 생각한다는거 자체가 더 끔직하고 충격적이네.
@yddasdd7374
@yddasdd7374 Жыл бұрын
@@revive5314 노래에 나는 마약했어 누굴 쏜다 총맞았다 이러는데ㅋㅋ 그런 거 없어도 음악은 맞는데, 유복하게 산 주제에 그딴 허세 부리는 게 역겨운거임
@jayj1967
@jayj1967 Жыл бұрын
'총, 마약이 있는게 진정한 힙합이지' ... 세상엔 별의별 사람이 다있네요. 그게 진짜 멋있었나요?;;
@dijeii4774
@dijeii4774 Жыл бұрын
좋다 오늘꺼
@user-vg7gf2ge6h
@user-vg7gf2ge6h 4 ай бұрын
퀄리티 좆되네요…. 존경스러워요 저도 힙합에 관심은 있지만 이렇게 깊게 파해쳐보진 않는데 대단하시네요 뭘 해도 성공할 사람인것같아요!!
@user-sq5mw1qp8w
@user-sq5mw1qp8w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jisookim1161
@jisookim1161 Жыл бұрын
진통제는 정말 자기자신이 알기전에 중독될 정도로 중독성이 높습니다. 랩하는 사람의 입을 막는것보다 그것을 남용하여 처방해주는 의사가 더 문제라고 생각해요(보통 사람은 정키보다 의사를 믿으니까) 담배나 대마초는 자의에 의해 행에지는데에 반해 진통제는 나도 모르는 사이에 타인에 의해서 중독되는 경우가 많아요. 만약 구입하기 힘들었다면 지금까지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중독 되는 경우는 없었겠죠. 중독된 이후가 더 문제인게 주변의 도움을 못받는(특히 가난한 경우) 에는 되돌아오는게 더욱 힘들어집니다. 모든 곳이 마약청정국이 될 수는 없겠지만, 도움이 필요한 곳에 비난보다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도 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한국은 ‘마약’ 이라는 기사가 달리는 순간 모든 사람들이 물어뜯으니깐요.
@egotskill
@egotskill Жыл бұрын
이 형님은 댄스음악도 아시는데 국힙까지 잘 알고 계시네 대단하세요..
@differentme228
@differentme228 Жыл бұрын
별 생각 없이 영상 보다가 마지막 함께한다는 말이 참 좋네요. 가슴에 와 닿았습니다. 살다 보니 조언을 해주고 기댈 수 있는 어른이 있다는 게 참 복이더군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저희도 우키팝님과함께합니다. 감사합니다.
@user-bu6cq3wh9h
@user-bu6cq3wh9h Жыл бұрын
우울이라는 감정을 병으로 앓고 매일 같이 무수한 환자들이 제 정신을 어떻게든 지키려 싸울 때 어떤 레퍼들은 멋으로 우울함이란 감정을 소비하고 판매한다. 주변에 우울증과 싸우는 사람들을 많이 봐온 난 이런 음악이 끔찍하다고 느낌
@IIIlllllIllIll
@IIIlllllIllIll Жыл бұрын
우울호소인들 진짜 그만좀 듣고 싶다
@user-qz6pd9iu7t
@user-qz6pd9iu7t Жыл бұрын
와....ㅈㄴ 유익하다
@oom83
@oom83 Жыл бұрын
우린 이미 예전 올드스쿨들의 갱 미화 범죄 미화가 흑인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봤습니다. 근본적인 문제가 다른것도 있다는건 맞지만 그중 큰 부분이 힙합 자체에 있다는건 부정할수없죠
@hanbyol60
@hanbyol60 Жыл бұрын
우키팝의 영상에는 늘 여운이 남는다
@user-ho8jf6bs7y
@user-ho8jf6bs7y Жыл бұрын
이젠 더 이상 저런짓을 하지 않고도 살수있는 삶이 됬으면 좋겠네요
@suzuki_0644
@suzuki_0644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 이모랩을 정말 좋아하는 사람으로써 이모래퍼들이 인기를 끌게한 그들의 우울함이 스스로 자멸하게 되는 결과를 낳게된게 정말 안타깝습니다
@eunkyu
@eunkyu Жыл бұрын
사랑합니다
@user-jz3ce9pr3s
@user-jz3ce9pr3s Жыл бұрын
감명깊게 봤습니다. 혹시 치프키프부터 시작된 시카고 드릴에서 이어지는 uk,ny드릴 그리고 한국으로 넘어와서 권기백, GGM solja, 언에듀케이티드 키드의 음악들에 대해 다뤄주실수 있나요?
@user-dg9nn3yc5p
@user-dg9nn3yc5p Жыл бұрын
직각으로 올라가다가 75도 미끄럼마냥 쭉 내려가누
@qschoolboi8721
@qschoolboi8721 Жыл бұрын
@@user-dg9nn3yc5p 90도미끄럼같은데
@user-y37dFj82eS5
@user-y37dFj82eS5 Жыл бұрын
비단 약만이 마약이 아닙니다 우리를 공허하게 하는 모든 것들 원나잇, 포르노 등등 존엄과 자존감을 채워주지 않고 그 순간의 허무만을 채워주는 것들… 진짜 사랑하는 사람과의 관계를 맺는 것과 포르노를 보는건 엄청난 차이가 있죠 부디 문화가 건강한 멋을 보여주는 선구자가 되길 바랍니다
@user-of4ln9tb8l
@user-of4ln9tb8l Жыл бұрын
사회가 퍽퍽해서 우울한 사람도 있겠지만 주류가 될 다수는 아닐거라 생각한다 , 이러한 문화가 우울을 자랑스럽게 또는 중독적으로 만드는것 같다. 짝사랑 노래를 들으면 짝사랑이 더 그리워지듯, 마약노래/우울한 노래를 들으면 자연스럽게 뇌가 받아들이는 것 같다. 주변만 봐도, 우울한게 자랑거리가 되어가고 있는 느낌.
@yongpreme
@yongpreme Жыл бұрын
저번에 제 친구가 강남에서 야근을 하고 밤 10시쯤에 나와서 걷고 있는데 웬 여자,남자 둘이서 좀비 같이 서있는 걸 봤다고 하더라구요... 딱봐도 약을 한것 같은 느낌이라고 했는데 외힙, 국힙뿐만 아니라 최근 들어서는 일반인까지도 하고 있는 마약들이 오로지 궁금증이 아니라 위험성을 더 알려주는 문화가 되었으면 하네요..
@fireeggkimpaul4758
@fireeggkimpaul4758 Жыл бұрын
특히 클럽에서 유통이 많이 되고 있어서 앞으론 큰 문제가 될 것 같습니다~! 좀 극단족인 예이긴 하나 공산주의 국가나 무슬름 국가처럼 매우 엄격하게(경우에 따라서 마약거래 하다가 사람이 죽으면 사형에 처함) 법적으로 다스려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mikamiria6538
@mikamiria6538 Жыл бұрын
@@fireeggkimpaul4758 근데 그런나라 대표격인 북한과 아프가니스탄이 마약 천국이 되었음. 부르카 안쓰거나 음악 듣거나 오징어게임 보는것도 사형시킬 정도로 너무 엄격하다 보니 강력범죄도 안들키면 그만이라는 생각이 팽배한듯
@user-zt2kx3rb9c
@user-zt2kx3rb9c Жыл бұрын
마약하면서 랩 하던 랩퍼들은 다 죽었다는게 황당하네. 진짜 처참하다.
@user-tu2zc9em5s
@user-tu2zc9em5s Жыл бұрын
영상이 좋아요 채널 금방 뜰것같아요
@baeganomaut
@baeganomaut Жыл бұрын
비단 남의 나라 일이 아닐수도 있어서 슬픕니다 ㅠㅠ 마약신고도 112
@simhoon_
@simhoon_ Жыл бұрын
힙합씬에서 가장 유행하는 장르인 트랩의 어원자체가 마약소굴 traphouse라는 뜻에서 나왔다보니 마약이랑 떼놓을수가 없음 힙합의 근본 자체가 파티 음악이기도 하고 플러스 힙합의 트렌드도 가사보다는 사운드 중심으로 가다보니 약에 대한 가사도 더 가감없이 쓰는듯 함
@user-zb1br6hh3b
@user-zb1br6hh3b Жыл бұрын
👍 👍 👍
@user-kq9we5se2m
@user-kq9we5se2m Жыл бұрын
더 가감없이요?
@simhoon_
@simhoon_ Жыл бұрын
​@@user-kq9we5se2m 헉 ㅋㅋㅋㅋㅋ실수
@qwertykey105
@qwertykey105 Жыл бұрын
북미 부모들이 케이팝이 애들이 보기에 건전해서? 좋다고 했던게 우스갯소리인 줄 알았는데 영상보니 진짜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user-qq8pk7gf1c
@user-qq8pk7gf1c Жыл бұрын
형님 80 90년대 힙합 메시지가 정의롭고 따뜻한 노래들도 소개 좀 해주세요
@curiman_official
@curiman_official Жыл бұрын
가장 궁금한건 이 마약성 진통제 사운드가 어떤 계기로 인기가 사그라들고 그 다음에 유행할 사운드는 무엇일지 또 그때는 보다 더 밝은 세상일지가 궁금하다
@user-pg2ln3gx3t
@user-pg2ln3gx3t Жыл бұрын
모든건 자기결정이다 남탓할거 없다
@user-yv4nd1ym7j
@user-yv4nd1ym7j Жыл бұрын
10:12 여기 나오는 자낙스가 벤조디아제핀 종류인데 옛날에 우울.불안장애로 같은 종류 약(리보트릴) 먹어본 적 있습니다 물론 합법으로 의사 처방 받고요.. 다들 생각하시는것만큼 뭐 드라마틱한 효과는 없습니다 저는 저용량으로 복용하기도 해서 그런지 그냥 정서적으로 편안해지고 잠 잘오더라고요 ㅋㅋ 그래도 저 약이 정신적 의존이 있는건 맞아요 저도 엄청 적게 먹는 편이었는데 끊을 때 불면증 우울 일시적으로 심해졌었습니다.. 어쨌든 다들 아프신거아니면 마약에 손도 대지 마세요.. 저런거 환자들 먹으라고 만든 약입니다 일반인이 아니라요ㅠ
@user-vq1ei5yk7z
@user-vq1ei5yk7z Жыл бұрын
환자도 오늘내일 하는거 아님 먹으면 안됩니다.
@lil9ap
@lil9ap Жыл бұрын
힙합에 대한 이해도가 굉장히 높은...
@user-vv3ry4cs9t
@user-vv3ry4cs9t Жыл бұрын
래퍼들이 마약을 미화하는 랩을 하는걸 막는게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지만 더 어린세대에게 마약에 대한 환상을 가지게 하는 직접적인 접촉 수단인건 맞지요 그런 음악은 안하는게 낫다고 봅니다
@dghjk7870
@dghjk7870 Жыл бұрын
대 이모 시대에 유입한 사람 중 한명인데 시작과 끝이 분명해서 참 행복했음과 동시에 씁쓸하네요.
@gxngchic
@gxngchic 5 ай бұрын
한국사람 언급을 할 줄은 몰랐다 진짜 친구한테 힙합 입문시켜줄 때 추천하기 딱 좋은 채널 1위
@iphuck22
@iphuck22 Жыл бұрын
고통으로부터의 도피는 모두 어느정도 마약적이다. 삶에서 눈돌리게 하는 그것이 바로 마약이다. 니체는 언제나 옳다.
@user-lo2jd1km1s
@user-lo2jd1km1s Жыл бұрын
한국 청소년들에게 꼭 말해주고 싶은 말. 불량한 것은 멋있는게 아닙니다!
@user-zo5bw4iq8w
@user-zo5bw4iq8w Жыл бұрын
전 사회가 어둡다고 어두운 노래 듣기 싫습니다 1차 세계대전 2차 세계대전 그리고 냉전을 지켜본 루이 암스트롱은 그런 시대에서도 행복을 노래했잖아요
@jiyeonkim5387
@jiyeonkim5387 Жыл бұрын
재능있는 아티스트들이 오랫동안 고통받다가 젊은 나이에 고인이 된 것도 참 씁쓸하네요...ㅠㅠ 기성세대와 MZ 세대 사이에 있는 사람으로서 혼란스럽고 안타깝습니다...
@user-ev6mn9wi8w
@user-ev6mn9wi8w Жыл бұрын
캐릭터를 확고히 할려는 방향성이 이런..지금의 사태를 만든 게 아닐까요 성공 때문이죠
@user-hw6rt7ms6v
@user-hw6rt7ms6v Жыл бұрын
다 돌고 도는거임......... ㅠㅠ 언제나 세상은 이랬어 방식만 바뀌어서 망가지는
@user-zk5ol6cy1v
@user-zk5ol6cy1v Жыл бұрын
한국사람이 나오다니🔥
@hy1577
@hy1577 Жыл бұрын
과거에도 흔히 말하는 약쟁이 아티스트는 많았지만 이제와서 이모랩, 힙합아티스트의 노래 때문에 마약이 성행한다는건 납득하기 힘든 부분이 있음 결국 어떠한 장르가 세대에 걸쳐 유행한다는거는 그 내용을 공감하고 받아들일 수 있기에 그런거고 이건 지금 우리 사회가 확실히 병든 부분이 있어서임 좀 더 큰 부분에서 대책이 필요한 시점인듯 우리나라도 더 이상 마약 청정국 절대 아님
@jin99999
@jin99999 Жыл бұрын
제발 특색있고 멋진 한국 래퍼가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WhatTV99
@WhatTV99 9 ай бұрын
과연 그럴리가 ㅋㅋㅋㅋ
@unlucky7069
@unlucky7069 Жыл бұрын
릴핍 진짜 사랑했던 래퍼.. ㅠㅠㅠ
@fireeggkimpaul4758
@fireeggkimpaul4758 Жыл бұрын
이래서 범죄조직(범죄의 조직화)의 교과서가 될 만한 이태리 범죄조직도 마약거래를 초청기엔 굉장히 까려했었고 약을 팔아도 자기들이 사는 지역에선 아주 무자비할 정도로 단속(?)했던 이유가 있습니다~!
@imagine759
@imagine759 Жыл бұрын
우키팝님 혹시 808이나 타입비트 같을 비트들도 다뤄주실 수 있으실까요? 최근들어 힙합에 눈이 가기 시작해서^^ 만약 가능하다면 언제가 부탁드리겠습니다.
@TV-io3fi
@TV-io3fi 5 ай бұрын
처음 이영상이 올라올때만 해도 그냥 많은영상중 하나였는데 최근 대한민국 마약스캔들 그리고 마약사범들 치료기사 영상 찾아보니까 또 다르게 보이네요. 그냥 아무렇지 않게 이 영상을 소비했던 과거를 반성합니다. 사회적인 문제는 국가가 개입해서 막아야 생각했지만 지금은 그거또 중요하지만 개인 하나하나가 심각성을 알고 도와줘야 한다 생각해요. 생각보다 요즘 어린아이들은 약 이란걸 할수있지 이런걸 생각한애들이 인스타에서 봐서 충격이기도 했어요.
@1toTen
@1toTen Жыл бұрын
뭐랄까.. 남들대신 생명을 불태워 작품을 빗어내고 그걸 공감시켜주는 사람들이랄까..
@hyunha924
@hyunha924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 매우 퓨처를 좋아하는데 이런일이 있는줄 정말로 몰랐네요 많은 이들을 마약에 빠트릴줄을
@0n180
@0n180 Жыл бұрын
emo 힙합을 하던 Lil Bo Weep도 약물로 사망했죠ㅠㅠ 부디 마약 문제가 빨리 해결되기를.. 점점 더 따라하려는 10대들이 늘어날까 걱정이네요
@nfdiwowoxkshiqd
@nfdiwowoxkshiqd Жыл бұрын
적절한 타이밍 적절한 영상ㅋㅋㅋㅋ
@Formpanel
@Formpanel Жыл бұрын
청년들에게 무기력 우울 자기파괴적 키워드가 숏츠, 틱톡, 인스타를 보면,, 너무나 이질적인 것 같아서 혼란스러운데 가만히 보면 요즘 한국도 마약청정국 아니라고 하고,, 사회뉴스에 나오는 청년들의 대체적인 상황과.. 어쩌면 보여지는 정서랑 숨겨진 정서가 매우 다르겠다는 생각이드네요. 그래서 오늘 즐기며 산다 라는 주의로 가버리는 건지도요.. 많은 걸 생각하게 되는 영상이네요..
@user-lk8vz2mq7v
@user-lk8vz2mq7v Жыл бұрын
영떡이 깜빵갔으니 이제 기류가 카티로 가는거죠 슬라임에서 레이지로 카티도 영떡의 영향을 받았지만 몇년전 텐타시온이 죽고 마이애미 트랩씬이 무너져내린것처럼 영떡류도 결국엔 비슷한 전철을 밟지않을까싶어요 릴베이비 , 에이부기윗다후디같은 , 로디리치같은 영떡아들중에서도 탑들만 살아남고 카티가 뿌리내린 씨앗들이 이제 열매로 자랄 타이밍 트리피레드도 이모에서 레이지 기류에 잘 탄거같고 (켄 칼슨 , 소페이고 , yeat , SSG KOBE) 드릴이랑 레이지가 현재의 트렌드 최전선
когда достали одноклассники!
00:49
БРУНО
Рет қаралды 3,5 МЛН
ПЕЙ МОЛОКО КАК ФОКУСНИК
00:37
Masomka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
1 класс vs 11 класс (неаккуратность)
01:00
БЕРТ
Рет қаралды 4,8 МЛН
a real place in the game
2:45
므모
Рет қаралды 216
신기루 디스 해석해보자!!!
10:44
흑백
Рет қаралды 3 МЛН
세상에서 가장 위험한 음악ㅣDrill(드릴) 이야기
11:55
요즘 MZ들은 잘 모르는 에스파 신곡 속 비밀
3:24
아르떼tube
Рет қаралды 31 М.
법정 드라마 'YSL: 죄와 떡' 시즌 1 몰아보기
12:33
호두아카이브
Рет қаралды 44 М.
내가 아는 힙합
12:37
우키팝
Рет қаралды 220 М.
최근 도끼가 잊혀지는 이유
10:46
김강토
Рет қаралды 479 М.
小丑和路飞竟然这样对天使。#天使 #小丑 #超人不会飞
0:37
100❤️
0:20
Nonomen ノノメン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Funny kid and Dad #shorts #funny #viral #comedy #youtubeshorts
0:15
mountainlion5
Рет қаралды 49 МЛН
Кәріс өшін алды...| Synyptas 3 | 10 серия
24:51
everything turned out to be not as it seems… 🤭👀
0:12
Viktoria Meyer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