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애 나 아기 수포자" 학생들이 가장 많이 포기하는 수학 단원은?

  Рет қаралды 452,023

미미미누

미미미누

Күн бұрын

Пікірлер: 668
@이차함수
@이차함수 3 жыл бұрын
영상 다시보니까 이분 나 좋아하나봄...>_
@딩둥-i4i
@딩둥-i4i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wm9bp6li2o
@user-wm9bp6li2o 3 жыл бұрын
팔에 멍 안 드 셨나요??ㅋㅋㅋㅋㅋㅋㅋㅋ오지게 맞으시던데
@이차함수
@이차함수 3 жыл бұрын
@@user-wm9bp6li2o ㅋㅋㅋ 관심이 좀만 더 깊었어도 죽을뻔...
@성이름-n8x6c
@성이름-n8x6c 3 жыл бұрын
@@이차함수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최린-j3w
@최린-j3w 3 жыл бұрын
최소 골절ㅋㅋㅋㅋ
@빠나나우유-p9h
@빠나나우유-p9h 3 жыл бұрын
정이십면체 우리 학교 수학쌤이 작년에 그리시는거 보고 입을 다물 수 없었습니다..
@수양대군-w5d
@수양대군-w5d 3 жыл бұрын
이게 되네??…
@idarimath
@idarimath 3 жыл бұрын
만들어보고 몇 번 스케치하며 며칠을 보내면 머리속에 들어옵니다.^^ 긴 시간 동안 관심을 가져주는 거죠. 가까이 가서 볼수록 친해지는~~~.
@할미는웜톤이라수갑안
@할미는웜톤이라수갑안 3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 그 소금물도 어려웠는데 무엇보다 무슨 원가 정가 몇프로 할인하고 어쩌구가 진짜 어려웠음 소금물은 비커 세개 그리고 반 쪼개서 딱딱딱 쓰면 대부분 풀리는데 원가 정가 문제는 ㄹㅇ 지금 줘도 못풀 수도 있음 중1인가에 배웠던 것 같은데 진짜 눈물 콧물 질질 짜면서 배웠다 근데 고등학교 올라와보니까 그런거 못풀어도 아무소용 없음 ^\^
@loolool-qm7cj
@loolool-qm7cj 3 жыл бұрын
ㅇㅈ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그런데-o1w
@아그런데-o1w 3 жыл бұрын
@ .ㅏㅏㅏㅏ 요즘은 원리합계 안 배우는 경우도... 많아요 저희 학교랑 저희 주변 학교는 교과서에 없어서 안 배웠습니다
@th03933
@th03933 3 жыл бұрын
원리합계 교과서에서 빠졌어요
@뭉탱이뭉탱이-n8t
@뭉탱이뭉탱이-n8t 3 жыл бұрын
경제수학 들으시면 미분도 해야합니다~
@김태윤-j4m
@김태윤-j4m 3 жыл бұрын
사실 원가 정가 문제들은 중학교 한정 좀 잔머리 굴리면 방정식 안세우고 풀리는 경우 꽤 많음
@ddde2
@ddde2 3 жыл бұрын
뉴진스 혜인 예쁘면 좋아요
@user-qp9jo4yu5r
@user-qp9jo4yu5r 3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쌓기나무 개추억이다 위에서 본모습ㄹㅇ로 ㅋㅋㅋㅋ 근데 그런게다 창의력사고력에좋다고하니까 더배워볼껄싶음
@김민준-p2l3m
@김민준-p2l3m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 맨날 1. 몇 개라고 생각합니까? 2. 왜 그렇게 생각합니까? ㅇㅈㄹ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몇갠지 어떻게 설명하냐고 아 ㅋㅋ
@황동현-v6b
@황동현-v6b 3 жыл бұрын
입체도형 보는 눈 기르라고 넣은거 아닐까요 근데 입체도형 잘하지도 못하면서 기하선택한 나는 허허
@user-qp9jo4yu5r
@user-qp9jo4yu5r 3 жыл бұрын
@@황동현-v6b 쌤이 창의력사고력 키우는데 좋다고 하시더라고요 나중에는 큐브도했음 ㅇㅇ
@예비서울대생-f8g
@예비서울대생-f8g 3 жыл бұрын
난 개꿀이라고 생각하면서 재밌게풀었는데
@이초이-y2r
@이초이-y2r 3 жыл бұрын
초등학교 5학년 수학 59점 맞고 수포자행 쌤이 이 머리로는 초등교사되기 어렵다는 뉘앙스로 은근 꼽줬는데 올해 쓴 교대 싹다 최초합함 ㅎㅎ 여러분 포기하지 마세용 저도 제가 맡은 학생들한테 절대 포기하게 만들지 않을게요!!
@김수광-g4n
@김수광-g4n 3 жыл бұрын
역시 참 선생이십니다 그 선생님 덕분에 선생님 되신거 ㅊㅋㅊㅋ
@blckstone
@blckstone 3 жыл бұрын
@@김수광-g4n ?그 선생덕분에? 지랄하노 ㅋㅋㅋ 오히려 걔때문에 꿈 포기 안한 댓 작성자 본인이 잘한거지
@user-ub5kf6we1r
@user-ub5kf6we1r 3 жыл бұрын
임용까지 화이팅!!
@주성현-b9b
@주성현-b9b 3 жыл бұрын
그 선생 학창시절때 수학 16점이라네요
@라면사리
@라면사리 3 жыл бұрын
난 초딩때 늘 수학100점 이었는데 왜이러노?
@유준혁-q8i
@유준혁-q8i 3 жыл бұрын
이게 수상 나머지정리가 없네…..ㄹㅇ 삼차식으로 나눈 나머지 정리 나오는 순간 어질어질해지는데
@파이큐브
@파이큐브 3 жыл бұрын
어우 ㅅㅂ 삼원일차 처음봤을때 그 당황
@AS-mk6bb
@AS-mk6bb 2 жыл бұрын
ㄹㅇ 나머지정리가 젤 어려움 ㅅㅂㅋㅋ 고1학평에서 나머지정리 소재로 나온 30번 문항 있었는데 진짜 어려웠...
@gratata909
@gratata909 2 жыл бұрын
@@AS-mk6bb 학평이모애여?
@AS-mk6bb
@AS-mk6bb 2 жыл бұрын
@@gratata909 고등학교 1, 2학년이 3, 6, 9, 11월에 고등학교 3학년이 3, 4, 7, 10월에 보는 전국연합학력평가의 준말입니다
@gratata909
@gratata909 2 жыл бұрын
@@AS-mk6bb 아 감사합니다 ㅎㅎ 모고 가튼 거네요?
@mint7346
@mint7346 3 жыл бұрын
미3누 보면서 느끼는 게 게스트 대할 때 미3누가 딱 좋아하는 사람 성향이 있음ㅋㅋㅋㅋ 무지성짱, bj이차함수, 재수범 같이 수더분하고 선 안넘으면서 웃기고 순한 타입들 되게 좋아하는 것 같음ㅋㅋㅋㅋㅋㅋ
@temporaryhandle2542
@temporaryhandle2542 3 жыл бұрын
아니 선생님을 자꾸 밀고 때려 ㅋㅋㅋㅋㅋ
@양질의어묵전도사
@양질의어묵전도사 3 жыл бұрын
아 씨발 맨날 엠비티아이 그만해 좀 정신병걸리겠네 엠비티아이가 마패냐
@범인탐지기
@범인탐지기 3 жыл бұрын
@@양질의어묵전도사 ㄹㅇㅋㅋ
@user-tq5sq6fs3z
@user-tq5sq6fs3z 3 жыл бұрын
@@miracleblue3650 초졸이 만든 유사과학에 과몰입하는거 역겹 그게 뭔 자명한 사실인가 ㅋㅋ
@user-xprktuvjwa
@user-xprktuvjwa 3 жыл бұрын
@@양질의어묵전도사혈액형 a형
@안깐마늘-k2o
@안깐마늘-k2o 3 жыл бұрын
아니 미누형 왤케 때렼ㅋㅋㅋㅋ 함수님 팔에 멍드시겠네...둘이 쿵짝 너무 잘맞고 분위기 편해보여서 너무 재밌다...ㅎㅎ
@run_minseo
@run_minseo 3 жыл бұрын
초딩때 1031 문제집 풀어본 사람으로써 1031 문제가 개어렵다고 느꼈으나 알고보니 다 고등학교 수1에서 배우는 내용이더라... 특히 등차수열 등비수열보고 숫자 하나씩 넣어서 대입하다보니 감으로 숫자 찍어서 넣고 하나씩 써서 맞겠구나 하면서 풀었었는데 그때만큼 수학이 싫었던 시절이 없었다. 분명 초딩때까지만 해도 저런 킬러문제들 보면 "난 고등학생쯤 되면 수포자가 되겠구나" 하고 생각했었음. 구몬하면서 복소수부분 처음 배울때 한장푸는데 10분씩 걸려서 한두장씩 밑장빼기(?) 스킬 썼었음 ㅎㅎ
@blueping1
@blueping1 3 жыл бұрын
방정식은 진짜 풀 때 행복할 만큼 재밌었는데 미적분에서 진짜 벽 느꼈음
@Yubin_Lee_Doramelin
@Yubin_Lee_Doramelin 3 жыл бұрын
그럼 해석학 말고 추상대수학 해 보실래요? ㅋㅋㅋㅋㅋㅋ
@belle_24
@belle_24 3 жыл бұрын
ㄹㅇ 거리감 오짐ㅋㅋㅋㅋㅋ
@성이름-q2b3f
@성이름-q2b3f 3 жыл бұрын
그럼 편미분방정식을 해보시길..
@saeolahn
@saeolahn 3 жыл бұрын
@@성이름-q2b3f 갑자기 편미분방정식이 왜나오죠 미적분에서 배우는거는 맞긴 한데 너무 뜬금 없는듯 편미분은 단순하게 변수 여러개 있는 함수방정식에서 변수를 상수로 보고 미분하는거임
@성이름-q2b3f
@성이름-q2b3f 3 жыл бұрын
@@saeolahn 방정식 좋아하고 미적분 싫어하니 극복해보자는 뜻에서^^
@ilyay7698
@ilyay7698 3 жыл бұрын
소금물-인수분해-원의방정식-삼각함수로 이어지는 황금라인 ㄷㄷㄷㄷ
@user-coodd1724
@user-coodd1724 3 жыл бұрын
사실 이게 찐임 ㅋㅋㅋㅋ
@idarimath
@idarimath 3 жыл бұрын
다 시간을 써서 반복을 해야 할 부분이네요^^.
@윤-r7i
@윤-r7i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진짜 다들 똑같은게 웃김
@jaehyuncho3099
@jaehyuncho3099 3 жыл бұрын
난 개인적으로 소금물의 농도가 고통스러운 유형이었음 이게 수학인지 과학인지
@y_vonne
@y_vonne 3 жыл бұрын
쌉극혐임 왜 자꾸 붓고 섞는지 모르겠음
@Navynapes
@Navynapes 3 жыл бұрын
와 딱 그 정도 난이도로 중화반응 나오면 개꿀이겠다
@ggomaggomak
@ggomaggomak 3 жыл бұрын
과학에서 그정도로 나왔으면 좋겠네요 ㅎㅎ
@JH-wd6td
@JH-wd6td 3 жыл бұрын
화학 전공자로서 진짜 고육과정에서 뺏으면하는 문제에요... 물에 소금이 녹은것을 과학적으로 설명 해준 후에 풀게하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소금이 물에 녹았는데 전체 양=물+소금이라는게 그땐 정말 이해가 안됐거든요 ㅋㅋㅋㅋㅋㅋ
@matcha-j9o
@matcha-j9o 3 жыл бұрын
와 ㄹㅇ 소금넣고 물넣고 두개 섞고 진짜 개지랄을 떨었음
@sooyoung6550
@sooyoung6550 3 жыл бұрын
아 쌤 진짜 넘 웃겨셬ㅋㅋㅋㅋㅋㅋㅌㅌㅌㅌㅌㅋ 웃다가 봤더니 미누님ㄱ도ㅋㅋㅋㅋㅋㅋㅋㅋ 넘 재밌어하는게 보임ㅋㅋㅌㅋㅋㅋㅋㅋㅋㅋ
@user-ri8vi7oq3y
@user-ri8vi7oq3y 3 жыл бұрын
8:50 미미미누 강아지임? 이 영상 웰케 해맑아 ㅋㅎㅋㅎㅋㅎㅋㅋㅋㅋ
@Yubin_Lee_Doramelin
@Yubin_Lee_Doramelin 3 жыл бұрын
솔직히 말해 등식의 성질 배울 때 항등원(더하거나 곱할 때 똑같은 수가 되는 것) 역원(더하거나 곱할 때 항등원이 되는 것) 개념을 언급 안 하도록 한 건 진짜 치명적입니다... 추상대수학에서 일반화되는 그 과정까지는 아니더라도 실수체 및 복소수체에서 덧셈과 곱셈의 항등원과 역원은 그래도 언급은 해야죠.
@뀨앙지윤
@뀨앙지윤 3 жыл бұрын
그래서 07수학만 하는 1인(?)
@idarimath
@idarimath 3 жыл бұрын
항등원, 역원, 낱말 뜻 생각하기 싫어 수학에서 멀어지는 경우도 있었을 겁니다.
@ddda311
@ddda311 2 жыл бұрын
@@idarimath 그런데 그개념이없으면 역함수 항등함수에대한 내용까지 완벽하게 이해를못하긴함
@선인장-e4w
@선인장-e4w 3 жыл бұрын
-마플시너지 앞부분 풀때: ㅋㅋ 수학 별거 아니노 수포자 왜함? -자이스토리 뒷부분: 나 별거 아니노 수학 만점 어케함?
@isegyeidollilpa
@isegyeidollilpa 3 жыл бұрын
자이스토리 뒷부분까지 간 것 부터가 ㅆㅅㅌㅊ
@Crouzel
@Crouzel 3 жыл бұрын
이미 뒷부분을 봤다? 쌉실수
@범인탐지기
@범인탐지기 3 жыл бұрын
허수는 앞페이지만 지저분하게 막 써져있고 뒤는 깨끗한데 ㅋㅋㅋ
@감뀰-b8o
@감뀰-b8o 3 жыл бұрын
@@범인탐지기 ㅇㅈ...ㅋㅋㅋ 그게 바로 나
@273-w9p
@273-w9p 3 жыл бұрын
찐허수는 수특 1단계만 풂 ㅋㅋ 그거 나
@하얀색-f9d
@하얀색-f9d 3 жыл бұрын
4:19 아 허수 개웃김ㅠ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사실 있지롱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handle1029
@handle1029 3 жыл бұрын
저는 이항이 제일 어려웠어요 등호를 가운데에 두고 왔다 갔다 플마 바뀌는데 아무리 설명 들어도 받아들여지지가 않더라구요ㅋㅋㅋㅋㅋㅋ 중1? 때였던 것 같은데 진짜 이게 뭐지 싶었는데ㅋㅋㅋㅋㅋ너무 어려웠어서 6년이 더 지난 아직도 생각이 나네요
@handle1029
@handle1029 3 жыл бұрын
@@Haruki_Murakami 글쎄요 저는 이게 왜 부호가 바뀌는지 이해하는 데 엄청 오래 걸렸어요ㅋㅋㅋㅋ
@사러러
@사러러 3 жыл бұрын
@@handle1029 정승제 X+2=0 짧막한 영상 보고오셈
@handle1029
@handle1029 3 жыл бұрын
@@사러러 내년에 컴공 들어갑니다 ㅎㅎ..
@eunganiya
@eunganiya 3 жыл бұрын
ㅇㅈ 중1수학 이항 처음봤을때 멘붕 ㅋㅋㅋ 미지수도 처음 보는데 갑자기 숫자를 왔다갔다 ㅋㅌ..
@BlueManchester
@BlueManchester 3 жыл бұрын
나도 지금은 기본인데 처음 배울때는 ㅈㄴ 햇갈렸음
@지호-x3c
@지호-x3c 2 жыл бұрын
난 그냥 무슨 문제든간에 절대값 기호 나오면 겁에 질림ㅋㅋㅋ 그래프 그리는거 너무 싫어서 평소에 그리는 연습 안해보다가 수투에서 정말 현타크게오고 진지하게 수포각잿었음..
@고냥이-l4p
@고냥이-l4p 3 жыл бұрын
와 인트로부터 감명 받았습니다... 드립 레전드시네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daze8112
@daze8112 3 жыл бұрын
중학생때 소금물 문제에서 수학 포기했는데 고등학생 올라오니 그런거 못풀어도 전혀 상관없었음ㅋㅋ
@kkong1052
@kkong1052 3 жыл бұрын
화학러는 상관있더라....
@Happy-zj4ic
@Happy-zj4ic 3 жыл бұрын
@@kkong1052 ㄹㅇ.. 몰농도
@어쩔커피머신
@어쩔커피머신 3 жыл бұрын
ㄹㅇ중딩때 방정식 활용문제보고 멘붕왔었는데 고딩꺼로 오니까 별로 상관이 없었음...
@user-en5vw2xo3l
@user-en5vw2xo3l 3 жыл бұрын
중학교 소금물, 거속시 ㅋㅋㅋㅋㅋㅋㅋㅋ
@user-tq5sq6fs3z
@user-tq5sq6fs3z 3 жыл бұрын
네 뭐 화1해보니 소금물은 선녀네여 헿
@베어믹스
@베어믹스 3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생각만하고 풀 대가리만있으면 중학교수학까지는 쉬움 보통 수상이나 수하에서망하지
@d._.lwn_s
@d._.lwn_s 3 жыл бұрын
오우,,, 제가 딱 어려웠던 부분하구, 왜 어려웠는지까지 동감이가게 또ㅠㅠ 진심진심 완전완전 동감이 가구, 신기했었어요ㅎㅎ;;
@JIN-v5d
@JIN-v5d 3 жыл бұрын
수1을 배우면 수학 상/하가 쉽고, 수2를 배우면 수1이 쉬워보이고, 미적분을 배우면 수2가 쉬워보이는것 같음..
@황동현-v6b
@황동현-v6b 3 жыл бұрын
기붕이 확통이 무시하노...
@meam0414
@meam0414 3 жыл бұрын
확붕이 피해의식 ㄷㄷ
@JIN-v5d
@JIN-v5d 3 жыл бұрын
@@황동현-v6b 확통은 문과 과목아니….ㅁ…? ㅈㅅㅈㅅ
@승규-q1c
@승규-q1c 3 жыл бұрын
기하>미적
@JIN-v5d
@JIN-v5d 3 жыл бұрын
@@승규-q1c ㅇㅈ ,,
@반도의흔한남고
@반도의흔한남고 3 жыл бұрын
분수or소수->일차방정식의 활용 ->일차부등식의 활용->연립일차방정식의 활용-> 삼각비-> 실수와 허수-> 이차함수-> 도형의 방정식-> 역과 대우-> 역함수-> 순열-> 지수함수-> 로그함수-> 삼각함수 순으로 개념 배울때 힘들었던 것 같네 형들이 뒤에 나오는 개념 추가해줘 수2는 아직 못배움(예비고1)
@김태윤-j4m
@김태윤-j4m 3 жыл бұрын
삼각함수 다음에 수열이라고 나옴. 원리합계만 빼면 삼각함수에 비해 쉬어가는 단원 느낌이 강함. 수2에 첫단원으로 극한 나오는데 처음에만 좀 뇌정지오고 감 잡으면 할만함. 미분 들어가면 '어.. 미분..계수?' 하면서 뇌가 멈추고 이해 못한채로 넘기다 정적분 부정적분 보면 수학을 포기하게 됨
@인서-z6n
@인서-z6n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사실상 다잖아ㅋㅋㅋ
@AAA-ke5ig
@AAA-ke5ig 3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수1 끝판왕은 수학적 귀납법 아님? 진짜 개어렵고 지금도 못하겠음 심화문제하나 갖다주면
@user-lt5qd4ij4i
@user-lt5qd4ij4i 3 жыл бұрын
@@김태윤-j4m 수열이 쉬어가는 느낌이라고요..? 어렵게 내면 머리 깨는게 수열인데…
@김태윤-j4m
@김태윤-j4m 3 жыл бұрын
@@user-lt5qd4ij4i 그래도 개념 자체가 어려운건 아니니까요
@익명-j7o
@익명-j7o 3 жыл бұрын
수능볼때도 탄젠트는 삼각형 1:2:루트3이거 그려서 확인하고 풀고 그랬는데 ㄹㅇㅋㅋㅋ
@김세훈-n2w4z
@김세훈-n2w4z 3 жыл бұрын
ㄹㅇ 삼각비는 1둥굽 문제집만 7권을 풀었는데 익숙하지가 않음 ㅋㅋㅋ 결국엔 수능때까지 삼각형 그려서 확인하고 품 ㅋㅋ
@orineoguri1838
@orineoguri1838 3 жыл бұрын
이건 오바지 아무리그래도 ㅋㅋ
@idarimath
@idarimath 3 жыл бұрын
@@김세훈-n2w4z 그게 정석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야 과정이 더 잘 보이거든요. 공대 졸업할 때까지 그렇게 했습니다.^^
@growlhowl8180
@growlhowl8180 3 жыл бұрын
걍 허수인데 ㅅㅂㅋㅋ;;
@kupharm04
@kupharm04 3 жыл бұрын
@@growlhowl8180 기본에 충실해서 푸는게 허수? ㅋ
@msk6966
@msk6966 3 жыл бұрын
고등학교 진입장벽 최강자는 극한-연속-미분가능성 아닌가 ㄹㅇㅋㅋ
@김희서-p6x
@김희서-p6x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ㄹㅇ 첨에 뭔 개소린가 싶었음ㅋㅋㅋ
@아그런데-o1w
@아그런데-o1w 3 жыл бұрын
ㄹㅇ 개념은 진짜 어려움
@Yubin_Lee_Doramelin
@Yubin_Lee_Doramelin 3 жыл бұрын
수학과 스타일로 엄밀하게 가르치다간 수포자 대량 양산할 법한 극한의 개념... 고등학교 서술형에 엡실론-델타로 증명하라는 시험이 나온다면 정말... ㅋㅋㅋㅋㅋㅋㅋ
@박정우-v2r
@박정우-v2r 3 жыл бұрын
저거보단 수1이 더 어렵더라...
@user-wm9bp6li2o
@user-wm9bp6li2o 3 жыл бұрын
@@Yubin_Lee_Doramelin 이미 해석학개론 자체가 대학 과정이라..ㅋㅋㅋㅋ
@__-yf5zy
@__-yf5zy 3 жыл бұрын
둘이 케미 너무 좋다
@DR_Teacher
@DR_Teacher 3 жыл бұрын
수정) 중2 소금물 및 속력(연립방정식의 활용) 고3 적분과 급수의 관계(이거 뺄려니 섭해서;) 중2 도형의닮음 고1 나머지정리, 이차방정식의근의분리, 도형의방정식 고2 코사인법칙, n,k,j,l등으로 표현되는 수열의합(Sigma) 고3 여기까지 왔으면 한게 있어서 포기안함(따지자면 구분구적법(미적분), 중복조합(확통), 방향 및 법선벡터(기하) 가르쳐보니 고비는 여기더군요
@Jayvul4102
@Jayvul4102 3 жыл бұрын
닮음 2학년입니다
@김민석-h5m
@김민석-h5m 3 жыл бұрын
저는 개인적으로 확통 조건부확률이 제일 어려웠습니다.
@웅앍-b5n
@웅앍-b5n 3 жыл бұрын
저는 개인적으로 벡터의 내적이요.. 아직도 내적이 뭔지 모르겠음 걍 외우는건가
@DR_Teacher
@DR_Teacher 3 жыл бұрын
@@Jayvul4102 악 실수했네용
@user-bj9rz2hv5s
@user-bj9rz2hv5s 2 жыл бұрын
급수,,,,인정,,,처음보고 일주일동안은 띵함.. 뭔소리야 이게하고,, ㅠㅠ
@스느-w9w
@스느-w9w 3 жыл бұрын
댓글 보니 다들 방정식은 좋아하셨구나.. 저는 방정식 존나 잘풀려서 제가 수학 천잰줄 알았어요 그리고 삼각함수에서 무너집니다
@idarimath
@idarimath 3 жыл бұрын
반지름 분의 x좌표, 반지름 분의 y좌표, x좌표 분의 y좌표, 이렇게 생각하고 그림을 떠올리면 할 만 할 수도~~~.
@5Delly5
@5Delly5 3 ай бұрын
개인적으로 문과에서 미적분 배우던 시절에 미적 배웠는데 미적보다 삼각함수가 더 어려웠습니다..... 말도 안됨...
@농밀-h1e
@농밀-h1e 3 жыл бұрын
형 곧 50만이네 축하해 !!! 이벤트 뭐할지 기대된다
@감뀰-b8o
@감뀰-b8o 3 жыл бұрын
나 진짜 삼각함수 처음 배울때 찐으로 벽을 느꼈었음.... 그리고 수학 상에 원방?도 머리 깨질뻔...
@dhdhjwhfj
@dhdhjwhfj 3 жыл бұрын
저두요
@감뀰-b8o
@감뀰-b8o 3 жыл бұрын
@@dhdhjwhfj 수학 넘 어려워용 ㅠ
@idarimath
@idarimath 3 жыл бұрын
그림 정확히 그리고 판단하는 연습이 필요한 곳이네요. 팔힘이 필요한^^.
@김세훈-n2w4z
@김세훈-n2w4z 3 жыл бұрын
고등수학에서 경우의 수 빼면 삼각함수나 미적분 같은 것도 이해하면 다 풀수 있는거라 재밌던데( 경우의 수는 ㄹㅇ 역겨움...)
@junddeok
@junddeok 3 жыл бұрын
경우의 수 나만 어려운거였음? 함수보다 어려운데
@hbanniversary
@hbanniversary 3 жыл бұрын
대체 왜 나누는건데 씨팔
@IronMan-d4q
@IronMan-d4q 3 жыл бұрын
저는 함수보단 확률이 어려웠음 ㅠㅠ
@Wudiejw231
@Wudiejw231 3 жыл бұрын
경우의 수는 공부 잘하는 애들도 어려워하는 단원임 오히려 잔머리 잘 부리는 애들이 더 잘하더라ㅋㅋㅋ
@matcha-j9o
@matcha-j9o 3 жыл бұрын
ㄹㅇ 경우의수 확률 이해못해서 나가리됨
@passecompose7484
@passecompose7484 3 жыл бұрын
미적분보다 훨씬 어렵던데 말 조금만 바꾸면 난이도 급상승함
@김운학-l6l
@김운학-l6l 2 жыл бұрын
저는 고등학교 때 수학에서 제일 재밌었던 부분이 바로 미적분이었습니다. 특히나 적분에서 그래프 그려서 넓이, 부피 구하는 게 제일 재밌었죠. 그리고 반대로 제일 어렵고 재미없던 부분은 공간도형과 벡터, 확률과 통계였습니다.
@userroweny
@userroweny 3 жыл бұрын
좀 있으면 도방 선행 나가는 예비중2인데 마음 단단히 잡아야겠네요.. 수학 밉지만 놓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geni___
@geni___ 2 жыл бұрын
도방이 머죠?
@gratata909
@gratata909 2 жыл бұрын
전 그거 일주일 만에 끝냇음 너무 걱정 ㄴㄴ
@ljhx2psjkhs
@ljhx2psjkhs 3 жыл бұрын
초딩 때 소금물이랑 원가 정가도 진짜 어려웠는데.. 쌓기나무랑ㅋㅋㅋㅋㅋ
@abcabcab5861
@abcabcab5861 3 жыл бұрын
여러분들 수학 포기해서 문과 가야지라는 건 취업 생각 안해도 된다는 말과 같아요. 수학은 머신러닝, 딥러닝 등 AI부터 공대 전자기학, 동역학, 시스템해석, 자동제어 등 로봇, 설비, 임베디드, 센서, 배터리, 모터 등 지식의 기반 역량이므로 지금 미적분, 벡터(내적 외적), 통계 사실 대학가면 더 어마어마한 거 배우니 잘 배우시길 바랍니다
@abcabcab5861
@abcabcab5861 3 жыл бұрын
특히 고등학교 때 학원에서 단기로 공식만 외우던 사람들 공대가면 1/2은 포기합니다.
@Iwhejmkdksj
@Iwhejmkdksj 3 жыл бұрын
나문과법대임
@옴닭
@옴닭 2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 경우의 수, 확률이 제일 극혐이었습니다...
@Tjwls-1
@Tjwls-1 3 жыл бұрын
초2때 무지성으로 구구단 외울때부터 수학이 싫었음… 그렇게 10년 뒤.. 구구단 외우는게 싫었던 리틀수포자는 수학이 안들어가는 예체능으로 입시를 성공하게 되고…
@idarimath
@idarimath 3 жыл бұрын
삶에 수학으로 인한 문제는 크게 없으실 겁니다^^.
@yammyhaum
@yammyhaum 2 жыл бұрын
미적까지 여러 번 돌렸는데도 삼각함수 각변환 보면 뇌정지 옴...ㄹㅇ 삼각함수 때문에 수1이 젤 빡친다
@황우진-x3m
@황우진-x3m 9 күн бұрын
ㄹㅇ 사인 이분의파이 플러스 세타 어쩌고 사분면 신경쓰면서 부호 바뀌면서 ㅈㄴ 헷갈림 미적분하다가 갑자기 각변환 쓰이는 경우 많아지길래 다시 공부중
@정삐요
@정삐요 3 жыл бұрын
수학 교과서에 f가 나온 그 순간부터... 방정식은 존나 좋았는데 갑자기 그래프 나와서 중2때 포기해버린 나 자신 대.단.해
@user-peirzmoanneent
@user-peirzmoanneent 3 жыл бұрын
일차함수로 포기 ㅋㅋ...
@idarimath
@idarimath 3 жыл бұрын
손으로 그려야 통과할 수 있는 단계죠.
@장현우-q8q
@장현우-q8q 3 жыл бұрын
수열 같이 빡치는게 없다 ㄹㅇ..
@passecompose7484
@passecompose7484 3 жыл бұрын
나는 해석학 취향인지 미적분 진짜 좋아했는데 경우의 수가 ㅈㄴ 어려웠음
@growlhowl8180
@growlhowl8180 3 жыл бұрын
ㄹㅇ 저도 해석학파
@tansunamu
@tansunamu 3 жыл бұрын
함수에서 포기하고 싶었으나 끝까지 채찍질해서 끌고가신 선생님 감사합니다..
@zeta4605
@zeta4605 2 жыл бұрын
수학 원주 3.14 이럴 때 던졌는데 계산 제대로 하지도 못하는데 다음 단원 넘어가고 못 따라잡은 애들은 버리는 교육방식이 짜증나네요
@TV-tm3oi
@TV-tm3oi 3 жыл бұрын
크리스마스 집에서 미미미누를 보면서 외로움을 달랜다...
@오우쮙-b4o
@오우쮙-b4o 2 жыл бұрын
난 나눗셈 세로로 푸는게 고등학교 1학년 때까지 이해가 안됐음.... ㄹㅇ 스스로 문뜩 빡 하고 이해하기 전까지 모두가 나를 이해시키지 못했음ㅋㅋㅋ
@강지운-v7i
@강지운-v7i 3 жыл бұрын
2:35 6번, 9번은 이항정리로 않되지 않나요? 두 항의 합의 n제곱으로 알고있는 사람입니다 확통선택 않해서 잘 모르겠네요 그래도 한번 어케 하면 될지 집에서 시도해볼게요 궁금쓰
@Yubin_Lee_Doramelin
@Yubin_Lee_Doramelin 3 жыл бұрын
괄호 2, 3개로 묶인 것들 중에서 각각 문자 하나를 뽑는다고 할때 선택할 수 있는 모든 것들의 조합이라는 원리는 변치 않습니다. 물론 이항정리를 확장하면 그냥 때려 박아도 되기는 합니다만... 6번을 예로 들면 (x+y+z)(x+y+z)로 풀어쓸 수 있는데 왼쪽 괄호에서 x, y, z 중 하나와 오른쪽 괄호에서 x, y, z 중 하나를 각각 골라서 곱한 걸 경우 1이라고 하면, 선택할 수 있는 9가지(왼쪽 괄호 3개 × 오른쪽 괄호 3개) 모든 경우를 더해 놓고 정리하면 오른쪽 전개식이 됩니다. 이런 메커니즘을 두 항짜리 n제곱으로 확장시켜 놓은 게 바로 이항정리입니다. 아까 언급한 것처럼 n항정리로 확장시킬 수야 있지만 별 쓸모는 없어서...
@totolee7205
@totolee7205 3 жыл бұрын
헐 미누님 여름팔 옷~!?!
@user-zj1hb9rk1s
@user-zj1hb9rk1s 3 жыл бұрын
2-2 경우의수 확률 수상 나머지정리
@의사면뭐하니
@의사면뭐하니 3 жыл бұрын
집합과 명제 자신감넘치는거 ㅇㅈ합니다 ㅋㅋㅋㅋㅋㅋ
@김세훈-n2w4z
@김세훈-n2w4z 3 жыл бұрын
고 1때1학기 중간 1. 기말 1. 맞다가 2학기 중간고사때 집합과 명제 나오니까 바로 3으로 떨어짐... 기말은 경우의 수 때문에 아슬아슬하게 8등해서 1등급..물론 수행때문에 10등으로 떨어짐 ㅋㅋ
@qiqi4225
@qiqi4225 3 жыл бұрын
@@김세훈-n2w4z 헐저랑똑같아요 ㅋㅋㅋ
@TV-sq9ny
@TV-sq9ny 2 жыл бұрын
집합과 명제.. 모두가 천재가 되는 단원
@빠나나우유-p9h
@빠나나우유-p9h 2 жыл бұрын
중3 올라가는데 명제 증명 ㅈ같던데 시간 지나면 괜찮아지나요..?
@user-bj9rz2hv5s
@user-bj9rz2hv5s 2 жыл бұрын
난 집합과 명제 젤 못했는뎅,,,, ㅠㅠㅠ
@윤성빈-r1t
@윤성빈-r1t 3 жыл бұрын
삼각비는 분모를 2 대신 루트4 라고 생각해보면 스무스해지는데
@renjovi
@renjovi 3 жыл бұрын
이번 기말 수학 9등급 맞았는데ㅋ.. 미미미누 수포자 영상은 못참지
@xix6973
@xix6973 3 жыл бұрын
능력자다...
@lifesecond2894
@lifesecond2894 3 жыл бұрын
@@matlab357 9등급은 어느 고등학굔지가 중요한게 아니야..
@김성수-d7p
@김성수-d7p 3 жыл бұрын
@@lifesecond2894 그래도 과학고 9등급이면...
@어쩔커피머신
@어쩔커피머신 3 жыл бұрын
@@lifesecond2894 과고 9등급이면 일반고 9등급보다는...
@고추장-t2k
@고추장-t2k 3 жыл бұрын
에이 사실 수시러들 위해서 틀린거만 찍었겠지 ㅋㅋㅋ
@user-fq9td4zy5z
@user-fq9td4zy5z 3 жыл бұрын
수포자에 대학생도 넣어주시면 안될까요 보건대학 왔다가 울면서 수학하는 문과생••• 교수님이 모든 걸 생략하고 설명하셔서 뭔 소린지 진짜 1도 모르겠어요
@Yubin_Lee_Doramelin
@Yubin_Lee_Doramelin 3 жыл бұрын
선형대수 독학 중인데 개념은 직관적으로는 이해할 수 있다 쳐도 엄밀한 증명 테크닉을 모르니 답답하네요... ㅋㅋㅋㅋㅋㅋ
@신형우-u7r
@신형우-u7r 3 жыл бұрын
@@Yubin_Lee_Doramelin ㅋㅋㅋㅋㅋ 선대 증명은 동치 명제 모아놓고 돌려돌려 증명하는게 대부분이라.. 프리드버그 수준으로 보시는거 아니면 혼자 하실만 하지 않나용
@Yubin_Lee_Doramelin
@Yubin_Lee_Doramelin 3 жыл бұрын
@@신형우-u7r 엄밀함의 세계를 체험하고 싶은데 서울대 건 너무 어렵다 그래서 프리드버그 쓰고 있는데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신형우-u7r
@신형우-u7r 3 жыл бұрын
@@Yubin_Lee_Doramelin 프리드버그도 쉬운 수준은 아닌데 ㅠㅠ 서울대거가 악명이 높긴 하죠 ㅋㅋㅋㅋㅋㅋㅋ
@Yubin_Lee_Doramelin
@Yubin_Lee_Doramelin 3 жыл бұрын
@@신형우-u7r 이미 기초 개념은 경제수학이랑 3Blue1Brown으로 다 했어서 말이죠... ㅋㅋㅋㅋㅋㅋ 아무튼, 그래서 솔루션을 보면서 증명 테크닉을 얻어가고 있답니다. ㅋㅋㅋㅋㅋㅋㅋ ㅠ.ㅠ
@고냥이-l4p
@고냥이-l4p 3 жыл бұрын
원래는 영어를 엄청 싫어했는데 수학에서도 미지수가 영어로 들어와서 그때부터 수학 접었던 ㅋㅋㅋㅋ
@담백한건빵
@담백한건빵 3 жыл бұрын
사실 미지수는 영어가 아니라 알파벳이죠
@눈누난나-j2t
@눈누난나-j2t 3 жыл бұрын
@@담백한건빵 그걸 알아도 수학 접을 사람은 접음
@idarimath
@idarimath 3 жыл бұрын
싫어할 요소가 겹치면 그렇게 되죠. 세월이 지나 다시 보면 아무것도 아닌 것도 있지만.
@French-Dictionary
@French-Dictionary 2 жыл бұрын
영어 아님
@이서경-n2u
@이서경-n2u Жыл бұрын
​@@담백한건빵😊😊ㅔ삐ㅣ9ㅣ
@왕돌멩이
@왕돌멩이 3 жыл бұрын
저는 왜그랬는지는 모르겠는데 개인적으로 시그마에서 좌절했었던 기억이 새록새록 나네요...ㅜㅜ
@idarimath
@idarimath 3 жыл бұрын
시그마는 단순히 여러 수의 합이라는 정도의 뜻만 있는 기호입니다. 별다른 원리는 없는. 뭔가 원리가 있을 거라고 속아서 들여다보면 괜히 힘든 기호죠. 포장만 번지르르한 상품 같은...
@김지효-m6l
@김지효-m6l 3 жыл бұрын
난 뭘하든 자취의 방정식 할 때 수학포기하고 싶었음
@user-xd6ms8mm3j
@user-xd6ms8mm3j 3 жыл бұрын
자취의 방정식 ㅋㅋㅋㅋㅋㅋㅋ 개인정 ㅋㅋㅋㅋㅋ 뭘 구해서 어디다가 대입해야될지 모르겠음 대입해서 자취의 방정식이 나올지 확신도 안 들고
@Jwhwvejcid
@Jwhwvejcid 2 жыл бұрын
@@user-xd6ms8mm3j 자취의 방정식은 뻔히 구할 수 있는 좌표도 미지수로 둬야해서 헷갈리는게 많음ㅋㅋㅋㅋ
@user-xd6ms8mm3j
@user-xd6ms8mm3j 2 жыл бұрын
@@zibegago 어떤 도형이나 점이 움직인 자취를 방정식으로 나타내는 거라서 이름이 자취의 방정식이에요
@suhyun_87
@suhyun_87 3 жыл бұрын
와 도형의 방정식...... 나를 2등급에서 3등급으로 떨어지게 만든 주범.........
@idarimath
@idarimath 3 жыл бұрын
그래프를 꼼꼼히 그리다보면 해결되는 곳입니다. 시간이 필요하죠.
@antibiotics7066
@antibiotics7066 3 жыл бұрын
미적분에서 치환적분 등등 어려운 적분공식에서 진짜 말림..
@채은-c7n2v
@채은-c7n2v 3 жыл бұрын
곱셈공식이 안외워져서 고등학교 첫 수학부터 망해버려서 포기했는데..ㅋㅋ 그냥 고등학교는 모든 과목이 헬임..
@idarimath
@idarimath 3 жыл бұрын
그 이후는 인생에서 직접 쓸 게 거의 없습니다.^^
@lilin_0577
@lilin_0577 3 жыл бұрын
딱히 숨막히게 접고 싶을 만큼 어렵다기보단 그래프 그리기가 심각하게 귀찮음
@idarimath
@idarimath 3 жыл бұрын
그래프 손으로 그리는 것이 핵심입니다. 그리다보면 별 내용 아녜요. 안 그리면 고등학교 수포자 됩니다. 수학이 머리보다는 손을 써서 해야 하는 공부라 할 수 있겠네요.
@이지석-n2r
@이지석-n2r 3 жыл бұрын
요즘도 고등학교때 벡터의 외적 내적 나오나요? 그 두개 개념 모르면 공간에 대한 식 유도하기가 좀 빡세보이던데
@한결-p6n
@한결-p6n 3 жыл бұрын
기하에서 배워용
@물-n7y
@물-n7y 3 жыл бұрын
외적은 안하고 내적만 가르칩니다
@귀여우면좋아
@귀여우면좋아 3 жыл бұрын
외적 빠지고 내적만 기하에서
@chang0982
@chang0982 2 жыл бұрын
난 경우의 수 순열 조합이 제일 어려웠다 다른 건 이게 답이라는 감이 오는데 경우의 수는 답에 확신이 안 듦..
@야운
@야운 3 жыл бұрын
5:34 3보다 x-4가 작다 라고 하면 x-4가 3보다 크거나 같다가되어서 성립 x
@출근하는도중에도퇴근
@출근하는도중에도퇴근 3 жыл бұрын
홍재룡 선생님 노원구에 계십니다. 수학 잘가르치세요 ㅎㅎ
@WooCur3787
@WooCur3787 3 жыл бұрын
수학 던지고 문과 가려다가 암기할거 많아서 그냥 수학을 붙들고 기어이 1등급을 떄렸던게 몇년전이냐 그래도 기하 벡터는 잘 했더래서 다행이었다
@니코니코니코낮다
@니코니코니코낮다 3 жыл бұрын
미누님 ㅋㅋㅋㅋㅋㅋㅋㅋ 자꾸 때리셬ㅋㅋㅋㅋㅋㅋ
@이태경-w5k2b
@이태경-w5k2b 3 жыл бұрын
미분 적분은 함수부분이라서 따로안나오는건가 그것만 기대했는데
@DUSTSTAR-tt9eq
@DUSTSTAR-tt9eq 3 жыл бұрын
도형의 방정식은 진짜 절대 이해 안됨... 게다가 기하에서 벡터로 도형 만드는 부분 있는데 진짜 현타와서 미적분으로 옮김...ㅋㅋ
@김세훈-n2w4z
@김세훈-n2w4z 3 жыл бұрын
도형의 방정식이 젤 재밌던데... 물론 난 미적분 ㅋㅋ
@growlhowl8180
@growlhowl8180 3 жыл бұрын
미적이 수2땜에 훨쉬움 기하 잘하려면 1,2학년부터 미리 해놔야 좀 익숙하게 하지
@veronicadudarova_02
@veronicadudarova_02 2 жыл бұрын
@@growlhowl8180 재수때 기하첨했는데 수능때기하다맞음 그정돈아님
@inter10-qp
@inter10-qp 3 жыл бұрын
소금물 나올 때마다 항상 설탕물로는 왜 안하는지 소금물 농도가 무슨 쓸모인지 불만이 많았지 ㅋㅋ
@쭁쭁-g4h
@쭁쭁-g4h 3 жыл бұрын
중학교때 확률이 가장 싫었습니다..
@idarimath
@idarimath 3 жыл бұрын
'확실한 비율'이라고 생각하면 조금 가까워집니다. 우리 삶이 확률에 놀아날 필요는 없지요.^^
@MrDouble91
@MrDouble91 2 жыл бұрын
5:22 ㄹㅇ 개 충격이다 어떤놈 머리에서 이걸 틀리다고 얘기할 생각을 했지
@김도연-b7c8o
@김도연-b7c8o 3 жыл бұрын
수투 연속이랑 미분가능성에서 절망 1차 미적에서 절망 2차
@idarimath
@idarimath 3 жыл бұрын
제가 영상을 만들어 올린 것이 있습니다. 와서 보세요.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IsegyeIdol_Ipali
@IsegyeIdol_Ipali 3 жыл бұрын
둘이 십년지기 친구임?ㅈㄴ친하네ㅋㅋㅋㅋ
@idarimath
@idarimath 3 жыл бұрын
낱말 뜻, 특히 한자어 말뜻을 연구하다보면 그 단원 전체가 쉬워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수포자에서 탈출할 수 있는 통로?죠^^. 삼각비: 직각(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의 (비)
@귀여운크림이-m1s
@귀여운크림이-m1s 3 жыл бұрын
지나가던 수포자인데 영상 썸네일만 보고 영상은 안 볼 거임 ㅎㅎㅎ -수능 때 수학 안 치고 나머지로 최저 맞춘 1인
@Ksksksksl4p
@Ksksksksl4p 3 жыл бұрын
난 이차부등식때 수포 할뻔했는데 사람들 개 똑똑하네ㅋ
@idarimath
@idarimath 3 жыл бұрын
이차함수 그래프 그려놓고 살피는 공부가 있으면 알게 되는 곳이죠. 그땐 아쉬웠군요.
@Sujin304
@Sujin304 3 жыл бұрын
원방이 진ㅁ자,,아직도 모르겠어,,진짜 원방은.. 하,,원나오는순간 문제풀기싫어져
@idarimath
@idarimath 3 жыл бұрын
그래프를 모눈종이에 꼼꼼히 그리다보면 해결되는 곳입니다.
@IronMan-d4q
@IronMan-d4q 3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 함수 개쉬운데 확률이 너무 어려워서 수포 마려웠다
@민채-e4x
@민채-e4x 3 жыл бұрын
저랑 똑같네요 ㅋㅋㅋ
@hq1182
@hq1182 3 жыл бұрын
아 저도요 ㅋㅋㅋㅋㅋ 확률은 그냥 말 장난 치는 느낌
@setsett
@setsett 3 жыл бұрын
와 난 반대던데 확률은 너무 재밌는데 함수 진짜...
@치도-f9x
@치도-f9x 3 жыл бұрын
확률은 항상 마지막에 조금을 놓쳐서 틀림 개빡침
@idarimath
@idarimath 3 жыл бұрын
저도 경우의 수 문제가 제일 어려웠죠~~~!
@흐-p8u
@흐-p8u 3 жыл бұрын
진짜 원방 공통현의 길이 너므 어렵던데
@enterp6336
@enterp6336 Жыл бұрын
중1때 방정식 처음보고 수학 접어야겠다 마음먹었더니 수학쌤께서 성적이 나오지 않으면 빠따질을 내리겠다 하여 열심히 노력한 결과 머리가 나쁘면 몸이 튼튼하면 된다는걸 깨닫는데 오래 걸리지 않았다..
@Theorin21
@Theorin21 3 жыл бұрын
수학하면서 어려웠던게.. 있었나 싶긴한데 그 당시엔 어려운게 있었겠지 생각해보니 중2 겨울때 순열조합할 때 원순열이 젤 어려웠음
@개똥아-q1p
@개똥아-q1p 8 күн бұрын
수와 식에서 등식과 부등식 넘어가는 구간이 진짜 난해함 유리식의 부분분수 비례식의 가비의리 다항식 구간의 조립제법 인수분해 절대부등식 이런 단위개념이 하나하나가 난해한게 아니라 단원간의 위상이 정립되있지 않아서 내가 지금 뭘 배우고 있는지를 모르고 있는경우가 많음 더군다나 중학교때 배운 개념이 중복확장되는거라 넋놓고 있다 놓치거나 심지어 선생님들이 다 아는거지? 하고 대충 넘어가는 경우도 생김
@루화-h4s
@루화-h4s 3 жыл бұрын
고2 수1 1학기에서 나가리한 분들 계세요..?진짜 지수 로그도 개같지만 삼각함수를 처음 만났을 때 정신 나가는 줄 알았어요…학원쌤 왈 지수 로그에서부터 눈에 빛이 사라졌다는 소리를 듣고도 삼각함수를 놓지 않은 멍청이는 결국 고2 시험기간에 현타 맞으면서 질질 짰답니다~~~정말 삼각함수 개주옥같은 것^^
@ether7465
@ether7465 3 жыл бұрын
삼각함수 처음에 할때 진짜 뒤지는줄 알았음 ㅌㅋㅋ
@론리-z5e
@론리-z5e 2 жыл бұрын
중3 삼각비에서 멈칫을 느끼고, 고1에 판별식, 나머지 정리 등등 배우면서 수학에 뇌정지 옵니다. 삼각함수 배오면 포기 마려워져요.
@힝꾸-v1m
@힝꾸-v1m 3 жыл бұрын
난 중딩때 닮음에서 포기하고 고1때 다시 재미붙이다가 미적분에서 수학과 사랑에 빠짐
@user-yv3vm6qm9w
@user-yv3vm6qm9w Жыл бұрын
고1때 현타와서 때려치웠다가 겨울방학되어서야 다시 잡고 수1 하는데 지수로그함수 삼각함수 수열? 다 괜찮음 풀다보면 재밌음 하지만 로그에서 막힘 걍 허탈함 로그함수는 잘만 풀리는데 로그만 나오는 문제를 못플겠음 지수로그부등식도 못해먹겠고 삼각함수 방정식부등식 못하겠음ㅅㅂ 하…… 할수있는데 없는데요
@은재-o4z
@은재-o4z 3 жыл бұрын
미누형,, 비밀연애하면 안 들킬 줄 알았지?? 다 보여.....
@x1a108
@x1a108 3 жыл бұрын
누워서 맘 편하게 보고 있는 기삼이면 개추 ㅋㅋ
@이상진-l1h7q
@이상진-l1h7q Жыл бұрын
기삼이머죠
@iamkjoker
@iamkjoker 3 жыл бұрын
롤과 접목시키는 거 쌉천잰데?
@이유빈-l9u
@이유빈-l9u 3 жыл бұрын
원방은 쉬웠는데 경우의 수가 ㄹㅇ 개빡친다 아무리 풀어도 답이 안 나올 때가 많음
@황우진-x3m
@황우진-x3m 9 күн бұрын
경우의수는 5,6등급이 풀어도 답은 무조건 나오지 하지만 그답이 틀릴뿐
@Hosu_
@Hosu_ 3 жыл бұрын
중1 첫 수학 최소공배수 이거보고 뭐야 중학교 수학 쉽지 했다가 이후에 함수 나오고 ㅈㅈ침 그리고 다시 해보려다가 이항이라는 걸 배우고나서 갑자기 +가 -가 되고 왔다리갔다리 해서 다시 ㅈㅈ침 다른 과목 1~3등급 나올 때 수학 혼자 5~6등급 나옴
@뭉탱이뭉탱이-n8t
@뭉탱이뭉탱이-n8t 3 жыл бұрын
정보)최소공배수는 특수함수이다.
@idarimath
@idarimath 3 жыл бұрын
그런 학생들을 위한 채널을 만들었습니다.
@anyounghasaeyo
@anyounghasaeyo 3 жыл бұрын
진짜 제일 고통스러운건 가우스 기호
@suhyun_87
@suhyun_87 3 жыл бұрын
ㅇㅈ 가우스 기호 진심으로 죽여버리고 싶음
@Yubin_Lee_Doramelin
@Yubin_Lee_Doramelin 3 жыл бұрын
최대 정수 함수 특유의 불연속성 때문에 정말 짜증나죠. ㅋㅋㅋㅋㅋㅋ
@user-peirzmoanneent
@user-peirzmoanneent 3 жыл бұрын
일단 절댓값 가우스 복소수 나오면 문제가 아무리 쉬워도 한숨부터 나옴
@남한교회
@남한교회 3 жыл бұрын
한참 전에 교육과정 삭제라 감사 넣어달라 하면 다 걸린다는 그것 , [ ]
@푸주-n6c
@푸주-n6c 2 жыл бұрын
나 근데 도형 닮음 찾는게 제일 쉽던데 수학이제 뭐 선택해야함 기하 재능있는 거일 지도?
@김잇나우
@김잇나우 6 ай бұрын
중학교 사인 코사인은 쉬운데 심각함수 들어가는 순간 고되지,,,
@seulee2
@seulee2 3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 부등식 진짜 찢어버리고싶음 특히 절댓값 포함 부등식
@영왕
@영왕 2 жыл бұрын
개열받는게 고1때 허수 i^2=-1 배우고 대학에서는 복소평면에 회전변환에..하 ㅋㅋ
@directordr29
@directordr29 3 жыл бұрын
솔직히 나는 작도가 젤 어려웠는데 자 가져오고 완벽하게 그렸는데 미세한 차이 때문에 성립이 안됨 그게 진짜 조오오오옹나 빡침
@idarimath
@idarimath 3 жыл бұрын
사람 손이 다 그렇습니다. 과학!
@혁진김-i3m
@혁진김-i3m 2 жыл бұрын
"포기 했으면 수능 미적 와주면 안될까?"
REAL or FAKE? #beatbox #tiktok
01:03
BeatboxJCOP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Mom Hack for Cooking Solo with a Little One! 🍳👶
00:15
5-Minute Crafts HOUSE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
Гениальное изобретение из обычного стаканчика!
00:31
Лютая физика | Олимпиадная физика
Рет қаралды 4,8 МЛН
밤새 핸드폰 없이 수능특강 풀어봤습니다 | 연고티비
13:39
경희대한의대 본과 1학년의 살아남기 대작전
10:52
한의대생 지니
Рет қаралды 8 М.
공부 집중을 못하는 사람들에게
7:40
유휘운-공무원변호사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REAL or FAKE? #beatbox #tiktok
01:03
BeatboxJCOP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