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집중을 못하는 사람들에게

  Рет қаралды 1,327,944

유휘운-공무원변호사

유휘운-공무원변호사

2 жыл бұрын

#집중 #유휘운행정법 #메가공무원

Пікірлер: 614
@public_lawyer
@public_lawyer 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유휘운 변호사 입니다. 제 강의와 교재 입니다. 1. 강의 - 메가공무원 : www.megagong.net/teacher/home.asp?bcode=allawyer - 메가소방 : sobang.megagong.net/teacher/home.asp?bcode=allawyer - 메가군무원 : army.megagong.net/teacher/home.asp?bcode=allawyer 2. 교재 - 기본+기출서(기풀기) : www.yes24.com/Product/Goods/102792892 - 요약서(요트) : www.yes24.com/Product/Goods/103153649 - 기출집(진출) : www.yes24.com/Product/Goods/104521959 - 파이널(요트플러스) : www.yes24.com/Product/Goods/106030352
@ellesejung389
@ellesejung389 2 жыл бұрын
머리말!
@Asian_American_Christian_Love
@Asian_American_Christian_Love 5 ай бұрын
똘똘하시네여
@highwaylonesome9630
@highwaylonesome9630 2 ай бұрын
선생님 공시생은 아니지만 상담 가능하실까요?.?
@user-cn4rv1hi4j
@user-cn4rv1hi4j 2 ай бұрын
@@ellesejung389오 이거 쓸라고 들어왔는데 있네요 편-안
@user-oi4um1fd7u
@user-oi4um1fd7u 2 жыл бұрын
집중이 잘 되는 날 = 쓰지말고 머리로 드럽게 집중안되거나, 잡생각 날때= 손으로 쓰면서 말하면서 해라 근데 항상 쓰면서 공부하면 안된다 뇌를 뇌로 이기려하지말고 뇌를 몸으로(말, 손으로 쓰며) 이겨라
@pa_rang
@pa_rang 2 жыл бұрын
진짜 소름인게 집중 안될때 쓰면서 공부하다가, 집중되기 시작하면 쓰는 시간이 아깝다는 생각이 들면서, 자연스럽게 읽으며 집중해서 공부하게 되더라고요... 은연중에 가지고 있던 생각을 확실하게 정리해주신 것 같아서 정말 감사합니다!
@user-vg4og7nd8b
@user-vg4og7nd8b 2 жыл бұрын
오오 저도 그래여
@user-ms8zz1oo1u
@user-ms8zz1oo1u 2 жыл бұрын
와 이말 진짜 맞는말ㅇㅇㅇㅇㅇ 집중 안돼서 쓰기시작하면 어느순간 몰입되는데 딱 그때부터 쓰는시간 아깝다 느껴지면서 읽으면서 공부ㅇㅇㅇㅇ
@user-wn9qf5ff5e
@user-wn9qf5ff5e 2 жыл бұрын
ㅇㅈ. 손아프고 오히려 쓰면서 하면 시간아까움. 읽고 머리로 정리하는게 더 효율좋음
@song8013
@song8013 2 жыл бұрын
극공감
@min_08_34
@min_08_34 2 жыл бұрын
맞음 쓰다가 시간도아깝고 손만 아프단생각만듬 그래서 다시 읽음 근데 또 집중안돼 ㅋ무한 반복중
@user-ww2gd6nb8l
@user-ww2gd6nb8l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조차 집중 못했다. 미치겠다
@user-ue2um2tw2r
@user-ue2um2tw2r Жыл бұрын
잡생각이 많은 거 같습니다
@user-pw4ux2yw5p
@user-pw4ux2yw5p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molmong5704
@molmong570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qt1zm2cc2s
@user-qt1zm2cc2s Жыл бұрын
그럼 잠을 자요
@user-ei7ls1nh2s
@user-ei7ls1nh2s Жыл бұрын
ㅅㅂ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ki6ds4zy4k
@user-ki6ds4zy4k 2 жыл бұрын
굉장히 인상깊은 강의였습니다. 뇌를 이기기위해서 몸이 먼저 움직여야한다는 말에 완전히 공감합니다. 사람의 감정은 행동과 동시에 일어난다는 얘기가 떠오르네요. 우울해서 가만히있는게아니라 우울한데 가만히 있기까지해서 감정에 빠져든다는 얘기를 들은적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몸을 움직임으로써 감정을 이겨내야한다고들 이야기하죠. 말씀해주신 쓰기와 읽기도 감정과 행동에 일맥상통하는 내용이라는 생각이드네요. 감사합니다.
@user-vd9pg8co7u
@user-vd9pg8co7u 8 ай бұрын
@@user-fe6se9in2r플러스 습관
@user-uy1xx3td7d
@user-uy1xx3td7d 2 жыл бұрын
제 경험으로는 집중력은 간절함과 비례하는 것 같아요 공무원형들과 이야기해보면 열심히 한 놈이 합격하는게 아니라 발등에 불떨어진 놈이 붙는다고 합니다 책을 손에 놓으면 심장이 두근거리고 할때요~ 그리고 읽기로 반복해서 공부하고 쓰기로 공부한것을 검증하는 것이 저한테는 제일 좋더라고요 저는 이 방법으로 공공기관 8급대우 합격했습니다
@eslee0070020
@eslee0070020 2 жыл бұрын
그니까 이건 간절함이 덜한상태에서 집중이 안될때 쓰는법이니까요 ㅎ 간절하면 누구나 집중 잘합니다. 간절함의 종류도 많죠
@user-kh5ec5qf7c
@user-kh5ec5qf7c 2 жыл бұрын
조언 감사합니다. 제 생각이지만 저는 완벽한 공부는 책의 내용을 선생님급으로 설명할수있어야지 공부라 생각합니다. 항공정비과를 졸업하고 과에서 5등안에 들었지만 결국은 내용정리후 몇번쓰고 읽고 질문을통해 답변하는식이 좋다고 봅니다.ㅎㅎ 공부도 혼자보다는 하려는 친구들과 질문자와 대답을 하는사람이 있어야 한다는 생각이 듭니다. 공부라는건 끝이 없음을 깨달았습니다.ㅎㅎ.. 26살이지만 모든지 도전하고 노려하는 천재가 되고싶은 남자의 티엠아이 입니다..ㅋㅋㄱㅋ
@gang2631
@gang2631 2 жыл бұрын
원래 간절함 없으면 사람이 나태해지고 안일해짐
@user-qg5mp7uj4t
@user-qg5mp7uj4t 2 жыл бұрын
이거 진짜 효과좋습니다! 여러번 직접해보고 말씀드립니다. 좋은 정보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는 극한의 효율성을 추구하는 타입이라 읽고 쓰는 과정을 최소화하고 머릿속으로 생각하는 시간을 많이 갖는 공부를 해왔습니다. 이게 확실히 효율성은 압도적으로 좋습니다. 근데 공부를 쉬다가 다시하거나 등의 집중이 안되는 상태에선 잡생각이 가득차서 집중하기 어려운데, 이때도 생각하는 공부만 고수하느라 집중하는데 오래걸렸었습니다. 그래서 집중이 안될때는 읽고 쓰는 몸을 쓰는 방식으로 집중도를 만드는 방법이 저에겐 정말 필요했고 효과도 좋더라구요! 꼭 해보시길..!!
@jjj-iu9up
@jjj-iu9up Жыл бұрын
머리는 몸으로 이기는 거라는 게 대단히 통찰력 있는 말씀이네요
@soyeongjee7099
@soyeongjee7099 2 жыл бұрын
공부안될 때마다 주옥같은 영상 감사합니다 (부작용으로 점점 잘생겨보임)
@aidanielman
@aidanielman 2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잘생기지 않은 사람도 그 사람에게 감동하고, 고마우면 좋아하게 되고, 잘생겨 보입니다.ㅎㅎ
@mengbaki
@mengbaki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부작용
@user-dx9oc6kw6g
@user-dx9oc6kw6g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 너무 공감돼요ㅋㅋㅋㅋㅋㅋ
@hoyeonyoon5177
@hoyeonyoon5177 2 жыл бұрын
정말 단순명료한 결론인데.. 집중이 안 돼서 문제라고 생각하면서도 고민해보지 않았기 때문에 몰랐어요. 정말 감사합니다!
@user-ho8tb7om3i
@user-ho8tb7om3i 5 ай бұрын
쓰는 공부는 그냥 책에 써있는걸 옮겨적으라는 뜻이 아니라 본인이 이해한 언어로 정리하고 책의 목차 논리 흐름구조를 스스로 그리면서 공부하라는 뜻입니다…
@user-pt9fz3dx4v
@user-pt9fz3dx4v 3 ай бұрын
이해 자체가 안 되면요?
@user-xb9gm5ed3y
@user-xb9gm5ed3y 3 ай бұрын
@@user-pt9fz3dx4v독서하세요
@user-iq7en1lg3i
@user-iq7en1lg3i 2 жыл бұрын
요약: 읽는게 효율성이 더 높다. 그러므로 집중이 잘되는 날은 읽고 머리로 공부를 하는게 더 효율적이다. 쓰는건 사실 노동이다 그러므로 효율성이 낮다. 하지만 쓰면서도 뇌를 사용하기 때문에 집중이 덜 되는 날은 쓴다. 집중이 안되는데 "집중을 더 해야지" 라고 생각하고 행동하는건 거의 불가능하다. 하지만 손은 내 마음대로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쓰면서도 뇌를 사용하기 때문에 집중이 안되면 쓴다. 머리는 머리로 이기는게 아니라 몸으로 이기는거다.
@marugasae
@marugasae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zs6ln7er6h
@user-zs6ln7er6h 2 жыл бұрын
와 요약 잘해주셨다
@epfxm6596
@epfxm6596 3 ай бұрын
쓰는것도 많이 노동하게 되면 그것도 잡생각이 들어오기 때문에 다시 읽는것으로 무한반복한다! 결국 체력이 좋아야된다ㅎ인간은 모든게 체력싸움이다!
@user-tk3ju1kd8v
@user-tk3ju1kd8v 2 жыл бұрын
한 문장도 틀리면 안되는 것들은 쓰면서 외워야 정확하게 외워지더라구요.. 특히 주관식 시험은 문장을 어느정도 외워야해서 키워드 중심으로 쓰면서 공부해요~ 객관식이라면 읽는 걸 반복해서 충분히 가능하지만 주관식은 쓰기도 좀 포함 되어야하지않을까요?ㅠ
@attorney_k4269
@attorney_k4269 2 жыл бұрын
주관식은 읽는거 반복하면서 외우다가, 확인할 때 쓰는 형식으로 해야죠.
@ho_woo
@ho_woo 2 жыл бұрын
저도 서술형시험 준비중인데, 키워드표시+두문자암기+현출.. 걍 이것만 무한 반복인것 같아요 ㅜ 손목관리 잘하시구요!
@user-tk3ju1kd8v
@user-tk3ju1kd8v 2 жыл бұрын
1차 합격했습니다! 임용고시라ㅠㅠ
@user-tb5bu3rh4j
@user-tb5bu3rh4j 2 жыл бұрын
공부말고도 일상생활에서도 쓰일수있는 좋은 말씀이신듯
@guskj2
@guskj2 2 жыл бұрын
직장인인데요. 왠지 정이 가는 강사형님이라 수험생 아닌데도 한번씩 보게 되네요ㅎ 쓰는 거는 음. 머릿속에 있는 걸 꺼내서 써보는 거. 출력은 뇌를 쓰게 되니까 도움이 되는 듯한데. 받아적고 배껴적고 하는 거는 최소로 하는 게 좋다는 생각입니다ㅎ
@user-nb3ho6zs3w
@user-nb3ho6zs3w 2 жыл бұрын
직장인은 직장서 일이나 열심히 하도록
@user-qv7fs7pj7h
@user-qv7fs7pj7h 2 жыл бұрын
찐따들ㅋㅋ
@user-iu6nt1kh2j
@user-iu6nt1kh2j 2 жыл бұрын
선생님 항상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aaaa61616
@aaaa61616 2 жыл бұрын
하고있던방법이 괜찮은방법이었다는것을 영상보고 공감했습니다 ㅎㅎ 진짜좋은영상
@jinchoi6669
@jinchoi6669 2 жыл бұрын
저도 어렴풋이 생각했던걸 명쾌하게 말씀해주시네요. 어떤날은 쓰면서 시작하니 술술 풀리는데 어떤날은 손만 아프고 낭비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대부분 전자는 앉자마자 공부시작할 때가 그렇고 후자는 한창 공부가 잘될때 뇌의 사고속도를 손이 못따라오니 답답하더라구요. 두 공부법을 고민하는 학생들이 많은데 보여주고 싶은 영상이네요.
@user-en3me8en8u
@user-en3me8en8u 2 жыл бұрын
만약 수학같은 과목을 공부할때 문제를 풀면서 집중이 안된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문제를 계속 써봐야 하나요? 문제가 안풀리거나 조금이라도 막히면 굉장히 집중이 풀리네요 ㅜㅜ 수학을 떠나서도 문제를 풀면서 집중이 안되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user-ye5mh6dh3p
@user-ye5mh6dh3p 2 жыл бұрын
진짜 공감하는게 ... 논문 읽을때 처음엔 형형색색 형광펜 막 쓰다가 어느 부분부터 깨끗하게 읽혀요 ㅋㅋㅋㅋㅋ 물론 어려고 호흡이 길고 핵심적인 논문은 끝까지 더럽게 읽지만... 이제 논문 쓰는 시기인데.. 개요 한장 쓰다보면 서론 열장되고, 서론 열장이 본론 60장이 되더라구요...
@youto8160
@youto8160 2 жыл бұрын
공부 유튜버 많이 보는데 정말 볼때마다 본질을 배우면서 정말 많이 배웁니다😀 👍
@kjs_821
@kjs_821 Жыл бұрын
저도 공감해요 책에 있는걸 모두 다시 글자로 적으면 시간과 노동이지만 요약해서 요약트로 만들면 다시 읽을때도 가독성도 좋고 더 쉽게 이해하게 되는것 같더라고오
@cslee1352
@cslee1352 2 жыл бұрын
좋은 내용이네요! 역시 어떤 공부법이든 원리를 알고 이용해야 잘활용할 수 있는거 같아요 ㅎㅎ
@user-bm4ml4dp5u
@user-bm4ml4dp5u 2 жыл бұрын
집중이 안돼니 쓰면서 공부 한다 뇌를 이기는것이 몸이다 하지만 너무 자주하면 효율이 떨어진다
@pphillip3684
@pphillip3684 2 жыл бұрын
@user-nb3ho6zs3w
@user-nb3ho6zs3w 2 жыл бұрын
한글 공부부터 ㅉㅉ
@user-wf3em4sm7c
@user-wf3em4sm7c 2 жыл бұрын
@@user-nb3ho6zs3w 예절 공부부터
@Tanklorry
@Tanklorry 2 жыл бұрын
쓰는거보다 키보드가 익숙한 여러분들 암기할때 키보드타이핑하면서 암기하면 집중 잘되고 잘외워져요 개짱임 ㅋㅋ
@peachbling
@peachbling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nm6zc9jh4q
@user-nm6zc9jh4q 2 жыл бұрын
한번 해봐야 겠네요 ㅋㅋ
@user-ep5fp1cb8l
@user-ep5fp1cb8l 2 жыл бұрын
키보드를 외워야겠다...
@Qwerqwer0101
@Qwerqwer0101 2 жыл бұрын
진짜 이거 강츄
@user-of9bt6lm7q
@user-of9bt6lm7q 2 жыл бұрын
오 저도 그렇게 공부해요 ㅎ
@user-gj7hc7se6r
@user-gj7hc7se6r Жыл бұрын
저도 시험을 앞두고 마음이 어지러운데, 예전에 공부 잘 하던 시기를 떠올려보면, 눈으로 공부할때 더 잘 된거같아요. 그 과정에 갈때 필기를 했구요. 정말 맥을 짚어주신거같아서 감사합니다 남은 기간 열심히 해볼수 있을거같아요
@bernardshin6572
@bernardshin6572 2 жыл бұрын
이햐~ 비록 타 강사님께 수강하고있는 학생이지만 잘 보고가요 휘운쌤!! 열공할게요!!!
@jjayong.
@jjayong. 2 жыл бұрын
이제는직렬을 바꾸게되어 행정법을 안하지만 변호사님께 정말 좋은 마인드를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Raynortax
@Raynortax 2 жыл бұрын
쓰냐 읽냐의 행위를 이분법하는게 아니라 쓰는것과 읽는것의 효율과 그 본질을 다시한번 상기시키는 내용이네요...감사합니다
@user-bp6ce7sf8y
@user-bp6ce7sf8y 2 жыл бұрын
쌤 잘지내고 계신가요! 저는 요번 소방직 광탈하고 23년도 준비중인 소시생입니다. 혹시 강사님들께서 이건 외워라 중요하다 보다 강사님들끼리 우스겟소리로 하는 말씀이 더 기억에 오래 남는 것은 어떤 원리일까요... 진짜 한번 스쳐간것 뿐인데 강사님들께서 지나가듯 하시던 말씀들이 기억나 맞춘 지문이 은근 많네요!
@omissionbias
@omissionbias 11 ай бұрын
first in, last out 후배님 합격하셨을까요!?
@user-bp6ce7sf8y
@user-bp6ce7sf8y 10 ай бұрын
@@omissionbias 선배님 현재는 여러가지 사정으로 소방안전관리자 자격을 취득해 소방안전관리 업무 중에 있고 올해 시험은 보지 못하였습니다. 누군가의 생명을 지키는 것이 무겁고 어려운 일이기에 조금 더 저를 단련하여 선배님 뒤를 따라가도록 하겠습니다. 항상 몸 조심 하십시오. 안전!
@user-sp9yy5qx8x
@user-sp9yy5qx8x 2 жыл бұрын
다른쪽에서 공부하고 있지만 선생님의 조언 잊지 않겠습니다 게을렀던 저에게 하나의 영감을 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danielhealy3910
@danielhealy3910 2 жыл бұрын
나는 이 사람 강의 듣지도 않는데 이런 성찰은 진짜 새겨야 겠다. 확 와닿네, 이겨내야지 져왔던 것에 대해서.
@hhhkkk935
@hhhkkk935 2 жыл бұрын
따끔한 말씀 감사합니다.타수험생으로서 나태해진 마음 다잡고 갑니다.
@hongssem
@hongssem 2 жыл бұрын
매우 좋은 영상입니다~! 우리 꼬맹이들에게도 전달해야겠네욥
@abstractperson9704
@abstractperson9704 2 жыл бұрын
진짜로 이건 ㄹㅇ 맞는 말이다
@user-yy1mb4xt4y
@user-yy1mb4xt4y 2 жыл бұрын
우와..명쾌한 답변 감사합니다 선생님!
@user-gp2xh5dr8s
@user-gp2xh5dr8s 2 жыл бұрын
전에는 쓰는공부 위주로 강제로 집중하면서, 후에 복습을 필기한 판서내용을 쓱 보면서 점검하는 식으로 했는데... 시간도 오래 걸리고 아무튼.... 머리에 공부한게 점점 쌓이다 보면 나중에는 자연스럽게 필기도 줄어들고 필요한 내용만 받아적게 되더라구요 같은 고민을 하고 있었는데 명시화해주셔서 감사해요 ☺️
@haopakkeli6555
@haopakkeli6555 2 жыл бұрын
말하는게 외우는 데 최고임 쓰기보다 빠르고 잡생각도 없앨 수 잇고
@tjsghk-hj5cp
@tjsghk-hj5cp 2 жыл бұрын
시작이 반이네요 뇌를 뇌로 이기지 말고 행동하자 뭔가를 쓰자
@user-et6yb8iw3v
@user-et6yb8iw3v Жыл бұрын
진짜.. 세상에 정답은 없지만 이것만큼은 정답입니다. 막연하게 생각하고 있었는데 제대로 짚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집중이 흐려지는 시기에 덕분에 도움 많이 되었습니다.
@user-ch6fz9nu4z
@user-ch6fz9nu4z 2 жыл бұрын
감사해요 지금 이순간부터 공부 너무 안될때 작성하면서 공부할게요
@user-xe1mq7tz4y
@user-xe1mq7tz4y 2 жыл бұрын
와.. 정확하게 짚어내시네요 ㅠㅠ 저도 읽기로 시작해서 차근차근 힘들어지고 집중이 안될 때 쓰기라도 하더라구요
@namuliky
@namuliky 2 жыл бұрын
참으로 탁월합니다. 빨리 접하지 못한 걸 후회가 될 정도입니다.
@markko1723
@markko1723 2 жыл бұрын
알고리즘에 이끌려 좋은 영상 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Aaron-zu8xc
@Aaron-zu8xc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바로 구독 했습니다 ㅎㅎ 저같은 성인 수험생분들 뿐만 아니라 공부에 열정있는 초중고 학생들에게도 도움 되는 영상같아요
@user-wl4yr2qi2c
@user-wl4yr2qi2c 2 жыл бұрын
공부하는데 영상너무 도움이됩니다. 담에 기회가된다면 암기과목아닌 수학과학같은 이과과목에 대해서도 변호사님 생각을 들어보고싶네요
@lights6220
@lights6220 2 жыл бұрын
6:56 머릿말 먼저 써. 그리고 나서 책 써. 넛지를 당한 것. 구체적이고 실천적이고 하기 쉬움. 근데 하다보면 자연스럽게 계획을 세우게 됨. (vs. 계획을 충실히 세우고 책 써 - 굉장히 추상적이고 막연하고 어려움)
@anju3097
@anju3097 2 жыл бұрын
2:32 4:43 집중이 잘 되는 상태면 굳이 쓸 필요없이 생각으로 해낼 수 있지만, 집중이 어려우면 머릿말을 쓰는둥. 내가 뭘 하려고 하는건지?부터 내가 할려는게 뭐지? 지금 뭐해야되지? 아 이거군. 일단 뭐해야되는지 적어놓고 이걸 어떻게 구현하지? 어떤식으로 계획할까? 뭐부터 해야될까?
@user-dp2xq2my1i
@user-dp2xq2my1i 2 жыл бұрын
저는 그래서 안될 때 서서합니다. 특히 읽기는 서서하는게 훨씬 잘되더라고요. 그래서 스터디카페 등록할 때 제일 중요하게 보는게 스탠딩 테이블 있는지 입니다. 스탠딩 테이블은 보통 오픈된 공간에 있어서 남 시선이 있다보니 약간의 강제력도 있어서 좋습니다.
@user-in2bg4vw9k
@user-in2bg4vw9k 2 жыл бұрын
타수험생인데 알고리즘에 이끌려 보게 됐다가 말씀이 너무 좋아서 구독하고 챙겨보고 있어요 ㅎ
@user-we2sz2nh7s
@user-we2sz2nh7s Жыл бұрын
확실히 학창 시절 ~ 대학교 상위권/학점 좋은 친구들 보면 전반적으로 집중력이 좋기는 한데, 낮은 친구들도 본인만의 루틴으로 해결하더라고요. 가령 말씀하신 대로 머리말을 적고 오늘 공부에 대해서 큰 틀을 잡는다든지 하는.. 이 친구들은 공부 시간이 항상 꾸준하다 보니까 누적복습도 생활화되어 있더라고요. 확실히 느꼈었습니다. 학점 좋은 친구들도 술은 잘 먹는데 술 먹기 전까지 책 봅니다 ㅋㅋㅋㅋ
@user-id8ry6hg6k
@user-id8ry6hg6k 2 жыл бұрын
수험생은 아니지만 말씀하시는게 다른 강사들이랑 다르게 때가 덜 묻으신것 같아서 좋은 느낌으로 영상 보았습니다. 번창하세요.!
@animalover1426
@animalover1426 2 жыл бұрын
외운걸 백지에다가 쭈욱 써보는거 해보니까 읽는 공부보다 확실히 시간은 많이 걸리더군요. 머리로 쭈욱 외는거 보다 한 20에서 30분 정도 더 걸리는 것 같습니다. 그랴도 둘다 괜찮은 방법 같습니다. 특히 살짝 흐려진 기억을 다시 붙잡는데는 쓰는 방법이 괜찮은것 같습니다.
@seattle0728
@seattle0728 8 ай бұрын
요새 쓰기와 읽기를 분배해가며 공부하다 문득 뭐가 더 효율적일까 궁금했었는데 정확한 답변이 이 영상에 있어서 너무 신기하고 많은 도움이 되었어요. 감사합니다. 😊
@Oh-Owen
@Oh-Owen 2 жыл бұрын
시험이라는 존재 자체의 최고 위엄이자 난이도 있고 모두가 어려워한다는 그 사법고시를 통과하시고 수험생들을 가르치시는분이라 그런지 역시 남다르시네요... 대학 졸업하고 현재 보안회사 근무중인데 군대갔다와서 머리가 굳은건지 경비지도사 시험공부 집중도 안되고 참 답답해서 한숨나오고 사실 이 영상을 보고도 무슨말인지 이해를 못했는데 댓글에 요약해주신분 댓글보고 그제서야 이해했습니다 ㅠㅠ 제가 머리가 나빠서 시험공부를 못한다고 생각했고 주변에선 그런문제가 절대 아니라고 했는데 진짜 그게 아니었던것 같아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열심히 일하며 공부해서 합격하고 꼭 밝은 미래를 그려나가겠습니다^^
@user-bq6bk7xu3v
@user-bq6bk7xu3v 2 жыл бұрын
묘자리나 알아보세요~
@user-md9iv2ue2z
@user-md9iv2ue2z 2 жыл бұрын
@@user-bq6bk7xu3v 너나알아봐
@user-gd2yv4un4z
@user-gd2yv4un4z 2 жыл бұрын
@@user-bq6bk7xu3v 머야 ㅋㅋㅋㅋ 진짜 어이가 없어서 웃음이 나오네 ㅋㅋㅋㅋ
@udtudt46
@udtudt46 Жыл бұрын
나도 지금 경비지도사공부중요. 경비지도사 ㅎ합겼하셨나요
@udtudt46
@udtudt46 Жыл бұрын
​@@user-bq6bk7xu3v 미첫나
@user-fx7im8lv7e
@user-fx7im8lv7e 2 жыл бұрын
집중이 안되는 이유에서만 쓰면서 공부하는건 아닙니다 내용이 많거나 어려우면 논리와 생각을 시각화 해야 쉽게 파악할수 있고 정리할수 있습니다.
@michi5440
@michi5440 3 ай бұрын
당연히 도식화하고 생각 정리하는 쓰기는 효율적인 방법이죠. 전 옛날 사람이라서 그런지 쓰기 공부라고 하면 빡빡이나 깜지처럼 연습장에 시커멓게 손운동하는 걸 생각했는데,,,ㅋㅋ 중학교 때 담임이 매일 연습장 확인하고 사인해주고 목표량 못채우면 엎어놓고 몽둥이로 후드려 패던 생각이 나네요. 그 당시 숙제처럼 연습장을 까맣게 채우며 이 짓을 왜 하고 있나 싶었던 적이 한두번이 아니었는데. 영상의 내용은 의미없이 손운동만하게 되는 쓰기를 말하는 것 같아요.
@user-uz8vt3bq7n
@user-uz8vt3bq7n 2 жыл бұрын
최근에 들은 말 중에 가장 현실적인 조언이라고 생각합니다~~!
@user-zu2ri6po3m
@user-zu2ri6po3m 2 жыл бұрын
속이 뻥 뚫리는 강의 감사드립니다. 앞으로의 공부 스타일을 정립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seolkoko
@seolkoko 2 жыл бұрын
이것도 끝까지 못보는 집중력을 가진 나 레전드 ..
@user-bu5um6ho6e
@user-bu5um6ho6e 2 жыл бұрын
30초보고 끄려다가 이 글 보고 끝까지 보게 되었어요 고마워요 설명충!
@selfguy5853
@selfguy5853 2 жыл бұрын
쓰면서 하는게 좋은지 읽으면서 하는게 나한테 맞는지, 그거부터 파악을 해야하죠, 그걸 부모 혹은 가리치는분께서 캐치를 해줘야죠.
@maroangel8525
@maroangel8525 2 жыл бұрын
집중은 하는 것이 아니라 되는 것입니다 특정 조건이 충족되면 저절로 이뤄지는 것이죠 그 조건이란 1. 목표의 명확성과 적절한 난이도 2. 산만하지 않은 환경 3. 평온함(불안하지 않음) 4. 자발성 5. 멀티태스킹 상태 제거 이런 조건이 만들어지면 옆에서 집중하지 말라고 그래도 집중하게 됩니다 게임을 한번 예로 들어보죠 1. 목표의 명확성과 난이도 - 게임을 시작했는데 아무런 퀘스트가 없고 아이템이나 점수제 같은 보상도 없습니다 - 게임을 시작했는데 필드에 보스밖에 없습니다 또는 보스가 없고 계속 쪼렙몹만 나옵니다 그 게임을 과연 누가 할까요? 그런 게임에 집중이 되시나요? 공부도 마찬가지입니다 자기한테 맞는 난이도의 퀘스트가 있어야 하고 적당한 보상이 있어야 합니다 2. 산만하지 않은 환경 산만하다는 것은 주의를 빼앗긴다는 의미입니다 오감과 연관이 있죠 - 게임을 하는데 컴퓨터 두대를 켜놓고 한쪽 모니터를 바라보는 상태라면 옆 모니터에 집중을 빼앗길 겁니다 책상이 지저분하거나(자기 스타일이면 제외) 다른 교과서들이 펼쳐져 있다거나 핸드폰에서 동영상이 켜져있으면 시각적인 집중력을 빼앗깁니다 물론 눈동자만 잘 고정시켜놓을 수 있으면 큰 문제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 - 폭주족들이 소음을 내고 옆에서 생일 파티를 하고 있고 윗집에서 음악을 틀어놓는다면 집중할 수가 없습니다 방음, 헤드폰, 귀마개 등으로 소음에서 완벽히 차단될수록 집중력이 높아집니다 - 그밖에 촉각, 후각, 미각(달콤함이나 향기등은 바람직)적인 산만함에서 멀어져야 할 겁니다 3. 평온함 화가 나서 흥분상태라거나 뭔가가 너무 불안하거나 한다면 처음 집중에 들어가기까지 시간이 많이 걸릴 겁니다 편안해지는 음악을 듣거나 반신욕, 족욕 등 기분좋고 편안한 상태에서 집중하기가 더 좋습니다 4. 자발성 자기가 하고 싶은 게임이 있는데 부모님이 강제로 이 게임해라라고 한 상태라면 마음이 내키지가 않죠 반발심이 생깁니다 공부도 마찬가지인데 누가 시켜서 하는게 아니라 결국 자기가 하고 싶어서 해야합니다 사람은 그 어떤 것이 됐든 간에 자기가 하고 싶은 것을 할 때 인내심이 커지고 효율이 높아집니다 나를 위한 일이라고 생각을 해야하는데 남이 시키면 그 사람을 위한 일이라고 생각해서 거부감이 생기게 되겠죠 공부를 열심히 하면 결국 님들 미래의 자기자신한테 도움이 되는 것입니다 5. 멀티태스킹 상태 제거 2번의 산만과 연결되는데 뭔가 할일을 잔뜩 쌓아놓지 말아야 하죠 옷장정리를 해야하는데 그걸 안하고 미뤄두면 뇌는 항상 그걸 해야한다고 여기며 그걸 준비하게 됩니다 공부를 하고 있지만 무의식적으로 옷장정리를 같이 하고 있는 것이죠 해결되지 않은 일들이 잔뜩 쌓여 있는 상태에서는 새로운 일을 시작하기가 어렵습니다 끝내야 할 것들은 끝내 놓는 것이 장기적으로 좋습니다 님들도 공부할 게 잔뜩 밀려있기 때문에 시작하기가 어렵다고 할 수 있죠 이럴 때에는 계획을 다시 세워야 합니다 우리는 슈퍼맨은 아니기 때문에 자기가 할 수 있는 선에 맞춰서 목표를 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계획을 똑바로 세울 필요가 있습니다 계획을 제대로 세웠다면 집중할 수밖에 없습니다 예를 들어서 지금 게임을 하는데 퀘스트가 70% 진행 상황입니다 30%만 더 하면 그 퀘스트가 끝나죠 계획을 제대로 세웠다면 자기가 지금 몇% 정도를 달성했는지 눈대중으로라도 짐작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앞으로 차근차근 채워나갈 일밖에는 없죠 문제는 자기가 지금 몇%정도를 진행했는지를 모르는 상태에서 노력하는 것입니다 롤플레잉 게임을 하는데 레벨과 경험치바가 없는 상태라고 생각하면 되죠 여러분은 그런 재미없고 막연한 게임을 하고 있기 때문에 집중이 안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자기가 할 게임 시스템은 자기가 만들어야겠죠
@go_topG
@go_topG Жыл бұрын
이별후 집중법은요?
@torido758
@torido758 Жыл бұрын
진짜 맞는 말인거 같아요. 역시 공부를 해 본 사람들이 잘 아는거 같네요.
@user-ph1vb2oe7o
@user-ph1vb2oe7o Жыл бұрын
음 쓰면은 쓰는데로 집중안되고 말하면 말해도 집중 안되고 잠시 고개를 돌리거나 환기시키면 잘 되는거 같아요. 유레카의 원리도 박사들이 말하길 무의식에서 나오는거라고 , 계속 고민을 가지고 있기보다 환기가 낫지 않을까요? 저도 아직 해결한건 아닙니다만
@xstp3064
@xstp3064 2 жыл бұрын
후후후... 역시 비율이 있으면 쓰는것은 비율을 적게두고 읽은것에 비율을 늘리라는 소리군요~~~ 감사합니다
@user-fn7vc7bh7o
@user-fn7vc7bh7o 2 жыл бұрын
계획보다 그 계획을 지킬 수 있는 자신만의 넛지를 행하라는 말씀이시네요 그 중 하나가 필기이고 그 밖에도 다양하지만요 ㅋㅋ
@user-vf3kz5qx2v
@user-vf3kz5qx2v 2 жыл бұрын
명쾌한 해답, 집중할게요
@user-nr7pe8sg1w
@user-nr7pe8sg1w 2 жыл бұрын
멋진말씀이시네요!
@user-qg5im5lj6j
@user-qg5im5lj6j 2 жыл бұрын
무의식적으로 잠올때(점심먹고 1-2시쯤) 타과목을 손으로 정리하면서 공부하는 습관이 생겼는데 몸으로 이기려고하는 과정인걸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ㅋㅋ 월요일 라이브도 기대하겠습니다 선생님!
@public_lawyer
@public_lawyer 2 жыл бұрын
최고의 공부법입니다. ^^
@mkcho6442
@mkcho6442 2 жыл бұрын
평소에 잠을 4~5시간 정도 자는데요... 혹시 숙면이 부족해도 집중력이 떨어지나요?? 집중을 잘하려면 숙면시간이 몇시간 정도 되는게 적당한가요??
@madorossj9420
@madorossj9420 11 ай бұрын
잠은 푹자고 공부하세요
@user-xh3et2hx5p
@user-xh3et2hx5p 4 ай бұрын
8시간자야됨 아님 집중안됨
@kwpark1116
@kwpark1116 2 жыл бұрын
진찌 맞는 말씀이네요
@flammaden3945
@flammaden3945 2 жыл бұрын
공부 운에 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객관식과 다르게 사법시험 행정고시 같은 주관식 시험들은 정해진 답이 없고 체점자 주관이 어떻게든 들어갈 수밖에 없어 운의 작용이 크다고 들었습니다. 실제로 똑같이 열심히 공부하는데 사시를 누구는 2년해서 붙는가 반면 누구는 서울대 법대 나와서 10년을 투자했는데고 항상 낙방하는건 과학적인 이유로 설명이 안되고 흔히 될놈될 안될안이라 하듯이 안될 운이면 안된다라는 말이 있는데, 선생님도 사법시험 경험자로써 이 말에 동의 하시나요? 실제로 서울대 고려대 법대 출신임에도 10년 이상 했는데 안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aidanielman
@aidanielman 2 жыл бұрын
유튜버중에 오탈누나라고 연대 나와서 로스쿨 졸업하고 변시 5번 탈락한 누나도 있어요.
@ikc7722
@ikc7722 2 жыл бұрын
당연히 운적인 요소도 크지만 공부시간이 길다고 다 열심히 하는건 아니죠. 한두번은 공부 양이 적어 운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겠지만, 오래하면 그걸 다 커버할 정도로 공부할거기 때문에 오래 해도 안 되는건 그만큼 열심히 안했다고 봐야겠죠.
@user-ms3ib2qj9z
@user-ms3ib2qj9z Жыл бұрын
같은 서울대 같은 과를 나왔다고 해도 자기한테 맞는 시험이 있어요 붙으면 물론 능력 입증이 되는거고.. 어떤 시험도 당연히 내가 공부한게 그해 나온다던지 내가 자신 있는 부분이 더 나왔다건지 하는 운이 있죠…그래도 운만 믿고 갈순 없죠. 그냥 그 사람은 그 시험에 맞지 않는 사람일수도 있어요.. 어릴때야 수능보거나 수시로 가거나 등의 측정방법이 그것밖에 없기땜에 그 공부를 잘하면 서울대 가는거죠. 근데 사회 나와서 보는 여러 종류 시험은 또 다른 능력을 요구하죠. 같은 서울대 나와도 능력치는 거기서 갈라집니다. 자기한테 맞는 시험이나 분야 잘 골라서 올인하는것 그리고 입증해내는것이요. 같은 동기들이 다 고시 준비해서 자기도 할수 있다 생각하고 몇년씩 하다가 점점 머리가 굳고 그정도 머리나 노력 안되서 그냥 공무원 시험.. 그것도 낮은 급으로 붙어서 그냥 다니는 사람도 봤어요. 안타깝지만 같은 대학 나왔다고 능력치가 다 같다고 생각하시면 안될듯요. 그럼 다 사시 보죠. 그 정도의 공부는 못하니까 그냥 회사도 들어가고 다른 길도 선택하는 겁니다. 고시나 사시 정도의 시험은 서울대를 붙은 능력과는 또다른 능력을 요구해요. 물론 다른 시험도 마찬가지. 원래 공부 잘하는 애들이 학창시절에 예체능도 잘하고 하죠. 근데 그때 배우는 수준이 하위이니까 노력으로 카바해서 잘하는거지 그거를 사회가 요구하는 전문가 수준으로 하라고 하면 못해요. 사람은 재능 포함 능력이 다 달라요. 그 능력이 복잡해서 말로 설명 못할뿐. 자기자신이 발견하고 입증하는 길 밖엔 없어요. 될놈은 된다라는 거는 자기 능력을 알고 자기 길을 빨리 캐치해서 노력을 그만큼 갈아 넣어 결국엔 입증해낸다는 것의 다른말. 운은 그걸 도와주는 약간의 양념 정도죠. 어느 정도의 나이까지는 쇼부를 봐야 메리트가 있는거지 평생 도전했는데 안되는게 그게 운인가요. 그 십년 중에 한번은 운이 있었을텐데.. 준비가 안된거겠죠.
@japyungkoo641
@japyungkoo641 Жыл бұрын
윤석열은 서울대법대 나와도 9수했고 이재명은 중대 법대 나와도 재학중에 합격했죠 중대법대라도 서울대법대와 비빌수준은 아닌데 재학중 합격과 9수 만약 운이 나빠서 돈이 없었다면 구백수를 해도 사시못붙었음 9수할
@japyungkoo641
@japyungkoo641 Жыл бұрын
@@user-ms3ib2qj9z 정말 좋은글 감사합니다
@nje246
@nje246 2 жыл бұрын
예를 들어 내가 50만원 받고 영어 과외를 해야 하는데 나는 아는게 거의 없음. 근데 공부를 해야됨. 근데 애가 중간고사 성적이 20점 이상 오르면 과외비 100만원으로 올려준데 내일부터 시작임 이 상황이면 지금 공무원 영어 공부하는 효율 딱 5배 나옴. 쓰는게 효율적? 읽는게 효율적? 이딴 생각 안듬 그냥 무조건 빨리 익히고 생각해보고 뇌 회전이 평상시에 몇배로 돌아감. 이래서 사람들이 공부할 때 남을 가르쳐 보라는 마인드로 공부하라는거구나 하는 말이 공감이 됨. 저런 상황 자체가 나오는게 쉽지 않겠지만 내가 처음 영어 과외 시작할 때 이야기임. 같이 교회 다니는 고1 짜리 애가 공부를 디지게 안했는데 나 대학가고 첫해에 교회 권사님이 애 과외를 부탁했는데 쫌 잘 사는 집안이었음. 성적 올리면 지금보다 과외비 두배로 준다고해서 당시에 영어를 잘하는 편이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ebs 세대라 ebs 버프 받고 영어 성적 나온 전형적인 실력은 없는데 점수만 나온 케이스 18개 직접연계 시절) 일주일동안 과외 준비하는데 진짜 지금까지 공부해본 것 중 최고효율과 집중도가 나옴. 이미 한다고 말하고 선금도 받았고 금액도 2배로 올려준다는데 이걸 어떻게 안함 근데 실력은 없는데 가르칠려니 막막하다가 내가 듣던 강사님 구문&문법 강의 합쳐서 40강 되는거 진짜 5일만에 다 듣고 복습 체화 하는데 일주일도 안걸림. 2주동안 그 많은 양을 다함. 이거보고 느꼈음. 아 인간이 생각보다 똑똑하구나. 평상시에 40강 분량이면 두달이 넘어야 하는 양인데 이걸 2주만에 끝낼 수가 있구나 그래서 학생 96점 만들고 소문나서 과외 그룹으로 그 일대 학생들 16명 했었음. 4명씩 4개조. 교회 공부방에서 했는데 하면 할수록 더 쉬워지고 더 도움되고 정말 내 인생에서 제일 치열하게 살았고 뭔가를 가장 열심히 했던 때였음. 학원 강사로 일하는 지금도 그때처럼 일은 못함. 진짜 집중하려면 저런 상황으로 자꾸 나를 내몰아야됨. 두달에도 버겁던데 2주만에 끝남 이런 마인드로 공부하라는거고 현실적인건 핸드폰으로 유튜브 라이브 켜셈 그리고 공부하는 것을 기록하세요. 그 무슨 어플인가 이용하면 구독자 1000명 안되도 라이브 킬 수 있는걸로 알고있어요 (안되면 녹화를 해서 올리세요 계속) 그리고 댓글로 공부에 대한 스스로의 피드백을 올리세요. 이게 진짜 직빵입니다. 자기의 공부기록이 되기도 하고 일기장처럼 활용도 되고 혹시 누가 보지 않을까 은근 압박도 됩니다. 전 뭐가 안될 때 항상 이 방법씁니다.
@onlyme8401
@onlyme8401 2 жыл бұрын
한 줄 요약 : 공부 - 동기.환경.몰입
@user-lf5cs3hd7v
@user-lf5cs3hd7v 3 ай бұрын
존나기네 쓸데없이
@user-wk9zw3zi3c
@user-wk9zw3zi3c 2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 문장을 쓰면서 공부하는것 보다는 트리형식, 개요식으로 간단간단하게 적어가면서 공부하는게 효율적인거 같아요.
@user-dl9rz7fu5r
@user-dl9rz7fu5r 2 жыл бұрын
유튜브의집중을 공부에 반만 따라갔어도..
@jbs7946
@jbs7946 2 жыл бұрын
쓰기 말하기... 공부를 시작할 수 있도록 나 자신을 부드럽게 설득?하는 기술
@user-js4ij1ql4d
@user-js4ij1ql4d 2 жыл бұрын
공부에대한 궁금중이많았는데 영상보고 바로 구독했어요
@Hamuru_pete
@Hamuru_pete 2 жыл бұрын
쓰기 공부법은 자연스레 집중이 되기 때문에 집중 안 될때 도움이 되지만 사용 되는 시간의 대부분이 노동에 소모 되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집중이 잘 된다 싶을 땐 읽기의 비중을 높이는 것이 좋군요
@athlete9099
@athlete9099 2 жыл бұрын
저도 쓰면서 하니까 공부가 더 잘되네요 다 쓰는게 아니라 목차를 쓰고 떠올려보거나 정리가 안되는부분을 내방식으로 정리해보는등등 ㅎㅎ
@sonny6152
@sonny6152 2 жыл бұрын
뭐지.. 이 알고리즘 뭐지... 집중 안돼서 유튜브 들어왔는데 이 영상 떠서 도움받고 공부하러 갑니다....
@serendipity0923
@serendipity0923 2 жыл бұрын
그냥 무의식적으로 흔히 깜지(?)라고 아무생각없이 막써서 공부하고 나면 집중력이 좀 나아지는게 그거군요.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user-pt2ve8fu4d
@user-pt2ve8fu4d 2 жыл бұрын
조언 감사합니다!!!
@user-ms8zz1oo1u
@user-ms8zz1oo1u 2 жыл бұрын
이렇게 공부하고 있었는데 잘하고 있었네ㅠㅠㅠ기특한 내자신
@user-ek5tr5lm5m
@user-ek5tr5lm5m 2 жыл бұрын
집중이 안된다는건 지금 자신이 하기 싫어하는걸 억지로 하고있기 때문입니다. 자신이 정말 좋아서 하는것 또는 관심 있어서 흥미를 가지면 집중이 됩니다.
@HANHAN-gj4bk
@HANHAN-gj4bk 4 ай бұрын
하 정답 같습니다 간절하지만 정말 공부는 하기 싫고 늘 어렵네요
@user-fp4rk8er5m
@user-fp4rk8er5m 2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좋은 영상 이제서야 봐서 너무나 안타깝습니다... 감사합니다 ㅎㅎ
@user-jd8dg3ft1w
@user-jd8dg3ft1w 2 жыл бұрын
아무리 빨리써도 뇌의 생각 속도를 따라갈수없죠 제 생각에는 쓰면서 공부하되 그 쓰면서라는게 지문을 그대로 쓰는것이 아니라 개괄적인 내용정도만 쓰고 뒷부분은 빠르게 무슨 내용인지 읊조리고 가는게 가장 효율적입니다 물온 읊조리는게 가능하려면 암기가 되어있다는 전제하죠 끄적이면서 생각하는 암기가 가장 좋다고 봅니다
@jeonghoonyoo8081
@jeonghoonyoo8081 2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 잘 듣고 갑니다.
@user-zg8zc4fe5g
@user-zg8zc4fe5g 11 ай бұрын
정말 유익한영상입니다 감사합니다^^
@olivia-hr3dz
@olivia-hr3dz 2 жыл бұрын
와..역시 이과생의 본질 꿰뚫기.
@user-bz9jy6fk9i
@user-bz9jy6fk9i 2 жыл бұрын
애초에 정답은 없는데 일반인은 다 무ㅏ가 좋나요 뭐가 맞나요 묻지 그딴게 어딨음 대체 그냥 자신의단계에 맞게 공부하는건데 자기객관화가 안되있으니까 내가 어디 위치인지 모르는거지 어느정도 수준에 있는 사람은 뭐로 해야하나요 라고 안물음? 그건 알아서 어떻게 해야할까요 묻지
@user-ir1dd2lb2e
@user-ir1dd2lb2e 2 жыл бұрын
왤케 화난 말투임
@codetofu
@codetofu 2 жыл бұрын
30분마다 가벼운운동이나 짧은휴식을 취하면 집중력 유지되더라고요
@allc8521
@allc8521 2 жыл бұрын
머릿말 먼저 쓰라는 말에서 머리를 한 대 얻어맞은 느낌이었습니다. 댓글은 참 오랜만에 다는데, 덕분에 여러 가지로 도움받았습니다. 잘 보고 갑니다.
@user-uo9rg6gn8k
@user-uo9rg6gn8k 2 жыл бұрын
주옥같은 조언… 짝짝짝
@ice-ur5dt
@ice-ur5dt 2 жыл бұрын
쌤 감사합니다💜💛💚💙❤
@silkyguys
@silkyguys 2 жыл бұрын
뇌를 뇌로 이기는 것이아닌 몸으로 이겨라... 운동을 한 번...
@kaioh1384
@kaioh1384 2 жыл бұрын
크... 잘듣고갑니다. 취준생이라 매일 실천해야하는게 잘 안됐는데 일단 쓰는걸로 시작을 하면서 습관을 들여봐야겠네요
@cyx_yw
@cyx_yw 2 жыл бұрын
무엇이 되었든 일단 시작을 해보는게 맞겠네요
@hayoungsong2354
@hayoungsong2354 8 ай бұрын
저는 공시생은 아니고 그냥 이 채널 좋아해서 가끔 보는데 정말 맞는 말 같습니다. 저는 쓰는 건 시간이 많이 드는 거 같아서 집중 안될 때 중요문장 찾아서 형광펜 밑줄 긋기를 합니다. 몸으로 뇌를 이긴다라고 볼 수도 있겠지만 추상적 활동인 공부를 구체적인 활동으로 바꾸면 집중력이 늘어나는 것 같습니다.
@user-tp5pw3dp5q
@user-tp5pw3dp5q Жыл бұрын
수능치고 의대가서 졸업해서 현직 의사인 저도 이걸 보고 있네요… ㅠㅠ 공부는 해도해도 집중이 진짜 잘 안되는건 여전하네요 ㅎㅎㅎ
@user-xh3et2hx5p
@user-xh3et2hx5p 4 ай бұрын
의사도 공부가 힘든거군요
@catbus1720
@catbus1720 2 жыл бұрын
저 다른분 강의듣는데 유쌤 대박 나실듯요 일단 노래가 미쳤는데요
@user-ul5zn7rt1q
@user-ul5zn7rt1q 2 жыл бұрын
분석한 내용 감사합니다
장수생 혹은 장수생으로 가고 있는 분들 꼭 봐주세요
11:49
유휘운-공무원변호사
Рет қаралды 81 М.
Как быстро замутить ЭлектроСамокат
00:59
ЖЕЛЕЗНЫЙ КОРОЛЬ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Hot Ball ASMR #asmr #asmrsounds #satisfying #relaxing #satisfyingvideo
00:19
Oddly Satisfying
Рет қаралды 27 МЛН
Watermelon Cat?! 🙀 #cat #cute #kitten
00:56
Stocat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하루에 16시간 공부 한다구요?
5:37
유휘운-공무원변호사
Рет қаралды 804 М.
나태해졌다가 정신 번쩍 드는 법🏹
5:40
이다지do
Рет қаралды 1 МЛН
Lack of concentration.. Do I have ADHD?
9:55
닥터프렌즈
Рет қаралды 256 М.
사실 이 공부법들은 완전 잘못된 공부법입니다.
14:10
Beautiful Piano Music & Best Sad Music & Sleep Music
1:00:12
Tido Kang
Рет қаралды 30 МЛН
본인 머리가 나쁜건지 확인하는 방법
6:59
유휘운-공무원변호사
Рет қаралды 809 М.
Как быстро замутить ЭлектроСамокат
00:59
ЖЕЛЕЗНЫЙ КОРОЛЬ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