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 안녕하세요! 🙋♂️ 오빠두엑셀입니다. 오늘 강의는 모든 통계분석의 핵심 단계인 '기술적통계'에서 사용되는 대표값 중, 실무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지표 6가지, [ 평균,중앙값,최빈값 그리고 표준편차,왜도,첨도 ] 에 대해서 단계별로 소개해드렸습니다. 특히, '데이터가 정규분포를 가질 때, 95%의 데이터가 2x표준편차 범위안에 포함된다'는 내용은 꼭 기억해주세요! 😊 이번 영상은 라이브 강의의 중요내용 편집본입니다. 라이브 강의 풀영상은 아래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kzbin.info/www/bejne/anq2e2Z3dt-Jd6s 이번 강의 내용 중 궁금하신 점은 아래 댓글로 남겨주시면 확인 후 답변 드리겠습니다. 오늘도 긴 강의 들으시느라 정말 고생 많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 강의에 사용된 예제파일 다운로드 www.oppadu.com/엑셀-대표값-분석/ 00:00 엑셀 대표값 분석 강의 시작 01:23 실무에서 표준편차를 해석하는 방법 02:24 통계분석의 핵심 "분포" 03:23 대표값 살펴보기 04:05 평균을 사용할 때 주의사항 07:24 데이터의 안정성을 확인하는 방법 10:25 엑셀 함수로 통계지표 구하기 12:39 통계지표로 데이터 분포 예측하기
@SunSun-zk7zc3 жыл бұрын
급해서요 혹시 아래의 함슨 대략적인 설명이 가능할지요? IF(VALUE(RIGHT(G3,1))=MOD(11-MOD(SUMPRODUCT(MID(TEXT(SUBSTITUTE(G3,"-",""),"0000000000000"),COLUMN($A:$L),1)*{2,3,4,5,6,7,8,9,2,3,4,5}),11),10),"OK","Err")
@그곳이알고싶다-z3x3 жыл бұрын
요약 : 평균 - 산술평균 주로 사용, 왜곡된 데이터 있을 경우 사용시 주의 중앙값 - 순서대로 나열했을때 중간에 있는 값 최빈값 - 가장 자주 발생하는 값 왜도 - 데이터 치우침 정도. 양수면 왼쪽으로 치우침. 2사이면 정규분포로 봄 첨도 - 뾰족함 정도. 8보다 작으면 정규분포로 봄 표준편차 - 평균으로부터 떨어진 정도. 정규분포일 경우 2표준편차 안으로 대부분의 데이터가 들어옴 휴.. 힘들었다
@진석이-n5t3 жыл бұрын
잘 배웠습니다 ㅎ예전에 라이브로 봤었는데 이렇게 복습하니 다시 기억에 남고 좋네요
@성이름-q5w2t3 жыл бұрын
왜도 첨도는 몰랐었는데 이거 사용하면 분석 근거 제시할때 뭔가 있어보이게 보고할 수 있을듯 ㅎㅎ
@지혜-o7r3 жыл бұрын
와우 정말 유용한 정보를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러닝엑셀러3 жыл бұрын
아하 ! 표준편차가 뭔지는 알았는데, 이런 분석에 사용되는 거였군요..ㅎㅎ 좋은 내용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TV-rv1sc3 жыл бұрын
실무에서 꼭 필요한 영상이네요🤭 오늘도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emmawatson99723 жыл бұрын
중간에 피카츄 넘 귀엽네요😂 오늘도 갓빠두하고 갑니다!
@Yeonp2 жыл бұрын
쉽게 잘 설명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장디파2 жыл бұрын
아아..진짜 이 유툽에 볼 강의가 너모너모 많네요. '역주행..고고'
@siri99033 жыл бұрын
This is amazing!!! Thanks!!!
@shorts-mc1sp2 жыл бұрын
형 진짜 이것도 있을까 하고 검색해봤는데 떡 하니 있네... 정말 미치겠다 너무 좋아
@jiduchris49433 жыл бұрын
현장의 살아있는 지식이다. 근데 차트를 그리면 보이는데, 왜도 첨도는 구해서 어디에 쓰죠? 데이터 신뢰도에 대한 근거가 되는 거 말고, 저 왜도, 첨도로 통해 다음 분석에 이어지는게 있을까요??
@Oppadu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 네 좋은 질문 입니다! 말씀해주신대로 왜도/첨도는 데이터 신뢰도에 대한 근거로 주로 사용되요. 현장에서 다루는 데이터 중, 정규분포를 따르는 형태로 보이지만 이게 정확히 정규분포로 봐도 무방할까? 에 대해 판단하는 지표 주로 사용됩니다. 데이터가 정규성을 갖는지 여부가 중요한 이유는 실무에서 진행하는 가설검정(대표적으로 회귀분석)은 모두 '정규분포를 갖는다' 는 가정하에 진행되는데, 표본데이터가 정규성을 갖지 않으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실무에서 진행하는 데이터 분석, 검정 과정은 정규성확인(왜도/첨도) -> 기술통계(평균,중앙값,표준편차 등..) -> 아노바(여러 집단 분석시) -> 상관관계(각 변수/집단별 밀접한 관계가 있는지) -> 회귀분석 (각 변수가 변할 때, 결과값으로 얼마만큼의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 순서로 진행됩니다.
@jiduchris49433 жыл бұрын
@@Oppadu 우와 감사합니다.선생님. 대학생때 다 이런 저런 배운적이 있는 단어들인데 어디에 어떻게 쓰이는지 바로 감이 오네요. 선생님 하나만 더 질문드립니다. 그럼 왜도/첨도가 좋지 않아서 정규분포가 이루어지지 않는 Data는 "N수가 충분하지 않거나 or 분석할 가치가 없거나 어려운 변수를 설정했다" 라고 볼 수 있을까요?
@Oppadu3 жыл бұрын
@@jiduchris4943 음.. 꼭 그렇진 않습니다. 왜도/첨도가 높은 경우는, "N수가 충분하지 않거나 or 분석할 가치가 없다" 는 것 보다, "데이터에 이상치가 포함되어 있으니 확인이 필요하다" 로 해석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