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시공과정31] 13.바닥미장_방통미장 크랙은 왜?? 생길까

  Рет қаралды 147,466

우리건설 이야기

우리건설 이야기

10 ай бұрын

방바닥 미장(방통미장) 균열 방지 방법

Пікірлер: 203
@user-vm2ez7zp4q
@user-vm2ez7zp4q 10 ай бұрын
현장 기사인데 회사보다 여기서 더 자세히 친절하게 알려주고 있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pabx-qm1lj
@pabx-qm1lj 9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교육이 잘 못 됐어요. 유튜브 있기 전까지 이런 이론 교육해주는 기관이 없음.
@user-pl5pu6it5x
@user-pl5pu6it5x 9 ай бұрын
저도 이곳에서 실무적인거 많이 배웁니다.. ㅋㅋ
@yuhyunbyul
@yuhyunbyul 9 ай бұрын
​@@pabx-qm1lj 시방서나 산업기사 책 혼자 읽어야죠 뭐
@soul5490
@soul5490 9 ай бұрын
욕을 안하니 더 좋은듯~~!
@myself6996
@myself6996 9 ай бұрын
돈 받고 일하면 프로인데, 가르쳐 주기까지 하면 고마워 해야 될 일이죠.
@gazuaamazon7463
@gazuaamazon7463 9 ай бұрын
공공기관 감사 보기 전에 참고할 유용한 지식이네요. 감사합니다.
@user-fb1kv5ig2j
@user-fb1kv5ig2j 10 ай бұрын
영상 잘 보았습니다. 한가지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user-ck9wq3oq2m
@user-ck9wq3oq2m 10 ай бұрын
현장에 있는 듯 생생한 영상 잘 봤습니다. 디테일한 작업들 하나하나 의미가 상당하네요~~
@user-rx9lv6gt4g
@user-rx9lv6gt4g 9 ай бұрын
방통 크랙 땜시... 이런 내용 자주 보는데, 아파트 방통이 궁금했어요. 감사합니다.
@Hanbang-Hanbang
@Hanbang-Hanbang 9 ай бұрын
관련되지 않은 일반인이 보기에도 내용이 너무 알차네요. 눈을 땔수가 없네요.😉
@ssibalnyeoni
@ssibalnyeoni 10 ай бұрын
저희현장과 공정이 비슷한 것 같네요. 항상 잘 보며 도움받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oe4cl8ip1z
@user-oe4cl8ip1z 10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항상 많이 배우네요
@user-ro5pz9sx6x
@user-ro5pz9sx6x 10 ай бұрын
오늘도 값진.지식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ahn155
@ahn155 10 ай бұрын
ㄹㅇㅋㅋ
@DJoo2115
@DJoo2115 4 ай бұрын
도움많이받고 있습니다. 소장님! 감사합니다
@anallogenglish8408
@anallogenglish8408 9 ай бұрын
마무리가 깔끔하고 멋있습니다.
@user-nt9yw5wc3l
@user-nt9yw5wc3l Ай бұрын
요즘 경기가 너무 좋지않아 여러므로, 힘든 상황이지만 이런 좋은 양질의 영상을 보고나면, 기운이 충만되어 너무나 힘이 난답니다. 이렇게 좋은 노하우를 저 같은 후배들이 볼 수 있도록 영상을 남겨주셔서 너무나 감사드립니다.^^
@user-qn1te6tf9g
@user-qn1te6tf9g 6 ай бұрын
디테일하게 설명해주셔서 잘배워갑니다 최고
@user-np5vb4uu3z
@user-np5vb4uu3z 9 ай бұрын
ㅎㅎ 매번 너무 재미있습니다.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engineer_chat
@engineer_chat 9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sr7lw2yh7o
@user-sr7lw2yh7o 10 ай бұрын
정밀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user-tk7rn7eg6z
@user-tk7rn7eg6z 9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목소리로 참 좋으시네요
@engineer_chat
@engineer_chat 9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fx7qh7ee1j
@user-fx7qh7ee1j 3 ай бұрын
현장 디테일을 상세히 알려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아파트 현장 공사 자료로 정말 값진 영상입니다
@world-719
@world-719 4 ай бұрын
올리신 영상들 하나 같이 다 주옥 같고 궁금했던거 해결 되는 좋은 영상이 많네요 인테리어나 가전제품 때문에 전기공사를 맡기고 조사하면서 이해 안가고 궁금한게 많았는데 아파트 인터넷 선이나 전기가 어떤 배관에 연결되고 공사 되는지도 알려주세요 그리고 요새 냉장고도 2대 이상에 건조기, 세탁기, 냉장고도 대용량화 되고 TV랑 장도 커져서 가전들도 무게가 엄청 늘어나고 주방 쪽에 가전 무게가 집중 되는데 구축 아파트들 각 층 슬라부가 그렇게 한쪽에 편중되면서 생기는 안전 문제는 없는지도 궁금해요
@diablo34739
@diablo34739 9 ай бұрын
역시 박사님 강의는 듣기편하고 귀에 쏙쏙 들어옵니다
@kiholee9367
@kiholee9367 9 ай бұрын
치장 벽돌도 다뤄주세요.. 치장벽돌이 최고의 외장재라고 하는데요. 배우고싶습니다.
@srroooo22
@srroooo22 10 ай бұрын
구독 박고 갑니다 유익한 정보 감사드립니다
@engineer_chat
@engineer_chat 10 ай бұрын
구독 감사합니다. 자주 오세요.
@skc0
@skc0 10 ай бұрын
일반인에게도 유익한 내용 정말 감사합니다.
@user-dv6mw2ds6v
@user-dv6mw2ds6v 10 ай бұрын
소장님, 영상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지금 영상의 구조를 통해 층간소음 저감구조로 아파트를 지금 만드는 건설사 및 브랜드가 무엇인지도 참 궁금합니다. 😊
@tentensunny3662
@tentensunny3662 9 ай бұрын
e편한세상
@dur3fck9dfi98e
@dur3fck9dfi98e 10 ай бұрын
펌프가 힘이 어마어마하게 좋아야겠네요
@user-hg5dz1lm4n
@user-hg5dz1lm4n 10 ай бұрын
전기가 150A 나와야 방통기계가 돌아가요
@user-wl8wk9ln4u
@user-wl8wk9ln4u 10 ай бұрын
@@user-hg5dz1lm4n 집안 전기가 10A인데 ㅎㄷㄷ
@DiGIMon74
@DiGIMon74 10 ай бұрын
올라갈때 진짜 대포쏘는 진동과 소리임 ㅋㅋㅋㅋㅋㅋㅋㅋㅋ
@seo820526
@seo820526 9 ай бұрын
벽체 휠러-재료 분리대 역할 건조수축에 의한 크랙방지를 위해 물호스로 계속 물뿌리기. 차음제 시공 다음에 엑셀 깔고 타설하는건 기포타설 아닌가요? 제가 잘못 아는건지? 궁금합니다.
@inqwer1313
@inqwer1313 9 ай бұрын
화면상 모델하우스라서 아주가까운거리임 하지만 동수가 뒷쪽에있거나 요즘 25층까지 쏘아올릴려면 당연히 묽어야합니다 물을 적게 타고 보내는 방법이 없어요 그건 바닥작업외에 공정을다른 작업으로 해야됨 근데 다른 선택지가없어요 물을 작게 타서 중간에 막히기라도 한다면 그날하루 호수에 들어있는 시멘트를 손수 들어서 다빼내야됨 그냥 하루끝났다보면됩니다
@dr.3844
@dr.3844 5 ай бұрын
먹줄만 했는데 레벨봉 !! 참고합니다.
@Dowan_Gim
@Dowan_Gim 10 ай бұрын
잘 봤습니다.
@Mir7788
@Mir7788 9 ай бұрын
이렇게 제대로 배우고싶은데 어디로 가야할까요.. 취업하고싶습니다
@333movie
@333movie 10 күн бұрын
좋아요 굿
@sniperhuh
@sniperhuh 4 ай бұрын
겨울철 난방시 딱딱 소음으로 자다가도 시끄러워 잠도 설치고 있습니다 난방 엑셀 배관하고 방통시 시공 하자라고 하던데 관련 영상도 부탁드립니다
@user-pc9ne8fm1u
@user-pc9ne8fm1u 9 ай бұрын
안녕 하세요. 궁금한점이 있어 여쭈어 봅니다. 아파트 외벽1층 타일 (두께18mm) 600x1200사이즈 건식으로 핀가공 없이 시공 하게 된다면 혹 문제가 되지 않을까 해서 여쭈어 봅니다.
@user-eu6ud9bt7j
@user-eu6ud9bt7j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질문이 있습니다. 최근에 작은 방 2개의 가벽을 철거하고 방을 하나로 만들려고 하는데요. 가벽을 철거하고 보니, 경량철골로 벽체가 되어 있고, 콘크리트 바닥 아래로 대략 11cm정도??? 로 경량 철골 러너가 있더군요. 이부분을 그냥 시멘트 사서 메워도 층간소음관련 문제가 되지 않을까요? 아니면 별도의 처리작업이 필요할까요? 감사합니다.
@engineer_chat
@engineer_chat 28 күн бұрын
차음재 60mm +미장 50mm 해서 110mm 입니다. 그 부분도 60mm두께로 차음재를 깔고 그 위에 미장하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spacekingkong
@spacekingkong 3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소장님. 영상에 나온 바닥용 pvc판은 어디서 구매 하나요?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user-kb3fm6mw9j
@user-kb3fm6mw9j 10 ай бұрын
900평 공장바닦 바닦치는데 30센티 이상 크렉 3개 나머지는 다 5센티 미만 그것도 10도 안되게 쳤어요. 아침에 쳐서 비닐깔고 햇볓 쨍쨍한데 새벽 2시까지 물뿌리고 6시에 현장 나와서 다시 또 물뿌리고... 지인 공장 져주는 거라 더 신경써서 했네요. 테두리 다 합판대고 실리콘으로 모서리 다 막고 비닐깔고 물막이 하는데 진짜 살빠지드라고요. 그렇게 신경을 써도 크렉나는건 어쩔수 없더라구요. 그놈의 수축팽창!!! 징그러워요. 지붕 없는 상태로 바닦치는거라 진짜 미치는 줄
@B2mSoul
@B2mSoul 9 ай бұрын
방통타설 약3 주후 마루시공하고 2주정도지나니 거실샷시쪽이 배가볼록나왔네요 왜그런걸까요.. 아직 재시공 전입니다 가로 약 2미터 세로 80센티 가량 면적이네요 마루는압착이되어있고 바닥이올라온것으로 확인되네요..
@kdfjlawegjsdklgjxckz
@kdfjlawegjsdklgjxckz 9 ай бұрын
모든현장이 이런식으로 할까요?
@user-xm4zr2ct8b
@user-xm4zr2ct8b 9 ай бұрын
방통크랙이 거실한가운데로 나도상관 없나요? 만약생기면 보수는 안하고 그냥 마루바닥 까나요? 우연히 입주예정이 아파트 거실사진을 확보했는데 크랙이 심한것 같은데 어찌해야하나 싶어서요. 사진을 보여드리고싶은데 첨부가 안되네요
@sunghyunlee7392
@sunghyunlee7392 2 ай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입주하는 아파트의 작은방의 평활도가 10mm 가량 차이가 나는데..방통단계에서 문제가 생긴것 같아요ㅠ 이럴경우 하자보수가 가능할까요..?ㅠ 보수 과정에서 강마루, 타일, 벽지 모두 재시공이 들어가야할 것 같아 걱정입니다..
@engineer_chat
@engineer_chat 2 ай бұрын
마루판이 살짝 떠 있는 상태라면 마루판 들어내지않고 마루판밑으로 충진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user-ht9le8lp3r
@user-ht9le8lp3r 10 ай бұрын
기포를 왜 치냐니까 핀꼽아야제 하던 고참이 있었는데 지금생각해도 웃깁니다. 영상에서는 층간차음재 위에 기포콘크리트 없이 방통을 바로 시공하는건가요? 영상에 보여주신 단면도랑은 상이해서 여쭤보는 겁니다. 방통은 사실 타설하는 날씨, 습도, 작업자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는것같습니다. 제일 좋은날씨는 봄, 가을이었던것같네요. 추석전에 방통치고 명절지내고 갔다왔는데 몇백세대를 둘러봐도 크랙하나 없으니 한일레미탈 직원이 직접와서 놀래는 경우도 보긴했습니다.
@user-hg5dz1lm4n
@user-hg5dz1lm4n 10 ай бұрын
크랙은 길게봐야됩니다 함수율이 8프로미만되오야 진행이 천천히되요
@user-uz9wf4uk7c
@user-uz9wf4uk7c 10 ай бұрын
근데... 경량기포콘크리트 안 치는 현장도 있나요... 23년 현장일 했지만 본적이 없어서... ㅎㅎㅎ...
@seo820526
@seo820526 9 ай бұрын
외국은 바닥 난방 안해서 기포 안친다는 소리 많이들었는데 한국은 바닥엑셀 깔기 때문에 슬라브 바닥을 평평하게 1차 면 잡아주고 난방배관 평평하게 설치해줘야 하기 때문에 시공하는걸로 알고 있어요.
@hyunseungyoon3568
@hyunseungyoon3568 10 ай бұрын
잘봤습니다...
@sukang5800
@sukang5800 9 ай бұрын
아니 방통크랙 제일 중요한것 빠트렷네요 비닐 보양은 기본입니다 천천히 건조되야 크랙떨어뜨리죠
@user-qp8it5pk6k
@user-qp8it5pk6k 10 ай бұрын
소장님! 영상잘보고 갑니다 정말궁금한데...아파트 외벽?시멘트는 왜 건설사마다 색이 다른가요?
@engineer_chat
@engineer_chat 10 ай бұрын
레미콘 회사마다 사용하는 약품(혼화제)이 달라서 미세한 차이가 납니다.
@suhwankim760
@suhwankim760 3 ай бұрын
단열재 위에 진한색의 부직포같은 소재와 테이프가 방통물 빠짐을 막기위함인데요... 이 현장 제품과 꼭 같이 하고픈데 떠오르는건 비싼 투습방수지와 청테이프뿐이네요 ㅜㅜ
@user-yz8xk
@user-yz8xk 9 ай бұрын
영상 마지막에 바닥 크랙은 안심해도 된다고 말씀하셔서 생각이 났는데.. 벽에 크랙이 가 있는건 괜찮은가요? 저희집 위가 옥상인데 방마다 옆집과 맞닿은 벽이 대각선으로 크게 금이 가 있습니다. 인터넷에 찾아보니 콘크리트 수축 팽창 때문에 최상층에 잘 발생한다고 본적이 있고 관리회사에도 얘기해서 사람이 와서 보고 갔는데 안전에 문제 없다고 하는데 정말 안심해도 될까요? 무너지지는 않는다해도 금사이로 빗물이 들어오지는 않을까 걱정이 됩니다..
@jkmaster5938
@jkmaster5938 4 ай бұрын
지진으로 인한 갈라짐 말고는 자연적으로 생긴 크랙은 님 죽을때까지 끄떡 없습니다 안심 하고 사시길~ 크랙이 영마음에 걸린다면 고강도몰탈시멘트를 덧바르거나 시중에 나오는 크랙부 충진제사서 바르시길
@user-db2gj3us8h
@user-db2gj3us8h 10 ай бұрын
크랙은 수축하면서 자연스럽게 생기는 경우가 많다고 들어본 거 같아요
@user-ms1rc6ql5x
@user-ms1rc6ql5x 10 ай бұрын
자연스럽다니.. 예전은 방통치면 밤세도록 피니셔 돌렸는데 지금은 그냥 밤10시 전에 피니셔 한번돌리고 야간수당받아감ㅋ 물론 콘크리트품질도 예전만큼 못한이유도 있음..
@user-sx2gu2jj7y
@user-sx2gu2jj7y 10 ай бұрын
예전에는 3-4회...요즘은 1번 끝...
@user-nq4ys4ms8z
@user-nq4ys4ms8z 10 ай бұрын
@@user-ms1rc6ql5x 뭐 그런다고 크랙 안생기냐?
@kwankim9179
@kwankim9179 10 ай бұрын
자연스럽게 생기는게 아니라 사실상 하자 공사예요.. 시멘트에 물을 잔뜩집어넣고서 그걸 자연스럽다고 표현하는게 정상입니까?
@kwankim9179
@kwankim9179 10 ай бұрын
저는 몰탈이송기 사용해서 된반죽으로 시공했습니다. 목조주택인데 크랙 1도 없었고 물빠짐도 없고 수평도 정확하게 나왔네요.. 레미탈에 물을 잔뜩넣어서 시공해도 된다는 시방서는 어디에도 없어요.. 그냥 방통치는 사람들 기계에 무리 없게 하려고 물을 잔뜩넣는겁니다. 콘크리트로 건물 올릴때 물을 잔뜩넣으면 강도가 약해지고 하자 공사로 재시공해야 됩니다.
@suhyunkim188
@suhyunkim188 7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좋은 영상 감사히 잘 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혹시 바닥에 단열재 깔 때 골조가 평평하지 않은 경우, 단열재가 꿀렁일 것 같은데요. 그런 경우는 바닥 레벨을 어떻게 잡아야 하는지요?
@engineer_chat
@engineer_chat 7 ай бұрын
심한경우 면을 갈아내어서 평활도를 잡습니다.
@Live-oz1lk
@Live-oz1lk 10 ай бұрын
현재 1차증축공사 완료후 후면부 2차증축 진행중인데, 토공사(CIP+가시설) 하면서 미장크랙생기는걸 거품물고 무너지는거 아니냐 하는 수요부처때문에 힘드네요...힘받고 갑니다..
@DiGIMon74
@DiGIMon74 10 ай бұрын
그건 좀 다른 문제 같은데요....?
@user-sx2gu2jj7y
@user-sx2gu2jj7y 10 ай бұрын
거품 물어야 정상이죠.. 건조 수축에 의한 크랙이랑 외력에 의한 크랙(변형)을 동일시하면 안되죠..
@Live-oz1lk
@Live-oz1lk 10 ай бұрын
@@user-sx2gu2jj7y 제가 댓글에는 동시에 진행해서 생긴거라곤 의미했으나, 외력(토공사)에 의한 상관관계를 증명할 수 있나요? 그저 건조수축으로 발생된 것인지, 아니면 외력에 의한것인지?
@nyckhs6142
@nyckhs6142 10 ай бұрын
살면서 생긴 단차가 있는 방통크랙?은 어떻게 보수하는건가요? 바닥재 일부에 불룩 올라온 부분이 있는데.. 아무래도 크랙 같은데 그냥 살아도 되는걸까요?? 그리고 방통 크랙이 발생하면서 난방 엑슬파이프를 손상시키는 경우도 있을까요??
@B2mSoul
@B2mSoul 9 ай бұрын
혹시 어떻게 해결하셨는지요
@user-pc7cf7je6r
@user-pc7cf7je6r 4 ай бұрын
기포작업은 제외된건가요? 지금영상이 얼핏 기포 물성인줄알고 헷갈렸네요. 도면 보여주셨을때는 경량기포가있는데 시공 동영상에는.없어서 여쭤봅니다
@engineer_chat
@engineer_chat 3 ай бұрын
기포없이 층간차음재로만 시공합니다.
@YonghwanShin
@YonghwanShin 18 күн бұрын
타설후 비닐로 덮어두면 크랙 덜갈텐데 공기때문에 그냥 건조하는게 일상화
@gwangho81
@gwangho81 3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신축 아파트 사전점검을 다녀왔는데요. 거실의 특정 부분을 밟으면 유독 체육관처럼 울림이 심해요. 또 그렇게 울림이 심한 곳의 마루(강마루)가 찌그덕(?) 거리는 소음이 들리구요. 꼭 마루가 밀리는 듯한(?)., 이게 단연재, 방통미장이 잘못 시공돼서 그러는걸까요? 아니면 겨울철 첫 난방으로 신축의 특성인걸까요? 사전점검 가서 황당하고 의아해서 글 남겨봐요.ㅜㅜ
@lilliliilillll
@lilliliilillll 4 ай бұрын
소장님이 시공하신 아파트에서만 살고싶네요..
@user-yq8zy6qh2o
@user-yq8zy6qh2o 9 ай бұрын
아파트공사에서 층간소음완충재 위에 기포치고 배관설치후 방통타설이 원칙으로 알고있습니다. 영상에선 완충재 위에 난방배관를 설치하셨는데 표준바닥구조에 어긋나지 않나요?
@user-si4pl2rg8n
@user-si4pl2rg8n 9 ай бұрын
제가 3년뒤에 전원주택을 지을예비건축자입니다. 여기는 지방입니다..혹시 집지을때 여기에 문의해서 의뢰드려도 괜찮을까요. 그리구 로이창문은 거실에 통창을해도 상관이없는지 궁금합니다. 오늘처음문의드리네요.유튜브 건설검색하다가오늘 사장님유튜브 알게되었네요구독하고 가겠습니다. 블로그도 이웃추가 해도될까요..
@engineer_chat
@engineer_chat 9 ай бұрын
남향 거실창에 로이유리 좋습니다.
@eunjeseong1224
@eunjeseong1224 10 ай бұрын
방통은 저렇게 단차이 없는 크랙은 정상적이라고 하셨는데 혹시 콘크리트도 방통칠때처럼 저렇게 균열이 무조건 생기나요?? 그리고 건물에 괜찮을까요?
@kangmo812
@kangmo812 10 ай бұрын
콘크리트 타설 후 수분은 십여년 동안 계속 증발하고 수축하여 크랙이 갑니다.
@user-wl8wk9ln4u
@user-wl8wk9ln4u 10 ай бұрын
@@kangmo812 만약 물을 섞지 않고 시멘트랑 모래랑만 붓고 다져서 밀봉 후 수증기만 조금씩넣어 줘서 떡 찌듯이 하면 오랜시간 지나도 시멘트가 금이 안갈까요?
@oop5507
@oop5507 10 ай бұрын
​@@user-wl8wk9ln4u 그건 떡집 사장님이 잘아실꺼 같은데요!!😂
@DiGIMon74
@DiGIMon74 10 ай бұрын
@@user-wl8wk9ln4u 그...그건 안될거 같아요 ㅋㅋㅋㅋㅋㅋ 그것보단 콘크리트 타설 후 몇일 동안 물을 계속 뿌려주면서 수축으로 인한 크랙을 많이 방지할순 있어요.
@eunjeseong1224
@eunjeseong1224 10 ай бұрын
@@DiGIMon74 물이많을수록 강도가 좋아지나요?
@ahn155
@ahn155 10 ай бұрын
👍
@user-yh1bm2so2f
@user-yh1bm2so2f 10 ай бұрын
층간차음재 위에 엑셀, 방통 작업 실시했는데 기포 타설을 안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기포 콘크리트가 흡음, 열 차단을 위해서 타설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층간차음재 위에 꼭 타설하지 않아도 되는건가요?
@engineer_chat
@engineer_chat 10 ай бұрын
참고 영상입니다. kzbin.info/www/bejne/n6nQfqKPi91mhcU
@user-yh1bm2so2f
@user-yh1bm2so2f 9 ай бұрын
@@engineer_chat 감사합니다~!
@user-zt7oj6hg5w
@user-zt7oj6hg5w 7 ай бұрын
2023년 130회(2회) 시공기술사 문제 중 2교시 3번문제. "공동주택 바닥 충격음 차단성능의 등급기준과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완충재 설치 전,후 확인사항, 경량기포 콘크리트 및 방바닥 미장 타설 전, 후 확인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johnsonlee2599
@johnsonlee2599 10 ай бұрын
무근 콘크리트의 크랙이 크게 문제 되지 않을 수 있지만 철근콘크리트의 크랙은 반드시 보수해야 합니다.
@gamchocookie
@gamchocookie 9 ай бұрын
방통 한사람이 바닥 크랙 갈까봐 온 바닥에 물을 뿌려놨던데 이게 맞는건가요? 물 뿌렸으면 지가 치우고 가던가 온바닥에다 뿌려놓고 치우지도 않고.. 효과는 있는건지 궁금하네요
@krauskim7662
@krauskim7662 3 ай бұрын
정상입니다. 너무 빨리 건조되면 크랙납니다. 그리고 물이 있어야 더 단단해집니다. 너무 빨리 마르지 말라고 비닐로 덮기도 합니다. 이걸 안해주면 그게 문제인겁니다.
@user-so6gk4md8j
@user-so6gk4md8j 10 ай бұрын
바닥에는 단열재가 안들어가는데 보통인가요? 차음재는 어떤걸 쓰는지도 궁굼합니다!
@foxnim0119
@foxnim0119 10 ай бұрын
전문가는 아니지만 바닥 단열제는 없어도 되는이유가. 외기와 직접 닿지 않기에 가능할꺼 같습니다. 아마 최저층 1층엔 단열제가 있지 않을까 조심스레 짐작해 봅니다
@user-vn2md8ro4c
@user-vn2md8ro4c 10 ай бұрын
보통 1층은 필로티구간이니까 2층 바닥, 즉 1층 천장은 단열재 들어갈껍니다. 당연히 옥상층 천장도 단열재 들어가고요
@user-nk8es1kf7n
@user-nk8es1kf7n 10 ай бұрын
차음재입니다 층간소음을 방지하기 위해서 EVA 차음재 위에 비드법단열재를 이중으로 많이 시공합니다
@engineer_chat
@engineer_chat 10 ай бұрын
참고 영상입니다. kzbin.info/www/bejne/n6nQfqKPi91mhcU
@user-qh9bk4bs9j
@user-qh9bk4bs9j 9 ай бұрын
그런데 현장 감리들은 저 크랙을 못마땅해하고 보수하라는 분들이 태반이죠 감리단을 설득한만한 자료가 있을까요 말로는 이길수없는 감리
@user-yi4ch3sw4e
@user-yi4ch3sw4e 10 ай бұрын
이런 집에서 살고싶다
@user-mv3hi4kh3j
@user-mv3hi4kh3j 9 ай бұрын
단차이 나는 크렉의 원인이 뭘까요? 제일 큰 문제는 통과 하시네 ㅎㅎㅎㅎ
@yonghu1292
@yonghu1292 9 ай бұрын
마루 깔몬보이지도 않음 마루 바꾸는데 10년도 더 걸리는데 답없음 근데 저렇게 파이프 걸가 멀어도 방이 따뜻한가 의문 300 미리 너머 보이는데 나만의 착각 인가요
@user-NOsense
@user-NOsense 8 ай бұрын
신축 공사 중 아파트에 1층 외벽에 크랙이 엄청 길게 있습니다. 이게 정상적인 건가요? 네이버 검색해도 잘 모르겠네요. 아시는 분 알려주세요...!!
@lovely-mc6cq
@lovely-mc6cq 9 ай бұрын
현직입니다. 방통레미탈 한일레미탈 제품명 "원타임" 기준 강도 보통 21mpa짜리 많이 사용하는데 플로우 기준 200미리이하인데 180mm만되어도 평활도 잡는데 문제가 없습니다. 허나 그렇게 하면하루 작업량이 84타입 기준으로 25세대 이하밖에 안나와 업자들 다 도망갈려 하지요. fm대로 플로우 기준치 안잡고 현장 작업자들 마음대로 플로우 260~270(슬럼프) 가면 하면 하루 40세대도 가능한데. 강도는 절반도 안나옵니다. 그리고 타설후 다음날 부터 3일 이상은 습윤 양생해줘야됩니다. 너무 해도 곰팡이 쓰니 않좋고요
@engineer_chat
@engineer_chat 9 ай бұрын
세부 의견 감사합니다.
@user-vg9uo1fb6k
@user-vg9uo1fb6k 10 ай бұрын
와 그렇군요
@ageofplastic1101
@ageofplastic1101 9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저희집 방통 크랙이 심한건지 겨울에 보일러만 돌리면 빠각빠각 소리가 나서 자다가도 놀래서 깹니다 ㅠㅠ 이런건 다시 보수가 가능할까요?>
@Es-jq1bd
@Es-jq1bd 5 ай бұрын
어떻게 처리 하셨나요? 저희집도 같은상황이라 고민입니다
@user-bg9nh3el4t
@user-bg9nh3el4t 10 ай бұрын
소장님 설비쪽으로 많이 가시네요
@user-rr5zs2ks5m
@user-rr5zs2ks5m 10 ай бұрын
@cszmoon
@cszmoon 10 ай бұрын
벽면에 쿠션재로 아이솔레이션 해줘도 크랙이 간다는건 그만큼 변형이 많은 재료라는 생각이 드네요. 건조라는것 자체가 그렇기도 하지만요. ㅎ 오늘도 우리건설 이야기 영상 고맙습니다! 👍
@user-lf5cs3hd7v
@user-lf5cs3hd7v 10 ай бұрын
듣도보도못한 용어쓰시네요 아이솔레이션이 뭔지
@user-ce4jf7js2q
@user-ce4jf7js2q 10 ай бұрын
@@user-lf5cs3hd7v 분리?
@user-lf5cs3hd7v
@user-lf5cs3hd7v 10 ай бұрын
@@user-ce4jf7js2q 감사합니다 흔히쓰는 재료분리라하면 될거같은데 좀
@snoopy9440
@snoopy9440 10 ай бұрын
아이소핑크 재질의 인슐레이션을 저렇게 표현한듯 하네요.
@user-ce4jf7js2q
@user-ce4jf7js2q 10 ай бұрын
@@snoopy9440 isolation(분리,격리) insulation(절연, 단열 소재)
@user-hq4md5yu7s
@user-hq4md5yu7s 8 ай бұрын
물타기를 하면 균열납니다. 콘크리트와 똑 같이 품질관리 필요하다.
@user-pj7wh5gm5l
@user-pj7wh5gm5l 10 ай бұрын
보통 방통작업시 벽체 및 천정 석고보드 먼저 작업 후 작업하나요?
@user-tp3kr6rf5e
@user-tp3kr6rf5e 10 ай бұрын
아뇨. 방통 치고 나서 합니다
@user-pj7wh5gm5l
@user-pj7wh5gm5l 10 ай бұрын
영상 속에는 벽체 석고 친 후 방통 치신거 아닌가 여쭤봅니다
@user-sk3vz3ou7m
@user-sk3vz3ou7m 9 ай бұрын
​​@@user-pj7wh5gm5l 석고 선작업한게 아니고 가벽작업 석고 보드네요
@seo820526
@seo820526 9 ай бұрын
@@user-tp3kr6rf5e합지 부터 하고 방통칩니다. .
@user-lw1um4fk2s
@user-lw1um4fk2s 6 ай бұрын
혹시 방통위에 통통울림 소리가 있는경우는 방통이 밑에 엑셀과 떨어져서 나는 소리일까요?
@engineer_chat
@engineer_chat 6 ай бұрын
마루판과 방통이 떨어져서 나는 소리일 것같습니다.
@pwppw5943
@pwppw5943 9 ай бұрын
방통미장의 두께는 몇 정도 인가요?
@engineer_chat
@engineer_chat 9 ай бұрын
50mm입니다
@sftv8629
@sftv8629 8 ай бұрын
모든 업체가 저런공정만 제대로 거친다면 하자가 없을껀데. 예나지금이나 아파트는 복불복이지. 어떤집은 바닥레벨안맞고 어떤집은 그나마맞고..대다수가 울퉁불퉁 평탄화불량.
@user-bd2id4ff6n
@user-bd2id4ff6n 9 ай бұрын
세상에 어렵지않은 일이 없노 기업인 모두 애국자다 일하는 모든 사람이 다 기업인이다 애국자들 덕분에 국민이 먹고 산다
@user-ej1jx4xx3h
@user-ej1jx4xx3h 10 ай бұрын
저희현장은 기포치고 그다음 난방코일깔고 방통치는데 여기는 바로 난방코일깔고 방통치는건가요?
@engineer_chat
@engineer_chat 10 ай бұрын
참고 영상 입니다. kzbin.info/www/bejne/n6nQfqKPi91mhcU
@user-uz9wf4uk7c
@user-uz9wf4uk7c 10 ай бұрын
아니... 완충재 다음 경량기포콘크리트 타설하고 그 위에 배관 깔고 온돌마감 타설인데 경량기포콘크리트가 빠졌네요... 신기하네...
@user-iq4oc1sz8h
@user-iq4oc1sz8h 10 ай бұрын
차음재 깔잖아용
@user-sx2gu2jj7y
@user-sx2gu2jj7y 10 ай бұрын
원가절감의 극치이거나 층고 문제로 빼 먹은거....
@engineer_chat
@engineer_chat 10 ай бұрын
참고 영상입니다. kzbin.info/www/bejne/n6nQfqKPi91mhcU
@worldhousing
@worldhousing 5 ай бұрын
단순크랙은 하자가 아니라고 하는데도 크랙은 다 하자라고 하는 현장 사람과 잠시 설전햇던 기억이..
@user-xx7wy6rh5r
@user-xx7wy6rh5r 10 ай бұрын
물...ㅋㅋ
@user-um7ph2kj1t
@user-um7ph2kj1t 6 ай бұрын
차음제는 뭘 까나요?
@engineer_chat
@engineer_chat 6 ай бұрын
EVA 20mm + EPS 40mm 입니다.
@user-um7ph2kj1t
@user-um7ph2kj1t 6 ай бұрын
@@engineer_chat너무나 감사합니다!!
@user-ss7ow7ie6m
@user-ss7ow7ie6m 6 ай бұрын
그리고 저 위에서 타일커터 할 때 쾅쾅 찍어서 깨지고 파임.
@user-ph7dd6jk6h
@user-ph7dd6jk6h 9 ай бұрын
방통치고 보양도 안하시네요?보양해도 크랙가는데?크랙무시?네 님말대로 자잘한크랙 무시해도되겠죠 문제는 햇빛바로 받는부분은1cm이상 쫙 벌어져서 방통들고 일어나는현장많습니다 나중에 장판 타일등 바닥깔때 바닥면잡고 바닥보수하고ㅋㅋ 장판까는현장 꽤 봣습니다 크랙무시햇다가 건물주나 입주자등 태클걸면 하자보수 고생이빠이합니다ㅠㅠ
@kwankim9179
@kwankim9179 10 ай бұрын
방통할때 물을 무지막지하게 넣어요.. 그렇게 물이 많으니 당연히 크랙이 생기고 물이 빠진 자리가 낮아져서 수평이 안되는겁니다. 물을 이빠이 넣어서 미숫가루 타놓은 정도로 묽게 만들어야 펌프로 올릴때 무리가 없거든요.. 당연히 하자공사 시작이구요.. 정상적인 작업이 아닌데 우리나라 현장 99%는 그렇게 작업하고 갑니다.
@user-qq6sg4we5i
@user-qq6sg4we5i 9 ай бұрын
모르면 가만히 있으세요~기차 레일과 같은 원리 입니다.
@kwankim9179
@kwankim9179 9 ай бұрын
@@user-qq6sg4we5i 뭔소리하니???
@user-ut3gv5bb9x
@user-ut3gv5bb9x 8 ай бұрын
걱정 없어도 크랙은 없는것이 좋다. 그래서. 몰탈을 칠때. 몰탈은 부은위에. 망 안전망. 같은것을 밟아 넛튼가 하여 크랙을 잡아주는것이 좋다
@user-wt3ot3ks1n
@user-wt3ot3ks1n 10 ай бұрын
죄다 전문가네요. 웃음만 올라오네요
@supervisor71
@supervisor71 10 ай бұрын
소장님...메탈라스는 크랙방지용이 아닙니다. 메탈라스 깔아도 크랙은 갑니다. (메탈라스,와이어매쉬는 크랙가지말라고 설치하는게 아니라 크랙이 가더라도 시멘트를 서로 붙잡아둬서 시멘트가 조각조각 분산되는걸 방지하기 위해 설치 하는걸로 입니다. 대다수 건축하시는 분들이 잘모르시더라구요)
@user-wl8wk9ln4u
@user-wl8wk9ln4u 10 ай бұрын
무수축 콘크리이트는 없나요? 슈퍼 콘크리이트는 금이 안갈 거 같긴 하지만
@DiGIMon74
@DiGIMon74 10 ай бұрын
@@user-wl8wk9ln4u 댐이나 토목쪽에 쓰는게 무수축이긴 한데.... 가격이나 양생기간이 어마어마하게 차이나서 사실상 시간을 다투는 아파트 공사엔 못써요...
@user-lf5cs3hd7v
@user-lf5cs3hd7v 10 ай бұрын
본인이 말해놓고도 무슨뜻인지 잘모르시는거같은데 크랙방지용을 설치하면 크랙이 안간다생각하는거같은데 그건아니죠? 말씀하신 와이어매쉬도 조각붙어있기위해선 면적에 맞게 콘크리트를 잡고있기때문에 크랙방지효과가 있는겁니다. 그럴거같으면 매트에 무근칠때 와이어매쉬는 왜깝니까 무근에 철근배근을 하던 본인이 아시는 크랙방지재를 설치하시지 할말은많은데 여기까지할께요.
@supervisor71
@supervisor71 10 ай бұрын
@@user-lf5cs3hd7v 제 글이 이해가 안가시나보네요. 이해가 안가면 할수 없죠.
@user-lf5cs3hd7v
@user-lf5cs3hd7v 10 ай бұрын
그러게 제말이 이해가 안가면 어쩔수없죠 메탈라스를 거푸집대용으로 썼다가는 메탈라스는 거푸집이 아닙니다 이럴분을 무슨수로 이해시키겠습니까.
@hasoo_song
@hasoo_song 10 ай бұрын
1주일에 한개씩 부탁드립니다~~
@engineer_chat
@engineer_chat 10 ай бұрын
매주 토요일 오후 12시에 한개씩 올리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ns4jl1ys9c
@user-ns4jl1ys9c 10 ай бұрын
돈이 😂
@user-ub2em3pp2q
@user-ub2em3pp2q 9 ай бұрын
어휴 예전에 제가 있던 현장은 아니고 옆에 현장 바닥난방이 안돼서 뜯어보니 코일 안깔린채로 방통을 함 ....현장기사 방통하는놈까지 진짜 인간쓰레기놈들
@engineer_chat
@engineer_chat 9 ай бұрын
엄청난 일을 겪으셨네요.
@c9soft921
@c9soft921 10 ай бұрын
역시 아무것도 안깔고 그냥 타설.. ㅋㅋㅋㅋㅋㅋ 역시...... ㅋㅋㅋㅋㅋㅋ
@ghyoun-dp8qs
@ghyoun-dp8qs 5 ай бұрын
배관을 고정하는 것이 철사가 아니어서 마음이 듭니다.
@bibibicc
@bibibicc 2 ай бұрын
크랙은 왜 갈까 = 건조 속도가 빨라서. 왜? 시공자들이 비닐 덮지도 않은 상태로 창문을 열어재껴서 (가끔 주택공사는 난방을 키는 ㅅㅋ들도 있음)
@user-iy8zk4nf3z
@user-iy8zk4nf3z 10 ай бұрын
완강
@user-pw7ik1lm7i
@user-pw7ik1lm7i 9 ай бұрын
방바닥통미장
@user-ms1rc6ql5x
@user-ms1rc6ql5x 10 ай бұрын
요즘은 밤새 피니셔돌리는 인간이 없음! 전부 방통은 중국애들이 시공하니 품질이 좋아질리가..
@user-nw5yw5ht1u
@user-nw5yw5ht1u 20 күн бұрын
세대바닥은 피니셔 안돌립니다 손으로 계속 누릅니다
@user-by6nn5gb1r
@user-by6nn5gb1r 5 ай бұрын
메쉬망 안깔았네
전문가도 알려주지 않았던 방수 이렇게 하는 이유[우리건설]
15:36
Indian sharing by Secret Vlog #shorts
00:13
Secret Vlog
Рет қаралды 52 МЛН
狼来了的故事你们听过吗?#天使 #小丑 #超人不会飞
00:42
超人不会飞
Рет қаралды 56 МЛН
когда достали одноклассники!
00:49
БРУНО
Рет қаралды 2,9 МЛН
Miracle Doctor Saves Blind Girl ❤️
00:59
Alan Chikin Chow
Рет қаралды 40 МЛН
시멘트바닥 크랙, 방바닥 크랙 어떻하나??
13:46
772건축이야기
Рет қаралды 128 М.
철근을 묶는게 더 튼튼한 이유
10:57
우리건설 이야기
Рет қаралды 547 М.
#10 전기/설비/방통 시공금액
8:08
망치쾅쾅
Рет қаралды 637 М.
바닥미장 방바닥 미장 미장은 과학이다. 방통
20:24
문틀 선(Line)이 벽에서 10mm 튀어나온 이유
5:38
우리건설 이야기
Рет қаралды 85 М.
왜 배관이 투명할까?
6:47
우리건설 이야기
Рет қаралды 99 М.
Samsung or iPhone
0:19
rishton vines😇
Рет қаралды 8 МЛН
Carregando telefone com carregador cortado
1:01
Andcarli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Эффект Карбонаро и бумажный телефон
1:01
История одного вокалиста
Рет қаралды 2,6 МЛН
Цифровые песочные часы с AliExpress
0:45
How Neuralink Works 🧠
0:28
Zack D. Films
Рет қаралды 32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