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 폐업 잇따라…자재 가격↑·공사↓ / KBS 2024.05.26.

  Рет қаралды 22,697

KBS충북

KBS충북

23 күн бұрын

[앵커]
지역 건설업계의 어려움이 커지고 있습니다.
자재 가격은 계속 오르고 건설 수주는 크게 줄었기 때문인데요.
버티다 못해 폐업하는 사례도 속출하고 있습니다.
이만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청주의 한 산업단지 건설 현장입니다.
공사 시작 뒤, 자재 가격 상승세로 건설비 부담이 커지고 있습니다.
건설비 부담 증가는 건설사의 수익 악화로 이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전경헌/건설업체 현장소장 : "저희는 계약 단가로 가는데 물가 변동이 일어나면, 상승이 일어나면 그 변경분을 제대로 반영을 받지 못하면 시공사가 다 떠안아야 되니까…."]
실제로 충북의 건설 자재 가격은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의 여파 속에 고공 행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수익이 줄어도 일감이 있는 것은 그나마 다행입니다.
부동산 경기 침체 장기화로 공사 물량이 크게 줄어섭니다.
지난 1분기 충북의 건설수주액은 5천 4백 40여억 원으로 1년 전보다 63.7% 감소했습니다.
일을 따내지 못해 문을 닫는 건설사도 늘고 있습니다.
최근 3년간 충북에서 폐업 신고한 종합건설업체가 급격히 늘었고, 올해도 3곳이 문을 닫았습니다.
건설업의 침체는 지역 경제에도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지난해, 건설업계의 임금 체불 규모는 131억 원으로 1년 전 68억 원보다 93% 급증했습니다.
지역 건설업계는 중소 건설업체의 수주율을 높이기 위한 적극적인 공사 분할 발주와 지역 의무 공동도급 계약 의무화 등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손인석/대한건설협회 충북도회 부회장 : "부동산 경기가 하락돼 있고 침체돼있다는 거고요. 두 번째로는 세수 부족으로 인해서 재정 사업이 정부에서 투자가 늦어지고 있다는 겁니다."]
또, 건설업계 불황 장기화로 영세 하도급 업체까지 연쇄 도산할 수 있다면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입장입니다.
KBS 뉴스 이만영입니다.
촬영기자:박준규/그래픽:김선영

Пікірлер: 82
@user-vk4ot6iw2z
@user-vk4ot6iw2z 21 күн бұрын
전체 건설사 수에 폐업업체수를 애기해야 %를 알지, 폐업수만 애기하니 영 감이 안오네
@user-jc5mn5id2q
@user-jc5mn5id2q 20 күн бұрын
건설수주가 줄면 자재를안쓰는데 왜 오르기만할까?
@user-ed4sr6xh8h
@user-ed4sr6xh8h 9 күн бұрын
최저임금인상후더욱 오르지요 나십원오르먼 물가는천원오름 되는대로살죠 식비도오르겠죠
@jao2022
@jao2022 9 күн бұрын
길거리에 차 많이 다니면 휘발유값이 오를까염?
@user-fe9rt5wm1o
@user-fe9rt5wm1o 3 күн бұрын
공부를 하고 뉴스보길
@user-ew7qn7ou7t
@user-ew7qn7ou7t 3 күн бұрын
문가가 세상을 망가뜨렸나
@user-hw6vn7wk6n
@user-hw6vn7wk6n 21 күн бұрын
자재값...자재값...하고있네....문제는 땅값을 말도안되는 가격에 매입한탓이지...............땅값을 저렇게 쳐올려서 샀으니 다른게 조금만올라도 타산이 나올리가있나?????????
@sangmoon1931
@sangmoon1931 21 күн бұрын
미분양 아파트 먼저 팔아야
@dongkabjeong3605
@dongkabjeong3605 16 күн бұрын
후분양 해야지 저렇게 투기 세력들이 남의 돈으로 짓다가 돈 모자르면 입주예정자들 한테 협박이나해서 돈 뜯어내고 나라세금으로 어떻게 매꾸려는 속셈인데 이참에 싹다 정리안하면 장기 불황올듯
@castle_base7149
@castle_base7149 7 күн бұрын
저런 상황이면 기존 주택 소유자들은 호재인가?
@didgmlwoek
@didgmlwoek 5 күн бұрын
계약 단가로 하는데 자재값 떨어지면??? 그떄 그럼 깍아주냐?? 이제껏 단한번 이라도 깍아준적있냐? ㅋㅋㅋㅋㅋㅋ
@user-mb6bl4zt2e
@user-mb6bl4zt2e 21 күн бұрын
잘히 능력 안되는 걸설사는 도태시켜라 후분양으로 법을 바꿔라 대출로 집지을라 하지말고 자기자본으로 건물올려라
@user-zt6le3ke3b
@user-zt6le3ke3b 17 күн бұрын
후분양하면좋긴한데 분양가 무지막지하게 폭등
@user-bt1ru6mu1s
@user-bt1ru6mu1s 9 күн бұрын
분양가 50% 인상각
@user-if1zn4bz2p
@user-if1zn4bz2p 9 күн бұрын
분양가 존나 오르는건 생각못하네 답답하노ㅋ
@user-ux8px7cf4s
@user-ux8px7cf4s 8 күн бұрын
철근 생산이 너무 많아 제철사들이 단축조업 한다고 난린데 건설자재값 상승으로 건설사들은 폐업한다니 도대체 누구말이 맞고 무엇이 진실이냐?..
@user-rv6vj1hb6s
@user-rv6vj1hb6s 6 күн бұрын
자재가 철근만 있는게 아니자나요~~
@syj0304
@syj0304 2 күн бұрын
철근+시멘트 자재값에 많은 다른자재가 같이따라다니는거임 철근+시멘트값이 비정상 인건비 비정상 금리 비정상 삼박자가 ㅂㅅ이라 줄폐업
@qwerasdfzxcv112
@qwerasdfzxcv112 21 күн бұрын
땅 땅 땅
@jeongilcha1456
@jeongilcha1456 15 күн бұрын
노가다 임금 떨어지는건가?
@user-fw4ew4es2i
@user-fw4ew4es2i 21 күн бұрын
참 교묘하게 말하네!!! 원자재 보단, 은행금리, 땅값은 말하지 않지, 원자재보단 은행금리 이잖아
@user-zt6le3ke3b
@user-zt6le3ke3b 17 күн бұрын
맞아요 한은은 물가를 잡는데관심 없음 모든 물건에 금리 이자비용합산해서 물건값 정 함
@user-zz8bm2gh2d
@user-zz8bm2gh2d 14 күн бұрын
건축 하지말고 푹쉬시요. 소비가 없어면. 내려가기 되있음
@user-dh8sf9je7q
@user-dh8sf9je7q 18 күн бұрын
분양가 많이 받아라😮 . 즘더 올리고 일감많을걸.
@user-me6vi7tx4j
@user-me6vi7tx4j 3 күн бұрын
채불조심
@BSKIM-iy1tu
@BSKIM-iy1tu 18 күн бұрын
얼른 미분양 물건 죄다 풀어. 콘크리트 묵히면 안좋아~
@all8311
@all8311 21 күн бұрын
뭐가 문제야 빚내서 하면되지 나라든.회사가 망하든 나중에 문제고 빚내서 건설해야지 외국인들이 많은데 망하든 말든 빚내서 건설해라
@user-wu1eg6yb5r
@user-wu1eg6yb5r 21 күн бұрын
대가리속 뇌에 들어있는건 우동사리 한차 들어있나보네
@dangery7707
@dangery7707 21 күн бұрын
자재가격이 오른다니 23년부터 자재비는 떨어지고 있는디. 자재비보다 인건비가 폭등했고, 대출 이자 비율이 높아졌으니
@user-iy7zf6mx4g
@user-iy7zf6mx4g 19 күн бұрын
레미콘값이 미친듯이 올랐는데 자재비가 떨어지고 있다고요?
@dangery7707
@dangery7707 19 күн бұрын
@@user-iy7zf6mx4g 아 레미콘이 있군요
@camellia5380
@camellia5380 17 күн бұрын
철근,인건비 많이 내려 갔어요 건축자재비도 10년전이나 비슷하고 현재부담되는건 6해베 기준 60만원 정도 2배올랐고 무엇보다 이자가 많이 올랐죠 안전사고 터지면서 안전,감리비가 많이 오름
@user-iy7zf6mx4g
@user-iy7zf6mx4g 17 күн бұрын
노무비 내려갔다고해도 예전보다 일하는 시간이 훨씬 줄어서. 이게 줄었다고 봐야할지 모르겠습니다..
@user-ul6cn1fs8w
@user-ul6cn1fs8w 18 күн бұрын
브릿지론 폭탄 💣 준비 껄껄껄 꽉잡아라~~~~
@user-nl4qn9qo7i
@user-nl4qn9qo7i 7 күн бұрын
나라가망해가는전조증상
@user-ex2ez2qv8n
@user-ex2ez2qv8n 14 күн бұрын
집값 올려놓고 팔리길 바라냐 ~~ 최저 임금도 급하게 올리더라 건설거품 최저임금거품도 빼라
@user-yv5qu4km8c
@user-yv5qu4km8c 20 күн бұрын
외노자들 인건비 내리세요~ 적당히 내려도 충분합니다~
@user-zt6le3ke3b
@user-zt6le3ke3b 17 күн бұрын
외노자 임금내리면 내국인 무더기로 쫒겨날건데 ?
@user-lw1np9ll5x
@user-lw1np9ll5x 14 күн бұрын
대박 조오나 무식하네요
@Homo_eruditio
@Homo_eruditio 19 күн бұрын
그냥 집을 각자 짓자..
@user-ii9nx5ix3x
@user-ii9nx5ix3x 14 күн бұрын
원인은 체저임금비 가 원인
@all8311
@all8311 21 күн бұрын
선진국이 외국인 못먹여 살리면 선진국이냐
@qtsy
@qtsy 2 сағат бұрын
아파트 그만 지어요
@user-ch4dw6xl3j
@user-ch4dw6xl3j 20 күн бұрын
대형아파트 신축공사장에 출근하는 건설일용인부 입장에서 볼때, 자재값은 10프로 인상이고, 임금15프로인상..인원수10~15프로증가로 총인건비30프로 증가한것이 최대요인인듯.
@user-kl2qr9pl4z
@user-kl2qr9pl4z 12 күн бұрын
꼴 좋군
@user-pc8dx9zo1f
@user-pc8dx9zo1f 21 күн бұрын
원청이 다 먹으니;;
@PRAHADAM
@PRAHADAM 21 күн бұрын
아니 공사를 안하는데 왜 자재가격이 올라 거짓말을하네 ㅋㅋㅋ 유통하는애들이 쌓아두고 가격만 올려둔거겟지 ㅋㅋㅋ 나라에서 전수조사나해봐라 ㅋㅋ 자재가격 한국만 오르는게 말이되나 인건비면 몰라도 ㅋㅋㅋ
@SnowLeopard2121
@SnowLeopard2121 20 күн бұрын
모르면 세계시장에서 시멘트, 철근 가격이라고 검색해봐라. 건설업 쳐 망해 건설이 죽어버린 중국조차 자재가격 졸라 올라가고 있으니까.
@user-nm5vc5yq7n
@user-nm5vc5yq7n 11 күн бұрын
@user-pu6hm9sv9b
@user-pu6hm9sv9b 5 күн бұрын
시청료삥뜯고 억대연봉 정부허수아비노릇
@Bemjjatkkitti
@Bemjjatkkitti 19 күн бұрын
자재값 핑계 그만 두시죠. 철근가격은 폭락인데 왜 오른 얘기만 하고 내린 얘기는 안하죠? 고금리로 이자 부담에 대한 이야기는 왜 안해요? 자기자본 낮게 대출 땡겨서 하는 건설업 특성을 이야기해야죠
@user-lj9bv6rd2j
@user-lj9bv6rd2j 20 күн бұрын
건설노조들이 원하던것이 이것 아니였나...
@user-re6dw1iy6h
@user-re6dw1iy6h 17 күн бұрын
자재값 조사는 하지않지 왜? 거짓말일걸?ㅎ
@japchae
@japchae 5 күн бұрын
뉴스를 정확히 보도해라 샹
@SnowLeopard2121
@SnowLeopard2121 20 күн бұрын
훈훈한 소식. 이래야 좀비기업 퇴출시키고 경쟁력 있는 기업이라도 건질수 있음.
@user-zt6le3ke3b
@user-zt6le3ke3b 17 күн бұрын
살아남은 건설사 는국민상대로 갑질 횡포가 하늘을 찌를텐데 ?
@SnowLeopard2121
@SnowLeopard2121 17 күн бұрын
@@user-zt6le3ke3b 지금 건설사들이 이 ㅈㄹ 하는것은 대부분 지방 토호, 지방언론사, 지역의원들 끼고 ㅈㄹ 하는건데, 지들껀 쳐 망했는데 존나 다른놈은 멀쩡해봐. 이ㅅㄲ들이 합심해서 존나 물어 뜯고, 이 ㅅㄲ들이 국회에 존나게 찔러서 지들 망했으니 이제 법만들어서 건설사 갑질횡포 없애자가 제일 앞에 서서 민원 넣을거야.
@SnowLeopard2121
@SnowLeopard2121 17 күн бұрын
@@user-zt6le3ke3b 더욱 좋아.
@chromeyoutube5817
@chromeyoutube5817 14 күн бұрын
응 거품 더빠져야해
@user-tr5gd4qv2x
@user-tr5gd4qv2x 16 күн бұрын
건설사가 망해가는건 윤정부의 성과입니다
@timmartin2289
@timmartin2289 10 күн бұрын
대통욕하셔.2찍
@SoSo-yj4nj
@SoSo-yj4nj 17 күн бұрын
후진국특 ㅋㅋ
@fdasjd
@fdasjd 16 күн бұрын
시멘트 물타서 판다고 보도 이후에 레미콘 가격 미췬듯이 올라감. 이유는? 그동안 자재로 남겨 쳐먹은거 어디선가 매꿔야 하는데 그걸 못하니 ... 소비자한테 전가하는중임.. ㅋㅋㅋ.. 지들 이익이나 차익 내릴생각 1도 없는 것들임... 다들 잘 들어라... 앞으로 부동산이 더 이상 활성화가 안될뿐더러.. 건설사들 입찰경쟁이 낮아지고 없어 질수록 반대로 자재값 떨어지고 땅값이 떨어지고 그럴꺼다. 계속 기존에 남아 있는 건설사들이 자기들 차익 벌어먹고 살려고 아둥바둥 쳐도 .... 더이상 집을 사고 거래할수 있는 인구가 절벽수준으로 떨어지는 구간이 오고 있는 상태여서.. 지금 버블경제 안끝내면? 앞으로 10년 20년 후에는? 인구가 없는 상태로 대출이자등 가계부체가 한계에 다달은 순간? 대한민국은 모든 소비자 물가가? ㅋㅋㅋ... 기업들 살린다고 정부가 지금 밀어주고 있는데? 저 기업인들이 나중에 어찌할까? ㅋㅋㅋ.. 땅값은 앞으로 떨어질꺼고.... 건물들 매매는 더이상 없을꺼고 .... 그때가서 아 소비자들이 더이상 지값을 안여네? ㅋㅋㅋㅋ.. 지금 부동산 거픔 빼야지... 앞으로 미래 세대들이 어려움 없이 국민연금 내지 않것냐?? 정부고 건설사고 그 이하 연계된 기업들아... 적당히 해쳐먹어라... 조만간 니들 물건 사줄 사람조차 없어질 예정이니... 답답허다.. 일본은 반대로 취업률 90%이상 찍고 임금조정안으로 연봉이나 월급 엄쳥올려서 시장경쟁 유지할수 있게 하고있는디.. 이넘의 정부나 기업인들은 점점 미춰가고 있으니..
@user-uc3ou1bj3x
@user-uc3ou1bj3x 21 күн бұрын
석열인 죄읍다 전정부 탓이다 막써댄 정부
@user-dn8tn8ki7b
@user-dn8tn8ki7b 20 күн бұрын
법인세 부자감세 낮춰쥤는데..뭐좋아진거 있나..??
@user-mv4sd1hx6n
@user-mv4sd1hx6n 20 күн бұрын
이런 모지리들이 있으니 나라 꼬라지가 이모양이지
@user-nv6os9qj3w
@user-nv6os9qj3w 19 күн бұрын
ㅉㅉㅉ
@smith.j1711
@smith.j1711 19 күн бұрын
재인이 C밸러미 나라 다 조져놨지
@user-lw1np9ll5x
@user-lw1np9ll5x 14 күн бұрын
무능한게 죄다
@user-eq3ip1go2s
@user-eq3ip1go2s 21 күн бұрын
석열이 찍어서 ㅋㅋㅋ
1❤️#thankyou #shorts
00:21
あみか部
Рет қаралды 84 МЛН
DELETE TOXICITY = 5 LEGENDARY STARR DROPS!
02:20
Brawl Stars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Насколько Глубокий Океан ? #shorts
00:42
King jr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When Steve And His Dog Don'T Give Away To Each Other 😂️
00:21
BigSchool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1❤️#thankyou #shorts
00:21
あみか部
Рет қаралды 84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