Рет қаралды 7,520
무료 전기 기초 동영상 강의 ▶제15강 - 시내에서 전봇대가 없는 곳은 어떻게 전기를 공급하나요?
매주 화요일 전기신문 유튜브에서 '김기사의 전기 내비게이션'을 만나보세요.
강의 관련 질문 '김기사의 쉬운 전기' 블로그 ☞ blog.naver.com/...
●지중화의 정의 및 이해
지중화(地中化, underground) : 전선을 땅속으로 1m 이상 파서 묻는 것
지중화 구간에는 패드(pad)가 설치 ☞ 패드 안에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개폐기나 변압기 설치
●지중화의 특징
① 가공선로는 다도체, 지중선로는 단도체
② 가공선로는 지지해주는 송전탑, 전봇대의 애자가 필요하지만 지중선로는 땅에 직접 묻기에 무게제한이 없지만 절연이 가장 중요해 케이블을 사용하고 ELP 전선관 사용
③ 가공선로는 공기중으로 열발산이 되기 쉽기에 땅속에 묻어 열발산이 어려운 지중선로보다 상대적으로 용량에 대한 대응이 좀 더 용이
●지중화의 공사 방법
직매식 : 직접매설방식의 약자로 전력케이블을땅에 직접 매설하는 방식 ☞ 케이블 회선수가 2회선 이하 적은 용량, 장래증설계획이 없는 경우, 굴착이 용이한 경우에 적당
관로식 : 관(pipe)을 이용해 그 안에 케이블을 부설하는 방식 ☞케이블 회선수가 3~9회선인 경우, 장래증설계획이 있는 경우, 장래 도로가 생길 경우에 적당
암거식 : 전력구식이라 하여 터널과 같이 윗부분이 막힌 형태의 지하구조물 방식 케이블 회선수가 9회선 이상인 경우, 직매식 또는 관로식 공사가 불가능 한 경우에 적당
●지중화 케이블
지중화 송전선로의 경우 XLPE 재질의 지중화 케이블 사용
지중화 배전선로의 경우 TR-CNCV-W나 FR-CNCO-W를 사용
지중화 220/380V 저압선로의 경우 600V CV 케이블을 사용
●송배전의 전압강하
임피던스, 어드미턴스, 부하의 크기 및 역률, 선로에 흐르는 전류등에 따라 송전단 전압에 비해 수전단 전압이 낮아 지는 것
전압강하율 : 전압강하를 백분율로 표시한 것
전압강하를 낮추는 방법
① 선로의 길이를 짧게 함
② 부하의 역률을 개선하여 부하전류의 크기를 작게 함
③ 전선의 굵기를 크게하여 선로의 임피던스를 적게함
●송배전의 전압변동
전압변동률 : 부하가 갑자기 변화하였을때 그 단자 전압의 변압율
전압변동률을 낮추는 방법 : 전원측 임피던스를 작게 함. 전압조정장치(AVR)를 설치. 무효전력을 보상